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1074A - 압력용기를 이용한 라면 자동판매장치 - Google Patents

압력용기를 이용한 라면 자동판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1074A
KR20180071074A KR1020160173850A KR20160173850A KR20180071074A KR 20180071074 A KR20180071074 A KR 20180071074A KR 1020160173850 A KR1020160173850 A KR 1020160173850A KR 20160173850 A KR20160173850 A KR 20160173850A KR 20180071074 A KR20180071074 A KR 20180071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en
hot water
ramp
pressure vesse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5049B1 (ko
Inventor
최재빈
Original Assignee
최재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빈 filed Critical 최재빈
Priority to KR1020160173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049B1/ko
Publication of KR20180071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6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ocessing of food articles
    • G07F17/0078Food articles which need to be processed for dispensing in a hot or cooked condition, e.g. popcorn, nu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6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ectilinearly movab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용기를 이용한 라면 자동판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가 적층된 라면을 상승시키는 라면공급부; 상기 라면공급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적층된 라면 중 최상층 라면을 일측으로 밀어 라면조리부로 이송하는 라면이송부; 상기 라면공급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스프가 배합된 온수를 저장하고 정량의 온수를 라면조리부로 공급하는 온수공급부; 상기 라면공급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압력용기와 상기 압력용기를 밀폐하는 압력커버로 구성되어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서 라면을 익히는 라면조리부; 상기 라면조리부의 후방에 복수개가 적층된 라면용기 중 최하층 라면용기를 낙하시켜 컨베이어로 공급하는 라면용기공급부; 상기 압력용기를 회전시켜 조리된 라면을 컨베이어에 공급된 라면용기에 배급하는 라면배급부; 및 상기 라면배급부에서 배급된 라면이 담긴 라면용기를 주문자에게 전달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력용기를 이용한 라면 자동판매장치{Automatic ramen vending machine using pressure vessel}
본 발명은 라면 자동판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라면을 주문하면 압력용기로 빠른 시간 내에 조리하여 주문자에 제공하는 압력용기를 이용한 라면 자동판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면은 이미 조리된 라면에 온수를 부어 조리하도록 된 컵라면과, 라면을 끓는 물에 넣고 스프를 투입하고, 취향에 따라 각종 양념을 추가하여 조리하도록 된 봉지 라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라면 중에서 컵라면은 온수만 준비된다면 야외에서도 짧은 시간에 간편하게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컵라면을 자동으로 판매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는 이미 개발될 수 있었다. 즉, 컵라면의 경우 가공과정에서 미리 끓는 물만 넣으면 먹을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뜨거운 물을 부어 2~4분 만에 먹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장소의 제약이 적다는 장점 때문에 소비자의 선호도가 있어, 자동판매기로 쉽게 개발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컵라면 자동판매기는 용기에 온수를 주입하는 과정을 사용자가 직접 해야 하는 반자동식으로 사용에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수반되고, 맛이나 식감에 있어서 온수를 붓고 일정 시간 기다려서 먹는 것이므로, 직접 끓여 먹는 봉지 라면에 한참 못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컵라면의 조리 방식은 그 방식이 집에서 끓여 먹는 봉지 라면과는 달리 뜨거운 물에 불려 먹는 방식으로 그 맛이나 식감이 끓여 먹는 라면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즉석에서 자동으로 조리하여 끓여 먹는 라면과 마찬가지의 식감을 제공할 수 있는 라면 자동판매기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25752호의 경우 "외부케이스에 설치된 개폐밸브를 통해 유입관를 거쳐 온수탱크로 직수가 공급됨과 더불어, 이 온수탱크의 물이 온수공급관을 통해 온수공급박스이 놓여진 라면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된 라면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가 상기 온수탱크의 상부와 하부측면에 추가로 설치된 상하한감지스위치의 신호를 받아 개폐되는 AC릴레이밸브로 대체됨과 더불어 상기 외부케이스의 측면에 보조급수장치가 설치된 구조"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상기 AC릴레이밸브의 작동에 의해 수도관이 없는 곳에서도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것은 컵라면에 온수를 공급하는 장치에 불과하여 실제 봉지 라면을 조리하여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87332호의 경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직봉에 의해 라면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방사형으로 각각 형성된 수납부; 제1구동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수납부를 일정한 각도만큼씩 회전시키도록 된 구동부; 상기 수납부의 위치를 감지하고, 수납공간에 라면이 있는지를 감지하도록 된 감지부; 및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라면을 라면 투출공으로 배출시키도록 된 라면 