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514A - 클리어런스 체크 프로그램, 클리어런스 체크 방법, 및 클리어런스 체크 장치 - Google Patents

클리어런스 체크 프로그램, 클리어런스 체크 방법, 및 클리어런스 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514A
KR20180057514A KR1020170142510A KR20170142510A KR20180057514A KR 20180057514 A KR20180057514 A KR 20180057514A KR 1020170142510 A KR1020170142510 A KR 1020170142510A KR 20170142510 A KR20170142510 A KR 20170142510A KR 20180057514 A KR20180057514 A KR 20180057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rance
attribute
threshold value
componen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5766B1 (ko
Inventor
신이치 하마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7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06F17/500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7Mechanical parametric or variational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30Circuit design
    • G06F30/39Circuit design at the physical level
    • G06F30/398Design verification or optimisation, e.g. using design rule check [DRC], layout versus schematics [LVS] or finite element methods [F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04Constraint-based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20Configuration CAD, e.g. designing by assembling or positioning modules selected from libraries of predesigned modules
    • G06F2217/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Architectu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의 속성마다 설정한 클리어런스값에 따라 클리어런스 체크를 실행할 수 있는 클리어런스 체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클리어런스 체크 프로그램은, 속성에 대응시킨, 클리어런스의 판정에 이용하는 임계값의 설정을 접수하고, 설정된 임계값을 기억부에 기억하며, 각각 속성이 부여된 복수의 부품에 대한 배치 위치를 규정한 조립품의 정보에 기초하여, 조립품에 포함되는 제1 부품의 속성을 특정하고, 기억부를 참조하여, 제1 부품의 속성에 대응된 임계값을 취득하며, 취득한 임계값에 기초하여, 제1 부품과 조립품에 포함되는 다른 부품 사이의 클리어런스의 판정을 실행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Description

클리어런스 체크 프로그램, 클리어런스 체크 방법, 및 클리어런스 체크 장치{CLEARANCE CHECK PROGRAM, CLEARANCE CHECK METHOD, AND CLEARANCE CHECK DEVICE}
본 발명은 클리어런스 체크 프로그램, 클리어런스 체크 방법, 및 클리어런스 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부품을 실제로 조립하기 전에, Computer Aided Design(CAD) 기술을 이용하여 부품 사이에 소정 간격의 간극(이하, 클리어런스라고 함)을 확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클리어런스 체크가 알려져 있다. 특히, 부품의 발열량이나 부품의 중량과 같은 부품의 속성을 고려하여, 복수의 부품의 배치 위치의 결정을 지원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6-153956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기술에서는 개개의 부품 사이의 클리어런스값을 부품의 속성마다 설정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부품의 속성에 따라서는 부품 사이에 약간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할 수 있으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하게 큰 클리어런스가 확보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하나의 측면에서는, 부품의 속성마다 설정한 클리어런스값에 따라 클리어런스 체크를 실행할 수 있는 클리어런스 체크 프로그램, 클리어런스 체크 방법, 및 클리어런스 체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는, 클리어런스 체크 프로그램은, 속성에 대응시킨, 클리어런스의 판정에 이용하는 임계값의 설정을 접수하고, 설정된 상기 임계값을 기억부에 기억하며, 각각 속성이 부여된 복수의 부품에 대한 배치 위치를 규정한 조립품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립품에 포함되는 제1 부품의 속성을 특정하고, 상기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부품의 속성에 대응된 임계값을 취득하며, 취득한 상기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조립품에 포함되는 다른 부품 사이의 클리어런스의 판정을 실행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런스 체크 프로그램이다.
부품의 속성마다 설정한 클리어런스값에 따라 클리어런스 체크를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단말 장치의 일례이다.
도 2a는 분해 후의 조립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분해 전의 조립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이다.
도 4는 단말 장치의 기능 블록도의 일례이다.
도 5는 부품 데이터의 일례이다.
도 6은 조립품 데이터의 일례이다.
도 7은 조건 파일의 파일 포맷의 일례이다.
도 8a는 조건 파일의 일례이다. 도 8b는 조건 파일의 다른 일례이다.
도 9는 단말 장치의 동작 일례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단말 장치의 동작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체크 화면의 일례이다.
도 12a는 체크 결과의 파일 포맷이다. 도 12b는 체크 결과의 일례이다.
이하, 본 건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단말 장치(100)의 일례이다. 도 2a는 분해 후의 조립품(AS)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분해 전의 조립품(AS)을 도시한 도면이다. 클리어런스 체크 장치로서의 단말 장치(100)는 입력부(100F)와 표시부(100G)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부(100F)로서는, 예컨대 키보드나 포인팅 디바이스 등이 있다. 표시부(100G)로서는,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가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단말 장치(100)의 일례로서 Personal Computer(PC)가 도시되어 있으나, PC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 등이 단말 장치(100)여도 좋다.
