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6054B1 - 용기탭에 의한 원터치식 캔용기의 개방구조 - Google Patents

용기탭에 의한 원터치식 캔용기의 개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054B1
KR100756054B1 KR1020070029350A KR20070029350A KR100756054B1 KR 100756054 B1 KR100756054 B1 KR 100756054B1 KR 1020070029350 A KR1020070029350 A KR 1020070029350A KR 20070029350 A KR20070029350 A KR 20070029350A KR 100756054 B1 KR100756054 B1 KR 100756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score
bent portion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기
Original Assignee
신성정밀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정밀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성정밀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9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60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preformed openings, e.g. tearable strips or plastic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16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1/165Cylindrical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ush-down tea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a preformed opening
    • B65D2517/5072Details of hand grip, tear- or lift-tab
    • B65D2517/5075Hand grip with finger ope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06Beverage can, i.e. beer, sod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식품이나 페인트 또는 오일(Oil) 등의 저장을 위하여 원통이나 사각통 형상을 가지는 캔용기에 있어, 그 뚜껑상에 힌지식으로 고정된 용기탭의 지렛대식 조작에 의하여 뚜껑의 외주연부에 형성된 스코어(Score: 벤자리, 새김눈)를 따라 뚜껑 전체를 절개 및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캔용기의 개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의 외주연부상에 캔몸통의 내부 하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형성시켜, 이 절곡부의 하단에 해당하는 뚜껑의 모서리측에 스코어가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뚜껑의 개방을 위한 상기 용기탭의 누름단부 선단측이 스코어가 형성된 모서리측과 밀착되도록 함으로서, 캔용기의 뚜껑을 개방시킨 후 캔용기의 내주면을 따라 날카로운 테두리 부분이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뚜껑이 개방된 캔용기의 취급시 사용자의 손부위에 자주 발생하는 상해를 방지토록 함으로서 그 취급성 및 안전성이 우수한 캔용기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용기탭에 의한 원터치식 캔용기의 개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이나 사각통 형상을 가지는 캔몸통(11)의 상단측에는 용기탭(13)을 구비하는 뚜껑(12)이 결합되고, 상기 용기탭(13)은 손잡이부(14)와 누름단부(16)가 양측에 형성된 상태로 힌지고정부(15)에 의하여 뚜껑(12)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뚜껑(12)의 외주연부를 따라서는 뚜껑(12)의 개방을 위한 스코어(Score: 벤자리, 새김눈)(20)가 상기 용기탭(13)의 누름단부(16)측과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뚜껑(12)의 외주연부는 캔몸통(11)의 내부 하측 방향으로부터 캔몸통(11)의 측면 방향을 향하여 "⊃" 형태로 절곡되는 절곡부(21)로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21)의 하측단으로부터는 캔몸통(11)의 내부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취단부(23)가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스코어(20)는 절곡부(21)와 절취단부(23)에 의한 내측 모서리 부분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용기탭(13)은 그 누름단부(16)의 선단이 절곡부(21)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스코어(20)와 밀착되도록 뚜껑(12)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캔용기, 용기탭, 스코어(Score)

Description

용기탭에 의한 원터치식 캔용기의 개방구조{Structure for opening one touch type can container by a container tap}