공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라면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다수개의 수직봉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라면의 보관상태나 수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수납공간 자체가 회전됨으로써 라면이 손상되거나 금속판과의 마찰로 인한 이물질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다량의 라면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부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그런데 이 장치는 공급을 위해 적층된 라면 중 맨 하단에 있는 라면부터 공급되기 때문에 이미 적층된 라면의 무게로 인해 맨 하단의 라면을 투출시키는데 많은 구동력이 소모되고 라면간 마찰로 인해 라면의 표면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7102호는 "이송용 모우터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체인으로 지지대에 의해 결합된 바스켓이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용기 투출장치로부터 투출되는 용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뒤 용기의 내부로는 라면 투출장치로부터 투출되는 라면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라면이 담겨진 용기에는 승강용 모우터와 연결된 피니언의 회전에 의해 이에 맞물려진 래크가 직선운동을 하면서 뚜껑체를 하강시켜 용기의 상측부를 폐쇄하도록 한 뒤 뚜껑체에 결합된 물공급관과 스프공급관으로 설정된 양만큼의 물과 스프를 용기의 내부로 공급하게 하고 뚜껑체에 결합된 히터에는 전원이 공급되면서 발열하여 용기 내부의 라면, 스프, 물들을 설정된 시간동안 가열하여 끓인 다음에는 승강용모우터의 작동에 의해 뚜껑체를 상승시켜 용기의 상측부를 개방하게 하고 곧이어 이송용 모우터를 다시 가동시켜 라면이 담긴 용기 및 바스켓을 기체의 인출구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자동으로 끓여진 라면을 인출하여 먹을 수 있도록 된 라면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해 공개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라면용기를 덮는 뚜껑에 히터가 부착되어 물을 빨리 끓일 수 있기는 하지만 대기압 하에서 라면이 완전히 익는데 걸리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26515호에 따르면, "라면이 수용된 용기가 아래에서 위로 적재되어 있는 라면적재유닛; 상기 라면적재유닛에 적재된 라면이 수용된 용기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취출하는 라면취출유닛; 상기 라면취출유닛에서 취출된 라면이 수용된 용기를 조리위치로 운반하는 라면반송유닛; 상기 조리위치에 라면이 수용된 용기가 정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내로 스프를 공급하기 위한 스프공급유닛; 라면 조리에 알맞은 적정량의 물을 상기 라면이 수용된 용기로 공급하는 급수유닛; 상기 물과 스프가 투입된 라면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기를 포함하는 조리유닛; 조리된 라면의 사용자 반출을 위한 반출유닛; 사용자의 라면 제품 선택을 위한 입력유닛; 라면 자동판매기의 기기상태 및 상기 입력유닛에 의한 사용자 선택 내용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유닛; 그리고 상기 라면적재유닛을 포함한 모든 유닛의 동작 또는 상태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라면 자동판매기를 제공한다."고 공개된 바 있다. 이것은 컵라면이 아니라 직접 끓인 라면을 자동으로 제공하고 주문자가 레시피를 선택하는 장점이 있으나 여전히 조리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 자동판매기에서 요구되는 주문 후 빠른 시간 내에 제공되어야 하는 문제는 해결하지 못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99-025752(1999.4.6)"라면자동판매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87332(2000.4.17)"라면자판기용 라면공급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07102(2003.2.28)"라면자동판매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126515(2014.10.31)"라면 자동판매기 및 그의 제어방법"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용기를 사용하여 급속 조리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주문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압력용기를 이용한 라면 자동판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용기를 이용한 라면 자동판매장치는, 복수개가 적층된 라면을 상승시키는 라면공급부; 상기 라면공급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적층된 라면 중 최상층 라면을 일측으로 밀어 라면조리부로 이송하는 라면이송부; 상기 라면공급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스프가 배합된 온수를 저장하고 정량의 온수를 라면조리부로 공급하는 온수공급부; 상기 라면공급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압력용기와 상기 압력용기를 밀폐하는 압력커버로 구성되어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서 라면을 익히는 라면조리부; 상기 라면조리부의 후방에 복수개가 적층된 라면용기 중 최하층 라면용기를 낙하시켜 컨베이어로 공급하는 라면용기공급부; 상기 압력용기를 회전시켜 조리된 라면을 컨베이어에 공급된 라면용기에 배급하는 라면배급부; 및 상기 라면배급부에서 배급된 라면이 담긴 라면용기를 주문자에게 전달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라면공급부는, 회전 가능한 중공 원형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에 한 쌍의 절개공으로 이루어진 승강바로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회전판과, 복수개의 라면이 적층, 수납될 수 있도록 채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각 승강판로 상에 입설되는 수납타워와, 상기 수납타워 중 어느 하나 일측에 입설되는 한 쌍의 승강스크류와, 상기 승강스크류와 연동되어 승강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바로를 통과하면서 적층된 라면을 상승시키는 한 쌍의 승강바와, 상기 승강스크류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승되는 라면이 접촉되면 상기 승강스크류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면이송부는, 상기 라면공급부 상측에 설치되는 수평 로드리스실린더와, 상기 