표시부(100G)는 여러 가지 화면을 표시한다. 예컨대 표시부(100G)는 메인 화면(10)이나 클리어런스 체크 화면(이하, 간단히 체크 화면이라고 함)(20)을 표시한다. 특히, 메인 화면(10) 상의 특정한 위치(예컨대 메뉴 바에 있어서의 특정 항목의 위치)에 대해 특정한 조작이 행해지면, 표시부(100G)는 체크 화면(20)을 표시한다. 여기서, 메인 화면(10)은 복수의 영역(11, 12)을 포함하고 있다. 영역(11)은 복수의 부품(P1, P2, P3)을 구성 요소로 하는 조립품(AS)을 XYZ 좌표축과 함께 표시하는 영역이다. XYZ 좌표축은 체크 화면(20)에 의해 가려져 있다. 영역(12)은 부품(P1, P2, P3)과 조립품(AS)의 계층 관계나 부품(P1, P2, P3)의 속성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그 외에, 메인 화면(10)은 영역(11)의 배경색을 선택하는 영역 등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메인 화면(10)은 3차원 CAD 기능을 발휘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화면이 아니라, 그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3차원으로 가시화하는 열람용 소프트웨어(이른바 뷰어)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입력부(100F)를 조작하여 마우스 포인터(Pt)를 영역(11) 상에 배치하여 특정한 조작을 행하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0G)는 각 부품(P1, P2, P3)으로 분해한 후의 조립품(AS)을 영역(11)에 표시한다. 반대로, 각 부품(P1, P2, P3)으로 분해한 후의 조립품(AS)이 영역(11)에 표시된 상태에서, 마우스 포인터(Pt)를 영역(11) 상에 배치하여 특정한 조작과는 상이한 다른 조작을 행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부품(P1, P2, P3)으로 분해하기 전의 조립품(AS)을 영역(11)에 표시한다. 한편, 특정한 조작과 다른 조작은 동일한 조작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클리어런스는 각 부품(P1, P2, P3)으로 분해하기 전의 조립품(AS)에 있어서의 부품(P1, P2, P3)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100F)를 조작하여 마우스 포인터(Pt)를 체크 화면(20) 상으로 이동시켜, 클리어런스 체크에 관한 각종의 설정 조건을 입력하고 나서 클리어런스 체크를 실행하는 조작을 행하면, 표시부(100G)는 부품(P1, P2, P3) 사이의 클리어런스 체크의 체크 결과를 표시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겠지만, 예컨대 부품(P1, P2) 사이의 설정 조건과 부품(P1, P3) 사이의 설정 조건을 상이한 조건으로 할 수도 있고, 동일한 조건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예컨대, 부품(P1, P2) 사이의 설정 조건과 부품(P1, P3) 사이의 설정 조건 중, 클리어런스값이 큰 쪽의 설정 조건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클리어런스 체크 시에 부품(P1, P2) 사이의 설정 조건과 부품(P1, P3) 사이의 설정 조건을 상이한 조건으로 지정하면, 부품(P1, P2) 사이와 부품(P1, P3) 사이의 각각에서 클리어런스 체크가 실행되기 때문에, 부품(P1, P2) 사이나 부품(P1, P3) 사이에 불필요하게 큰 클리어런스가 확보되지 않고 끝난다. 이하, 단말 장치(100)의 상세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단말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단말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는, 적어도 Central Processing Unit(CPU)(100A), Random Access Memory(RAM)(100B), Read Only Memory(ROM)(100C), 및 네트워크 I/F(인터페이스)(100D)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는, 입력부(100F) 및 표시부(100G)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필요에 따라, Hard Disk Drive(HDD)(100E), 입출력 I/F(100H), 드라이브 장치(100I), 및 Radio Frequency(RF) 회로(100J)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CPU(100A)로부터 RF 회로(100J)까지는, 내부 버스(100K)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적어도 CPU(100A)와 RAM(100B)이 협동함으로써 컴퓨터가 실현된다.
입출력 I/F(100H)에는, 반도체 메모리(730)가 접속된다. 반도체 메모리(730)로서는, 예컨대 Universal Serial Bus(USB) 메모리나 플래시 메모리 등이 있다. 입출력 I/F(100H)는, 반도체 메모리(730)에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판독한다. 입출력 I/F(100H)는, 예컨대 USB 포트를 구비하고 있다.
드라이브 장치(100I)에는, 휴대형 기록 매체(740)가 삽입된다. 휴대형 기록 매체(740)로서는, 예컨대 Compact Disc(CD)-ROM, Digital Versatile Disc(DVD)와 같은 리무버블 디스크가 있다. 드라이브 장치(100I)는, 휴대형 기록 매체(740)에 기록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읽어들인다.
RF 회로(100J)에는 안테나(100J')가 접속되어 있다. RF 회로(100J)를 대신하여 통신 기능을 실현하는 CPU가 이용되어도 좋다. 네트워크 I/F(100D)는, 예컨대 Local Area Network(LAN) 포트를 구비하고 있다.
