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070A - 자동 볼라드 - Google Patents

자동 볼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070A
KR20180060070A KR1020160159125A KR20160159125A KR20180060070A KR 20180060070 A KR20180060070 A KR 20180060070A KR 1020160159125 A KR1020160159125 A KR 1020160159125A KR 20160159125 A KR20160159125 A KR 20160159125A KR 20180060070 A KR20180060070 A KR 20180060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locking unit
cover member
housing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2627B1 (ko
Inventor
안영명
문태주
Original Assignee
서일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부일하우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일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부일하우징 filed Critical 서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59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627B1/ko
Publication of KR20180060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볼라드는, 일방향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면 아래에 매설되는 하우징;상기 하우징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에 동력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그 모터의 구동으로 상기 지면에 대해 노출 또는 은폐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블로킹 유닛;상기 지면과 하우징의 상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블로킹 유닛이 관통되는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는 블로킹 유닛과의 사이에 설치공간을 형성시키는 케이싱 유닛; 및 상기 케이싱 유닛의 설치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블로킹 유닛을 감싸는 형태로 그 블로킹 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블로킹 유닛의 외면에 구름 접촉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볼라드{Automatic bollard}
본 발명은 지면에 대해 상하로 승강되면서 자동차의 진입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자동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횡압력에 대한 저항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자동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자동 볼라드는, 차량이 운행하는 도로와 사람이 이동하는 보행로의 경계부나 안전지대, 주차장, 차량출입 제한 및 통제구역 등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거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자동 볼라드는, 일반적으로 지면에 매설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 볼라드는, 실제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차량 충격시 그 차량 충격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충격흡수 또는 충격완화 기술 위주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예기치 못한 차량의 충격으로 탑승자가 다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보행자의 안전을 고려한 설계가 더욱 중요하다 할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 볼라드는, 승강 유닛이 하우징에 대해 상하로 승강되는 구조 및 배수 구조의 미형성 등의 이유로, 비가 오는 경우 그 승강 유닛과 하우징의 틈새 사이에 빗물이 유입됨에 따라 제품이 쉽게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충격과 같은 외부 횡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그 횡압력에 대한 압력 저항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자동 볼라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자동 볼라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볼라드는, 일방향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면 아래에 매설되는 하우징;상기 하우징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에 동력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그 모터의 구동으로 상기 지면에 대해 노출 또는 은폐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블로킹 유닛;상기 지면과 하우징의 상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블로킹 유닛이 관통되는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는 블로킹 유닛과의 사이에 설치공간을 형성시키는 케이싱 유닛; 및 상기 케이싱 유닛의 설치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블로킹 유닛을 감싸는 형태로 그 블로킹 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블로킹 유닛의 외면에 구름 접촉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케이싱 유닛의 바닥에 안착되고. 상기 베어링이 수용되는 제1수용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로킹 유닛에 횡압력이 가해질 경우 그 횡압력에 대한 저항 특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의 일정 폭을 가지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케이싱 유닛의 상측에 접촉되고, 상기 제1수용홈에 수용된 베어링의 나머지 부분을 수용시키는 복수의 제1수용홈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싱 유닛은, 지면 아래에 매설되고 상기 설치공간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 케이스; 및 상기 메인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단면이 외부로 노출 가능하게 배치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과 소통되는 복수의 배수홈들을 구비하는 커버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유닛은, 상기 메인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배수홈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테두리 부분보다 높이가 더 낮은 단차홈을 가지는 제1커버부재; 및 상기 제1커버부재의 단차홈에 안착되고, 상기 배수홈들보다 작은 간격의 보조홈들이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2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커버부재는, 상기 보조홈들 사이사이에 형성되고 배수용 리브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 배수용 리브는, 그 제2커버부재의 중심측에 가까운 부분에서 제2커버부재의 가장자리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볼라드는, 지면에 대해 노출 또는 은폐되도록 상하로 승강되는 블로킹 유닛을 지지 유닛으로 감싸되, 그 지지 유닛에 마련된 베어링과 블로킹 유닛이 구름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블로킹 유닛을 감싸는 지지 유닛이 케이싱 유닛의 수용공간에 배치된 상태로 그 케이싱 유닛에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블로킹 유닛에 가해지는 횡압력이 지지 유닛과 케이싱 유닛을 통해 분산 작용하게 됨에 따라, 제품의 내구성 향상은 물론, 블로킹 유닛에 의한 휘어짐 또는 파손을 억제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도출한다.
