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9509A - 벽지용 물품 지지구 및 물품 설치용의 앵커 시트 - Google Patents

벽지용 물품 지지구 및 물품 설치용의 앵커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9509A
KR20180059509A KR1020187011570A KR20187011570A KR20180059509A KR 20180059509 A KR20180059509 A KR 20180059509A KR 1020187011570 A KR1020187011570 A KR 1020187011570A KR 20187011570 A KR20187011570 A KR 20187011570A KR 20180059509 A KR20180059509 A KR 20180059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paper
pressure
base plate
sensitive adhesive
ancho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1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츠미 데라다
히로토 데즈카
와카코 핫토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Publication of KR20180059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5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Holders for articles of personal use in general, e.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7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using adhesives, suction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Adhesive Tape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요철면이 있는 벽지에 접착 가능하며, 또한, 벽면을 손상시킬 일 없이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벽지용 물품 지지구를 제공한다. 훅(H)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를 앵커 시트(2)를 통하여 요철면이 있는 벽지(W)에 고정하는 벽지용 물품 지지구에 있어서, 앵커 시트(2)는 기재(21)와 기재(21)의 이면측에 형성되는 점착제층(22)으로 이루어지고, 기재(21)를 벽지(W)의 요철면에 추종 가능한 화지로 하였다.

Description

벽지용 물품 지지구 및 물품 설치용의 앵커 시트
본 발명은 요철면이 있는 벽지에 접착 가능한 벽지용 물품 지지구 및 물품 설치용의 앵커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금속제 훅 등의 어느 정도 중량이 있는 물품을 지지할 수 있음과 함께, 벽지를 손상시킬 일 없이 박리할 수 있는 벽지용 물품 지지구 및 물품 설치용의 앵커 시트에 관한 것이다.
훅 등의 물품을 벽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양면 점착 테이프 등을 통하여 벽면에 부착하거나, 못이나 나사 등의 체결 부품을 통하여 벽면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현재의 가옥의 벽면에는 바탕의 보호나 장식적인 관점에서 벽지가 붙여져 있는 경우가 많다. 그로 인해, 점착 테이프를 통하여 훅 등을 설치한 경우에는, 그것을 떼어낼 때에 점착 테이프의 점착면과 함께 벽지가 박리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벽지뿐만 아니라 벽면도 손상시켜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현재, 일반적으로 보급되고 있는 벽지의 대부분이 그 표면에 요철을 갖는 염화비닐제이다. 그로 인해, 양면 점착 테이프를 통하여 훅 등의 걸이구를 고정하려고 해도,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점착면은 벽지의 볼록부와 단순히 접촉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아,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
특히, 예를 들어, 금속제 등의, 어느 정도 중량이 있는 훅 등이면, 바로 탈락해버려, 설치는 거의 불가능했다.
한편, 훅 등의 걸이구를 못이나 나사 등을 통하여 벽면에 설치하는 방법에서는, 벽지가 평탄한지 요철면인지에 상관없이 확실하게 설치할 수는 있다고는 해도, 벽지뿐만 아니라 벽면에도 못이나 나사 등의 구멍이 남아, 양면 점착 테이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벽면을 손상시켜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요철면이 있는 벽면에 대하여 물품을 고정함과 함께, 벽면을 손상시킬 일 없이 재박리할 수 있는 점착 테이프로서, 수팽윤성의 점착제를 사용한 점착 테이프가 제안되어 있다(하기 특허문헌 1 참조).
이 점착 테이프는, 기재에 투수성이 있는 소재를 사용함과 함께, 기재의 층간 파괴 강도를 점착제의 점착 강도보다 약화시킴으로써, 점착 테이프를 벽면으로부터 박리할 때에, 파괴된 기재의 위로부터 물을 뿌림으로써 수팽윤성을 포함하는 점착제에 물을 침투시켜 팽윤시켜서 점착력을 떨어뜨려서, 벽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물품을 떼어낼 수 있다.