수평 로드리스실린더에 결합되어 수평 이동하면서 적층된 최상층의 라면을 일측으로 이송하는 푸싱부재와, 상기 푸싱부재에 의해 이송된 라면을 상기 라면조리부로 전달하는 경사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온수공급부는, 상기 라면공급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스프가 배합된 온수를 저장하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온수를 일정온도 이상으로 유지하는 히터와, 상기 온수탱크 내부를 믹싱하는 믹싱기와, 상기 온수탱크의 일측에 결합되어 정량의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정량공급수단과, 일단은 상기 온수정량공급수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라면조리부로 연결되는 온수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면조리부는, 상기 라면공급부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히터가 매립된 압력용기와, 상기 압력용기의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온수공급부로부터 온수가 유입되도록 체크밸브가 구비된 공급홀이 형성되어 상기 압력용기를 개폐하는 압력커버와, 상기 압력커버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라면용기공급부는, 포개어져 적층된 라면용기 중 최하층의 라면용기 양측면부에 걸리는 하부걸림판 및 상기 각 하부걸림판을 전후진 시키는 하부실린더와, 최하층 라면용기 위에 포개어진 라면용기 양측면부에 걸리는 상부걸림판 및 상기 각 상부걸림판을 전후진 시키는 상부실린더와, 상기 상부걸림판과 하부걸림판 사이에 구비되는 간격유지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걸림판이 라면용기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걸림판이 후진함으로써 최하층 라면용기가 상기 라면배출부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면배급부는, 상기 압력용기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압력용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각 회전축의 외측에 결합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연동되도록 설치되는 랙과, 상기 랙을 전후진 시키는 용기회전실린더 및 상기 압력용기의 하측에 구비되는 호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랙의 전후진에 의해 압력용기를 회전시켜 조리된 라면을 호퍼로 낙하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용기와 압력커버를 이용하여 고압에서 빠른 시간 내 라면을 조리하므로 주문자가 주문 후 1분 이내에 라면을 제공 받을 수 있어 자동판매기로서의 효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압에서 단시간 내에 조리하므로 면발이 살아있어 식감이 매우 뛰어난 라면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압력용기를 이용한 압력용기를 이용한 라면 자동판매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회전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온수정량공급수단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라면용기공급부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라면배급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압력용기를 이용한 압력용기를 이용한 라면 자동판매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은 크게 복수개의 라면을 적층한 상태로 상승시켜 최상층에 있는 라면부터 공급되게 하는 라면공급부(100), 상기 라면공급부에 적층된 라면 중 최상층에 라면을 일측으로 밀어 라면조리부로 이송하는 라면이송부(200), 라면조리부와 연결되어 스프가 배합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부(300), 상기 라면이송부에서 공급된 라면과 상기 온수공급부에 공급된 온수로 고압에서 라면을 빠른 시간 내에 조리하는 라면조리부(400), 복수개의 라면용기를 적층한 상태로 최하층에 있는 라면용기부터 컨베이어로 공급되게 하는 라면용기공급부(500), 상기 라면조리부에서 조리된 라면을 컨베이어에 있는 라면용기에 담는 라면배급부(600), 조리된 라면이 담긴 라면용기를 주문자에게 이송하는 컨베이어(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 라면공급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회전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 라면공급부(100)는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회전판(110)과, 상기 회전판 위에 입설되는 수납타워(120)와, 상기 수납타워 일측에 입설되는 승강스크류(130)와, 상기 승강스크류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바(140) 및 상기 승강스크류 상단에 구비되는 리미트스위치(150)를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110)은 하측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용 모터(160)에 연동되어 1회에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제어된다. 본 발명에서 4개의 수납타워(120)가 구비되므로 한 번에 90도만큼씩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수납타워(120)에 적층된 라면이 모두 소진되면 다음 수납타워(120)에 있는 라면이 공급되도록 상기 회전판(110)이 90도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판(110)의 형상은 대략 도넛 형태와 같이 중공의 원형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승강바(140)가 통과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절개된 것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승강바로(111)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바로(111)는 한 쌍의 절개공(111a, 111b)이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설치되는 수납타워(120)의 갯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수납타워(120)가 4개 입설되는 경우, 상기 수납타워(120)가 입설되는 각각의 위치에 상기 승강바로(111)가 원호를 따라 동일한 각도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타워(120)는 대략 채널형상을 이루며 상기 승강바로(111)가 형성된 위치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라면(R)이 적층, 수납되는 공간이다.
