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1231A -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1231A
KR20180071231A KR1020180069139A KR20180069139A KR20180071231A KR 20180071231 A KR20180071231 A KR 20180071231A KR 1020180069139 A KR1020180069139 A KR 1020180069139A KR 20180069139 A KR20180069139 A KR 20180069139A KR 20180071231 A KR20180071231 A KR 20180071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
composition
storage
deoxycholic acid
hyaluronid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3902B1 (ko
Inventor
이경락
강시하
Original Assignee
이경락
강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락, 강시하 filed Critical 이경락
Publication of KR20180071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 Y10S514/909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증류수와 염화나트륨으로 구성된 저장성 용액에, 데옥시콜린산, 히알루로니다아제 등이 포함된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데옥시콜린산 단독 사용에 따른 주입 부위 경결(consolidation) 현상 발생을 줄이고, 데옥시콜린산 단독 사용에 비해 지방 세포 외 다른 지방 성분을 함유하는 세포들(예를 들어 신경 세포, 근육 세포, 골 세포 등 포함)에 대한 영향을 줄여 신경마비, 근육위축, 골위축 등의 부작용 발생을 줄이며, 부종(edema, swelling), 홍반(erythema), 통증(pain) 등의 부작용(adverse effect)을 줄이며, 저장성 용액을 바탕으로 히알루로니다아제를 복합 사용함에 따라 지방 세포 파괴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피하 내 투여로써 국소부위 축적된 지방감소용 약제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Composition for hypotonic lipoly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증류수와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으로 구성된 저장성 용액에, 데옥시콜린산(sodium deoxycholate),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 완충제, 첨가제 등이 포함된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을 제조하는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방성형(lipoplasty)을 목적으로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PPC라 함)과 데옥시콜린산(sodium deoxycholate)을 이용한 복합제제 주사제가 국소비만에 많이 이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포스파티딜콜린과 데옥시콜린산을 이용한 복합제제 주사제에 의한 지방괴사 덩어리 발생으로 인해, 포스파티딜콜린을 제외한 데옥시콜린산 단독 제제를 이용한 지방분해 조성물을 개발하고 있으나, 데옥시콜린산 단독 제제를 이용한 지방분해 조성물의 경우 부종, 홍반, 통증, 피부경결 등의 부작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11949호 [명칭: 지방 분해 및 생성 억제 해양성 미네랄 조성물]
본 발명의 목적은 증류수와 염화나트륨으로 구성된 저장성 용액에, 데옥시콜린산, 히알루로니다아제 등이 포함된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을 제조하는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류수와 염화나트륨으로 구성된 저장성 용액에, 데옥시콜린산, 히알루로니다아제, 완충제, 첨가제 등이 포함된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을 제조하는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은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에 있어서, 저장성 용액과, 상기 저장성 용액에 의해 팽창된 지방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여 지방 부피를 감소시키는 데옥시콜린산(sodium deoxycholate)과, 상기 데옥시콜린산이 지방 세포에 전달되도록 첨가되는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데옥시콜린산은,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총중량 대비 0.01 중량% ~ 9.9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저장성 용액은, 증류수 1000ml에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0.1g ~ 8.9g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생리식염수보다 낮은 농도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물리 및 생화학적 지방 분해의 동시 적용을 통해 데옥시콜린산을 10 중량% 미만으로 적용하면서도 데옥시콜린산 단독 적용에 비해 지방 분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증류수에 염화나트륨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저장성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저장성 용액에 상기 저장성 용액에 의해 팽창된 지방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여 지방 부피를 감소시키는 데옥시콜린산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A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A 혼합액에 상기 데옥시콜린산이 지방 세포에 전달되도록 히알루로니다아제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증류수와 염화나트륨으로 구성된 저장성 용액에, 데옥시콜린산, 히알루로니다아제 등이 포함된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데옥시콜린산 단독 사용에 따른 주입 부위 경결(consolidation) 현상 발생을 줄이고, 데옥시콜린산 단독 사용에 비해 지방 세포 외 다른 지방 성분을 함유하는 세포들(예를 들어 신경 세포, 근육 세포, 골 세포 등 포함)에 대한 영향을 줄여 신경마비, 근육위축, 골위축 등의 부작용 발생을 줄이며, 부종(edema, swelling), 홍반(erythema), 통증(pain) 등의 부작용(adverse effect)을 줄이며, 저장성 용액을 바탕으로 히알루로니다아제를 복합 사용함에 따라 지방 세포 파괴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피하 내 투여로써 국소부위 축적된 지방감소용 약제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류수와 염화나트륨으로 구성된 저장성 용액에, 데옥시콜린산, 히알루로니다아제, 완충제, 첨가제 등이 포함된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이 주입된 조직(tissue)에서 데옥시콜린산이 지방 세포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저농도의 데옥시콜린산으로도 효율적인 지방분해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고농도의 데옥시콜린산 주입으로 인한 주입부 부종, 홍반, 통증, 피부경결 등의 현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들 간의 상대 중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증류수에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저장성 용액을 제조(또는 준비)한다.
