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364B1 - 원터치캔 - Google Patents

원터치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364B1
KR101824364B1 KR1020170075670A KR20170075670A KR101824364B1 KR 101824364 B1 KR101824364 B1 KR 101824364B1 KR 1020170075670 A KR1020170075670 A KR 1020170075670A KR 20170075670 A KR20170075670 A KR 20170075670A KR 101824364 B1 KR101824364 B1 KR 101824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opened
lid piece
cap piece
inc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한덕
Original Assignee
고한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한덕 filed Critical 고한덕
Priority to KR1020170075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364B1/ko
Priority to PCT/KR2018/006684 priority patent/WO201823095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complete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02Location of opening
    • B65D2517/0007Location of opening in a separate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6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push-down and pull-out tear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뚜껑의 뚜껑편을 용이하게 개봉하기 위한 원터치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뚜껑편의 테두리에 탭의 가압부로 개봉되는 부분의 양측이 내측으로 만곡되는 절개선이 형성되는 것으로, 탭의 손잡이부를 위로 들어올려 가압부가 뚜껑편의 일측을 가압하면, 뚜껑편의 일부분이 절개선의 만곡된 만곡점까지만 절개되어 하방으로 개봉되고, 뚜껑편의 중앙에 엄지손가락 또는 손바닥을 대고 손잡이부에 다른 손가락(예를 들어, 검지손가락)을 끼워서 뒤로 당기면, 절개선의 만곡된 만곡점에서 뚜껑편이 상방으로 절개가 시작되고 절개선이 절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손잡이부를 당기는 힘이 작용하여, 작은 힘에 의해서도 나머지 뚜껑편이 상방으로 용이하게 개봉된다.
이로 인해 뚜껑편을 상방으로 개봉할 때 손이 베이는 사고 없이 안전하게 개봉할 수 있고, 사용자가 뚜껑편을 개봉할 때 사고발생에 대한 불안감이 해소되어 사용이 더욱 편리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터치캔{EASY OPEN END CAN}
본 발명은 원터치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의 뚜껑편을 보다 작은 힘으로 개봉할 수 있고, 안전하고 용이하게 개봉하기 위한 원터치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음식물을 장기간 보관 및 유통하기 위해서 금속, 플라스틱, 유리 등의 포장용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금속캔은 장기간 보존을 요구하는 음식물의 보관과 유통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금속캔에 충진된 내용물을 보다 편리하게 꺼내는 방법으로 캔뚜껑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어 당길 수 있는 고리 형태의 손잡이를 부착하고, 뚜껑편에 절개되어 열리도록 하는 절개선을 만들어서 원터치로 개봉되는 원터치캔(Easy open end can)이 참치캔 등에 적용되어 널리 유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캔뚜껑을 따고자 할 때에는 한 손으로는 캔의 외부둘레를 잡아 고정시키고, 다른 손의 손가락으로는 캔뚜껑에 있는 손잡이 상의 고리에 걸어서 잡아당김으로써, 별도의 도구 없이도 캔을 개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개봉되는 원터치캔은 개봉의 방식에 있어서는 편리하지만, 개봉된 금속 소재의 뚜껑편의 절단면은 신체에 상해를 줄 수 있을 정도로 날카롭기 때문에 캔을 개봉하는 사용자는 뚜껑편의 절단면에 의해서 신체적 상해를 입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 원터치캔의 개봉방식을 나타낸 도 1을 참조하면, 원터치캔의 뚜껑의 뚜껑편(11)에 형성되는 탭(12)의 고리 형태의 손잡이부(13)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상방(a)으로 들어올리면, 가압부(14)가 뚜껑편(11)의 일측을 가압하여 뚜껑편(11)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절개선(15)이 절개되며 뚜껑편(11)의 일부분이 하방으로 개봉되고, 나머지 뚜껑편(11)을 개봉하기 위해 엄지손가락 또는 손바닥을 뚜껑편(11)의 중앙에 대고 손잡이부(13)에 다른 손가락(예를 들어, 검지손가락)을 끼워서 뒤로 당길 때 상방으로 절개되는 뚜껑편(11)의 날카로운 절개면에 손이 베이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손잡이부(13)의 고리에 손가락을 끼워 상방(a)으로 들어올려 