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3705A - 자기 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자기 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3705A
KR20060013705A KR1020040062283A KR20040062283A KR20060013705A KR 20060013705 A KR20060013705 A KR 20060013705A KR 1020040062283 A KR1020040062283 A KR 1020040062283A KR 20040062283 A KR20040062283 A KR 20040062283A KR 20060013705 A KR20060013705 A KR 20060013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base
base assembly
deck
uni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협
김봉주
조영호
백충흠
김준영
김명준
서재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2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3705A/ko
Priority to US11/158,090 priority patent/US20060028756A1/en
Priority to CNA2005100818073A priority patent/CN1734613A/zh
Priority to JP2005226692A priority patent/JP2006054042A/ja
Priority to EP05107324A priority patent/EP1626404A3/en
Publication of KR20060013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37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11B15/665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using two-sided extraction, i.e. "M-type"

Landscapes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기 기록/재생장치는 로딩시 헤드드럼에 자기테이프가 감겨지도록 안내하고, 언로딩시 헤드드럼으로부터 자기테이프를 복귀시키는 폴베이스 조립체와; 폴베이스 조립체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폴베이스 조립체의 로딩/언로딩을 가이드하도록 삽입홈에 연결된 슬릿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데크와; 가이드레일에 삽입된 폴베이스 조립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폴베이스 조립체, 이탈, 핀치롤러, 핀치아암, 리뷰아암, 가이드레일

Description

자기 기록/재생장치{Magnetic recording/produc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장치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상태에서 로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에 도시된 폴베이스 조립체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데크 11..구동모터
12..헤드드럼 13,14..가이드레일
17..메인캠기어 18..캡스턴모터
20,30..폴베이스 조립체 40..이탈 방지유닛
41..회동유닛 42..핀치아암
44..리뷰아암 46..스프링
51,53..링크 52,54..로딩기어
60..연동유닛 61..슬라이딩부재
63..연동부재
본 발명은 테이프와 같은 기록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행사나 취미생활 및 여가생활 등에 주로 애용되고 있는 소형의 휴대 가능한 핸디용 영상촬영장치의 보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영상촬영장치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디지털 영상의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기존의 아날로그방식 제품을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캠코더 등이 대체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캠코더는 주지된 바와 같이 테이프 레코더와 카메라의 기능을 일체화시킴에 따라 원하는 영상정보를 녹화하여 재생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영상촬영장치로서, 현재까지는 주로 예를 들면 8MM, 6MM, 4MM 등의 규격을 가지는 자기테이프를 기록매체로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통상적인 캠코더에는 자기테이프를 자기헤드에 의해 스캐닝하여 정보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자기 기록/재생장치가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자기 기록/재생장치는 자기테이프를 스캐닝하여 정보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헤드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데크와, 상기 메인데크에 소정 거리 왕복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데크를 구비한다. 상기 서브데크에 테이프 카세트가 장착되면, 서브데크가 헤드드럼쪽으로 이동하면서 로딩된다. 이 때, 메인데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폴베이스 조립체가 자기테이프를 인출하여 헤드드럼에 소정거리 감기도록 로딩시킨다.
