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9031A - 로봇의 다이렉트 교시방법 - Google Patents

로봇의 다이렉트 교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9031A
KR20180069031A KR1020187013596A KR20187013596A KR20180069031A KR 20180069031 A KR20180069031 A KR 20180069031A KR 1020187013596 A KR1020187013596 A KR 1020187013596A KR 20187013596 A KR20187013596 A KR 20187013596A KR 20180069031 A KR20180069031 A KR 20180069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er arm
arm
coordinate system
robot
m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키 와타나베
마사유키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filed Critical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9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0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28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loop
    • B25J9/163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loop learning, adaptive, model based, rule based expert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2Hand grip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3/00Manipulators of master-slave type, i.e. both controlling unit and controlled unit perform corresponding spatial movements
    • B25J3/04Manipulators of master-slave type, i.e. both controlling unit and controlled unit perform corresponding spatial movements involving servo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81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with master teach-i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8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omprising a plurality of manipulators
    • B25J9/0087Dual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8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omprising a plurality of manipulators
    • B25J9/009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omprising a plurality of manipulators being mechanically linked with one another at their distal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 B25J9/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by rotating at least one arm, excluding the head movement itself, e.g. cylindrical coordinate type or polar coordinate type
    • B25J9/041Cylindrical coordinate type
    • B25J9/042Cylindrical coordinate type comprising an articulated arm
    • B25J9/044Cylindrical coordinate type comprising an articulated arm with forearm providing vertical linear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special application, e.g. multi-arm co-operation, assembly, gras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82Dual arm manipulator; Coordination of several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92Calibration of manipulat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2Recording and playback systems, i.e. in which the programme is recorded from a cycle of operations, e.g. the cycle of operations being manually controlled, after which this record is played back on the same machin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2Recording and playback systems, i.e. in which the programme is recorded from a cycle of operations, e.g. the cycle of operations being manually controlled, after which this record is played back on the same machine
    • G05B19/423Teaching successive positions by walk-through, i.e. the tool head or end effector being grasped and guided directly, with or without servo-assistance, to follow a path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6Nc in input of data, input key till input tape
    • G05B2219/36401Record play back, teach position and record it then play ba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복수의 로봇암(10) 중 1 개를 마스터암(10M)으로 지정하고, 나머지의 로봇암중 적어도 1 개를 슬레이브암(10S)으로 지정하고, 교시자가 툴(5)을 포함하는 마스터암(10M)의 임의의 개소에 직접적으로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마스터암(10M)을 임의의 교시위치로 움직이고 있는 동안에, 마스터암(10M)의 리스트부(13)와 슬레이브암(10S)의 리스트부(13)와의 상대적 위치 및 자세가 소정의 관계가 되도록, 슬레이브암(10S)을 마스터암(10M)에 대해 협조동작시키고, 마스터암(10M)이 임의의 교시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의 마스터암(10M) 및 슬레이브암(10S)의 적어도 한쪽의 위치정보를 기억한다.

Description

로봇의 다이렉트 교시방법
본 발명은, 복수의 로봇암을 구비한 로봇의 다이렉트(direct) 교시방법(敎示方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산업용 로봇의 동작프로그램은 로봇으로의 교시에 의해 작성되고, 로봇은 티칭 플레이백(teaching playback) 기능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산업용 로봇의 교시방식의 하나로서, 다이렉트 교시방식이 알려져 있다. 다이렉트 교시방식에서는, 교시자가 로봇의 암을 교시하고 싶은 위치까지 수동으로 움직여서, 로봇 자신이 위치센서의 위치정보(즉, 교시위치)를 기억하는 것에 의해 교시가 행해진다. 특허문헌 1에서는, 이러한 종류의 로봇의 교시에 관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관계되는 다이렉트 교시방식 로봇은, 리스트부에 가해지는 힘을 검출하는 역각(力覺)센서가 그 리스트부에 설치되고, 이 검출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컴플라이언스(compliance)제어에 의해 동작하고, 교시자(敎示者)가 툴(tool)에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로봇을 이동시키고, 교시자가 의도하는 위치에 수조작(手操作)으로 툴을 위치하게 해서 위치정보를 로봇에 입력하는 것이다. 이 로봇에서는, 툴이 선단(先端)을 이동할 때에 로봇의 동작을 구속받지 않는 자유로운 움직임과, 특정한 직선상, 혹은 면상(面上)에 구속되는 움직임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런데, 복수의 로봇이 협조하면서 작업하는 멀티 로봇 시스템(Multi robot system)이 구축되는 일이 있다. 복수의 로봇의 협조작업에는, 복수의 로봇이 서로 충돌을 회피하면서의 동작, 복수의 로봇으로 하나의 대상물을 핸들링(handling)하는 동작 등이 있다.
일본국 특개 평9-141580호 공보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리스트부나 툴(tool)에 가해지는 외력을 검출 또는 추정해서, 그 외력에 응해 툴을 이동시키도록 로봇이 동작한다. 그 때문에, 로봇은 역각센서를 구비하고 있고, 제어가 복잡해진다. 또 로봇이 검출된 외력에 기초해서 동작하므로, 교시자가 로봇암 또는 툴을, 직접적으로 힘을 주어서 움직이게 하는데 있어서, 로봇암 또는 툴의 위치의 미세조정(微調整)이 어렵다.
통상, 로봇의 다이렉트 교시작업에서는, 로봇암을 1 개씩 교시하는 것이 상정(想定)되어 있지만, 복수의 로봇암을 다이렉트교시하게 되면, 1 개의 로봇암조차 전술한 대로 위치의 미세조정이 어려운 것이기 때문에, 복수의 로봇암의 상대적인 위치나 자세를 엄밀하게 조정하는 작업은 전문성이 높아 매우 번잡한 작업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에 비추어 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복수의 로봇암을 구비한 로봇에 있어서, 복수의 로봇암을 연계(連係)시키면서 다이렉트교시하는데 있어서, 그 교시작업을 간이(簡易)하게 하는 기술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에 관계되는 로봇의 다이렉트 교시방법은, 복수의 로봇암을 구비한 로봇의 다이렉트 교시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로봇암 중 1 개를 마스터암(master arm)으로 지정하고, 나머지의 로봇암 중 적어도 1 개를 슬레이브암(slave arm)으로 지정하고,
교시자가 툴을 포함하는 상기 마스터암의 임의의 개소에 직접적으로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상기 마스터암을 임의의 교시위치로 움직이고 있는 동안에, 상기 마스터암의 리스트부와 상기 슬레이브암의 리스트부와의 상대적 위치 및 자세가 소정의 관계가 되도록, 상기 슬레이브암을 상기 마스터암에 대해 협조동작시키고,
상기 마스터암이 상기 임의의 교시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의 상기 마스터암 및 상기 슬레이브암의 위치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로봇의 다이렉트 교시방법에 의하면, 교시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움직여지고 있는 마스터암의 움직임에 추종해서, 마스터암의 리스트부와 슬레이브암의 리스트부와의 상대적 위치 및 자세가 소정의 관계를 유지하도록 슬레이브암이 자동적으로 협조동작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로봇암의 교시작업에 있어서, 복수의 로봇암의 상대적인 위치 및 자세를 조정하기 위한 번잡하고 전문성이 높은 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교시작업이 단순해진다. 또 교시자는 로봇암의 위치 및 자세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교시자는 복수의 로봇암의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로봇암을 구비한 로봇에 있어서, 복수의 로봇암을 연계시키면서 다이렉트교시하는데 있어서,그 교시작업을 간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다관절 로봇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정면도이다.