그리고, 배수 구조가 마련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빗물이 블로킹 유닛과 지면이 서로 맞닿는 부분 주위의 배수홈들을 통해 설치공간을 경유하여 지하로 배수될 수 있게 함으로써, 빗물이 블로킹 유닛과 지면이 서로 맞닿는 부분을 통해 본 실시예를 구성하는 구성품 측으로 유입됨으로써 그 구성품과 접촉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게 함에 따라, 제품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장점이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볼라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력 전달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에 채용된 케이싱 유닛과 지지 유닛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케이싱 유닛의 배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지지 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장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완충부재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조명 프레임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볼라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볼라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력 전달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에 채용된 케이싱 유닛과 지지 유닛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케이싱 유닛의 배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지지 유닛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장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완충부재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조명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볼라드는, 차량이 운행하는 도로와 사람이 이동하는 보행로의 경계부나 안전지대, 주차장, 차량출입 제한 및 통제구역 등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거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과 블로킹 유닛(2)과 케이싱 유닛(3)과 지지 유닛(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은, 일방향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져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의 설치시에는 지면(S) 위로 노출되지 않고 지면(S) 아래에 매설된다.
상기 블로킹 유닛(2)은, 상기 하우징(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케이스(M) 내에 배치되는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동력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그 모터의 구동으로 지면(S)에 대해 노출 또는 은폐되는 위치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블로킹 유닛(2)과 모터 간의 동력 연결은, 예컨대 모터의 구동기어(A) 측에 연결되는 피동기어(B), 그 피동기어(B)와 함께 회전되는 이송스크류(C), 상기 이송스크류(C)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미도시)를 구비하여서 이송스크류(C)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블로킹 유닛(2)과 같은 동력 연결 구조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은, 상기 너트부가 형성되어 있는 내측 하우징(11)과 그 내측 하우징(11)을 감싸는 외측 하우징(12)으로 이루어진 구조가 채택되었다.
상기 케이싱 유닛(3)은,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면(S)과 하우징(1)의 상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블로킹 유닛(2)이 관통되는 관통공(31a)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공(31a)을 통과하는 블로킹 유닛(2)과의 사이에 설치공간(31b)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케이싱 유닛(3)은, 상기 원통형으로 형성된 블로킹 유닛(2)과는 달리 비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그 블로킹 유닛(2)보다 좌우 폭이 더욱 크게 형성됨으로써, 본 실시예가 지면(S)에 매설되는 면적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볼라드를 지면(S)에 더욱 견고히 지지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지지 유닛(4)은, 상기 케이싱 유닛(3)의 설치공간(31b)에 배치되고, 상기 블로킹 유닛(2)을 감싸는 형태로 그 블로킹 유닛(2)에 결합되며, 도 5 및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로킹 유닛(2)의 외면에 구름 접촉되는 베어링(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43)은, 상기 블로킹 유닛(2)의 하우징(1)에 대한 원활한 승강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지지 유닛(4)은, 상기 블로킹 유닛(2)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도 7과 같이 상기 하우징(1)에 차량의 충돌과 같은 외부 횡압력이 작용하는 경우 그 블로킹 유닛(2)에 가해진 충격에 대한 저항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볼라드는, 지면(S)에 대해 노출 또는 은폐되도록 상하로 승강되는 블로킹 유닛(2)을 지지 유닛(4)으로 감싸되, 그 지지 유닛(4)에 마련된 베어링(43)과 블로킹 유닛(2)이 구름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블로킹 유닛(2)을 감싸는 지지 유닛(4)이 케이싱 유닛(3)의 수용공간에 배치된 상태로 그 케이싱 유닛(3)에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블로킹 유닛(2)에 가해지는 횡압력이 상기 지지 유닛(4)과 케이싱 유닛(3)을 통해 분산하여 작용하게 됨에 따라, 제품의 내구성 향상은 물론, 블로킹 유닛(2)에 의한 휘어짐 또는 파손을 억제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도출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 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유닛(4)은, 제1프레임(41), 제2프레임(42) 및 상기 제1프레임(41)과 제2프레임(42)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프레임(41)은, 도 4와 같이 상기 케이싱 유닛(3)의 바닥에 안착되고. 상기 베어링(43)이 수용되는 제1수용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도 7과 같이 상기 블로킹 유닛(2)에 횡압력이 가해질 경우, 그 횡압력에 대한 저항 특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의 일정 폭을 가진다.
