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462A - 박막 커패시터 - Google Patents
박막 커패시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58462A KR20180058462A KR1020160157456A KR20160157456A KR20180058462A KR 20180058462 A KR20180058462 A KR 20180058462A KR 1020160157456 A KR1020160157456 A KR 1020160157456A KR 20160157456 A KR20160157456 A KR 20160157456A KR 20180058462 A KR20180058462 A KR 201800584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layer
- electrode
- layer
- exposed
- via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03985 ceramic capacitor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0427 thin-film deposi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4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229920002120 photoresistant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JRPBQTZRNDNNOP-UHFFFAOYSA-N barium titanate Chemical compound [Ba+2].[Ba+2].[O-][Ti]([O-])([O-])[O-] JRPBQTZRNDNNO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113 barium tita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UMIVXZPTRXBADB-UHFFFAOYSA-N benzocyclobute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2=C1 UMIVXZPTRXBAD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224 chemical solution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29 chem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89 dielectr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KJTLSVCANCCWHF-UHFFFAOYSA-N Ruthenium Chemical compound [Ru] KJTLSVCANCCWH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367 SrTi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20 comb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798 dela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00 effect on sk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72 electroless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55 external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1 iri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KOZUEZYRPOHIO-UHFFFAOYSA-N iridium atom Chemical compound [Ir] GKOZUEZYRPOHI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7 ruthe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EALVRVVWBQVSL-UHFFFAOYSA-N strontium titanate Chemical compound [Sr+2].[O-][Ti]([O-])=O VEALVRVVWBQVS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6 surface rough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40 vapo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3—Thin- or thick-film capaci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01G4/012—Form of non-self-supporting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6—Terminals leading through the housing, i.e. lead-throug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 H01G4/306—Stacked capacitors made by thin film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기판 상에 복수의 유전체층과 제1 및 제2 전극층이 번갈아 배치된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외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전극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 내에는 다단 형상의 복수의 비아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비아 중 제1 비아는 상기 제1 전극층과 제1 전극 패드를 연결하되, 바디의 일면에서 상기 기판에 인접한 최하층 제1 전극층까지 관통하고, 상기 복수의 비아 중 제2 비아는 상기 제2 전극층과 제2 전극 패드를 연결하되, 바디의 일면에서 상기 기판에 인접한 최하층 제2 전극층까지 관통하며, 상기 제1 비아 내에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비아 내에 제2 전극층은 상면이 노출된 박막 커패시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박막 커패시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 웨어러블 장비 등의 휴대용 IT 제품의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로 인해 전체적인 패키지의 두께 감소를 위한 수동 소자의 박형화의 필요성도 증대되고 있다.
이를 위해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보다 더 얇은 두께를 구현할 수 있는 박막 커패시터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한편, 박막 공법으로 제작된 커패시터 제품은 외부전극과 전극층을 연결하고 전극층 층간 연결을 위한 비아(via) 형성 방법이 중요하다. 이러한 비아 형성방법 및 최종 구조에 따라 박막 커패시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종래 박막 박막 커패시터 제작방법은 유전체층과 전극층을 반복하여 적층 한 후 비아(via) 형성 시, 한 층의 전극에 한 개의 비아가 필요하며, 전극층수만큼 비아를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다음으로는 전극층을 적층 시 패터닝하는 방법으로 짝수번째 전극층과 홀수번째 전극층의 형태를 달리하여 적층하고, 한쪽면을 에칭하면 짝수 혹은 홀수 전극층만 노출되어 전극을 연결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들은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어, 더욱 소형화된 박막 박막 커패시터를 용이하게 제작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편, 다수의 유전체층을 박막 필름 기술로 적층할 경우 각 유전체층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전극층을 안정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다.
특히, 박막 커패시터를 기판에 실장시 및 실장 후 외부 스트레스에 의한 전기적 연결부의 데미지 및 박막 층간 박리를 개선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신뢰성이 우수하고 소형화된 고용량 박막 커패시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기판 상에 복수의 유전체층과 제1 및 제2 전극층이 번갈아 배치된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외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전극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 내에는 다단 형상의 복수의 비아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비아 중 제1 비아는 상기 제1 전극층과 제1 전극 패드를 연결하되, 바디의 일면에서 상기 기판에 인접한 최하층 제1 전극층까지 관통하고, 상기 복수의 비아 중 제2 비아는 상기 제2 전극층과 제2 전극 패드를 연결하되, 바디의 일면에서 상기 기판에 인접한 최하층 제2 전극층까지 관통하며, 상기 제1 비아 내에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비아 내에 제2 전극층은 상면이 노출되고, 상기 최하층 전극층에 배치된 비아의 반경을 R0, 상기 최하층 전극층의 상부에 배치된 전극층에서 상기 바디의 일면에 인접한 최상층 전극층까지 상기 최하층 전극층과 동일 극성의 전극층에 배치된 비아에 있어서, 상기 동일 극성의 전극층이 노출된 상면까지의 비아의 반경을 각각 Ri (단, i ≥ 1) 및 상기 최하층 전극층의 상부에 배치된 각 전극층에서 상기 바디의 일면에 인접한 최상층 전극층까지 상기 최하층 전극층과 동일 극성의 전극층의 노출된 상면의 반경을 dRi (단, i ≥ 1)라 하면, 최하층 전극층의 노출된 면적이 πR0 2 이라 할 때, 최하층 전극층의 상부에 배치된 동일 극성의 전극층의 노출된 상면의 면적은 2π(Ri+dRi/2)dRi 로 정의되며, 노출된 상면의 면적은 πR0 2〈 2π(Ri+dRi/2)dRi〈 2π(Ri+1+dRi+1/2)dRi +1 (단, i ≥ 1)과 같이 최하층에서 상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박막 커패시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유전체와 전극을 일괄 적층한 후 다단 형상의 비아로 전기적 연결을 할 수 있어, 박막 증착시 외부환경에 의한 데미지를 최소화할 수 있고, 제품의 두께를 더 얇게 한 소형화 제품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비아 한 개로 전기적 연결이 필요한 각 층 모두를 연결할 수 있어, 비아로 인한 면적 감소를 최소화하여 용량을 증가 할 수 있다.