도 2는 로봇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3은 로봇의 제어계통의 개략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로봇의 제어계통의 개략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서보(servo)제어부를 중심으로 한 구체적인 전기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로봇암의 표준점의 이동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7은 좌표변환행렬 Q에 의한 좌표변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다이렉트교시 동작시의 제어장치의 처리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다관절 로봇(이하, 단지 "로봇(1)"이라는 경우가 있음)은, 예를 들면, 라인(line) 생산방식 또는 셀(cell) 생산방식으로, 전기·전자부품 등을 조립해서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공장에서 이용되고, 이 생산공장에 설치된 작업대를 따라서 배치되고, 작업대 상의 워크(work)에 대해, 이송, 파츠(parts)의 조립 부착이나 배치바꾸기, 자세변환 등의 작업 중 적어도 하나를 행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에 관계되는 로봇의 실시 태양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수평다관절형·수직다관절형을 불문하고 다관절 로봇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먼저, 로봇(1)의 개략 구성으로부터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로봇(1)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그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1 및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봇(1)은, 대차(臺車)(17)와, 대차(17)에 지지된 한 쌍의 로봇암(이하, 단지 "암"이라고 함)(10A, 10B)과, 각 암(10A, 10B)의 선단에 장착된 툴(5)(엔드 이펙터((end effecter))과, 암(10A, 10B) 및 툴(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6)를 구비하고 있다.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로봇(1)은, 좌우의 암(10A, 10B)을 구비한 양팔 로봇이다. 좌우의 암(10A, 10B)은, 독립적으로 동작하거나, 서로 관련되서 동작하거나 할 수 있다. 좌우의 암(10A, 10B)은 실질적으로 같은 구조이고, 좌우의 암(10A, 10B)을 구별하지 않을 때는 "암(10)"으로 첨자의 알파벳을 생략해서 나타낸다.
각 암(10)은 수평다관절형 로봇암으로서, 제1링크(11)와, 제2링크(12)와, 툴(5)이 부착되는 메커니컬 인터페이스(mechanical interface)를 갖는 리스트부(13)를 구비하고, 이들이 직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링크(11)는, 대차(17)의 상면에 고정된 기축(基軸)(16)과 회전관절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1링크(11)는, 기축(16)의 축심(軸心)을 통과하는 수직인 회전축선(L1) 주위로 회동 가능하다. 또 제2링크(12)는, 제1링크(11)의 선단과 회전관절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2링크(12)는, 제1링크(11)의 선단에 규정된 수직인 회전축선(L2) 주위로 회동 가능하다.
리스트부(13)는, 제2링크(12)의 선단과 직진관절 및 회전관절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리스트부(13)는, 직진관절에 의해, 제2링크(12)에 대해 승강이동(昇降 移動) 가능하다. 또 리스트부(13)는, 회전관절에 의해, 제2링크(12)에 대해 수직인 회전축선 주위로 회동(回動) 가능하다.
상기 구성의 암(10)은, 각 관절에 대응해서 설치된 4 개의 제어축(J1~J4)을 가진다. 그리고 암(10)에는, 각 제어축(J1~J4)에 대응되도록, 구동용 서보모터(servo motor)(M1~M4), 및, 서보모터(M1~M4)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엔코더(encoder)(E1~E4)(도 4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제어축(J1~J4)을 특별히 구별하지 않을 때는 "제어축(J)"으로 첨자의 숫자를 생략해서 나타내고, 각 서보모터(M1~M4)를 특별히 구별하지 않을 때는, "서보모터(M)"로 첨자의 숫자를 생략해서 나타내고, 각 엔코더(E1~E4)를 특별히 구별하지 않을 때는 "엔코더(E)"로 첨자의 숫자를 생략해서 나타내기로 한다.
상기 구성의 2 개의 암(10A, 10B)의 제1링크(11)의 회전축선(L1)은 동일 직선상에 있고, 한쪽의 암(10A)의 제1링크(11)와 다른 쪽의 암(10B)의 제1링크(11)는 상하로 고저차(高低差)를 만들어서 배치되어 있다. 로봇(1)의 기본좌표계의 원점은 제1링크(11)의 회전축선(L1) 상에 규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2 개의 암(10A, 10B)을 연계시켜서 동작시키는데 있어서, 그 제어·연산이 단순해진다.
이어서, 제어장치(6)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장치(6)는, 로봇(1)의 통상동작 및 교시동작을 제어한다. 도 3 및 도 4는, 로봇(1)의 제어계통의 개략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좌우의 암(10A, 10B)의 제어계통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도 4에서는 그 중 하나의 암(10)의 제어계통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져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장치(6)는, 호스트제어부(22)와, 각 암(10A, 10B)에 대응한 서보제어부(23A, 23B)와, 각 암(10A, 10B)에 대응한 구동부(24A, 24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호스트제어부(22)에서 2 개의 암(10A, 10B)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지만, 각 암(10A, 10B)에 대해 호스트제어부가 설치되어도 좋다. 2 개의 서보제어부(23A, 23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고, 각 서보제어부(23A, 23B)를 특별히 구별하지 않을 때는 "서보제어부(23)"로 첨자의 숫자를 생략해서 나타내기로 한다. 또 2 개의 구동부(24A, 24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각 구동부(24A, 24B)를 특별히 구별하지 않을 때는 "구동부(24)"로 첨자의 숫자를 생략해서 나타내기로 한다.
구동부(24)는, 암(10)의 제어축(J1~J4)의 각각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다. 단, 도 4에서는 1 개의 암(10)에 대해 설치된 4 개의 구동부(24) 중 하나가 상세하게 나타나고, 타구동부는 생략되어 있다. 각 구동부(24)에는 서보제어부(24)가 접속되고, 서보제어부(23)에는 호스트제어부(22)가 접속되며, 이들에 의해 제어장치(6)가 구성되어 있다.
호스트제어부(22)로 조작지령을 입력하는 입력장치(62)로서, 그래픽 인터페이스(graphic interface)를 갖는 태블릿형 컴퓨터가 이용된다. 입력장치(62)와 제어장치(6)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며, 교시자(조작자)가 입력장치(62)에 입력한 지령은 제어장치(6)에 입력된다. 이 입력장치(62)는, 로봇(1)을 교시할 때의 제어장치(6)로의 입력수단인 티칭 펜던트(teaching pendant)로서의 기능도 함께 구비하고 있다.
제어장치(6)는, 소위 컴퓨터로서, CPU 등의 연산처리부와, ROM, RAM 등의 기억부를 가지고 있다(모두 미도시). 기억부에는, 연산처리부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각종 고정데이터 등이 기억되어 있다. 연산처리부는, 예를 들면 입력장치(62) 등의 외부장치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 연산처리부는, 각종 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의 입력이나 각 제어대상으로의 제어신호의 출력을 행한다. 제어장치(6)에서는, 기억부에 기억된 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를 연산처리부가 읽어내서 실행함으로써, 로봇(1)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처리가 행해진다. 특히, 제어장치(6)의 호스트제어부(22)는, 로봇(1)을 교시할 때에 로봇(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교시제어부(22a)로서의 기능을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어장치(6)는 단일의 컴퓨터에 의한 집중제어에 의해 각 처리를 실행하여도 좋으며, 복수의 컴퓨터의 협동에 의한 분산제어에 의해 각 처리를 실행하여도 좋다. 또 제어장치(6)는, 마이크로 콘트롤러(microcontroller),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Programmable Logic Controller)(PLC)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호스트제어부(22)는, 위치지령치를 생성해서 서보제어부(23)로 출력한다. 서보제어부(23)는, 호스트제어부(22)로부터 취득한 위치지령치에 기초해서 구동지령치(토크(torque) 지령치)를 생성하고, 증폭회로(26)로 출력한다. 증폭회로(26)는, 입력된 구동지령치에 대응한 구동전류를 서보모터(M)로 공급한다. 서보모터(M)에는, 그 출력회전각 등을 검출하는 엔코더(E)가 설치되어 있다. 엔코더(E)로 검출된 회전각은, 호스트제어부(22) 및 서보제어부(23)로 전달된다.