전술한 RAM(100B)에는, HDD(100E)에 기억된 프로그램이 CPU(100A)에 의해 저장된다. RAM(100B)에는, 휴대형 기록 매체(740)에 기록된 프로그램이 CPU(100A)에 의해 저장된다. 저장된 프로그램을 CPU(100A)가 실행함으로써, 후술하는 각종의 기능이 실현되고, 또한, 후술하는 각종의 동작이 실행된다. 한편,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플로우차트에 따른 것으로 하면 된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8까지를 참조하여, 단말 장치(100)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단말 장치(100)의 기능 블록도의 일례이다. 도 5는 부품 데이터의 일례이다. 도 6은 조립품 데이터의 일례이다. 도 7은 조건 파일의 파일 포맷의 일례이다. 도 8a는 조건 파일의 일례이다. 도 8b는 조건 파일의 다른 일례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는, 데이터 기억부(110), 조건 파일 기억부(120), 및 처리부로서의 제어부(130)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입력부(100F) 및 표시부(100G)는 하드웨어이기 때문에,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데이터 기억부(110) 및 조건 파일 기억부(120)는 예컨대 전술한 RAM(100B)이나 HDD(100E)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부(130)는 전술한 CPU(100A)에 의해 실현된다.
데이터 기억부(110)는 Product Data Management(PDM)가 관리하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예컨대, 데이터 기억부(110)는 부품 데이터를 기억한다. 부품 데이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 화상, 레벨, 및 부품 속성을 구성 요소로서 포함하고 있다. 부품 화상은 예컨대 부품(P1, P2, P3)의 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부품 화상은 3차원 CAD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현되는 화상이다. 레벨은 부품(P1, P2, P3)이 사용되는 계층을 나타내고 있다. 말단 부품인 부품(P1, P2, P3)에는 예컨대 레벨 「2」가 부여된다. 후술하겠지만, 말단 부품 이외인 조립품(AS)에는 예컨대 레벨 「1」 등이 부여된다. 부품 속성은 부품(P1, P2, P3)의 속성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부품 속성은, 부품(P1, P2, P3)을 식별하는 품번(品番), 부품(P1, P2, P3)의 명칭을 나타내는 품명, 부품(P1, P2, P3)의 소재, 부품(P1, P2, P3)의 사용 부위를 구성 요소로서 포함하고 있다. 한편, 각종 데이터는, 반드시 PDM에 의해 관리되고 있을 필요는 없고, PDM에 의해 관리되고 있지 않은 데이터여도 좋다.
또한 예컨대, 데이터 기억부(110)는 조립품 데이터를 기억한다. 조립품 데이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품 화상, 레벨, 조립품 속성, 및 구성 부품을 구성 요소로서 포함하고 있다. 조립품 화상은 예컨대 조립품(AS)의 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조립품 화상도 3차원 CAD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현되는 화상이다. 레벨은 조립품(AS)이 사용되는 계층을 나타내고 있다. 조립품 속성은 조립품(AS)의 속성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조립품 속성은, 조립품(AS)을 식별하는 품번, 조립품(AS)의 명칭을 나타내는 품명을 구성 요소로서 포함하고 있다. 구성 부품은 조립품(AS)을 구성하는 부품(P1, P2, P3)의 각각의 품번과 무게 중심 위치를 포함하고 있다. 무게 중심 위치는 XYZ 좌표축에 있어서의 좌표 위치에 의해 특정된다. 조립품 데이터에 의해 부품(P1, P2, P3)과 조립품(AS)의 배치 위치 관계가 규정된다. 조립품 데이터에 기초하면, 예컨대 품번 「00002」의 부품(P2)은 품번 「00001」의 부품(P1)의 상방의 위치에 배치되고, 품번 「00003」의 부품(P3)은 품번 「00001」의 부품(P1)의 측방의 위치에 배치된다.
조건 파일 기억부(120)는 조건 파일을 기억한다. 조건 파일은 부품(P1, P2, P3) 사이의 클리어런스값을 지정하는 전자 파일이다. 조건 파일의 형식은 Comma Separated Values(CSV) 형식이어도 좋고, 그 외의 형식이어도 좋다. 조건 파일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파일 포맷이 정해져 있다. 예컨대 파일 포맷의 항목 No「2」에 의해 검색 타입을 지정할 수 있다. 타입 「0」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항목 No「4」 및 「5」에서 지정된 부품 1의 명칭을 갖는 부품과 부품 2의 명칭을 갖는 부품 사이에서 클리어런스 체크가 행해진다. 타입 「1」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항목 No「3」에서 지정된 속성의 명칭이 특정되고, 그 속성의 명칭에 따른 항목 No「4」의 속성값 1을 갖는 부품과 항목 No「5」의 속성값 2를 갖는 부품 사이에서 클리어런스 체크가 행해진다. 타입 「0」의 경우라도, 타입 「1」의 경우라도, 각각 항목 No「6」 및 「7」의 최소 클리어런스값 및 최대 클리어런스값이 모두 임계값으로서 설정된다. 한편, 항목 No「7」 이후는 항목 No「4」로부터 항목 No「7」까지가 반복된다.