상기 염화나트륨은 낮은 삼투압 용액(또는 hypotonic solution)(또는 상기 저장성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즉, 상기 염화나트륨은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피하 주입 시, 삼투압 차이에 의한 물리적인 지방 세포 파괴(또는 분해)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증류수는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 99 중량%이고, 상기 염화나트륨은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 0.89 중량%(일반적으로 0.45 중량%)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반 조건 및 시간은 250 rpm ~ 300 rpm 회전 속도를 갖는 교반기(미도시)에서 5분 ~ 20분(일반적으로 10분) 정도 교반하며, 이때의 압력은 대기압이고 온도는 상온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교반 조건 및 시간은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 모든 교반 단계에서 상기 교반 환경(상기 교반 조건 및 시간) 하에서 혼합액이 제조될 수 있다(S110).
이후, 상기 제조된 저장성 용액에 데옥시콜린산(sodium deoxycholate)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A 혼합액을 제조(또는 준비)한다.
상기 데옥시콜린산은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피하 주입 시, 지방 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여, 지방 부피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파괴된 지방 세포는 재차 지방 축적을 할 수 없으며, 영구적인 지방 부피의 감소를 유발한다.
이때, 상기 데옥시콜린산은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 9.9 중량%(일반적으로 0.075 중량%)일 수 있다(S120).
이후, 상기 제조된 A 혼합액에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을 제조(또는 준비/완성)한다.
상기 히알루로니다아제는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을 분해하는 효소(enzyme)들의 거대한 패밀리이다. 상기 히아루론산은 세포의 기질(extracelluar matrix)의 핵심적인 성분이며, 세포간질장벽(interstitial barrier)의 주된 구성원이다. 상기 히알루로니다아제는 상기 히알루로산의 가수 분해를 촉매함으로써, 상기 히알루론산의 점도를 낮추고, 그로 인해 조직 투과성(tissue permeability) 및 확산(diffusion)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상기 히알루로니다아제는 다른 시약들, 약물들, 단백질들 등과 함께 전착제 또는 분산제로 사용되어, 분산성 및 전달성을 증강한다.
즉, 상기 히알루로니다아제는 상기 히아루론산의 가수 분해를 촉진(또는 촉매)함으로써, 피하 결합 조직의 약물 침투력을 증가시켜,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에 포함된 데옥시콜린산이 지방 세포에 효과적으로 확산(dispersion), 전달(delivery), 작용(effect)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히알루로니다아제는 작용기전에 따라 박테리아의 히알루로니다아제(EC 4.2.99.1), 거머리, 기타 기생충 및 갑각류 유래의 히알루로니다아제(EC 3.2.1.36), 포유류-타입 히알루로니다아제(EC 3.2.1.35)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상기 히알루로니다아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비인간 기원의 히알루로니다아제, 인간 기원의 히알루로니다아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쥐과 동물, 개, 고양이, 토끼류, 조류, 소, 양, 돼지, 말, 물고기류, 개구리류, 균류, 거머리류, 기타 기생충류, 갑각류 등의 상기 임의의 비인간 기원의 히알루로니다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인간 기원의 히알루로니다아제는 소, 말벌, 꿀벌, 흰얼굴 호박벌, 장수말벌, 쥐, 돼지, 랫트(백쥐), 토끼, 양, 오랑우탄, 필리핀 원숭이, 기니 피그, 황색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클로스트리디움 페르프린겐스(clostridium perfringens) 유래의 히알루로니다아제를 포함한다.
또한, 인간 기원의 히알루로니다아제는 HYAL1, HYAL2, HYAL3, HYAL4, PH20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히알루로니다아제는 양 및 소의 PH20, 가용성 인간 PH20, 가용성 rHuPH20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온에서 히알루로니다아제의 생물학적 활성이 50 I.U/ml ~ 3,000 I.U/ml(일반적으로 90 I.U/ml)인 상기 히알루로니다아제가 상기 A 혼합액에 투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은 상기 증류수, 상기 염화나트륨, 상기 데옥시콜린산, 상기 히알루로니다아제 등을 교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성 분 조성비(중량%)
증류수 1 ~ 99
염화나트륨 0.01 ~ 0.89
데옥시콜린산 0.01 ~ 9.9
히알루로니다아제 50 ~ 3,000 I.U/ml
또한,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은 상기 [표 1]에서와 같은 조성비(중량%)로 구성할 수 있다.또한,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은 상기 히알루로니다아제를 50 I.U/ml ~ 3,000 I.U/ml 단위로 포함하고,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총중량 대비 상기 데옥시콜린산을 0.01 중량% ~ 9.9 중량% 및 나머지 상기 저장성 용액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성 용액은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피하 주입 시 삼투압 차이에 의한 물리적인 지방 세포 파괴(또는 분해)를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저장성 용액 1000ml를 기준으로 염화나트륨 0.1g ~ 8.9g(일반적으로 4.5g) 및 나머지 증류수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은 용액의 제형이거나 동결건조된 제형으로 관리(또는 구성/제조/준비)한다.