도 5는, 서보제어부(23)를 중심으로 한 구체적인 전기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스트제어부(22)로부터 서보제어부(23)로 위치지령치가 입력되면, 입력된 위치지령치는 감산기(29)의 플러스측의 입력에 주어진다. 이 감산기(29)의 마이너스측의 입력에는, 엔코더(E)로 검출된 회전각을 표시하는 신호가 주어진다. 감산기(29)에서는, 위치지령치로부터 회전각이 감산된다.
감산기(29)의 출력은 계수기(係數器)(31)에 주어지고, 여기서 위치게인 (Kp)에서 증폭되고 나서, 가산기(32)의 한쪽의 입력에 주어진다. 이 가산기(32)의 다른 쪽의 입력에는, 엔코더(E)로부터의 회전각이 미분회로(微分回路)(33)에서 미분되고, 더 계수기(34)로 속도게인(Kv)에서 증폭된 것이 주어진다. 가산기(32)의 출력은, 적분기(積分器)(35)에 주어져서, 적분연산이 행해진다. 적분기(35)의 게인(G1)은, 다음의 제1식으로 나타난다. 또한, 제1식 (1)에 있어서, Kx는 정수(상수)이며, s는 연산자이다.
[수식 1]
Figure pct00001
상기 적분기(35)의 출력은 위상보상기(位相補償器)(36)에 주어져서 위상제어 동작시에 위상보상의 연산이 행해진다. 위상보상기(36)의 위상보상의 연산의 게인(G2)은, 다음의 제2식으로 나타난다. 또한, 제2식에 있어서 α는 상수이다.
Figure pct00002
위상보상기(36)의 출력은, 다른 하나의 가산기(37)의 한쪽의 입력에 주어진다. 이 가산기(37)의 다른 쪽의 입력에는, 엔코더(E)의 출력에 응답하는 중력보상연산기(22b)로부터의 출력(중력보상치)이 주어져서 가산되고, 그 가산출력은 구동지령치로서 증폭회로(26)로 입력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암(10)에서는, 복수의 제어축(J) 중 제3제어축(J3)에 중력에 의한 부하가 작용한다. 그래서, 제3제어축(J3)의 제어계통에서는 호스트제어부(22)에 중력보상연산기(22b)를 구비하고 있다. 다른 제어축의 구동부(24)의 제어계통에서는, 중력보상연산기(22b)는 구비되지 않거나, 또는 구비되어도 출력이 제로(zero)가 된다. 중력보상연산기(22b)는, 엔코더(E)로 검출한 제3제어축(J3)의 회전각에 기초해서 미리 기억된 계산식에 의해 중력보상치를 연산한다. 이로써, 제3제어축(J3)의 제어계통에서는, 서보제어부(23)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지령치에는, 중력보상연산기(22b)로부터 출력된 중력보상치가 가미되어 있으며, 그 결과, 중력보상토크가 발생하도록 제3제어축(J3)의 구동부(24)가 동작한다.
[다이렉트교시에 관계되는 제어]
여기서, 로봇(1)의 교시동작시의 제어장치(6)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먼저, 교시자는, 입력장치(62)를 이용해서 교시에 관계되는 각종 정보를 제어장치(6)로 입력한다.
예를 들면, 입력장치(62)에는, 2 개의 암(10A, 10B) 중 어느 한쪽을 단독으로 교시하는 단독교시(單獨敎示)이거나, 2 개의 암(10A, 10B)이 협조동작하도록 2 개의 암(10)을 연계시켜서 교시하는 협조교시(協調敎示)인가를 선택하는, 단독·협조선택화면이 나타난다. 단독·협조선택화면에서 단독의 선택이 입력되면, 이어서, 2 개의 암(10A, 10B) 중 어느 한 개를 교시하는 암으로서 선택하는 암 선택화면이 입력장치(62)에 나타난다. 또 단독·협조선택화면에서 협조의 선택이 입력되면, 이어서, 2 개의 암(10A, 10B) 중 어느 한쪽을 마스터암(10M)으로서 선택하는 암 선택화면이 입력장치(62)에 나타난다. 어떤 암 선택화면에서도, 2 개의 암(10A, 10B)중 어느 한쪽의 선택을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장치(62)에는, 교시방식을 선택하는 교시방식 선택화면이 나타난다. 교시자는, 이 교시방식 선택화면에서, 입력장치(62)를 티칭 펜던트로서 이용한 원격조작교시, 다이렉트교시 등의 복수의 교시방식으로부터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다이렉트교시가 선택된 경우에는, 입력장치(62)에는 암 이동모드를 선택하는 암 이동모드 선택화면이 표시된다. 교시자는, 이 암 이동모드 선택화면에서, 암(10) 또는 툴(5)에 규정된 소정의 표준점(K)이 자유롭게 움직이는 프리모드(free mode)와, 표준점(K)의 이동경로가 소정의 직선상, 소정의 평면상, 또는, 소정의 축 주위에 제한되는 제한모드와의 어느 한쪽을 선택할 수 있다. 표준점(K)은, 예를 들면, 리스트부(13)의 메커니컬 인터페이스 좌표계에 있어서 정한 툴의 대표점, 손목 표준점 등의 임의의 점에 규정된다. 여기서 제한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입력장치(62)에는 이동제한 지정화면이 표시된다. 교시자는, 이 이동제한 지정화면에서, 암(10)의 표준점(K)의 이동이 구속되는 직선, 평면, 또는 축을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2 개의 암(10A, 10B)의, 협조·제한모드다이렉트교시 동작시의 제어장치(6)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2 개의 암(10A, 10B)중 한쪽을 마스터암(10M)으로 하고 다른 쪽을 슬레이브암(10S)로 하며, 표준점(K)은 마스터암(10M)의 선단에 규정된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표준점(K)의 이동경로가 초기위치(PS)로부터 이동벡터(V)와 평행한 방향으로 제한된다. 그리고, 교시자가 마스터암(10M) 또는 툴(5)에 직접적으로 힘을 주어서, 초기위치(PS)에서의 툴(5)의 초기자세(S)를 유지한 채, 표준점(K)을 초기위치(PS)로부터 도면 중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소정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시킨다.
