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303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64303A KR20180064303A KR1020170164909A KR20170164909A KR20180064303A KR 20180064303 A KR20180064303 A KR 20180064303A KR 1020170164909 A KR1020170164909 A KR 1020170164909A KR 20170164909 A KR20170164909 A KR 20170164909A KR 20180064303 A KR20180064303 A KR 201800643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forming
- forming apparatus
- sheet
- projection
- main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68—Preparation processes not covered by groups G03F1/20 - G03F1/50
- G03F1/82—Auxiliary processes, e.g. cleaning or inspecting
- G03F1/84—Inspect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03—Control of other part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state of copy medium fee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시트를 급송하도록 구성되는 급송부 및 급송된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부를 포함하는 주 조립체, 주 조립체의 측면에 제공되고, 연직 방향에 관하여 부품의 상방 공간을 개방함으로써 주 조립체의 부품을 노출시키도록 개방가능한 개방가능 커버, 및 연직 방향에 관하여 개방가능 커버의 상방에 제공되고, 개방가능 커버가 개방되었을 때에 부품을 향해 광을 투사할 수 있는 투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종이 걸림의 처리나 소모품의 교환 등의 조작 수순을 조작자에게 알리는 조작 안내의 표시를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 사진 방식의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종이 걸림(잼)의 처리, 소모품 및 부품의 교환, 현상제의 보급, 시트의 보급 등의 조작자에 의한 조작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조작부의 화면에서, 조작 수순,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 및 주의사항에 대한 정보를 조작자에게 알리는 조작 안내의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 조작부에 제공된 스크린이 작고, 조작부의 스크린과 조작될 부분이 서로 멀고, 따라서 조작 수순 및 피조작 부분을 조작자가 인식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일본 공개 특허 출원 (JP-A) 2010-128120은, 화상 형성 장치에 복수의 스크린을 제공하고, 피조작 부분에 따라서 스크린 중 어느 하나에 프로젝터로부터 조작 안내를 표시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JP-A 2010-128120에 개시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복수의 스크린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그 복수의 스크린에 대하여 적절한 표시를 행하기 위해서, 투사 수단의 방향을 변경하는 수단 및 배율을 조정하는 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는 대형화되고 복잡해지며, 결과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가 고가가 된다. 또한, 스크린의 장소와 조작자의 조작 위치에 따라서는,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조작 안내가 피조작 부분 및 조작자에 의해 차단되고, 따라서 조작자는 조작 안내를 인식하기가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복수의 투사 대상에 조작 안내를 적절하게 투사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시트를 급송하도록 구성되는 급송부 및 급송된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부를 포함하는 주 조립체; 상기 주 조립체의 측면에 제공되고, 연직 방향에 관하여 부품의 상방의 공간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주 조립체의 부품을 노출시키도록 개방가능한 개방가능 커버; 및 상기 연직 방향에 관하여 상기 개방가능 커버의 상방에 제공되고, 상기 개방가능 커버가 개방될 때 부품을 향해 광을 투사할 수 있는 투사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프로세스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의 (a) 및 (b) 부분은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의 (a) 부분은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4의 (b) 및 (c) 부분은 화상 형성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의 (a) 부분은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의 (b) 부분은 화상 형성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의 (a) 부분은 실시예 2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6의 (b) 부분은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의 (a) 부분은 실시예 4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7의 (b) 부분은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4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수동 급송 트레이가 개방된 상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우(측)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우측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의 (a) 및 (b) 부분은 우측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조작 안내의 예를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의 (a) 및 (b) 부분은 시트 센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의 (a) 및 (b)는 실시예 5의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의 (a)는 실시예 6의 화상 형성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15의 (b) 및 (c) 부분은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프로세스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의 (a) 및 (b) 부분은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의 (a) 부분은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4의 (b) 및 (c) 부분은 화상 형성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의 (a) 부분은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의 (b) 부분은 화상 형성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의 (a) 부분은 실시예 2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6의 (b) 부분은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의 (a) 부분은 실시예 4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7의 (b) 부분은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4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수동 급송 트레이가 개방된 상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우(측)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우측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의 (a) 및 (b) 부분은 우측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조작 안내의 예를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의 (a) 및 (b) 부분은 시트 센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의 (a) 및 (b)는 실시예 5의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의 (a)는 실시예 6의 화상 형성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15의 (b) 및 (c) 부분은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1.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
도 1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전자 사진 방식을 사용해서 풀컬러 화상을 형성할 수 있고, 복사기, 프린터, 및 팩시밀리기의 기능을 구비한 복합기이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100)에 관해서, 도 1의 지면의 전방측이 "정면(또는 전방)"이며, 도 1의 지면의 안측이 "안측(면)(또는 후방(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측과 안측을 연결하는 깊이 방향(전후 방향)은, 후술하는 감광 드럼(203)의 회전 축선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에 관한 좌우 방향은,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정면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좌우 방향을 말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에 관한 상하 방향은 상하 방향 말하는 것이지만, 바로 위 및 바로 아래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주목하는 요소 또는 위치를 통과하는 수평면에 대해 상측 및 하측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들 방향은, 화상 형성 장치(100)가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화상 형성 장치(100)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방향을 말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장치 주 조립체(101)를 갖는다. 장치 주 조립체(101)에는, 화상 형성부(102), 시트 급송 장치(103), 수동 급송부(104), 원고 판독부(105), 시트 급송(반송)부(107), 제어부(C) 등이 제공된다.
화상 형성부(102)는, 프로세스 유닛(121), 레이저 스캐너 유닛(122), 중간 전사 유닛(123), 2차 전사 롤러(124), 정착 장치(125), 배출 롤러(126), 토너 카트리지(127), 회수 용기(128)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프로세스 유닛(121)이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된다. 이들 4개의 프로세스 유닛(121)은 화상 형성에 사용하는 토너의 색이 서로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2는 대표로서 1개의 프로세스 유닛(121)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프로세스 유닛(121)은 드럼 유닛(201) 및 현상 유닛(202)을 포함한다. 드럼 유닛(201)은, 드럼형(원통형) 감광체(전자 사진 감광체)인 감광 드럼(203), 대전 롤러(204), 드럼 클리너(205), 및 이들 부재를 지지하는 드럼 유닛 용기(206)로 구성된다. 현상 유닛(202)은, 현상 롤러(207), 급송 스크류(208), 및 이들 부재를 지지하며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 유닛 용기(209)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유닛(202)은, 현상제로서 토너(비자성 토너 입자)와 캐리어(자성 캐리어 입자)를 포함하는 2성분 현상제를 사용한다. 드럼 유닛(201)과 현상 유닛(202)은, 개별적으로 장치 주 조립체(101)에 대하여 삽입 및 인출됨으로써 장치 주 조립체(10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중간 전사 유닛(123)은, 복수의 걸침 롤러에 걸쳐진 중간 전사 벨트(210), 중간 전사 벨트(210)의 내주면 측에서 각 감광 드럼(203)에 대응해서 배치되도록 제공된 1차 전사 롤러(211), 및 벨트 클리너(212) 등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프로세스 유닛(121)에 대응해서, 4개의 토너 카트리지(127)가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된다. 토너 카트리지(127)에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의 토너가 각각 수용된다. 각 토너 카트리지(127)는, 개별적으로 장치 주 조립체(101)에 대하여 삽입 인출됨으로써 장치 추 조립체(10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시트 급송 장치(103)는, 기록 시트 등의 시트(전사재, 기록재)(S)를 수용하는 수용 부재로서의 복수의 시트 수용부(131), 시트 수용부(131)에 수용된 시트(S)를 급송하는 급송 롤러(132) 등으로 구성된다. 시트 수용부(131)는 장치 주 조립체(101)의 정면 측을 향해 인출될 수 있다.
