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686B1 -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 - Google Patents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686B1
KR101990686B1 KR1020170101070A KR20170101070A KR101990686B1 KR 101990686 B1 KR101990686 B1 KR 101990686B1 KR 1020170101070 A KR1020170101070 A KR 1020170101070A KR 20170101070 A KR20170101070 A KR 20170101070A KR 101990686 B1 KR101990686 B1 KR 101990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izza
egg
product
centr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6744A (ko
Inventor
진상민
Original Assignee
진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상민 filed Critical 진상민
Priority to KR1020170101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686B1/ko
Publication of KR20190016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6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ocessing of food articles
    • G07F17/0078Food articles which need to be processed for dispensing in a hot or cooked condition, e.g. popcorn, nu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7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formed in the apparatus from components, blanks, or material constitu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LM GUIDE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 웨이(GUIDE WAY) 상에서 이동하는 LM 블록에 대한 "x-y-z" 축(axis) 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x, y, z 축 이동용 스텝 모터(step motor)를 구비하며, LM 블록이 LM GUIDE를 이용하여 고정 위치(Default Position)에서 선택부(120)를 통해 선택된 라면 또는 피자에 해당하는 상품의 위치로 "x-y-z" 축(axis) 상을 이동할 수 있으며, 각 "x-y-z" 축 이동용 스텝 모터에 의한 LM GUIDE를 따라 선택된 라면 또는 피자 상품에 대해서 미리 지정된 경로와 거리에 대해서 중앙 제어장치(150)에 의한 제어를 받는 선택이송장치(171); 및 선택이송장치(171)와 연결된 구조로 2개의 2절 링크(172a)와 기어 구조로 연결된 스텝 모터에 대한 중앙 제어장치(150)에 대한 제어에 따라 회전시 선택부(120)를 통해 선택된 상품을 그립(grip) 한 뒤, 투입용 모터(172b)와 연결된 기어 회전을 이용한 상품을 90˚를 회전시켜 조리용기(190a)에 투입시키는 그립장치(GRIP UNIT)(17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RAMEN AND PIZZA COMPLEX VENDING SYSTEM}
본 발명은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라면 또는 피자의 종류를 선택시 조리 용기에 투입하고 기타 옵션에 의한 계란 등 기타 재료를 추가하여 자판기 내부의 청결한 조리실에서 마그네트론(MAGNETRON)을 이용하여 살균과 함께 요리를 하여 배출구를 통하여 고객에게 신속하게 전달하도록 하기 위한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손이 아닌 기계로 판매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을 자동 판매기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자동 판매기는 어떤 순서를 미리 정해놓고 입력조건이 맞으면 동작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순차적 제어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자동 판매기에서의 상품 판매 방식은 원료통로 혼합방식, 포스트 믹스 방식, 솔레노이드에 의한 순간 배출방식, 모터 회전에 의한 스파이럴 및 벨트 방식(멀티 자판기) 등으로 나뉜다.
한편, 기존 라면 자판기는 선택된 메뉴의 라면을 밖으로 배출하여 외부의 기기에서 라면을 조리하며, 조리하는 용기가 외부에 노출되어 이물질이나 공기 중의 먼지가 들어가는 비위생적인 요소가 있다.
또한, 내부에서 조리하는 경우 별도의 조리실이 없고 라면을 담는 용기는 알루미늄 호일로 되어 있어 높은 온도의 가열을 할 경우 순도 99.7%인 까닭으로 중금속이나 독성물질이 검출될 수 있다는 의심들이 많은바 전문의들은 이에 "뭐든지 지나치면 독이 될 수 있다"며 "적당하고 올바른 사용으로 주의해야 할 필요는 있다"고 의견을 같이한다. 이에 더해, "양은 그릇을 사용하게 되면 극히 소량이긴 하지만 만성적으로 알루미늄을 섭취하게 되는 결과를 낳는다."라며 "이는 양은 그릇뿐 아니라, 알루미늄 호일이나 인스턴트 식품의 내장지 등에서도 이미 그 위험성이 경고 됐던바 있다"고 전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1-0058000호 "정수기를 이용한 가루커피 액상원두 액상음료 공급 장치"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출원번호 제20-1985-0012713호 "컵라면 급탕장치"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1997-0047485호 "라면자동판매기"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라면 또는 피자의 종류를 선택시 조리 용기에 투입하고 기타 옵션에 의한 계란 등 기타 재료를 추가하여 자판기 내부의 청결한 조리실에서 마그네트론(MAGNETRON)을 이용하여 살균과 함께 요리를 하여 배출구를 통하여 고객에게 신속하게 전달하도록 하기 위한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된 라면 판매용의 경우 계란을 함께 투여할 수 있어서 실제의 즉석으로 끓인 