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153A - 용이 개봉성 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용이 개봉성 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153A
KR20180063153A KR1020187011081A KR20187011081A KR20180063153A KR 20180063153 A KR20180063153 A KR 20180063153A KR 1020187011081 A KR1020187011081 A KR 1020187011081A KR 20187011081 A KR20187011081 A KR 20187011081A KR 20180063153 A KR20180063153 A KR 20180063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rt wall
piece
container lid
circumferential surface
inlet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1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8647B1 (ko
Inventor
유스케 오쿠보
미츠오 구마타
Original Assignee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3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40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 B65D41/42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made of relatively-stiff metallic material, e.g. crown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08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77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입구 목부(32)에 장착된 용기 뚜껑(2)를 입구 목부로부터 이탈시킬 때에, 파지편(6) 및 쉘(4)의 접속편(12)을 반경 방향 외방 내지 상방으로의 이동과 반경 방향 내측 내지 하방으로의 이동을 반복 수행하여도, 쉘의 접속편에서의 파지편의 접속부(26)에 둘러싸이는 부분과 파지편의 접속부에 둘러싸이지 않은 부분의 경계에서, 접속편이 파단되는 것이 충분히 확실하게 회피되는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파지편에 접속부의 내면 상단으로부터 스커트벽(10)의 내주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0)를 마련하고, 용기 뚜껑을 입구 목부에 피감합한 상태에서는, 파지편의 연장부의 상단부가 입구 목부의 걸림 돌출부(34)의 외주면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스커트벽의 하단부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변형된 상태에서는, 파지편의 연장부의 상단부가 스커트벽의 내주면과 걸림 돌출부의 외주면 사이에 끼워지도록 한다.

Description

용이 개봉성 용기 뚜껑
본 발명은 외주면 상단부에 반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환형 걸림 돌출부가 형성되는 입구 목부를 갖는 용기를 위한, 금속 박판제 쉘 및 합성 수지제 파지편을 구비하는, 용이 개봉성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주면 상단부에 반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환형 걸림 돌출부가 형성되는 입구 목부를 갖는 용기를 위한 용기 뚜껑으로서, 금속 박판제 쉘 및 합성 수지제 파지편을 구비하는 용기 뚜껑이, 널리 실용에 제공되고 있다. 금속 박판제 쉘은, 원형 천장면벽, 이 천장면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스커트벽, 및 둘레 방향에서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서 스커트벽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접속편을 가지고, 스커트벽 및 천장면벽에는, 미리 정해진 영역의 양측에서 스커트벽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이어서 천장면벽 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새김 선(score)이 형성된다. 파지편은 금속제 쉘의 접속편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접속부 및 접속부로부터 연장되는 파지부를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용기 뚜껑은, 용기의 입구 목부에 피감합하고, 스커트벽의 하단부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변형시켜 입구 목부의 걸림 돌출부에 걸리게 함으로써, 입구 목부에 장착된다. 