이때, 상기 수납타워(120)의 단면 형상은 라면의 형상에 맞게 형성될 수 있는데, 사각 라면의 경우 사각형, 원형 라면인 경우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수납타워(120)의 일측면에는 후술하는 승강바(14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절개된 형상의 절개라인(미도시)이 하단에서 상단까지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스크류(130)는 상기 회전판(110)의 중공부를 통과하도록 수직으로 입설되며, 상기 수납타워(120)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승강스크류(130)의 하단에는 승강용 모터(170)가 구비되어 상기 승강스크류(130)와 연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스크류(130)는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호 동기화되어 상기 승강용 모터(170)에 의해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각 승강스크류(130)에는 나사 결합되는 승강바(14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승강바(140)는 상기 승강스크류(130)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플레이트(plate) 혹은 바(bar)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승강바(140)는 상기 수납타워(120)의 내부를 통해 승강하므로 상기 승강바(140) 위에는 적층된 라면이 올려져 상기 승강바(140)의 상승에 의해 적층된 라면 전체도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바(140)의 폭과 길이는 상하로 움직일 때 상기 승강바로(111)를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폭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바(140)는 상기 수납타워(120)에 형성된 절개라인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스크류(130)의 상단에는 리미트스위치(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미트스위치(150)는 적층된 라면들이 상기 승강바(140)에 의해 상승될 때 최상층에 있는 라면이 접촉되면 상기 승강용 모터(170)를 정지시켜 상기 승강스크류(130)의 회전을 중단시킨다. 따라서, 라면이 더 이상 상승하지 않고 상기 라면이송부(200)의 작동을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라면이송부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라면이송부(200)는 수평 로드리스실린더(210), 푸싱부재(220), 경사로부재(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 로드리스실린더(210)는 상기 라면공급부(100)의 승강스크류(130)의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로드리스 실린더이다. 로드리스 실린더(Rodless Cylinder)는 로드(rod)가 없거나 내부에 내장된 형태로 직선 왕복 이동이 필요한 곳에 널리 사용되는 실린더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수평 로드리스실린더(210)는 공압으로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 로드리스실린더(210)에는 푸싱부재(220)가 결합되어 수평으로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다. 상기 푸싱부재(220)는 평판 또는 바 형상일 수 있으며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싱부재(220)는 상기 수납타워(120)의 최상층에 수납된 라면의 일측을 밀어 상기 라면조리부(400)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납타워(120)의 일측에는 경사진 경사로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로부재(230)는 상기 푸싱부재(220)에 의해 이송된 라면이 상기 라면조리부(400)의 압력용기(410) 속으로 정확하게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 온수공급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온수정량공급수단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상기 온수공급부(300)는 온수탱크(310), 히터(320), 믹싱기(330), 온수정량공급수단(340) 및 온수공급관(350)을 포함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온수탱크(310)는 적정량의 스프가 배합된 온수를 저장하는 탱크로서, 상기 라면공급부(100)의 상측에 고정된다.
상기 온수탱크(310) 내부에는 온수를 가열하는 히터(320)와 스프가 배합된 온수의 농도가 균일하도록 지속적으로 섞어주는 믹싱기(330)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히터(320)는 온수가 일정온도(예를 들어, 90℃) 이상을 유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탱크(310) 측면에는 정량의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정량공급수단(3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수정량공급수단(340)은 상기 온수탱크(310) 내부 바닥에 구비되는 중공의 파이프(341), 상기 파이프(341) 내부를 직선왕복 운동하는 피스톤로드(342), 그리고 상기 온수탱크(310)의 타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피스톤로드(342)를 구동하는 공급실린더(343), 상기 온수탱크(310)의 하부에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341)와 연통되는 노즐(344), 상기 노즐(344) 내부에서 전후진함으로써 노즐(344)을 개폐하는 개폐로드(346) 및 상기 개폐로드(346)를 구동하는 개폐실린더(347)로 구성되어 일정한 양의 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중공형상의 파이프(341)는 상부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정량조절홀(341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량조절홀(341a)의 길이를 길게 하면 공급량이 줄어들고 길이를 짧게 하면 공급량이 늘어난다. 즉, 상기 파이프(341) 내부의 체적 중 정량조절홀(341a) 구간을 제외한 체적에 해당하는 온수의 양이 항상 일정하게 토출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양의 온수가 반복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344)은 대량 'ㄱ' 형상의 관일 수 있으며, 일단이 상기 온수탱크(310)와 연통되게 결합되되, 상기 파이프(341)와 연통된다.