따라서, 상기 메인데크에는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가지는 레일플레이트가 별도의 부품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메인데크 상에는 자기테이프의 주행을 가이드하기 위한 텐션폴과, 캡스턴축, 핀치롤러 및 리뷰폴 등이 소정 위치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경우, 메인데크에 설치되는 서브데크, 상기 레일플레이트 등과 같이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상기 서브데크를 삭제하여 하나의 데크를 이용하여 자기테이프의 로딩/언로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상기 서브데크 뿐만 아니라 레일플레이트를 삭제하고 데크에 직접 폴베이스 조립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형성시킨 구성이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부품수를 삭감하여 데크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에 폴베이스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로 안정되게 동작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자기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기 기록/재생장치는, 로딩시 헤드드럼에 자기테이프가 감겨지도록 안내하고, 언로딩시 상기 헤드드럼으로부터 자기테이프를 복귀시키는 폴베이스 조립체와;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의 로딩/언로딩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삽입홈에 연결된 슬릿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데크와;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된 폴베이스 조립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탈 방지유닛은, 상기 메인데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의 언로딩시,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가 상기 삽입홈으로 이동되는 것을 간섭하는 회동유닛과; 상기 메인데크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유닛이 상기 언로딩방향으로 이동되는 폴베이스 조립체에 밀려 이동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유닛은, 로딩시 상기 자기테이프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제1위치와, 언로딩시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의 이동을 억제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되게 상기 메인데크에 설치되는 핀치아암과; 상기 핀치아암의 일단에 설치되는 핀치롤러와; 상기 핀치아암에어 소정 거리 연장되어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에 접촉되는 간섭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회동유닛은, 상기 핀치아암과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회동되며, 상기 자기테이프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리뷰폴이 설치된 리뷰아암; 및 상기 리뷰아암 과 상기 핀치아암을 연결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간섭돌기는 상기 핀치아암에 일체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규제돌기는 상기 데크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이탈 방지유닛은, 상기 메인데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의 언로딩시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가 상기 삽입홈으로 이동되는 것을 간섭하는 회동유닛과; 상기 회동유닛을 연동시키도록 상기 메인데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동유닛의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연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데크에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데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 각각에 연동되게 연결되는 연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이탈 방지유닛은, 상기 메인데크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유닛이 상기 언로딩방향으로 이동되는 폴베이스 조립체에 밀려 이동되는 것을 강제로 규제하는 규제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장치는, 로딩모터(11)와 헤드드럼 조립체(12) 등과 같은 일련의 구동기구들이 설치되는 데크(10)와, 상기 데크(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폴베이스 조립체(20,30)와,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20,30)가 데크(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유닛(40)을 구비한다.
상기 데크(10)는 사방에 측벽이 일체로 형성된 소위 원샤시형 데크로서 기존의 서브데크가 삭제된 구조이다. 이 데크(10)에는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20,30) 각각이 결합되어 왕복 이동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3,14)이 형성된다, 각 가이드레일(13,14)은 폴베이스 조립체(20,30)가 조립을 위해 삽입되는 삽입홈(13a,14a)과, 상기 삽입홈(13a,14a)에 연결되는 슬릿(13b,14b)을 가진다. 상기 삽입홈(13a,14a)으로 삽입되어 결합된 폴베이스 조립체(20,30)는 상기 슬릿(13b,14b)을 따라 왕복 이동되면서 자기테이프를 헤드드럼(12)에 감기도록 로딩시키거나, 복귀시키도록 언로딩 된다.
상기 한 쌍의 폴베이스 조립체 (20,30) 각각은 가이드레일(13,14)을 따라 이동하는 폴베이스(21,31)와, 폴베이스(21,31)에 지지되어 자기테이프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23,25)(33,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들(23,25)(33,35)의 형상 및 수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러한 한 쌍의 폴베이스 조립체(20,30)는 각 삽입홈(13a,14a)에 삽입된 상태에서 링크(51,53)의 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링크(51,53)는 데크(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딩기어(52)(54)에 링크 연결된다. 상기 로딩기어들(52,54)는 서로 연동되어 회전되면서 폴베이스 조립체(20,30)를 로딩/언로딩시키게 된다.
상기 로딩기어들(52,54) 중 어느 하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10)에 설치된 메인캠기어(17)에 연결되어 연동된다. 상기 메인캠기어(17)는 미도시된 동력전달유닛을 통해 상기 로딩모터(1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이외에도, 상기 데크(10)에는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릴이 결합되는 한 상의 릴테이블(15,16)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폴베이스 조립체(20,30)가 상기 삽입홈(13a,14a)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링크(51,53)와 연결되더라도, 삽입홈(13a,14a)을 통해 다시 빠져나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탈 방지유닛(40)은 상기 가이드레일(13,14)에서 폴베이스 조립체(20,3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이탈 방지유닛(40)은 데크(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유닛(41)과, 상기 데크(10)에 설치되어 회동유닛(41)의 회동범위를 한정하는 연동유닛(60) 및 규제돌기(49)를 구비한다.