입구 목부를 개봉할 때에는, 파지편의 파지부에 손가락을 걸어 반경 방향 외방 내지 상방으로 이동시켜 한 쌍의 새김 선을 파단시키고, 입구 목부의 걸림 돌출부에 대한 스커트벽의 하단부의 걸림을 해제하여, 입구 목부로부터 용기 뚜껑을 이탈시킨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용기 뚜껑에는, 용기의 입구 목부에 장착된 용기 뚜껑을 입구 목부로부터 이탈시킬 때에, 예컨대 파지편의 파지부에 손가락을 걸어 파지편 및 쉘의 접속편의 반경 방향 외방 내지 상방으로의 이동과 반경 방향 내측 내지 하방으로의 이동을 반복 수행하면, 쉘의 접속편에서의 파지편의 접속부에 둘러싸이는 부분과 파지편의 접속부에 둘러싸이지 않은 부분의 경계에서, 접속편이 파단되어 버려 입구 목부로부터 용기 뚜껑을 이탈시키는 것이 현저히 곤란해져 버리는 경향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기 특허문헌 2에 있어서는, 파지편에 그 접속부의 내면 상단으로부터 스커트벽의 내주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부설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하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기 뚜껑도 아직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다음과 같이 문제가 있다. 즉, 용기의 입구 목부에 용기 뚜껑을 피감합한 상태에서, 연장부의 상단은 입구 목부의 걸림 돌출부의 외주면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스커트벽의 하단부가 반경 방향 내방으로 변형되면, 연장부의 상단은 걸림 돌출부보다 하방에서 스커트벽의 내주면과 입구 목부의 외주면 사이에 끼워진다. 그 때문에, 파지편의 파지부에 손가락을 걸어 파지편을 반경 방향 외방 내지 상방으로 어느 정도 이동시키면, 파지편의 연장부가 조기에 입구 목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입구 목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떨어져 버리고, 이에 의해 연장부를 부설한 것에 따른 효과가 충분히 달성되지 않아,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용기 뚜껑과 마찬가지로, 파지편 및 쉘의 접속편을 반경 방향 외방 내지 상방으로의 이동과 반경 방향 내측 내지 하방으로의 이동을 반복 수행하면, 쉘의 접속편에서의 파지편의 접속부에 둘러싸이는 부분과 파지편의 접속부에 둘러싸이지 않은 부분의 경계에서, 접속편이 파단되어 버려 입구 목부로부터 용기 뚜껑을 이탈시키는 것이 현저하게 곤란해져 버리는 경향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7426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66860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기술적 과제는, 용기의 입구 목부에 장착된 용기 뚜껑을 입구 목부로부터 이탈시킬 때에, 파지편 및 쉘의 접속편을 반경 방향 외방 내지 상방으로의 이동과 반경 방향 내측 내지 하방으로의 이동을 반복 수행하여도, 쉘의 접속편에서의 파지편의 접속부에 둘러싸이는 부분과 파지편의 접속부에 둘러싸이지 않은 부분의 경계에서, 접속편이 파단되는 것이 충분히 확실하게 회피되는, 신규 또한 개량된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 및 실험의 결과, 파지편에 접속부의 내면 상단으로부터 스커트벽의 내주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마련하고, 용기 뚜껑을 입구 목부에 피감합한 상태에서는, 파지편의 연장부의 상단부가 입구 목부의 걸림 돌출부의 외주면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스커트벽의 하단부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변형된 상태에서는, 파지편의 연장부의 상단부가 스커트벽의 내주면과 걸림 돌출부의 외주면 사이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주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주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는 용기 뚜껑으로서, 외주면 상단부에 반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환형 걸림 돌출부가 형성되는 입구 목부를 갖는 용기를 위한 용이 개봉성 용기 뚜껑으로서, 원형 천장면벽, 상기 천장면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스커트벽, 및 둘레 방향에서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서 상기 스커트벽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접속편을 가지고,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의 양측에서 상기 스커트벽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이어서 상기 천장면벽 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새김 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금속 박판제 쉘, 및 상기 접속편에 접속되는 합성 수지제 파지편을 구비하며, 상기 파지편은, 상기 접속편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로부터 연장되는 파지부를 갖는 것인, 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파지편은, 상기 접속부의 내면 상단으로부터 상기 스커트벽의 내주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용기 뚜껑을 상기 입구 목부에 피감합하면, 상기 파지편의 상기 연장부의 상단부는 상기 입구 목부의 상기 걸림 돌출부의 외주면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스커트벽의 하단부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변형되면, 상기 파지편의 상기 연장부의 상단부는 상기 스커트벽의 내주면과 상기 걸림 돌출부의 외주면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이 제공된다.
