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635A - 감초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항산화 활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감초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항산화 활성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635A
KR20180064635A KR1020160164667A KR20160164667A KR20180064635A KR 20180064635 A KR20180064635 A KR 20180064635A KR 1020160164667 A KR1020160164667 A KR 1020160164667A KR 20160164667 A KR20160164667 A KR 20160164667A KR 20180064635 A KR20180064635 A KR 20180064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corice
oil
active ingredient
extract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0652B1 (ko
Inventor
임순성
강범구
이수경
황승환
강영희
지정근
한지숙
이종열
배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비에이치한국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비에이치한국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비에이치한국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60164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652B1/ko
Publication of KR20180064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20Ingredients acting on or related to the structure
    • A23V2200/21Bind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코넛 오일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여 감초로부터 유용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또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또는 이소앙구스톤 A를 포함하는 비극성 활성 물질을 극대로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으로부터 추출한 비극성 활성 물질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감초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항산화 활성 조성물 {Method For Manufacturing Glycyrrhiza Uralens And Composition As Anti-oxidant Agent Comprising The Extract}
본 발명은 천연 오일을 사용하여 감초로부터 유용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율과 항산화능을 극대화하고,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또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또는 이소앙구스톤 A를 포함하는 비극성 활성 물질을 극대로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화와 더불어 환경오염, 흡연, 음주 등은 활성산소를 발생시키고 체내에 축적된 활성산소는 세포의 구성성분인 지질, 단백질, 당, DNA 등을 비가역적으로 파괴한다. 활성산소가 과도하게 발생함으로써 조직세포가 늙어가게 되고, 암이 생기며, 각종 퇴행성 질환 및 각종 질병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동맥경화나 뇌·심장혈관계 장애, 노화 또는 발암에 활성산소가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져, 기존의 산화방지제 외에 경구적으로 섭취하는 항산화물질의 효과 및 효능 등이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항산화 물질로서 합성물질이 이용되어 왔으나 합성식품 첨가제의 기피현상뿐만 아니라 과량을 섭취할 경우 신장, 폐, 간, 위장점막, 순환계 등에 심각한 독성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천연식품을 이용한 안전한 대체물질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감초는 생약으로서 알려져 있으며, 그 추출물의 주성분인 글리시리진(글리시리진산)에는 항염증 작용, 항종양 작용, 항알레르기 작용 등의 우수한 약리 작용이 있기 때문에,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또한, 감초는 자당의 약 200배의 단맛이 있기 때문에, 감미료로도 이용되고 있다.
한편, 감초 또는 감초 추출 잔사로부터 유기 용매 등에 의해 추출되는 감초 소수성 성분은, 산화 방지 작용, 항균 작용, 효소 저해 작용, 항종양 작용, 항알레르기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등, 많은 유용한 작용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감초 소수성 성분은 물 및 일반적인 오일에는 거의 용해되지 않으며, 유기 용매 추출물의 상태에서는 고결(固結)되기 쉽고 착색되는 등, 불안정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용하기 어렵다.
이에 대해 PCT 공개특허 WO03/084556에서는 감초 소수성 추출물에 유용성의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를 10 % 이상 함유하는 유지계 용제를 혼합하는 방법으로 해결하였다. 그러나, 이 감초 소수성 성분 함유 유지 조성물을 수계 대상물 등에 그대로 가용화하는 것은 어려웠다.
한국특허등록 제10- 1449764호에는 감초 폴리페놀을 주성분으로 하는 감초 소수성 추출물,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고, 감초 소수성 추출물과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의 합계 중량과,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의 중량비가 1:1 내지 1:10의 범위인 감초 폴리페놀 제제에 관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감초로부터 소수성 성분을 추출한 뒤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를 용제로서 사용하는 점에서 제조공정상 번거로움이 존재하는 문제점 있다.
또한 천연오일을 용매로 하여 감초를 추출하는 데에 있어서 항산화능을 극대화하거나,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이소앙구스톤 A를 포함하는 비극성 활성 물질의 추출량을 극대화 하는 방법에 대한 보고는 현재 존재하지 아니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코코넛 오일을 용매로 하고, 추출조건들의 다양한 작용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 상기한 목적에 부합하는 최적의 추출조건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오일을 용매로 이용하여 감초로부터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이소앙구스톤 A를 포함하는 비극성 활성 물질을 극대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감초로부터의 유용성분의 수율과 항산화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경제적인 추출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천연 오일을 용매로 이용한 감초로부터의 유용성분 중 비극성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이 우수한 식품, 의약품,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항산화능과 수율을 극대화하고, 비극성 활성 물질을 극대로 추출하기 위하여, 천연 오일을 추출용매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초로부터의 유용성분 추출방법이 제공된다.