도 1은 종래의 캔용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캔용기에 설치되는 용기탭에 의한 원터치식 개방구조를 나타내는 뚜껑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방구조가 형성된 원터치식 캔용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방구조를 나타내는 뚜껑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방구조가 형성된 원터치식 캔용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방구조를 나타내는 뚜껑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캔용기 11 : 캔몸통 12 : 뚜껑
12a : 시밍접합부 13 : 용기탭 14 : 손잡이부
15 : 힌지고정부 16 : 누름단부 17 : 테두리부
20 : 스코어 21 : 절곡부 22 : 보강부
23 : 절취단부
본 발명은 각종 식품이나 페인트 또는 오일(Oil) 등의 저장을 위하여 원통이나 사각통 형상을 가지는 캔용기에 있어, 그 뚜껑상에 힌지식으로 고정된 용기탭의 지렛대식 조작에 의하여 뚜껑의 외주연부에 형성된 스코어(Score: 벤자리, 새김눈)를 따라 뚜껑 전체를 절개 및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캔용기의 개방구조와 관련이 있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캔용기의 뚜껑 외주연부상에 캔몸통의 내부 하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형성시켜, 이 절곡부의 하단에 해당하는 뚜껑의 모서리측에 스코어가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뚜껑의 개방을 위한 상기 용기탭의 누름단부 선단측이 스코어가 형성된 모서리측과 밀착되도록 함으로서, 캔용기의 뚜껑을 개방시킨 후 캔용기의 내주면을 따라 날카로운 테두리 부분이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뚜껑이 개방된 캔용기의 취급시 사용자의 손부위에 자주 발생하는 상해를 방지토록 함으로서 그 취급성 및 안전성이 우수한 캔용기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용기탭에 의한 원터치식 캔용기의 개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를 포함하는 각종 식품이나 페인트 또는 오일(Oil) 등의 저장을 위한 캔용기는 압연 가공에 의하여 제조된 얇은 강판에 주석 도금이나 각종 코팅 처리를 행하여 대부분 원통이나 사각통 형상으로 제조되는 바, 상기와 같은 캔용기의 상단부에는 손잡이의 역할을 하는 용기탭을 사용하여 캔용기를 원터치식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뚜껑이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캔용기에 적용되는 용기탭에 의한 원터치식 개방구조는 도 1 및 도 2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면상 원통 형상을 가지는 캔몸통(11)의 상단측에는 용기탭(13)을 구비하는 뚜껑(12)이 시밍접합부(12a)에 의하여 캔몸통(11)과 견고하게 결합되고, 상기 용기탭(13)은 손잡이부(14)와 누름단부(16)가 양측단에 형성된 상태로 그 중앙측 힌지고정부(15)가 뚜껑(12)에 고정 설치됨으로서, 상기 용기탭(13)이 힌지고정부(15)를 중심으로 지렛대식 회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뚜껑(12)의 외주연부를 따라서는 뚜껑(12)의 개방을 위한 스코어(Score: 벤자리, 새김눈)(20)가 상기 용기탭(13)의 누름단부(16)측과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바, 상기 누름단부(16)는 용기탭(13)의 선단측을 압착하여 뚜껑(12) 부분에 대한 누름강도를 향상시킨 것이며, 뚜껑(12)의 가운데 부분은 용기탭(13)의 손잡이부(14) 하측을 통하여 손가락을 용이하게 걸 수 있도록 용기탭(13)보다 아래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원터치식 캔용기(10)의 개방구조는, 사용자가 용기탭(13)의 손잡이부(14)에 손가락을 걸고 힌지고정부(15)를 중심으로 용기탭(13)을 상부로 젖히게 되면, 용기탭(13)의 누름단부(16)가 도 2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지렛대식으로 회전하면서 스코어(20)측 뚜껑(12) 표면을 강하게 누르게 되며, 이로 인하여 용기탭(13)의 누름단부(16)와 접촉하는 뚜껑(12) 부분이 스코어(20)를 따라 절개되면서 화살표 방향으로 눌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젖혀진 용기탭(13)의 손잡이부(14)를 손가락으로 잡은 다음 용기탭(13)을 뚜껑(12)과 함께 상부로 당기게 되면, 최초 누름단부(16)에 의하여 절개된 스코어(20) 부분을 시발점으로 하여 나머지 스코어(20) 부분을 따라 뚜껑(12) 즉, 스코어(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원판 부분이 연속적으로 잘려 나오게 됨으로서, 캔용기(10)의 캔몸통(11)으로부터 뚜껑(12)을 개방시켜 저장된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원터치식 캔용기(10)의 개방구조에 의하면, 용기탭(13)을 사용하여 뚜껑(12)을 개방시킨 이후에도 캔용기(10)의 캔몸통(11) 내주면을 따라 스코어(20)의 절단면이 포함된 매우 날카로운 테두리부(17)가 남게 되는 바, 이러한 테두리부(17)는 캔용기(10)의 제조시 스코어(2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중요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테두리부(17)에 의하여 캔용기(10)의 사용자가 뚜껑(12)이 개방된 캔용기(10)의 취급시 손가락 또는 손바닥 부분에 쉽게 상해를 입는 문제점을 유발시키는 것이었다.