적합하게는, 상기 입구 목부의 상기 걸림 돌출부의 외주면은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점차 증대하며 또한 종단면도에 있어서 원호 형상이고, 용기 뚜껑을 상기 입구 목부에 피감합하면, 상기 파지편의 상기 연장부의 상단부는 상기 입구 목부의 상기 걸림 돌출부의 외주면의 하단부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스커트벽의 하단부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변형되면, 상기 파지편의 상기 연장부의 상단부는 상기 스커트벽의 내주면과 상기 걸림 돌출부의 외주면의 하단부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 입구 목부의 상기 걸림 돌출부의 하면은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점차 저감하며 또한 종단면도에 있어서 원호 형상이고, 상기 입구 목부에 장착된 용기 뚜껑을 상기 입구 목부로부터 이탈시킬 때에,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벽의 하단부가 상기 입구 목부의 상기 걸림 돌출부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파지편의 상기 연장부의 상단은 상기 걸림 돌출부의 외주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 돌출부의 하면 내지 그보다 하방의 입구 목부 외주면에 밀접하게 되고, 상기 한 쌍의 새김 선의 파단이 진행되면 상기 입구 목부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하게는, 상기 파지편의 상기 연장부 중 적어도 상기 상단부는 상기 스커트벽의 내주면에 대하여 비접착 내지 약접착 상태이다. 상기 파지편의 상기 연장부의 전체가 상기 스커트벽의 내주면에 대하여 비접착 내지 약접착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지편의 상기 연장부 중 적어도 상기 상단부는 상기 스커트벽의 내면을 따라 둘레 방향으로 원호형으로 연장되고, 두께가 0.2 ㎜ 내지 0.5 ㎜인 것이 적합하다. 상기 파지편의 상기 연장부 중 적어도 상기 상단부는 전체에 걸쳐 균일한 두께를 갖는 것이 좋다. 적합하게는, 상기 파지편은 쇼어 D 경도가 55 내지 73인 경질 합성 수지로 성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쉘은 알루미늄계 합금 박판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용기 뚜껑에 있어서는, 파지편에는 접속부의 내면 상단으로부터 스커트벽의 내주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마련되고, 용기 뚜껑을 입구 목부에 피감합한 상태에서는, 파지편의 연장부의 상단부가 입구 목부의 걸림 돌출부의 외주면을 대향하여 위치하며, 스커트벽의 하단부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변형된 상태에서는, 파지편의 연장부의 상단부가 스커트벽의 내주면과 걸림 돌출부의 외주면 사이에 끼워진다. 따라서, 용기의 입구 목부에 장착된 용기 뚜껑을 입구 목부로부터 이탈시킬 때에, 파지편의 파지부에 손가락을 걸어 파지편 및 쉘의 접속편의 반경 방향 외방 내지 상방으로의 이동과 반경 방향 내측 내지 하방으로의 이동을 반복 수행하여도, 쉘의 접속편에서의 파지편의 접속부에 둘러싸이지 않은 부위는 파지편의 연장부에 의해 덧대어져 보강되고, 그 때문에 지나치게 절곡되는 것이 억제되어 파단되어 버리는 것이 충분히 방지된다. 한편, 파지편이 존재하는 둘레 방향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서 스커트벽의 하단부가 입구 목부의 걸림 돌출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어느 정도인가 이탈되면, 특히 파지편의 연장부 중 적어도 상단부가 스커트벽의 내면에 대하여 비접착 내지 약접착 상태인 경우, 파지편의 연장부는 스커트벽의 내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방으로 이격되어 반경 방향 내방 및 하방으로 변위되고, 연장부의 상단은 입구 목부의 걸림 돌출부의 외주면으로부터 걸림 돌출부의 하면 내지 걸림 돌출부보다 하방의 입구 목부 외주면에 밀접하게 되며, 파지편을 더욱 반경 방향 외방 내지 상방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연장부의 선단이 소위 지렛대의 지점으로서 기능하여, 파지편의 반경 방향 외방 내지 상방으로의 이동이 조장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용기 뚜껑의 적합 실시형태의 사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용기 뚜껑을 뒤집힌 상태로 나타내는 사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용기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용기 뚜껑을 입구 목부에 피감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스커트벽의 하단부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변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파지편을 반경 방향 외방 내지 상방으로 어느 정도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파지편을 반경 방향 외방 내지 상방으로 더욱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용이 개봉 제조 용기 뚜껑의 적합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체를 번호 2로 나타내는 도시된 용기 뚜껑은 금속 박판제 쉘(4)과 합성 수지제 파지편(6)을 구비한다.