수동 급송부(104)는, 시트(S)가 적재되는 수동 급송 트레이(141), 수동 급송 트레이(141)에 적재된 시트(들)(S)을 급송하는 수동 급송 롤러(142) 등으로 구성된다. 수동 급송 트레이(141)는, 장치 주 조립체(101)의 우측 측면에 개방가능하게 제공된다. 수동 급송부(104)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수동 급송 트레이(141)가 개방되어서 시트(S)가 급송될 수 있는 위치에 돌출되며, 돌출된 수동 급송 트레이(141)에 시트(S)가 적재된다.
원고 판독부(105)는, 원고 적재대로서의 플래튼 유리(151), 판독 장치(152) 등으로 구성된다. 판독 장치(152)는, 플래튼 유리(151)에 적재된 원고를 광학적으로 판독하고 판독된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도 1에서는, 판독 장치(152)에 의해 복수의 원고를 연속적으로 판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원고 판독부(105)의 상부에, 자동 원고(문서) 급송 장치(106)가 제공된다. 도 3 내지 도 7에서는, 자동 원고 급송 장치(106) 대신 플래튼 유리(151)에 적재된 원고를 가압하는 가압판(153)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시트 급송부(107)는, 시트 급송 장치(103), 수동 급송부(104)로부터 시트(S)가 따라서 송출되는 시트 급송로(171), 시트(S)의 사행의 보정 및 시트(S)의 급송 타이밍의 제어를 행하는 레지스트 롤러 쌍(172) 등으로 구성된다.
회수 용기(128)는, 화상 형성부(102)로부터 배출되는 폐기물로서의 토너를 회수하는 용기이다. 회수 용기(128)는, 장치 주 조립체(101)에 대하여 삽입 및 인출됨으로써 장치 주 조립체(10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각 부분 동작은, 장치 주 조립체(101)에 제공된 제어부(C)에 의해 중앙집중식으로 제어된다.
2. 화상 형성 동작
화상 형성 장치(100)의 화상 형성 동작에 대해서 복사 동작을 예로서 설명한다. 제어부(C)로부터 화상 판독부(105)에 화상 판독 신호가 출력되면, 화상 판독부(105)에 의해 원고의 화상이 판독되고, 화상 형성부(102)에 화상 정보가 보내진다. 화상 형성부(102)에서는, 대전 롤러(204)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 드럼(203)의 표면에, 레이저 스캐너 유닛(122)으로부터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레이저 광이 조사되어, 감광 드럼(203) 위에 정전 잠상(정전 상)이 형성된다. 감광 드럼(203)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유닛(202)에 의해 토너가 공급되어서 현상(가시화)되어, 감광 드럼(203) 위에 토너상이 형성된다. 감광 드럼(203) 상에 형성된 토너상은, 중간 전사 벨트(210)와 감광 드럼(203)이 서로 접촉하는 1차 전사부에서, 1차 전사 롤러(211)의 작용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210) 위로 1차 전사된다. 예를 들어, 풀컬러 화상의 형성 시에는, 각 감광 드럼(203)으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210)에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토너상이 중첩하도록 연속해서 1차 전사된다.
한편, 제어부(C)로부터 시트 급송 신호가 시트 급송 장치(103)에 출력되면, 시트 수용부(131)로부터 시트(S)가 급송 롤러(132)에 의해 송출된다. 제어부(C)로부터 시트 급송 신호가 수동 급송부(104)에 출력되면, 수동 급송 트레이(141)로부터 시트(S)가 수동 급송 롤러(142)에 의해 송출된다. 그 후, 시트(S)는, 시트 급송로(171)를 따라 반송되고, 레지스트 롤러 쌍(172)에 의해 시트(S)의 사행이 보정될 뿐만 아니라 시트(S)는 중간 전사 벨트(210) 상의 토너상과 타이밍 맞춤되고, 그 후 시트(S)는 중간 전사 벨트(210)와 2차 전사 롤러(124)가 서로 접촉하는 2차 전사부에 보내진다.
2차 전사부에서, 중간 전사 벨트(210) 상에 형성된 토너상은 2차 전사 롤러(124)의 작용에 의해 시트(S)에 2차 전사된다. 토너상이 2차 전사된 시트(S)는, 정착 장치(125)에 의해 가열 및 가압됨으로써 토너상이 시트(S)에 정착(용융 고착)된다. 토너상이 정착된 시트(S)는, 배출 롤러(126)에 의해, 장치 주 조립체(101)의 외부에 제공된 적재부로서의 배출 트레이(111)에 배출되어서 적재된다.
또한, 1차 전사 단계 후에 감광 드럼(203) 위에 남은 토너(1차 전사 잔류 토너)는, 드럼 클리너(205)에 의해 감광 드럼(203)으로부터 제거되어 회수된다. 또한, 2차 전사 단계 후에 중간 전사 벨트(210) 위에 남은 토너(2차 전사 잔류 토너)는, 벨트 클리너(212)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210)로부터 제거되어서 회수된다. 드럼 클리너(205) 및 벨트 클리너(212)에 의해 회수된 토너는, 회수 토너 급송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회수 용기(128)에 수용된다. 또한, 화상 형성부(102)에는, 토너 카트리지(127)로부터 공급되는 토너가 저장되고, 현상에 의해 소비된 분의 토너에 대응하는 양의 토너를 현상 유닛(202)에 공급하는 토너 호퍼(도시하지 않음)가 제공된다. 현상에 의해 토너 호퍼 내의 토너가 소비되면, 토너 카트리지(127)로부터 토너 호퍼에 토너가 공급된다.
3. 조작부
장치 주 조립체(101)의 외측에 제공되고, 화상 형성부(102)의 동작에 관한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의 (a) 및 (b) 부분은, 정면, 우측면, 및 상면이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사시도이며, 도 3의 (a) 부분은 후술하는 전방 도어(3)(전방 커버)(3)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3의 (b) 부분은 전방 도어(3)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개방가능한 전방 도어(3)가 폐쇄되고, 인출가능한 수용 부재가 수납된 상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상방으로부터 본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전방측면과 안측면이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고 또한 좌측면과 우측면이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도록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전방측면, 특히 화상 판독부(105)의 전방측면에, 시트(S)의 처리 조건 등의 다양한 설정, 화상 형성 동작의 개시 지시 등을 제어부(C)에 입력하는 것을 허용하는 조작부(2)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2)는, 화상 판독부(105)의 전방측면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2)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전방측으로부터 본 경우에, 좌우 방향에 대해 중앙 부분보다 우측에 제공된다.
조작부(2)는, 제어부(C)에 지시를 입력하는 것을 허용하는 입력 수단으로서의 버튼(스위치)(21), 유저나 메인터넌스 담당자 등의 조작자에 대하여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으로서의 디스플레이(액정 스크린)(22)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22)는 터치 패널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입력 수단의 기능도 갖는다. 조작자는, 통상,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정면측으로부터 조작부(2)를 조작함으로써, 조작자는 제어부(C)에 필요 사항을 입력할 수 있고, 화상 형성 장치(100)가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조작자가 조작부(2)가 제공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정면측으로부터 메인터넌스(교환)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측면에는, 화상 형성부(102)의 적어도 일부를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가능한 도어 부재로서의 전방 도어(3)가 제공된다. 전방 도어(3)는, 전방 도어 손잡이(4)를 조작함으로써, 수평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개방될 수 있으며, 회전 축선(수평 방향 힌지)를 중심으로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폐쇄될 수 있다.