절개선(15)의 일부가 절개되며 뚜껑편(11)의 일부분이 하방으로 개봉된 후, 나머지 뚜껑편(11)을 개봉하기 위해 손잡이부(13)를 뒤로 당길 때, 아직 절개되지 아니한 나머지 절개선(15)이 추가적으로 절개되기 시작하는 양 끝을 중심으로 절개선(15)이 절개되는 방향(b)과 손잡이부(13)를 당기는 힘의 방향(c)이 서로 동일하지 않고 45도 이상으로 벌어져 있기 때문에, 손잡이부(13)를 당기는 힘이 분산되어 개봉이 쉽지 않고, 뚜껑편(11)의 일부분이 하방으로 개봉되어 아래로 꺾여있는 절개선(15)의 양 끝을 역방향인 위로 절개해야 하므로 개봉이 더욱 쉽지 않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잡이부(13)를 세게 당기게 되어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강한 힘에 의해, 절개선(15)이 절개되는 속도를 조절하지 못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를 넘어 뚜껑편(11)이 과다하게 절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3485호(원터치캔, 2017.03.22. 공고)
본 발명은 뚜껑편을 개봉할 때 절개선이 절개되는 방향을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당기는 힘의 방향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작은 힘을 가해도 캔으로부터 뚜껑편을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하는 원터치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몸체(10)의 상부에 뚜껑(20)의 가장자리가 압착 성형되는 원터치캔(1)으로서, 가압부(33)와 손잡이부(32)와 연결부(31)로 이루어지는 탭(30); 상기 뚜껑(20)의 뚜껑편(21)에 형성되고, 상기 탭(30)의 상기 연결부(31)를 상기 뚜껑(20)의 뚜껑편(21)에 결속시켜 주는 리벳(40); 및 상기 뚜껑편(21)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절개선(50)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33) 방향에 위치하는 절개선(50)의 일부가 상기 리벳(40)을 기준으로 양측이 내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탭(30)의 상기 손잡이부(32)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상기 가압부(33)가 상기 뚜껑편(21)의 일측을 가압할 때 상기 절개선(50)의 일부가 내측으로 만곡된 만곡점까지 절개되어 상기 뚜껑편(21)의 일부분이 하방으로 개봉되고, 상방으로 들어올려진 상기 손잡이부(32)를 당기면 상기 절개선(50)이 추가로 절개되면서 상기 뚜껑편(21)이 상방으로 개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탭의 손잡이부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가압부가 뚜껑편의 일측을 가압할 때 절개선의 일부가 내측으로 만곡된 만곡점까지 절개되어 뚜껑편의 일부분이 하방으로 개봉되고, 그 후 상방으로 들어올려진 손잡이부를 당기면 손잡이부를 당기는 힘이 추가적으로 절개되기 시작하는 절개선의 방향과 동일하게 작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작은 힘을 가해도 캔으로부터 뚜껑편을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하는 원터치캔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뚜껑편을 개봉할 때 손이 베이는 사고 없이 안전하게 개봉할 수 있고, 사고발생에 대한 불안감이 해소되어 사용이 더욱 용이한 원터치캔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원터치캔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캔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캔의 사용상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캔의 사용상태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캔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캔(1)은 몸체(10)의 상부에 뚜껑(20)의 가장자리가 압착 성형되는 것으로, 가압부(33)와 손잡이부(32)와 연결부(31)로 이루어지는 탭(30)과; 상기 뚜껑(20)의 뚜껑편(21)에 형성되고, 상기 탭(30)의 상기 연결부(31)를 상기 뚜껑(20)의 뚜껑편(21)에 결속시켜 주는 리벳(40)과; 상기 뚜껑편(21)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절개선(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가압부(33) 방향에 위치하는 절개선(50)의 일부가 리벳(40)을 기준{리벳(40)과 뚜껑편(21)의 중심이 이루는 직선을 기준}으로 양측이 내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캔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캔(1)의 사용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탭(30)의 손잡이부(32)를 상방(a)으로 들어올리면, 가압부(33)가 뚜껑편(21)의 일측을 가압하여 절개선(50)의 일부가 내측으로 만곡된 만곡점(변곡점, P)까지 절개되어 뚜껑편(21)의 일부분이 하방으로 개봉되고, 뚜껑편(21)의 중앙에 엄지손가락 또는 손바닥을 대고 손잡이부(32)에 다른 손가락(예를 들어, 검지손가락)을 끼워서 뒤로 당기면, 절개선(50)의 만곡된 만곡점(P)에서 절개가 추가적으로 시작되어 절개선(50)을 따라 뚜껑편(21)이 점차 상방으로 개봉된다. 