상기 회동유닛(41)은 데크(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핀치아암(42)과, 상기 핀치아암(42)에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함께 회동되는 리뷰아암(44) 및 핀치아암(42)과 리뷰아암(44)을 연결하는 스프링(46)을 구비한다. 상기 핀치아암(42)의 자유단부에는 핀치롤러(4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핀치아암(42)은 폴베이스 조립체(20,30)의 로딩시, 자기테이프의 주행을 가이드 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위치로 회동된다. 제1위치에서는 핀치롤러(43)가 캡스턴축(18a)에 압착되어 자기테이프의 주행을 가이드한다. 상기 캡스턴축(18a)은 데크(10)의 하측에 설치되는 캡스턴모터(18)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캡스턴모터(18)의 동력은 상기 릴테이블(15,16)을 구동시키는데 사용된다.
또한, 상기 리뷰아암(44)의 단부에는 리뷰폴(45)이 설치된다. 상기 리뷰아암 (44)이 핀치아암(42)과 함께 제1위치로 이동시, 리뷰폴(45)은 자기테이프의 주행을 가이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유닛(41)은 데크(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동유닛(60)에 의해 연동되어 회동범위가 제한된다. 상기 연동유닛(60)은 메인캠기어(17)에 의해 데크(10)에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61)와, 슬라이딩부재(61)와 회동유닛(41)을 연결시키는 연동부재(63)를 구비한다. 상기 연동유닛(60)과 회동유닛(41)의 연동메카니즘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61)는 메인캠기어(17)의 캠홈(17a)에 끼워지는 캠돌기(61a)를 가진다. 따라서, 메인캠기어(17)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M1방향 또는 M2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재(61)는 연동부재(63)에 의해 상기 회동유닛(41)에 연결된다. 상기 연동부재(63)의 일단에 마련된 회동핀(63a)은 데크(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연동부재(63)의 대략 중심에 마련된 연동핀(63b)은 슬라이딩부재(61)에 형성된 캠홈(61b)에 연결된다. 그리고, 연동부재(63)의 타단부에 마련된 캠홈(63c)에는 회동유닛(41)에 마련된 연동핀(44a)이 결합되어 연동된다. 연동핀(44a)은 리뷰아암(44)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61)가 M1 방향으로 이동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유닛(41)이 연동부재(63)에 연동되어 R 방향으로 회동되어 제1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도 4의 제1위치에서 슬라이딩부재(61)가 M2 방향으로 이동되면 회동유닛(41)은 다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위치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동유닛(41)은 슬라이딩부재(61)와 연동부재(63)의 상호 연동되는 메카니즘에 의해 그 회동범위가 한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핀치아암(42)에는 간섭돌기(42a)가 마련된다. 이 간섭돌기(42a)는 핀치아암(42)에서 소정 거리 즉, 폴베이스 조립체(30)의 이동경로와 교차할 수 있는 거리까지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섭돌기(42a)는 핀치아암(42)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폴베이스 조립체(30)에 접촉된다. 따라서, 폴베이스 조립체(30)가 언로딩시 삽입홈(14a)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규제돌기(49)는 데크(10)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이 규제돌기(49)는 상기 핀치아암(42)이 폴베이스 조립체(30)에 밀려서 강제로 더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핀치아암(42)이 제2위치에서 정지하도록 규제한다.
여기서, 상기 로딩기어(52,54)가 서로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폴베이스 조립체(20,30) 중에서 하나의 폴베이스 조립체(30)의 이동을 규제하면, 다른 폴베이스 조립체(20)가 삽입홈(13a)으로 이동되는 것도 함께 규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레일(13,14)에 결합된 폴베이스 조립체(20,30)는 상기 이탈 방지유닛(40)에 의해 삽입홈(13a,14a)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경우,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폴베이스 조립체(20)(30)를 데크(19)의 삽입홈(13a,14a)에 끼워 넣어서, 슬릿(13b,14b)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결합한다.
이어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딩기어(52)(54)를 각각 데크(1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한다. 이때, 일측 하나의 로딩기어(54)는 상기 로딩모터(11)와 동력적으로 연결되도록 메인캠기어(17)에 연결됨으로써, 회전 구동이 가능한 상태로 조립된다.