전방 도어(3)가 개방되면, 토너 카트리지(127)의 전방측 단부, 및 프로세스 유닛(121)의 전방측 단부를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소형 도어(8)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부에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프로세스 유닛(121)에 대응하여, 4개의 토너 카트리지(127) 및 4개의 소형 도어(8)가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제공되어 배치된다. 토너 카트리지(127) 각각은, 그 전방측 단부에 제공된 카트리지 손잡이(7)를 조작함으로써 전후 방향으로 장치 주 조립체(101)에 대하여 삽입 및 인출됨으로써 장치 주 조립체(101)에 대해 장착 및 탈착될 수 있다. 또한, 소형 도어(8)를 개방함으로써, 드럼 유닛(201)과 현상 유닛(202)은 개별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장치 주 조립체(101)에 대해 삽입 및 인출됨으로써 장치 주 조립체(101)에 대하여 장착 및 탈거될 수 있다. 소형 도어(8)는, 수평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회전됨으로써 개방되며,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회전됨으로써 폐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형 도어(8)는,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상태와 세트 상태 사이에서 드럼 유닛(201)과 현상 유닛(202)의 상태를 변경하는 피조작 부분으로서의 레버의 기능도 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측에는, 시트 수용부(131)의 전방측 측면인 수용부 외측면(5)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수용부 외측면(5)이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최상부의 수용부 외측면(5)의 좌우 방향의 크기는 다른 수용부 외측면의 좌우 방향의 크기보다 작다. 시트 수용부(131) 각각은, 수용부 외측면(5)에 제공된 수용부 손잡이(6)를 조작함으로써, 장치 주 조립체(101)에 대해 삽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되므로, 시트 수용부(131)는 장치 주 조립체(101)에 대해 인출 및 수납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측에는, 회수 용기(128)를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가능한 도어 부재로서의 회수 도어(10)가 제공된다. 회수 도어(10)는, 수평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회전됨으로써 개방될 수 있으며,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회전됨으로써 폐쇄될 수 있다(도 5의 (a) 부분 참조). 회수 도어(10)를 개방함으로써, 회수 용기(128)는 장치 주 조립체(101)에 대해 삽입 및 인출됨으로써 장치 주 조립체(101)에 대해 장착 및 탈거될 수 있다(도 5의 (b) 부분 참조).
4. 프로젝터 유닛
이어서, 조작 안내(안내 표시, 유도 표시)를 투사하는 투사 수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의 (b) 부분은, 전방 도어(3)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우측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4의 (b) 부분은, 전방 도어(3)가 개방되고, 토너 카트리지(127)가 인출된 상태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배출 트레이(111)의 평면도이다. 도 4의 (c) 부분은, 전방 도어(3)가 개방되고, 드럼 유닛(201)(또는 현상 유닛(202))이 인출된 상태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배출 트레이(111)의 평면도이다. 도 5의 (a) 부분은, 회수 도어(10)가 개방되고, 최상부의 시트 수용부(131)가 인출된 상태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5의 (b) 부분은, 회수 도어(10)가 개방되고, 회수 용기(128)가 인출되어, 최상부의 시트 수용부(131)가 인출된 상태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배출 트레이(111)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는, 조작부(2)가 배치된 측면 측을 전방(면)측으로 했을 때, 전방측에 제공된 복수의 투사 대상으로 조작 안내를 투사하는 투사 수단으로서의 프로젝터 유닛(1)을 갖는다. 프로젝터 유닛(1)은, 복수의 투사 대상의 상방 및 전방측에 제공된 투사부(투사 개구)로부터 전방측에 제공된 복수의 투사 대상에 조작 안내를 투사한다. 이 투사부는, 투사부가 복수의 투사 대상에 동시에 조작 안내를 투사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또한, 프로젝터 유닛(1)은, 프로젝터 유닛(1)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측에 배치된 복수의 투사 대상에 상방으로부터 동시에 조작 안내를 투사할 수 있으면 되고, 실제로 동시에 투사 대상에 조작 안내를 투사할 수 있거나 투사 대상에 조작 안내를 개별적으로(선택적으로) 투사할 수 있다. 또한, 상방으로부터의 투사는, 연직 방향에서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의 투사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연직 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두고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투사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전방측으로부터 본 경우에, 투사는 좌측 상방으로부터 우측 하방으로 또는 우측 상방으로부터 좌측 하방으로도 실행될 수 있으며, 화상 형성 장치(100)를 우측에서 본 경우에, 투사는 후방측 상방으로부터 전방측 하방으로 또는 전방측 상방으로부터 후방측 하방으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조작 안내는, 조작 부분, 조작 방향, 조작 방법 등을 지시 또는 설명하는 조명, 문자, 기호, 도형, 정지 화상(픽처) 또는 동화상(애니메이션) 등의 임의의 형태일 수도 있다.
도 4의 (a) 부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 유닛(1)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측의 측면, 특히 화상 판독부(105)의 전방측의 측면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 유닛(1)은, 그 적어도 일부가 화상 판독부(105)의 전방측의 측면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하도록 돌출한다. 프로젝터 유닛(1)은, 프로젝터(11), 반사 미러(12), 및 이들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프로젝터 커버(13)로 구성되며, 프로젝터 커버(13)의 하부에 형성된 투사부로서 투사 개구(14)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투사 개구(14)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전방측으로부터 본 경우에, 좌우 방향에 대해 중앙 부분보다 좌측에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11)에 의해 전방으로 향해서 투사된 광은 반사 미러(12)에 의해 반사되기 때문에, 광은 투사 개구(14)를 통해 하방으로 투사된다. 즉, 투사 개구(14)는, 투사가능 영역 A에 배치되며 동시에 조작 안내를 투사할 수 있는 복수의 투사 대상보다 전방측에 위치하고, 따라서 조작 안내를 복수의 투사 대상에 동시에 투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 유닛(1)은, 조작부(2)보다 하방에 위치된 부분을 향해 광을 투사하도록 구성되며, 투사 개구(14)는 조작부(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투사 개구(14) 및 조작부(2)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는 완전히 동일한 높이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투사 개구(14)가 형성되는 케이싱 부분 및 조작부(2)의 케이싱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상하 방향에 대해 서로 중첩되는 경우에는, 이들 부분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 유닛(1)의 투사 축선(투사 개구(14)를 통해 투사되는 투사 상의 광축)이 실질적으로 연직 방향 하방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연직 방향 하방으로 연장된다"는, 광축이 완전히 연직 방향 하방으로 연장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광축이 소정 범위의 에러(예를 들어, 약 ±10도) 내에서 연직방향 하방으로부터 어긋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3의 (a) 부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도어(3) 및 회수 도어(10)가 폐쇄되고, 시트 수용부(131)가 수납된 상태에서는, 조작 안내는 전방 도어(3)의 외측면, 전방 도어 손잡이(4), 수용부 외측면(5), 수용부 손잡이(6), 회수 도어(10)의 외측면, 및 화상 형성 장치(100)가 설치된 바닥면(F)을 포함하는 투사 대상에 동시에 투사될 수 있다. 또한, 4개의 수용부 외측면(5)과 관련하여, 조작 안내는 외측면(5) 전부에 동시에 투사될 수 있다. 즉, 조작 안내가 임의의 2개의 투사 대상에 동시에 투사되는 경우, 부분(1)과 투사 대상 사이의 위치(배치) 관계는 하나의 투사 대상 전체가 다른 투사 대상의 그림자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관계가 된다. 도 3의 (a) 부분의 상태에서는, 소모품의 교환이나 시트 보충 등의 필요한 조작을 위해서 조작자에 의해 어느 부분이 개방되어야 하는지를 안내하기 위해서, 상기 투사 대상에 조작 안내가 동시에 투사될 수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 4의 (a) 부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도어(3)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카트리지 손잡이(7), 소형 도어(8), 전방 도어(3)의 내측에 제공된 스크린(9)에 동시에 조작 안내를 투사할 수 있다. 또한, 4개의 카트리지 손잡이(7) 및 4개의 소형 도어(8)와 관련하여, 이들 부재 모두에 조작 안내를 동시에 투사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9)은, 전방 도어(3)의 내측면 자체이어도 되거나, 전방 도어(3)의 내측 도어에 장착된 부재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임의의 2개의 투사 대상에 조작 안내가 동시에 투사되는 경우, 프로젝터 유닛(1) 및 투사 대상은 하나의 투사 대상이 다른 투사 대상의 그림자에 의해 가려지지 않게 되는 위치 관계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4의 (a) 부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손잡이(7)의 하방에 배치된 소형 도어(8)의 전부는 카트리지 손잡이(7)의 그림자(K)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4의 (b)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127)가 인출된 경우에도, 토너 카트리지(127)의 하방에 배치된 스크린(9)의 좌우 방향 대부분은 토너 카트리지(127)의 그림자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도 4의 (b)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도어(8)가 개방되고 드럼 유닛(201)(또는 현상 유닛(202))이 인출되는 경우에도, 해당 유닛의 하방에 배치된 스크린(9)의 좌우 방향 대부분은 해당 유닛의 그림자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4의 (a) 내지 (c) 부분의 상태에서는, 예를 들어 교환해야 할 토너 카트리지(127) 및 개방해야 할 소형 도어(8)를 안내하고, 또한 스크린(9)에 조작 수순의 설명을 표시하기 위해서, 상기 투사 대상에 동시에 조작 안내를 투사할 수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 5의 (a) 부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수 도어(10)가 개방되고, 최상부의 시트 수용부(131)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회수 도어(10)의 내측면 및 시트 수용부(131)의 내부(또는 시트 수납부(131)에 수납된 시트(S))에 동시에 조작 안내를 투사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 부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수 도어(10)가 개방되고, 회수 용기(128)와 최상부의 시트 수용부(131)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회수 용기(128)의 상면 및 시트 수용부(131)의 내부(또는 시트 수용부(131)에 수납된 시트(S))에 동시에 조작 안내를 투사할 수 있다. 