또 상기 노즐(344)의 내부에는 개폐로드(346)가 노즐(344)의 타단을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로드(346)의 각 단부에 탄성재질의 캡(34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온수를 공급할 경우 상기 피스톤로드(342)가 전진하는데, 상기 정량조절홀(341a) 구간에서는 온수가 토출되지 않다가 상기 피스톤로드(342)가 정량조절홀(341a)을 지난 후에는 상기 파이프(341) 내부에 충진된 온수가 상기 노즐(344)로 유입되고 그 순간 상기 개폐로드(346)가 후진하여 노즐(344)을 개방하면 온수가 노즐(344)을 통해 토출되고, 상기 피스톤로드(342)가 완전히 전진한 후에는 상기 노즐(344)은 다시 밀폐되고 상기 피스톤로드(342)는 원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노즐(344) 단부와 후술하는 라면조리부(400)의 압력커버(420)의 공급홀(421)은 온수공급관(350)으로 연결되어 상기 노즐(344)에서 토출되는 온수를 상기 라면조리부(400)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온수공급관(350)은 튜브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라면조리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라면조리부(400)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에 해당하는 것으로 라면을 조리하는 압력용기(410), 압력커버(420) 및 승강실린더(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압력용기(410)는 상기 라면공급부(100)의 일측,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경사로부재(230)의 하단 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고압을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바닥에 히팅판(411)이 매립될 수 있다. 상기 히팅판(411)은 열선이 매립된 형태일 수 있고 판 히터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압력커버(420)는 상기 압력용기(410)를 닫아 밀폐하는 뚜껑에 해당하는 것으로, 고압을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하부면에 실링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커버(420)에는 공급홀(421)이 형성된다. 상기 공급홀(421)은 상기 온수공급관(350)이 연결되어 상기 압력용기(410) 내부로 온수가 유입되게 한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공급홀(421)에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온수공급관(350)으로부터 온수는 자유롭게 유입되지만 라면조리시 내부의 압력 및 증기가 누설되지 않게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상기 압력커버(420)는 상측에 고정된 승강실린더(430)의 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압력용기(410)를 열고 닫을 수 있다. 다만, 상기 승강실린더(430)는 상기 압력용기(410) 내의 라면이 고압에서 조리될 수 있도록 고압에 의해 상기 압력커버(420)가 개방되지 않고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힘을 제공할 수 있는 용량의 실린더를 선택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라면은 대기압하에 100℃에서 조리한다. 보통 면발이 다 익을 때까지 약 4분 정도 소요된다. 이 시간은 수분이 면발의 중심까지 침투하는데 걸리는 시간에 해당하는데, 이 시간이 지나면 면발은 익지만 면발의 표면은 이미 수분이 과하게 침투되어 흐물흐물한 상태로 변하기 시작한다.
자판기의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면 자판기의 효용성이 문제가 되므로 본 발명에서 압력용기를 사용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라면을 조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고압에서 100℃ 보다 낮은 온도에서 물을 끓이고, 고압에 의해 면발에 수분 침투 속도를 높여 1분 내에 라면을 익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상기 라면용기공급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라면용기공급부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상기 라면용기공급부(500)는 하부걸림판(510) 및 하부실린더(520), 상부걸림판(530) 및 상부실린더(540), 간격유지부재(5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걸림판(510)은 다수개가 포개어져 적층된 라면용기들 중에 가장 아래에 있는 라면용기(C)의 양측면부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평판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 원호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라면용기(C)의 외주면이 안착될 수 있다.
라면용기는 종이재질의 컵을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상부 테두리가 외측으로 말려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하부걸림판(510)이 라면용기의 외주면에 밀착되면 라면용기의 상단 테두리가 걸릴 수 있다.
상기 하부걸림판(510)은 하부실린더(520)에 의해 전후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걸림판(510)의 상측에는 상부걸림판(530)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걸림판(530)은 상기 하부걸림판(510)에 걸리는 라면용기 바로 위에 포개어진 라면용기의 양측면부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걸림판(510)의 형상과 대동소이하다.
또 상기 상부걸림판(530)은 상부실린더(540)에 의해 전후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걸림판(530)과 하부걸림판(510) 사이에는 간격유지부재(550)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걸림판(530)과 하부걸림판(51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상기 간격유지부재(550)의 두께는 라면용기(C)의 돌출된 테두리의 폭에 대응되는 두께를 가진다.
따라서, 최초 대기상태의 경우 하부걸림판(510)과 상부걸림판(530)이 전진한 상태에서 하부걸림판(510)이 후진하면 맨하측의 라면용기는 아래로 낙하하여 상기 컨베이어(700)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걸림판(510)이 다시 전진한 후 상기 상부걸림판(530)이 후진하면 적층된 라면용기 전체가 낙하하여 맨 하단의 라면용기가 상기 하부걸림판(510)에 걸려 정지한다. 이때, 상기 상부걸림판(530)이 다시 전진하면 맨하단 라면용기의 테두리와 그 위에 포개인 라면용기의 테두리에 사이에 삽입되어 최초의 대기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상기 라면배급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라면배급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상기 라면배급부(600)는 회전축(610), 피니언(620), 랙(630), 용기회전실린더(640), 호퍼(650)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610)은 상기 압력용기(41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베어링에 의해 상기 압력용기(410)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610)에는 피니언(620)이 각각 결합된다.
