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8041A - 자기 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자기 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8041A
KR20060018041A KR1020040066370A KR20040066370A KR20060018041A KR 20060018041 A KR20060018041 A KR 20060018041A KR 1020040066370 A KR1020040066370 A KR 1020040066370A KR 20040066370 A KR20040066370 A KR 20040066370A KR 20060018041 A KR20060018041 A KR 20060018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tape
deck
pole unit
tension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석
박병배
심재훈
오정협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6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8041A/ko
Publication of KR20060018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0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11B15/665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using two-sided extraction, i.e. "M-type"

Landscapes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의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테이프 가이드장치는, 헤드드럼이 설치되는 데크에 소정 거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헤드드럼을 거쳐 주행되는 테이프의 텐션을 조정하는 텐션폴유닛과; 텐션폴유닛을 테이프의 주행위치로 이동시키고, 텐션을 증가시키는 위치로 이동되게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와; 테이프의 역방향 주행시 텐션폴유닛이 테이프의 텐션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과도하게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기 기록/재생장치, 텐션아암, 텐션폴, 메인캠기어

Description

자기 기록/재생장치{A MAGNETIC RECORDING/READ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자기 기록/재생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테이프가 로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5a는 도 4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연 평면도.
도 5b는 도 4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부분 단면도.
도 5c는 도 5a의 상태에서 텐션폴유닛이 소정 각도 복귀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상태에서 스탑모드로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헤드드럼 32,33..폴베이스 조립체
34,35..연결기어 36..구동모터
40. 데크 43,44..릴테이블
50..텐션폴유닛 51..텐션아암
51b..걸림돌기 53..텐션폴
55..탄성부재 60..캠기어
63..고정돌기 65..캠돌기
본 발명은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풀려나와 주행되는 테이프를 가이드하기 위한 테이프 가이드장치를 가지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기 기록/재생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되는 자기테이프를 스캐닝하여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읽어내는 헤드드럼(11)이 지지되는 데크(10)와, 데크(10)에 로딩/언로딩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데크(20)를 구비한다. 상기 데크(10)에는 서브데크(20)의 릴테이블(21,22)에 장착된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하여 헤드드럼(12)을 포함한 소정 경로를 거쳐 주행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장치들이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장치는 통상적으로, 텐션폴유닛(13)과, 한 쌍의 폴베이스 조립체(14,15)와, 캡스턴축(16)과, 핀치롤러(17a) 및 리뷰폴(18a) 등을 구비한다.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14,15)는 상기 구동모터(12)에 의해 회전되는 캠기어(19)에 연동하여 로딩/언로딩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된다. 즉, 폴베이스 조립체(14,15)는 로딩시 테이프를 인출하여 헤드드럼(11)에 소정거리 감기도록 안내하고, 언로딩시에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캡스턴축(16)은 데크(10)에 설치되는 캡스턴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된다. 캡스턴축(16)이 회전되면서 핀치롤러(17a)와의 사이로 주행되는 테이프를 가이드한다. 여기서, 상기 캡스턴모터는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릴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각 릴테이블(21,22)로 제공한다.
상기 핀치롤러(17a)는 데크(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핀치아암(17)에 설치된다. 핀치아암(17)은 테이프의 로딩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핀치롤러(17a)가 캡스턴축(16) 쪽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테이프 주행시에는 테이프를 캡스턴축(16)에 밀착시키도록 핀치아암(17)은 시계방향으로 더 가압된다. 이 핀치아암(17)은 로딩되는 서브데크(20)에 의해 캡스턴축(16) 쪽으로 이동되고, 서브데크(20)의 언로딩시에는 미도시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리뷰폴(18a)은 상기 핀치롤러(18a)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테이프 카세트의 회수릴로 회수되는 테이프의 주행을 가이드한다. 이 리뷰폴(18a)은 데크(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뷰아암(18)에 지지된다. 상기 리뷰아암(18)은 핀치아암(17)과 마찬가지로 서브데크(20)에 연동된다. 또는, 리뷰아암(18)은 메인데크(10)에 설치되어 캠기어(19)에 의해 연동되어 슬라이딩되는 메인슬라이딩부재에 연동될 수도 있다.