이들 경우에도, 2개의 투사 대상에 동시에 조작 안내를 투사한 경우, 하나의 투사 대상의 전체가 다른 투사 대상의 그림자에 의해 가려지지 않게 되는 프로젝터 유닛(1)과 투사 대상 상이의 위치 관계가 확립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젝터 유닛(1)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측 및 투사 대상의 상방에 배치된다. 또한, 프로젝터 유닛(1)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측에 배치된 복수의 투사 대상에 조작 안내를 동시에 투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젝터 유닛(1)의 투사 개구(14)는, 조작 안내가 동시에 투사될 수 있는 복수의 투사 대상 중에서 하나의 투사 대상의 그림자에 의해 다른 투사 대상이 완전히 가려지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전방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좌우 방향에 관해서도, 프로젝터 유닛(1)의 투사 개구(14)는, 조작 안내가 동시에 투사될 수 있는 복수의 투사 대상 중, 하나의 투사 부분의 그림자에 의해 다른 투사 대상이 완전히 가려지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복수의 투사 대상에 조작 안내를 적절하게 투사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측에서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조작 안내를 투사함으로써, 복수의 투사 대상에 투사되는 광을 다른 투사 대상 또는 조작자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상태에서 복수의 투사 대상에 투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측에서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조작 안내를 투사함으로써, 투사 수단을 방향을 변경하는 수단 및 배율을 조정하는 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형 및 간단한 구성으로, 투사될 영상의 차단 없이 그리고 투사 수단 자체의 사각의 형성 없이, 조작 안내를 투사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기본적인 동작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것과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기능 혹은 구성을 갖는 요소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로 나타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의 (a) 부분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6의 (b) 부분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를 우측으로부터 본 일부 사시 측면도이며, 전방 도어(3)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 유닛(1)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정면 측의 조작부(2)의 하부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11)는, 조작부(2)의 하방에 위치된 장치 주 조립체(101)의 장치의 내측에 수납되고, 반사 미러(12)는 조작부(2)의 커버의 하부에 수납되며, 투사 개구(14)는 조작부(2)의 커버의 하부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전방측에서 본 경우에, 투사 개구(14)는 좌우 방향에 대해 중앙 부분보다 우측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11)에 의해 상방으로 투사된 광이 반사 미러(12)에 의해 반사되기 때문에, 광은 투사 개구(14)를 통해 하방으로 투사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도, 프로젝터 유닛(1)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측에 제공된 복수의 투사 대상에 상방으로부터 조작 안내를 동시에 투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전방측에서 본 경우에, 투사 개구(14)는 배출 트레이(111)보다 우측에 배치된다. 그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에서 보다, 프로젝터(11)에 의해 조작 안내를 투사하고 있을 때에 배출 트레이(111) 위에 배출된 시트(S)의 시인성이 양호하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은 실시예 1 및 2의 화상 형성 장치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실시예 1 및 2의 화상 형성 장치의 것과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기능 혹은 구성을 갖는 요소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로 나타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의 (a) 부분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정면도이다. 도 7의 (b) 부분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우측면도이며, 시트 수용부(131)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 유닛(1)은 배출 트레이(111)의 전방측 단부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11) 및 반사 미러(12)는, 배출 트레이(111)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면을 갖고, 배출 트레이(111)의 전방측에 제공된 프로젝터 커버(13)에 수용되고, 프로젝터 커버(13)에는 투사 개구(14)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투사 개구(14)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전방측으로부터 본 경우에 좌우 방향에 대해 실질적 중앙 부분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11)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투사된 광을 반사 미러(12)에 의해 반사함으로써, 광이 투사 개구(14)를 통해 하방으로 투사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도, 프로젝터 유닛(1)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측에 제공된 복수의 투사 대상에 상방으로부터 조작 안내를 동시에 투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 유닛(1)은, 배출 트레이(111)의 하방에 위치된 부분을 향해 광을 투사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투사 개구(14)는 배출 트레이(1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투사 개구(14) 및 배출 트레이(111)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는 완전히 동일한 높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투사 개구(14)가 형성된 케이싱 부분과 배출 트레이(111)의 적어도 일부가 상하 방향에 대해 서로 중첩되는 경우에는, 이들 부분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다고 고려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의 (b) 부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자가 앉은 상태에서 작업할 경우에서도, 프로젝터 유닛(1)의 투사 개구(14)가 조작자의 눈보다 하방에 있다. 그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 및 2의 경우와 비교하여, 앉은 상태의 조작자가 프로젝터 유닛(1)으로부터의 광에 미혹되기 어렵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방측에 제공된 투사 대상과 마찬가지로, 이하의 부재를 예로서 설명하였다.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방측을 향해 개방가능한 도어 부재의 외측 부분(전방 도어(3), 소형 도어(8) 및 회수 도어(10)의 외측면 및 손잡이), 도어 부재의 내측 부분(전방 도어(3) 및 회수 도어(10)의 내측면 및 스크린),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방측을 향해 인출될 수 있는 수용 부재의 외측 부분(시트 수용부(131)의 외측면 및 손잡이), 인출된 상태의 수용 부재(시트 수용부(131))의 내측 부분, 인출된 상태의 수용 부재의 수용된 부재(시트 수용부(131)에 수용된 시트(S)), 도어 부재가 개방된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소모품(토너 카트리지(127) 및 카트리지 손잡이(7)), 도어 부재가 개방된 상태에서 소모품을 장착 및 탈거하기 위해 조작되는 피조작 부분(소형 도어(8)),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방측의 바닥면(F)이 이용될 수 있다. 이들 부재 이외에, 예를 들어, 이하의 부재, 즉 도어 부재가 개방된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소모품(드럼 유닛(201), 현상 유닛(202), 회수 용기(128)), 도어 부재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시트 급송부(시트 급송로, 급송 부재 등), 시트 급송로로부터 시트를 제거하기 위해 조작되는 피조작 부분(시트 급송로를 이동시키거나 급송 부재를 이동(회전)시키기 위한 레버, 노브 등), 및 도어 부재가 개방된 상태에서 시트 급송부에 위치되는 시트(잼을 유발하는 기록 시트)를 포함하는 부재를 언급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안내가 동시에 투사될 수 있는 복수의 투사 대상 각각은 독립적으로 상술한 부재 또는 부분 중 하나일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1 내지 3에서, 조작 안내가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방측에 제공된 투사 대상에 투사된 구성을 설명하였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 측에 제공된 투사 대상에 조작 안내가 투사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실시예 1 내지 3의 화상 형성 장치의 것과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기능 또는 구성을 갖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기호로 나타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1.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의 구성
도 8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측)면, 우측면 및 상면의 각각의 일부가 도시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수동 급송 트레이(141)가 개방된 상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방측면, 우측면 및 상면의 각각의 일부가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후술하는 우(측) 도어(116)가 개방된 상태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일부의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개방가능한 전방 도어(3)가 폐쇄되고, 인출가능한 수용 부재가 수납된 상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상방으로부터 본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전방측면과 안측면이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고 또한 좌측면과 우측면이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도록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전방측면, 구체적으로는 화상 판독부(105)의 전방측면에, 시트(S)의 처리 조건 등의 다양한 설정, 화상 형성 동작의 개시 지시 등을 제어부(C)에 입력하는 것을 허용하는 조작부(2)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2)는, 화상 판독부(105)의 전방측면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2)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전방측으로부터 본 경우에, 좌우 방향에 대해 중앙 부분보다 우측에 제공된다.
