KR20090075326A - 외부의 상황에 따라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조절방법 - Google Patents

외부의 상황에 따라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5326A
KR20090075326A KR1020080001146A KR20080001146A KR20090075326A KR 20090075326 A KR20090075326 A KR 20090075326A KR 1020080001146 A KR1020080001146 A KR 1020080001146A KR 20080001146 A KR20080001146 A KR 20080001146A KR 20090075326 A KR20090075326 A KR 20090075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creen display
illuminance
sensor
predetermined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80001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5326A/ko
Publication of KR20090075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3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외부의 상황에 따라 화면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조절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현재시간과 주위의 조도 등을 고려하여 화면 표시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사용이 없는 경우에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 표시, 조도 센서, 움직임 센서

Description

외부의 상황에 따라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조절방법{Display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Brightness According to External Condi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외부의 상황에 따라 능동적으로 화면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소자의 발달로,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발표되고 있다. 특히, 엘시디(LCD: Liquid Crystal Display), 피디피(PDP: Plasma Display Panel), 오엘이디(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형태적 우월성에 의해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히 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 일부는 그 사용 패턴을 고려하여 항상 켜진 상태에서 영상을 표시한다. 전자액자(Digital Frame) 등이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해당한다. 이러한 장치들이 주전원이 온(On) 되어 있는 한 항상 영상을 표시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해당 영상을 항상 보고 있는 것도 아니다. 결국,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의 상황을 고려하지 아니함으로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피할 수 없으며, 사용자가 주로 잠을 자는 밤 시간대나 사용자가 외출한 이후라면 전자액자라 하더라도 영상을 표시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상황에 따라 화면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조절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소정의 이미지나 동영상을 소정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및 타이머에 의해 읽은 현재시간이 제1소정시간대에 해당하고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수신한 조도가 소정 기준조도 이하인 경우, 상기 표시부가 화면표시를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화면표시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의 움직이는 물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움직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화면표시제어부는, 타이머에 의해 읽은 현재시간이 제1소정시간대에 해당하면서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수신한 조도가 소정 기준조도 이하가 아닌 경우라도 제2 소정시간 이상 상기 움직임 센서로부터 움직이는 물체의 감지정보를 입력받지 못한 경우, 상기 표시부가 화면표시를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표시제어부는, 타이머에 의해 읽은 현재시간이 제1소정시간대가 아닌 경우라도 제2 소정시간 이상 상기 움직임 센서로부터 움직이는 물체의 감지정보를 입력받지 못한 경우, 상기 표시부가 화면표시를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표시 오프는 엘시디인 상기 표시부의 백라이트를 오프시키는 것이 해당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화면표시제어부는, 사용자의 직접 제어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오프된 화면표시를 다시 온 시키게 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체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면표시제어부는 상기 제2센서부의 감지결과를 기초로 본체의 회전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직접 제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소정의 이미지나 동영상을 소정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표시 조절 방법은, 타이머를 이용하여 읽은 현재시간이 제1소정시간 범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현재시간이 상기 제1소정시간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조도센서로부터 수신한 조도가 소정 기준조도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수신한 조도가 상기 기준조도 이하인 경우 상기 표시부가 화면표시를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능동적으로 화면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현재시간과 주위의 조도 등을 고려하여 화면 표시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사용이 없는 경우에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의 상황을 판단하여 화면의 밝기를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화면 밝기에 대한 제어는 화면표시 오프(Off) 또는 화면의 휘도를 낮게(화면을 어둡게) 하는 것 등이 해당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현재시간이 기 설정된 제1 소정기간 대에 해당하면서 주위가 어둡거나, 현재시간이 제1 소정시간 대가 아니라도 소정 시간 이상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으면 화면 표시를 오프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소정시간 대는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대로서, 주로 밤(Night) 시간(예컨대, AM 0시 ~ AM 4시)이 해당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센서부(110), 제2센서부(130), 메모리(151), 저장매체(153), 표시부(17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소정의 이미지나 동영상을 표시한다. 전자액자(Digital Frame) 등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해당할 수 있다.