이와 같이 정해진 파일 포맷에 의해,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건 파일에 각종의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검색 키에 부품 속성의 명칭의 하나인 문자열 「품번」을 설정하고, 부품 정보 1에 품번 「00001」을 설정한다. 한편, 사용자는 부품 정보 2에는 구체적인 품번을 설정하지 않는다(즉 공란의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품번 「00001」의 부품(P1)과 조립품(AS)을 구성하는 부품(P1) 이외의 그 외 모든 부품(P2, P3) 사이에서 최소 클리어런스값 「4」 ㎜와 최대 클리어런스값 「9」 ㎜ 사이에 들어가는 클리어런스가 확보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클리어런스 체크가 행해진다.
또한 예컨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검색 키에 부품 속성의 명칭의 하나인 문자열 「품번」을 설정하고, 부품 정보 1에 품번 「00001」을 설정하며, 부품 정보 2에 품번 「00002」를 설정한다. 그 후, 사용자는 부품 정보 3에 품번 「00001」을 설정하고, 부품 정보 4에 품번 「00003」을 설정한다. 이 경우, 품번 「00001」의 부품(P1)과 품번 「00002」의 부품(P2) 사이에서 최소 클리어런스값 「2」 ㎜와 최대 클리어런스값 「7」 ㎜ 사이에 들어가는 클리어런스가 확보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클리어런스 체크가 행해진다. 또한, 품번 「00001」의 부품(P1)과 품번 「00003」의 부품(P3) 사이에서 최소 클리어런스값 「11」 ㎜와 최대 클리어런스값 「14」 ㎜ 사이에 들어가는 클리어런스가 확보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클리어런스 체크도 행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품의 속성마다 설정한 클리어런스값에 따라 클리어런스 체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8a에 도시된 조건 파일에 있어서, 예컨대 사용자는 검색 키에 문자열 「품번」을 대신하여 문자열 「소재」를 설정하고, 부품 정보 1에 품번 「00001」을 대신하여 소재 「알루미늄」을 설정한다. 한편, 사용자는 부품 정보 2에는 구체적인 소재를 설정하지 않는다. 이 경우, 소재 「알루미늄」과 조립품(AS)을 구성하는 소재 「알루미늄」 이외의 그 외 모든 소재 사이에서 최소 클리어런스값 「4」 ㎜와 최대 클리어런스값 「9」 ㎜ 사이에 들어가는 클리어런스가 확보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클리어런스 체크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나하나의 부품이 아니라, 소재와 같은 부품의 속성으로 일괄하여 임계값을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도 8b에 도시된 조건 파일에 있어서 부품 정보 2에 품번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도 8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품번 「00001」의 부품(P1)과 그 외 모든 부품(P2, P3) 사이의 클리어런스 체크가 지정된다. 한편, 조건 파일의 하위측에서는 품번 「00001」의 부품(P1)과 품번 「00003」의 부품(P3) 사이의 클리어런스 체크가 지정된다. 이 경우, 조건 파일에 있어서 상위에 지정된 조건을 우선도가 높은 조건으로서 채용해도 좋다. 따라서, 품번 「00001」의 부품(P1)과 품번 「00003」의 부품(P3)과의 클리어런스 체크에서는, 최소 클리어런스값 「2」 ㎜와 최대 클리어런스값 「7」 ㎜ 사이에 들어가는 클리어런스가 확보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와 같이, 설정 내용의 설정 장소에 의해 사용자는 부품(P1, P2, P3) 사이에서 어떤 클리어런스값의 클리어런스 체크를 우선시킬지를 지정할 수 있다. 한편, 조건의 우선도는 조건 파일 내에서 별도로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조건 파일과는 상이한 우선도 파일에 조건의 우선도를 설정하고, 조건 파일이 우선도 파일을 참조하도록 해도 좋다.
도 4로 되돌아가서, 제어부(130)는 단말 장치(100)가 실행하는 여러 가지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입력부(100F)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표시부(100G)에 메인 화면(10)이나 체크 화면(20)을 표시한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체크 화면(20) 상의 특정한 위치에 대한 조작을 접수하면, 클리어런스 체크를 실행한다.
계속해서, 도 9 내지 도 12까지를 참조하여,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 일례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제어부(130)는 PDM(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취득하고(단계 S101), 데이터 기억부(110)는 제어부(130)가 취득한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단계 S102).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30)는 PDM으로부터 부품 데이터(도 5 참조) 및 조립품 데이터(도 6 참조)를 취득하여, 데이터 기억부(110)에 저장한다. 이에 의해, 데이터 기억부(110)는 부품 데이터 및 조립품 데이터를 기억한다. 한편, 단말 장치(100)와 PDM은 Local Area Network(LAN)나 인터넷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고, 단말 장치(100)는 유선 통신 기능이나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PDM으로부터 부품 데이터나 조립품 데이터와 같은 각종 데이터를 취득한다.