또한,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이 동결건조된 제형인 경우, 희석액에 의해 액체 상태로 준비할 수도 있다(S130).
이후, 상기 제조된(또는 준비된)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은 미리 설정된 용기(미도시)에 용도별(또는 단위별)로 포장된다. 여기서, 상기 포장되는 약제학적 활성화합물을 포함하는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은 멸균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제조된(또는 준비된)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은 앰플(ample), 바이알(vial), 바늘이 있는 주사기 등에 포장된다.
또한, 상기 포장된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은 사용자의 신체 피하 지방층에 직접 주입되어, 지방 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함으로써 지방 부피 감소를 유발하며, 안면 및 체형을 축소 및 교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은 사용자의 이중턱 부위 등의 피하 지방층에 주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을 인체 조직에 주입하게 되면,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이 주입된 조직의 세포들(예를 들어 지방 세포 등 포함)이 삼투압 차이에 의해 부풀어 오르게 되며, 상기 삼투압 차이에 의해 부풀어 오르게 된 세포들로 인해 상기 데옥시콜린산에 의한 지방 세포의 파괴를 더욱 효과적으로 만들어주게 된다.
이와 같이, 운동 신경이 상대적으로 적은 사용자의 이중턱 부위에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을 직접 주입하여, 지방 분해 효과를 극대화하고, 운동 신경의 영구 손상에 따른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피하 지방층에 주입된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작용에 의해 지방 세포막을 파괴하며, 지방질을 수용성으로 변화시킨다. 이후, 상기 수용성으로 변화된 지방질은 소변이나 땀으로 체외로 배출될 수 있다(S14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에 부작용 발생과 관련이 있는 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하지 않았다.
반면에,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은 지방분해의 효과가 입증된 데옥시콜린산을 포함하였다.
또한,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은 저장성 용액을 바탕으로 상기 히알루로니다아제를 포함하여, 상기 데옥시콜린산의 지방분해 효과를 극대화하였으며, 부종, 홍반, 통증, 피부경결 등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증류수에 염화나트륨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저장성 용액을 제조(또는 준비)한다.
상기 염화나트륨은 낮은 삼투압 용액(또는 상기 저장성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즉, 상기 염화나트륨은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피하 주입 시, 삼투압 차이에 의한 물리적인 지방 세포 파괴(또는 분해)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증류수는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 99 중량%이고, 상기 염화나트륨은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 0.89 중량%(일반적으로 0.45 중량%)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반 조건 및 시간은 250 rpm ~ 300 rpm 회전 속도를 갖는 교반기(미도시)에서 5분 ~ 20분(일반적으로 10분) 정도 교반하며, 이때의 압력은 대기압이고 온도는 상온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교반 조건 및 시간은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 모든 교반 단계에서 상기 교반 환경(상기 교반 조건 및 시간) 하에서 혼합액이 제조될 수 있다(S210).
이후, 상기 제조된 저장성 용액에 데옥시콜린산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A 혼합액을 제조(또는 준비)한다.
상기 데옥시콜린산은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피하 주입 시, 지방 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여, 지방 부피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파괴된 지방 세포는 재차 지방 축적을 할 수 없으며, 영구적인 지방 부피의 감소를 유발한다.
이때, 상기 데옥시콜린산은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 9.9 중량%(일반적으로 0.075 중량%)일 수 있다(S220).
이후, 상기 제조된 A 혼합액에 히알루로니다아제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B 혼합액을 제조(또는 준비)한다.
또한, 상온에서 히알루로니다아제의 생물학적 활성이 50 I.U/ml ~ 3,000 I.U/ml(일반적으로 90 I.U/ml)인 상기 히알루로니다아제가 상기 A 혼합액에 투입될 수 있다(S230).
이후, 상기 제조된 B 혼합액에 완충제 및 기타 첨가제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을 제조(또는 준비/완성)한다.
상기 완충제는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산도(pH)를 조절하기 위한 용도이며, 유당 수화물(lactose hydrate), 석시네이트(succinate), 아세테이트(acetate), 포스페이트(phosphate), 시트레이트(citrate), 아코니테이트(aconitate), 말레이트(malate), 카보네이트(carbonat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있는 완충제 이외에도, 수용 가능한 pH 안정성을 제공하거나 지시된(또는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완충 용량(buffer capacity)을 충족하는 다양한 완충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약효 기간을 유지하기 위한 용도이며, 희석제, 아쥬반트(adjuvant), 부형제(excipient), 비히클(vehicle: 매체/매개물) 등의 담체(擔體)를 포함한다.