그러나, 이 수팽윤성의 점착제를 사용한 점착 테이프는, 고습도 하에서 보관한 경우에 점착력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는 것 이외에, 점착력이 약하기 때문에, 포스터 등의 경량물 밖에 보유 지지할 수 없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 있는 바와 같이, 아크릴이나 우레탄 등의 복원성을 갖는 발포 수지를 이용한 점착 테이프도 있지만, 점착제에 수용성의 아크릴 수지를 도포하고 있기 때문에, 하기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로, 고습도 하에서는 점착력의 저하가 염려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0068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20742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요철면이 있는 벽지에 접착 가능하며, 또한, 떼어낼 때에도 벽면을 손상시킬 일 없이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고, 어느 정도 중량이 있는 훅 등의 물품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는 벽지용 물품 지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제1 발명은, 요철면을 갖는 벽지에 박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앵커 시트와, 그 표면에 훅 등의 물품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 시트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기 벽지에 고정하도록 한 벽지용 물품 지지구이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그 이면측에 상기 앵커 시트와의 접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앵커 시트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한쪽 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제층은, 재박리성을 갖고, 상기 앵커 시트를 벽지로부터 떼어낼 때에 벽지를 파괴하지 않는 점착력을 갖는 점착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재는, 상기 벽지의 요철면에 추종할 수 있는 섬유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제1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기재를, 식물 섬유를 원료로 하는 화지로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의 점착제를 아크릴계 점착제로 하고 상기 점착제층의 층 두께를 10∼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단은, 상기 기재에 대하여 3N/20mm 이상의 접착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접착 수단을 양면 점착 테이프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물품이 설치된 때에,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재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수지 시트, 또는 목재나 금속 재료 등으로 구성하면 되고, 도안이나 색채 등의 인쇄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본 제2 발명은, 요철면을 갖는 벽지에 소정의 접착 수단을 통하여 훅 등의 물품을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벽지의 상기 물품의 설치 위치에 접착하고, 상기 물품과 상기 벽지 사이에 개재되는 물품 설치용의 앵커 시트이며,
상기 앵커 시트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한쪽 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상기 점착제층은, 재박리성을 갖고, 상기 앵커 시트를 벽지로부터 떼어낼 때에 벽지를 파괴하지 않는 점착력을 갖는 점착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재는, 상기 벽지의 요철면에 추종할 수 있는 섬유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제2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기재를, 식물 섬유를 원료로 하는 화지로 하면 된다.
본 제1 발명에 의하면, 벽지에 접착되는 앵커 시트의 기재를, 예를 들어, 화지와 같이, 그 원료 섬유가 길고, 표면에 잔 요철을 갖는 유연성이 있는 종이재로 함으로써, 기재를 벽지의 요철면에 추종하도록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벽지에 대한 충분한 접착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종래에는 어려웠던 요철면이 있는 벽지에 훅 등의 물품을 확실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앵커 시트의 점착제층은, 예를 들어, 재박리성을 갖고, 변형이 자유롭고 피착체의 선택성이 있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함으로써, 앵커 시트를 박리할 때에, 벽면에 대하여 점착제를 잔류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앵커 시트의 사이에 접착되는, 예를 들어, 양면 점착 테이프 등의 접착 수단의 점착력을, 기재에 대하여 3N/20mm 이상의 점착력으로 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에 비교적 하중이 있는 물품을 설치한 경우에도, 베이스 플레이트가 앵커 시트로부터 박리될 일 없이, 물품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를, 어느 정도 하중이 있는 물품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하더라도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재료로 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와 앵커 시트를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기 때문에, 물품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에 도안이나 색채 등의 인쇄를 실시하면, 인테리어 잡화로서의 장식성을 갖게 할 수도 있다.
본 제2 발명에 의하면, 요철면을 갖는 벽지에, 예를 들어, 양면 점착 테이프 등의 접착 수단을 통하여 훅 등의 물품을 설치함에 있어서, 예를 들어, 화지와 같이, 그 원료 섬유가 길고, 표면에 잔 요철을 갖는 유연성이 있는 종이재로 이루어지는 앵커 시트를 벽지와 양면 점착 테이프 사이에 개재시킴으로써, 종래에는 어려웠던 요철면이 있는 벽지에 훅 등의 물품을 확실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벽지용 물품 지지구를 분해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벽지용 물품 지지구를 분해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벽지용 물품 지지구를 벽면에 설치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점착 테이프 보유 지지력(응집력) 시험에 사용한 실험 샘플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기재의 표면 형상을 나타내는 그래프도.