로봇(1)의 교시 중에는, 마스터암(10M)의 제어축(J) 중 동작이 허용되는 제어축(J)의 위치 및 속도의 각 게인이 충분히 낮게 설정된다. 그 때문에, 교시자가 마스터암(10M) 또는 그 툴(5)에 외력을 주어서 마스터암(10M)을 움직이게 하면, 표준점(K)에 변위가 생긴다. 이것이 엔코더(E)에 의해 검출되면, 표준점(K)의 변위를 소정의 이동경로에 투영하는 것에 의해 구해진 목표위치(Pcom), 환언하면, 소정의 이동경로가 가지는 방향성분만 표준점(K)의 현재위치(Pr)를 바꿔 놓은 목표위치(Pcom)가, 호스트제어부(22)에 의해 구해진다. 호스트제어부(22)는, 이 목표위치(Pcom)에 대응한 마스터암 위치지령치(Tcom)를 생성해서 서보제어부(23)로 출력한다. 이하, 제어장치(6)의 호스트제어부(22)에서 행해지는 구체적인 처리의 흐름에 대해, 도 8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장치(62)에 입력된 교시에 관계되는 각종 정보는, 제어장치(6)로 전달되고, 호스트제어부(22)는 이들의 정보를 취득해서, 위치지령치(Tcom)를 생성하기 위한 연산처리를 개시한다. 교시에 관계되는 각종 정보에는, 마스터암(10M)의 선택정보, 표준점(K)의 이동이 구속되는 직선, 평면, 또는 축 등의 이동제한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처리를 개시한 호스트제어부(22)는, 우선, 암 선택화면에서 입력된 정보에 기초해서, 2 개의 암(10A, 10B) 중 선택된 한쪽의 암을 마스터암(10M)으로 지정하고, 다른 쪽의 암을 슬레이브암(10S)으로 지정한다(스텝 S1). 그리고 호스트제어부(22)는, 마스터암(10M)의 엔코더(E)로부터 각 제어축(J)의 회전각을 취득하고, 이것에 기초해서 각 제어축(J)의 초기의 축 각도(θ0)를 검출한다(스텝 S2). 다음으로, 호스트 제어부(22)는, 마스터암(10M)의 각 축 각도(θ0)에 기초해서 표준점(K)의 기본좌표계의 초기위치(PS), 및, 툴(5)의 초기자세(S)를 구하고, 더 나아가, 마스터암(10M)의 초기위치(PS) 및 자세(S)를 표시하는 자세회전행렬(R(θ0))을 구한다(스텝 S3).
이어서, 호스트제어부(22)는, 이동벡터(V)를 산출한다(스텝 S4). 이동벡터(V)는, 표준점(K)이 허용되는 이동방향을 표시하는 단위벡터이다. 제어장치(6)는, 취득한 이동제한정보(즉, 이동이 구속되는 직선, 평면, 또는 축 등의 이동경로를 특정하는 정보)에 기초해서 이동벡터(V)를 구한다. 예를 들면, 표준점(K)의 이동경로가 어떤 직선상에 구속되는 경우, 이동벡터(V)는 그 직선과 평행한 단위벡터이다.
또 호스트제어부(22)는, 자세회전행렬(R(θ0)) 등을 이용해서, 좌표변환행렬(Q)을 산출한다(스텝 S5). 좌표변환행렬(Q)은, 기준좌표계의 좌표를 새로운 Q 좌표계의 좌표로 좌표변환하는 행렬이다. 좌표변환행렬(Q)은, 이동벡터(V)가 Q 좌표계의 x'y'z' 직교 3축 중의 하나, 예를 들면 x'축과 평행하게 되는 변환을 표시하는 행렬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좌표변환행렬(Q)에 의한 좌표변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표변환행렬(Q)은, 이동벡터(V)와, 기본좌표계의 x축을 Q 좌표계로 변환한 x'축이 평행하게 되는 변환을 행하는 행렬이다. 이와 같이 이동벡터(V)가 Q 좌표계의 x'y'z'직교 3축의 어느 1 축에 평행이면, Q 좌표계에서의 연산이 용이해진다.
이어서, 호스트제어부(22)는, 서보제어부(23)의 제어파라미터의 값을 변경한다(스텝 S6). 구체적으로는, 마스터암(10M)의 제어축(J) 중 동작이 허용된 제어축(J)에 대응하는 서보제어부(23)의, 계수기(31)의 위치게인(Kp) 및 계수기(34)의 속도게인(Kv)을 충분히 작게 설정하고, 적분기(35)의 게인(Kx)을 제로로 하고, 그 적분기(35)의 내용을 제로로 클리어(clear)해서, 다시 위상보상기(36)의 기능을 정지한다. 즉, 가산기(32)의 출력이 그대로 가산기(37)에 주어지도록 한다. 또한, 제어파라미터의 값의 변경(스텝 S6)은, 스텝 S1의 뒤에서부터 후술하는 스텝 S8의 앞까지의 사이에 행해지면 되는 것으로서, 그 처리 순서는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호스트제어부(22)는, 중력보상이 필요한 제어축(J)에 대해 중력보상을 개시한다(스텝 S7).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축(J3)을 구동하는 서보모터(M3)의 제어계통에 있어서 중력보상의 연산이 개시된다.
여기서, 교시자가 마스터암(10M) 또는 그 툴(5)의 임의의 개소에 직접적으로 힘을 가해서 마스터암(10M)을 움직여서, 표준점(K)을 소망의 교시점으로 서서히 이동시킨다. 이 이동하는 동안에 표준점(K)의 위치는 시시각각 변화하지만, 표준점(K)의 이동이 소정의 이동경로상에 규제되며, 동시에 교시자가 마스터암(10M) 또는 그 툴(5)에 주는 힘을 어시스트(assist)하도록 마스터암(10M)의 각 제어축(J)이 동작한다.
스텝 S8에 있어서, 호스트제어부(22)는, 표준점(K)이 변위하였을 때의 마스터암(10M)의 각 제어축(J)의 축 각도(θ1)를 검출한다. 호스트제어부(22)는, 검출된 각 제어축(J)의 축 각도(θ1)에 기초해서, 표준점(K)의 기본좌표계의 현재위치(Pr)를 산출한다(스텝 S9). 나아가, 스텝 S10에 있어서, 호스트제어부(22)는, 산출한 표준점(K)의 현재위치(Pr)를, Q 좌표계의 표준점(K)의 현재위치(Pr')로 좌표 변환한다(Pr'= Q·Pr).
스텝 S11에 있어서, 호스트제어부(22)는, 산출된 표준점(K)의 기본좌표계의 현재위치(Pr)에 기초해서, 기본좌표계에 있어서의 표준점(K)의 이동량(dPr)을 구한다. 나아가, 호스트제어부(22)는, 이동량(dPr)을 Q 좌표계에 있어서의 표준점(K)의 이동량(dPr')으로 변환한다(스텝 S12).
스텝 S13에 있어서, 호스트제어부(22)는, 현재위치(Pr')를 소정의 이동경로에 투영한 위치(투영위치)를 Q 좌표계의 목표위치(Pcom')로 한다(도 6 참조). 환언하면, 호스트제어부(22)는, 소정의 이동경로가 갖는 방향성분을 현재위치로 바꿔 놓은, Q 좌표계의 목표위치(Pcom')를 구한다. 예를 들면, x' 방향으로만 이동이 허용되어 있는 경우의 목표위치(Pcom')는, y' 성분 및 z'성분이 0이고, x' 성분은 이동량(dPr')의 x' 성분이다. 또, 예를 들면 x'y' 평면 내에서만 이동이 허용되어 있는 경우의 목표위치(Pcom')는, z' 성분이 0이고, x' 성분 및 y' 성분은 각각 이동량(dPr')의 x' 성분, y' 성분이다.
스텝 S14에 있어서, 호스트제어부(22)는, Q 좌표계의 목표위치(Pcom')를 기본좌표계로 역변환하고(Pcom = Q-1 Pcom'), 기본좌표계에서의 목표위치(Pcom)를 구한다.
스텝 S15에 있어서, 호스트제어부(22)는, 목표위치(Pcom) 및 자세(S)와 대응하는 마스터암 위치지령치(Tcom)를 생성한다. 나아가, 호스트제어부(22)는, 이 마스터암 위치지령치(Tcom)에 기초해서, 슬레이브암 위치지령치(Tcom')를 생성한다(스텝 S16).
