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0166A - 데크플레이트 및 그것을 갖는 자기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데크플레이트 및 그것을 갖는 자기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0166A
KR20050120166A KR1020040045418A KR20040045418A KR20050120166A KR 20050120166 A KR20050120166 A KR 20050120166A KR 1020040045418 A KR1020040045418 A KR 1020040045418A KR 20040045418 A KR20040045418 A KR 20040045418A KR 20050120166 A KR20050120166 A KR 20050120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hassis
guide rail
bas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5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주
서재갑
최형석
김명준
심재훈
김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5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20166A/ko
Priority to US11/109,657 priority patent/US20050280929A1/en
Priority to CNA2005100712223A priority patent/CN1710654A/zh
Priority to EP05104287A priority patent/EP1607958A3/en
Priority to JP2005168874A priority patent/JP2006004609A/ja
Publication of KR20050120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016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1Guiding record carrier on drum, e.g. drum containing rotating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11B15/665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using two-sided extraction, i.e. "M-type"

Landscapes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Magnetic Heads (AREA)

Abstract

드럼베이스와 가이드레일이 일체로 형성된 데크플레이트 및 그것을 갖는 자기기록재생장치가 개시된다. 데크플레이트는 헤드드럼 조립체를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지지하는 드럼베이스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베이스 조립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일체로 형성한 샤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럼베이스와 가이드레일을 별도의 금형을 사용하여 정교하게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나사 등을 사용하여 체결 조립해야 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작업공수가 감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폴베이스가 자기 테이프의 로딩/언로딩시 임피던스롤러 및 헤드드럼과 간섭되지 않고 가이드레일이 다른 부품 및 카세트 내부와 간섭되지 않으므로 기구적으로 안정된 동작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데크플레이트 및 그것을 갖는 자기기록재생장치{deck plate an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 캠코더(CAMCORDER) 등과 같은 자기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드럼과 폴베이스가 장착되는 데크 플레이트 및 그것을 갖는 자기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캠코더 등과 같은 자기기록재생장치는 자기 테이프를 소정의 주행경로를 따라 주행시켜 자기 테이프에 음성 및 영상정보등을 기록/재생하는 데크메카니즘을 포함한다.
이러한 데크메커니즘은 통상 소정의 프로그램 제어에 의하여, 데크메커니즘 각부가 상태를 바꾸어 기본적인 기록/재생(REC/PLAY)과 고속의 빨리감기/되감기(FF/REW) 등의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제품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가되는 정지화면과 느린화면의 재생, 고속서치 및 역재생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1은 캠코더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데크메카니즘(1)을 도시한다. 이 데크메카니즘(1)은 메인샤시(10), 메인샤시(10)에 대해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된 서브샤시(20), 헤드드럼 조립체(2), 및 자기 테이프의 로딩/언로딩시 자기 테이프가 메인샤시(10) 내측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이동하는 복수의 롤러와 폴을 구비하는 제1 및 제 2 폴베이스 조립체(16, 17)를 포함한다.
헤드드럼 조립체(2)는 자기 테이프를 스캐닝하여 정보를 기록/재생하는 자기헤드를 구비한 헤드드럼(11), 및 헤드드럼(11)을 고정하여 메인샤시(10)에 대해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설치하는 드럼베이스(12)를 가진다.