쉘(4)은, 원형 천장면벽(8), 이 천장면벽(8)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원통형 스커트벽(10), 및 둘레 방향에서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서 스커트벽(1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접속편(12)으로 구성된다. 천장면벽(8)의 주부는 실질상 수평으로 연장되고, 스커트벽(10)의 주부는 실질상 연직으로 연장되며, 천장면벽(8)과 스커트벽(10)의 경계 영역은 종단면도인 도 3에 있어서 반경 방향 외방 및 하방으로 원호형으로 연장된다. 접속편(12)은 스커트벽(10)의 하단으로부터 실질상 연직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직부(12a)와 이 연직부(12a)에 이어서 하방을 향하여 반경 방향 외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12b)를 갖는다. 접속편(12)이 배치되는 미리 정해진 영역의 양측에서, 스커트벽(10)의 하단부에는, 절결부(16a 및 16b)가 형성된다. 그리고, 스커트벽(10) 및 천장면벽(8)에는, 절결부(16a 및 16b)의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새김 선(18a 및 18b)이 형성된다. 한 쌍의 새김 선(18a 및 18b)의 각각은, 절결부(16a 및 16b)에 이어서 스커트벽(10)의 하단으로부터 스커트벽(10)의 상단까지 연장되는 제1 부분, 제1 부분에 이어서 천장면벽(8)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2 부분 및 제2 부분에 이어서 더욱 스커트벽(10)으로 연장되는 제3 부분을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쉘(4)은, 알루미늄계 합금 박판, 크롬산 처리 강박판 또는 양철 박판과 같은 적절한 금속 박판에 펀칭 가공 및 드로잉 가공과 같은 적절한 기계 가공을 가함으로써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한 쌍의 새김 선(18a 및 18b)은 금속 박판의 표면 또는 이면으로부터 공구를 작용시켜 두께를 저감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함으로써 이해되는 바와 같이, 쉘(4)의 천장면벽(8)의 내면에는 라이너(20)가 배치된다. 이 라이너(20)는, 연질 폴리에틸렌과 같은 적절한 합성 수지 소재를 상기 쉘(4)의 천장면벽(8)의 내면에 공급하고, 이러한 합성 수지 소재를 소요 형상으로 엠보싱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라이너(20)는 전체로서 원판 형상이고, 라이너(20)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2줄의 환형 돌기형, 즉 외측 환형 돌기형(22) 및 내측 환형 돌기형(24)이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파지편(6)은 쉘(4)의 접속편(1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접속부(26) 및 이 접속부(26)로부터 연장되는 파지부(28)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파지편(6)의 접속부(26)는 접속편(12)의 경사부(12b)의 대부분을 둘러싼다. 이러한 파지편(6)은, 그 쉘(4)의 접속편(12)을 소위 코어로 하여,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적절한 합성 수지 재료, 바람직하게는 쇼어 D 경도가 55 내지 73인 합성 수지로부터 사출 성형 내지 압축 성형함으로써, 성형과 동시에 접속부(26)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 뚜껑(2)에 있어서는, 파지편(6)은, 접속부(26)의 내면 상단으로부터 스커트벽(10)의 내주면을 따라 상방으로 소요 길이 연장되는 연장부(30)를 포함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장부(30)는 스커트벽(10)의 내주면을 따라 둘레 방향으로 원호형으로 연장되고, 연장부(30)의 적어도 상단부, 바람직하게는 그 전체는 0.2 ㎜ 내지 0.5 ㎜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연장부(30)의 둘레 방향 길이는 상방을 향하여 점차 감소하고, 연장부(30)는 전체로서 사다리꼴 형상이다. 연장부(30)의 상방으로의 연장 길이는, 용기 뚜껑(2)가 장착되는 용기의 입구 목부에 있어서의 걸림 돌출부에 대하여 연장부(30)의 상단부가 걸리게 되는 관계를 이루는 치수인 것이 중요하고, 예컨대 5 ㎜ 내지 6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편(6)의 접속부(26)는 쉘(4)의 접속편(12)에 견고하게 접속되는 것이 중요하고, 따라서 접속부(26)는 접속편(12)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파지편(6)의 연장부(30)는 스커트벽(10)의 내주면에 대하여 비접착 내지 약접착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30)를 스커트벽(10)의 내주면에 대하여 비접착 내지 약접착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쉘(4)의 접속편(12)을 소위 코어로 하여 파지편(6)을 성형하는 것에 앞서, 쉘(4)을 형성하는 금속 박판에서의 연장부(30)가 대향하여 위치하는 부위에, 파지편(6)을 형성하는 합성 수지 재료에 대하여 비접착 내지 약접착성인 코팅을 실시하면 좋다. 접속편(12)에서의 파지편(6)의 접속부(26)에 둘러싸이는 부위에는, 파지편(6)을 형성하는 합성 수지 재료에 대하여 접착성을 갖는 코팅을 실시할 수 있다.