라면과 동일한 조리된 라면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은, LM GUIDE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 웨이(GUIDE WAY) 상에서 이동하는 LM 블록에 대한 "x-y-z" 축(axis) 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x, y, z 축 이동용 스텝 모터(step motor)를 구비하며, LM 블록이 LM GUIDE를 이용하여 고정 위치(Default Position)에서 선택부(120)를 통해 선택된 라면 또는 피자에 해당하는 상품의 위치로 "x-y-z" 축(axis) 상을 이동할 수 있으며, 각 "x-y-z" 축 이동용 스텝 모터에 의한 LM GUIDE를 따라 선택된 라면 또는 피자 상품에 대해서 미리 지정된 경로와 거리에 대해서 중앙 제어장치(150)에 의한 제어를 받는 선택이송장치(171); 및 선택이송장치(171)와 연결된 구조로 2개의 2절 링크(172a)와 기어 구조로 연결된 스텝 모터에 대한 중앙 제어장치(150)에 대한 제어에 따라 회전시 선택부(120)를 통해 선택된 상품을 그립(grip) 한 뒤, 투입용 모터(172b)와 연결된 기어 회전을 이용한 상품을 90˚를 회전시켜 조리용기(190a)에 투입시키는 그립장치(GRIP UNIT)(17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조리용기(190a)는, 천연펄프를 압축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 자판기 시스템 본체 내부에 앵글로 제작된 거치대 상부 적재 위치에 밀어넣는 형식의 복수의 적재함(carrier)으로 이루어지며, 각 적재함 내부에 판매될 상품을 적재하고 적재함 내부의 스토퍼(STOPPER)(161)를 스프링 또는 실린더를 활용하는 가압장치(162)에 의한 전방 압력에 의해 앞으로 밀착시켜 상술한 그립장치(GRIP UNIT)(172)에 의해 상품이 픽업되면, 픽업된 상품 후단에 적재된 상품을 앞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적재장치부(1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계란 투입장치(180); 를 더 포함하며, 계란 투입장치(180) 하부에 계란을 1열로 담은 계란 적재함(미도시)에서 계란이 1개씩 지그(JIG)에 투입되면, 지그에 올려진 하나의 계란의 양단을 고정단(182)에 의한 그립 동작(grip operation)이 지그에 올려진 계란의 양쪽을 솔레노이드(SOLENOID) 구동 방식으로 고정단(182)의 양단의 간격 조절 방식으로 계란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계란 투입장치(180)는, 고정단(182)에 의하여 그립(grip)이 수행되면, 고정단(182)의 상부에 이격되어 형성된 타격단(183)이 솔레노이드 구동 방식으로 계란의 양측면을 타격하며 동시에 양쪽의 고정단(182)이 벌려져 계란을 조리용기(190a)에 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라면 또는 피자의 종류를 선택시 조리 용기에 투입하고 기타 옵션에 의한 계란 등 기타 재료를 추가하여 자판기 내부의 청결한 조리실에서 마그네트론(MAGNETRON)을 이용하여 살균과 함께 요리를 하여 배출구를 통하여 고객에게 신속하게 조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은, 또한, 본 발명은 조리된 라면 판매용의 경우 계란을 함께 투여할 수 있어서 실제의 즉석으로 끓인 라면과 동일한 조리된 라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100) 중 그립장치(GRIP UNIT)(17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100) 중 조리용기(190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100) 중 적재장치부(16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100) 중 계란 투입장치(18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100) 중 조리부(190)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론(MAGNETRON)(19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100) 중 중앙 제어장치(15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100) 중 추가되는 판매 기구부, 그리고 전력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100) 중 그립장치(GRIP UNIT)(17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100) 중 조리용기(190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100) 중 적재장치부(16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100) 중 계란 투입장치(18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100) 중 조리부(190)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론(MAGNETRON)(19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100)은 상품 진열부(110), 선택부(120), 금액 투입부(130), 상품 배출구(140), 중앙 제어장치(150), 적재장치부(160), 다관절 로봇 및 컨베이어 벨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어 형성된 이송부(170), 계란 투입장치(180), 조리부(190), 조리용기(190a)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장치부 중 이송부(170), 계란 투입장치(180), 조리부(190), 상품 배출구(140)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조리용기(190a)에 대해서는 컨베이어벨트 방식, 다중 관절 로봇에 대한 중앙 제어장치(150)에 대한 위치 제어, 이송부(170)의 선택이송장치(171)를 활용한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조리용기(190a)에는 조리스프가 미리 설정된 양만큼 미리 담겨 있을 수 있거나 뜨거운 물 또는 증기에 녹는 커버로 덮여서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의 동작에 의해 최종적으로 상품 배출구(140)로부터 배출됨으로써, 조리된 라면을 취식할 수 있다.