마스터암 위치지령치(Tcom)(위치 및 자세)와, 슬레이브암 위치지령치(Tcom')(위치 및 자세)는, 미리 기억된 관계(소정의 관계)를 가진다. 이 "소정의 관계"는, 미리 호스트제어부(22)에 기억되어 있다. 혹은, 초기의 마스터암(10M)의 리스트부(13)와 슬레이브암(10S)의 리스트부(13)와의 상대적인 위치 및 자세를 구하고, 이것이 소정의 관계로서 호스트제어부(22)에 기억되어 있어도 좋다. 호스트제어부(22)는, 이 소정의 관계를 표시하는 변환행렬 등을 이용해서, 마스터암 위치지령치(Tcom)에 기초해서 슬레이브암 위치지령치(Tcom')를 생성할 수 있다.
호스트제어부(22)는, 상기와 같이 생성한 마스터암 위치지령치(Tcom)를 마스터암(10M)의 서보제어부(23)로 출력하는 동시에, 생성한 슬레이브암 위치지령치(Tcom')를 슬레이브암(10S)의 서보제어부(23B)로 출력한다(스텝 S17).
상기와 같이 마스터암 위치지령치(Tcom)를 취득한 마스터암(10M)의 서보제어부(23A)는, 마스터암 위치지령치(Tcom)에 기초해서 각 제어축(J)을 구동하고, 이것에 의해 마스터암(10M)이 동작한다. 이와 동시에, 슬레이브암 위치지령치(Tcom')를 취득한 슬레이브암(10S)의 서보제어부(23B)는, 슬레이브암 위치지령치(Tcom')에 기초해서 각 제어축(J)을 구동하고, 이것에 의해 슬레이브암(10S)이 동작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마스터암(10M)과 슬레이브암(10S)에서는, 마스터암(10M)의 리스트부(13)와 슬레이브암(10S)의 리스트부(13)와의 상대적인 위치 및 자세가 소정의 관계로 유지된다.
암(10)의 표준점(K)이 계속 변위하는 동안은, 상기의 스텝 S8에서부터 S17까지의 처리가 소정 시간 간격으로 반복된다. 그동안, 마스터암 위치지령치(Tcom)와 대응하는 지령각도(θcom)와 검출된 각 제어축(J)의 축 각도(θ)에 편차가 생기고 있으므로, 이 편차가 제로(zero)가 되도록 각 구동부(24)가 부귀환제어(負歸還制御)제어된다. 이로써, 교시자가 마스터암(10M)을 움직이게 하기 위해 암(10)으로 주는 힘이 어시스트된다.
그리고 마스터암(10M)의 표준점(K)이 교시자의 소망의 교시위치에 이르러, 교시자가 외력의 부여를 멈추면, 지령각도(θcom)와 검출된 각 제어축(J)의 축 각도(θ)와의 편차가 제로가 되어(스텝 S18에서 NO), 마스터암(10M)의 동작이 정지하고, 로봇(1)에 의한 어시스트힘이 멈춘다. 동시에, 슬레이브암(10S)도 정지한다.
마스터암(10M)이 변위하지 않게 되면, 호스트제어부(22)는, 입력장치(62)를 통해 교시자에게 위치교시지령의 입력을 재촉한다. 교시자가 입력장치(62)를 통해 호스트제어부(22)에 입력된 위치교시지령을 취득하면(스텝 S19에서 YES), 호스트제어부(22)는 표준점(K)의 현재위치정보(혹은, 마스터암(10M)의 위치정보 및 슬레이브암(10S)의 위치정보)를 교시위치의 하나로서 기록하고(스텝 S20), 중력보상연산을 종료하여(스텝 S21), 제어계통의 게인 등의 제어파라미터를 원래로 되돌린다(스텝 S22).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로봇(1)의 다이렉트 교시방법에서는, 제어장치(6)가, 2 개의 암(10)에 마스터암(10M)과 슬레이브암(10S)을 할당해서, 교시자가 툴(5)을 포함하는 마스터암(10M)의 임의의 개소에 직접적으로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마스터암(10M)을 임의의 교시위치로 움직이고 있는 동안에, 마스터암(10M)의 리스트부(13)와 슬레이브암(10S)의 리스트부(13)와의 상대적 위치 및 자세가 소정의 관계가 되도록, 슬레이브암(10S)을 마스터암(10M)에 대해 협조동작시킨다. 그리고 제어장치(6)는, 마스터암(10M)이 임의의 교시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의 마스터암(10M) 및 슬레이브암(10S)의 위치정보를 기억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교시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움직여지고 있는 마스터암(10M)의 움직임에 추종해서, 마스터암(10M)의 리스트부(13)와 슬레이브암(10S)의 리스트부(13)와의 상대적 위치 및 자세가 소정의 관계를 유지하도록 슬레이브암(10S)이 자동적으로 협조동작한다. 이것에 의해, 2 개의 암(10)의 교시작업에 있어서, 2 개의 암(10)의 상대적인 위치 및 자세를 조정하기 위한 번잡하고 전문성이 높은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교시작업이 단순해진다. 또 교시자는 암(10)의 위치 및 자세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교시자는 2 개의 암(10)의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로봇(1)의 다이렉트 교시방법에서는, 제어장치(6)가, 마스터암(10M) 및 슬레이브암(10S)이 움직이기 전의 마스터암(10M)의 리스트부(13)와 슬레이브암(10S)의 리스트부(13)와의 상대적 위치 및 자세를 소정의 관계로서 기억하고, 이것을 교시제어에 이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교시작업의 개시시에, 마스터암(10M)과 슬레이브암(10S)으로, 예를 들면, 핸들링되는 워크를 가지게 하는 것만으로, 마스터암(10M)의 리스트부(13)와 슬레이브암(10S)의 리스트부(13)와의 상대적 위치 및 자세의 관계를 설정할 수 있어 교시작업이 간이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로봇(1)의 다이렉트 교시방법에서는, 마스터암(10M)에 표준점(K)을 규정하고, 표준점(K)의 이동이 소정의 이동경로에 제한되는 제한모드와, 표준점(K)의 이동이 소정의 이동경로에 한정되지 않는 프리모드를 선택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다이렉트교시에 있어서 제한모드와 프리모드가 선택 가능하기 때문에, 교시자는 그 상황에 응해서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마스터암(10M) 및/또는 툴(5)에 교시자의 의도에 응한 이동을 하게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로봇(1)의 다이렉트 교시방법에서는, 교시자가 마스터암(10M)을 움직이고 있는 동안에, 마스터암(10M)의 제어축(J)의 축 각도(θ1)를 검출하고, 축 각도(θ1)에 기초해서 표준점(K)의 현재위치(Pr)를 구하고, 현재위치(Pr)를 소정의 이동경로(이동방향)에 투영한 위치를 목표위치(Pcom)로 하는 마스터암 위치지령치(Tcom)를 생성하고, 마스터암 위치지령치(Tcom)와 소정의 관계에 기초해서 슬레이브암 위치지령치(Tcom')를 생성하고, 슬레이브암 위치지령치(Tcom')에 기초해서 슬레이브암(10S)의 제어축(J)을 구동하는 동시에 마스터암 위치지령치(Tcom)에 기초해서 마스터암(10M)의 제어축(J)을 구동하는 것을, 마스터암(10M)의 제어축(J)의 각각에 대해 마스터암 위치지령치(Tcom)와 대응하는 축 각도(지령각도(θcom))와 검출된 축 각도(θ)와의 편차가 제로가 될 때까지 반복하고, 편차가 제로가 된 다음에 마스터암(10M) 및 슬레이브암(10S)의 적어도 한쪽의 위치정보를 제어장치(6)에 기억한다. 여기서, 로봇(1)의 다이렉트교시 중의 마스터암(10M)의 표준점(K)의 이동은, 소정의 이동경로 상에 제한되어 있다.