도 4에는 용기 뚜껑(2)와 함께 이러한 용기 뚜껑(2)가 피감합된 용기의 입구 목부(32)도 도시된다. 유리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적절한 합성 수지로 형성할 수 있는 용기의 입구 목부(32)는 전체로서 대략 원통 형상이고, 그 외주면 상단부에는 반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환형 걸림 돌출부(34)가 형성된다. 입구 목부(32)의 걸림 돌출부(34)의 외주면은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점차 증대하며 또한 종단면도에 있어서 원호 형상이고, 입구 목부(32)의 걸림 돌출부(34)의 하면은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점차 저감하며 또한 종단면도에 있어서 원호 형상이며, 걸림 돌출부(34)의 하면으로부터 그 하방을 향하여 입구 목부(32)의 외주면에는 원호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된다.
용기의 입구 목부(32)에 용기 뚜껑(2)를 장착하기 위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뚜껑(2)를 입구 목부(32)에 피감합한 상태에서, 파지편(6)의 연장부(30)의 상단부는 입구 목부(32)의 걸림 돌출부(34)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하여 걸림 돌출부(34)의 외주면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파지편(6)의 연장부(30)의 상단은 입구 목부(32)의 걸림 돌출부(34)의 외주면의 하단부에 대향하여 위치한다. 맥주 또는 탄산 음료와 같은 기체 함유 액체를 충전한 용기의 입구 목부(32)에 용기 뚜껑(2)를 장착할 때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 목부(32)에 용기 뚜껑(2)를 피감합하고, 이어서 도 5의 도시와 같이 용기 뚜껑(2)를 하방으로 누른 상태를 유지하여 쉘(4)의 스커트벽(10)의 하부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변형시켜, 입구 목부(32)의 걸림 돌출부(34)에 스커트벽(10)의 하부가 걸리도록 한다. 그렇게 하면, 파지편(6)의 연장부(30)의 상단부는 스커트벽(10)의 내주면과 걸림 돌출부(34)의 외주면 사이,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스커트벽(10)의 내주면과 걸림 돌출부(34)의 외주면의 하단부 사이에 끼워진다.
내용물을 소비하기 위해 입구 목부(32)로부터 용기 뚜껑(2)를 이탈시켜 입구 목부(32)를 개봉할 때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쉘(4)의 파지편(6)에서의 파지부(28)에 손가락을 걸어, 파지편(6)을 반경 방향 외방 내지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바람직하지 않은 조작, 즉 파지편(6)의 반경 방향 외방 내지 상방으로의 이동과 반경 방향 내측 내지 하방으로의 이동을 반복 수행하여도, 쉘(4)의 접속편(12)에서의 파지편(6)의 접속부(26)에 둘러싸이지 않은 부분, 즉 연직부(12a) 내지 연직부(12a)와 경사부(12b)의 경계부는 파지편(6)의 연장부(30)에 의해 덧대어져 보강되고, 그 때문에 지나치게 절곡되는 것이 억제되어, 파단되어 버리는 것이 충분히 방지된다. 파지편(6)을 반경 방향 외방 내지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에서 스커트벽(10)의 하단부가 입구 목부(32)의 걸림 돌출부(34)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특히 파지편(6)의 연장부(30) 중 적어도 상단부가 스커트벽(10)의 내면에 대하여 비접착 내지 약접착 상태인 경우,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편(6)의 연장부(30) 중 적어도 상단부는, 스커트벽(10)의 내주면과 걸림 돌출부(34)의 외주면 사이의 끼워짐으로부터 해방되어, 걸림 돌출부(34)의 외주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되어 걸림 돌출부(34)의 하면 내지 그보다 하방의 입구 목부(32)의 외주면에서의 원호 형상 오목부에 밀접하게 된다. 파지편(6)을 더욱 반경 방향 외방 내지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쉘(4)에 형성되는 한 쌍의 새김 선(18a 및 18b)의 파단이 진행되고, 이렇게 하여 입구 목부(32)의 환형 걸림 돌출부(34)에 대한 쉘(4)의 스커트벽(10)의 하단부의 걸림이 해제되어, 용기 뚜껑(2)가 입구 목부(32)로부터 이탈된다. 파지편(6)을 반경 방향 외방 내지 상방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걸림 돌출부(34)의 하면 내지 그보다 하방의 입구 목부(32)의 외주면에 밀접하게 있는 연장부(30)의 선단이 소위 지렛대의 지점으로서 기능하여, 파지편(6)의 반경 방향 외방 내지 상방으로의 이동이 조장된다. 그리고, 한 쌍의 새김 선(18a 및 18b)의 파단이 진행되면, 연장부(30)는 입구 목부(32)로부터 이격된다.