한편,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100)은 좌우를 기준으로 좌측 상품 배출구(140)는 조리된 라면을 위한 것이며, 우측 상품 배출구(140)는 조리된 피자를 위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100)은 실제로 상품 진열부(110), 선택부(120), 금액 투입부(130), 상품 배출구(140), 중앙 제어장치(150), 적재장치부(160), 이송부(170), 계란 투입장치(180)(피자용은 제외되거나 용도 변경), 조리부(190)가 좌우가 구분되어 각기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피자는 조리용기(190a)에 냉장된 피자가 놓여져 있으며, 피자 선택시, 조리용기(190a)를 하나씩 컨베이어벨트에 놓아서, 조리부(190)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론(MAGNETRON)(191)을 이용해 가열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보관시 냉장보관을 위한 보관장치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100)은 라면 또는 피자 만을 위한 자판기로도 활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라면 용도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이송부(170)는 선택이송장치(171) 및 그립장치(GRIP UNIT)(172)로 이루어진다. 그 중 선택이송장치(171)는 LM GUIDE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 웨이(GUIDE WAY) 상에서 이동하는 LM 블록에 대한 "x-y-z" 축(axis) 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x, y, z 축 이동용 스텝 모터(step motor)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선택이송장치(171)를 구성하는 LM 블록은 LM GUIDE를 이용하여 고정 위치(Default Position)에서 선택부(120)를 통해 선택된 라면 또는 피자에 해당하는 상품의 위치로 "x-y-z" 축(axis) 상을 이동할 수 있으며, 각 "x-y-z" 축 이동용 스텝 모터에 의한 LM GUIDE를 따라 선택된 상품에 대해서 미리 지정된 경로와 거리에 대해서 중앙 제어장치(150)에 의한 제어를 받는다.
이송부(170)를 구성하는 그립장치(GRIP UNIT)(172)는 선택이송장치(171)와 연결된 구조로 도 3과 같이 2개의 2절 링크(172a)와 기어 구조로 연결된 스텝 모터에 대한 중앙 제어장치(150)에 대한 제어에 따라 회전시 선택부(120)를 통해 선택된 상품을 그립(grip) 한 뒤, 투입용 모터(172b)와 연결된 기어 회전을 이용한 상품을 90˚를 회전시켜 도 4와 같은 형상의 조리용기(190a)에 투입시킨다.
여기서 조리용기(190a)는 기존의 알루미늄 호일이 아닌 천연펄프를 압축하여 용도에 맞게 제작을 하고, 요리를 하는 조리실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여 이물질의 투입을 막고 마이크로파(microwave)를 이용하여 조리실 내부를 살균하는 방식이 가능하도록 한다.
적재장치부(160)는 도 5a와 같은 하부면과 도 5b와 같은 상부면 구조를 갖는다. 적재장치부(160)는 복합 자판기 시스템 본체 내부에 앵글로 제작된 거치대 상부 적재 위치에 밀어넣는 형식의 복수의 적재함(carrier)으로 이루어지며, 각 적재함 내부에 판매될 상품을 적재하고 적재함 내부의 스토퍼(STOPPER)(161)를 스프링 또는 실린더 등을 활용하는 가압장치(162)에 의한 전방 압력에 의해 앞으로 밀착시켜 상술한 그립장치(GRIP UNIT)(172)에 의해 상품이 픽업되면, 픽업된 상품 후단에 적재된 상품을 앞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계란 투입장치(180)는 도 6a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다. 계란 투입장치(180)는 수용단(181), 고정단(182), 타격단(183), 튐방지단(184)이 하부에서 상부로 순차적으로 이격된 구조로 형성된다.
계란 투입장치(180)는 추가로 난각 필터부(180a), 난각 처리장치부(180b), 세척액 배출부(180c), 세척분사 장치부(180d)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난각 필터부(180a)는 계란 투입장치(180)에서 처리된 난각을 하부 낙하시키는 경우, 액체상의 계란 성분을 제외한 고형분 형태의 난각을 처리하기 위해 메쉬 형태의 필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처리된 난각을 난각 처리장치부(180b)로 제공할 수 있다.
난각 처리장치부(180b)는 난각 필터부(180a)에 의해 분리된 난각을 분쇄하는 분쇄날을 이용해 분상체로 형성하여, 세척액 배출부(180c)와 공통으로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 외부(하수도)로 배출할 수 있다.
세척액 배출부(180c)는 세척분사 장치부(180d)에 의해 분사된 분사액에 의해 계란 투입장치(180)에 대한 세척이 완료된 슬러지를 포함한 액체를 난각 처리장치부(180b)와 공통으로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 외부(하수도)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난각 처리장치부(180b) 및 세척액 배출부(180c)과 공통으로 배출관은 폐수 탱크로 수집할 수도 있다.