제1 및 제2 폴베이스 조립체(16, 17)는 각각, 자기 테이프의 로딩/언로딩시 메인샤시(10)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3)의 제1 및 제 2 가이드 홈(14, 1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1 및 제2 폴베이스(16a, 17a), 제1 및 제2 폴베이스(16a, 17a)상에 경사지게 돌출형성된 제1 및 제2 슬랜트폴(16b, 17b), 및 제1 및 제2 슬랜트폴(16a, 17b)로 진입하는 자기 테이프의 상하 유동을 규제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16c, 17c)로 구성된다. 제1 및 제 2 가이드 홈(14, 15)
도1 및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3)은 메인샤시(10)에서부터 위쪽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제1 및 제2 폴베이스(16a, 17a)를 가이드 및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데크메카니즘(1)은, 도2a, 도2b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드럼(11)을 메인샤시(10)에 설치하는 드럼베이스(12)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메인샤시(10)에 나사(19) 등에 의해 체결 조립되고, 자기 테이프의 로딩/언로딩시 제1 및 제2 폴베이스(16a, 17a)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3)은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메인샤시(10)와 드럼베이스(12)에 나사(20, 21) 등에 의해 체결 조립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종래의 데크메카니즘(1)은 드럼베이스(12)와 가이드레일(13)을 단일부품 형태로 조립될 수 있도록 별도의 금형을 사용하여 정교하게 제작하여야 하므로 제작 코스트가 증가하고, 또 나사 등을 사용하여 체결 조립해야 하므로 조립하는 작업공수가 증가하게 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데크메카니즘(1)은 가이드레일(13)이 메인샤시(10)에서부터 위쪽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제1 및 제2 폴베이스(16a, 17a)를 가이드 및 지지하고 있으므로, 자기 테이프의 로딩/언로딩시 가이드레일(13)이 테이프 카세트 내부 또는 다른 부품과 간섭을 일으켜 불안정하게 동작되는 문제를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고 기구적으로 안정된 동작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데크플레이트 및 그것을 갖는 자기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헤드드럼 조립체를 지지하는 드럼베이스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베이스 조립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설치하는 샤시를 포함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의 데크플레이트에 있어서, 가이드레일은 폴베이스 조립체의 전체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며; 샤시는 드럼베이스와 가이드레일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드럼베이스는 샤시와 일체로 형성되어 샤시 위쪽으로 소정각도로 절곡된다.
가이드레일은 샤시의 평면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 가이드 홈으로 구성된다.
폴베이스 조립체는 자기 테이프의 상하 유동을 규제하기 위한 가이드롤러, 및 가이드롤러를 설치하고, 중심축이 가이드롤러의 중심축에서 헤드드럼 조립체쪽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가이드 홈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보스를 갖는 폴베이스를 구비한다. 이 때, 가이드보스가 가이드롤러의 중심축에서부터 이격되는 소정거리는 약1.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헤드드럼 조립체를 지지하는 드럼베이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베이스 조립체의 전체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 및 드럼베이스와 가이드레일을 설치하는 샤시를 구비한 데크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샤시는 드럼베이스와 가이드레일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드럼베이스는 샤시와 일체로 형성되어 샤시 위쪽으로 소정각도로 절곡된다.
가이드레일은 샤시의 평면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 가이드 홈으로 구성된다.
폴베이스 조립체는 자기테이프의 상하 유동을 규제하기 위한 가이드롤러, 및가이드롤러를 설치하고, 중심축이 가이드롤러의 중심축에서 헤드드럼 조립체쪽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가이드 홈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보스를 갖는 폴베이스를 구비한다. 이 때, 가이드보스가 가이드롤러의 중심축에서부터 이격되는 소정거리는 약1.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데크플레이트 및 그것을 갖는 자기기록재생장치를 첨부도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데크플레이트가 적용되는 자기기록재생장치인 캠코더는 자기 테이프를 소정의 주행경로를 따라 주행시켜 자기 테이프에 음성 및 영상정보등을 기록/재생하는 데크메카니즘을 포함한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데크플레이트가 적용되는 캠코더의 데크메카니즘(100)을 도시한다.
데크메카니즘(100)은 데크플레이트(110), 자기 테이프(T)를 주행시키기 위한 주행구동 유니트(105), 주행구동 유니트(105)의 구동에 의해 데크플레이트(110) 상에서 주행하는 자기 테이프(T)를 가이드하는 테이프주행 가이드 유니트(108), 및 자기 테이프(T)의 로딩/언로딩시 테이프 주행 가이드유니트(108)의 각 구성품들을 소정위치로 이동시키는 로딩구동 유니트(106)를 포함한다.
데크플레이트(110)는 하나의 샤시로 구성된다.
샤시(110)는 일측 중앙, 도면의 상측 중앙에 헤드드럼 조립체(102)를 설치하고 있다.
헤드드럼 조립체(102)는 자기 테이프를 스캐닝하여 정보를 기록/재생하는 자기헤드를 구비한 헤드드럼(111), 및 헤드드럼(111)을 나사(119; 도7)로 고정하여 샤시(110)에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설치하는 드럼베이스(112)를 가진다.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베이스(112)는 샤시(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소정 각도로 절곡된 경사 고정면(112a)을 구비한다.