또 상기 각 피니언(620)은 하측에 수평으로 구비된 랙(630)과 연동된다.
상기 랙(630)은 용기회전실린더(640)와 결합되어 수평으로 왕복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용기(410)의 하측에는 낙하하는 라면을 수거하는 호퍼(65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력용기(410)의 양측에 구비된 용기회전실린더(640)가 구동되면 상기 각 랙(630)이 전진하고 이로 인해 연동된 피니언(620)이 회전하여 상기 압력용기(410)는 기울어져 담겨 있던 라면이 하측의 호퍼(650)로 낙하하여 수거되고 상기 호퍼(650) 하측에 놓인 라면용기에 담긴다.
상기 컨베이어(700)는 지속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간헐적으로 일정거리만큼만 움직이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상기 라면용기공급부(500)에서 낙하된 라면용기가 상기 호퍼(650)의 직하방에 도달할 때까지 이송한다. 그리고 조리된 라면이 담기면 다시 이송하여 주문자에게 전달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주문자가 결제하면 상기 라면이송부(200)의 수평 로드리스실린더(210)가 수평 이동하므로 상기 푸싱부재(220)가 상기 수납타워(120)에 적층된 최상층의 라면(R)을 일측으로 밀어 이송하고 이송된 라면은 상기 경사로부재(230)를 타고 상기 압력용기(410) 내로 투입된다. 그리고 상기 푸싱부재(220)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상기 라면조리부(400)의 승강실린더(430)가 상기 압력커버(420)를 하강시켜 상기 압력용기(410)를 닫아 밀폐한다. 그리고 상기 온수공급부(300)의 온수정량공급수단(340)을 통해 정량의 온수가 상기 노즐(344)을 통해 토출되고 토출된 온수는 상기 온수공급관(350)을 따라 상기 압력커버(420)에 형성된 공급홀(421)을 통해 압력용기(410) 내로 주입된다.
온수가 주입되면 상기 히팅판(411)이 가열되어 상기 압력용기(410) 내부의 온수를 끊이면서 라면을 조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용기 내부는 고압이 유지되므로 100℃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물이 끓고, 고압에서 면발에 수분침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므로 1분 만에 라면이 조리될 수 있다.
라면의 조리가 완성되면 상기 승강실린더(430)가 상기 압력커버(420)를 상승시켜 상기 압력용기(410)를 개방한다.
다음으로 상기 라면배급부(600)의 용기회전실린더(640)가 상기 랙(630)을 전진시키면 상기 피니언(620)이 회전하면서 상기 압력용기(410)가 기울어지고 내부의 조리된 라면이 하측의 호퍼(650)를 통해 수거되고 상기 호퍼(650)의 하단을 통해 컨베이어(700)에 놓인 라면용기(C)로 낙하하여 담기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회전실린더(640)가 상기 랙(630)을 후진시켜 상기 압력용기(410)를 원상태로 복귀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컨베이어(700)가 움직이면 완성된 라면이 담긴 라면용기가 주문자에게 제공된다.
이후 별도로 상기 라면공급부(100)의 승강용 모터(170)가 상기 승강스크류(130)를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바(140)가 상승되고 이로 인해 적층된 라면(R) 전체가 상승한다. 이때, 최상층 라면이 상기 리미트스위치(150)에 접촉되면 상기 승강용 모터(170)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제어되어 라면의 상승이 멈추고 다음 주문 때까지 대기한다.