이어서, 도 1∼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지용 물품 지지구는, 훅 등의 걸이구(H)가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와, 벽지(W)에 재박리 가능하게 접착 되 앵커 시트(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벽지용 물품 지지구는, 종래에는 설치가 곤란했던, 예를 들어, 염화비닐제 등의 요철면을 갖는 벽지에 접착 가능하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벽지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철면을 갖는 벽지(W)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는 그 표면(1a)에 훅 등의 걸이구(H)가 설치되게 되어 있지만, 그 이면(1b)측에는, 앵커 시트(2)에의 접착 가능한 접착 수단(3)이 구비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는 훅 등의 걸이구(H)가 설치된 때에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명한 수지 시트로 하고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에 750g으로 비교적 가중이 있는 걸이구(H)를 설치하는 예에서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휨 등의 변형이 없고, 면으로서 작용하도록, 그 두께가 0.5mm으로 되어 있는데,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는 설치되는 물품의 무게에 따라서 적절히 설계하면 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에는, 도시는 되어 있지 않지만, 그 이면(1b)측에 도안이나 색채 등의 인쇄를 실시해도 되고, 이에 의해, 벽면을 장식하는 인테리어 잡화로서 장식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접착 수단(3)은 앵커 시트(2)에 부착된 때에, 고하중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후술하는 앵커 시트(2)의 기재(21)에 대하여 3N/20mm 이상의 접착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접착 수단(3)은 베이스 플레이트(1)의 이면(1b)측에 상기 접착력을 갖는 점착제에 의해 점착제층을 형성해도 되지만, 이 예에서는, 예를 들어, 발포 올레핀계 기재의 양면에 고무계 또는 아크릴계의 점착제를 도포 시공한 양면 점착 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앵커 시트(2)는 기재(21)와, 기재(21)의 한쪽 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22)으로 이루어지고, 이 예에서 기재(21)는 두께가 0.07mm인 화지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제층(22)은 재박리성을 갖는 점착제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점착력은, 앵커 시트(2)를 벽지(W)로부터 떼어낼 때에, 점착제층(22)이 응집 파괴를 일으킬 일 없이, 벽지(W)로부터 원활하게 박리시킬 수 있을 정도의 점착력으로 되어 있다.
점착제층(22)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상기와 같은 재박리성을 갖는 점착력을 구비하는 것이면 되지만, 가격이나 피착체의 선택성, 내열, 내후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하면 되고, 이 예에서는, 유화 중합에 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베이스 중합체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점착제층(22)은 에멀션계, 핫 멜트계 등의 도포 시공 방법은 상관 없지만, 도포 시공 시의 작업성, 박리 시의 박리하기 쉬움, 또한, 벽지(W)에의 보유 지지 능력을 고려해서 10∼50㎛가 바람직한데, 이 예에서는, 두께가 15㎛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점착제(22)의 두께를 10㎛ 이하로 하면, 점착력이 너무 낮아져서, 보유 지지 성능을 발휘할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또한, 풀 두께 50㎛ 이상에서는, 점착력이 너무 강해져, 박리 시에 벽지 파괴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1)와 앵커 시트(2)는, 모두 동일 직경을 갖는 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 예에서는, 예를 들어, 직경 125mm의 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벽지용 물품 지지구를 벽지(W)에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앵커 시트(2)의 점착제층(22)의 표면에 설치된 박리지(도시하지 않음)를 떼어내고, 앵커 시트(2)를 벽지(W)에 설치한다.
이어서, 앵커 시트(2)의 기재(21)와 벽지(W)의 요철면이 잘 융합하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적어도 6시간 이상 방치하는(이하, 기재가 벽지(W)의 요철면에 잘 융합되어 가는 것을, 기재의 벽지(W)에의 「추종성」이라고 한다.)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양면 점착 테이프(3)를 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를 앵커 시트(2)의 기재(21)에 서로 겹쳐서 부착한다. 이 경우, 훅(H)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미리 설치해 두어도 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를 앵커 시트(2)에 부착한 후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기재(21)를 식물 섬유를 원료로 하는 화지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기재(21)는 화지에 한하지 않고, 벽지(W)의 요철면에 추종할 수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표면에 평활성을 갖게 한 일반적인 코팅지(인쇄지)는 부적합하지만, 크레이프지 등, 표면에 원료 섬유에 기인하는 미세한 요철면이 있는 종이재라면 본 발명의 기재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기재(21)는 식물 섬유를 원료로 하는 종이재에 한하지 않고, 벽지(W)의 요철면에 추종할 수 있는 섬유 재료이면 되고, 예를 들어, 나일론이나 아크릴 등의 유연성이 많은 합성 섬유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와 앵커 시트(2)의 형상을 직경 125mm의 원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 크기 및 형상에 한정될 일은 없고, 예를 들어, 삼각 형상, 사각 형상, 별 형상 등의 적당한 크기 및 형상을 선택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를 PET 수지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될 일은 없고, 물품을 설치한 때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라면, ABS 수지나 PP 수지 등의 다른 수지 시트여도 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로서,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목재나 금속제로 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훅(H)은 양면 점착 테이프(3)를 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의 거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훅(H)에 가해지는 하중을 고려한 것이며, 훅(H)에 가해지는 하중이 경량이라면, 훅(H)을 장식판의 어느 위치에 설치하더라도 지장은 없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에 설치되는 물품을 훅(H) 등의 걸이구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베이스 플레이트(1)에 설치되는 물품은 그것에 한정될 일은 없고, 예를 들어, 박형의 필름 미러나 소품 상자, 또는 액자 등이어도 된다.