또한, 비아 내에 절연막 패터닝을 통해 제품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어, 박막 박막 커패시터의 적층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고용량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박막 커패시터는 낮은 등가직렬인덕턴스 (ESL, Equivalent Series Inductance) 및 낮은 등가직렬저항 (ESR, Equivalent Series Resistance)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비아와 연결되는 다수의 전극층의 연결부의 면적이 기판에 인접한 최하부로부터 최상부로 가면서 점점 커지도록 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에서 낮은 등가직렬인덕턴스 (ESL, Equivalent Series Inductance)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바디의 일면에 인접한 최상층 전극층의 노출된 상면의 반경을 최대로 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에서 낮은 등가직렬인덕턴스 (ESL, Equivalent Series Inductance)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박막 커패시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박막 커패시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Ⅰ-Ⅰ' 방향의 절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Ⅱ-Ⅱ' 방향의 절단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4b는 도 1의 Ⅲ-Ⅲ' 방향의 절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도 4a의 A 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난 것이며, 도 5b는 도 4b의 B 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j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박막 커패시터 내부의 비아를 형성하는 공정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박막 커패시터 내부의 비아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박막 커패시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Ⅰ-Ⅰ' 방향의 절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Ⅱ-Ⅱ' 방향의 절단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4b는 도 1의 Ⅲ-Ⅲ' 방향의 절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도 4a의 A 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난 것이며, 도 5b는 도 4b의 B 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j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박막 커패시터 내부의 비아를 형성하는 공정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박막 커패시터 내부의 비아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이하, 본 개시에 의한 박막 커패시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박막 커패시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박막 커패시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Ⅰ-Ⅰ' 방향의 절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박막 커패시터(100)는 기판(10) 상에 제1 및 제2 전극층(21, 22)과 유전체층(23)이 교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바디(20), 바디(20) 내에는 복수의 비아(31, 32)가 배치되며, 복수의 비아 중 제1 비아(31)는 제1 전극층(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복수의 비아 중 제2 비아(32)는 제2 전극층(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박막 커패시터(100)는 상기 바디(20)의 외부에 배치되며 적층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제1 및 제2 비아(31, 32)와 오버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제1 및 제2 전극 패드(51, 52), 바디(20)의 외부에 배치되며 제1 전극 패드(51)와 제1 비아(31)를 연결하는 제1 연결 전극(41) 및 바디(20)의 외부에 배치되며 제2 전극 패드(52)와 제2 비아(32)를 연결하는 제2 연결 전극(42)을 포함한다.
이로써, 상기 복수의 비아 중 제1 비아(31)는 상기 제1 전극층(21)과 제1 전극 패드(51)를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비아 중 제2 비아(32)는 상기 제2 전극층(22)과 제2 전극 패드(52)를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박막 커패시터의 '길이 방향'은 도 1의 'L' 방향, '폭 방향'은 'W' 방향, '두께 방향'은 도 1의 'T'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두께 방향'은 유전체층과 전극층을 쌓아 올리는 방향 즉 '적층 방향'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디(20)의 형상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또한, 그 치수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예를 들면 0.6mm×0.3mm 크기일 수 있고, 1.0 ㎌ 이상의 고적층 및 고용량 박막 커패시터일 수 있다.
상기 기판(10)은 상기 제1 및 제2 전극층(21, 22)과 접하는 층(기판)이 절연성을 가지는 것이며, Al2O3, SiO2/Si, MgO, LaAlO3 및 SrTiO3 중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판(10)은 충분한 평탄도와 표면 거칠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는 도 1의 Ⅱ-Ⅱ' 방향의 절단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4b는 도 1의 Ⅲ-Ⅲ' 방향의 절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바디(20)는 상기 기판(10) 상에 제2 전극층(22)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전극층(22) 상에 유전체층(23)이 형성되고, 상기 유전체층(23) 상에 제1 전극층(21)이 형성되는 적층 구조로, 복수의 제1 전극층(21)과 제2 전극층(22)이 유전체층(23)을 사이에 두고 교대로 복수 개 적층된 형태일 수 있으며, 도면에서 개시된 적층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바디(20)는 기판(10) 상에 유전체층(23)과 제1 및 제2 전극층(21, 22)이 번갈아 배치되도록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20)는 복수의 유전체층(23)이 두께 방향으로 적층되고, 제1 및 제2 전극층(21, 22)이 유전체층(23)을 마주보며 교대로 적층하되, 진공 내에서 일괄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진공 내에서 일괄 적층된 박막 커패시터의 내부 전극을 선택적으로 연결을 하기 위해 면적을 달리하여 층간 에칭함으로써, 비아 모양이 다단 형상 즉, 계단형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계단형으로 에칭된 비아에서 노출된 내부 전극 중 절연되어야 할 내부 전극에 절연층을 형성하여 전기적 연결을 차단한다.
다음으로, 연결해야 할 전극만 노출한 후 무전해 도금 혹은 스퍼터 방식으로 시드층(seed layer)를 형성한 후 도금에 의하여 도전성 금속을 충진하여 전극 연결층을 형성한다.