다시 말해서, 도 2에서와 같이 용기탭(13) 및 스코어(20)가 형성된 뚜껑(12)을 시밍(Seaming)가공에 의하여 캔용기(10)의 캔몸통(11) 상단부에 연결 고정시키게 되는 데, 상기 테두리부(17)가 없이 스코어(20)를 뚜껑(12)의 최외곽부에 형성시키게 되면, 뚜껑(12)의 시밍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캔몸통(11)과의 접합력에 의하여 상기 스코어(20) 부분이 쉽게 찢어지게 되므로 정상적인 캔용기(10)의 제조가 어렵게 되는 반면, 캔용기(10)의 실질적인 사용시에는 뚜껑(12)을 개방시킨 이후 상기 테두리부(17)가 캔몸통(11)의 내주면을 따라 예리한 날을 형성하면서 남게 된 다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개방구조가 적용된 원터치식 캔용기(10)를 사용할 경우, 뚜껑(12)이 개방된 캔용기(10)의 용이하고 안전한 취급에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을 노출시키는 것이었고, 특히, 음료수캔이나 과일캔 또는 참치캔 등과 같이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식품이 저장된 캔용기(10)에 있어서는 어린이들의 부주의한 취급에 따라 테두리부(17)에 의한 상해의 발생율이 보다 더 증가됨에 따라 원터치식 캔용기(10)의 안전성 측면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식 캔용기의 개방구조는 뚜껑의 외주연부상에 캔몸통의 내부 하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형성시켜, 이 절곡부의 하단에 해당하는 뚜껑의 모서리측에 스코어가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뚜껑의 개방을 위한 상기 용기탭의 누름단부 선단측이 스코어가 형성된 모서리측과 밀착되도록 함으로서, 캔용기의 뚜껑을 개방시킨 후 캔용기의 내주면을 따라 날카로운 테두리 부분이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뚜껑이 개방된 캔용기의 취급시 사용자의 손부위에 자주 발생하는 상해를 방지토록 함으로서 그 취급성 및 안전성이 우수한 캔용기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통이나 사각통 형상을 가지는 캔몸통의 상단측에는 용기탭을 구비하는 뚜껑이 결합되고, 상기 용기탭은 손잡이부와 누름단부가 양측에 형성된 상태로 힌지고정부에 의하여 뚜껑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뚜껑의 외주연부를 따라서는 뚜껑의 개방을 위한 스코어(Score: 벤자리, 새김눈)가 상기 용기탭의 누름단부측과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외주연부는 캔몸통의 내부 하측 방향으로부터 캔몸통의 측면 방향을 향하여 개략 "⊃" 형태로 절곡되는 절곡부로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하측단으로부터는 캔몸통의 내부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취단부가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스코어는 절곡부와 절취단부에 의한 내측 모서리 부분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용기탭은 그 누름단부의 선단이 절곡부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스코어와 밀착되도록 뚜껑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방구조가 형성된 원터치식 캔용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방구조를 나타내는 뚜껑의 측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방구조가 적용되는 캔용기(10)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3 및 도 4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면상 원통 형상을 가 지는 캔몸통(11)의 상단측에는 용기탭(13)을 구비하는 뚜껑(12)이 시밍접합부(12a)에 의하여 캔몸통(11)과 견고하게 결합되고, 상기 용기탭(13)은 손잡이부(14)와 누름단부(16)가 양측단에 형성된 상태로 그 중앙측 힌지고정부(15)가 뚜껑(12)에 고정 설치됨으로서, 상기 용기탭(13)이 힌지고정부(15)를 중심으로 지렛대식 회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뚜껑(12)의 외주연부를 따라서는 뚜껑(12)의 개방을 위한 스코어(Score: 벤자리, 새김눈)(20)가 상기 용기탭(13)의 누름단부(16)측과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바, 상기 누름단부(16)는 용기탭(13)의 선단측을 압착하여 뚜껑(12) 부분에 대한 누름강도를 향상시킨 것이며, 뚜껑(12)의 가운데 부분은 용기탭(13)의 손잡이부(14) 하측을 통하여 손가락을 용이하게 걸 수 있도록 용기탭(13)의 설치면보다 아래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되어진 전체적인 구성은 종래의 캔용기(1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본 발명의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는 도 4의 확대된 부분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뚜껑(12)의 외주연부는 캔몸통(11)의 내부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21)로 형성되어, 이 절곡부(21)의 하단 모서리 부분에 해당하는 뚜껑(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스코어(20)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탭(13)은 그 누름단부(16)의 선단이 절곡부(21)의 하단측에 형성된 스코어(20)와 밀착되도록 뚜껑(12)에 고정 설치된 것이다.