상기에서는, 로봇(1)의 다이렉트교시 중에, 제어장치(6)가, 마스터암(10M)의 각 축 각도(θ1)를 검출하고, 이것에 기초해서 현재위치(Pr)를 산출하고, 현재위치(Pr)를 미리 정하는 이동경로(이동방향)에 투영해서 목표위치(Pcom)를 구하고, 이 목표위치(Pcom)에 기초해서 마스터암 위치지령치(Tcom)를 생성하는 연산처리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로봇(1)의 다이렉트교시 중에, 마스터암(10M)의 각 제어축(J)이 마스터암 위치지령치(Tcom)에 기초해서 구동되는 것에 의해, 교시자가 마스터암(10M) 또는 툴(5)에 준 외력을 어시스트하도록 마스터암(10M) 자신이 동작한다. 여기서, 마스터암 위치지령치(Tcom)는 축차(逐次) 변화하는 마스터암(10M)의 각 축 각도(θ1)에 기초해서 축차 변경되므로, 표준점(K)이 교시자의 의도를 넘어서 이동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표준점(K)을 소망의 교시위치로 위치결정하는데 있어서, 마스터암(10M) 및/또는 툴(5)의 위치 미세조정(微調整)이 용이하다. 또 로봇(1)은, 종래 구비하고 있는 기능을 발휘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동작을 행할 수 있으므로, 마스터암(10M)에 부여된 외력을 검출하는 외력검출수단 및 그를 위한 제어가 불필요하다.
또 로봇(1)의 다이렉트교시 중에, 표준점(K)의 이동은 소정의 이동경로(소정의 이동방향)에 제한되므로, 설령 교시자가 마스터암(10M) 및 툴(5)에 준 외력의 방향이 표준점(K)의 이동방향과 일치하지 않아도, 표준점(K)은 소정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표준점(K)을 교시자의 소망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다이렉트교시 중의 마스터암(10M)의 각 제어축(J)의 동작에 의해 교시자가 마스터암(10M) 또는 툴(5)에 주는 힘이 어시스트되기 때문에, 교시자는, 정지마찰력(靜止摩擦力)이 큰 축(예를 들면, 기단측(基端側)의 제1제어축(J1)) 등을, 비교적 작은 힘으로 움직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 개의 마스터암(10M)에 대해 4 개의 제어축(J1~J4)을 구비한 로봇(1)의 다이렉트 교시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마스터암(10M)의 제어축(J)의 수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로봇(1)의 다이렉트 교시방법에서는, 마스터암(10M)의 제어축(J)의 위치게인 및 속도게인이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마스터암(10M)의 제어축(J) 중, 다이렉트교시 중에 동작이 허용되는 제어축(J)의 위치 및 속도의 각 게인이 충분히 낮게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교시자가 마스터암(10M) 또는 툴(5)에 준 힘에 의해 축이 변위하기 쉬워진다. 더욱이, 교시자가 마스터암(10M) 및 툴(5)에 주는 약간의 힘에 대해서도 어시스트힘을 생기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로봇(1)의 다이렉트 교시방법에서는, 마스터암(10M)의 제어축(J) 중 적어도 하나(제3제어축(J3))에 대해 중력보상연산을 행하고, 그 연산결과를 해당 제어축의 토크지령치(구동지령치)에 가산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로봇(1)의 다이렉트교시 중에, 마스터암(10M)의 제어축(J)의 자세가 변화하여도, 그 자세에 대응한 중력보상을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로봇(1)의 다이렉트 교시방법에서는, 교시자가 마스터암(10M)을 움직이게 하기 전에, 마스터암(10M)의 제어축(J)의 축 각도(θ0)에 기초해서 툴(5)의 초기자세(S)를 구하고, 교시자가 마스터암(10M)을 움직이고 있는 동안에 툴(5)의 초기자세가 유지되도록 마스터암 위치지령치(Tcom)가 생성된다.
이것에 의해, 로봇(1)의 다이렉트교시 중에, 툴(5)의 초기자세(S)를 유지한 채, 마스터암(10M)만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툴(5)의 초기자세(S)를 유지한 채, 툴(5)의 위치만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로봇(1)의 다이렉트교시 중에 툴(5)의 초기자세(S)를 유지하도록 하였으나, 로봇(1)의 다이렉트교시 중에, 마스터암(10M)의 이동에 수반해서 툴(5)의 위치 및 자세를 변화시키거나, 툴(5)의 위치를 고정해서 툴(5)의 자세만을 변화시키거나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로봇(1)의 다이렉트 교시방법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준점(K)의 소정의 이동경로가, 기본좌표계에서의 xyz 직교 3축에 있어서 x-y 평면과 평행한 어떤 직선상에 규정되어 있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 소정의 이동경로(이동방향)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표준점(K)의 초기위치(PS)와, 다음의 교시위치와의 관계에 기초해서 적절히 결정된다.
예를 들면, 표준점(K)의 소정의 이동경로가, 기본좌표계에서의 xyz 직교 3축방향의 어느 하나, 또는, 툴 좌표계의 xyz 직교 3축방향의 어느 하나와 평행한 직선상이라도 좋다. 또 예를 들면, 표준점(K)의 소정의 이동경로가, 기본좌표계에서의 xyz 직교 3축 중 2 개의 조합, 또는 툴 좌표계의 xyz 직교 3축 중 2개의 조합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상이라도 좋다. 또 예를 들면, 표준점(K)의 소정의 이동경로가, 기본좌표계에서의 xyz 직교 3축의 어느 하나, 또는, 툴 좌표계의 xyz 직교 3축의 어느 하나를 회전의 중심으로 하는 회전궤적상이라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로봇(1)의 다이렉트 교시방법에서는, 현재위치(Pr)로부터 마스터암 위치지령치(Tcom)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소정의 이동경로상의 이동벡터(V)를 구하고, 이동벡터(V)가 새로운 Q 좌표계의 x'y'z' 직교 3축의 어느 하나와 평행이 되도록 기본좌표계를 Q 좌표계로 변환하는 좌표변환행렬(Q)을 구하고, 기본좌표계의 표준점(K)의 현재위치(Pr)를 Q 좌표계로 좌표변환하고, Q 좌표계의 현재위치(Pr')를 소정의 이동경로에 투영한 위치를 Q 좌표계의 목표위치(Pcom')로 하고, 그 목표위치(Pcom')를 기본좌표계로 좌표변환해서 목표위치(Pcom)를 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좌표변환을 이용함으로써, 제어장치(6)의 연산처리를 단순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로봇(1)의 다이렉트 교시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암(10)을 구비한 로봇(1)에 있어서, 복수의 암(10)을 연계시키면서 다이렉트교시하는 것에 있어서, 그 교시작업을 간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호적(好適)한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구성은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로봇(1)은 2 개의 암(10A, 10B)을 구비한 양팔 로봇이지만, 로봇(1)이 구비하는 암(10)의 수는 3 개 이상의 복수여도 좋다. 