상기 제2프레임(42)은, 상기 제1프레임(41)과 결합되고, 도 4와 같이 상기 케이싱 유닛(3)의 상측에 접촉되며, 상기 제1수용홈에 수용된 베어링(43)의 나머지 부분을 수용시키는 복수의 제1수용홈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베어링(43)과 블로킹 유닛(2)이 구름 접촉됨으로써 그 블로킹 유닛(2)의 원활한 승강 동작을 기대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제1프레임(41)과 제2프레임(42)이 상기 횡압력에 대한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게 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 인한 제품의 손상이나 파손을 억제할 수 있게 하고, 보행자의 안전을 더욱 신뢰있게 보장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케이싱 유닛(3)은,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케이스(31)와 커버 유닛(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케이스(31)는, 지면(S) 아래에 매설되고 상기 지지 유닛(4)이 설치되는 설치공간(31b)과 상기 블로킹 유닛(2)이 관통하는 관통공(3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 유닛(32)은, 상기 메인 케이스(31)에 결합되고, 상단면이 외부로 노출 가능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배수홈(321)들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홈(321)들은, 그 커버 유닛(32)의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31b)과 소통됨으로써, 지면(S)을 통해 유입된 빗물을 상기 설치공간(31b)을 경유하여 지면(S) 아래로 배수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빗물이 상기 블로킹 유닛(2)과 지면(S)이 서로 맞닿는 부분 주위의 배수홈(321)들을 통해 설치공간(31b)을 경유하여 지하로 배수될 수 있게 함으로써, 빗물이 상기 블로킹 유닛(2)과 지면(S)이 서로 맞닿는 부분을 통해 본 실시예를 구성하는 구성품 측으로 유입됨으로써 그 구성품과 접촉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게 함에 따라, 제품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장점을 도출한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커버 유닛(32)은, 배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1커버부재(32a)와 제2커버부재(3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커버부재(32a)는, 상기 메인 케이스(31)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배수홈(32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테두리 부분보다 높이가 더 낮은 단차홈(322)을 가진다.
상기 제2커버부재(32b)는, 상기 제1커버부재(32a)의 단차홈(322)에 안착되고, 상기 배수홈(321)들보다 작은 간격의 보조홈(323)들이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제1커버부재(32a)의 배수홈(321)들과 상기 제2커버부재(32b)의 보조홈(323)들에 의해 배수 특성이 향상됨은 물론, 배수홈(321)만이 형성되어 있는 비교실시예보다 상대적으로 이물질 유입을 억제시킬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제2커버부재(32b)는,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로킹 유닛(2)과 지면(S)의 경계 주변에 유입된 빗물이 상기 설치공간(31b)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하도록, 상기 보조홈(323)들 사이사이에 형성되고 배수용 리브(324)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 배수용 리브(324)는, 그 제2커버부재(32b)의 중심측에 가까운 부분에서 제2커버부재(32b)의 가장자리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블로킹 유닛(2)의 하우징(1)에 대한 상하 이동시에, 그 블록킹 유닛의 하단부의 하우징(1)에 대한 충격을 완화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과 블로킹 유닛(2)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9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의 상단에 설치되는 캡부재는, LED 전구(L)(도1 참조;L)가 끼움결합될 수 있게 하는 끼움홈(51)이 형성된 조명 프레임(5)을 구비하여서, 야간 조명을 가능하게 하여 보행자의 야간 보행의 안정성을 더욱 신뢰 있게 보장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하우징 11:내측 하우징
12:외측 하우징 2:블로킹 유닛
3:케이싱 유닛 31:메인 케이스
31a:관통공 31b:설치공간
32:커버 유닛 32a:제1커버부재
32b:제2커버부재 321:배수홈
322:단차홈 323:보조홈
324:배수용 리브 4:지지 유닛
41:제1프레임 42:제2프레임
43:베어링 5:조명 프레임
51:끼움홈 6:완충부재
A:구동기어 B:피동기어
C:이송스크류 L:LED 전구
M:모터 케이스 S:지면

Claims (5)

  1. 일방향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면 아래에 매설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에 동력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그 모터의 구동으로 상기 지면에 대해 노출 또는 은폐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블로킹 유닛;
    상기 지면과 하우징의 상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블로킹 유닛이 관통되는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는 블로킹 유닛과의 사이에 설치공간을 형성시키는 케이싱 유닛; 및
    상기 케이승 유닛의 설치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블로킹 유닛을 감싸는 형태로 그 블로킹 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블로킹 유닛의 외면에 구름 접촉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볼라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케이싱 유닛의 바닥에 안착되고. 상기 베어링이 수용되는 제1수용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로킹 유닛에 횡압력이 가해질 경우 그 횡압력에 대한 저항 특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의 일정 폭을 가지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케이싱 유닛의 상측에 접촉되고, 상기 제1수용홈에 수용된 베어링의 나머지 부분을 수용시키는 복수의 제1수용홈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볼라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유닛은,
    지면 아래에 매설되고 상기 설치공간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 케이스; 및
    상기 메인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단면이 외부로 노출 가능하게 배치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과 소통되는 복수의 배수홈들을 구비하는 커버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볼라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메인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배수홈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테두리 부분보다 높이가 더 낮은 단차홈을 가지는 제1커버부재; 및
    상기 제1커버부재의 단차홈에 안착되고, 상기 배수홈들보다 작은 간격의 보조홈들이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2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볼라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부재는,
    상기 보조홈들 사이사이에 형성되고 배수용 리브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 배수용 리브는, 그 제2커버부재의 중심측에 가까운 부분에서 제2커버부재의 가장자리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 볼라드.