그리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폴베이스 조립체(20)(30)와 로딩기어(52)(54)를 각각 링크(51)(53)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조립하여 연동 가능한 상태로 조립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폴베이스 조립체(20)(30)를 데크(10)의 가이드레일(13,14)에 결합시켜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조립하고 난 뒤에, 상기 회동유닛(41)을 데크(10)에 조립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유닛(41)의 회동축공(41a)을 데크(10)에 돌출되게 설치된 고정축(10a)에 끼워서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연동부재(63)와 슬라이딩부재(61)를 데크(10)의 저면에 조립한다.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치아암(42)의 간섭돌기(42a)가 폴베이스 조립체(30)의 언로딩방향에 대해 앞서서 위치하도록 하여 조립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장치는, 도 2의 상태에서 메인캠기어(17)가 화살표 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 한 쌍의 폴베이스 조립체(20,30)는 각 가이드레일(13,14)을 따라서 헤드드럼(11) 쪽으로 이동하여 자기테이프를 헤드드럼(11)에 감기도록 이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슬라이딩부재(61)는 M1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연동부재(63)를 회동핀(63a)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서, 회동유닛(41)은 연동부재(63)에 연동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폴베이스 조립체(20,30)는 가이드레일(13,14)의 끝단으로 이동되고, 핀치롤러(43)는 화살표 X 방향으로 이동되어 캡스턴축(18a)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리뷰아암(44)은 연동부재(53)에 의해 화살표 T 방향으로 가압된다. 즉, 핀치롤러(43)가 캡스턴축(18a)에 접촉되기 전까지는 핀치아암(42)과 리뷰아암(44)이 동시에 회동된다. 그리고, 핀치롤러(43)가 캡스턴축(18a)에 접촉된 뒤에는 리뷰아암(44)만 더 가압되어 이동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핀치아암(42)은 리뷰아암(44)에 연결된 스프링(46)의 탄성력에 의해 캡스턴축(18a)에 밀착되어 그들(18a)(43) 사이로 주행하는 자기테이프를 가이드한다.
한편, 도 4의 상태에서 자기테이프의 언로딩을 위해서는 메인캠기어(17)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폴베이스 조립체(20,30)와 회동유닛(4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위치로 동시에 복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핀치아암(42)은 서로 연동되는 슬라이딩부재(61) 및 연동부재(63)의 이동범위가 한정됨에 따라서, 초기위치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 소정 위치에서 억제된다. 그러면, 상기 간섭돌기(42a)는 삽입홈(14a)에 인접된 부위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30)도 슬릿(14b)을 따라 삽입홈(14a) 쪽으로 복귀하다가 상기 간섭돌기(42a)에 접촉되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물론, 구동기어(52,54)에 의해 폴베이스 조립체(30)와 함께 연동하는 다른 폴베이스 조립체(20)도 삽입홈(13a) 쪽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멈추게 된다. 따라서, 폴베이스 조립체(20,30)가 삽입홈(13a,14a)을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크(10)에 규제돌기(49)를 형성시킴으로써, 핀치아암(4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범위를 더욱 견고하게 규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30)가 삽입홈(14a) 쪽으로 복귀하려는 힘이 더 작용하더라도 핀치아암(42)은 규제돌기(49)에 걸려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제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기 기록/재생장치에 따르면, 데크에 형성된 가이드레일로부터 폴베이스 조립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폴베이스 조립체의 이탈에 따른 기기의 고장이나 오동작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로딩시 헤드드럼에 자기테이프가 감겨지도록 안내하고, 언로딩시 상기 헤드드럼으로부터 자기테이프를 복귀시키는 폴베이스 조립체와;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의 로딩/언로딩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삽입홈에 연결된 슬릿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데크와;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된 폴베이스 조립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유닛은,
    상기 메인데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의 언로딩시,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가 상기 삽입홈으로 이동되는 것을 간섭하는 회동유닛과;
    상기 메인데크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유닛이 상기 언로딩방향으로 이동되는 폴베이스 조립체에 밀려 이동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유닛은,
    로딩시 상기 자기테이프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제1위치와, 언로딩시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의 이동을 억제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되게 상기 메인데크에 설치되는 핀치아암과;
    상기 핀치아암의 일단에 설치되는 핀치롤러와;
    상기 핀치아암에어 소정 거리 연장되어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에 접촉되는 간섭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유닛은,
    상기 핀치아암과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회동되며, 상기 자기테이프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리뷰폴이 설치된 리뷰아암; 및
    상기 리뷰아암과 상기 핀치아암을 연결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돌기는 상기 핀치아암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자기 기록/재생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돌기는 상기 데크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유닛은,
    상기 메인데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의 언로딩시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가 상기 삽입홈으로 이동되는 것을 간섭하는 회동유닛과;