조작부(2)는, 제어부(C)에 지시를 입력하는 것을 허용하는 입력 수단으로서의 버튼(스위치)(21), 유저나 메인터넌스 담당자 등의 조작자에 대하여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으로서의 디스플레이(액정 스크린)(22)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22)는 터치 패널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입력 수단의 기능도 갖는다. 조작자는, 통상,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정면측으로부터 조작부(2)를 조작함으로써, 조작자는 제어부(C)에 필요 사항을 입력할 수 있고, 화상 형성 장치(100)가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측에 제공되고, 화상 형성부(102)의 동작에 관한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2)가 제공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측으로부터 조작자가 메인터넌스(교환)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측면에는, 장치 주 조립체(101)의 내부의 적어도 일부를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가능한 도어 부재로서의 게이트 전방 도어(112)가 제공된다. 전방 도어(112)가 개방되면, 토너 카트리지(127)의 전방측 단부 및 프로세스 유닛(121)의 전방측 단부를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소형 도어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부에 노출된다. 또한, 소형 도어를 개방함으로써, 드럼 유닛(201)과 현상 유닛(202)은 개별적으로 전후 방향에서 장치 주 조립체(101)에 대해 삽입 및 인출됨으로써 장치 주 조립체(101)에 대해 장착 및 탈거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측에는, 전방 도어(112)의 하방에 시트 수용부(131)의 전방측면인 수용부 외측면(131a)이 제공된다. 시트 수용부(131)에서는, 장치 주 조립체(101)로부터 시트 수용부(131)가 인출된 상태에서, 시트(S)가 세트(수용)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측에는, 전방 도어(112)의 하방에, 회수 용기(128)를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가능한 도어 부재로서의 회수 도어(115)가 제공된다. 회수 도어(115)를 개방함으로써, 회수 용기(128)는 장치 주 조립체(101)에 대해 삽입 및 인출됨으로써 장치 주 조립체(101)에 대해 장착 및 탈거될 수 있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100)의 우측면에는, 장치 주 조립체(101)의 내부의 적어도 일부를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가능한 도어 부재로서의 우(측) 도어(116)가 제공된다. 우측 도어(116)를 개방함으로써, 시트 급송로(171)에서 잼이 발생했을 때의 잼의 처리(즉, 잼을 일으킨 시트(S)의 제거)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도어(116)는, 하측 단부에 제공된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치 주 조립체(101)에 연결된다. 우측 도어(116)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도어 손잡이(116a)를 조작함으로써, 수평 방향과 대략 평행한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개방된다. 우측 도어(116)를 개방함으로써, 시트 급송로(171)에 위치된 시트(S)를 제거할 수 있다. 우측 도어(116)에는 수동 급송부(104)가 제공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 급송부(104)의 수동 급송 트레이(141)는, 우측 도어(116)의 하측 단부에 제공된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우측 도어(116)에 연결되어 있다. 수동 급송 트레이(141)와 관련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 급송 트레이 손잡이(141a)를 조작함으로써, 수동 급송 트레이(141)는 수평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회전됨으로서 개방될 수 있고,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회전됨으로서 폐쇄될 수 있다. 수동 급송 트레이(141)에는, 개방된 상태에서, 시트(S)가 세트(적재)된다.
2. 프로젝터 유닛
이어서, 조작 안내(안내 표시, 유도 표시)를 투사하는 투사 수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 내지 3과 마찬가지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조작부(2)가 배치된 측면 측을 전방(면)측으로 했을 때, 전방측 측면(전방측면)에 인접하는 측면(횡측)에 제공되는 투사 대상에 조작 안내를 투사하는 투사 수단으로서의 프로젝터 유닛(1)을 포함한다. 프로젝터 유닛(1)은, 횡측면에 그리고 투사 대상의 상방에 제공된 투사부(투사 개구(14))로부터 전방측에 제공된 투사 대상에 조작 안내를 투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해당 투사부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전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깊이 방향에 대해 투사 대상이 배치된 영역의 실질적 중앙 부분보다 안측에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 유닛(1)에 의해 투사 대상에 투사되는 조작 안내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횡측면 측에 제공된 조작 대상에 관한 조작 안내이다.
여기서, 상방으로부터의 투사는, 프로젝터 유닛(1)의 투사 광축(투사부로부터 투사되는 투사 상의 광축)이 연직 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갖는 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투사하는 것도 포함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투사는 상술한 안측으로부터 전방측 하방을 향해서 실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 유닛(1)의 투사부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횡측면 측에 제공된 복수의 투사 대상에 조작 안내를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투사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복수의 투사 대상에 대한 조작 안내의 동시 투사는, 실제로 동시에 투사하는 것 외에, 조작 안내가 투사될 수 있는 복수의 투사 대상 중 어느 하나에 조작 안내가 선택적으로 투사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조작 안내는, 조작 부분, 조작 방향, 조작 방법 등을 지시 또는 설명하는 조명, 문자, 기호, 도형, 정지 화상(픽처) 또는 동화상(애니메이션) 등의 임의의 형태일 수도 있다. 이하, 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 유닛(1)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우측면에, 상세하게는, 화상 판독부(105)의 우측면에 그리고 우측 도어(116)보다 안측의 장치 주 조립체(101)의 우측면에 제공된다. 프로젝터 유닛(1)은, 프로젝터(11), 반사 미러(12), 및 이들 부재를 수용하는 프로젝터 커버(13)로 구성되며, 프로젝터 커버(13)의 일부로서 형성된 투사부로서의 투사 개구(14)를 구비한다. 투사 개구(14)는, 투사가능 범위(도 8 및 도 9의 A) 내의 복수의 투사 대상의 상방, 및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전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깊이 방향에 관해, 해당 복수의 투사 대상이 배치된 영역의 실질적 중앙 위치(도 8의 B)보다 안측에 배치된다. 즉, 투사 개구(14)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전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깊이 방향에 관해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우측면 측의 투사 대상이 배치된 영역의 실질적 중앙 위치(B)보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측에서 조작자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사 개구(14)는, 우측 도어(116)가 폐쇄된 상태에서 우측 도어(116)로부터 외측(우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전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깊이 방향에 관하여 투사 대상이 배치되는 영역의 실질적 중앙 위치(B)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횡측면 측에 배치된 투사 대상의 최전방 위치와 가장 안측 위치 사의 실질적 중앙 위치를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 중앙 위치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우측(면 측)에 배치된 투사 대상 중 깊이 방향의 폭이 가장 큰 우측 도어(116) 전방측 단부와 안측 단부 사이의 실질적 중앙 위치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 급송부(107) 및 수동 급송부(104)에 의한 시트(S)의 급송은 시트(S)의 급송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에 관하여 중심선을 기초로 하여 행하여진다. 