이때, 약제학적 담체는 멸균 액체, 물 및 석유, 동물, 땅콩 오일, 대두 오일, 미네랄 오일 및 참기름과 같은 식물 또는 합성 기원의 담체를 포함하는 오일일 수 있다.
또한, 식염수 용액, 수성 덱스트로스, 클리세롤 용액 등은 액체 담체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경구용 제제에 사용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에는 수성 비히클, 비수성 비히클, 항미생물제, 등장화제(tonicity agent), 산화방지제, 국소 마취제, 현탁제 및 분산제, 에멀전화제, 금속봉쇄제 또는 킬러레이트화제, 기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물질 등을 포함한다.
상기 수성 비히클은 염화나트륨 주사제, 링거 주사제, 등장성 덱스트로스 주사제, 멸균수 주사제, 덱스트로스 및 락테이트화 링거 주사제 등을 포함한다.
상기 비수성 비히클(또는 비수성 비경구 비히클)은 식물 기원의 고정된 오일, 면실유, 옥수수유, 참기름, 땅콩 오일 등을 포함한다.
정균 또는 정진균 농축물 중의 상기 항미생물제는 페놀(phenol) 또는 크레졸(cresol), 벤질 알코올(benzyl alcohol), 클로로부탄올(chlorobutanol), 메틸 및 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산 에스테르(methyl and propyl p-Hydroxybenzoic esters), 티메로살(thimerosal),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benzalkonium chloride), 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benzethonium chloride) 등을 포함한다.
상기 등장화제는 염화나트륨, 덱스트로스(Dextrose) 등을 포함한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나트륨 비설페이트(sodium bisulfate) 등을 포함한다.
상기 국소 마취제는 리도케인 히드로클로라이드(lidocaine hydrochloride), 프로케인 히드로클로라이드(procaine hydrochloride) 등을 포함한다.
상기 현탁제 및 분산제는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ydroxypropylmethylcellulos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ollidon) 등을 포함한다.
상기 에멀전화제는 폴리소르베이트 80(TWEENs 80) 등을 포함한다.
상기 금속 이온의 금속봉쇄제 또는 킬러레이트화제는 EDTA(ethylenediaminetertraacetic acid) 등을 포함한다.
상기 약제학적 담체는 수혼화성 비히클용의 에틸 알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pH 조정용의 수산화나트륨, 염산, 시트르산, 락트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희석제(예를 들어 락토오스(lactose), 수크로스(sucrose), 디칼슘 포스페이트(dicalcium phosphat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cellulose) 등 포함), 윤활제(예를 들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칼슘 스테아레이트(calcium stearate), 탈크(talc) 등 포함), 결합제(예를 들어 전분, 천연 검 등 포함)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미량의 습윤제 또는 에멀전화제, pH 완충제(예를 들어 아세테이트, 나트륨 시트레이트,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cyclodextrin derivative),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SorbitanMonooleate), 트리에탄올아민 나트륨 아세테이트(triethanolamine acetate), 트리에탄올아미노 올레에이트(triethanolaminolate) 등 포함)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완충제는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 50 중량%, 상기 첨가제(또는 기타 첨가제)는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 50 중량%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은 상기 증류수, 상기 염화나트륨, 상기 데옥시콜린산, 상기 히알루로니다아제, 상기 완충제, 상기 첨가제 등을 교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성 분 조성비(중량%)
증류수 1 ~ 99
염화나트륨 0.01 ~ 0.89
데옥시콜린산 0.01 ~ 9.9
히알루로니다아제 50 ~ 3,000 I.U/ml
완충제 0.01 ~ 50
첨가제 0.01 ~ 50
또한,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은 상기 [표 2]에서와 같은 조성비(중량%)로 구성할 수 있다.또한,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은 상기 히알루로니다아제를 50 I.U/ml ~ 3,000 I.U/ml 단위로 포함하고,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총중량 대비 상기 데옥시콜린산을 0.01 중량% ~ 9.9 중량%,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산도를 조절하기 위한 완충제 0.01 중량% ~ 50 중량%,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약효 기간을 유지하기 위한 첨가제 0.01 중량% ~ 50 중량% 및 나머지 상기 저장성 용액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성 용액은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피하 주입 시 삼투압 차이에 의한 물리적인 지방 세포 파괴(또는 분해)를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저장성 용액 1000ml를 기준으로 염화나트륨 0.1g ~ 8.9g(일반적으로 4.5g) 및 나머지 증류수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은 용액의 제형이거나 동결건조된 제형으로 관리(또는 구성/제조/준비)한다.
또한,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이 동결건조된 제형인 경우, 희석액에 의해 액체 상태로 준비할 수도 있다(S240).