상기 텐션폴유닛(13)은 테이프 카세트에서 풀려나와 주행되는 테이프의 텐션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텐션폴유닛(13)은 서브데크(20)의 이동에 의해 연동되는 텐션아암(13a)과, 텐션아암(13a)의 일단에 설치되는 텐션폴(13b)을 구비한다. 텐션아암(13a)은 미도시된 스프링에 의해 테이프에 텐션을 가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된다. 따라서, 플레이모드시 텐션아암(13a)은 주행되는 테이프의 텐션에 대응하여 능동적으로 이동되면서 테이프의 텐션을 조정한다. 그리고, 스탑모드에서는 텐션아암(13a)을 강제로 텐션해제위치로 이동시켜서 테이프의 텐션을 해제시킨다. 이를 위해, 텐션아암(13a)은 미도시된 연동부재에 의해 캠기어(19)에 연결되고, 스탑모드시 캠기어(19)의 회전에 의해 텐션아암(13a)이 강제로 이동된다.
한편, 테이프를 역방향으로 주행시키는 역탐색모드 및 고속 되감기 모드시에는 테이프의 텐션이 증가하게 되고, 그 증가된 텐션에 의해 텐션아암(13a)은 스프링력을 이기고 텐션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다. 이 때, 상기 텐션아암(13a)이 과도하게 회전하게 되면, 되감기는 테이프가 테이프 카세트에 접촉하게 되어 테이프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상기 역탐색모드 및 고속 되감기 모드에서도 캠기어(19)를 구동시키고, 캠기어(19)와 텐션아암(13a)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텐션아암(13a)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성이 시도된 바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역탐색모드 및 고속 되감기 모드를 수행하기 위해서 캠기어를 구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별도의 연결부재를 마련해야 하므로 부품이 증가하고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간단한 구성에 의해 텐션폴유닛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자기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장치는, 헤드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데크와; 상기 데크에 소정 거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헤드드럼으로 로딩되어 주행되는 테이프의 텐션을 조정하는 텐션폴유닛과; 상기 텐션폴유닛을 상기 테이프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텐션을 증가시키는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테이프의 역방향 주행시 상기 텐션폴유닛이 상기 테이프의 텐션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과도하게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텐션폴유닛은, 상기 데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텐션아암과; 상기 텐션아암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테이프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텐션폴;을 포함하며, 상기 텐션아암에 상기 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캠기어는 상기 데크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데크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통과하여 상기 캠기어에 마주하도록 하는 가이드공일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캠기어는 스탑모드시 소정 각도 회전되어 상기 텐션폴유닛을 타방향으로 강제 이동시켜서 상기 테이프의 텐션을 해제시키기 위한 캠돌기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장치 (100)는, 헤드드럼(3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데크(40)와, 테이프의 주행을 가이드하고 텐션을 조정해주기 위한 텐션폴유닛(50)과, 데크(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캠기어(60)와, 스토퍼를 구비한다.
상기 데크(40)는 종래의 서브데크가 삭제된 소위 원데크이다. 상기 데크(40)에는 헤드드럼(31)의 좌우측 각각에 가이드레일(41,4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41,42)에는 헤드드럼(31)에 테이프가 소정 거리 감기도록 테이프를 로딩시키는 한 쌍의 폴베이스 조립체(32,33)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데크(40)에는 연결기어(34,35)를 통해 상기 캠기어(60)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모터(36)가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폴베이스 조립체(32,33)는 데크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로딩기어(81,83) 각각에 링크(82,84)에 의해 연결된다. 제1 및 제2로딩기어(81,83)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캠기어(60)에 연결되어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들(32,33)도 캠기어(60)의 회전에 의해 종동되어 테이프를 헤드드럼(31) 쪽으로 로딩시키거나, 헤드드럼(31)에서 이격되게 언로딩시키게 된다.
또한, 데크(40)에는 로딩된 테이프의 주행을 가이드하기 위한 고정폴(37) 및 캡스턴샤프트(38a)가 설치된다. 상기 캡스턴샤프트(38a)는 데크(40)의 상면으로 돌출된 상태로 캡스턴모터(38)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캡스턴모터(38)는 데크(40)의 하면에 설치된다. 상기 캡스턴모터(38)는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릴이 안착되는 릴테이블(43,44)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즉, 데크(40)에 설치된 아이들기어(미도시)와 동력전달벨트(미도시) 등를 통해서 캡스턴모터(38)의 동력이 릴테이블(43,44)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도면에서 왼쪽의 릴테 이블(43)은 테이프를 공급해주는 서플라이 릴테이블이고, 오른쪽의 릴테이블(44)은 공급된 테이프를 회수하는 테이크업 릴테이블이다.