2: 용기 뚜껑 4: 쉘
6: 파지편 8: 천장면벽
10: 스커트벽 12: 접속편
18a, 18b: 한 쌍의 새김 선 26: 접속부
28: 파지부 30: 연장부
32: 입구 목부 34: 걸림 돌출부

Claims (9)

  1. 외주면 상단부에 반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환형 걸림 돌출부가 형성되는 입구 목부를 갖는 용기를 위한 용이 개봉성 용기 뚜껑으로서, 원형 천장면벽, 상기 천장면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스커트벽, 및 둘레 방향에서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서 상기 스커트벽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접속편을 가지고,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의 양측에서 상기 스커트벽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이어서 상기 천장면벽 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새김 선이 형성되는 것인, 금속 박판제 쉘, 및 상기 접속편에 접속되는 합성 수지제 파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파지편은, 상기 접속편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로부터 연장되는 파지부를 갖는 것인, 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파지편은, 상기 접속부의 내면 상단으로부터 상기 스커트벽의 내주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용기 뚜껑을 상기 입구 목부에 피감합하면, 상기 파지편의 상기 연장부의 상단부는 상기 입구 목부의 상기 걸림 돌출부의 외주면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스커트벽의 하단부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변형되면, 상기 파지편의 상기 연장부의 상단부는 상기 스커트벽의 내주면과 상기 걸림 돌출부의 외주면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목부의 상기 걸림 돌출부의 외주면은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점차 증대하며 또한 종단면도에 있어서 원호 형상이고, 용기 뚜껑을 상기 입구 목부에 피감합하면, 상기 파지편의 상기 연장부의 상단부는 상기 입구 목부의 상기 걸림 돌출부의 외주면의 하단부에 대향하여 위치하며, 상기 스커트벽의 하단부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변형되면, 상기 파지편의 상기 연장부의 상단부는 상기 스커트벽의 내주면과 상기 걸림 돌출부의 외주면의 하단부 사이에 끼워지는 것인, 용기 뚜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목부의 상기 걸림 돌출부의 하면은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점차 저감하며 또한 종단면도에 있어서 원호 형상이고, 상기 입구 목부에 장착된 용기 뚜껑을 상기 입구 목부로부터 이탈시킬 때에,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에서 상기 스커트벽의 하단부가 상기 입구 목부의 상기 걸림 돌출부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파지편의 상기 연장부의 상단은 상기 걸림 돌출부의 외주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 돌출부의 하면 내지 그보다 하방의 입구 목부 외주면에 밀접하게 되고, 상기 한 쌍의 새김 선의 파단이 진행되면 상기 입구 목부로부터 이격되는 것인, 용기 뚜껑.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편의 상기 연장부 중 적어도 상기 상단부는 상기 스커트벽의 내주면에 대하여 비접착 내지 약접착 상태인 것인, 용기 뚜껑.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편의 상기 연장부 전체가 상기 스커트벽의 내주면에 대하여 비접착 내지 약접착 상태인 것인, 용기 뚜껑.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편의 상기 연장부 중 적어도 상기 상단부는 상기 스커트벽의 내면을 따라 둘레 방향으로 원호형으로 연장되고, 두께가 0.2 ㎜ 내지 0.5 ㎜인 것인, 용기 뚜껑.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편의 상기 연장부 중 적어도 상기 상단부는 전체에 걸쳐 균일한 두께를 갖는 것인, 용기 뚜껑.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편은 쇼어 D 경도가 55 내지 73인 경질 합성 수지로 성형되는 것인, 용기 뚜껑.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알루미늄계 합금 박판으로 형성되는 것인, 용기 뚜껑.