경사 고정면(112a)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샤시(110)의 일부가 절개되어 메인샤시(110) 위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성형된다.
주행구동 유니트(105)는 캡스턴모터(140)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캡스턴샤프트(148), 및 카세트 테이프(c)의 테이프릴을 안착하고 캡스턴 모터(140)에 의해 구동되는 공급측 및 감김측 릴테이블(115a, 115b)을 포함한다. 캡스턴 모터(140)는 공급측 및 감김측 릴테이블(115a, 115b)을 구동시키는 동력을 도시하지 않은 동력전달 기어트레인을 통해 공급한다. 이러한 동력전달 기어트레인은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로딩구동 유니트(106)는 샤시(110)에 설치된 로딩모터(147), 및 로딩모터(147)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슬라이드부재 구동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화살표(A)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하도록 샤시(110)에 설치된 메인 슬라이드 부재(113)를 구비한다. 슬라이드부재 구동기구는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메인 슬라이드부재(113)는 자기 테이프(T)의 로딩/언로딩시 후술하는 테이프 주행 가이드유니트(108)의 핀치롤러 조립체(130)의 가압레버(135)의 하단부와 리뷰폴 조립체(151)의 리뷰아암(155)의 결합돌기(155a)와 각각 연동되는 가이드 돌기(159)와 가이드홈(157)을 가진다.
테이프 주행 가이드유니트(108)는 자기 테이프(T)의 로딩/언로딩시 자기 테이프(T)가 샤시(110) 내측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이동하는 복수의 롤러와 고정폴 부재를 구비하는 공급릴측 및 감김릴측 가이드장치(108a, 108b)를 포함한다.
공급릴측 테이프 가이드장치(108a)는 텐션폴 조립체(121)와 제1 폴베이스 조립체(116)를 구비한다.
텐션폴 조립체(121)는 샤시(110)에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 텐션아암(122), 텐션아암(122)의 선단에 직립되게 돌출형성되는 제1 텐션폴(123), 및 샤시(110)에 고정 설치된 고정폴 또는 임피던스롤러(124)로 구성된다.
텐션아암(122)은 자기 테이프(T)의 로딩/언로딩시 로딩모터(147)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텐션아암 구동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도4 또는 도5에 도시한 위치로 회동된다. 텐션아암 구동기구는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텐션폴(123)은 자기 테이프(T)를 샤시(110)의 좌측으로 잡아당겨 자기테이프(T)에 소정 장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하고, 임피던스 롤러(124)는 텐션폴(123)을 경유하여 주행하는 자기 테이프(T)의 상하유동을 규제하는 기능을 한다.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폴베이스 조립체(116)는 자기 테이프(T)의 로딩/언로딩시 로딩모터(147)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공지의 폴베이스 구동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후술하는 가이드레일(107)의 제1 가이드 홈(11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1 폴베이스(116a), 제1 폴베이스(116a) 상에 경사지게 돌출형성된 제1 슬랜트폴(116b), 및 제1 슬랜트폴(116b)로 진입하는 자기 테이프(T)의 상하 유동을 규제하기 위한 제1 가이드롤러(116c)를 포함한다.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폴베이스(116c)는 하부에 두 개의 제1 가이드 보스(118)를 형성하고 있다.
제1 가이드보스(118)는 가이드레일(107)의 제1 가이드 홈(114)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며, 제1 가이드 홈(114)에서부터 빠지지지 않도록 제1 가이드 홈(114)의 폭보다 크게 확장된 제1 지지단부(118a)를 갖는다.