계속해서, 제어부(130)는 메인 화면(10)의 기동 요구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3). 메인 화면(10)의 기동 요구가 있었던 경우(단계 S103: YES), 제어부(130)는 메인 화면(10)을 표시부(100G)에 표시하고(단계 S104), 처리를 종료한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표시부(100G)가 표시하는 데스크톱 화면이나 홈 화면 상에 배치된 메인 화면(10)의 기동을 지시하는 섬네일 화상에 대해 특정한 조작이 행해지면, 제어부(130)는 메인 화면(10)의 기동 요구가 있었다고 판단하여, 메인 화면(10)을 표시부(100G)에 표시한다. 한편, 메인 화면(10)의 기동 요구가 없었던 경우(단계 S103: NO), 제어부(130)는 단계 S104의 처리를 스킵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도 10은 단말 장치(100)의 동작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체크 화면(20)의 일례이다. 도 12a는 체크 결과의 파일 포맷이다. 도 12b는 체크 결과의 일례이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체크 화면(20)의 기동 요구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1). 체크 화면(20)의 기동 요구가 있었던 경우(단계 S201: YES), 제어부(130)는 체크 화면(20)을 표시한다(단계 S202). 예컨대, 표시부(100G)가 표시하는 메인 화면(10) 상의 특정한 위치(예컨대 메뉴 바에 있어서의 특정 항목의 위치)에 대해 특정한 조작이 행해지면, 제어부(130)는 그 특정한 조작을 검출하여, 표시부(100G)에 체크 화면(20)을 표시한다. 한편, 체크 화면(20)의 기동 요구가 없었던 경우(단계 S201: NO), 제어부(130)는 처리를 끝낸다.
여기서, 체크 화면(2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영역(21, 22, 23)을 포함하고 있다. 영역(21)은 실행 기능을 설정하는 영역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클리어런스 체크의 실행을 희망하는 경우, 해당하는 체크 박스(21a)를 선택함으로써 클리어런스 체크의 실행을 설정한다. 영역(22)은 계산 방법을 설정하는 영역이다. 예컨대 메인 화면(10)의 영역(11)(도 1 참조)에 포함되는 조립품(AS)으로부터 2개의 부품을 지정하고, 지정한 2개의 부품 사이의 클리어런스 체크를 실행하는 경우, 라디오 버튼(22a)을 선택함으로써 지정한 부품 사이의 클리어런스 체크가 실행된다. 예컨대, 영역(11)에 포함되는 조립품(AS)으로부터 하나의 부품을 지정하고, 지정한 하나의 부품과 영역(11)에 포함되는 그 외의 모든 부품과의 클리어런스 체크를 실행하는 경우, 라디오 버튼(22b)을 선택함으로써 지정한 부품과 그 외의 모든 부품과의 클리어런스 체크가 실행된다.
영역(23)은 클리어런스 설정에 관한 영역이다. 영역(23)은 클리어런스값의 최소값을 입력하는 입력란(23a), 클리어런스값의 최대값을 입력하는 입력란(23b), 클리어런스 체크의 명칭을 입력하는 입력란(23c), 및 클리어런스 체크의 개시 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란(23d)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영역(23)은 조건 파일의 사용을 선택하는 체크 박스(23e) 및 사용하는 조건 파일의 파일명을 표시하는 표시란(23f)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조건 파일을 사용한 클리어런스 체크를 희망하는 경우, 체크 박스(23e)를 선택함으로써 조건 파일의 사용이 설정된다. 제어부(130)는 체크 박스(23e)의 선택을 검출하면, 참조 버튼(Bt1)을 누를 수 있는 상태로 제어한다. 사용자는 참조 버튼(Bt1)을 눌러, 표시된 화면 영역(도시하지 않음)에 포함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조건 파일 중에서 어느 하나의 조건 파일을 선택하면, 선택한 조건 파일이 표시란(23f)에 반영되어 표시된다. 이에 의해, 사용하는 조건 파일이 확정된다.
또한, 사용자가 체크 화면(20) 상에서 각종의 설정을 행한 후, 클리어런스 체크를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100F)를 조작하여 마우스 포인터(Pt)를 실행 버튼(Bt2)에 중첩시켜 실행 버튼(Bt2)을 누른다. 제어부(130)는 실행 버튼(Bt2)의 누름을 검출하면, 클리어런스 체크의 실행을 개시한다.
제어부(130)는 클리어런스 체크의 실행을 개시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건 파일을 사용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3).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30)는 체크 화면(20)에 있어서 체크 박스(23e)가 선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조건 파일을 사용하는 경우(단계 S203: YES), 제어부(130)는 조건 파일을 접수하고(단계 S204), 조건 파일 기억부(120)는 제어부(130)가 접수한 조건 파일을 기억한다(단계 S205).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30)는 조건 파일을 접수하여 데이터 기억부(110)에 저장함으로써, 조건 파일 기억부(120)는 조건 파일을 기억한다.