또한, 훅 등의 물품을 요철 있는 벽지(W)에 설치함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1)를 개재시키지 않고, 직접, 양면 점착 테이프 등의 접착 수단을 통하여, 물품을 앵커 시트(2)에 접착하여 벽지(W)에 고정해도 되고, 이러한 양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양면 점착 테이프(12)를 예를 들어, 발포 올레핀계 기재의 양면에 고무계 또는 아크릴계의 점착제를 도포 시공한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될 일은 없고, 앵커 시트(2)의 기재(21)에 대하여 3N/20mm 이상의 점착력을 구비하고 있으면 되고, 아크릴 폼 타입의 양면 점착 테이프나 기재(기포 함유층) 자체가 점착성을 가진 점착제이면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실시예 등을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 등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도 문제로 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재박리성을 갖는 점착제를 도포 시공한 점착 테이프에서는, 요철면을 갖는 벽지에의 보유 지지력이 약하여, 비교적 경량의 훅 등이어도, 장시간 벽지에 고정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현재, 기재의 편면에 재박리성 점착제를 도포 시공한 기재로서는, 화지, 염화비닐 시트(PVC),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O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이 사용되고 있지만, 점착제는 고무계, 아크릴계를 불문하고 사용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요철면을 갖는 벽지에 대하여 보유 지지력을 발휘하는 것은, 접착제라고 하기 보다는, 기재가 크게 기인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라고 생각하고, 기재에 의한 요철면이 있는 벽지에 대한 보유 지지력의 차이를 시험하였다(실시예 1; 기재별 보유 지지력 측정 실험).
〔실시예 1; 기재별 보유 지지력 측정 실험〕
재박리성 점착 시트의 기재로서, 화지(두께; 0.07mm), PVC(두께; 0.07mm), OPP(두께; 0.04mm), PET(두께; 0.025mm)를 사용하고, 기재에 재박리성의 용제형 아크릴계 점착제(도요켐사제; BPS-6066)를 풀 두께가 15㎛로 되도록 도포 시공한 시험편(A)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시험편(A)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10mm×20mm의 면적이 되도록 피착체(벽지(아사히펜제; SD-06))(B)에 부착하고, 거기에 2kg의 롤러로 1왕복시켜서 하중(G)(50g)을 걸고, 40℃ 하에 30분 방치하고, 시험편마다의 벽지로부터 박리되어 떨어졌을 때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 실험을 3회(시험 시간; 하루(1440분)) 행하고, 그 평균값을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이 결과로부터, 동일한 점착제, 동일한 풀 두께를 도포 시공한 점착 시트일지라도, 기재의 차이에 따라 유지 시간에 차이가 있는 것이 검증되었다. 또한, 풀 두께 15㎛의 접착제를 도포 시공한 점착 시트에서는, 화지의 보유 지지 성능이 우수한 것이 검증되었다.
또한, 금회의 실험에서는, 일반적인 기재마다의 보유 지지 성능을 단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기 때문에, 화지는, 시장에서 마스킹 테이프의 기재로서 유통되고 있는 표준적인 것을 선택하였다. 마찬가지로, PVC, OPP, PET도 많이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것을 선택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요철면이 있는 벽지에 대한 화지의 보유 지지 성능의 높이는, 화지가, 벽지와 점착제의 접착 면적을 향상시키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라고 생각하고, 피착체로서 사용한 벽지의 표면도와 단면도를 관찰하고, 이하의 견해를 얻었다.
[벽지의 기재 평가]
금회 사용한 벽지(아사히펜제; SD-06)에서는, 요철이 격자상으로 나열되어 있고, 볼록부와 볼록부의 간격이 약 2mm, 깊이가 약 0.5mm 정도였다(도 5 참조). 이것으로부터, 실시예 1에서의 시험편은, 그 점착제가 벽지의 볼록부에 부착됨으로써 보유 지지 성능을 발휘하고 있는 것이라 생각되었기 때문에, 실시예 1의 시험편에서 사용한 기재마다 이하의 특성을 검증하였다.
[벽지 및 기재의 표면 조도]
요철을 갖는 벽지와 같은 피착체에 대하여 특히 화지의 보유 지지 성능이 높았던 이유로서, 벽지에 부착된 점착제를 덮도록, 화지가 벽지의 요철면에 잘 융합되어 가는 것은 아닐까라고 생각되었다(이하, 화지가 벽지의 요철면에 잘 융합되어 가는 것을, 화지의 벽지에의 「추종성」이라고 한다.).