1) 감초를 분쇄하는 단계;
2) 상기 분쇄물을 추출시키는 추출 단계;
3) 상기 2) 단계의 추출물을 분획하는 단계;
4) 상기 4) 단계의 분획물을 감압 농축시켜 농축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감초로부터 유용성분의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3) 단계는,
3-1) 추출물을 원심 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층액을 분리하는 단계;
3-2) 상기 3-1) 단계의 상층액을 분획 유기 용매에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3) 상기 3-2) 단계의 혼합물의 하층 부분인 분획물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감초로부터 유용성분의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유기 용매는 메탄올 및 헥산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감초로부터 유용성분의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방법은 천연오일 대 감초의 비율이 200-800 mg/mL, 바람직하게는 300-700 mg/mL, 가장 바람직하게는 400-600 mg/mL 인 추출조건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방법은 추출 온도가 25-100 ℃, 바람직하게는 30-95 ℃, 가장 바람직하게는 60-90 ℃인 추출조건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추출 시간이 1-12시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10 시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6-10 시간인 추출조건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천연 오일은 코코넛 오일, 올리브 오일, 호호바 오일, 아르간 오일, 캐스터 오일, 티트리 오일, 아몬드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잣 오일, 아보카도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오일을 추출 용매로 한 감초로부터 유용성분의 추출방법을 제공하며, 바람직하게는 코코넛 오일을 추출 용매로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추출방법들 중의 어느 한 추출방법으로 획득한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이소앙구스톤 A를 포함하는 비극성 활성 물질을 중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추출방법들 중의 어느 한 추출방법으로 획득한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이소앙구스톤 를 포함하는 비극성 활성 물질을 중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추출방법들 중의 어느 한 추출방법으로 획득한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이소앙구스톤 A를 포함하는 비극성 활성 물질을 중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3]
Figure pat00003
본 발명에 의하면 코코넛 오일을 용매로 한 감초 추출물로부터 비극성 활성 물질 함량, 수율, 항산화능을 극대화할 수 있어, 이는 항산화 기능성이 있는 의약품, 화장품, 식품 등의 제품개발에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감초의 에탄올 추출물과 감초의 코코넛 오일 추출물을 비교하는 HPLC 그래프이다. 도 1의 (A)는 감초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HPLC 그래프이며, 도 1의 (B)는 감초의 코코넛 추출물에 대한 HPLC그래프이다. 그래프에 표시된 Ⅰ 은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Ⅱ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Ⅲ는 이소앙구스톤 A이며, 이 외의 비극성 활성 물질에 대한 결과 또한 포함되어 있다.
도 2는 감초에서 추출된 비극성 활성 물질의 화학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RSM 추출물의 DPPH 활성 그래프이다.
도 4는 추출 조건에 따른 반응 표면분석 그래프로, (A)는 시료-용매 비율, 추출 온도와 수율의 그래프, (B)는 시료-용매 비율, 추출 시간과 수율의 그래프, (C)는 추출 시간, 추출 온도와 수율의 그래프이다.
도 5는 추출 조건에 따른 반응 표면분석 그래프로, (A)는 시료-용매 비율, 추출 온도와 비극성 활성 물질의 함량의 그래프, (B)는 시료-용매 비율, 추출 시간과 비극성 활성 물질의 함량의 그래프, (C)는 추출 시간, 추출 온도와 비극성 활성 물질의 함량의 그래프이다.
도 6는 추출 조건에 따른 반응 표면분석 그래프로, (A)시료-용매 비율, 추출 온도와 전자공여능의 그래프 (B)시료-용매 비율, 추출 시간과 전자공여능의 그래프 (C) 추출 시간, 추출 온도와 전자공여능의 그래프 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의 방법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 코코넛 오일을 용매로 한 감초 추출물 제조
1) 감초와 코코넛 오일을 원심분리기에 넣고 3000rpm의 조건에서 15분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침전물을 완전히 제거 후 상층액만 추출시료로써 사용 한다.