이후, 상기 제조된(또는 준비된)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은 미리 설정된 용기(미도시)에 용도별(또는 단위별)로 포장된다. 여기서, 상기 포장되는 약제학적 활성화합물을 포함하는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은 멸균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제조된(또는 준비된)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은 앰플, 바이알, 바늘이 있는 주사기 등에 포장된다.
또한, 상기 포장된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은 사용자의 신체 피하 지방층에 직접 주입되어, 지방 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함으로써 지방 부피 감소를 유발하며, 안면 및 체형을 축소 및 교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은 사용자의 이중턱 부위 등의 피하 지방층에 주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을 인체 조직에 주입하게 되면,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이 주입된 조직의 세포들(예를 들어 지방 세포 등 포함)이 삼투압 차이에 의해 부풀어 오르게 되며, 상기 삼투압 차이에 의해 부풀어 오르게 된 세포들로 인해 상기 데옥시콜린산에 의한 지방 세포의 파괴를 더욱 효과적으로 만들어주게 된다.
이와 같이, 운동 신경이 상대적으로 적은 사용자의 이중턱 부위에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을 직접 주입하여, 지방 분해 효과를 극대화하고, 운동 신경의 영구 손상에 따른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피하 지방층에 주입된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작용에 의해 지방 세포막을 파괴하며, 지방질을 수용성으로 변화시킨다. 이후, 상기 수용성으로 변화된 지방질은 소변이나 땀으로 체외로 배출될 수 있다(S250).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또는 주사제 조성물)은 총액 100ml를 기준으로 히알루로니다아제 9000I.U, 데옥시콜린산 75mg, 염화나트륨 450mg 및 나머지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생리식염수를 단독으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생리식염수에 고용량의 데옥시콜린산 1000mg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3>
생리식염수에 데옥시콜린산 75mg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4>
생리식염수에 히알루로니다아제 9000I.U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5>
저장성 용액을 단독으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6>
생리식염수에 히알루로니다아제 9000I.U, 데옥시콜린산 75mg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제 조성물과 상기 비교예 1 내지 상기 비교예 6에 따른 주사제 조성물의 구성은 다음의 [표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성분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히알루로니다아제 9000I.U - - - 9000I.U - 9000I.U
데옥시콜린산 75mg
(0.075%)
- 1000mg
(1%)
75mg
(0.075%)
- - 75mg
(0.075%)
염화나트륨 450mg
(0.45%)
900mg
(0.9%)
900mg
(0.9%)
900mg
(0.9%)
900mg
(0.9%)
450mg
(0.45%)
900mg
(0.9%)
증류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총액 100ml 100ml 100ml 100ml 100ml 100ml 100ml
여기서, 모든 주사제 조성물은 100ml로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히알루로니다아제는 우리들제약(주)의 히알라프주(1 바이알 1500I.U)를 사용하였다. 상기 주사제 조성물의 조성은 데옥시콜린산(제조원: 시그마-알드리치)을 해당하는 함량에 맞게 미세저울로 측정한 후 생리식염수(제조원: 대한약품공업) 또는, 생리식염수와 증류수(제조원: 대한약품공업)를 혼합한 저장성 용액에 용해하여 상기 해당하는 각 함량으로 조제하였다.또한, 상기 실시예, 상기 비교예 4 및 상기 비교예 6에서처럼 히알루로니다아제를 포함하는 주사제 조성물의 경우, 각각 조제된 용액을 히알라프주 바이알에 넣어 동결 건조된 히알루로니다아제를 녹인 후, 다시 회수하는 방법으로 주사제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시험예>
본 시험에서 사용된 실험동물인 수컷 5주령 Sprague Dawley rat는 (주)오리엔트바이오에서 구입하였다. 또한, Rat의 사육 환경 조건은 22℃ ~ 24℃, 상대습도 30% ~ 50%로 설정하였고, 사육 상자당 2마리씩 사육하였다. 오전 7시 ~ 오후 7시까지 150룩스(Lux) ~ 300룩스의 조명을 주었고, 하루에 12시간 점등, 12시간 소등하였다. 사료는 고지방 식이(45% 지방함유, 2018, Research Diet Inc, USA 제조)를 사용하여 자유 섭취시켰다. 또한, 고지방 식이로 8주간 비만을 유발시킨 동물들을 체중을 기준으로 군 분리를 하였고, 군 분리 후 동물의 우측 피하 서혜부 지방에 본 발명(또는 실시예)의 주사제와 비교예 1 ~ 비교예 6의 주사제를 4주간 주 1회 피하 주사하였다.