또한, 데크(40)에는 로딩된 테이프의 주행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장치로서, 캡스턴축(38a)과 핀치롤러(45a) 및 리뷰폴(46a)이 마련된다. 핀치롤러(45a)는 테이프를 캡스턴축(38a)에 밀착시키도록 데크(4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핀치아암(45)에 지지된다. 상기 핀치아암(45)은 후술할 메인슬라이딩부재(47)에 의해 회동된다. 그리고, 릴테이블(44) 쪽으로 주행하거나, 그 릴테이블(45)에서 풀려 나오는 테이프는 상기 리뷰폴(46a)이 가이드한다. 상기 리뷰폴(46a)은 데크(4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뷰아암(46)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핀치아암(45) 및 리뷰아암(46)은 서로 동축적으로 설치되며, 메인슬라이딩부재(47)에 연동되는 연동부재(48)에 의해 회동된다.
상기 메인슬라이딩부재(47)는 상기 캠기어(60)의 캠홈(61)에 의해 캠핀(47a)이 종동됨에 따라서 왕복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핀치아암(45)과, 리뷰아암(46) 및 메인슬라이딩부재(47) 등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이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테이프 가이드장치는 상기 텐션폴유닛(50)을 구비한다. 이 텐션폴유닛(50)은 데크(4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텐션아암(51)과, 텐션아암(51)의 자유단부에 설치되는 텐션폴(53)을 구비한다. 상기 텐션아암(51)은 도 3의 상태에서 회전축(51a)을 중심으로 일방향(A)으로 회전되면서 테이프를 로딩시킨 다. 이를 위해, 상기 텐션아암(51)은 탄성부재(55)에 의해 일방향(A)으로 탄성 가압된다. 즉, 도 3의 상태에서는 폴베이스 조립체(32)가 로딩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텐션아암(51)은 폴베이스 조립체(32)에 걸려서 일방향(A)으로 회전되지 못한다. 이 상태에서, 캠기어(60)의 회전에 의해 폴베이스 조립체(32)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딩방향(C)으로 이동되면, 텐션아암(51)은 가압부재(55) 즉,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일방향(A)으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텐션폴(53)이 테이프를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인출하여 주행 가능한 상태로 이동시킨다.
도 4와 같이 캠기어(60)가 L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된 상태에서는 테이프의 감기 및 되감기가 가능한 플레이모드로서, 테이프가 상술한 가이드부재들을 경유하여 주행하게 된다. 테이프가 테이크업 릴테이블(44) 쪽으로 감기는 플레이모드시, 주행하는 테이프의 텐션은 상기 텐션폴유닛(50)에 의해 적절히 조정된다. 즉, 테이프의 텐션이 증가하면, 그 증가된 텐션에 의해 가압부재(55)의 가압력을 이기고 텐션아암(51)이 타방향(B)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여 텐션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텐션이 감소되며, 그 감소된 만큼 탄성부재(55)의 가압력에 의해 텐션아암(51)이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테이프의 텐션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테이프의 플레이모드시에는 텐션아암(51)의 미세한 움직임에 의해 테이프의 텐션이 조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테이프의 역주행시, 특히 서플라이 릴테이블(43)을 구동시켜서 테이프를 고속으로 되감는 모드에서 서플라이측 테이프에는 많은 텐션이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테이프에 큰 텐션이 작용하여 텐션폴유닛(50)이 타방향(B)으로 과도 하게 이동되는 것이 상기 스토퍼에 의해 억제된다.