2) 분획 깔때기에 동일한 양의 메탄올(Methanol)과 헥산(Hexan)을 넣어 2분간 섞어준 후 10분간 방치 하여 용매가 두개의 층으로 확연히 나누어졌을 때, 분획 층의 상층과 하층에서 동일한 양(2 mL)의 용매를 취해 10ml용량의 바이알(vial)에 넣는다.
3) 원심분리 한 시료의 상층액(600 uL)을 2)의 바이알(vial)에 넣어 2분간 섞어준다.
4) 완전히 분리된 바이알(vial)의 하층 중 1 mL를 취해 미리 무게가 측정된 1.5mL 튜브에 담아 감압농축 한다.
[실시예 1 ] 코코넛 오일을 용매로 한 감초 추출 조건의 반응표면분석
본 실시예에서는 감초추출물의 항산화 기능, 수율 및 비극성 활성 물질 추출량을 극대화 하기 위한 조건을 확보하고, 보다 경제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추출용매(코코넛오일)의 시료와의 비율과 추출 온도, 추출 시간에 초점을 두고 이들을 최대한 유리하게 추출할 수 있는 조건을 확보하기 위하여 반응표면분석을 시도하였다.
실험방법
1.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본 실시예에서는 추출조건에 대하여 중심합성계획(central composite design)을 사용하여 실험 설계하였고, 최적의 추출을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사용하였다.
중심합성계획에서 독립(조건)변수로
- 시료와 에탄올의 추출용매 비율 (100-600 mg/mL),
- 추출 온도 (40-60℃)
- 추출시간 (2-12hr)
-2, -1, 0, 1, 2의 총 5단계로 부호화하여 추출하였다(표 1).
또한, 중심점은 4회 반복 측정하였으며, 총 18가지 조건의 실험을 진행하여 나온 평균값을 회귀분석에 사용하였다.
회귀분석에 의한 최적조건의 결정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 대학교에서 1967년 원형이 개발되고 에스에이에스 인스티튜트(SAS Institute)에서 기능을 확장한, 통계 해석을 중심으로 한 소프트웨어 패키지인 통계분석시스템{Statistical Analysis System(SAS version 9.1)}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감초의 최적추출을 위한 반응표면분석 조건인 코코넛 오일과 감초함량의 비율 및 온도, 시간 조건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
Figure pat00004
2. 감초 추출물의 수율측정(HPLC 측정을 위한 오일 성분 제거 실험)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추출시료의 무게를 측정하여 수율을 파악한다.
3. 감초 추출물의 비극성 활성 물질 함량 측정
제조예 1에서 완전히 농축 된 추출시료에 200 uL의 메탄올(methanol)을 넣고 희석하여 HPLC로 측정 한다. HPLC의 기기분석 조건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2]
Figure pat00005
HPLC는 경사 용리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의 농도 구배는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3] HPLC 용매(이동상) 농도구배
Figure pat00006
4. DPPH 전자공여능 측정
각각의 추출조건에 따른 추출물을 메탄올(MeOH)에 녹여 1mg/ml의 조건으로 용해한 후 사용하였다. DPPH 용액은 0.32mM 농도로 메탄올(MeOH)에 녹여 준비 하였다. 추출물 30ul와 DPPH 용액 180ul를 섞어 실온에서 20분간 반응 시킨 후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5. 통계 프로그램(SAS)를 이용한 예상치 확립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SAS를 이용하여 통계처리함으로 추출 시 영향이 큰 조건과 추출 조건들의 관계 및 최적 추출 조건의 예상치를 확인하였다.
결과
1. RSM을 통한 실험 결과
중심합성계획에 의한 감초 추출 실험에서 얻어진 감초 유래 비극성 활성 물질은 HPLC에서 각각 확인할 수 있었다. (도1 참조)
각각의 비극성 활성 물질을 도 1에 표시하였다. 도 1은 감초의 에탄올 추출물과 감초의 코코넛 오일 추출물을 비교하는 HPLC 그래프이다. 그래프에 표시된 Ⅰ 은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Ⅱ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Ⅲ는 이소앙구스톤 A이며, 각각의 화학 구조는 도2에 나타난 것과 같다. 이 외의 비극성 활성 물질에 대한 결과 또한 포함되어 있다.