상기 절곡부(21)는 종래의 캔용기(10)에 있어 테두리부(17)에 해당하는 정도의 폭을 남겨둔 상태로 캔몸통(11)의 내부 하측 방향을 향하여 개략 90°각도로 절 곡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절곡부(21)는 캔몸통(11)측으로 약간 더 경사져 90°보다 적은 각도, 바람직하게는 60 ~ 80°정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코어(20)는 절곡부(21)의 하단측이 나머지 뚜껑(12) 부분과 형성하는 모서리 부분을 따라 약 45°의 각도를 가지는 미세한 홈(벤자리 또는 새김눈)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스코어(20)가 형성되는 위치 및 스코어(20)의 절개 각도는 용기탭(13)에 의한 뚜껑(12)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해당 모서리 부분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는 조건하에서 사용자가 임의대로 변경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그리고, 상기 시밍접합부(12a)와 절곡부(21)의 사이에 해당하는 뚜껑(12)의 외곽부에는 해당 뚜껑(12) 부분이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된 보강부(22)가 형성되는 데, 상기 보강부(22)는 본 발명의 개방구조를 적용시킨 캔용기(10)를 용기탭(13)에 의하여 개방시키는 과정에서, 누름단부(16)에 의하여 절곡부(21)의 하단측에 가해지는 힘을 용이하게 지탱하여 캔용기(10)를 보다 손쉽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시밍접합부(12a)와 절곡부(21)의 사이에 보강부(22)를 형성시키는 것이 캔용기(10)의 손쉬운 개방 작동을 이루어낸다는 측면에서 보다 더 바람직하지만, 용기탭(13)의 지렛대식 조작만으로도 용기탭(13)의 누름단부(16)가 절곡부(21)의 하단에 형성된 스코어(20) 부분을 충분히 가압 및 절개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보강부(22)는 캔용기(10)의 단가절감 등을 고려하여 별도로 형성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방구조가 형성된 원터치식 캔용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방구조를 나타내는 뚜껑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식 캔용기(10)의 개방구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뚜껑(12)의 외주연부는 캔몸통(11)의 내부 하측 방향으로부터 캔몸통(11)의 측면 방향을 향하여 개략 "⊃" 형태로 절곡되는 절곡부(21)로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21)의 하측단으로부터는 캔몸통(11)의 내부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취단부(23)가 연이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스코어(20)는 절곡부(21)와 절취단부(23)에 의한 내측 모서리 부분을 따라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서, 그 이외의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절곡부(21)와 절취단부(23)가 연이어져 이루는 전체적인 형상은 개략 영문자 "P" 와 유사한 것이며, 이러한 절곡부(21)와 절취단부(23)가 뚜껑(12)의 전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탭(13)은 절곡부(21) 및 절취단부(23)의 형상에 맞추어 그 누름단부(16)의 선단이 절곡부(21)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절곡부(21)와 절취단부(23)에 의한 내측 모서리 부분을 따라 형성된 스코어(20)와 밀착되도록 뚜껑(12)에 고정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방구조에 적용되는 스코어(20) 또한 절곡부(21)와 절취단부(23)가 형성하는 모서리 부분을 따라 약 45°의 각도를 가지는 미세한 홈(벤자리 또는 새김눈)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스코어(20)가 형성되는 위치 및 스코어(20)의 절개 각도는 용기탭(13)의 누름단부(16)에 의하여 상기 절취단부(23)를 절곡부(21)의 하측으로부터 캔몸통(11)측으로 밀어냄으로서 뚜껑(12)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해당 내측 모서리 부분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는 조건하에서 사용자가 임의대로 변경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도면상 절곡부(21)와 절취단부(23)와의 연결부위에 해당하는 내측 모서리 부분을 따라 스코어(20)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절취단부(23)의 하단측에 형성되는 모서리 부분을 따라 스코어(20)가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탭(13)의 