상기에 의해, 비아 하나로 내부전극의 층간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진공 내에서 유전체층(23)과 제1 및 제2 전극층(21, 22)이 일괄 적층되어 박막 커패시터를 제작하기 때문에,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발생할 수 있는 데미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층(21, 22)과 유전체층(23)은 다층으로 적층할수록 커패시터의 ESR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층(21, 22)은 일정 패턴 없이 하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층(21, 22)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재료는 구리(Cu), 알루미늄(Al), 금(Au), 은(Ag), 백금(Pt), 이리듐(Ir), 루테늄(Ru)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유전율 박막인 유전체층이 형성하는 과정에서 고온의 열이력이 수반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하여 전극층이 유전체층으로 확산되거나 유전체층과 반응하는 것에 의하여, 커패시터에 누설전류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층(21, 22)의 경우, 고융점 재료인 백금(Pt)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유전체층에 확산 또는 반응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유전체층(23)은 높은 유전율을 갖는 물질로서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재료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유전율이 크게 변화할 수 있는 유전체 재료, 예를 들면, 티탄산바륨(BaTiO3)계 재료, 티탄산스트론튬(SrTiO3)계 재료 (Ba,Sr) TiO3계, PZT계 등 일 수 있다.
상기 제1 비아(31)는 상기 제1 전극층(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비아(32)는 제2 전극층(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비아(31)와 제2 비아(32)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비아(31, 32)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금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및 제2 비아의 상면은 움푹 들어간 곳(딤플; dimple)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재료는 구리(Cu), 알루미늄(Al), 금(Au), 은(Ag), 백금(Pt)등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및 제2 비아(31, 32)는 복수 개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비아를 복수 개로 형성하면, 상기 제1 및 제2 전극층과 각각 접촉하는 접촉면이 증가하여 커패시터의 ESR을 낮출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전극(41, 42)은 상기 제1 및 제2 비아(31, 32)와 상기 제1 및 제2 전극 패드(51, 52)를 각각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전극(41, 42)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금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재료는 구리(Cu), 알루미늄(Al), 금(Au), 은(Ag), 백금(Pt)등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및 제2 전극 패드(51, 52)는 바디(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디(20)의 일면을 통해 노출된 복수의 비아(31, 32)를 통해 제1 및 제2 전극층(21, 22)과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전극 패드(51, 52)는 바디(20)의 상면에 스퍼터링 또는 e-beam 증착과 같은 박막 형성 공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 패드(51, 52)는 도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재료는 구리(Cu), 알루미늄(Al), 금(Au), 은(Ag), 백금(Pt)등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 패드(51, 52)는 씨드(seed)층(51a, 52a) 및 상기 씨드층으로부터 형성된 전극층(51b, 5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 패드(51, 52)는 상기 유전체층과 전극층의 적층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비아와 오버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 패드(51, 52)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전극과 일체화된 형태일 수 있거나,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전극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비아(31, 32)의 배치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전극(41, 42)은 빗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전극의 빗 형상은 서로 맞물려 교대로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연결 전극(41)은 상기 복수의 제1 비아 각각으로부터 연결된 복수의 제1 연결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와 연결된 제1 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 전극(32)은 상기 복수의 제2 비아 각각으로부터 연결된 복수의 제2 연결부 및 상기 복수의 전극부와 연결된 제2 전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전극과 제2 연결 전극 또한 서로 반대되는 극성이므로, 상기 제1 연결 전극과 제2 연결 전극 사이가 최대한 인접할수록 우수한 ESL 감소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비아로부터 연장된 가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비아(31)와 제2 비아(32)가 각각 제1 전극층(21)과 제2 전극층(22)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절연층(27)을 형성한다.
상기 절연층(27)은 상기 제1 비아(31)와 상기 유전체층(23) 및 상기 제2 전극층(22) 사이 및 상기 제2 비아(32)와 상기 유전체층(23) 및 상기 제1 전극층(2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절연층은 제1 비아와 제2 전극층 간의 절연 및 제2 비아와 제2 전극층간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유전체층의 표면에 형성됨으로써 이에 발생하는 기생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절연층(27)은 BCB(벤조사이클로부텐)나 폴리이미드 등의 유기 재료 또는 SiO2, Si3N4 등 무기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절연성이 높고 기생 용량을 작게 하기 위해 유전체층의 재료보다 저유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층의 형성방법은 입체적으로 복잡한 형상에 균일한 막 두께를 형성할 수 있는 화학기상증착(CVD;chemical vapor deposition)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25)은 상기 바디(20)와 제1 및 제2 연결 전극(41, 42)을 외부로부터의 습도 및 산소와 일어날 수 있는 화학반응에 의한 재료의 열화 또는 오염 및 실장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25)은 내열성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와 같은 유기계의 열경화 재료 또는 광경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바디(20) 내에는 다단 형상의 복수의 비아(31, 32)가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비아(31, 32) 중 제1 비아(31)는 상기 제1 전극층(21)과 제1 전극 패드(51)를 연결하되, 바디(20)의 일면에서 상기 기판(10)에 인접한 최하층 제1 전극층(21)까지 관통하고, 상기 복수의 비아(31, 32) 중 제2 비아(32)는 상기 제2 전극층(22)과 제2 전극 패드(52)를 연결하되, 바디(20)의 일면에서 상기 기판(10)에 인접한 최하층 제2 전극층(22)까지 관통한다.