앞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탭(30)의 손잡이부(32)를 상방(a)으로 들어올려 가압부(33)로 뚜껑편(21)의 일측을 가압하여 뚜껑편(21)의 일부분을 하방으로 개봉할 때, 절개선(50)의 일부가 내측으로 만곡된 만곡점(P)까지 절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 만곡점(P)까지가 아닌 만곡점(P)에 인접하는 이전 지점까지만 절개되고, 이후 사용자가 손잡이부(32)를 뒤로 당길 때 해당 만곡점(P)에 인접하는 이전 지점에서 절개가 추가적으로 시작되어 뚜껑편(21)이 점차 상방으로 개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캔(1)은 사용자가 손잡이부(32)를 상방(a)으로 들어올려 절개선(50)의 일부가 절개되며 뚜껑편(21)의 일부분이 하방으로 개봉된 후, 나머지 뚜껑편(21)을 개봉하기 위해 손잡이부(32)를 뒤로 당길 때, 아직 절개되지 아니한 나머지 절개선(50)이 추가적으로 절개되기 시작하는 양측 만곡점(P){또는, 만곡점(P)에 인접하는 이전 지점}을 중심으로 손잡이부(32)를 당기는 힘의 방향과 절개선(50)이 절개되는 방향(b')이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원터치캔에 비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절개선(50)의 양 끝이 보다 작은 힘으로도 쉽게 절개되어 절개선(50)을 따라 나머지 뚜껑편(21)이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캔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원터치캔(1)은 앞서 도 3에 도시된 원통형의 원터치캔(1)이 아닌 사각형태의 원터치캔(1)에 해당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33)가 사각형태의 뚜껑편(21)의 일면을 향하도록 위치된 경우에, 가압부(33) 방향에 위치하는 절개선(50)의 일부가 리벳(40)을 기준{또는, 가압부(33)가 향하는 뚜껑편(21)의 일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이 내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탭(30)의 손잡이부(32)를 상방(a)으로 들어올리면, 가압부(33)가 뚜껑편(21)의 일측을 가압하여 절개선(50)의 일부가 내측으로 만곡된 만곡점(P){또는, 만곡점(P)에 인접하는 이전 지점}까지 절개되어 뚜껑편(21)의 일부분이 하방으로 개봉되고, 뚜껑편(21)의 중앙에 엄지손가락 또는 손바닥을 대고 손잡이부(32)에 다른 손가락(예를 들어, 검지손가락)을 끼워서 뒤로 당기면, 절개선(50)의 만곡된 만곡점(P)에서 절개가 추가적으로 시작되어 절개선(50)을 따라 뚜껑편(21)이 점차 상방으로 개봉된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가 손잡이부(32)를 상방(a)으로 들어올려 절개선(50)의 일부가 절개되며 뚜껑편(21)의 일부분이 하방으로 개봉된 후, 나머지 뚜껑편(21)을 개봉하기 위해 손잡이부(32)를 뒤로 당길 때, 아직 절개되지 아니한 나머지 절개선(50)이 추가적으로 절개되기 시작하는 양측 만곡점(P){또는, 만곡점(P)에 인접하는 이전 지점}을 중심으로 손잡이부(32)를 당기는 힘의 방향과 절개선(50)이 절개되는 방향(b')이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뚜껑편(21)이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33)가 사각형태의 뚜껑편(21)의 모서리를 향하도록 위치된 경우에, 가압부(33) 방향에 위치하는 절개선(50)의 일부가 리벳(40)을 기준{또는, 가압부(33)가 향하는 뚜껑편(21)의 모서리를 기준}으로 양측이 내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탭(30)의 손잡이부(32)를 상방(a)으로 들어올리면, 가압부(33)가 뚜껑편(21)의 일측을 가압하여 절개선(50)의 일부가 내측으로 만곡된 만곡점(P){또는, 만곡점(P)에 인접하는 이전 지점}까지 절개되어 뚜껑편(21)의 일부분이 하방으로 개봉되고, 뚜껑편(21)의 중앙에 엄지손가락 또는 손바닥을 대고 손잡이부(32)에 다른 손가락(예를 들어, 검지손가락)을 끼워서 뒤로 당기면, 절개선(50)의 만곡된 만곡점(P)에서 절개가 추가적으로 시작되어 절개선(50)을 따라 뚜껑편(21)이 점차 상방으로 개봉된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가 손잡이부(32)를 상방(a)으로 들어올려 절개선(50)의 일부가 절개되며 뚜껑편(21)의 일부분이 하방으로 개봉된 후, 나머지 뚜껑편(21)을 개봉하기 위해 손잡이부(32)를 뒤로 당길 때, 아직 절개되지 아니한 나머지 절개선(50)이 추가적으로 절개되기 시작하는 양측 만곡점(P){또는, 만곡점(P)에 인접하는 이전 지점}을 중심으로 손잡이부(32)를 당기는 힘의 방향과 절개선(50)이 절개되는 방향(b')이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뚜껑편(21)이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원터치캔
10 : 몸체
20 : 뚜껑, 21 : 뚜껑편
30 : 탭, 31 : 연결부, 32 : 손잡이부, 33 : 가압부
40 : 리벳
50 : 절개선

Claims (2)

  1. 몸체(10)의 상부에 뚜껑(20)의 가장자리가 압착 성형되는 원터치캔(1)에 있어서,
    가압부(33)와 손잡이부(32)와 연결부(31)로 이루어지는 탭(30);
    상기 뚜껑(20)의 뚜껑편(21)에 형성되고, 상기 탭(30)의 상기 연결부(31)를 상기 뚜껑(20)의 뚜껑편(21)에 결속시켜 주는 리벳(40); 및
