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441A -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441A
KR20180057441A KR1020160156081A KR20160156081A KR20180057441A KR 20180057441 A KR20180057441 A KR 20180057441A KR 1020160156081 A KR1020160156081 A KR 1020160156081A KR 20160156081 A KR20160156081 A KR 20160156081A KR 20180057441 A KR20180057441 A KR 20180057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brake pedal
fixing
limit switch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8622B1 (ko
Inventor
최호경
Original Assignee
최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호경 filed Critical 최호경
Priority to KR1020160156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622B1/ko
Publication of KR20180057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5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with locking and release means, e.g. providing parking brake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4Stops for limiting movement of members, e.g. adjustable s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과 엑셀 페달이 위치되는 대시 패널에 위치 고정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에 형성되어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암을 결속하거나 결속 해제하여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잠금수단;과, 상기 고정패널 상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눌러지면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암에 접촉되어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눌러짐을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감지정보와 차량의 RPM 및 주행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잠금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제어부는 리미트 스위치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의 누름이 감지되는 동시에 차량의 RPM이 800 내지 1400으로 절감되면서 차량의 주행이 정지되는 3가지 조건이 만족되면 잠금수단을 통한 차량의 브레이크 자동 락킹이 수행되므로 종래의 기계식 오토브레이크 장치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을 갖는 잠금수단을 통해 브레이크 자동 락킹을 수행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차량에도 간편히 설치 사용할 수 있어 종래의 전자식 및 기계식 오토브레이크 장치의 장점을 모두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잠금수단의 오작동으로 인해 브레이크 페달의 눌림이 방해되더라도 안전수단을 통해 간편히 오작동을 보상하여 원활한 브레이크 작동을 유도할 수 있어 잠금수단의 오작동으로 인한 차량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장치의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Integral type automatic brake device}
본 발명은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부는 리미트 스위치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의 누름이 감지되는 동시에 차량의 RPM이 800 내지 1400으로 절감되면서 차량의 주행이 정지되는 3가지 조건이 만족되면 잠금수단을 통한 차량의 브레이크 자동 락킹이 수행되므로 종래의 기계식 오토브레이크 장치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을 갖는 잠금수단을 통해 브레이크 자동 락킹을 수행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차량에도 간편히 설치 사용할 수 있어 종래의 전자식 및 기계식 오토브레이크 장치의 장점을 모두 기대할 수 있는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운전하다 보면 신호대기나 교통 정체 등의 이유로 인해 차량이 정지되어 운전자가 장시간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이렇게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장시간 밟게 되면 다리에 힘이 들어 불편해 하거나 심하게는 통증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요즘 차량에는 운전자가 원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락킹(Locking)하여 브레이크를 밟지 않더라도 브레이크가 수행되도록 하는 전자식 오토브레이크 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전자식 오토브레이크 장치는 설치 비용이 높아 고가의 차량에만 적용되고 있는 실정으로 사용범용성이 낮고, 더욱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차량에는 적용이 곤란하여 더욱 사용범용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낮은 설치 비용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차량에 간편히 설치할 수 있는 기계식 오토브레이크 장치가 개발 적용되고 있지만, 기계식 오트브레이크 장치는 기계 장치의 빈번한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제어부는 리미트 스위치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의 누름이 감지되는 동시에 차량의 RPM이 800 내지 1400으로 절감되면서 차량의 주행이 정지되는 3가지 조건이 만족되면 잠금수단을 통한 차량의 브레이크 자동 락킹이 수행되므로 종래의 기계식 오토브레이크 장치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을 갖는 잠금수단을 통해 브레이크 자동 락킹을 수행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차량에도 간편히 설치 사용할 수 있어 종래의 전자식 및 기계식 오토브레이크 장치의 장점을 모두 기대할 수 있는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잠금수단의 오작동으로 인해 브레이크 페달의 눌림이 방해되더라도 안전수단을 통해 간편히 오작동을 보상하여 원활한 브레이크 작동을 유도할 수 있어 잠금수단의 오작동으로 인한 차량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장치의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는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과 엑셀 페달이 위치되는 대시 패널에 위치 고정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에 형성되어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암을 결속하거나 결속 해제하여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잠금수단;과, 상기 고정패널 상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눌러지면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암에 접촉되어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눌러짐을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감지정보와 차량의 RPM 및 주행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잠금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상기 리미트 스위치에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눌러짐이 감지되고, 동시에 차량의 RPM이 800 내지 1400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주행이 정지되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잠금수단을 작동시켜 눌러진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암을 