상기 제1 비아(31) 내에 제1 전극층(21)과 상기 제2 비아(32) 내에 제2 전극층(22)은 상면이 노출되어 각각 제1 전극 패드(51) 및 제2 전극 패드(52)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비아(31, 32)는 계단 형상인 다단 형상이고, 각 단의 폭은 기판(10)에서 바디(20)의 상부로 갈수록 커진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비아(31, 32)의 각 단의 폭이 기판(10)에서 바디(20)의 상부로 갈수록 커지도록 제작함으로써, 제1 비아(31)는 상기 바디(20) 내에 배치된 제1 전극층(21) 전체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비아(32)는 상기 바디(20) 내에 배치된 제2 전극층(22) 전체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비아(31, 32)의 각 단의 폭이 기판(10)에서 바디(20)의 상부로 갈수록 커지기 때문에, 상기 제1 비아(31) 내에 노출된 제1 전극층(21)과 상기 제2 비아(32) 내에 노출된 제2 내부전극(22)은 에칭된 절단면 상에 절연층(27)이 배치되고, 상면은 노출될 수 있다.
제1 비아(31)는 제1 내부전극(21)이 노출되는 층까지 복수 회 에칭을 반복하며, 계단 형상인 다단 형상이고, 각 단의 폭은 기판(10)에서 바디(110)의 상부로 갈수록 커지기 때문에, 절연 공정 이후에는 유전체층(23)과 제1 및 제2 전극층(21, 22)의 에칭된 절단면 상에는 절연층(27)이 배치되고, 제1 전극층(21)의 상면만 노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비아(31)와 제1 전극층(21) 전체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비아(31)를 통하여 제1 전극 패드(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2 비아(32)는 제2 전극층(22)이 노출되는 층까지 복수 회 에칭을 반복하며, 계단 형상인 다단 형상이고, 각 단의 폭은 기판(10)에서 바디(20)의 상부로 갈수록 커지기 때문에, 절연 공정 이후에는 유전체층(23)과 제1 및 제2 전극층(21, 22)의 에칭된 절단면 상에는 절연층(27)이 배치되고, 제2 전극층(22)의 상면만 노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2 비아(32)와 제2 전극층(22) 전체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비아(32)를 통하여 제2 전극 패드(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비아(31) 내에 노출된 제2 전극층(22)과 상기 제2 비아(32) 내에 노출된 제1 전극층(21) 상에는 절연층(27)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비아(31) 내에 노출된 제2 전극층(22)과 상기 제2 비아(32) 내에 노출된 제1 전극층(21)은 그 에칭된 절단면에 절연층(27)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제1 비아(31)가 제1 전극층(21) 전체와 연결되고, 제2 비아(32)가 제2 전극층(22) 전체와 연결되기 때문에 공정 편차로 인하여 하나 혹은 복수의 내부전극과 비아가 연결되지 못하는 경우에도 용량 형성에 문제가 없다.
즉, 종래와 같이 하나의 내부전극에 대하여 하나의 비아를 연결하는 구조의 경우에는 그 연결이 실패할 경우 용량이 형성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커패시터의 용량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비아(31)가 제1 전극층(21) 전체와 연결되고, 제2 비아(32)가 제2 전극층(22) 전체와 연결되기 때문에, 일부의 내부전극과 비아의 연결이 실패하더라도 용량 형성에는 문제가 없어 신뢰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제1 비아(31)는 복수 개이며, 복수의 제1 비아(31)는 서로 동일한 깊이를 갖고, 상기 제2 비아(32)도 복수 개이며, 복수의 제2 비아(32)는 서로 동일한 깊이를 갖는다.
도 5a는 도 4a의 A 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난 것이며, 도 5b는 도 4b의 B 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박막 커패시터에 있어서, 상기 최하층 전극층(21, 22)에 배치된 비아(31, 32)의 반경을 R0, 상기 최하층 전극층의 상부에 배치된 전극층에서 상기 바디의 일면에 인접한 최상층 전극층까지 상기 최하층 전극층과 동일 극성의 전극층(21, 22)에 배치된 비아(31, 32)에 있어서, 상기 동일 극성의 전극층(21, 22)이 노출된 상면까지의 비아(31, 32)의 반경을 각각 Ri (단, i ≥ 1) 및 상기 최하층 전극층(21, 22)의 상부에 배치된 각 전극층에서 상기 바디의 일면에 인접한 최상층 전극층까지 상기 최하층 전극층과 동일 극성의 전극층(21, 22)의 노출된 상면의 반경을 dRi (단, i ≥ 1)라 하면, 최하층 전극층의 노출된 면적이 πR0 2 이라 할 때, 최하층 전극층의 상부에 배치된 동일 극성의 전극층의 노출된 상면의 면적은 2π(Ri+dRi/2)dRi 로 정의되며, 노출된 상면의 면적은 πR0 2〈 2π(Ri+dRi/2)dRi〈 2π(Ri+1+dRi+1/2)dRi +1 (단, i ≥ 1)과 같이 최하층에서 상부로 갈수록 증가한다.
상기 최하층 전극층과 동일 극성의 전극층(21, 22)의 노출된 상면은 비아(31, 32)를 통해 제1 및 제2 전극 패드(51, 52)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전극층(21, 22)의 전기적 연결부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제1 비아(31) 내에서는 제1 전극층(21)의 상면이 노출되고, 노출된 제1 전극층(21)의 상면이 제1 전극 패드(51)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되며, 제2 비아(32) 내에서는 제2 전극층(22)의 상면이 노출되고, 노출된 제2 전극층(22)의 상면이 제2 전극 패드(52)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된다.