만일, 수납타워(120)에 수납된 모든 라면이 소진되면, 상기 회전용 모터(160)가 상기 회전판(110)을 회전시켜 다른 수납타워(120)가 상기 승강바(14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제어된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라면공급부
110 : 회전판 111 : 승강바로
111a, 111b : 절개공
120 : 수납타워 130 : 승강스크류
140 : 승강바 150 : 리미트스위치
160 : 회전용 모터 170 : 승강용 모터
200 : 라면이송부
210 : 수평 로드리스실린더 220 : 푸싱부재
230 : 경사로부재
300 : 온수공급부
310 : 온수탱크 320 : 히터
330 : 믹싱기 340 : 온수정량공급수단
341 : 파이프 341a : 정량조절홀
342 : 피스톤로드 343 : 공급실린더
344 : 노즐 346 : 개폐로드
347 : 개폐실린더 348 : 캡
350 : 온수공급관
400 : 라면조리부
410 : 압력용기 411 : 히팅판
420 : 압력커버 421 : 공급홀
430 : 승강실린더 440 :
500 : 라면용기공급부
510 : 하부걸림판 520 : 하부실린더
530 : 상부걸림판 540 : 상부실린더
550 : 간격유지부재
600 : 라면배급부
610 : 회전축 620 : 피니언
630 : 랙 640 : 용기회전실린더
650 : 호퍼
700 : 컨베이어
R : 라면 C : 라면용기

Claims (7)

  1. 라면을 자동으로 조리하여 판매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가 적층된 라면을 상승시키는 라면공급부;
    상기 라면공급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적층된 라면 중 최상층 라면을 일측으로 밀어 라면조리부로 이송하는 라면이송부;
    상기 라면공급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스프가 배합된 온수를 저장하고 정량의 온수를 라면조리부로 공급하는 온수공급부;
    상기 라면공급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압력용기와 상기 압력용기를 밀폐하는 압력커버로 구성되어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서 라면을 익히는 라면조리부;
    상기 라면조리부의 후방에 복수개가 적층된 라면용기 중 최하층 라면용기를 낙하시켜 컨베이어로 공급하는 라면용기공급부;
    상기 압력용기를 회전시켜 조리된 라면을 컨베이어에 공급된 라면용기에 배급하는 라면배급부; 및
    상기 라면배급부에서 배급된 라면이 담긴 라면용기를 주문자에게 전달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압력용기를 이용한 라면 자동판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면공급부는,
    회전 가능한 중공 원형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에 한 쌍의 절개공으로 이루어진 승강바로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회전판과, 복수개의 라면이 적층, 수납될 수 있도록 채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각 승강판로 상에 입설되는 수납타워와, 상기 수납타워 중 어느 하나 일측에 입설되는 한 쌍의 승강스크류와, 상기 승강스크류와 연동되어 승강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바로를 통과하면서 적층된 라면을 상승시키는 한 쌍의 승강바와, 상기 승강스크류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승되는 라면이 접촉되면 상기 승강스크류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를 이용한 라면 자동판매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면이송부는,
    상기 라면공급부 상측에 설치되는 수평 로드리스실린더와, 상기 수평 로드리스실린더에 결합되어 수평 이동하면서 적층된 최상층의 라면을 일측으로 이송하는 푸싱부재와, 상기 푸싱부재에 의해 이송된 라면을 상기 라면조리부로 전달하는 경사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를 이용한 라면 자동판매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공급부는,
    상기 라면공급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스프가 배합된 온수를 저장하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온수를 일정온도 이상으로 유지하는 히터와, 상기 온수탱크 내부를 믹싱하는 믹싱기와, 상기 온수탱크의 일측에 결합되어 정량의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정량공급수단과, 일단은 상기 온수정량공급수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라면조리부로 연결되는 온수공급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를 이용한 라면 자동판매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면조리부는,
    상기 라면공급부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히팅판이 매립된 압력용기와, 상기 압력용기의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온수공급부로부터 온수가 유입되도록 체크밸브가 구비된 공급홀이 형성되어 상기 압력용기를 개폐하는 압력커버와, 상기 압력커버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를 이용한 라면 자동판매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면용기공급부는,
    포개어져 적층된 라면용기 중 최하층의 라면용기 양측면부에 걸리는 하부걸림판 및 상기 각 하부걸림판을 전후진 시키는 하부실린더와, 최하층 라면용기 위에 포개어진 라면용기 양측면부에 걸리는 상부걸림판 및 상기 각 상부걸림판을 전후진 시키는 상부실린더와, 상기 상부걸림판과 하부걸림판 사이에 구비되는 간격유지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걸림판이 라면용기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걸림판이 후진함으로써 최하층 라면용기가 상기 라면배출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를 이용한 라면 자동판매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면배급부는,
    상기 압력용기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압력용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각 회전축의 외측에 결합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연동되도록 설치되는 랙과, 상기 랙을 전후진 시키는 용기회전실린더 및 상기 압력용기의 하측에 구비되는 호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랙의 전후진에 의해 압력용기를 회전시켜 조리된 라면을 호퍼로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를 이용한 라면 자동판매장치.