세척분사 장치부(180d)는 계란 투입장치(180)의 상부에 형성됨으로써,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계란 투입장치(180)로 세척액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을 포함하여 노즐을 이용한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계란 투입장치(180)는 계란에 대한 선택시 계란이 투입되는 옵션으로 제공될 수 있다.
계란 투입장치(180) 하부에 계란을 1열로 담은 계란 적재함(미도시)에서 계란이 1개씩 지그(JIG)에 투입되면, 지그에 올려진 하나의 계란의 양단을 고정단(182)에 의한 그립 동작(grip operation)이 지그에 올려진 계란의 양쪽을 솔레노이드(SOLENOID) 구동 방식으로 고정단(182)의 양단의 간격 조절 방식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고정단(182)에 의하여 그립(grip)이 수행되면, 고정단(182)의 상부에 이격되어 형성된 타격단(183)이 솔레노이드 구동 방식으로 계란의 양측면을 타격하며 동시에 양쪽의 고정단(182)이 벌려져 계란을 조리용기(190a)에 담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계란 투입장치(180) 등의 작동을 위해 설치되는 솔레노이드(Solenoid)는 둥근 대롱 모양으로 감은 코일로 전류를 흘리면 전자석으로 작동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b와 같은 지그 상에 올려진 계란의 양단을 고정단(182)에 의한 그립 동작시, 수용단(181)은 도 6a의 디폴트 위치에서 수직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90˚회전되도록 중앙 제어장치(150)에 의한 제어를 받음으로써, 계란의 수용을 용이하도록 한다. 이후, 계란의 수용이 완료되면 다시 수용단(181)은 도 6a와 같은 디폴트 위치로의 원위치되기 위해 중아 제어장치(150)의 제어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90˚회전됨으로써, 타격단(183)에 의한 계란의 양측면이 타격되는 계란 내부 액체를 수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고정단(182)은 실린더 또는 모터 구동 방식에 의해 타격단(183) 사이의 높이가 중앙 제어장치(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타격단(183)에 의한 타격시 도 6c와 같이 고정단(182)의 양단이 수평면을 기준으로 각기 다르게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 제어됨으로써, 계란의 내부 액체가 고정단(182)의 양단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계란은 직접적으로 조리용기(190a)로 투하되거나, 수용단(181)에 1차로 수용된 뒤, 중앙 제어장치(150)에 의한 수용단(181)의 받침면을 구성하는 개폐 영역에 대한 중앙 제어장치(150)에 의한 개방 제어에 따라 하방에 위치한 조리용기(190a)로 2차로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계란이 1차로 수용된 수용단(181)이 도 6b와 같이 수직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 그 하부 투하 영역에 조리용기(190a)를 위치시켜서 투하된 계란을 수용하거나, 수용단(181)의 상부에 조리용기(190a)를 올려놓는 방식으로 계란을 투하할 수 있다.
조리부(190)는 도 7과 같은 700W급 마그네트론(MAGNETRON)(191)이 자동 개폐 도어(autodoor)를 구비한 챔버(chamber)로 구성된 조리실 내부에 부착됨으로써, 조리용기(190a)가 챔버 내부로 이송되면, 자동 개폐 도어에 대한 중앙 제어장치(150)에 의한 닫힘(Close) 제어가 수행되고, 중앙 제어장치(150)에 의한 마그네트론(191) 제어를 통해 초고주파 출력에 따른 조리용기(190a)에 담긴 상품에 해당하는 라면 또는 피자를 조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조리부(190)는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100) 중 중앙 제어장치(15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 8의 동작을 수행하기 이전에, 중앙 제어장치(150)는 전원부(150a)에 포함된 누전차단기에 대한 온(ON) 신호에 따라 내부의 환기 팬 모터, 냉각유닛을 구성하는 냉각 팬 모터 등이 동작되도록 제어한 뒤, 조명 S/W 모듈(150b)에 대한 요청을 통해 상품 진열부(110) 내부의 상품으로 광원을 투사하는 조명, 선택부(120) 및 금액 투입부(130) 등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램프(LAMP)가 형성된 영역에 대한 조명 온(ON)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중앙 제어장치(150)를 구성하는 컨트롤보트(151)는 "판매대기 단계"로 진입하여 금액 투입부(130)로 동전 또는 지폐 투입을 대기함으로써, 코인 메카니즘 알고리즘에 의해 상품 매진 S/W 모듈이나 잔돈 보유 여부 등 여러 조건을 점검한 뒤, 선택부(120)를 구성하는 각 상품 매진시 선택버튼(121)에 대한 매진램프(123), 잔돈 보유 여부에 따라 동전(100원, 500원) 감지램프 또는 지폐 감지램프를 켜거나 끄며, 모든 판매 조건이 만족하면 금액 투입부(130) 상의 "판매중" 램프가 켜지면서 언제든지 상품이 판매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컨트롤 보드(151)는 "금액투입 단계"로 동전 또는 지폐를 투입하면 선별기 모듈(131)을 통해 투입되는 동전 및 지폐의 무게, 크기, 두께 등을 감지한다. 