제1센서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부의 상태 변화를 감시하기 위한 센서로서, 조도센서(111) 및 움직임 센서(113)를 포함한다. 제1센서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고, 움직이는 물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여기서, 움직임 센서(113)는 움직이는 사물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부에 움직이는 사물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적외선 센서, 근접 센서 또는 열선 감지기 등이 움직임 센서(113)에 해당한다.
제2센서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제2센서부(130)에 대하여는 출원인의 다른 특허출원 제10-2007-0038605호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도 2를 기초로 간단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제2센서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센서부(130)는 스위칭 부재(201) 및 센서(207)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본체(101)가 형성하는 평면상에 마련된다. 스위칭 부재(201)는 고정부(203) 및 회전부(205)를 포함하고, 센서(207)는 소정의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209)와 수광부(211)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본체(101)에 고정된다.
본체(101)의 회전에 따라 센서(207)가 회전하더라도, 항상 수직을 유지하도록 마련된 회전부(205)는 본체에 고정된 고정부(203)를 축으로 회전하여 센서(207)를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센서(207)는 본체(101)의 회전을 감지하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설명한다.
메모리(151)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관한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며, 기 타 제어부(190)의 동작 중에 임시로 저장할 필요가 있는 정보 등이 저장된다. 저장매체(153)는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등 대용량의 저장매체가 해당할 수 있으며, 표시부(170)를 통해 표시될 이미지, 동영상 및 음성파일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표시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 장착되어 소정의 영상신호를 표시하며,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의 엘시디(LCD), 오엘이디(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피디피(PDP: Plasma Display Panel) 등이 해당할 수 있다. 표시부(170)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70)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능동적으로 화면 표시를 오프하거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70)가 엘시디인 경우, 화면 표시 오프(Off)는 백라이트(Back Light)를 오프(Off) 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밝기(휘도) 조정은 백라이트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의 설명도 표시부(170)가 엘시디 임을 기초로 설명한다.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부의 상태를 판단하여 표시부(170)의 화면 밝기를 능동적으로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90)는 자세판단부(191) 및 화면표시제어부(193)를 포함한다.
자세판단부(191)는 제2센서부(130)의 센싱결과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자세 및 회전여부를 판단한다. 자세판단부(191)는 제2센서부(130)의 감지결과를 읽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자세 또는 회전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화면표시제어부(193)로 전달한다.
화면표시제어부(193)는 표시부(170)에 소정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면서, 제1센서부(110) 및 제2센서부(130)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표시부(170)의 화면 밝기를 제어한다. 화면표시제어부(193)의 화면 밝기 제어는 화면표시 오프 뿐만 아니라, 표시부(170)의 화면의 휘도를 낮게 하는 것도 포함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화면표시 오프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화면표시제어부(193)는 표시부(170)의 백라이트를 이용하여 화면표시를 오프시키는 조건은 다음의 표 1과 같을 수 있다.
현재시간이 제1 소정시간 대인가? 주위가 어두운가? (소정 조도 이하인가?) 제2소정시간 이상 외부에 움직이는 물체가 감지되지 않는가? 표시부의 화면표시 상태
No Don't Care No 화면표시 ON
No Don't Care Yes 화면표시 OFF
Yes No No 화면표시 ON
Yes No Yes 화면표시 OFF
Yes Yes Don't Care 화면표시 OFF
화면표시제어부(193)는 타이머(Timer)를 이용하여 현재시간이 제1소정시간대 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고, 조도센서(111)로부터 수신한 조도가 소정 기준조도 이하인 경우 주위가 어두운 것으로 판단하며, 움직임 센서(113)를 이용하여 주위에 움직이는 물체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나아가, 화면표시제어부(193)는 표시부(170)의 화면 표시를 오프(Off) 한 후라도 움직임이 감지되거나 현재시간이 제1소정 시간대를 벗어나는 등 일정한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다시 화면 표시를 온(On) 시키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면표시제어부의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로서, 표 1을 참조하여 화면표시제어부(193)가 화면 표시를 오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화면표시제어부(193)는 타이머(Timer)를 이용하여 현재시간이 제1소정시간 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1).