또, 제1 가이드보스(118)는 그 중심축이 제1 가이드롤러(116c)의 중심축에서 헤드드럼 조립체(102)쪽으로 소정거리(d)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 때, 제1 가이드보스(118)가 제1 가이드롤러(116c)의 중심축에서부터 이격되는 소정거리(d)는 약1.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가이드보스(118)를 제1 가이드롤러(116c)의 중심축에서부터 약1.2mm 만큼 이격되도록 제1 폴베이스(116a)의 하부에 형성하는 이유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폴베이스(116a)를 제1 슬랜트폴(116b)과 제1 가이드롤러(116c)의 무게 이동중심에서 지지하고 또 자기 테이프(T)의 로딩/언로딩시 제1 폴베이스(116c)가 임피던스롤러(124)와 헤드드럼 조립체(102)의 헤드드럼(111) 사이를 이동할 때 임피던스롤러(124)와 헤드드럼(111)과 접촉하여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감김릴측 테이프 가이드장치(108b)는 리뷰폴 조립체(151), 제2 폴베이스 조립체(117), 및 핀치롤러 조립체(130)를 포함한다.
리뷰폴 조립체(151)는 샤시(110)에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 리뷰아암(155), 및 리뷰아암(155)의 선단에 직립되게 돌출형성되는 리뷰폴(156)을 구비한다.
리뷰아암(155)은 자기 테이프(T)의 로딩/언로딩시 메인 슬라이드부재(113)에 연동되도록 메인 슬라이드부재(113)의 가이드 홈(157)과 결합되는 결합돌기(155a)를 구비하며, 자기 테이프(T)를 샤시(110)의 우측으로 잡아당겨 자기테이프(T)에 소정 장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
제2 폴베이스 조립체(117)는 제1 폴베이스 조립체(116)와 대칭형태로 배치된다는 점만 제외하고는 제1 폴베이스 조립체(116)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즉,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폴베이스 조립체(117)는 자기 테이프(T)의 로딩/언로딩시 후술하는 가이드레일(107)의 제 2 가이드홈(11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2 폴베이스(117a), 제2 폴베이스(117a) 상에 경사지게 돌출형성된 제2 슬랜트폴(117b), 및 제2 슬랜트폴(117b)로 진입하는 자기 테이프(T)의 상하 유동을 규제하기 위한 제2 가이드롤러(117c)를 포함한다.
제2 폴베이스(117a)는 제1 폴베이스 조립체(116)의 제1 폴베이스(116a)와 마찬가지로, 그 중심축이 제2 가이드롤러(117c)의 중심축에서 헤드드럼 조립체(102)쪽으로 소정거리(d), 즉 1.2mm 이격되도록 하부로 돌출형성된 제2 가이드 보스(118')를 갖는다.
제2 가이드 보스(118')는 가이드레일(107)의 제2 가이드 홈(115)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며, 제2 가이드 홈(115)에서부터 빠지지지 않도록 제2 가이드 홈(115)의 폭보다 크게 확장된 제2 지지단부(118a')를 갖는다.
핀치롤러 조립체(130)는 샤시(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핀치롤러 아암(131), 핀치롤러 아암(131)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핀치롤러(133), 핀치롤러 아암(131)의 회동축상에서 회전되는 가압레버(135), 및 가압레버(135)와 핀치롤러 아암(131)를 연결하는 인장스프링(137)을 구비한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07)은, 각각 제1 및 제2 폴베이스 조립체(116, 117)의 제1 및 제2 가이드보스(118, 118')를 수용하여 폴베이스 조립체(116, 117)의 전체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도록, 제1 및 제2 가이드보스(118, 118')와 대향하게 샤시(110)에 형성된 제1 및 제2 가이드 홈(114, 115)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가이드 홈(114, 115)은 각각, 조립시 제1 및 제2 가이드 보스(118, 118')의 제1 및 제2 지지단부(118a, 118a')를 삽입하도록 제1 및 제2 지지단부(118a, 118a' )의 크기 보다 큰 크기를 갖는 조립용 확장홀(114a,115b), 및 자기 테이프(T)의 로딩/언로딩시 제1 및 제2 가이드 보스(118, 118')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부(114b, 115b)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가이드 홈(114, 115)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서로 