    상기 회동유닛을 연동시키도록 상기 메인데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동유닛의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연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데크에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데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 각각에 연동되게 연결되는 연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 생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유닛은,
    상기 메인데크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유닛이 상기 언로딩방향으로 이동되는 폴베이스 조립체에 밀려 이동되는 것을 강제로 규제하는 규제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
KR1020040062283A 2004-08-09 2004-08-09 자기 기록/재생장치 KR2006001370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283A KR20060013705A (ko) 2004-08-09 2004-08-09 자기 기록/재생장치
US11/158,090 US20060028756A1 (en) 2004-08-09 2005-06-22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CNA2005100818073A CN1734613A (zh) 2004-08-09 2005-06-30 磁记录和再现装置
JP2005226692A JP2006054042A (ja) 2004-08-09 2005-08-04 磁気記録/再生装置
EP05107324A EP1626404A3 (en) 2004-08-09 2005-08-09 A tape de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283A KR20060013705A (ko) 2004-08-09 2004-08-09 자기 기록/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3705A true KR20060013705A (ko) 2006-02-14

Family

ID=36076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283A KR20060013705A (ko) 2004-08-09 2004-08-09 자기 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28756A1 (ko)
EP (1) EP1626404A3 (ko)
JP (1) JP2006054042A (ko)
KR (1) KR20060013705A (ko)
CN (1) CN1734613A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27592A1 (de) * 1980-07-14 1982-04-01 Canon K.K., Tokyo Kassettengeraet fuer magnetische aufnahme und/oder wiedergabe
JPS60187964A (ja) * 1984-03-06 1985-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テ−プ装置
US4975793A (en) * 1987-02-26 1990-12-0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Tape loading mechanism for causing a length of tape to travel along a rotary head drum
JPS63302459A (ja) * 1987-05-30 1988-12-09 Tanashin Denki Co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1140456A (ja) * 1987-11-27 1989-06-01 Nakamichi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
US5315459A (en) * 1989-12-18 1994-05-24 Canon Kabushiki Kaisha Video cassette recorder device
JP3253191B2 (ja) * 1993-09-28 2002-02-04 トウシバビデオプロダクツ プライベート リミテッド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9297950A (ja) * 1996-05-08 1997-11-18 Toshiba Corp 移動子案内装置
JP3629940B2 (ja) * 1998-03-19 2005-03-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26404A3 (en) 2008-02-27
CN1734613A (zh) 2006-02-15
JP2006054042A (ja) 2006-02-23
US20060028756A1 (en) 2006-02-09
EP1626404A2 (en) 200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30237B2 (ja)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KR0176513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
KR0176551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
KR20060013705A (ko) 자기 기록/재생장치
JP3878589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デッキメカニズム
KR100481523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릴브레이크 장치
JP200410322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ピンチローラーユニット
US6137649A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in which one of a reel base pair is rotated to wind a magnetic tape by a predetermined amount 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JP2926814B2 (ja)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KR200204185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테이프 가이드장치
JP2926815B2 (ja)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JPH0944946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20050120166A (ko) 데크플레이트 및 그것을 갖는 자기기록재생장치
KR100513857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데크메커니즘
JP3520057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20060018041A (ko) 자기 기록/재생장치
KR100792288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핀치롤러 구동메카니즘
KR100742324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
US20050134998A1 (en) Pole base assembly for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the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100579887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
JP3610848B2 (ja) テープ装置
JPS6331334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カセットホルダ
JP2724930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3198247A (ja)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JPS6316005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