그래서, 실시예 1에서 피착체로서 사용한 벽지(아사히펜제; SD-06)의 볼록부와, 시험편에 사용한 기재마다의 표면 조도를 표면 조도 측정기(고사까 겡뀨쇼제; SE3500), 기기 조건; 파장 0.8mm, 선단 반경 2㎛, 트레이스 길이 4.8mm)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또한, 산술 평균 조도(Ra)는 조도 곡선으로부터 그 평균선의 방향으로 기준 길이만큼 발취하고, 이 발취 부분의 평균선으로부터 측정 기준까지의 편차의 절댓값을 합계하여 평균한 것이며, 그 구간의 요철 상태를 평균값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최대 높이(Ry)는 요철부의 길이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pct00002
이에 의해, 벽지의 볼록부에 미세한 요철이 있는 점이나, 화지의 표면이 다른 기재의 표면에 비하여 상당히 거칠다는 점을 알았다.
[벽지 및 기재의 표면 형상]
이어서, 표면 조도 측정기(고사까 겡뀨쇼제; SE3500), 기기 조건; 파장 0.8mm, 선단 반경 2㎛, 트레이스 길이 4.8mm)에 의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벽지 및 기재의 표면 형상을 도 6에 도시한다.
이것에 의하면, 벽지(아사히펜제; SD-06)와 마찬가지로, 화지에도 요철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PVC, OPP, PET와 같은 기재에는 요철이 없다.
이것으로부터, 화지의 요철은 벽지에 비하여 가는 것이지만, 화지가 벽지에 대한 보유 지지력이 높았던 이유로서, 벽지의 요철면에의 파고들어감이 생각된다.
또한, 화지의 표면 요철은 원료 섬유인 식물(닥나무, 삼지닥나무) 등을 혼초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원료 섬유가 길어지는 것에 기인한다고도 생각된다. 이에 반해, PVC, OPP, PET와 같은 기재는, 연신되어서 제조되기 때문에, 그들의 표면이 매끄러운 평활면으로 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기재의 강성과 탄성]
이어서, 발명자들은, 화지가 벽지에 대하여 보유 지지 기능을 발휘한 요인으로서, 화지의 벽지의 요철면에 대한 추종성이라고 생각했는데, 그 기인을 검증하기 위해서, 기재의 강성과 탄력을 조사하기로 했다(가토테크사제; 순 굴곡 시험기 KES FB2, 기기 조건; 굴곡 곡률 2.5cm-1(0.4∼2.5), 감도 4(max), 반복 1회, 방향 WARP, 특성 계산 데이터(B1=0.5; B2=1.5; 2HB=1.0).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금회의 측정 중, 굴곡 강성은, 인간이 물체를 구부렸을 때에 느끼는 유연함과 상관이 취해지고, 이 값이 커질수록 딱딱하고, 작아질수록 유연하다. 또한, 탄력은, 인간이 물체를 구부렸다가 복귀시켰을 때에 느끼는 탄력성과 상관이 취해지고, 이 값이 커질수록 탄력성이 나쁘고, 작아질수록 탄력성이 좋다.
이 결과에 의하면, 화지를 제외한 PVC, OPP, PET는, 두께가 증가할수록 굴곡 극성이 딱딱하게 되어 있다. 이에 반해, 화지는, PET보다 두툼함에도 불구하고, PET에 가까운 유연함을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탄력성에 대해서는, PVC의 탄력성이 매우 나쁜 것은 알았지만, 화지가 특히 탄력성에 우위성을 갖고 있다고는 생각되지 않고, 기재의 탄력성은, 화지의 벽지에의 보유 지지 성능과는 관계 없음을 알았다.
[풀 두께의 검토]
상기 실시예 1에서는, 풀 두께가 15㎛이면, 기재가 화지일 경우에 벽지에의 보유 지지 성능이 가장 높은 것을 알았다. 그래서, 풀 두께의 변화에 따라, 화지 이외의 기재에서도 벽지에의 동일한 보유 지지 성능이 있는 것은 아닐까라고 생각되기 때문에, 풀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험을 행하였다.