동일 극성의 전극층(21, 22)에서 노출된 각 상면의 면적은 πR0 2〈 2π(Ri+dRi/2)dRi〈 2π(Ri+1+dRi+1/2)dRi +1 (단, i ≥ 1)과 같이 최하층에서 상부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조절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에서 낮은 등가직렬인덕턴스 (ESL, Equivalent Series Inductance)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비아와 연결되는 다수의 전극층의 연결부의 면적이 기판에 인접한 최하부로부터 최상부로 가면서 점점 커지도록 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에서 낮은 등가직렬인덕턴스 (ESL, Equivalent Series Inductance)를 구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주파 영역에서는 표면 효과 (Skin Effect)로 인해 기판과 인접한 유전체층으로 전하의 흐름이 몰리게 된다.
이 경우, 비아와 연결되는 다수의 전극층의 연결부의 면적이 기판에 인접한 최하부로부터 최상부로 가면서 점점 커지도록 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에서 낮은 등가직렬인덕턴스 (ESL, Equivalent Series Inductance)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최하층 전극층과 동일 극성의 전극층의 노출된 상면의 반경 dRi (단, i ≥ 1) 중 상기 바디(20)의 일면에 인접한 최상층 전극층(21, 22)의 노출된 상면의 반경은 다른 동일 극성의 전극층(21, 22)의 노출된 상면의 반경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바디(20)의 일면에 인접한 최상층 제1 전극층(21)의 노출된 상면의 반경(dR)은 하부에 배치된 다른 제1 전극층(21)의 노출된 상면의 반경(dR)보다 크며, 상기 바디(20)의 일면에 인접한 최상층 제2 전극층(22)의 노출된 상면의 반경(dR)은 하부에 배치된 다른 제2 전극층(21)의 노출된 상면의 반경(dR)보다 크다
즉, 바디의 일면에 인접한 최상층 전극층(21, 22)의 노출된 상면의 반경(dR)을 최대로 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에서 낮은 등가직렬인덕턴스 (ESL, Equivalent Series Inductance)를 구현할 수 있다.
도 5a는 제1 전극층(21) 전체와 연결된 제1 비아(31)를 나타내며, 상기 제1 비아(31)를 상부 비아로 지칭할 수 있으며, 도 5b는 제2 전극층(22) 전체와 연결된 제2 비아(32)를 나타내며, 상기 제2 비아(32)를 하부 비아로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기판(10) 상에 배치된 최하층 전극층은 제2 전극층(22)이며, 상기 제2 비아(32)에 있어서 상기 바디(20)의 일면에 노출된 최상부 원형 패턴의 반경과 상기 제1 비아(31)에 있어서 상기 바디(20)의 일면에 노출된 최상부 원형 패턴의 반경의 차이는 상기 제2 비아(32)에 있어서 상기 바디(20)의 일면에 노출된 최상부 원형 패턴이 0 초과 및 7 μm 이하의 크기로 반경이 더 크다.
이로 인하여, 고주파 영역에서 낮은 등가직렬인덕턴스 (ESL, Equivalent Series Inductance)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최하층 전극층(21, 22)에 배치된 비아(31, 32)의 반경(R0)는 5 μm〈 R0〈 30 μm 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층(21, 22)은 기판(10) 상에서 바디(20)의 일면까지 계단 형상으로 배치되며, 각 전극층(21, 22) 사이의 노출된 영역의 반경을 dstep 이라 하면, dstep은 0〈 dstep〈 4 μm 를 만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연층(27)의 폭을 dinsul 이라 하면, dinsul은 0〈 dinsul〈 3 μm 를 만족할 수 있으며, 상기 절연층(27)의 두께는 0.3 μm 초과 및 1.5 μm 미만을 만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박막 커패시터를 제작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a 내지 도 6j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박막 커패시터 내부의 비아를 형성하는 공정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6j를 참고하여 박막 커패시터 내부의 비아를 형성하는 공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a를 참고하면, 기판(10) 상에 유전체층(23)과 제1 및 제2 전극층(21, 22)이 번갈아 배치되도록 적층하여 적층체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프리프레그일 수 있다.
티탄산바륨(BaTiO3) 등의 페록스카이트 계열의 유전체 재료를 기판(10) 상에 증착하여 유전체층(23)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스퍼터링, e-beam 증착 등의 박막 형성 공정을 이용하여 도전성 금속을 증착하여 제1 전극층(21)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다시 유전체층(23)과 제2 전극층(22)을 형성한다.
이로써, 상기 유전체층(23)의 대향하는 양 단면을 통해 번갈아 적층되도록 복수의 제1 및 제2 전극층(21, 22)을 형성한다.
유전체층(23)과 제1 및 제2 전극층(21, 22)의 적층은 증착에 의하여 수행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CSD (Chemical Solution Deposition)과 같은 공정을 통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유전체층(23)과 제1 및 제2 전극층(21, 22)의 적층은 진공 상태에서 별도의 패터닝 공정 없이 일괄 적층하여 수행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적층체 내에 배치된 층간 전극들을 노출하기 위해 상기 적층체의 상부면에 포토레지스트(60)를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 공정을 통해 상기 포토레지스트(60)를 패터닝한다.
도 6c를 참조하면, 소정의 전극층까지 에칭하여 비아를 형성한다.
도 6c에 도시된 상기 비아는 제1 비아로서, 상기 적층체의 상부면에서 가장 인접하는 제1 전극층이 노출되도록 상기 적층체의 상부면에 인접한 제1 전극층까지 에칭하여 비아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에칭하여 비아를 형성하는 공정은 한 단계가 더 반복되어 진행된다.