이에 따라 컨트롤 보드(151)는 위화로 판단시, 거스름모터(132)를 제어하여 반환구(133)로 동전 또는 지폐를 반출하고, 정화로 판단시 금종 나눔 레버가 작동하여 동전 및 지폐를를 종류별로 분류하여 잔돈 튜브(134)로 흘려 보낸다. 컨트롤 보드(151)는 잔돈 튜브(134) 내부에 대한 센싱(영상 감지 또는 발광부/수광부 방식)을 통해 잔돈 튜브(134)가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차면 저장 케이스(135)로 향하는 통로를 열어 다음에 투입되는 주화 또는 지폐는 저장 케이스(135)로 흘려 보내도록 제어한다. 한편, 컨트롤 보드(151)는 "금액투입 단계"에서 투입된 동전 또는 지폐가 설정된 상품 가격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만족하면 만족하는 선택버튼(121)의 판매가능램프(122)에 대한 온(ON) 제어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컨트롤 보드(151)는 "판매동작 단계"로 이용자가 판매가능램프(122)가 켜진 선택버튼(121)을 입력시 드라이브 보드(152)로 출력 신호를 보낸다. 그러면 드라이브 보드(152)는 드라이브 보드(152)와 연결된 복수의 계전기(Relay, 릴레이) 및/또는 복수의 트랜지스터(TR)에 대해서 시퀀스에 맞게 동작시킨다. 여기서 시퀀스에는 조리용기 이동장치, 이송부(170) 구동을 위한 모터, 계란 투입장치(180)로 계란 투입을 위한 계란 적재함(미도시)을 구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재료 투입용 모터, 이송부(170)에 상품이 투입된 조리용기(190a) 내부로의 온수 투입을 위한 온수밸브, 그 밖의 상술한 솔레노이드에 대한 작동 과정을 포함하며, 상품 배출구(140)로의 상품 배출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계전기(Relay, 릴레이)는 검출된 정보를 갖고 있는 제어 전류의 유무 또는 방향에 따라 다른 회로를 여닫는 장치로 전력 시스템에 합선이나 접지 사고가 발생할 경우, 또는 절연 파괴의 원인이나 계통의 나머지 부분에 악영향을 주는 이상 상태가 생겼을 때, 이를 검출하여 차단기를 동작시켜 사고 부분을 신속히 계통에서 분리하도록 지령을 내보낸다.
다음으로, 컨트롤 보드(151)는 "판매완료 단계"로 상술한 판매동작 단계로 상품 판매가 완료 후 1회 판매 설정을 해 놓은 경우 동전계산장치(136)에 대한 요청을 통해 거스름 돈이 있는 경우 반환하고 다시 판매대기 상태로 복귀한다. 연속 판매시에는 잔액이 판매 금액보다 부족할 때만 자동으로 거스름돈을 반환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100) 중 추가되는 판매 기구부, 그리고 전력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원부(150a)로부터 전원이 공급에 따라 히터탱크(220)에 물이 있는 경우 히터에 전원이 공급하여 물을 가열하게 되는데, 이때 중앙 제어장치(150)는 물의 온도를 온도조절장치(thermostat, 서모스탯, 서모) 및 센서를 통해 95℃ 내지 98 ℃ 이내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중앙 제어장치(150)는 히터탱크(220) 내에 물감지 S/W(Flot, 플로트, 부자(浮子))가 장착되어 있어 적정 수위를 채우지 못하면 급수밸브(또는 급수펌프)가 동작하여 물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물을 공급하지 못하면 하한 S/W의 동작에 따라 히터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냉장 유닛(21)이 복합 자판기 시스템 본체 내부에 적재된 상품을 냉각시킬 수 있으며, 이때, 중앙 제어장치(150)는 상품의 냉각을 온도조절장치 및 센서를 통해 조절하며, 일 실시예로, 온도조절을 위해 수동복귀형 바이메탈(bi-metal)이 설치되어 온도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
110 : 상품 진열부
120 : 선택부
130 : 금액 투입부
140 : 상품 배출구
150 : 중앙 제어장치
160 : 적재장치부
170 : 이송부
180 : 계란 투입장치
190 : 조리부
190a : 조리용기

Claims (6)

  1. 상품 진열부(110); 선택부(120); 금액 투입부(130); 상품 배출구(140);
    복합 자판기 시스템 본체 내부에 앵글로 제작된 거치대 상부 적재 위치에 밀어넣는 형식의 복수의 적재함(carrier)으로 이루어지며, 각 적재함 내부에 판매될 상품을 적재하고 적재함 내부의 스토퍼(STOPPER)(161)를 스프링 또는 실린더을 활용하는 가압장치(162)에 의한 전방 압력에 의해 앞으로 밀착시켜 상술한 그립장치(GRIP UNIT)(172)에 의해 상품이 픽업되면, 픽업된 상품 후단에 적재된 상품을 앞으로 이송시키는 구조를 갖는 적재장치부(160);