주사제 조성 그룹 사료 투여량(ml) 개체수
비교예1 정상 대조군 일반사료 500 8
비교예1 비만유발 대조군 고지방사료 500 8
비교예2 실험군 1 고지방사료 500 8
비교예3 실험군 2 고지방사료 500 8
비교예4 실험군 3 고지방사료 500 8
비교예5 실험군 4 고지방사료 500 8
비교예6 실험군 5 고지방사료 500 8
실시예 실험군 6 고지방사료 500 8
4주간 주 1회 주사제를 투여한 후, 최종 주사제 투여 후 2주 후 동물을 이소푸루란(isoflurane)으로 흡입 마취하여 희생한 후, 좌우측 서혜부 지방을 모두 적출하여 미세저울로 적출한 지방의 무게를 측정하고, 그 지방 무게를 해당 동물의 체중으로 나누어 지방 조직의 상대 중량을 산출하였다.시험에서 얻어진 모든 시험 결과는 평균치 ± 표준오차로 표시하고, SPSS(version 20, IBM SPSS Statistics, USA)를 사용하여 검정하였다. 또한, 모든 자료들에 대해 분산의 동질성을 비교하기 위한 Levene's Test를 실시하였으며, 분산이 동질성을 갖는 경우 일원 분류 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실시하여 유의성이 관찰되면, 대조군과의 유의차가 있는 시험군을 알아내기 위하여 Dunnett'sT-test를 실시하였다. 각 그룹별 개체수는 8 수였고, 통계학적 유의성 판정을 하여 별표(* 또는 **)로 표기하였다. (유의수준 *: 양측 5%, **: 1%)
적출한 서혜부 지방을 측정한 결과, 비만 유발 대조군(또는 비만 대조군)의 서혜부 지방 상대 중량은 정상 대조군과 비교 시, 유의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나 비만 유발에 의한 서혜부 지방이 크게 형성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만 동물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제와 비교예 1 ~ 비교예 6의 주사제를 4주간 주 1회 피하 주사한 결과,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6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제는 좌측 서혜부 지방과 현저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2, 비교예 6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제는 비만 유발 대조군의 우측 서혜부 지방 상대중량과의 대비에서도 유의하게 낮은 상대 중량이 나타났다.
특히, 다음의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제를 투여한 그룹의 우측 서혜부 지방의 상대 중량은 0.0120 ± 0.0019로 비만 유발 대조군의 우측 서혜부 지방 상대 중량 0.0167 ± 0.0026에 비해 약 28.1% 감소하여 가장 낮은 상대 중량을 보였다.
주사제
조성
그룹 좌측 서혜부 지방 상대중량
(좌측 서혜부 지방무게/체중)
우측 서혜부 지방 상대중량
(우측 서혜부 지방무게/체중)
비만유발대조군
대비 지방 감소율
비교예1 정상 대조군 0.0057 ± 0.0008 0.0055 ± 0.0010** -
비교예1 비만유발 대조군 0.0169 ± 0.0030 0.0167 ± 0.0026 -
비교예2 실험군 1 0.0168 ± 0.0031 0.0128 ± 0.0020 23.3%
비교예3 실험군 2 0.0170 ± 0.0026 0.0139 ± 0.0028 16.7%
비교예4 실험군 3 0.0167 ± 0.0044 0.0157 ± 0.0035 5.9%
비교예5 실험군 4 0.0165 ± 0.0025 0.0162 ± 0.0025 2.9%
비교예6 실험군 5 0.0168 ± 0.0038 0.0130 ± 0.0038* 22.1%
실시예 실험군 6 0.0172 ± 0.0023 0.0120 ± 0.0019** 28.1%
이와 같이, 생리식염수에 고용량의 데옥시콜린산 또는 히알루로니다아제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생리식염수에 데옥시콜린산과 히알루로니다아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성 용액에 데옥시콜린산과 히알루로니다아제를 사용하는 경우, 국부 지방 분해 효과가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지방 분해 효과를 극대화하고, 운동 신경의 영구 손상에 따른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 사용자의 이중턱 부위에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을 직접 주입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면부(예를 들어 광대, 볼, 안와지방 등 포함), 신체부(예를 들어 복부, 등, 옆구리, 상완, 허벅지, 종아리 등 포함) 등에 대해서도,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에 포함되는 데옥시콜린산과 히알루로니다아제의 조성비에 따른 안정성 시험 등을 통해, 상기 안면부, 신체부 등에도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을 주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증류수와 염화나트륨으로 구성된 저장성 용액에, 데옥시콜린산, 히알루로니다아제 등이 포함된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을 제조하여, 고농도(예를 들어 조성물 총 중량의 10 중량% ~ 95 중량%)의 데옥시콜린산 단독 사용에 따른 주입 부위 경결(consolidation) 현상 발생을 줄이고, 데옥시콜린산 단독 사용에 비해 지방 세포 외 다른 지방 성분을 함유하는 세포들(예를 들어 신경 세포, 근육 세포, 골 세포 등 포함)에 대한 영향을 줄여 신경마비, 근육위축, 골위축 등의 부작용 발생을 줄이며, 부종(edema, swelling), 홍반(erythema), 통증(pain) 등의 부작용(adverse effect)을 줄이며, 저장성 용액을 바탕으로 히알루로니다아제를 복합 사용함에 따라 지방 세포 파괴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피하 내 투여로써 국소부위 축적된 지방감소용 약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증류수와 염화나트륨으로 구성된 저장성 용액에, 데옥시콜린산, 히알루로니다아제, 완충제, 첨가제 등이 포함된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을 제조하여,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이 주입된 조직(tissue)에서 데옥시콜린산이 지방 세포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저농도(예를 들어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총 중량의 0.01 중량% ~ 9.9 중량%)의 데옥시콜린산으로도 효율적인 지방분해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고농도의 데옥시콜린산 주입으로 인한 주입부 부종, 홍반, 통증, 피부경결 등의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증류수와 염화나트륨으로 구성된 저장성 용액에, 데옥시콜린산, 히알루로니다아제 등이 포함된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데옥시콜린산 단독 사용에 따른 주입 부위 경결(consolidation) 현상 발생을 줄이고, 데옥시콜린산 단독 사용에 비해 지방 세포 외 다른 지방 성분을 함유하는 세포들(예를 들어 신경 세포, 근육 세포, 골 세포 등 포함)에 대한 영향을 줄여 신경마비, 근육위축, 골위축 등의 부작용 발생을 줄이며, 부종(edema, swelling), 홍반(erythema), 통증(pain) 등의 부작용(adverse effect)을 줄이며, 저장성 용액을 바탕으로 히알루로니다아제를 복합 사용함에 따라 지방 세포 파괴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피하 내 투여로써 국소부위 축적된 지방감소용 약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피부 미용 분야, 의료 산업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4)