도 6d를 참조하면, 상기 패터닝된 포토레지스트(60)를 제거한다.
도 6e를 참조하면, 상기 적층체의 상부면에서 상기 비아의 하부면 즉, 노출된 제1 전극층의 상면까지 포토레지스트(60)를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 공정을 통해 상기 포토레지스트(60)를 패터닝한다.
상기 패터닝한 포토레지스트(60)는 도 6b에서 패터닝한 포토레지스트(60)보다 좁은 면적으로 패터닝한다.
도 6f를 참조하면, 다음으로 소정의 전극층까지 에칭하여 비아를 형성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도 6f에 도시된 상기 비아는 제1 비아로서, 제1 전극층과 연결되도록 상기 적층체의 상부면에서 기판 방향으로 상부면에서 가장 인접한 제1 전극층의 다음 제1 전극층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 전극층까지 에칭하여 비아를 형성한다.
상기 에칭 과정에서 상부면에서 가장 인접한 제1 전극층과 그 다음의 제1 전극층 사이에 배치된 유전체층과 제2 전극층이 동시에 노출된다.
즉, 에칭 공정 1회 당 관통되는 층은 2개 이상의 전극과 유전체층을 포함한다.
상기 비아는 상기 적층체의 상부면에서 가장 인접하는 제1 전극층이 노출되도록 에칭하여 형성된 비아보다 폭이 작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공정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비아를 형성하되, 각 비아는 인접하는 상부의 비아보다 그 폭이 작도록 형성하는데 특징이 있다.
즉, 에칭은 제1 및 제2 전극층을 계단 형상으로 노출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g를 참조하면, 패터닝된 포토레지스트(60)를 제거한다.
도 6h를 참조하면, 상기 적층체의 상부면에서 상기 도 6f에서 형성된 비아의 하부면 즉, 노출된 제1 전극층의 상면까지 포토레지스트(60)를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 공정을 통해 상기 포토레지스트(60)를 패터닝한다.
상기 패터닝한 포토레지스트(60)는 도 6e에서 패터닝한 포토레지스트(60)보다 좁은 면적으로 패터닝한다.
도 6i를 참조하면, 다음으로 소정의 전극층까지 에칭하여 비아를 형성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도 6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f에서 노출된 제1 전극층의 하부에 배치된 제1 전극층이 노출되도록 에칭하여 비아를 형성한다.
상기 에칭 과정에서 도 6f에서 노출된 제1 전극층과 그 하부에 배치된 제1 전극층 사이에 배치된 유전체층과 제2 전극층이 동시에 노출된다.
상기 비아는 도 6f에서 형성된 비아보다 폭이 작도록 형성된다.
도 6j를 참조하면, 패터닝된 포토레지스트(60)를 제거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박막 커패시터 내부의 비아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노출된 전극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절연층을 패터닝 하는 공정을 나타낸다.
즉, 제1 비아의 경우에는 제1 전극층과 연결되어야 하며, 동시에 노출된 제2 전극층은 절연되어야 하며, 제2 비아의 경우에는 제2 전극층과 연결되어야 하며, 동시에 노출된 제1 전극층은 절연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 비아의 경우에는 제2 전극층을, 그리고 제2 비아의 경우에는 제1 전극층을 유전체 혹은 절연층으로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여야 한다.
도 7a는 상기 도 6a 내지 도 6j의 공정을 통해 내부에 제1 비아와 제2 비아가 형성된 상태의 적층체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1 비아는 적층체의 일면에서 기판(10)에 인접한 최하층 제1 전극층까지 관통하고, 상기 제2 비아는 적층체의 일면에서 기판(10)에 인접한 최하층 제2 전극층까지 관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비아는 계단 형상인 다단 형상이고, 각 단의 폭은 기판(10)에서 적층체의 상부로 갈수록 커진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비아의 각 단의 폭이 기판(10)에서 적층체의 상부로 갈수록 커지도록 제작함으로써, 제1 비아는 제1 전극층 전체와 연결되고, 제2 비아는 제2 전극층 전체와 연결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적층체 내에 다단 형상의 복수의 비아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기판(10) 상부 및 적층체 전체를 절연 물질로 도포한다.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절연 물질을 식각하여 상기 복수의 비아(31, 32) 내에 절연층(27)을 형성하고, 보호층(25)을 형성한다.
상기 절연층(27)은 복수의 비아(31, 32) 내에서 유전체층(23)과 제1 및 제2 전극층(21, 22)의 식각된 절단면 상에 형성된다.
제1 및 제2 비아의 각 단의 폭이 기판(10)에서 적층체의 상부로 갈수록 커지기 때문에, 상기 제1 비아(31) 내에 노출된 제1 전극층(21)과 상기 제2 비아(32) 내에 노출된 제2 전극층(22)은 에칭된 절단면 상에 절연층(27)이 배치되고, 상면은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비아(31)는 제1 전극층(21)이 노출되는 층까지 복수 회 에칭을 반복하며, 계단 형상인 다단 형상이고, 각 단의 폭은 기판(10)에서 적층체의 상부로 갈수록 커지기 때문에, 절연 공정 이후에는 유전체층(23)과 제1 및 제2 전극층(21, 22)의 에칭된 절단면 상에는 절연층이 배치되고, 제1 전극층(21)의 상면만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제2 비아(32)는 제2 전극층(22)이 노출되는 층까지 복수 회 에칭을 반복하며, 계단 형상인 다단 형상이고, 각 단의 폭은 기판(10)에서 적층체의 상부로 갈수록 커지기 때문에, 절연 공정 이후에는 유전체층(23)과 제1 및 제2 전극층(21, 22)의 에칭된 절단면 상에는 절연층이 배치되고, 제2 전극층(22)의 상면만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비아(31)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적층체 내에 배치된 제1 전극층(21) 전체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비아(32)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적층체 내에 배치된 제2 전극층(22) 전체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비아(31) 유닛은 복수 개이며, 복수의 제1 비아(31) 유닛 중 동일한 형상의 비아는 서로 동일한 깊이를 갖고, 상기 제2 비아(32) 유닛도 복수 개이며, 복수의 제2 비아(32) 중 동일한 형상의 비아는 서로 동일한 깊이를 갖는다.