    다관절 로봇 및 컨베이어 벨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선택이송장치(171) 및 그립장치(GRIP UNIT)(172)로 이루어져서, 선택이송장치(171)가 LM GUIDE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 웨이(GUIDE WAY) 상에서 이동하는 LM 블록에 대한 "x-y-z" 축(axis) 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x, y, z 축 이동용 스텝 모터(step motor)를 구비하며, 선택이송장치(171)를 구성하는 LM 블록은 LM GUIDE를 이용하여 고정 위치(Default Position)에서 선택부(120)를 통해 선택된 라면 또는 피자에 해당하는 상품의 위치로 "x-y-z" 축(axis) 상을 이동하며, 각 "x-y-z" 축 이동용 스텝 모터에 의한 LM GUIDE를 따라 선택된 상품에 대해서 미리 지정된 경로와 거리에 대해서 중앙 제어장치(150)에 의한 제어를 받으며, 그립장치(GRIP UNIT)(172)가 선택이송장치(171)와 연결된 구조로 2개의 2절 링크(172a)와 기어 구조로 연결된 스텝 모터에 대한 중앙 제어장치(150)에 대한 제어에 따라 회전시 선택부(120)를 통해 선택된 상품을 그립(grip) 한 뒤, 투입용 모터(172b)와 연결된 기어 회전을 이용한 상품을 90˚를 회전시켜 조리용기(190a)에 투입시키는 이송부(170);
    피자용이 아닌 라면을 판매하기 위해서 수용단(181), 고정단(182), 타격단(183), 튐방지단(184)이 하부에서 상부로 순차적으로 이격된 구조로 형성되며, 추가로 난각 필터부(180a), 난각 처리장치부(180b), 세척액 배출부(180c), 세척분사 장치부(180d)가 더 포함되며, 계란 투입에 따라 처리된 난각이 하부로 낙하되는 경우, 난각 필터부(180a)가 액체상의 계란 성분을 제외한 고형분 형태의 난각을 처리하기 위해 메쉬 형태의 필터로 형성되어, 처리된 난각을 난각 처리장치부(180b)로 제공하며, 난각 처리장치부(180b)가 난각 필터부(180a)에 의해 분리된 난각을 분쇄하는 분쇄날을 이용해 분상체로 형성하여, 세척액 배출부(180c)와 공통으로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 외부(하수도)로 배출하며, 세척액 배출부(180c)가 세척분사 장치부(180d)에 의해 분사된 분사액에 의해 계란 투입장치(180)에 대한 세척이 완료된 슬러지를 포함한 액체를 난각 처리장치부(180b)와 공통으로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 외부(하수도)로 배출하며, 세척분사 장치부(180d)가 계란 투입장치(180)의 상부에 형성됨으로써,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계란 투입장치(180)로 세척액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을 포함하여 노즐을 이용한 세척을 수행하며, 계란 투입장치(180) 하부에 계란을 1열로 담은 계란 적재함에서 계란이 1개씩 지그(JIG)에 투입되면, 지그에 올려진 하나의 계란의 양단을 고정단(182)에 의한 그립 동작(grip operation)이 지그에 올려진 계란의 양쪽을 솔레노이드(SOLENOID) 구동 방식으로 고정단(182)의 양단의 간격 조절 방식에 의해 수행하며, 고정단(182)에 의하여 그립(grip)이 수행되면, 고정단(182)의 상부에 이격되어 형성된 타격단(183)이 솔레노이드 구동 방식으로 계란의 양측면을 타격하며 동시에 양쪽의 고정단(182)이 벌려져 계란을 조리용기(190a)에 담으며, 고정단(182)이 실린더 또는 모터 구동 방식에 의해 타격단(183) 사이의 높이가 중앙 제어장치(150)에 의해 제어되며, 타격단(183)에 의한 타격시 고정단(182)의 양단이 수평면을 기준으로 각기 다르게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 제어되어, 계란의 내부 액체가 고정단(182)의 양단에 묻는 것을 방지하며, 타격단(183)에 의해 난각이 제거된 계란이 직접적으로 조리용기(190a)로 투하되거나, 수용단(181)에 1차로 수용된 뒤, 중앙 제어장치(150)에 의한 수용단(181)의 받침면을 구성하는 개폐 영역에 대한 중앙 제어장치(150)에 의한 개방 제어에 따라 하방에 위치한 조리용기(190a)로 2차로 수용되도록 하는 계란 투입장치(180);
    좌우가 구분되어 피자용과 라면용으로 각기 개별적으로 설치되며, 700W급 마그네트론(MAGNETRON)(191)이 자동 개폐 도어(autodoor)를 구비한 챔버(chamber)가 내부에 부착됨으로써, 조리용기(190a)가 챔버 내부로 이송되면, 자동 개폐 도어에 대한 중앙 제어장치(150)에 의한 닫힘(Close) 제어가 수행되고, 중앙 제어장치(150)에 의한 마그네트론(191) 제어를 통해 초고주파 출력에 따른 조리용기(190a)에 담긴 상품에 해당하는 라면 또는 피자를 조리하는 조리부(190); 및
    컨베이어벨트 방식, 다중 관절 로봇에 대한 중앙 제어장치(150)의 위치 제어, 이송부(170)의 선택이송장치(171)를 활용하고 천연펄프를 압축하여 제작하되, 라면용인 경우 이송부(170), 계란 투입장치(180), 조리부(190), 상품 배출구(140)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며 조리스프가 미리 설정된 양만큼 미리 담겨 있거나 가열 상태의 물 또는 증기에 녹는 커버로 덮여서 수용되어 최종적으로 상품 배출구(140)로부터 배출되며, 피자용인 경우 내부에 냉장된 피자가 제공시 조리부(190)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론(MAGNETRON)(191)을 이용해 가열 전에 내장된 피자의 보관을 위한 보관장치가 추가로 구비되는 조리용기(190a); 및