그 시험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이것에 의하면, 풀 두께가 15㎛이면 보유 지지 성능이 나빴던 OPP와 PET에서는, 풀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보유 지지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풀 두께가 두꺼워짐으로써, 벽지의 요철면에 풀이 들어가서 점착력이 높아졌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또한, PVC는, 풀 두께를 두껍게 해도 보유 지지 성능은 높아지지 않고, 이 이유로서 전번의 탄성 시험에 있어서, PVC의 탄력성이 다른 기재에 비교하여 낮은 것이 요인이 아닐까라고 생각된다. 탄력성이 없다는 것은, 기재에 힘을 가해도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벽지에의 추종성이 도모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기재의 요철면 있는 벽지에의 보유 지지 성능의 검토 결과]
이상의 실험 및 검증으로부터, 재박리성 점착 시트 중, 기재를 화지로 한 요철면이 있는 벽지에의 보유 지지 성능의 우위성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풀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화지의 보유 지지 성능은 다른 기재보다 현격히 우수하다는 점도 검증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보유 지지 능력의 우위성은, 화지의 표면에 원료 섬유인 식물 섬유에 의한 요철이 있는 것에 추가로, 화지가 다른 기재에 비하여 매우 유연하기 때문에, 피착체(벽지)에 대한 추종성이 좋아, 접착 면적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풀 두께를 두껍게 하면, 화지 이외의 OPP나 PET에서도 보유 지지 성능이 높아지는 것은 확인할 수 있었지만, 비용면, 환경면 등을 고려하면, 화지의 우위성은 변함없는 것이라 생각된다.
이상에 의해, 앵커 시트의 기재는, 풀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기재를 화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풀 두께를 두껍게 하면 다른 기재(OPP나 PET)로도 대용 가능함을 알았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는, 훅 등의 걸이구(H)가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1)를 앵커 시트(2)의 기재(21)에 겹쳐 붙여서 사용하기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1)가 앵커 시트(2)로부터 탈락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기재(21)의 표면(21a)에는, 배면 처리(박리 처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앵커 시트(2)로서 적용되는 재박리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갖는 소위 점착 시트는, 통상, 제품으로서 두루마리로 되기 때문에, 점착제층과 중첩되는 기재(21)의 표면(21a)에는 배면 처리가 이루어져 있거나 박리지가 부착되어 있다.
그래서, 배면 처리가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배면 처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경우와 동일한 접착력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1)가 앵커 시트(2)로부터 박리되지 않는 점착력을 알기 위해서, 이하의 실험을 행하였다(실시예 2; 베이스 플레이트(1)와 앵커 시트(2)의 접착력).
[실시예 2; 베이스 플레이트(1)와 앵커 시트(2)의 접착력]
박리 처리가 상이한 화지를 기재로 하는 시판하고 있는 마스킹 시트를 사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의 양면 점착 테이프(12)와 동일한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양면 점착 테이프(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제; 양면 점착 테이프 No.575)의 마스킹 테이프에 대한 접착력(배면 접착력)을 비교하였다.
박리 처리가 상이한 4종의 마스킹 테이프 A, B, C, D의 기재 표면을 피착체로 하고, 양면 점착 테이프(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제; 양면 점착 테이프 No.575)를 10mm×20mm의 면적이 되도록 피착체에 부착하고, 거기에 23℃의 조건 하에서 2kg의 롤러로 1왕복시키고, 20분 경과 후에 인장 시험기(ORIENTEC사제; RTC-1210A)로 180도 방향으로 인장 속도 300mm/min으로 박리했을 때의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실시예 3; 벽지용 물품 지지구와 벽지의 접착력]
또한, 표 6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한 벽지용 물품 지지구(S)에 훅(H)을 설치한 샘플을 제작하고, 이것을 실시예 2에서 접착력을 측정한 마스킹 테이프를 사용하여, 벽지에 설치하고, 각각의 보유 지지 능력을 검증하였다.
Figure pct00006
본 실시예에서는, 아사히펜제 SD-06을 피착체로 하고, 실시예 2와 같은 마스킹 테이프를 피착체 C에 부착하고, 23℃의 조건 하에서 2kg의 롤러로 1왕복시키고, 40℃의 실온에서 30분 방치한 후, 750g의 훅을 설치하여 1개월 보유 지지시켰다. 이 시험을 5회 반복했지만, 표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접착력이 3N/mm 이하인 것은, 마스킹 테이프로부터 탈락함을 알았다.
Figure pct00007
[베이스 플레이트와 앵커 시트의 보유 지지 성능의 검토 결과]
실시예 2 및 실시예 3으로부터, 앵커 시트(2)의 베이스 플레이트(1)에의 보유 지지 성능은, 양면 점착 테이프(12)의 기재 표면(21)에 대한 접착력이 3N/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함을 알았다.
[실시예 4; 앵커 시트의 벽지에의 추종 확보 시간]
상기 마스킹 테이프 D를 사용하고, 벽지(아사히펜제 SD-06)의 요철에 융합되는 (추종성 확보) 시간을 검증하기 위해서, 이하와 같은 시험을 행하였다.