도 7d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비아(31, 32) 내에 도전성 금속을 충진한다.
상기 제1 및 제2 비아(31, 32) 내에 도전성 금속을 충진하는 공정은 노출된 각 전극층 표면에 시드층(seed layer)를 형성한 후 도금 공정에 의하여 도전성 금속을 충진하여 전극층과 외부전극을 연결할 수 있도록 수행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 하다는 것은 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기판
20: 바디
21, 22: 제1 및 제2 전극층 23: 유전체층
31, 32: 제1 및 제2 비아
41, 42: 제1 및 제2 연결 전극
51, 52: 제1 및 제2 전극 패드
60: 포토 레지스트
21, 22: 제1 및 제2 전극층 23: 유전체층
31, 32: 제1 및 제2 비아
41, 42: 제1 및 제2 연결 전극
51, 52: 제1 및 제2 전극 패드
60: 포토 레지스트
Claims (13)
- 기판 상에 복수의 유전체층과 제1 및 제2 전극층이 번갈아 배치된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외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전극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 내에는 다단 형상의 복수의 비아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비아 중 제1 비아는 상기 제1 전극층과 제1 전극 패드를 연결하되, 바디의 일면에서 상기 기판에 인접한 최하층 제1 전극층까지 관통하고,
상기 복수의 비아 중 제2 비아는 상기 제2 전극층과 제2 전극 패드를 연결하되, 바디의 일면에서 상기 기판에 인접한 최하층 제2 전극층까지 관통하며,
상기 제1 비아 내에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비아 내에 제2 전극층은 상면이 노출되고,
상기 최하층 전극층에 배치된 비아의 반경을 R0,
상기 최하층 전극층의 상부에 배치된 전극층에서 상기 바디의 일면에 인접한 최상층 전극층까지 상기 최하층 전극층과 동일 극성의 전극층에 배치된 비아에 있어서, 상기 동일 극성의 전극층이 노출된 상면까지의 비아의 반경을 각각 Ri (단, i ≥ 1) 및
상기 최하층 전극층의 상부에 배치된 각 전극층에서 상기 바디의 일면에 인접한 최상층 전극층까지 상기 최하층 전극층과 동일 극성의 전극층의 노출된 상면의 반경을 dRi (단, i ≥ 1)라 하면,
최하층 전극층의 노출된 면적이 πR0 2 이라 할 때, 최하층 전극층의 상부에 배치된 동일 극성의 전극층의 노출된 상면의 면적은 2π(Ri+dRi/2)dRi 로 정의되며, 노출된 상면의 면적은 πR0 2〈 2π(Ri+dRi/2)dRi〈 2π(Ri+1+dRi+1/2)dRi +1 (단, i ≥ 1)과 같이 최하층에서 상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박막 커패시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층 전극층과 동일 극성의 전극층의 노출된 상면의 반경 Ri+dRi (단, i ≥ 1) 중 상기 바디의 일면에 인접한 최상층 전극층의 노출된 상면의 반경은 다른 동일 극성의 전극층의 노출된 상면의 반경보다 큰 박막 커패시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최하층 전극층은 제2 전극층이며, 상기 제2 비아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일면에 노출된 최상부 원형 패턴의 반경과 상기 제1 비아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일면에 노출된 최상부 원형 패턴의 반경의 차이는 0 초과 및 7 μm 이하인 박막 커패시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층 전극층에 배치된 비아의 반경(R0)는 5 μm〈 R0〈 30 μm 를 만족하는 박막 커패시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아는 상기 바디 내에 배치된 제1 전극층 전체와 연결된 박막 커패시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아는 상기 바디 내에 배치된 제2 전극층 전체와 연결된 박막 커패시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아는 복수 개이며, 복수의 제1 비아는 동일한 깊이를 갖는 박막 커패시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아는 복수 개이며, 복수의 제2 비아는 동일한 깊이를 갖는 박막 커패시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아 내에 노출된 제2 전극층과 상기 제2 비아 내에 노출된 제1 전극층 상에는 절연층이 배치된 박막 커패시터.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층은 기판 상에서 바디의 일면까지 계단 형상으로 배치되며, 각 전극층과 유전체층 중 노출된 상면 상에 절연층이 배치된 전극층과 유전체층의 노출된 상면의 간격을 dstep 이라 하면, dstep은 0〈 dstep〈 4 μm 를 만족하는 박막 커패시터.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된 제1 및 제2 전극층 상에 배치된 절연층의 폭을 dinsul 이라 하면, dinsul은 0〈 dinsul〈 3 μm 를 만족하는 박막 커패시터.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의 두께는 0.3 μm 초과 및 1.5 μm 미만을 만족하는 박막 커패시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아에 있어서, 각 단의 폭은 기판에서 바디의 상부로 갈수록 커지는 박막 커패시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7456A KR101942729B1 (ko) | 2016-11-24 | 2016-11-24 | 박막 커패시터 |
US15/645,339 US10319526B2 (en) | 2016-11-24 | 2017-07-10 | Thin-film capaci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7456A KR101942729B1 (ko) | 2016-11-24 | 2016-11-24 | 박막 커패시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8462A true KR20180058462A (ko) | 2018-06-01 |
KR101942729B1 KR101942729B1 (ko) | 2019-01-28 |
Family
ID=62147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7456A KR101942729B1 (ko) | 2016-11-24 | 2016-11-24 | 박막 커패시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0319526B2 (ko) |
KR (1) | KR10194272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150571B2 (ja) * | 2018-11-13 | 2022-10-11 | ローム株式会社 | チップコンデンサおよびチップ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514243A (ja) | 1996-06-27 | 2000-10-24 | ジェナム コーポレーション | 多層膜キャパシタ構造及び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60352A1 (de) * | 2002-12-20 | 2004-07-15 | Infineon Technologies Ag |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Kondensatoranordnung und Kondensatoranordnung |