그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전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깊이 방향에서의 투사 대상이 배치된 영역의 실질적 중앙 위치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전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시트(S)의 급송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에 관하여 실질적 중앙 위치에 대응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우측 도어(116)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전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깊이 방향에 관하여 중앙부에 배치된다. 그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전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깊이 방향에 관하여 투사 대상이 배치된 영역의 실질적 중앙 위치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깊이 방향에 관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의 실질적 중앙 위치에 대응한다. 프로젝터(11)에 의해 상방 및 전방으로 투사되는 광은 반사 미러(12)에 의해 반사되기 때문에, 부분(1)은 투사 개구(14)를 통해 하방 및 전방으로 광을 투사한다. 결과적으로, 프로젝터 유닛(1)은, 투사가능 범위(A)에 배치된 투사 대상에 대하여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조작 안내를 투사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 유닛(1)은, 조작부(2)보다 하방에 위치된 부분을 향해 광을 투사하도록 구성되며, 투사 개구(14)는 조작부(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투사 개구(14) 및 조작부(2)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는 완전히 동일한 높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투사 개구(14)가 형성된 케이싱 부분 및 조작부(2)의 케이싱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이들 부분이 상하 방향에 관하여 서로 중첩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이들 부분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다고 고려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투사 개구(14)는, 장치 주 조립체(101)에 제공되고 화상 형성부(102)에 공급되는 시트(S)의 급송 타이밍 및 급송 자세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레지스트 롤러(172)의 상방에 배치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 급송 트레이(141) 및 우측 도어(116)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프로젝터 유닛(1)은 이하의 투사 대상, 예를 들어 수동 급송 트레이(141)의 외측면, 수동 급송 트레이(14)가 개방될 때 조작되는 수동 급송 트레이 손잡이(141a), 우측 도어(116)의 외측면, 및 우측 도어(116)가 개방될 때 조작되는 우측 도어 손잡이(116a)에 조작 안내를 투사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 급송 트레이(14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프로젝터 유닛(1)은 다음 투사 대상, 예를 들어 수동 급송 트레이(141)의 내측면(시트 적재면)(141b) 및 수동 급송 트레이(141)에 적재된 시트(들)(S)에 조작 안내를 투사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도어(116)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프로젝터 유닛(1)은 다음 투사 대상, 예를 들어 우측 도어(116)를 개방함으로써 노출되는 시트 급송부(107), 및 시트 급송부(107)에 체류한 시트(S)에 조작 안내를 투사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동 급송 트레이(141) 및 우측 도어(116)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프로젝터 유닛(1)은, 제어부(C)의 지시에 의해, 다음의 같은 조작 안내를 투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 급송부(107)에서의 잼이 검지된 경우 등에, 우측 도어(116)의 개방 조작을 안내하기 위해서, 우측 도어(116)의 외측면 및 우측 도어 손잡이(116a)를 광으로 조명할 수 있다. 또한, 우측 도어(116)의 외측면에 조작 수순 등의 지시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조작부(2)에서 수동 급송 트레이(114)로부터의 시트(S)의 급송이 선택된 경우 등에, 수동 급송 트레이(141)의 개방 조작을 안내하기 위해서, 수동 급송 트레이(141)의 외측면 및 수동 급송 트레이 손잡이(141a)를 광으로 조명할 수 있다. 또한, 수동 급송 트레이(114)의 외측면에 조작 수순 등의 지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동 급송 트레이(14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프로젝터 유닛(1)은, 제어부(C)의 지시에 의해, 다음과 같은 조작 안내를 투사할 수 있다. 수동 급송 트레이(14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시트(S)가 적재되는 시트 적재(장착)면(141b)이 노출된다. 그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 적재면(141b)에, 수동 급송 트레이(141)로부터 급송되는 시트(S)의 크기 등의 정보(화상 형성 정보)(D)를 투사한다. 조작자는, 조작 대상인 시트 적재면(141b) 자체에 직접적으로 표시된 화상 형성 정보(D)를 보면서, 투사 대상인 시트 측면 규제 부재(141c)를 적절하게 세트할 수 있다. 시트 측면 규제 부재(141c) 또는 그 근방에 조작 방향 등의 조작 수순의 지시를 표시 해도 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도어(116)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프로젝터 유닛(1)은, 제어부(C)의 지시에 의해, 다음과 같은 조작 안내를 투사할 수 있다. 우측 도어(116)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장치 주 조립체(101)의 내부의 적어도 일부,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 급송부(107)의 일부가 노출된다. 그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 급송부(107) 또는 시트 급송부(107)에 위치된 조작 대상으로서의 시트(S)에, 잼 처리(잼을 일으킨 시트(S)의 제거)에 관한 조작 안내를 투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투사가능 범위(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동 급송 트레이(141)의 시트 적재면(141b)을 포함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장치 주 조립체(101)의 내부의 시트 급송부의 일부 및 개방된 우측 도어(116)의 내측면 등도 포함한다.
도 11은, 우측 도어(116)(도 11에는 도시되지 않음)가 개방된 상태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우측면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우측 도어(116)를 개방함으로써 노출되는 시트 급송부(107)는, 레지스트 롤러(172), 레지스트 롤러(172)의 상류 측의 시트 급송부(107)를 구성하는 급송 가이드(171), 및 급송 가이드(171)의 상류 측의 레지스트전 롤러(173)를 포함한다. 또한, 시트 급송부(107)는, 시트(S)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는 시트 검출 수단인 제1 시트 센서(3) 및 제2 시트 센서(4)를 포함한다. 제1 시트 센서(3)는 급송 가이드(171)에 제공되어 있고, 제2 시트 센서(4)는 레지스트전 롤러(173)의 상류 측에 제공된다. 시트 급송부(107)에 관하여 "상류" 및 "하류"는 화상 형성 시의 시트(S)의 통상의 급송 방향에 관한 것을 말한다.