각 추출물의 함량은 HPLC에서의 면적값을 통하여 정량하였다. RSM을 통해 측정된 각 18개의 조건에 의한 비극성 활성 물질 함량, 수율, 항산화능에 대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로부터 조건 6에서 비극성 활성 물질인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C,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D, 이소앙구스톤A의 함량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수율 또한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C,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D, 이소앙구스톤A 외의 비극성 활성 성분들이 추가적으로 나오는데, 이는 항산화 활성에 영향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4]
Figure pat00007
또한, 도 3은 RSM 추출물의 DPPH 활성 그래프로, 조건 5, 6, 11에서 항산화능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통계프로그램(SAS)를 이용한 결과
코코넛 오일을 용매로 하여 감초 추출시 요인변수에 영향을 받는 종속변수인 수율(%), 비극성 활성 물질 함량(AU), 항산화능(%) 값의 신뢰성은 표 5과 같이 나타났다. R2 값은 실험의 신뢰성을 의미한다. RSM 실험시 R2 값은 0.6 이상일 경우 신뢰성을 보인다.
이 결과를 반응표면모델식(response surface model equation)으로 표현했을 때의 R2는 수율의 경우 0.6626, 비극성 활성 물질 함량의 경우 0.8365, 항산화능의 경우 0.7798로 반응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율에 대한 유의성은 10% 이내에서 인정되었다. 표 5는 반응표면분석을 통한 감초의 추출 조건에 관한 다항식을 나타낸 것이다.
[표 5]
Figure pat00008
또한, 추출 조건에 대한 경향은 표 6에 제시한 바와 같다. F-ratio는 추출 시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인자들의 비율을 의미하며, 수율 및 비극성 활성 물질을 대상으로 하는 추출 시 추출 온도가 영향이 큼을 알 수 있었다. 표 6는 감초의 추출 조건에 대한 화학, 물리적 회귀모델에 대한 회귀분석을 나타낸 것이다.
[표 6]
Figure pat00009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한 최적 추출 조건 예측치 결과, 예측된 정상점은 안장점(鞍裝點)으로, 수율 3.56%, 전체 비극성 활성 물질 추출량(면적) 10,669(AUC), 항산화 작용 89.1%의 우수한 감초추출물을 얻기 위해서는 코코넛오일에 감초의 비율을 415~503 mg/mL, 추출 온도 61.3~86 ℃, 추출 시간 6.6~9.3 시간으로 추출 조건이 확보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각각의 반응 표면 분석 그래프를 도 4와 도 5에 나타내었다. 표 7은 추출 조건의 최대 반응에 대한 추출 조건의 예상치 및 모형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7]
Figure pat00010
[실시예 2 ] 감초추출물과 감초의 코코넛오일 추출물, 그리고 감초의 EtOH추출물의 코코넛오일 용해물의 HPLC 패턴 및 감초의 코코넛오일 추출수율 비교
본 실시예에서는 코코넛 오일을 추출용매로 한 감초추출물의 항산화 기능, 수율 비극성 활성 물질 추출량의 우수성을 검증하기 위해 감초추출물과 감초의 코코넛오일 추출물, 그리고 감초의 EtOH추출물의 코코넛오일 용해물의 HPLC 패턴 및 감초의 코코넛오일 추출수율을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제조예 1]의 방법에서 감초와 코코넛오일의 비율을 변화시키면서 비극성 활성 물질 추출량과 수율을 측정하였다. 표 8은 감초와 코코넛 오일 비율에 따른 비극성 활성 물질 추출량과 수율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8]
Figure pat00011
비교예로, 감초를 에탄올을 용매로하여 추출한 추출물과 코코넛오일의 비율을 변화시키면서 용해량을 측정하였다. 표 9는 에탄올을 용매로 한 감초추출물과 코코넛 오일 비율에 따른 용해량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9]
Figure pat00012
표 8과 표 9의 결과데이터를 비교하면, 에탄올을 용매로 한 감초추출물과 코코넛오일의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용해가 어려움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코코넛 오일을 용매로 하여 감초로부터 유용성분을 추출한 경우는 감초와 코코넛 오일의 비율이 커질수록 비극성 활성 물질의 함량이 높아지며, 수율 또한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한 감초추출물과 감초의 코코넛오일 추출물의HPLC 패턴은 도1과 같다. 각각의 추출물은 1ml의 메탄올당 1mg의 추출물(1mg/ml)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도 1에서 보면 시간이 40분에서 50분 사이에서의 면적값인 비극성 활성 물질 함량이 감초의 코코넛 오일 추출물에서 가장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9)

1) 감초를 분쇄하는 단계;
2) 상기 감초 분쇄물에 천연오일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2) 단계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분획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의 분획물을 감압 농축시켜 농축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초로부터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활성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는
3-1) 상기 추출물을 원심 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층액을 분리하는 단계;
3-2) 상기 3-1) 단계의 상층액을 분획 용매에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3) 상기 3-2) 단계의 혼합물의 하층 부분인 분획물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초로부터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활성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추출하는 방법.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메탄올 및 헥산이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용매 혹은 순수한 물로서 감초로부터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활성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추출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방법은 감초 및 천연오일의 비율이 200-800 mg/mL인 감초로부터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활성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방법은 추출 온도가 25-100 ℃인 감초로부터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활성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방법은 추출 시간이 1-12 시간인 감초로부터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활성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오일은 코코넛 오일, 올리브 오일, 호호바 오일, 아르간 오일, 캐스터 오일, 티트리 오일, 아몬드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잣 오일, 아보카도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감초로부터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활성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성분이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이소앙구스톤 A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감초로부터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활성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19

[화학식 2]
Figure pat00020

[화학식 3]
Figure pat0002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수득된 활성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를 갖는 식품 조성물.