이러한 스토퍼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아암(51)에 형성되는 걸림돌기(51b)와, 캠기어(60)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63)를 구비한다. 상기 걸림돌기(51b)는 텐션아암(51)에 일체로 형성되며, 데크(40)에 형성된 가이드공(40a)을 통과하도록 하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상기 고정돌기(63)는 캠기어(60)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회전축(60a)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마련되다. 테이프의 플레이모드 및 되감기모드 중에는 상기 걸림돌기(51b)가 고정돌기(63)와 회전축(60a)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도 5a의 상태에서 텐션아암(51)이 타방향(B)으로 회전되더라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51b)가 고정돌기(63)에 걸리게 되어 과도하게 회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테이프의 고속 되감기 모드시 테이프의 텐션증가에 의해 텐션폴유닛(50)이 타방향(B)으로 과도하게 이동되지 않으므로, 되감기는 테이프가 테이프 카세트에 간섭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기어(60)의 상면에는 캠돌기(65)가 더 설치된다. 이 캠돌기(65)는 회전축(60a)에 인접하여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캠돌기(65)는 테이프의 스탑모드시 테이프에 걸려 있던 텐션을 강제로 해제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정지모드시 상기 캠기어(60)가 도 4의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돌기(65)의 일측면이 상기 걸림돌기(51b)를 간섭하여 강제로 타방향(B)으로 소정 각도 회동시킨다. 따라서, 텐션폴(53)의 위치가 이동되어 테이프의 텐션이 해제된다. 따라서, 스탑모드시에 테이프에 텐션이 장시 간 작용함에 따라 테이프가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의 텐션이 해제된 정지모드에서는 텐션아암(51)이 폴베이스 조립체(23)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폴베이스 조립체(32)가 언로딩되어 복귀되면, 복귀되는 폴베이스 조립체(32)의해 텐션폴유닛(50)은 도 3의 상태로 이동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자기 기록/재생장치에 따르면, 역탐색모드 및 고속되감기모드시 텐션폴유닛이 테이프의 증가된 텐션에 의해 텐션 해제방향으로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을 스토퍼를 마련하여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텐션폴유닛이 과도하게 이동하여 역방향으로 감기는 테이프가 테이프 카세트에 접촉되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스토퍼는 캠기어의 회전구동 없이도 텐션폴유닛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로딩모터의 구동이 불필요하며, 또한 캠기어와 연동되는 별도의 연동부재를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 및 동작에 의해 텐션폴유닛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헤드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데크와;
    상기 데크에 소정 거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헤드드럼으로 로딩되어 주행되는 테이프의 텐션을 조정하는 텐션폴유닛과;
    상기 텐션폴유닛을 상기 테이프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텐션을 증가시키는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테이프의 역방향 주행시 상기 텐션폴유닛이 상기 테이프의 텐션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과도하게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테이프 가이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텐션폴유닛의 하부에 위치되게 상기 데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캠기어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텐션폴유닛으로부터 상기 캠기어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텐션폴유닛의 타방향으로의 이동시 상기 고정돌기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기어는 스탑모드시 소정 각도 회전되어 상기 텐션폴유닛을 타방향으로 강제 이동시켜서 상기 테이프의 텐션을 해제시키기 위한 캠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폴유닛은,
    상기 데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텐션아암과;
    상기 텐션아암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테이프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텐션폴;을 포함하며, 상기 텐션아암에 상기 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기어는 상기 데크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데크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통과하여 상기 캠기어에 마주하도록 하는 가이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
KR1020040066370A 2004-08-23 2004-08-23 자기 기록/재생장치 KR20060018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370A KR20060018041A (ko) 2004-08-23 2004-08-23 자기 기록/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370A KR20060018041A (ko) 2004-08-23 2004-08-23 자기 기록/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041A true KR20060018041A (ko) 2006-02-28

Family

ID=37125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370A KR20060018041A (ko) 2004-08-23 2004-08-23 자기 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80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0117A (en) Video tape recorder and/or reproducer
US5774300A (en) Deck mechanism for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hich is capable of driving a plurality of tape-guiding devices
KR20060018041A (ko) 자기 기록/재생장치
US6256167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having a mechanism for pulling a magnetic tape out of a cassette
KR100708099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장력 조절장치
KR100481523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릴브레이크 장치
JP200410322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ピンチローラーユニット
KR0117898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아이들러 제어장치
KR0113203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고속 주행장치
KR0129230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고속 주행장치
US6137649A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in which one of a reel base pair is rotated to wind a magnetic tape by a predetermined amount 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EP0944066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KR0136470Y1 (ko) 텐션폴 구동장치
KR100296589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텐션 조절장치
KR0128984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주행 가이드장치
KR100422013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테이프 가이드장치
US5737143A (en) Apparatus for movably mounting a full erase head for use in a video cassette recorder
KR100274645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아이들러 동력 전달 제어장치
KR20050120166A (ko) 데크플레이트 및 그것을 갖는 자기기록재생장치
JP3085692U (ja) テープデッキのテープテンション装置
KR100438162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 구동방법
KR20060054813A (ko) 자기 기록/재생장치
KR940004537Y1 (ko) Vcr의 테이프 주행 안내장치
KR20060013705A (ko) 자기 기록/재생장치
KR20010010685A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텐션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