도 13의 (a) 및 (b) 부분은 제1 시트 센서(3)의 근방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시트 센서(3)는 포토 센서(31)와 시트 검지 부재(32)를 포함한다. 시트 검지 부재(32)는, 시트(S)와 접촉할 수 있는 자유 단부(32a), 맞닿음 도어(32b), 및 원호부(32c)를 갖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33)에 의해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도 13의 (a) 부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S)가 없는 경우에는, 시트 검지 부재(32)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3)에 의해, 급송 가이드(171)에 제공된 부딪힘면(171a)에 맞닿음부(32b)가 부딪치는 위치이다. 이 상태에서는, 포토센서(31)의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광은 원호부(32c)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상태로 포토센서(31)의 수광부에 의해 검지된다. 제1 시트 센서(3)는 이 상태에서 시트(S)가 없다고 검지한다. 한편, 도 13의 (b) 부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S)가 제1 시트 센서(3)를 통과하고 있는 때에는, 자유 단부(32a)가 시트(S)에 의해 밀어올려진다. 이 상태에서는, 원호부(32b)가 포토센서(31)의 발광부와 수광부의 사이에서 광을 차단한다. 제1 시트 센서(3)는, 이 상태에서 시트(S)가 존재(현존) 상태에 있다고 검지한다. 시트(S)가 제1 시트 센서(3)를 통과한 후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33)에 의해 시트 검지 부재(32)는 도 13의 (a) 부분에 나타내는 미리정해진 위치로 복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시트 센서(4) 역시 상기 제1 시트 센서(3)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12의 (a) 및 (b) 부분은, 우측 도어(116)가 개방된 상태에서 표시되는 조작 안내의 예를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우측면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12의 (a) 부분은, 잼 처리 시의 시트(S)의 상태의 일례로서, 시트(S)가 레지스트전 롤러(173)에 이르고, 제1 시트 센서(3)에 이르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C)는, 제1 및 제2 시트 센서(3, 4)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지시를 제공함으로써, 프로젝터 유닛(1)은 급송 가이드(171)의 면 및 시트(S)의 선단부에, 예를 들어 시트(S)의 제거 방향을 나타내는 상향의 화살표(E) 등의 조작 안내를 투사할 수 있다. 한편, 도 12의 (b) 부분은, 잼 처리 시의 시트(S)의 상태의 다른 예로서, 시트(S)가 2차 전사부에 대응하는 위치(2차 전사 대향 롤러(213))에 이르고, 제1 시트 센서(3) 위에 존재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C)는, 제1 및 제2 시트 센서(3, 4)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지시를 제공함으로써, 프로젝터 유닛(1)은 급송 가이드(171)에 위치하는 시트(S)의 후단부에 예를 들어 시트(S)의 제거 방향을 나타내는 하향의 화살표(E) 등의 조작 안내를 투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화살표(E)는, 그 일부가 강하게 빛나고, 그 강하게 빛나는 부분이 단계적으로 이동하는(예를 들어, 강하게 빛나는 부분이 기단부로부터 상단부를 향해서 이동하는) 애니메이션 화상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 유닛(1)의 투사 개구(14)는, 투사 대상의 상방 및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정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깊이 방향에 관하여 투사 대상이 배치된 영역의 실질적 중앙 위치(B)보도 안측(전방측으로부터 먼 측)에 배치된다. 이때, 투사 개구(14)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측에 서 있는 조작자로부터 투사 대상을 보았을 때에 눈이 투사 대상(예를 들어, 수동 급송 트레이(141)의 시트(S) 및 우측 도어(116)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시트 급송부(107))에 도달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투사 개구(14)를 통해 조작 안내를 하방 및 전방면 방향을 향해 투사함으로써, 투사 수단의 방향을 바꾸기 위한 구성을 제공하지 않고, 비교적 소형 및 간단한 구성으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우측의 투사 대상에 조작 안내를 투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투사 방향을 채용함으로써, 투사 개구(14)를 통해 투사된 광을 조작자가 차단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프로젝터 유닛(1) 자체에 의해 사각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조작자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측으로부터 우측 조작 대상의 조작을 실행해도, 조작자가 프로젝터 유닛(1)에 의해 투사되는 조작 안내를 차단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젝터 유닛(1)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우측면의 외측을 향해 돌출해도, 프로젝터 유닛(1) 자체에 의해 사각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기본적인 동작은 실시예 1 내지 4의 화상 형성 장치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실시예 1 내지 4의 화상 형성 장치의 것과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기능 혹은 구성을 갖는 요소, 실시예 1 내지 4의 것과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로 나타내고, 상세할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의 (a) 부분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수동 급송 트레이(141)가 개방된 상태의 전방측면, 우측면 및 상면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의 (b) 부분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우측 도어(116)가 개방된 상태의 우측면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의 (b) 부분에서, 우측 도어(116)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 유닛(1)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우측면, 상세하게는 우측 도어(116) 보다 안측의 장치 주 조립체(101)의 우측면 상에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 유닛(1)의 투사 개구(14)는 조작부(2)보다 낮은 위치에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프로젝터 유닛(1)의 투사 개구(14)는 레지스트 롤러(172)보다 상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 유닛(1)의 투사 대상은, 도 14의 (a) 부분에 나타내는 수동 급송 트레이(141)의 시트 적재면(141b), 및 도 14의 (b) 부분에 나타내는 레지스트 롤러(172)로부터 상류 측의 시트 급송부(107)의 일부이다.
수동 급송 트레이(141)의 시트 적재면(141b) 및 레지스트 롤러(172)로부터 상류 측에 위치된 시트 급송부(107)에 투사되는 조작 안내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4의 (b) 부분에는, 시트(S)의 제거 방향을 나타내는 상향의 화살표(E)를 시트(S)의 선단부 및 급송 가이드(171)에 투사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보다 프로젝터 유닛(1)의 투사 대상이 적고, 실시예 1보다 투사가능 범위(A)는 좁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 유닛(1)과 투사 대상 사이의 거리가 작기(가깝기) 때문에, 프로젝터 유닛(1)에 요구되는 조도 역시 작을 수 있고, 따라서 프로젝터 유닛(1)은 소형화될 수 있다. 프로젝터 유닛(1)의 투사가능 범위(A)는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투사가능 범위(A)가 비교적 좁을 경우에는, 예를 들어 투사가능 범위(A)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정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깊이 방향에 관하여 투사 대상이 배치된 영역의 실질적 중앙 위치(B)보다 안측의 범위일 수 있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실시예 1 내지 5의 화상 형성 장치의 것과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기능 혹은 구성을 갖는 요소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로 나타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의 (a) 부분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평면도이다. 도 15의 (b) 및 (c) 부분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전방측으로부터 본 개략 단면도이며, (b)은 우측 도어(116)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c)는 우측 도어(116)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 유닛(1)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우측면, 상세하게는 화상 판독부(105)의 우측면(및 우측 도어(116) 상방)에 제공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 유닛(1)의 투사 개구(14)는, 우측 도어(116)가 폐쇄된 상태에서 우측 도어(116)에 관하여 장치 주 조립체(101) 내측에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프로젝터 유닛(1)의 투사 개구(14)는 조작부(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및 레지스트 롤러(172) 상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 유닛(1)의 투사 대상은, 개방된 우측 도어(116)의 내측면, 시트 급송부(107), 시트 급송부(107)에 위치하는 시트(S) 등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 유닛(1)은, 실시예 1 및 2에서의 우측 도어(116)를 개방했을 때의 조작 안내와 마찬가지의 조작 안내를 투사할 수 있다.
프로젝터 유닛(1)의 투사 대상이 주로 우측 도어(116)의 내측 및 장치 주 조립체(101)일 경우, 프로젝터 유닛(1)의 투사 개구(14)는 우측 도어(116)의 외측면에 관하여 장치 주 조립체(101)의 내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젝터 유닛(1)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측을 향해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작자가 우측 도어(116)를 개방하고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조작 대상을 조작하는 경우에도, 프로젝터 유닛(1)에 의한 조작자에 대한 사각을 적게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젝터 유닛(1)에 의한 사각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를 전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깊이 방향에서의 프로젝터 유닛(1)의 투사 개구(14)의 배치에는 비교적 높은 자유도가 있다. 단, 조작자가 프로젝터 유닛(1)으로부터 투사되는 조작 안내를 차단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투사 개구(14)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전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깊이 방향에서의 투사 대상이 배치된 영역의 실질적 중앙 위치(B) 또는 실질적 중앙 위치(B)보다 안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투사 개구(14)는 실질적 중앙 위치(B)에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전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깊이 방향에서의 투사 대상이 배치된 영역의 실질적 중앙 위치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전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시트(S)의 급송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실질적 중앙 위치에 대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설명되었지만,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투사 대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언급된 것을 포함하며 또한 이하의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의 횡측면 측을 향해 개방가능한 도어 부재의 외측 부분(우측 도어(116)의 외측면 및 손잡이 등), 도어 부재의 내측 부분(우측 도어(116)의 내측면 등), 도어 부재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시트 급송부(레지스트 롤러(172), 급송 가이드(171) 등), 시트 급송로로부터 시트를 제거하기 위해 조작되는 피조작 부분(시트 급송로를 이동시키거나 급송 부재를 이동(회전)시키기 위한 레버, 노브 등), 도어 부재가 개방된 상태에서 시트 급송부에 위치되는 시트(잼을 유발하는 기록 시트), 화상 형성 장치의 횡측면 측을 향해 개방가능한 시트 적재부(수동 급송 트레이(141) 등), 시트 적재부의 내측면(수동 급지 트레이(141)의 시트 급송면(141a) 등), 시트 적재부에 적재된 시트(수동 급송 트레이(141)에 적재된 기록 시트), 화상 형성 장치의 횡측면 측을 향해 인출될 수 있는 수용 부재의 외측 부분(시트 수용부의 외측면 및 손잡이 등), 수용 부재가 인출된 상태에서의 수용 부재의 내측 부분(시트 수용부의 내측 부분), 인출된 상태의 수용 부재에 수용된 피수용 부재(시트 수용부에 수용된 시트), 화상 형성 장치의 횡측면 측을 향해 개방가능한 도어 부재가 개방된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소모품(토너 카트리지, 드럼 유닛, 현상 유닛, 회수 용기, 이들 부재의 손잡이 등의 조작부), 도어 부재가 개방된 상태에서 소모품을 장착 및 탈거하기 위한 피조작 부분, 및 화상 형성 장치의 횡측면 측의 바닥면을 언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횡측면은 화상 형성 장치의 우측면이었지만, 화상 형성 장치의 좌측면일 수도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의 좌측면에서, 잼 처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시트 급송부를 개방하기 위한 도어 부재 및 시트가 적재되는 시트 적재부는 동일한 케이스에 제공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복수의 화상 형성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되었지만, 하나의 화상 형성부가 제공되는 단일 컬러(예를 들어, 블랙)을 위한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4)