누름단부(16)는 절곡부(21)의 하측에서 스코어(20)가 형성된 절취단부(23)의 하단측 모서리 부분과 밀착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방구조에 있어서도, 용기탭(13)에 의한 뚜껑(12)의 개방 작동시 절취단부(23)의 상단측에 가해지는 힘을 용이하게 지탱하여 캔용기(10)를 보다 손쉽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강부(22)가 형성되는 바, 이러한 보강부(22) 역시 캔용기(10)의 단가상승 등을 감안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형성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용기탭(13)의 지렛대식 회전에 따라 누름단부(16)에 의하여 캔몸통(11)측으로 밀려나간 절취단부(23)가 뚜껑(12)의 개방시 절곡부(21)의 하측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 형태로 절곡된 상기 절곡부(21)의 하부면이 일정한 각도만큼 상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フ" 형태로 절곡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3 및 도 5에서는 상기 캔용기(10)가 원통 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앞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상기 캔용기(10)는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용기탭(13)의 크기{손잡이부(14)에 형성되는 구멍의 개수나 크기를 포함한다}나 누름단부(16)에 의한 뚜껑(12)의 누름폭 등은 참치캔과 같은 소형 용기로부터 페인트 저장용기나 오일(Oil) 저장용기와 같은 대형 용기에 이르기까지 캔용기(10) 자체의 크기에 맞추어 임의대로 조정 가능하고, 대형용기의 경우 상기 용기탭(13)을 뚜껑(12)상에 2개 이상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구조가 적용된 캔용기(10)의 뚜껑(12)을 개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용기탭(13)의 손잡이부(14)에 손가락을 걸고 힌지고정부(15)를 중심으로 용기탭(13)을 상부로 젖히게 되면, 용기탭(13)의 누름단부(16)가 도 4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지렛대식으로 회전하면서 절곡부(21)의 하단 모서리 부분에 해당하는 뚜껑(12)의 가장자리 표면을 강하게 누르게 된다.
이로 인하여, 용기탭(13)의 누름단부(16)와 접촉하도록 절곡부(21)의 하단 모서리측에 형성된 스코어(20) 부분이 절개되면서 해당 위치의 뚜껑(12) 부분이 화살표 방향으로 눌려지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젖혀진 용기탭(13)의 손잡이부(14)를 손가락으로 잡은 다음 용기탭(13)을 뚜껑(12)과 함께 상부로 당기게 되면, 최초 누름단부(16)에 의하여 절개된 스코어(20) 부분을 시발점으로 하여 뚜껑(12)이 스 코어(20)를 따라 연속적으로 잘려 나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코어(20)를 따라 잘려 나오는 뚜껑(12) 부분은 스코어(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원판 부분이 되는 바,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방구조가 적용된 캔용기(10)의 뚜껑(12)을 개방시키게 되면, 스코어(20)의 절단면을 포함하는 절곡부(21)가 캔몸통(11)의 하부측(바닥측)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경우와 같이 캔몸통(11)의 내주면을 따라 날카로운 테두리부(17)가 돌출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하여 뚜껑(12)이 개방된 캔용기(10)의 취급시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손바닥 부분에 상해를 입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식 캔용기(10)의 개방구조에 있어서도, 위에서 설명되어진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용기탭(13)을 지렛대식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용기탭(13)의 누름단부(16)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절곡부(21)의 하측에 위치하는 절취단부(23)를 캔몸통(11)측으로 강하게 밀어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기탭(13)의 누름단부(16)가 절취단부(23)를 캔몸통(11)측으로 강하게 밀어내게 되면, 절곡부(21)와 절취단부(23)가 형성하는 모서리 부분의 스코어(20)가 누름단부(16)의 가압력에 의하여 절개됨과 동시에, 상기 절취단부(23)가 캔몸통(11)측으로 밀려 나오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젖혀진 용기탭(13)의 손잡이부(14)를 손가락으로 잡은 다음 용기탭(13)을 뚜껑(12)과 