대칭하는 형태로 샤시(1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가이드 홈(114, 115)의 높이, 즉 제1 및 제2 가이드 홈(114, 115)이 형성된 샤시(110)의 평면 높이는 제 1 및 제 2 폴베이스(116a, 117a)가 제1 및 제2 가이드 홈(114, 115)에 설치될 때 제1 및 제2 가이드롤러(116c, 117c)가 자기 테이프(T)의 상하유동을 규제할 수 있는 높이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의 샤시(110)는 드럼베이스(112)와 가이드레일(107)을 일체로 형성하므로, 제작금형 및 작업공수가 줄어들어 제작 코스트가 절감됨과 아울러 생산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제1 및 제2 폴베이스(116a, 117a)가 자기 테이프(T)의 로딩/언로딩시 임피던스롤러(124) 및 헤드드럼(111)과 간섭됨이 없이 무게 이동중심에서 지지 및 이동되고 가이드레일(107)이 샤시(110)의 평면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 홈(114, 115)으로 구성되어 자기 테이프(T)의 로딩/언로딩시 가이드레일(107)이 다른 부품 및 카세트 내부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기구적으로 안정된 동작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데크플레이트를 갖는 데크메카니즘(100)은 캠코더의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와 같이 데크 메카니즘을 가지는 자기기록재생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크플레이트를 갖는 데크메카니즘(100)은 데크플레이트가 하나의 샤시로 구성된 경우에만 서술 및 예시하였으나, 도1에 도시한 종래의데크메카니즘(1)과 같이 메인샤시와 서브사시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가 적용된 캠코더의 데크메카니즘(100)의 테이프 로딩 및 언로딩 동작을 도4 내지 도8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로딩동작을 설명하면, 테이프카세트(c)가 도4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120)의 공급측 및 감김측 릴테이블(115a, 115b)에 안착된 후, 로딩모터(147)가 구동되면, 텐션아암(122)은 텐션아암 구동기구에 의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되며, 이에 따라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텐션폴(123)은 임피던스롤러(124) 쪽으로 자기 테이프(T)를 밀게된다.
또, 제1 및 제 2 폴베이스 조립체(116, 117)의 제1 및 제2 폴베이스(116a, 117a)는 로딩모터(147)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폴베이스 구동기구에 의해 헤드드럼(111)쪽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제1 및 제2 가이드보스(118, 118')는 가이드레일(107)의 제1 및 제 2 가이드 홈(114, 115)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제1 및 제 2 가이드롤러(116c, 117c)는 자기 테이프(T)를 인출하여 헤드드럼(111)에 밀착한다.
이 때, 제1 및 제2 가이드보스(118, 118')가 제1 및 제 2 가이드롤러(116c, 117c)의 중심축에서부터 약 1.2mm정도 헤드드럼 조립체(102)쪽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 2 폴베이스 조립체(116, 117)는 임피던스롤러(124) 및 헤드드럼(111)과 접촉하지 않고 이동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게 이동중심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한다.
메인 슬라이드 부재(113)는 슬라이드부재 구동기구에 의해 구동되어 화살표 방향(A), 예를들면 왼쪽으로 구동되며, 이에 따라 메인 슬라이딩 부재(113)의 가이드 돌기(159)가 가압레버(135)의 하단부를 왼쪽으로 밀어내게 된다. 그 결과 가압레버(13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인장스프링(137)이 늘어난다. 이 인장스프링(137)의 인장력에 의해 핀치롤러(133)는 캡스턴 샤프트(148)에 밀착된다.
리뷰 아암(155) 역시 메인 슬라이드 부재(113)의 가이드 홈(157)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이에 따라 리뷰폴(156)은 자기 테이프(T)를 샤시(110)의 우측으로 잡아당겨 자기 테이프(T)에 소정 장력을 부여한다.