  1.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에 있어서,
    저장성 용액과,
    상기 저장성 용액에 의해 팽창된 지방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여 지방 부피를 감소시키는 데옥시콜린산(sodium deoxycholate)과,
    상기 데옥시콜린산이 지방 세포에 전달되도록 첨가되는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를 포함하는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옥시콜린산은,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총중량 대비 0.01 중량% ~ 9.9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성 용액은,
    증류수 1000ml에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0.1g ~ 8.9g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생리식염수보다 낮은 농도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물리 및 생화학적 지방 분해의 동시 적용을 통해 데옥시콜린산을 10 중량% 미만으로 적용하면서도 데옥시콜린산 단독 적용에 비해 지방 분해 효과를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4.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증류수에 염화나트륨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저장성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저장성 용액에 상기 저장성 용액에 의해 팽창된 지방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여 지방 부피를 감소시키는 데옥시콜린산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A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A 혼합액에 상기 데옥시콜린산이 지방 세포에 전달되도록 히알루로니다아제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상기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80069139A 2016-09-22 2018-06-15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8839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404 2016-09-22
KR20160121404 2016-09-2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438A Division KR101873539B1 (ko) 2016-09-22 2018-03-08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231A true KR20180071231A (ko) 2018-06-27
KR101883902B1 KR101883902B1 (ko) 2018-08-01

Family

ID=61900035

Famil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435A KR101841193B1 (ko) 2016-09-22 2017-04-12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80027438A KR101873539B1 (ko) 2016-09-22 2018-03-08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80069148A KR101883918B1 (ko) 2016-09-22 2018-06-15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80069141A KR101883903B1 (ko) 2016-09-22 2018-06-15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80069144A KR101883905B1 (ko) 2016-09-22 2018-06-15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80069152A KR101883923B1 (ko) 2016-09-22 2018-06-15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80069150A KR101883921B1 (ko) 2016-09-22 2018-06-15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80069139A KR101883902B1 (ko) 2016-09-22 2018-06-15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80070495A KR20180072638A (ko) 2016-09-22 2018-06-19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80070493A KR20180072636A (ko) 2016-09-22 2018-06-19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80070500A KR20180072639A (ko) 2016-09-22 2018-06-19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80070494A KR20180072637A (ko) 2016-09-22 2018-06-19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435A KR101841193B1 (ko) 2016-09-22 2017-04-12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80027438A KR101873539B1 (ko) 2016-09-22 2018-03-08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80069148A KR101883918B1 (ko) 2016-09-22 2018-06-15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80069141A KR101883903B1 (ko) 2016-09-22 2018-06-15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80069144A KR101883905B1 (ko) 2016-09-22 2018-06-15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80069152A KR101883923B1 (ko) 2016-09-22 2018-06-15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80069150A KR101883921B1 (ko) 2016-09-22 2018-06-15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495A KR20180072638A (ko) 2016-09-22 2018-06-19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80070493A KR20180072636A (ko) 2016-09-22 2018-06-19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80070500A KR20180072639A (ko) 2016-09-22 2018-06-19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80070494A KR20180072637A (ko) 2016-09-22 2018-06-19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2) KR101841193B1 (ko)