현재시간이 제1소정시간 대이면, 화면표시제어부(193)는 조도센서(111)가 감지한 외부 조도가 기준 조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주위가 어두운지 여부를 판단한다(S303). 주위가 어둡다면 화면표시제어부(193)는 표시부(170)의 백라이트가 오프되도록 제어하여 화면표시를 오프한다(S305).
만약, S301 단계의 판단결과 현재시간이 제1소정시간 대가 아닌 경우, 또는 S303 단계의 판단결과 주변이 어둡지 아니한 경우, 화면표시제어부(193)는 움직임 센서(113)의 감지결과를 기초로 소정 시간(이하 '제2 소정시간'이라 함) 이상 외부에 움직이는 물체가 없었는지를 판단하고(S307), 제2소정시간 이상 외부에 움직이는 물체가 감지되지 아니하였다면 화면표시를 오프한다.
S307 단계의 판단결과, 움직임 센서(113)에 의해 외부에서 움직이는 물체가 감지되면, 화면표시제어부(193)는 화면표시를 온 상태로 계속 유지한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 상황에 대응하는 능동적 화면 조정이 이루어진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면표시제어부(193)는 S305 단계에서 화면표시를 오프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휘도 레벨로 어둡게 조절할 수 있다.
표 1 또는 도 3에 따라 화면표시 오프가 된 후, 표 1 중 화면표시 온(On) 조건에 해당하게 되면 화면표시는 다시 온(On) 된다.
예컨대, 현재 시간이 제1 소정시간 대가 아니고, 주위가 어둡지 않은 상태에서 소정시간 외부에 움직이는 물체가 감지되지 않아 화면표시가 오프된 이후에 움직임 센서(113)에 의해 외부에 움직이는 물체가 다시 감지되면, 화면표시제어부(193)는 화면표시를 다시 온 하기 위해, 표시부(170)의 백라이프가 온 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현재 시간이 제1 소정시간 대이고, 주위가 어두운 상태가 되어 화면표시가 오프된 이후에, 화면표시제어부(193)는 조도센서(111)의 감지결과 주위의 조도가 일정 조도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화면표시를 다시 온 하기 위해 표시부(170)의 백라이프가 온 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다른 실시 예로 표 1에 의해 생성되는 조건이 아니더라도, 화면표시제어부(193)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제어명령을 받으면 화면표시를 온 할 수 있다.
예컨대, 화면표시제어부(193)는 자세판단부(191)로부터 본체(101)의 회전 상태를 입력받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소정 버튼의 조작이 있으면, 화면표시를 온 할 수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은 전자액자를 기초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라도 표 1 및 도 3의 조건에 따라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의 백라이트를 오프 시키는 정도가 아니라 주전원이 오프되어 스탠바이(Standby) 전원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제2센서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화면표시제어부의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Claims (12)

  1. 소정의 이미지나 동영상을 소정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및
    타이머에 의해 읽은 현재시간이 제1소정시간대에 해당하고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수신한 조도가 소정 기준조도 이하인 경우, 상기 표시부가 화면표시를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화면표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움직이는 물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움직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면표시제어부는, 타이머에 의해 읽은 현재시간이 상기 제1소정시간대에 해당하고,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수신한 조도가 소정 기준조도를 초과하며, 상기 움직임 센서로부터 움직이는 물체의 감지정보를 제2 소정시간 이상 입력받지 못한 경우, 상기 표시부가 화면표시를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움직이는 물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움직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면표시제어부는, 타이머에 의해 읽은 현재시간이 상기 제1소정시간대가 아니고, 상기 움직임 센서로부터 움직이는 물체의 감지정보를 제2 소정시간 이상 입력받지 못한 경우, 상기 표시부가 화면표시를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표시제어부는 엘시디인 상기 표시부의 백라이트를 오프시킴으로써 상기 화면표시를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표시제어부는, 사용자의 직접 제어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오프된 화면표시를 다시 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본체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면표시제어부는 상기 제2센서부의 감지결과를 기초로 본체의 회전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직접 제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소정의 이미지나 동영상을 소정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표시 조절 방법에 있어서,
    타이머를 이용하여 읽은 현재시간이 제1소정시간 범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현재시간이 상기 제1소정시간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조도센서로부터 수신한 조도가 소정 기준조도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수신한 조도가 상기 기준조도 이하인 경우 상기 표시부가 화면표시를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밝기 조절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움직임 센서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물체가 있는지 여부를 계속 감지하는 단계;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수신한 조도가 소정 기준조도 이하가 아닌 경우, 상기 움직임 센서로부터 제2소정시간 이상 움직이는 물체의 감지정보가 수신되지 않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소정시간 이상 움직이는 물체의 감지가 없는 경우, 상기 표시부가 화면표시를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밝기 조절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움직임 센서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물체가 있는지 여부를 계속 감지하는 단계;