단계 S205의 처리가 완료되면, 계속해서, 제어부(130)는 조립품(AS)을 구성하는 부품(P1, P2, P3)을 특정한다(단계 S206).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30)는 데이터 기억부(110)가 기억하는 조립품 데이터에 기초하여, 조립품(AS)을 구성하는 부품(P1, P2, P3)의 속성을 특정한다. 제어부(130)가 특정하는 속성은 품번이어도 좋고, 조립품 데이터가 품번을 대신하여 품명이나 소재를 포함하고 있으면 품명이나 소재여도 좋다.
단계 S206의 처리가 완료되면, 계속해서, 제어부(130)는 조건 파일로부터 클리어런스값을 취득한다(단계 S207).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30)는 특정한 부품(P1, P2, P3)의 속성(예컨대 품번이나 품명, 소재 등)에 기초하여, 조건 파일의 설정 내용을 확인하고, 속성에 따른 최소 클리어런스값 및 최대 클리어런스값을 취득한다.
단계 S207의 처리가 완료되면, 제어부(130)는 클리어런스 체크를 실행한다(단계 S208).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30)는 취득한 최소 클리어런스값 및 최대 클리어런스값에 기초하여, 그 최소 클리어런스값 및 최대 클리어런스값이 설정된 부품(P1, P2, P3) 사이의 클리어런스 체크를 실행한다. 예컨대, 조건 파일의 항목 No「4」에 품번 「00001」이 설정되어 있고, 항목 No「5」에 품번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8a 참조], 제어부(130)는 부품(P1)과 조립품(AS)에 포함되는 다른 모든 부품(P2, P3)과의 클리어런스 체크를 실행한다. 예컨대, 조건 파일의 항목 No「4」에 품번 「00001」이 설정되어 있고, 항목 No「5」에 품번 「00002」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도 8b 참조], 제어부(130)는 부품(P1)과 부품(P2)과의 클리어런스 체크를 실행한다. 또한, 그 조건 파일의 항목 No「8」에 품번 「00001」이 설정되어 있고, 항목 No「9」에 품번 「00003」이 설정되어 있으면[도 8b 참조], 제어부(130)는 부품(P1)과 부품(P3)과의 클리어런스 체크도 실행한다.
단계 S208의 처리가 완료되면, 계속해서, 제어부(130)는 체크 결과를 표시부(100G)에 표시하고(단계 S209), 처리를 끝낸다. 체크 결과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건 파일의 항목 No「2」에 설정된 타입에 따라 상이하다. 예컨대 조건 파일의 항목 No「2」에 타입 「0」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문자열 「품명」과 항목 No「4」로부터의 설정 내용을 콤마 구분으로 품명마다 기술한 코멘트를 포함하는 체크 결과의 화면을 표시부(100G)에 표시한다. 예컨대 조건 파일의 항목 No「2」에 타입 「1」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부품 속성명을 나타내는 문자열(예컨대 「품번」)과 항목 No「4」로부터의 설정 내용을 콤마 구분으로 부품 속성명마다 기술한 코멘트를 포함하는 체크 결과의 화면을 표시부(100G)에 표시한다. 따라서, 클리어런스 체크가 종료되면, 예컨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0G)에는 코멘트를 포함하는 체크 결과가 출현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부품(P1, P2, P3) 사이의 클리어런스값이 최소 클리어런스값과 최대 클리어런스값 사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체크 결과를 표시해도 좋고, 부품(P1, P2, P3) 사이의 클리어런스값이 최소 클리어런스값과 최대 클리어런스값 사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체크 결과를 표시해도 좋다. 전자이면, 사용자는 클리어런스가 확보되어 있는 부품(P1, P2, P3) 사이를 확인할 수 있고, 후자이면, 사용자는 클리어런스가 확보되어 있지 않은 부품(P1, P2, P3) 사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0으로 되돌아가서, 단계 S203의 처리에 있어서, 조건 파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단계 S203: NO), 제어부(130)는 체크 화면(20)(도 11 참조)으로부터 클리어런스값을 취득한다(단계 S210).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란(23a)에 입력된 클리어런스값의 최소값과 입력란(23b)에 입력된 클리어런스값의 최대값을 취득한다. 단계 S210의 처리가 완료되면, 제어부(130)는 단계 S208 및 단계 S209의 처리를 실행하고, 처리를 끝낸다. 한편, 조건 파일에 설정되어 있지 않은 부품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그 부품에 대해서는 체크 화면(20)으로부터 클리어런스값을 취득한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100)는 제어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30)는 조건 파일을 접수하고, 그 조건 파일을 조건 파일 기억부(120)에 기억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각각 속성이 부여된 복수의 부품(P1, P2, P3)에 대한 배치 위치를 규정한 조립품 데이터에 기초하여, 조립품(AS)에 포함되는 부품(P1, P2, P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속성을 특정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조건 파일 기억부(120)를 참조하여, 부품(P1, P2, P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속성에 대응된 최소 클리어런스값 및 최대 클리어런스값을 취득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취득한 최소 클리어런스값 및 최대 클리어런스값에 기초하여, 부품(P1, P2, P3) 중 어느 하나와 조립품(AS)에 포함되는 부품(P1, P2, P3)의 나머지 중 어느 하나 사이의 클리어런스 체크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부품(P1, P2, P3)의 속성마다 설정한 최소 클리어런스값 및 최대 클리어런스값에 따라 클리어런스 체크를 실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는, 조립품(AS)에 포함되는 복수의 부품(P1, P2, P3) 사이의 클리어런스 체크를 일률적인 임계값에 기초하여 실행함으로써 발생하고 있었던 필요 없는 검출 결과를 억제한다고 하는 기술적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특정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조건 파일에 설정하는 설정값 또는 그 일부에는 와일드 카드가 이용되어도 좋다.