함께 상부로 당기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기탭(13)을 뚜껑(12)과 함께 상부로 당기게 되면, 최초 누름 단부(16)에 의하여 절개된 스코어(20) 부분을 시발점으로 하여 뚜껑(12)이 절취단부(23)와 함께 스코어(20)를 따라 연속적으로 잘려 나오게 되는 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방구조는 상기 절취단부(23)가 절곡부(21)의 하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뚜껑(12)의 개방시 절취단부(23)가 절곡부(21)의 하측에 걸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캔용기(10)의 뚜껑(12)은 그 두께가 매우 얇은 금속 박판으로 제조되는 바, 뚜껑(12)의 개방시 절취단부(23)가 절곡부(21)의 하측에 걸리게 되더라도 뚜껑(12)을 개방시키는 힘에 의하여 상기 절취단부(23)가 뚜껑(12)의 개방 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젖혀지면서 절곡부(21)의 하측으로부터 손쉽게 빠져 나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캔용기(10)의 뚜껑(12)을 개방시키는 데에는 거의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된다.
또한, 위에서 이미 언급되어진 바와 같이 개략 "⊃" 형태로 절곡된 상기 절곡부(21)의 하부면이 일정한 각도만큼 상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フ" 형태로 절곡 형성시킨 경우에는, 용기탭(13)의 지렛대식 회전에 따라 누름단부(16)에 의하여 캔몸통(11)측으로 밀려나간 절취단부(23)가 뚜껑(12)의 개방시 절곡부(21)의 하측면에 걸리는 현상없이 용이하게 빠져 나올 수 있게 되므로, 뚜껑(12)의 개방작업을 보다 더 손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뚜껑(12)의 개방시 구조적으로 다소 불편한 점을 감수하더라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방구조는 일실시예에 의한 것보다 더 유리한 측면을 가지게 되는 데, 그 이유는 뚜껑(12)의 개방후 스코어(20)의 절단면을 포함하는 절곡부(21)의 하단측이 캔몸통(11)측을 향하여 완전히 말려 들어간 형태를 이루게 됨으로서, 뚜껑(12)이 개방된 캔용기(10)의 취급시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손바닥 부분에 상해를 입는 현상을 거의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식 캔용기(10)의 개방구조는 캔용기(10)의 뚜껑(12)을 개방시킨 후, 캔몸통(11)의 내주면을 따라 날카로운 테두리 부분이 남지 않도록 함으로서, 뚜껑(12)이 개방된 캔용기(10)의 용이하고 안전한 취급을 보장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음료수캔이나 과일캔 또는 참치캔 등과 같이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식품이 저장된 캔용기(10)에 있어서도 어린이들의 부주의한 취급에 따른 상해 예방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식 캔용기의 개방구조는, 캔용기의 뚜껑을 개방시킨 후 캔몸통의 내주면을 따라 날카로운 테두리 부분이 남지 않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날카로운 테두리 부분에 의하여 손부위에 상해를 입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하여 뚜껑이 개방된 캔용기의 용이하고 안전한 취급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음료수캔이나 과일캔 또는 참치캔 등과 같이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식품이 저장된 캔용기에 있어서도 어린이들의 부주의한 취급에 따른 상해 예방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방구조에 따르면, 뚜껑의 개방후 스코어의 절단면을 포함하는 절곡부의 하단측이 캔몸통측을 향하여 완전히 말려 들어간 형태를 이루게 됨으로서, 뚜껑이 개방된 캔용기의 취급시 사용자가 손부위에 상 해를 입는 현상을 거의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그 취급성 및 안전성이 매우 우수한 캔용기 제품을 제공토록 하여 대외경쟁력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삭제
  2. 원통이나 사각통 형상을 가지는 캔몸통(11)의 상단측에는 용기탭(13)을 구비하는 뚜껑(12)이 결합되고, 상기 용기탭(13)은 손잡이부(14)와 누름단부(16)가 양측에 형성된 상태로 힌지고정부(15)에 의하여 뚜껑(12)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뚜껑(12)의 외주연부를 따라서는 뚜껑(12)의 개방을 위한 스코어(Score: 벤자리, 새김눈)(20)가 상기 용기탭(13)의 누름단부(16)측과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에 있 어서,