    상기 뚜껑편(21)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절개선(50)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33) 방향에 위치하는 절개선(50)의 일부가 상기 리벳(40)을 기준으로 양측이 내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절개선(50)의 일부가 상기 리벳(40)을 기준으로 양측이 내측으로 만곡된 만곡점(P)는, 상기 리벳(40)과 직선을 이루는 상기 절개선(50)의 양측 지점으로서, 상기 탭(30)의 손잡이부(32)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상기 가압부(33)가 뚜껑편(21)의 일측을 가압할 때 뚜껑편(21)의 일부분이 하방으로 개봉되면서 상기 절개선(50)의 일부가 절개된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30)의 상기 손잡이부(32)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상기 가압부(33)가 상기 뚜껑편(21)의 일측을 가압할 때 상기 절개선(50)의 일부가 내측으로 만곡된 만곡점까지 절개되어 상기 뚜껑편(21)의 일부분이 하방으로 개봉되고,
    상방으로 들어올려진 상기 손잡이부(32)를 당기면 상기 절개선(50)이 추가로 절개되면서 상기 뚜껑편(21)이 상방으로 개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캔.
KR1020170075670A 2017-06-15 2017-06-15 원터치캔 KR101824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670A KR101824364B1 (ko) 2017-06-15 2017-06-15 원터치캔
PCT/KR2018/006684 WO2018230955A1 (ko) 2017-06-15 2018-06-14 원터치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670A KR101824364B1 (ko) 2017-06-15 2017-06-15 원터치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364B1 true KR101824364B1 (ko) 2018-01-31

Family

ID=61082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670A KR101824364B1 (ko) 2017-06-15 2017-06-15 원터치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4364B1 (ko)
WO (1) WO201823095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485B1 (ko) * 2016-05-24 2017-03-22 고한덕 원터치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2660U (ko) * 1986-12-22 1988-07-04
JPH10181743A (ja) * 1996-12-24 1998-07-07 Tadao Kobayashi 開缶装置
KR200402552Y1 (ko) * 2005-09-14 2005-12-05 김동천 개방이 용이한 원터치 캔 따개
KR20100006068U (ko) * 2010-05-26 2010-06-15 서진현 안전 원터치 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485B1 (ko) * 2016-05-24 2017-03-22 고한덕 원터치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30955A1 (ko) 201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15628C (en) Slidable beverage container cover
US4967622A (en) Beverage container opener
US8864015B2 (en) Cup with integral closure flaps
US20030116568A1 (en) Lid
US20100288080A1 (en) Bottle opening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3931905A (en) Beverage container opener and sealing device
KR101824364B1 (ko) 원터치캔
JP6779043B2 (ja) 開缶用タブ及び缶蓋並びに缶、開缶用タブの製造方法
US20180263273A1 (en) Herb stripper
KR101713485B1 (ko) 원터치캔
KR101486242B1 (ko) 포장용 캔 용기
KR102608647B1 (ko) 용이 개봉성 용기 뚜껑
EP2298692A1 (en) Container lid opener
KR101892808B1 (ko) 캔 뚜껑 안전 캡
CA3235803A1 (en) Food and beverage can tab
US4090419A (en) Hand grip for removing screwtop lids
EP1208044A1 (en) Can lid with opening means providing enhanced opening function and sanitariness
JP3192349U (ja) 握り鋏
KR102532701B1 (ko) 포장용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
KR102649159B1 (ko) 용기 개방 장치, 용기의 폐쇄 기구, 및 용기
KR100756054B1 (ko) 용기탭에 의한 원터치식 캔용기의 개방구조
US20160120348A1 (en) Multi-function composite cup holder
JP2012006657A (ja) 飲料缶
JP3192426U (ja) 外形幅の広い柄部を備える握り鋏
JP4509237B2 (ja) リサイクル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