100: 단말 장치 110: 데이터 기억부
120: 조건 파일 기억부 130: 제어부

Claims (11)

  1. 속성에 대응시킨, 클리어런스의 판정에 이용하는 임계값의 설정을 접수하고, 설정된 상기 임계값을 기억부에 기억하며,
    각각 속성이 부여된 복수의 부품에 대한 배치 위치를 규정한 조립품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립품에 포함되는 제1 부품의 속성을 특정하고,
    상기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부품의 속성에 대응된 임계값을 취득하며,
    취득된 상기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조립품에 포함되는 다른 부품 사이의 클리어런스의 판정을 실행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클리어런스 체크 프로그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부품의 속성을 특정하고,
    상기 클리어런스의 판정은, 상기 제1 부품의 속성과 상기 다른 부품의 속성의 조(組)에 따른 상기 임계값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클리어런스 체크 프로그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다른 부품의 속성은, 부품의 명칭, 부품의 소재, 부품의 사용 부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클리어런스 체크 프로그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의 속성에 대응된 임계값이 복수 검출된 경우에는, 검출된 임계값 중 우선도가 가장 높은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다른 부품 사이의 클리어런스의 판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클리어런스 체크 프로그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품에 포함되는 제2 부품에 대해 클리어런스의 판정을 실행할 때, 상기 제2 부품의 속성에 대응된 임계값이 취득되지 않는 경우, 상기 클리어런스의 판정의 실행 지시를 접수했을 때에 지정된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부품과 다른 부품 사이의 클리어런스의 판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클리어런스 체크 프로그램.
  6. 속성에 대응시킨, 클리어런스의 판정에 이용하는 임계값의 설정을 접수하고, 설정된 임계값을 기억부에 기억하며, 각각 속성이 부여된 복수의 부품에 대한 배치 위치를 규정한 조립품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립품에 포함되는 제1 부품의 속성을 특정하고, 상기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부품의 속성에 대응된 임계값을 취득하며, 취득된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조립품에 포함되는 다른 부품 사이의 클리어런스의 판정을 실행하는 처리를 컴퓨터가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런스 체크 방법.
  7. 속성에 대응시킨, 클리어런스의 판정에 이용하는 임계값의 설정을 접수하고, 설정된 임계값을 기억부에 기억하며, 각각 속성이 부여된 복수의 부품에 대한 배치 위치를 규정한 조립품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립품에 포함되는 제1 부품의 속성을 특정하고, 상기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부품의 속성에 대응된 임계값을 취득하며, 취득된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조립품에 포함되는 다른 부품 사이의 클리어런스의 판정을 실행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런스 체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다른 부품의 속성을 특정하고, 상기 클리어런스의 판정은, 상기 제1 부품의 속성과 상기 다른 부품의 속성의 조에 따른 상기 임계값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런스 체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다른 부품의 속성은, 부품의 명칭, 부품의 소재, 부품의 사용 부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런스 체크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부품의 속성에 대응된 임계값이 복수 검출된 경우에는, 검출된 임계값 중 우선도가 가장 높은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다른 부품 사이의 클리어런스의 판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런스 체크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조립품에 포함되는 제2 부품에 대해 클리어런스의 판정을 실행할 때, 상기 제2 부품의 속성에 대응된 임계값이 취득되지 않는 경우, 상기 클리어런스의 판정의 실행 지시를 접수했을 때에 지정된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부품과 다른 부품 사이의 클리어런스의 판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런스 체크 장치.