- 화상 형성 장치이며,
시트를 급송하도록 구성되는 급송부 및 급송된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부를 포함하는 주 조립체;
상기 주 조립체의 측면에 제공되고, 연직 방향에 관하여 부품의 상방의 공간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주 조립체의 상기 부품을 노출시키도록 개방가능한 개방가능 커버; 및
상기 연직 방향에 관하여 상기 개방가능 커버의 상방에 제공되고, 상기 개방가능 커버가 개방될 때 상기 부품을 향해 광을 투사할 수 있는 투사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부는, 상기 개방가능 커버가 개방될 때 노출되는 복수의 부품을 향해 광을 투사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가능 커버는 상기 주 조립체의 전방면에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부는 상기 부품과 개방된 상기 개방가능 커버의 내측면에 조작에 관한 정보를 동시에 투사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 조립체의 전방면에 제공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투사부 및 상기 조작부는 횡 방향으로 배열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 조립체의 전방면에 제공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투사부는 상기 연직 방향에 관하여 상기 조작부의 하방에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가능 커버는 상기 주 조립체의 전후 방향에 관하여 상기 투사부보다 안측에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인, 화상 형성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상 담지체를 갖는 상 담지 유닛인, 화상 형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주 조립체의 전방면에 제공되고, 상기 개방가능 커버는 상기 주 조립체의 횡측면에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부는 상기 주 조립체의 전후 방향에 관하여 상기 횡측면의 중앙 부분보다 안측에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부는 상기 조작부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부는 상기 조작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가능 커버는 상기 급송부를 개방 및 폐쇄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부는 상기 개방가능 커버가 개방될 때 상기 급송부를 구성하는 부품에 광을 투사하는, 화상 형성 장치.
- 화상 형성 장치이며,
급송되는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부를 포함하는 주 조립체;
상기 주 조립체의 전후 방향에 관하여 상기 장치 주 조립체의 전방면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인출될 수 있고, 상기 시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시트 수용 카세트; 및
연직 방향에 관하여 상기 시트 수용 카세트의 상방에 제공되고, 상기 시트 수용 카세트를 향해 광을 투사할 수 있는 투사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 조립체의 전방면에 제공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투사부 및 상기 조작부는 횡 방향으로 배열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 조립체의 전방면에 제공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투사부는 상기 연직 방향에 관하여 상기 조작부의 하방에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부는 인출된 상기 시트 수용 카세트의 내부에 조작에 관한 정보를 투사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 화상 형성 장치이며,
시트를 급송하도록 구성되는 급송부 및 급송된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부를 포함하는 주 조립체;
상기 장치 주 조립체의 전방 측에 제공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조작부;
상기 장치 주 조립체의 측면에 제공되고, 수평 방향의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개방가능하며, 상기 화상 형성부에 급송될 시트를 적재하도록 구성되는 시트 적재부; 및
연직 방향에 관하여 개방된 상기 시트 적재부의 시트 적재면의 상방에 제공되고, 상기 수평 방향에 관하여 상기 측면의 중앙 부분보다 상기 주 조립체의 안측에 제공되며, 상기 시트 적재부가 개방되었을 때에 상기 시트 적재부를 향해 광을 투사할 수 있는 투사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부는, 상기 시트 적재부에 적재될 수 있는 시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시트 적재면에 투사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에 제공되는 개방가능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사부는 상기 개방가능 커버가 개방될 때 상기 급송부를 향해 광을 투사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 화상 형성 장치이며,
시트를 급송하도록 구성되는 급송부 및 급송된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부를 포함하는 주 조립체;
상기 장치 주 조립체의 전방 측에 제공되고, 화상 형성 장치를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조작부;
상기 주 조립체의 측면에 제공되고, 상기 주 조립체의 상기 급송부를 노출시키도록 개방가능한 개방가능 커버; 및
수평 방향에 관하여 상기 측면의 중앙 부분보다 상기 주 조립체의 안측에 제공되며, 상기 개방가능 커버가 개방되었을 때에 상기 투사부를 향해 광을 투사할 수 있는 투사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부는, 연직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개방가능 커버에 의해 개방되는 상기 급송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측면에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6-236256 | 2016-12-05 | ||
JP2016236256A JP2018092043A (ja) | 2016-12-05 | 2016-12-05 | 画像形成装置 |
JP2017053504A JP2018154050A (ja) | 2017-03-17 | 2017-03-17 | 画像形成装置 |
JPJP-P-2017-053504 | 2017-03-1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4303A true KR20180064303A (ko) | 2018-06-14 |
Family
ID=62240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4909A KR20180064303A (ko) | 2016-12-05 | 2017-12-04 | 화상 형성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80157203A1 (ko) |
KR (1) | KR20180064303A (ko) |
CN (1) | CN108153124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003782A (ja) * | 2018-06-21 | 2020-01-09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2020034788A (ja) | 2018-08-30 | 2020-03-05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容器 |
JP7175678B2 (ja) | 2018-08-30 | 2022-11-21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容器 |
JP2023111327A (ja) * | 2022-01-31 | 2023-08-10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95470A (ko) * | 2005-07-18 | 2007-10-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에러 표시방법 |
JP4362578B2 (ja) * | 2007-05-10 | 2009-11-11 | シャープ株式会社 | 操作手順表示システム |
JP5022998B2 (ja) * | 2008-06-16 | 2012-09-12 | シャープ株式会社 | 用紙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JP6657711B2 (ja) * | 2015-09-28 | 2020-03-04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記録材処理装置 |
-
2017
- 2017-11-29 US US15/825,632 patent/US2018015720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7-11-30 CN CN201711231749.7A patent/CN108153124A/zh not_active Withdrawn
- 2017-12-04 KR KR1020170164909A patent/KR20180064303A/ko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8153124A (zh) | 2018-06-12 |
US20180157203A1 (en) | 2018-06-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79475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projecting information onto inner surface of open cover | |
KR20180064303A (ko) | 화상 형성 장치 | |
US20080159781A1 (en) | Electrophotographic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 |
KR20130048156A (ko) | 화상 형성 장치 및 카트리지 | |
US8437660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movable member for supporting cartridges | |
US10725426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toner containers | |
EP2690504A1 (en) |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 |
JP5805156B2 (ja) | 画像形成装置 | |
US9682832B2 (en) | Sheet feed cassett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5450507B2 (ja) | 給紙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US10197960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image projector | |
JPH06271122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9265464A (ja) | 画像形成装置 | |
EP2787398B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operating device | |
US10962919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18092044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21086109A (ja) | 表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4860942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18092043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18154050A (ja) | 画像形成装置 | |
JP7404045B2 (ja) | 表示装置、表示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表示装置の製造方法 | |
JPH0243186B2 (ko) | ||
JP2003295573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21196497A (ja) | 画像形成装置 | |
JPH0675445A (ja) | 画像形成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