KR1020160159125A 2016-11-28 2016-11-28 자동 볼라드 KR101942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125A KR101942627B1 (ko) 2016-11-28 2016-11-28 자동 볼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125A KR101942627B1 (ko) 2016-11-28 2016-11-28 자동 볼라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070A true KR20180060070A (ko) 2018-06-07
KR101942627B1 KR101942627B1 (ko) 2019-04-17

Family

ID=62621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125A KR101942627B1 (ko) 2016-11-28 2016-11-28 자동 볼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6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7494A (zh) * 2018-07-12 2019-03-29 刘红党 一种市政工程使用的警示路墩
CN110629701A (zh) * 2019-09-06 2019-12-31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车辆限流桩及其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350U (ko) * 2012-03-03 2013-09-12 조민후 자연 부상식 도로 규제봉
KR101627171B1 (ko) * 2014-12-09 2016-06-03 주식회사 부일하우징 외충격력을 흡수하는 상하이동식 자동볼라드
KR20160099809A (ko) * 2015-02-13 2016-08-23 주식회사 원재산업 미끄럼방지수단을 구비한 스틸그레이팅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350U (ko) * 2012-03-03 2013-09-12 조민후 자연 부상식 도로 규제봉
KR101627171B1 (ko) * 2014-12-09 2016-06-03 주식회사 부일하우징 외충격력을 흡수하는 상하이동식 자동볼라드
KR20160099809A (ko) * 2015-02-13 2016-08-23 주식회사 원재산업 미끄럼방지수단을 구비한 스틸그레이팅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7494A (zh) * 2018-07-12 2019-03-29 刘红党 一种市政工程使用的警示路墩
CN109537494B (zh) * 2018-07-12 2020-10-30 齐力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市政工程使用的警示路墩
CN110629701A (zh) * 2019-09-06 2019-12-31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车辆限流桩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2627B1 (ko) 2019-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627B1 (ko) 자동 볼라드
KR101119952B1 (ko) 횡단보도 및 가변차선용 교통안전 시설물
ITVR20080098A1 (it) Dissuasore di transito automatico a colonna
KR101609982B1 (ko) 조립과 교체 시공이 우수한 안전 볼라드
JP4387959B2 (ja) 昇降ポール装置
KR101690104B1 (ko) 벨트타입 자동볼라드
KR20120012671A (ko) 과속방지안전장치
KR101358191B1 (ko) 완충부재가 구비된 과속방지턱
KR200439977Y1 (ko) 가로등 및 신호등이 일체로 형성된 도로안내표지판
KR101113140B1 (ko) 볼라드
KR101074743B1 (ko) 다 방향 장착이 가능한 다목적 가로등주
KR101451373B1 (ko) 폐골프공을 이용한 도로표시장치
KR101356110B1 (ko) 도로를 따라 설치되는 가드레일 포스트 설치구조
KR100971144B1 (ko) 신호등 지지용 가로보의 탄성 지지장치
KR101249035B1 (ko) 가로등 지주
KR102243192B1 (ko) 무볼트 매립식 차선 규제봉
KR101386945B1 (ko) 웨지 타입 트렌치 커버
KR100430118B1 (ko) 맨홀뚜껑 높이 조절장치
KR102221649B1 (ko)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20130045959A (ko) 도로의 정지신호장치
KR20130128954A (ko) 차량용 진입방지블럭
KR101446694B1 (ko) 승하강식 볼라드
KR200471855Y1 (ko) 신축 밴드를 이용한 탄성 볼라드
KR101687164B1 (ko) 도로의 안전을 위한 충격 흡수 및 복원이 우수한 포스트
KR100875951B1 (ko) 배수성 아스팔트의 노면 물고임 방지를 위한 우수 유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