KR1020170142510A 2016-11-22 2017-10-30 클리어런스 체크 프로그램, 클리어런스 체크 방법, 및 클리어런스 체크 장치 KR1020357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27000A JP6862788B2 (ja) 2016-11-22 2016-11-22 クリアランスチェックプログラム、クリアランスチェック方法、及びクリアランスチェック装置
JPJP-P-2016-227000 2016-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514A true KR20180057514A (ko) 2018-05-30
KR102035766B1 KR102035766B1 (ko) 2019-10-24

Family

ID=60191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510A KR102035766B1 (ko) 2016-11-22 2017-10-30 클리어런스 체크 프로그램, 클리어런스 체크 방법, 및 클리어런스 체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30352B2 (ko)
EP (1) EP3327595A1 (ko)
JP (1) JP6862788B2 (ko)
KR (1) KR102035766B1 (ko)
CN (1) CN1080902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595B1 (ko) * 2019-10-16 2021-06-11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금형 설계 자동 검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JP7380076B2 (ja) * 2019-10-23 2023-11-15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3dモデル評価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25983A1 (en) * 2004-07-27 2006-02-02 Daniel Arbitter System and method of dynamic clearance checking using a geometric model
JP2012069000A (ja) * 2010-09-24 2012-04-05 Fujitsu Ltd 回路基板設計装置及び回路基板設計プログラム
JP5120447B2 (ja) * 2008-03-31 2013-01-16 富士通株式会社 配線基板設計支援装置、配線基板設計支援方法、配線基板設計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同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2016153956A (ja) 2015-02-20 2016-08-25 富士通株式会社 部品配置プログラム、部位品配置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2340B2 (ja) * 1989-12-14 1997-03-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脚式歩行ロボットの関節構造
JPH09319425A (ja) * 1996-05-29 1997-12-12 Kobe Steel Ltd 部品の組立方法及び組立装置
US6625507B1 (en) * 2000-02-23 2003-09-23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signing a low pressure turbine shaft
US6361095B1 (en) * 2000-06-29 2002-03-26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Adjustable stroke gripper assembly
JP3883102B2 (ja) * 2000-08-25 2007-02-21 富士通株式会社 設計方法、cad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6929000B2 (en) * 2002-07-08 2005-08-16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aligning a center of mass with a rotational axis of a shaft or spindle
JP4047832B2 (ja) * 2004-04-16 2008-02-13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回転操作機構および電子機器、プロジェクタ
KR20050120166A (ko) * 2004-06-18 2005-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데크플레이트 및 그것을 갖는 자기기록재생장치
JP4967699B2 (ja) * 2007-02-09 2012-07-04 富士通株式会社 隙間検証装置、cad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187130B2 (ja) * 2008-10-20 2013-04-24 マツダ株式会社 設計支援装置及び設計支援方法
US8567366B2 (en) * 2009-07-07 2013-10-29 Competition Cams, Inc. Engine manifold with modular runners
JP2012033064A (ja) 2010-07-30 2012-02-16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DE102010047471A1 (de) * 2010-10-06 2012-04-12 Sms Siemag Ag Verfahren zum Aufbereiten einer Lageranordnung und Lageranordnung
JP5654438B2 (ja) * 2011-11-29 2015-01-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類似設計構造検索装置、および類似設計構造検索方法
WO2014199461A1 (ja) * 2013-06-12 2014-12-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組立順序生成装置および組立順序生成方法
JP6199210B2 (ja) * 2014-03-11 2017-09-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組立順序生成装置および組立順序生成方法
US10042964B2 (en) * 2015-03-02 2018-08-0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evaluating a part
US9690274B1 (en) * 2015-09-11 2017-06-27 Plethor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support device generation
CN105262867B (zh) * 2015-11-26 2018-03-27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用于检测移动终端壳体表面平面度的检测设备及方法
CN106782685A (zh) * 2016-12-09 2017-05-31 中广核工程有限公司 一种核电站燃料格架定位装置及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25983A1 (en) * 2004-07-27 2006-02-02 Daniel Arbitter System and method of dynamic clearance checking using a geometric model
JP5120447B2 (ja) * 2008-03-31 2013-01-16 富士通株式会社 配線基板設計支援装置、配線基板設計支援方法、配線基板設計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同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2012069000A (ja) * 2010-09-24 2012-04-05 Fujitsu Ltd 回路基板設計装置及び回路基板設計プログラム
JP2016153956A (ja) 2015-02-20 2016-08-25 富士通株式会社 部品配置プログラム、部位品配置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30352B2 (en) 2021-06-08
KR102035766B1 (ko) 2019-10-24
JP6862788B2 (ja) 2021-04-21
JP2018084917A (ja) 2018-05-31
EP3327595A1 (en) 2018-05-30
CN108090243A (zh) 2018-05-29
US20180144068A1 (en) 2018-05-24
CN108090243B (zh) 202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448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172037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executing application program
JP201115447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カスタマイ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57514A (ko) 클리어런스 체크 프로그램, 클리어런스 체크 방법, 및 클리어런스 체크 장치
JP201308424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4622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08852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とその処理方法
JP2020160854A (ja) コード管理システム、及びコード管理方法
JP636539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4870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excluding a region selection in a form
JP738190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64786B2 (ja) 設計書管理プログラム、設計書管理方法および設計書管理装置
US11470217B2 (en) Service providing system with controlled display,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display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US20230004696A1 (en) Microscope simulation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EP4054166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6792167B2 (ja) 情報処理装置と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064347A (ja) 作業支援情報表示装置および作業支援情報表示方法
JP2009003792A (ja) 製品含有化学物質評価装置およびコンフィギュレーションサービスにおける製品含有化学物質評価方法
JP2021047601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00030319A (ko)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출력하여 패션 아이템을 제작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2101746A (ja) 情報処理装置と、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036405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5438116A (zh) 结合数据接入的数据可视化方法及相关设备
JP202104763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20170376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