KR1020187011081A 2015-09-30 2016-09-09 용이 개봉성 용기 뚜껑 KR1026086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92884 2015-09-30
JP2015192884A JP6576772B2 (ja) 2015-09-30 2015-09-30 易開封性容器蓋
PCT/JP2016/076581 WO2017056918A1 (ja) 2015-09-30 2016-09-09 易開封性容器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153A true KR20180063153A (ko) 2018-06-11
KR102608647B1 KR102608647B1 (ko) 2023-11-30

Family

ID=58423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1081A KR102608647B1 (ko) 2015-09-30 2016-09-09 용이 개봉성 용기 뚜껑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787296B2 (ko)
EP (1) EP3357828B1 (ko)
JP (1) JP6576772B2 (ko)
KR (1) KR102608647B1 (ko)
CN (1) CN108137194A (ko)
RU (1) RU2714334C1 (ko)
TW (1) TWI676579B (ko)
WO (1) WO20170569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200021786A1 (it) * 2022-10-21 2024-04-21 Pelliconi & C Spa Chiusura per contenitori.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4266A (ja) 2007-01-18 2008-07-31 Japan Crown Cork Co Ltd 易開封性容器蓋
JP2011173594A (ja) * 2010-02-23 2011-09-08 Japan Crown Cork Co Ltd 易開封性蓋
JP2014166860A (ja) 2013-02-28 2014-09-11 Nippon Closures Co Ltd 引裂き式容器蓋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9019A (en) * 1951-07-23 1955-05-24 Jack N Powell Opening attachment for bottle caps
US3206055A (en) * 1963-09-03 1965-09-14 Helbling August Flexible bottle cap opener
DE3618178A1 (de) * 1986-05-30 1987-12-03 Chesoo Domingo Kim Flaschenverschluss, insbesondere fuer getraenkeflaschen
SE8604926D0 (sv) * 1986-11-17 1986-11-18 Wicanders Kapsyl Ab Upprivningsbar kapsyl
JPH11152159A (ja) * 1997-11-21 1999-06-08 Fuji Seal Inc 容易開口容器の蓋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2369962Y (zh) * 1999-04-08 2000-03-22 韦庆林 易开瓶盖
CN2618872Y (zh) * 2003-04-09 2004-06-02 赵春泽 一种易拉瓶盖
CA2577886C (fr) * 2007-02-13 2015-09-08 Crealise Conditionnement Inc. Bouchon sans joint rapporte
US8944264B2 (en) * 2013-02-04 2015-02-03 World Bottling Cap, LLC Medical vial cap
JP6356951B2 (ja) 2013-08-22 2018-07-11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易開封性容器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4266A (ja) 2007-01-18 2008-07-31 Japan Crown Cork Co Ltd 易開封性容器蓋
JP2011173594A (ja) * 2010-02-23 2011-09-08 Japan Crown Cork Co Ltd 易開封性蓋
JP2014166860A (ja) 2013-02-28 2014-09-11 Nippon Closures Co Ltd 引裂き式容器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87296B2 (en) 2020-09-29
US20180305089A1 (en) 2018-10-25
EP3357828A4 (en) 2019-06-19
JP2017065723A (ja) 2017-04-06
EP3357828A1 (en) 2018-08-08
TWI676579B (zh) 2019-11-11
WO2017056918A1 (ja) 2017-04-06
EP3357828B1 (en) 2021-03-31
KR102608647B1 (ko) 2023-11-30
JP6576772B2 (ja) 2019-09-18
CN108137194A (zh) 2018-06-08
TW201718361A (zh) 2017-06-01
RU2714334C1 (ru) 2020-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4116A (en) Closure cap for beverage containers
WO2011142092A1 (ja) 金属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きボトル
JP5038730B2 (ja) 易開封性容器蓋
JP2015040060A (ja) 易開封性容器蓋
JP7544478B2 (ja) 易開封性容器蓋
JP4979128B2 (ja) 開口容易缶蓋
KR20180063153A (ko) 용이 개봉성 용기 뚜껑
TW201627208A (zh) 具有開瓶器組件的冠形瓶蓋(一)
JP5623615B2 (ja) キャップの製造方法
TW201726505A (zh) 具有開瓶器組件的冠形瓶蓋(一)
JP2015054699A (ja) キャップ、閉止装置、および飲料入り閉止装置
JP4065690B2 (ja) 易開封性容器蓋
JP2017132510A (ja) 打栓式樹脂キャップ
JP2010070225A (ja) 開口容易缶蓋
JP6754340B2 (ja) ボトル缶及びキャップ付きボトル缶
JP5137678B2 (ja) 樹脂キャップ
US1579762A (en) Capped container and cap therefor
JP6964457B2 (ja) キャップおよびキャップ付きボトル
KR101824364B1 (ko) 원터치캔
JP3198644U (ja) 包装用容器
JP3479697B2 (ja) 容器用栓
JP2004331190A (ja) 内圧開放特性を有する容器蓋
JP2015205701A (ja) 開口容易缶蓋
JP2602638Y2 (ja) 開口容易なアルミニウム合金製キャップ
JP2008150105A (ja) 蓋固定リングの取外し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