KR1020160173850A 2016-12-19 2016-12-19 압력용기를 이용한 라면 자동판매장치 KR101895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850A KR101895049B1 (ko) 2016-12-19 2016-12-19 압력용기를 이용한 라면 자동판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850A KR101895049B1 (ko) 2016-12-19 2016-12-19 압력용기를 이용한 라면 자동판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074A true KR20180071074A (ko) 2018-06-27
KR101895049B1 KR101895049B1 (ko) 2018-09-04

Family

ID=62790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850A KR101895049B1 (ko) 2016-12-19 2016-12-19 압력용기를 이용한 라면 자동판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04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2661A (zh) * 2018-07-18 2019-01-25 张博 食品制售机和食品制售方法
CN111012142A (zh) * 2019-10-12 2020-04-17 广东智源机器人科技有限公司 配汤系统及配汤方法
KR20210039807A (ko) * 2019-10-02 2021-04-12 조중화 라면 조리 방법
WO2021241808A1 (ko) * 2020-05-27 2021-12-02 신승훈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
KR102355105B1 (ko) * 2021-11-01 2022-02-09 농업회사법인(주)영풍 소스 내 기포 제거 기능이 구비된 떡볶이 자판기
RU2767462C1 (ru) * 2021-04-15 2022-03-17 Виктория Дмитриевна Федотова Вендинговый автомат по продаже суп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148A (ja) * 1993-07-22 1995-02-07 Nippon Tetra Pack Kk 自動販売機及びパッケージ
JPH0759661A (ja) * 1993-08-25 1995-03-07 Daiwa Seisakusho:Kk スープ供給装置
KR19990025752A (ko) 1997-09-13 1999-04-06 최진호 라면자동판매기
KR200187332Y1 (ko) 2000-02-02 2000-07-01 인터패트주식회사 라면 자판기용 라면 공급장치
KR100325418B1 (ko) * 1998-11-13 2002-02-27 남찬우 라면 자동판매장치
KR200307102Y1 (ko) 2002-11-15 2003-04-10 (주)아로마아이씨이 라면 자동 판매기
KR20140126515A (ko) 2013-04-23 2014-10-31 (주) 코리아지에프 라면 자동판매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60082766A (ko) * 2014-12-29 2016-07-11 강효성 식품 가열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148A (ja) * 1993-07-22 1995-02-07 Nippon Tetra Pack Kk 自動販売機及びパッケージ
JPH0759661A (ja) * 1993-08-25 1995-03-07 Daiwa Seisakusho:Kk スープ供給装置
KR19990025752A (ko) 1997-09-13 1999-04-06 최진호 라면자동판매기
KR100325418B1 (ko) * 1998-11-13 2002-02-27 남찬우 라면 자동판매장치
KR200187332Y1 (ko) 2000-02-02 2000-07-01 인터패트주식회사 라면 자판기용 라면 공급장치
KR200307102Y1 (ko) 2002-11-15 2003-04-10 (주)아로마아이씨이 라면 자동 판매기
KR20140126515A (ko) 2013-04-23 2014-10-31 (주) 코리아지에프 라면 자동판매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60082766A (ko) * 2014-12-29 2016-07-11 강효성 식품 가열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2661A (zh) * 2018-07-18 2019-01-25 张博 食品制售机和食品制售方法
KR20210039807A (ko) * 2019-10-02 2021-04-12 조중화 라면 조리 방법
CN111012142A (zh) * 2019-10-12 2020-04-17 广东智源机器人科技有限公司 配汤系统及配汤方法
WO2021241808A1 (ko) * 2020-05-27 2021-12-02 신승훈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
RU2767462C1 (ru) * 2021-04-15 2022-03-17 Виктория Дмитриевна Федотова Вендинговый автомат по продаже супа
KR102355105B1 (ko) * 2021-11-01 2022-02-09 농업회사법인(주)영풍 소스 내 기포 제거 기능이 구비된 떡볶이 자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5049B1 (ko) 201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5049B1 (ko) 압력용기를 이용한 라면 자동판매장치
KR101816848B1 (ko) 급속 조리장치가 구비된 라면 자판기
KR101978081B1 (ko) 지능형 음식물 조리기
US9895018B2 (en) Automatic meal serving system
US10154762B2 (en) Automated meal production system and apparatus
KR100653237B1 (ko) 자판식 즉석피자 자동제조 장치
US10165897B2 (en) Food stuff dispensing machine and dehydrated foodstuff container
EP2073672B1 (en) Coffee and tea dosing system
WO2012024265A1 (en) Coffee and tea dosing system
CN109544787B (zh) 面盒传输自动摆正方法
CN111671333A (zh) 自动化餐饮系统
CN105534296B (zh) 一种面条烧煮机
KR101990686B1 (ko)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
JP2021121305A (ja) 食材自動供給ユニット、食材自動供給方法及び調理システム
JP2006247151A (ja) 調理装置
CN111772479A (zh) 一种智能化泡茶机
CN112173266B (zh) 一种食品自动分发系统
CN111839185B (zh) 汤食系统及加汤装置
CN111599090A (zh) 自动售卖设备
KR20060001840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20230001868A (ko) 라면 자동 판매기
CN112794060A (zh) 供餐系统
CN216486616U (zh) 智慧自助餐饮系统
KR20180137314A (ko)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
CN113142930B (zh) 一种智能面馆设备及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