    전원부(150a)에 포함된 누전차단기에 대한 온(ON) 신호에 따라 내부의 환기 팬 모터, 냉각유닛을 구성하는 냉각 팬 모터이 동작되도록 제어한 뒤, 조명 S/W 모듈(150b)에 대한 요청을 통해 상품 진열부(110) 내부의 상품으로 광원을 투사하는 조명, 선택부(120) 및 금액 투입부(13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램프(LAMP)가 형성된 영역에 대한 조명 온(ON) 제어를 수행하고, 중앙 제어장치(150)를 구성하는 컨트롤보트(151)가 "판매대기 단계"로 진입하여 금액 투입부(130)로 동전 또는 지폐 투입을 대기함으로써, 코인 메카니즘 알고리즘에 의해 상품 매진 S/W 모듈이나 잔돈 보유 여부 조건을 점검한 뒤, 선택부(120)를 구성하는 각 상품 매진시 선택버튼(121)에 대한 매진램프(123), 잔돈 보유 여부에 따라 동전 감지램프 또는 지폐 감지램프를 켜거나 끄며, 판매 조건이 만족하면 금액 투입부(130) 상의 "판매중" 램프가 켜지면서 상품이 판매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기본 동작을 수행하며, 전원부(150a)로부터 전원이 공급에 따라 히터탱크(220)에 물이 있는 경우 히터에 전원이 공급하여 물을 가열하게 되면, 물의 온도를 온도조절장치(thermostat, 서모스탯, 서모) 및 센서를 통해 95℃ 내지 98 ℃ 사이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히터탱크(220) 내에 물감지 S/W(Flot, 플로트, 부자(浮子))가 장착되어 있어 적정 수위를 채우지 못하면 급수밸브(또는 급수펌프)가 동작하여 물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물을 공급하지 못하면 하한 S/W의 동작에 따라 히터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중앙 제어장치(150); 를 포함하며,
    중앙 제어장치(150)는,
    "금액투입 단계"로 동전 또는 지폐를 투입하면 선별기 모듈(131)을 통해 투입되는 동전 및 지폐의 무게, 크기, 두께를 감지한 뒤, 위화로 판단시, 거스름모터(132)를 제어하여 반환구(133)로 동전 또는 지폐를 반출하고, 정화로 판단시 금종 나눔 레버가 작동하여 동전 및 지폐를 종류별로 분류하여 잔돈 튜브(134)로 흘려 보내며, 잔돈 튜브(134) 내부에 대한 센싱(영상 감지 또는 발광부/수광부 방식)을 통해 잔돈 튜브(134)가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차면 저장 케이스(135)로 향하는 통로를 열어 다음에 투입되는 주화 또는 지폐는 저장 케이스(135)로 흘려 보내도록 제어하며, "금액투입 단계"에서 투입된 동전 또는 지폐가 설정된 상품 가격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만족하면 만족하는 선택버튼(121)의 판매가능램프(122)에 대한 온(ON) 제어를 수행하며, "판매동작 단계"로 이용자가 판매가능램프(122)가 켜진 선택버튼(121)을 입력시 드라이브 보드(152)로 출력 신호를 보내는 컨트롤 보드(151);
    드라이브 보드(152)와 연결된 복수의 계전기(Relay, 릴레이) 및 복수의 트랜지스터(TR)에 대해서 시퀀스에 맞게 동작시키며, 시퀀스에는 조리용기 이동장치, 이송부(170) 구동을 위한 모터, 계란 투입장치(180)로 계란 투입을 위한 계란 적재함을 구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재료 투입용 모터, 이송부(170)에 상품이 투입된 조리용기(190a) 내부로의 온수 투입을 위한 온수밸브, 솔레노이드에 대한 작동 과정과, 상품 배출구(140)로의 상품 배출 과정을 제어하는 드라이브 보드(15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중앙 제어장치(150)는,
    검출된 정보를 갖고 있는 제어 전류의 유무 또는 방향에 따라 다른 회로를 여닫는 장치로 전력 시스템에 합선이나 접지 사고가 발생할 경우, 또는 절연 파괴의 원인이나 계통의 나머지 부분에 악영향을 주는 이상 상태가 생기면 검출하여 차단기를 동작시켜 사고 부분을 계통에서 분리하도록 지령을 내보내는 계전기(Relay, 릴레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복합 자판기 시스템 본체 내부에 적재된 상품을 냉각시키는 경우, 중앙 제어장치(150)가 상품의 냉각을 온도조절장치 및 센서를 통해 조절하며, 온도조절을 위해 수동복귀형 바이메탈(bi-metal)이 설치되어 온도조절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보관장치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는 냉장 유닛; 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101070A 2017-08-09 2017-08-09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 KR101990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070A KR101990686B1 (ko) 2017-08-09 2017-08-09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070A KR101990686B1 (ko) 2017-08-09 2017-08-09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744A KR20190016744A (ko) 2019-02-19
KR101990686B1 true KR101990686B1 (ko) 2019-06-20