이 경우, 전술한 스텝 S1에 있어서, 복수의 암(10)중 1 개를 마스터암(10M)으로 지정하고, 나머지의 암(10)중 적어도 1 개를 슬레이브암(10S)으로 지정한다. 여기서, 슬레이브암(10S)이 2 개 이상인 경우에는, 각 슬레이브암(10S)에 대해, 마스터암(10M)의 리스트부(13)와 슬레이브암(10S)의 리스트부(13)와의 상대적 위치 및 자세를 소정의 관계로서 제어장치(6)에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로봇(1)의 다이렉트교시 중에, 제어장치(6)는, 마스터암(10M)의 리스트부(13)와 슬레이브암(10S)의 리스트부(13)와의 상대적 위치 및 자세가 소정의 관계가 되도록, 각 슬레이브암(10S)을 마스터암(10M)에 대해 협조동작시킨다. 또한, 복수의 암(10) 중 마스터암(10M) 및 슬레이브암(10S)의 어디에도 지정되지 않았던 암(10)은, 로봇(1)의 다이렉트교시 중에 정지시켜 두어도 좋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많은 개량이나 다른 실시형태가 명백하다. 따라서, 상기 설명은, 예시로서만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을 실행하는 최선의 태양을 당업자에게 교시하는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고 그 구조 및/또는 기능의 상세를 실질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1: 로봇
5: 툴
6: 제어장치
10, 10A, 10B: 로봇암
22: 호스트제어부
22b: 중력보상연산기
23 (23A, 23B): 서보제어부
24 (24A, 24B): 구동부
26: 증폭회로
62: 입력장치
E (E1~E4): 엔코더
J (J1~J4): 제어축
K: 표준점
M (M1~M4): 서보모터

Claims (11)

  1. 복수의 로봇암을 구비한 로봇의 다이렉트 교시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로봇암 중 1 개를 마스터암으로 지정하고, 나머지의 로봇암 중 적어도 1 개를 슬레이브암으로 지정하고,
    교시자가 툴을 포함하는 상기 마스터암의 임의의 개소에 직접적으로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상기 마스터암을 임의의 교시위치로 움직이고 있는 동안에, 상기 마스터암의 리스트부와 상기 슬레이브암의 리스트부와의 상대적 위치 및 자세가 소정의 관계가 되도록, 상기 슬레이브암을 상기 마스터암에 대해 협조동작시키고,
    상기 마스터암이 상기 임의의 교시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의 상기 마스터암 및 상기 슬레이브암의 위치정보를 기억하는 로봇의 다이렉트 교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암 및 상기 슬레이브암이 움직이기 전의 상기 마스터암의 리스트부와 상기 슬레이브암의 리스트부와의 상대적 위치 및 자세를 상기 소정의 관계로서 기억하는 로봇의 다이렉트 교시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암에 표준점을 규정하고, 상기 표준점의 이동이 상기 소정의 이동경로에 제한되는 제한모드와, 상기 표준점의 이동이 상기 소정의 이동경로에 한정되지 않는 프리모드를 선택 가능한 로봇의 다이렉트 교시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점의 이동을 상기 소정의 이동경로 상에 제한하고,
    상기 교시자가 상기 마스터암을 움직이고 있는 동안에, 상기 마스터암의 제어축의 축 각도를 검출하고, 상기 축 각도에 기초해서 상기 표준점의 현재위치를 구하고, 상기 현재위치를 상기 소정의 이동경로에 투영한 위치를 목표위치로 하는 마스터암 위치지령치를 생성하고, 상기 마스터암 위치지령치와 상기 소정의 관계에 기초해서 슬레이브암 위치지령치를 생성하고, 상기 슬레이브암 위치지령치에 기초해서 상기 슬레이브암의 제어축을 구동하는 동시에 상기 마스터암 위치지령치에 기초해서 상기 마스터암의 상기 제어축을 구동하는 것을, 상기 마스터암의 상기 제어축의 각각에 대해 상기 마스터암 위치지령치와 대응하는 축 각도와 검출된 축 각도와의 편차가 제로(zero)가 될 때까지 반복하고,
    상기 편차가 제로가 된 다음에 상기 마스터암 및 상기 슬레이브암의 위치정보를 기억하는 로봇의 다이렉트 교시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암의 상기 제어축의 위치게인 및 속도게인이 임의로 설정가능한 로봇의 다이렉트 교시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암의 상기 제어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중력보상연산을 행하고, 그 연산결과를 해당 제어축의 토크지령치에 가산하는 로봇의 다이렉트 교시방법.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암을 움직이기 전에, 상기 마스터암의 상기 제어축의 축 각도에 기초해서 상기 마스터암에 부착된 상기 툴의 초기자세를 구하고, 상기 교시자가 상기 마스터암 또는 그것에 부착된 상기 툴을 움직이고 있는 동안에 상기 툴의 상기 초기자세가 유지되도록 상기 마스터암 위치지령치를 생성하는 로봇의 다이렉트 교시방법.
  8. 제4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점의 상기 소정의 이동경로가, 기본좌표계에서의 xyz 직교 3축방향의 어느 하나, 또는, 툴 좌표계의 xyz 직교 3축방향의 어느 하나와 평행한 직선상인 로봇의 다이렉트 교시방법.
  9.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점의 상기 소정의 이동경로가, 기본좌표계에서의 xyz 직교 3축 중 2 개의 조합, 또는 툴 좌표계의 xyz 직교 3축 중 2 개의 조합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상인 로봇의 다이렉트 교시방법.
  10.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점의 상기 소정의 이동경로가, 기본좌표계에서의 xyz 직교 3축의 어느 하나, 또는, 툴 좌표계의 xyz 직교 3축의 어느 하나를 회전의 중심으로 하는 회전궤적상인 로봇의 다이렉트 교시방법.
  11.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위치에서부터 상기 마스터암 위치지령치를 생성하는 것이, 상기 소정의 이동경로 상의 이동벡터를 구하고,
    상기 이동벡터가 새로운 좌표계의 xyz 직교 3축의 어느 하나와 평행해지도록, 기본좌표계를 상기 새로운 좌표계로 변환하는 좌표변환행렬을 구하고,
    상기 기본좌표계의 상기 표준점의 상기 현재위치를 상기 새로운 좌표계로 좌표변환하고,
    상기 새로운 좌표계의 상기 현재위치를 상기 소정의 이동경로에 투영한 위치를 상기 새로운 좌표계의 목표위치로 하고, 그 목표위치를 상기 기본좌표계로 좌표변환해서 상기 목표위치를 구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이렉트 교시방법.