벽지(아사히펜제 SD-06)를 피착체로 하여 상기 마스킹 테이프 D를 15mm×15mm의 면적이 되도록 피착체에 부착하고, 거기에 23℃의 조건 하에서 2kg의 롤러로 1왕복시키고,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인장 시험기(SHIMADZU사제; AGS-X)로 180도 방향으로 인장 속도 50mm/min로 박리했을 때의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8
이것으로부터, 앵커 시트가 벽지에 융합되어, 적합한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적어도 6시간 이상 방치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았다.
이상의 실시예 등에 의해, 요철면이 있는 벽지에의 보유 지지 성능을 높이는 제1 요인은, 기재임을 알았다. 또한, 기재는, 그 표면에 요철면이 구비되는 것에 의해 벽지의 요철면에 추종함을 알았다.
또한, 종이재는 섬유 재료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 요철면을 갖는다는 것은 알려져 있는데, 특히 원료 섬유가 긴 화지가, 기재로서 우위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1: 베이스 플레이트
2: 앵커 시트
21: 기재
22: 점착제층
3: 접착 수단
W: 벽지
H: 훅

Claims (13)

  1. 요철면을 갖는 벽지에 박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앵커 시트와, 그 표면에 훅 등의 물품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 시트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기 벽지에 고정하도록 한 벽지용 물품 지지구이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그 이면측에 상기 앵커 시트와의 접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앵커 시트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한쪽 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제층은, 재박리성을 갖고, 상기 앵커 시트를 벽지로부터 떼어낼 때에 벽지를 파괴하지 않는 점착력을 갖는 점착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재는, 상기 벽지의 요철면에 추종할 수 있는 섬유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용 물품 지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화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용 물품 지지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점착제가 아크릴계 점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용 물품 지지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층 두께가 10∼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용 물품 지지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단은, 상기 기재에 대하여 3N/20mm 이상의 접착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용 물품 지지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단이, 양면 점착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용 물품 지지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물품이 설치된 때에,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용 물품 지지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수지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용 물품 지지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용 물품 지지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용 물품 지지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도안이나 색채 등의 인쇄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용 물품 지지구.
  12. 요철면을 갖는 벽지에 소정의 접착 수단을 통하여 훅 등의 물품을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벽지의 상기 물품의 설치 위치에 접착하고, 상기 물품과 상기 벽지 사이에 개재시키는 물품 설치용의 앵커 시트이며,
    상기 앵커 시트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한쪽 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상기 점착제층은, 재박리성을 갖고, 상기 앵커 시트를 벽지로부터 떼어낼 때에 벽지를 파괴하지 않는 점착력을 갖는 점착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재는, 상기 벽지의 요철면에 추종할 수 있는 섬유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설치용의 앵커 시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화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시트.
KR1020187011570A 2016-01-08 2017-01-05 벽지용 물품 지지구 및 물품 설치용의 앵커 시트 KR201800595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02901A JP6427508B2 (ja) 2016-01-08 2016-01-08 壁紙用物品支持具および物品取付け用のアンカーシート
JPJP-P-2016-002901 2016-01-08
PCT/JP2017/000107 WO2017119438A1 (ja) 2016-01-08 2017-01-05 壁紙用物品支持具および物品取付け用のアンカーシー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302A Division KR20190089092A (ko) 2016-01-08 2017-01-05 벽지용 물품 지지구 및 물품 설치용의 앵커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509A true KR20180059509A (ko) 2018-06-04

Family

ID=592737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1570A KR20180059509A (ko) 2016-01-08 2017-01-05 벽지용 물품 지지구 및 물품 설치용의 앵커 시트
KR1020197021302A KR20190089092A (ko) 2016-01-08 2017-01-05 벽지용 물품 지지구 및 물품 설치용의 앵커 시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302A KR20190089092A (ko) 2016-01-08 2017-01-05 벽지용 물품 지지구 및 물품 설치용의 앵커 시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90022973A1 (ko)
EP (1) EP3400849A4 (ko)
JP (1) JP6427508B2 (ko)
KR (2) KR20180059509A (ko)
CN (1) CN108348083B (ko)
HK (1) HK1256554A1 (ko)
SG (1) SG11201805767RA (ko)
TW (1) TWI665085B (ko)
WO (1) WO20171194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86381B2 (ja) * 2017-07-07 2021-12-22 株式会社ニトムズ 壁面取付物品セット
JP7241466B2 (ja) * 2018-02-22 2023-03-1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物品取付具、及び貼り付け方法
WO2020075263A1 (ja) * 2018-10-11 2020-04-16 株式会社ナム ベースシート構造
KR20230049326A (ko) 2021-10-06 2023-04-13 이동원 진동 감쇄기를 구비한 선박.