Family

ID=65528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070A KR101990686B1 (ko) 2017-08-09 2017-08-09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6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4286A (ko) * 2021-03-26 2022-10-05 박태순 비접촉식 온도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인덕션 및 이를 포함한 자동 조리 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323B1 (ko) * 2021-03-19 2022-11-07 박태순 요리 재료 디스펜서 자동화 시스템
KR102440402B1 (ko) * 2022-04-22 2022-09-07 안상근 라면 자판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3815A (en) * 1988-03-25 1990-02-27 I.V.D.M. Ltd. Automatic vending machine and system for dispensing articles
KR970047485A (ko) 1995-12-30 1997-07-26 배순훈 압축기의 냉매파이프 배관방법
KR20030072720A (ko) * 2002-03-06 2003-09-19 주식회사 코리아인터프라이즈 계란자동판매기의 배출장치 및 방법
KR101152665B1 (ko) 2009-11-25 2012-06-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로 코팅된 조직친화성 금속 생체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03291B1 (ko) * 2010-09-27 2012-01-11 김명환 식품 자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4286A (ko) * 2021-03-26 2022-10-05 박태순 비접촉식 온도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인덕션 및 이를 포함한 자동 조리 제어 시스템
KR102474283B1 (ko) * 2021-03-26 2022-12-05 박태순 비접촉식 온도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인덕션 및 이를 포함한 자동 조리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744A (ko) 201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3091B1 (ko) 식품 자동 조리장치
KR101990686B1 (ko)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
US3870193A (en) Apparatus for heating and dispensing french fried potatoes
US4803917A (en) Automatic apparatus to cook and serve ready-to-eat pasta helpings after the italian manner
US3667373A (en) Automatic machine for vending fried foods
KR930011427B1 (ko) 면류의 자동가공조리 판매장치
US3482509A (en) Sandwich cooking and dispensing machine
US10991193B2 (en) Vending machine for dispensing heated granular foodstuffs
US2017293A (en) Pop corn vending machine
KR101895049B1 (ko) 압력용기를 이용한 라면 자동판매장치
KR200282531Y1 (ko) 컵라면 자동판매기의 컵라면 이송트레이
US20020152896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vending pasta and sauce with powdered sauce
JP7234689B2 (ja) 飲料供給装置
KR102158361B1 (ko) 라면자판기를 이용한 조리라면 제공방법
KR19990014173U (ko) 자동화된 라면 자판기
KR101326617B1 (ko) 피자 자동판매기
JP2012066076A (ja) 粉体から飲料を製造するディスペンサ
JP2956672B2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US20020152899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vending pasta and sauce
KR200282536Y1 (ko) 컵라면자동판매기
JP6443025B2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JP3123642B2 (ja) 原料パック手動セット型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KR101001183B1 (ko) 자동판매기
JP2956673B2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WO1993011690A1 (en) Apparatus, components and method for preparing, cooking and dispensing individual orders of a hot food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