WO (1) WO20181905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346B1 (ko) * 2019-08-20 2020-05-22 아영창 침전으로부터 안정한 소듐디옥시콜레이트를 포함하는 수용액상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4527A (ko) * 2004-05-19 2007-03-02 로스 엔젤레스 바이오메디칼 리서치 인스티튜트 엣 하버-유씨엘에이 메디칼 센터 지방의 감소를 위한 방법 및 관련 조성물
KR20070110351A (ko) * 2005-02-08 2007-11-16 로스 엔젤레스 바이오메디칼 리서치 인스티튜트 엣 하버-유씨엘에이 메디칼 센터 지방 감소 및 탱탱한 피부를 위한 방법 및 그 조성물
KR100911949B1 (ko) 2007-08-02 2009-08-13 주식회사 워터비스 지방 분해 및 생성 억제 해양성 미네랄 조성물
KR20150000448A (ko) * 2011-08-23 2015-01-02 키쎄라 바이오파마슈티컬즈 인코포레이티드 데옥시콜린산 및 그의 염들의 제형물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1916A (ko) * 2008-04-23 2009-10-28 정규철 국소 지방 제거용 약학 제제
KR101706549B1 (ko) * 2016-09-09 2017-02-14 손유나 히알루로니다제를 포함하는 국소지방 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4527A (ko) * 2004-05-19 2007-03-02 로스 엔젤레스 바이오메디칼 리서치 인스티튜트 엣 하버-유씨엘에이 메디칼 센터 지방의 감소를 위한 방법 및 관련 조성물
KR20070110351A (ko) * 2005-02-08 2007-11-16 로스 엔젤레스 바이오메디칼 리서치 인스티튜트 엣 하버-유씨엘에이 메디칼 센터 지방 감소 및 탱탱한 피부를 위한 방법 및 그 조성물
KR100911949B1 (ko) 2007-08-02 2009-08-13 주식회사 워터비스 지방 분해 및 생성 억제 해양성 미네랄 조성물
KR20150000448A (ko) * 2011-08-23 2015-01-02 키쎄라 바이오파마슈티컬즈 인코포레이티드 데옥시콜린산 및 그의 염들의 제형물들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esthet Surg J., 2002.11., Vol.22, No.6., pp 573-576 *
European Review for Medical Pharmacological Sciences., 2012., Vol.16., pp 393-406 *
European Review for Medical Pharmacological Sciences., 2012., Vol.16., pp 393-40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538A (ko) 2018-03-30
KR101883921B1 (ko) 2018-08-01
KR20180072636A (ko) 2018-06-29
KR20180072639A (ko) 2018-06-29
KR101841193B1 (ko) 2018-03-22
KR101883903B1 (ko) 2018-08-01
KR20180071232A (ko) 2018-06-27
KR20180071235A (ko) 2018-06-27
KR101883902B1 (ko) 2018-08-01
KR101883918B1 (ko) 2018-08-01
KR101873539B1 (ko) 2018-07-02
KR20180072638A (ko) 2018-06-29
KR101883923B1 (ko) 2018-08-01
KR20180071234A (ko) 2018-06-27
KR20180071233A (ko) 2018-06-27
KR101883905B1 (ko) 2018-08-01
KR20180071236A (ko) 2018-06-27
KR20180072637A (ko) 2018-06-29
WO2018190542A1 (ko)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3872B1 (ko) 지방제거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00108127A1 (en) Hypotonic composition for fat de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CN101951957A (zh) 胰岛素释放作为组织的葡萄糖水平的函数的胰岛素制剂
RU2761342C2 (ru) Доставка терапевтических агентов в цнс
EP3581199A1 (en) Method of treating or reducing efp
KR102116238B1 (ko)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883902B1 (ko)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20076382A (ko) 지방분해용 주사제 조성물
CN101426490B (zh) 包含α-酮戊二酸/盐的组合物及其用于调节肌肉性能的用途
WO2015024420A1 (zh) 局麻药止痛延时剂
KR20180071977A (ko)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80071978A (ko)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EP2611445B1 (en) High dose buprenorphine compositions and use as analgesic
AU666517B2 (en) Enzyme castration of animals and tumor treatment
WO2022213765A1 (zh) 一种罗哌卡因混悬注射液及其制备方法
Foskolos et al. Insensitivity of well-conditioned mature sheep to central administration of a leptin receptor antagonist
KR20200084814A (ko) 지방 분해 및 셀룰라이트 개선용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키트
CN109289041B (zh) 一种维生素d-胰岛素纳米缓释经皮制剂及其制备方法
CN117750960A (zh) 用于减脂的包含溶解细胞化合物的凝胶、形成凝胶的溶液或悬浮液的可注射组合物
WO2023278108A1 (en) 18-mc for treating obesity
CN117462527A (zh) 甲磺酸加贝酯在制备治疗宠物胰腺炎的药物中的应用
NZ769098B2 (en) Method of treating or reducing ef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