    상기 뚜껑(12)의 외주연부는 캔몸통(11)의 내부 하측 방향으로부터 캔몸통(11)의 측면 방향을 향하여 "⊃" 형태로 절곡되는 절곡부(21)로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21)의 하측단으로부터는 캔몸통(11)의 내부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취단부(23)가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스코어(20)는 절곡부(21)와 절취단부(23)에 의한 내측 모서리 부분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용기탭(13)은 그 누름단부(16)의 선단이 절곡부(21)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스코어(20)와 밀착되도록 뚜껑(12)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탭에 의한 원터치식 캔용기의 개방구조.
KR1020070029350A 2007-03-26 2007-03-26 용기탭에 의한 원터치식 캔용기의 개방구조 KR100756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350A KR100756054B1 (ko) 2007-03-26 2007-03-26 용기탭에 의한 원터치식 캔용기의 개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350A KR100756054B1 (ko) 2007-03-26 2007-03-26 용기탭에 의한 원터치식 캔용기의 개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6054B1 true KR100756054B1 (ko) 2007-09-07

Family

ID=38736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350A KR100756054B1 (ko) 2007-03-26 2007-03-26 용기탭에 의한 원터치식 캔용기의 개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60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8869U (ko) 1978-02-16 1979-09-07
JPS60157617U (ja) 1984-03-29 1985-10-21 荒井 始 缶の天蓋
JPS61132275U (ko) 1985-02-05 1986-08-18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8869U (ko) 1978-02-16 1979-09-07
JPS60157617U (ja) 1984-03-29 1985-10-21 荒井 始 缶の天蓋
JPS61132275U (ko) 1985-02-05 198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6699U (ja) アクセス性を改善するためのタブ付き缶端部
EP1882640B1 (en) Tab for a closure and process for making such tab
US20070108208A1 (en) Container end closure with pull tab
US7922025B2 (en) Easy open can end with high pressure venting
US8783496B2 (en) Double-opening can lid
US3215305A (en) Wire opener fulcrumed on can-end for breaking scored segment thereof
CA1069841A (en) Ecological easy-open can end
US20100219187A1 (en) Can covers and cans having the same
US4207991A (en) Can top opening means
WO2009102793A1 (en) Easy-open pull tab container lid
MX2014015037A (es) Extremo de lata de bebida de apertura confiable.
US4465203A (en) Can lid with push in tear tab
US4373246A (en) Method of opening a can with fulcrum-type opener tabs
US4765208A (en) Devices facilitating a quick and trouble-free opening of beer and other beverage cans
US8047754B2 (en) Tooling for making easy open can end
US20060237459A1 (en) Removable-panel metal end with cut protection
KR100756054B1 (ko) 용기탭에 의한 원터치식 캔용기의 개방구조
US3223277A (en) Container closure
US3301432A (en) Pull key opening can end
US4745829A (en) Can opener for use with fulcrum-type opener tabs
US3338461A (en) Containers
KR100302638B1 (ko) 오픈기능성 및 위생성이 개선된 캔 개봉수단을 가지는 캔뚜껑
EP1284908B1 (en) Lid for beverage cans with reinforced seal
US5916337A (en) Easy pull ring for pop-top and pull-top cans
US3067910A (en) Self opening tin can l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