이와같이 자기 테이프(T)가 도5에 도시한 위치에 로딩된 상태에서, 캡스턴모터(140)는 동력전달 기어트레인을 통해 공급측 및 감김측 릴테이블(115a, 115b)을 구동하여 테이트 자기 테이프(T)를 카세트(c)의 테이프릴에 감거나 푸는 기록/재생과 고속의 빨리감기/되감기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자기 테이프(T)의 언로딩시에는 앞서 설명한 순서의 반대로 데크 메카니즘(100)이 동작하게 되며, 이에 따라, 텐션폴(123), 제1 및 제 2 가이드롤러(116c, 117c), 핀치롤러(133), 및 리뷰폴(156)은 도4에 도시한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 및 그것을 갖는 자기기록재생장치는 드럼베이스와 가이드레일을 샤시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드럼베이스와 가이드레일을 별도의 금형을 사용하여 정교하게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 및 그것을 갖는 자기기록재생장치는 드럼베이스와 가이드레일을 샤시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드럼베이스와 가이드레일을 나사 등을 사용하여 체결 조립해야 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작업공수가 감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 및 그것을 갖는 자기기록재생장치는, 폴베이스가 자기테이프의 로딩/언로딩시 임피던스롤러 및 헤드드럼과 간섭되지 않도록 폴베이스의 가이드보스가 가이드롤러의 중심축에서부터 헤드드럼쪽으로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어 폴베이스가 자기 테이프의 로딩/언로딩시 임피던스롤러 및 헤드드럼과 간섭됨이 없이 무게 이동중심에서 지지 및 이동되고 가이드레일이 샤시의 평면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 홈으로 구성되어 자기 테이프의 로딩/언로딩시 가이드레일이 다른 부품 및 카세트 내부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기구적으로 안정된 동작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캠코더의 데크메카니즘의 개략 평면도.
도2a 및 도2b는 드럼베이스와 가이드레일을 설치한 도1에 도시한 데크메카니즘의 메인샤시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3은 도2a에 도시한 드럼베이스와 가이드레일의 평면도.
도4 및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플레이트가 적용된 캠코더의 데크메카니즘의 개략 평면도.
도6은 도4 및 도5에 도시한 데크플레이트의 평면도.
도7은 헤드드럼을 장착한 상태를 예시하는 도4 및 도5에 도시한 데크플레이트의 드럼베이스의 부분 단면도.
도8은 도4 및 도5에 도시한 데크메카니즘의 테이프 주행 가이드유니트의 제1 폴베이스 조립체의 부분 평면도.
도9는 도4 및 도5에 도시한 데크메카니즘의 테이프 주행 가이드유니트의 제1 폴베이스 조립체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0: 데크메카니즘 2, 102: 헤드드럼 조립체
10, 20, 110: 샤시 11, 111: 헤드드럼
12, 112: 드럼베이스 13, 107: 가이드레일
16, 17, 116, 117: 폴베이스 조립체 16a, 17a, 116a, 117a: 폴베이스
16c, 17c, 116c, 117c: 가이드롤러 105: 주행구동 유니트
106: 로딩구동 유니트 108: 테이프 주행 가이드유니트
114, 115: 가이드 홈 118, 118': 가이드보스
121: 텐션폴 조립체 130: 핀치롤러 조립체
151: 리뷰폴 조립체

Claims (10)

  1. 헤드드럼 조립체를 지지하는 드럼베이스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베이스 조립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설치하는 샤시를 포함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의 데크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의 전체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며;
    상기 샤시는 상기 드럼베이스와 상기 가이드레일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베이스는 상기 샤시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샤시 위쪽으로 소정각도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샤시의 평면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는,
    자기 테이프의 상하 유동을 규제하기 위한 가이드롤러; 및
    상기 가이드롤러를 설치하고, 중심축이 상기 가이드롤러의 중심축에서 상기 헤드드럼 조립체쪽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 보스를 갖는 폴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보스가 상기 가이드롤러의 중심축에서부터 이격되는 상기 소정거리는 약1.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6. 헤드드럼 조립체를 지지하는 드럼베이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베이스 조립체의 전체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드럼베이스와 상기 가이드레일을 설치하는 샤시를 구비하는 데크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샤시는 상기 드럼베이스와 상기 가이드레일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베이스는 상기 샤시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샤시 위쪽으로 소정각도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샤시의 평면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는,
    상기 자기 테이프의 상하 유동을 규제하기 위한 가이드롤러; 및
    상기 가이드롤러를 설치하고, 중심축이 상기 가이드롤러의 중심축에서 상기 헤드드럼 조립체쪽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보스를 갖는 폴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보스가 상기 가이드롤러의 중심축에서부터 이격되는 상기 소정거리는 약1.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KR1020040045418A 2004-06-18 2004-06-18 데크플레이트 및 그것을 갖는 자기기록재생장치 KR20050120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418A KR20050120166A (ko) 2004-06-18 2004-06-18 데크플레이트 및 그것을 갖는 자기기록재생장치