KR20230105928A (ko) 2022-01-05 2023-07-12 이동원 다차수 진동 감쇄기를 구비한 선박.
USD971712S1 (en) * 2022-08-04 2022-12-06 Junhao ZHOU Utility hoo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0742A (ja) 2007-11-15 2009-06-04 Sunny:Kk 粘着シートの使用方法及びその使用方法に用いる粘着性樹脂
JP2010100688A (ja) 2008-10-22 2010-05-06 Nitomuzu:Kk 粘着テープ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2404A (en) * 1995-09-07 1997-09-3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ttachment strips
JP4716603B2 (ja) * 2001-05-30 2011-07-06 日東電工株式会社 再剥離性粘着剤組成物及び再剥離用粘着シート
DE10213924A1 (de) * 2002-03-28 2002-10-10 Ver Zur Unterstuetzung Russisc Verfahren zum Kleben, ein schnellheftendes Objekt und ein Zwischenelement zum Kleben
JP5043340B2 (ja) * 2006-02-01 2012-10-1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物品取り付けキット
US7691225B2 (en) * 2007-01-15 2010-04-06 Nitto Denko Corporation Thermal-release double-coat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and method of processing adherend
CN101307795A (zh) * 2007-05-18 2008-11-19 周巽 一种适用于平面或弧面的柔性粘贴型墙壁挂钩
JP2009001667A (ja) * 2007-06-21 2009-01-08 Nichiban Co Ltd 粘着シートの粘着剤層表面に凹部を形成するための剥離シート
TWM361956U (en) * 2009-03-27 2009-08-01 Huai Jie Entpr Co Ltd Structure improvement of hooks without adhesive left over
TWM362334U (en) * 2009-04-07 2009-08-01 Mao-Xu Weng Reusable hook
CN201504964U (zh) * 2009-09-11 2010-06-16 王广河 挂钩
CN201507535U (zh) * 2009-09-15 2010-06-16 陈家桢 重复贴挂钩
CN201771938U (zh) * 2010-08-13 2011-03-23 浙江工商大学 一种可多次使用的粘钩
CN201870406U (zh) * 2010-10-25 2011-06-22 王曼珠 架体的固定结构
CN204813261U (zh) * 2015-06-15 2015-12-02 刘龙 一种无痕魔术贴挂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0742A (ja) 2007-11-15 2009-06-04 Sunny:Kk 粘着シートの使用方法及びその使用方法に用いる粘着性樹脂
JP2010100688A (ja) 2008-10-22 2010-05-06 Nitomuzu:Kk 粘着テー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092A (ko) 2019-07-29
WO2017119438A1 (ja) 2017-07-13
EP3400849A4 (en) 2019-09-04
CN108348083A (zh) 2018-07-31
TW201730010A (zh) 2017-09-01
TWI665085B (zh) 2019-07-11
US20190022973A1 (en) 2019-01-24
SG11201805767RA (en) 2018-08-30
HK1256554A1 (zh) 2019-09-27
JP2017121437A (ja) 2017-07-13
CN108348083B (zh) 2020-02-07
JP6427508B2 (ja) 2018-11-21
EP3400849A1 (en) 2018-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9509A (ko) 벽지용 물품 지지구 및 물품 설치용의 앵커 시트
JP4912635B2 (ja) 貼着部材および光学部品の貼着方法
JP4384333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US20070231569A1 (en) High-gloss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US20140030518A1 (en) Surface-protecting film
JP2017121437A5 (ko)
KR20190005737A (ko) 벽면 설치구
JP2006208855A (ja) 貼付用機能性フィルム及びその貼付方法
US20070231570A1 (en) High-gloss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US20140030516A1 (en) Surface-protecting film
JP7241466B2 (ja) 物品取付具、及び貼り付け方法
US20100180483A1 (en) Adhesive frame for a photograph or pi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1281454A (ja) 保護フィルム付き光学フィルム
JP3110178U (ja) 吊下げ具
JP2007023057A (ja) 架橋剤併用型自己粘着性フィルム
JP2000265123A (ja) マーキングフィルム及び複合マーキングフィルム
JP3016739B2 (ja) 熱転写印刷用粘着フィルム
EP0871154B1 (en) An adhesive mounting system and uses therefor
JP6247961B2 (ja) 保護粘着フィルム
EP1071065A2 (en) Web support assembly
JPH0770523A (ja) 両面粘着テープ
JPH08240522A (ja) 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のアンカー力測定方法
JP2001272540A (ja) 保護フィルム付き光学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43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719

Effective date: 2019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