KR1020187013596A 2015-11-24 2016-11-02 로봇의 다이렉트 교시방법 KR201800690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28685 2015-11-24
JP2015228685A JP6706489B2 (ja) 2015-11-24 2015-11-24 ロボットのダイレクト教示方法
PCT/JP2016/004791 WO2017090235A1 (ja) 2015-11-24 2016-11-02 ロボットのダイレクト教示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031A true KR20180069031A (ko) 2018-06-22

Family

ID=58764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596A KR20180069031A (ko) 2015-11-24 2016-11-02 로봇의 다이렉트 교시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64632B2 (ko)
JP (1) JP6706489B2 (ko)
KR (1) KR20180069031A (ko)
CN (1) CN108349086A (ko)
DE (1) DE112016005365B4 (ko)
TW (1) TWI630081B (ko)
WO (1) WO20170902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84213B2 (ja) * 2016-12-09 2019-03-13 ファナック株式会社 複数のロボットを含むロボットシステム、ロボット制御装置、及びロボット制御方法
JP7397564B2 (ja) * 2017-06-06 2023-12-1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リード線の挿入方法
JP6542839B2 (ja) * 2017-06-07 2019-07-1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機械学習装置
US10646993B1 (en) * 2017-07-26 2020-05-12 Facebook, Inc. Robots linkable to perform tasks in coordinated teams
TWI664507B (zh) * 2018-01-22 2019-07-01 金寶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自動控制設備以及自動控制方法
JP7048176B2 (ja) * 2018-05-23 2022-04-05 アズビル株式会社 ロボットの直接教示装置及び直接教示方法
WO2020118244A1 (en) * 2018-12-07 2020-06-11 Activ Surgical, Inc. Mechanical coupling to join two collaborative robots together for means of calibration
JP6865262B2 (ja) * 2018-12-26 2021-04-2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ロボットシステムの制御装置
DE102019102293B4 (de) * 2019-01-30 2022-02-10 Franka Emika Gmbh Koordination zweier kooperativer Robotermanipulatoren
DE102019102427B4 (de) * 2019-01-31 2022-02-10 Franka Emika Gmbh Koordination von Bahnen zweier Robotermanipulatoren
JP2021062443A (ja) * 2019-10-11 2021-04-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教示方法
WO2022037209A1 (zh) * 2020-08-19 2022-02-24 北京术锐技术有限公司 机器人系统及其控制方法
JP7426333B2 (ja) 2020-11-30 2024-02-01 株式会社ダイヘン ロボット制御装置
IT202200011408A1 (it) * 2022-05-30 2023-11-30 Italgantry S R L Unita' di supporto e movimentazione di un oggetto
JP2024093392A (ja) * 2022-12-27 2024-07-0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ロボット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1580A (ja) 1995-11-22 1997-06-03 Yaskawa Electric Corp 直接教示ロボットの動作範囲制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18B2 (ja) * 1986-02-26 1996-0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遠隔マニピユレ−シヨン方法及び装置
JP2667153B2 (ja) * 1986-07-29 1997-10-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複腕装置の直接教示方法
JPH0492905A (ja) 1990-08-06 1992-03-25 Toyoda Mach Works Ltd ロボットの教示装置
JPH05233056A (ja) * 1992-02-21 1993-09-10 Komatsu Ltd 双腕ロボット
JPH05285870A (ja) * 1992-04-03 1993-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関節ロボットの直接教示装置
JPH05303425A (ja) * 1992-04-27 1993-11-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直接教示方式ロボット
JP3086082B2 (ja) * 1992-08-25 2000-09-11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ロボットの同期制御方法およびロボットの同期制御装置
JP3306781B2 (ja) * 1992-12-31 2002-07-24 株式会社ダイヘン 産業用ロボットの手動操作による教示制御装置および教示方法
JPH0724757A (ja) * 1993-07-02 1995-01-27 Brother Ind Ltd ロボット制御装置
JPH0720915A (ja) * 1993-07-06 1995-01-24 Fanuc Ltd ロボットの同期制御方法
JP2682977B2 (ja) * 1995-12-25 1997-11-2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ロボット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3436087B2 (ja) * 1997-07-28 2003-08-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ロボット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1148180A (ja) * 1997-08-05 1999-02-23 Toyoda Mach Works Ltd ロボット制御装置
JP4134369B2 (ja) * 1998-02-09 2008-08-20 株式会社安川電機 ロボットの制御装置
JP2000084878A (ja) * 1998-09-17 2000-03-28 Yaskawa Electric Corp ロボットの制御装置
US6385508B1 (en) * 2000-10-31 2002-05-07 Fanuc Robotics North America, Inc. Lead-through teach handle assembly and method of teaching a robot assembly
JP2003025264A (ja) * 2001-07-12 2003-01-29 Ricoh Co Ltd 双腕制御装置と双腕制御方法
CN1846181A (zh) 2003-06-20 2006-10-11 美国发那科机器人有限公司 多个机械手的跟踪和镜像微动
JP3923053B2 (ja) * 2004-03-31 2007-05-3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ロボット教示装置
JP2006187826A (ja) * 2005-01-05 2006-07-20 Kawasaki Heavy Ind Ltd ロボットコントローラ
US7860609B2 (en) * 2005-05-06 2010-12-28 Fanuc Robotics America, Inc. Robot multi-arm control system
GB0513899D0 (en) * 2005-07-06 2005-08-10 Airbus Uk Ltd Program-controlled process
JP5175691B2 (ja) 2008-11-20 2013-04-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ロボットアームの教示システム及び方法
DE102010029745A1 (de) 2010-06-07 2011-12-08 Kuka Laboratories Gmbh Werkstück-Handhabungssystem und Verfahren zum Manipulieren von Werkstücken mittels kooperierender Manipulatoren
CN102686366B (zh) * 2010-08-31 2015-02-2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主从机器人的控制装置及主从机器人的控制装置的控制方法
US8942846B2 (en) * 2011-04-29 2015-01-27 Raytheon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eleoperated robotic agile lift system
CN103747927A (zh) * 2011-08-19 2014-04-23 株式会社安川电机 机器人系统、机器人和机器人控制装置
KR101193211B1 (ko) * 2012-04-19 2012-10-19 한국기계연구원 양팔 로봇의 직접 교시 방법
CN102662350B (zh) * 2012-05-31 2013-11-27 东南大学 主从式多机器人协作系统的轨迹示教与规划方法
US10086509B2 (en) * 2013-03-14 2018-10-02 Elytra Technologies Ll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ed motion of a tool
TWI531356B (zh) * 2013-10-24 2016-05-01 行政院原子能委員會核能研究所 一種三維造影掃描系統
US10179407B2 (en) * 2014-11-16 2019-01-15 Robologics Ltd. Dynamic multi-sensor and multi-robot interface system
US10514687B2 (en) * 2015-01-08 2019-12-24 Rethink Robotics Gmbh Hybrid training with collaborative and conventional robots
US11305431B2 (en) * 2016-11-10 2022-04-19 Cognibotics Ab System and method for instructing a robo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1580A (ja) 1995-11-22 1997-06-03 Yaskawa Electric Corp 直接教示ロボットの動作範囲制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30081B (zh) 2018-07-21
TW201722658A (zh) 2017-07-01
WO2017090235A1 (ja) 2017-06-01
JP6706489B2 (ja) 2020-06-10
DE112016005365T5 (de) 2018-08-09
CN108349086A (zh) 2018-07-31
US10864632B2 (en) 2020-12-15
US20180345492A1 (en) 2018-12-06
JP2017094440A (ja) 2017-06-01
DE112016005365B4 (de)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25439B (zh) 机器人示教方法及机器臂控制装置
KR20180069031A (ko) 로봇의 다이렉트 교시방법
JP6839084B2 (ja) 遠隔操作ロボットシステム
US9149931B2 (en) Robot system, robot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robot
US11045954B2 (en) Robo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5946859B2 (ja) 力に応じて動かすロボットのロボット制御装置およびロボットシステム
JP2001157975A (ja) ロボットの制御装置
CN114952838B (zh) 一种基于末端测量反馈的机械臂关节轨迹规划方法
JP4396553B2 (ja) ロボット制御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6221653A (ja) ロボット制御装置およびロボットシステム
KR102004228B1 (ko) 6축 매니퓰레이터의 범용 고속-고정밀 컨트롤러
KR102591942B1 (ko) 강성 모델과 절삭력 모델을 이용한 로봇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1181804A1 (ja)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167507A (ja) 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2174858A (ja) 直接教示装置及び直接教示方法
JP2014124733A (ja) ロボット制御装置及びロボットの制御方法
JP2013193132A (ja) 7軸マニピュレータのロボット制御装置
JPWO2013038544A1 (ja) 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ロボット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