US11/109,657 US20050280929A1 (en) 2004-06-18 2005-04-20 Deck plate and magnetic recording/play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A2005100712223A CN1710654A (zh) 2004-06-18 2005-05-13 走带机构板及具有该走带机构板的磁记录/播放装置
EP05104287A EP1607958A3 (en) 2004-06-18 2005-05-19 A tape deck
JP2005168874A JP2006004609A (ja) 2004-06-18 2005-06-08 デッキプレート及びそれを有する磁気記録再生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418A KR20050120166A (ko) 2004-06-18 2004-06-18 데크플레이트 및 그것을 갖는 자기기록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166A true KR20050120166A (ko) 2005-12-22

Family

ID=34939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5418A KR20050120166A (ko) 2004-06-18 2004-06-18 데크플레이트 및 그것을 갖는 자기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280929A1 (ko)
EP (1) EP1607958A3 (ko)
JP (1) JP2006004609A (ko)
KR (1) KR20050120166A (ko)
CN (1) CN17106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0941A (ja) * 2003-04-09 2004-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6862788B2 (ja) * 2016-11-22 2021-04-21 富士通株式会社 クリアランスチェックプログラム、クリアランスチェック方法、及びクリアランスチェ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670B1 (ko) * 1980-11-29 1988-09-05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비데오 테이프레코오더용 샤시의 제조방법
JPS57212649A (en) * 1981-06-24 1982-12-27 Hitachi Lt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2936648B2 (ja) * 1990-05-29 1999-08-23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KR930006211Y1 (ko) * 1990-07-31 1993-09-15 주식회사 금성사 자기기록장치의 일체형 테이프 이송 가이드장치
JP3168082B2 (ja) * 1992-12-24 2001-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US5949609A (en) * 1994-07-28 1999-09-07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tape loading device
KR20000064780A (ko) * 1997-01-29 2000-11-06 이데이 노부유끼 자기테이프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US6157512A (en) * 1997-09-09 2000-12-05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tape loading mechanism with speed control of tape loading guides
JPH11213486A (ja) * 1998-01-26 1999-08-06 Sony Corp 磁気記録装置
JP3629940B2 (ja) * 1998-03-19 2005-03-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H11273197A (ja) * 1998-03-20 1999-10-08 Canon Inc テープガイド部材
US7032852B2 (en) * 2002-10-24 2006-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ape loading device for a tape recorder
JP2004310941A (ja) * 2003-04-09 2004-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10654A (zh) 2005-12-21
EP1607958A2 (en) 2005-12-21
EP1607958A3 (en) 2008-02-27
US20050280929A1 (en) 2005-12-22
JP2006004609A (ja) 200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14534Y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ーのテープ早送り装置
KR20050120166A (ko) 데크플레이트 및 그것을 갖는 자기기록재생장치
US5754360A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100412504B1 (ko) 테이프 레코더 주행계의 자기테이프 가이드장치
KR100285150B1 (ko) 다이나믹 트래킹을 위한 틸팅 헤드드럼을 갖는 자기기록/재생장치
JPH09185859A (ja) ビデオカセットレコーダー
KR100715853B1 (ko) 헤드크리닝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자기기록재생장치
KR100436373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가이드레일 정렬장치
KR100436368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메인 샤시와 메인 슬라이드 부재 결합구조
KR100436370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
JP2004111038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デッキメカニズム
JPH0722748Y2 (ja) ビデオカセットテープの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KR100424563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로딩기어 조립체
JP3158687B2 (ja) テ−プ走行装置におけるピンチローラアーム制御機構
KR0136470Y1 (ko) 텐션폴 구동장치
KR20060054813A (ko) 자기 기록/재생장치
US7187516B2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JPH0626983Y2 (ja) プレ−ヤにおける摺動部材の支持機構
KR20060018041A (ko) 자기 기록/재생장치
KR20040035944A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릴브레이크 장치
US20060028756A1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200016383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US20040201916A1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KR20060061686A (ko) 테이프 레코더의 폴베이스 조립체 고정구조
JP2004110977A (ja) 磁気ヘッ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