    현재시간이 상기 제1소정시간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움직임 센서로부터 제2소정시간 이상 움직이는 물체의 감지정보가 수신되지 않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소정시간 이상 움직이는 물체의 감지가 없는 경우, 상기 표시부가 화면표시를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밝기 조절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표시를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엘시디인 상기 표시부의 백라이트를 오프시킴으로써 상기 화면표시를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밝기 조절 방법.
  11.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직접 제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표시를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직접 제어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오프된 화면표시를 다시 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밝기 조절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직접 제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본체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밝기 조절 방법.
KR1020080001146A 2008-01-04 2008-01-04 외부의 상황에 따라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조절방법 KR200900753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146A KR20090075326A (ko) 2008-01-04 2008-01-04 외부의 상황에 따라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146A KR20090075326A (ko) 2008-01-04 2008-01-04 외부의 상황에 따라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조절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326A true KR20090075326A (ko) 2009-07-08

Family

ID=41332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146A KR20090075326A (ko) 2008-01-04 2008-01-04 외부의 상황에 따라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조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53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583A1 (en) * 2016-12-20 2018-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perating in plurality of modes
WO2024071488A1 (ko) * 2022-09-30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583A1 (en) * 2016-12-20 2018-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perating in plurality of modes
KR20180071726A (ko) * 2016-12-20 2018-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EP3491831A4 (en) * 2016-12-20 2019-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PERATING IN A PLURALITY OF MODES
US10467979B2 (en) 2016-12-20 2019-1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plurality of modes and display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modes
US10643571B2 (en) 2016-12-20 2020-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in a plurality of modes and display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modes
WO2024071488A1 (ko) * 2022-09-30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43822B (zh) 照明设备
KR101760695B1 (ko)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685608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CN102034456A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以及投影装置及其控制方法
TWI442359B (zh) 顯示裝置及其控制方法以及投影裝置及其控制方法
KR101411324B1 (ko)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장치
TW201324497A (zh) 顯示裝置及其亮度調節方法
JP4819353B2 (ja) 表示装置
JP2008219659A (ja) 携帯型電子機器
US20100013810A1 (en) Intelligent digital photo frame
KR20180052246A (ko) 조도센서 센서값 설정을 통해 화면 밝기를 수동 및 자동으로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6033760A (ja) 自動表示制御端末および自動表示制御方法
KR20090075326A (ko) 외부의 상황에 따라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조절방법
US20130321643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bject detection device
KR102073172B1 (ko)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3205434A (ja) 電子機器
KR10074724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TWI406169B (zh) Electronic device and its automatic control method
JP4771839B2 (ja) 電源制御装置、電源制御方法および映像表示装置
US20100265227A1 (en) Intelligent digital photo frame
US200601324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JP2009217775A (ja) 情報処理装置
KR101467747B1 (ko) 디스플레이 화면 조절장치 및 방법
US11862082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display device
JP2009025437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