KR1020160164667A 2016-12-05 2016-12-05 감초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항산화 활성 조성물 KR102070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667A KR102070652B1 (ko) 2016-12-05 2016-12-05 감초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항산화 활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667A KR102070652B1 (ko) 2016-12-05 2016-12-05 감초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항산화 활성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635A true KR20180064635A (ko) 2018-06-15
KR102070652B1 KR102070652B1 (ko) 2020-03-02

Family

ID=62628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667A KR102070652B1 (ko) 2016-12-05 2016-12-05 감초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항산화 활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6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215A (ko) 2019-01-02 2020-07-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참까막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022A (ko) * 2003-01-21 2004-07-30 학교법인 인하학원 감초로부터 글라브리딘을 추출하는 방법
KR20110050779A (ko) * 2009-11-09 2011-05-17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초로부터 항산화 물질의 분리방법
KR101676601B1 (ko) * 2016-04-22 2016-11-15 양형열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용 피부 외용제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022A (ko) * 2003-01-21 2004-07-30 학교법인 인하학원 감초로부터 글라브리딘을 추출하는 방법
KR20110050779A (ko) * 2009-11-09 2011-05-17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초로부터 항산화 물질의 분리방법
KR101676601B1 (ko) * 2016-04-22 2016-11-15 양형열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용 피부 외용제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215A (ko) 2019-01-02 2020-07-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참까막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652B1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7955B2 (en) Enzyme-assisted lipid-based extraction and stabilization of phyto-cannabinoids and terpens and products obtained thereof
FI72997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fettaemnen ur froen av ribes-slaektets frukter.
KR101310980B1 (ko) 구기자 나무가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TWI682721B (zh) 黑薑油脂萃取物及其製造方法
Sansone et al. Enhanced technological and permeation properties of a microencapsulated soy isoflavones extract
KR101595166B1 (ko) 스키르푸신 b 함유 조성물 및 스키르푸신 b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13155154A (ja) 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3阻害剤
KR20120139137A (ko)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활성 물질 및 그 제조방법
JP5064731B2 (ja) 血圧降下剤
JP4814094B2 (ja) 天然リコピン濃縮物及び製造方法
CN100357358C (zh) 一种番茄红素的制备方法
KR20180064635A (ko) 감초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항산화 활성 조성물
KR20140044513A (ko) 사과껍질로부터 우르솔릭산을 추출하는 방법
KR102086854B1 (ko) 사초과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84175B1 (ko) 양파 부산물로부터 퀘르세틴을 대량으로 분리, 정제하는 방법
EP4321518A1 (en) Novel polyphenol compound
KR20150020466A (ko) 천년초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JP2002249772A (ja) 抗酸化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組成物
US8551540B1 (en) Stabilizing and antioxidant composition containing saw palmetto berry component and method of use
JP5819334B2 (ja) 滑膜増殖抑制剤
JP2003342568A (ja) 水溶性ゴマ種子抽出組成物及びその利用
KR20130129001A (ko) 밀감 과피 아임계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313083B1 (ko)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JP6047793B2 (ja) 酵素活性阻害剤
KR20050089241A (ko) 복분자 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한 화합물을포함하는 항산화성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