JP2006332147A (ja) | 2005-05-24 | 2006-12-0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コイル導電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
CN101896985B (zh) | 2007-12-14 | 2012-05-23 | 株式会社村田制作所 | 薄膜叠层电容器的制造方法 |
JP5051166B2 (ja) * | 2009-03-27 | 2012-10-17 | Tdk株式会社 | 薄膜デバイス |
KR101072784B1 (ko) | 2009-05-01 | 2011-10-14 | (주)창성 | 자성시트를 이용한 적층형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
JP5131260B2 (ja) | 2009-09-29 | 2013-01-30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積層型コイル装置 |
KR101158220B1 (ko) | 2010-11-09 | 2012-06-1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적층형 인덕터 |
KR101703281B1 (ko) * | 2010-12-07 | 2017-02-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다층 전기활성 폴리머 디바이스 및 그 제조방법 |
KR101843580B1 (ko) * | 2011-08-16 | 2018-03-30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KR101853135B1 (ko) | 2011-10-27 | 2018-05-02 | 삼성전기주식회사 | 적층형 파워인덕터 및 이의 제조 방법 |
US9076600B2 (en) * | 2012-03-27 | 2015-07-07 | Tdk Corporation | Thin film capacitor |
US9030800B2 (en) * | 2012-03-29 | 2015-05-12 | Tdk Corporation | Thin film capacitor |
KR101792381B1 (ko) * | 2016-01-04 | 2017-11-01 | 삼성전기주식회사 |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
KR101872582B1 (ko) * | 2016-03-22 | 2018-06-28 | 삼성전기주식회사 |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
US20170338042A1 (en) * | 2016-05-17 | 2017-11-23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Thin-film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101792414B1 (ko) * | 2016-05-19 | 2017-11-01 | 삼성전기주식회사 | 박막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
US10297389B2 (en) * | 2016-07-28 | 2019-05-21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Thin-film capacitor having asymmetric shaped vias |
US10468187B2 (en) * | 2016-08-05 | 2019-11-05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Thin-film ceramic capacitor having capacitance forming portions separated by separation slit |
KR20180023657A (ko) * | 2016-08-26 | 2018-03-07 | 삼성전기주식회사 | 박막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
KR101853195B1 (ko) * | 2016-09-01 | 2018-04-27 | 삼성전기주식회사 | 박막 커패시터 |
KR102691313B1 (ko) * | 2016-09-06 | 2024-08-05 | 삼성전기주식회사 | 박막 커패시터 |
KR102712634B1 (ko) * | 2016-11-18 | 2024-10-02 | 삼성전기주식회사 | 박막 커패시터 |
KR102712632B1 (ko) * | 2016-11-23 | 2024-10-02 | 삼성전기주식회사 | 박막 커패시터 |
KR101952869B1 (ko) * | 2017-05-29 | 2019-02-27 | 삼성전기주식회사 | 커패시터 |
-
2016
- 2016-11-24 KR KR1020160157456A patent/KR10194272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7-10 US US15/645,339 patent/US10319526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514243A (ja) | 1996-06-27 | 2000-10-24 | ジェナム コーポレーション | 多層膜キャパシタ構造及び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80144872A1 (en) | 2018-05-24 |
KR101942729B1 (ko) | 2019-01-28 |
US10319526B2 (en) | 2019-06-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68187B2 (en) | Thin-film ceramic capacitor having capacitance forming portions separated by separation slit | |
CN107403693B (zh) | 薄膜电容器及其制造方法 | |
CN108022754B (zh) | 多层薄膜电容器 | |
US10720280B2 (en) | Thin-film ceramic capacitor having capacitance forming portions separated by separation slit | |
KR101853195B1 (ko) | 박막 커패시터 | |
KR102712632B1 (ko) | 박막 커패시터 | |
KR102691313B1 (ko) | 박막 커패시터 | |
KR101872582B1 (ko) |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 |
US10395842B2 (en) | Thin film capaci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942729B1 (ko) | 박막 커패시터 | |
US10297389B2 (en) | Thin-film capacitor having asymmetric shaped vias | |
KR102712634B1 (ko) | 박막 커패시터 | |
US20170338042A1 (en) | Thin-film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584976B1 (ko) | 박막 커패시터 | |
KR101853196B1 (ko) | 박막 커패시터 | |
KR101872613B1 (ko) | 다층 박막 커패시터 | |
JP2018206839A (ja) | 薄膜コンデンサ | |
KR20190067241A (ko) | 박막 커패시터 | |
US10418179B2 (en) | Multilayer thin-film capacitor | |
JP2004023025A (ja) | 高容量フラットコンデンサ素子およびこれを構成するコンデンサシー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