결속 고정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더라도 브레이크 페달이 락킹(Locking)되어 차량의 정지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고정패널에 결합 고정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일단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되며, 타단은 브레이크 페달의 암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회동 바와, 상기 회동 바의 타단에 연결 고정되어 브레이크 페달의 암을 결속하는 고정돌기와, 일단은 상기 고정패널에 결합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동 바의 중심 부근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 바의 위치를 고정하되, 상기 회동 바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의 오작동으로 상기 고정돌기가 전방으로 이송되어 브레이크 페달의 암이 상기 고정돌기에 걸려 브레이크 페달이 눌러지지 않는 경우를 보상하여 안전하게 브레이크 페달이 눌러지게 하는 안전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안전수단은 상기 고정돌기를 상기 회동 바의 타단에 상기 회동 바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 고정시키는 회동핀과, 상기 회동 바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브레이크 페달 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해하는 고정턱과, 상기 고정돌기를 브레이크 페달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상기 고정돌기를 상기 고정턱에 밀착시키는 안전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브레이크 페달의 암에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설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위치 설정수단은 일단은 상기 리미트 스위치와 연결되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설정돌기과, 일단은 상기 고정패널에 결합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설정돌기의 나사산과 체결되어 상기 설정돌기의 위치를 설정하는 암나사홈이 형성되는 설정봉과, 상기 설정봉의 암나사홈에 내장되어 상기 설정돌기의 타단을 탄성 지지하여 상기 설정돌기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하는 지지스프링과, 상기 설정돌기와 리미트 스위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설정돌기와 리미트 스위치를 서로 연결하되, 상기 설정돌기에 의지하여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리미트 스위치에 브레이크 페달의 암이 접촉되는 충격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패널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고정패널 상에 형성되는 상기 잠금수단의 위치를 제어하는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고정패널을 대신하여 대시 패널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양측에는 상기 고정패널의 양측이 내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조절패널과, 상기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상기 조절패널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조절구멍과, 상기 고정패널의 하부에 상기 고정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제1조절구멍에 내입되어 상기 고정패널의 위치를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조절볼트와 함께 상기 고정패널의 위치를 고정하는 조절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의 회동 바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되는 제1 바와 상기 고정돌기와 연결되는 제2 바로 구분하고,
상기 제1 바의 타단에는 상기 제2 바의 일단이 내입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조절 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 홈에 내입되는 상기 제2 바의 일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제2조절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바의 타단에 상기 제2조절구멍과 연통되는 고정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멍과 제2조절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바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볼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동 바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회동 바에 고정되는 상기 고정돌기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의 회동 바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되는 제1 바와 상기 고정돌기와 연결되는 제2 바로 구분하고,
상기 제1 바(22a)의 타단에는 암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바의 일단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공과 체결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공에는 상기 제2 바의 일단을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스프링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바의 외측에는 상기 제1 바를 관통하여 상기 제2 바의 외측을 가압하여 상기 제2 바의 견고한 고정을 유도하는 가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동 바 전체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회동 바에 고정되는 상기 고정돌기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의 암이 결속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다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브레이크 페달의 암에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재접촉되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잠금수단을 통한 브레이크 페달 암의 결속을 해제하여 차량이 주행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잠금수단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의 암이 결속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엑셀 페달을 밟아 차량의 RPM이 증가하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잠금수단을 통한 브레이크 페달 암의 결속을 해제하여 차량이 주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에 의하면, 제어부는 리미트 스위치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의 누름이 감지되는 동시에 차량의 RPM이 800 내지 1400으로 절감되면서 차량의 주행이 정지되는 3가지 조건이 만족되면 잠금수단을 통한 차량의 브레이크 자동 락킹이 수행되므로 종래의 기계식 오토브레이크 장치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을 갖는 잠금수단을 통해 브레이크 자동 락킹을 수행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차량에도 간편히 설치 사용할 수 있어 종래의 전자식 및 기계식 오토브레이크 장치의 장점을 모두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잠금수단의 오작동으로 인해 브레이크 페달의 눌림이 방해되더라도 안전수단을 통해 간편히 오작동을 보상하여 원활한 브레이크 작동을 유도할 수 있어 잠금수단의 오작동으로 인한 차량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장치의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은 도 1에 도시된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의 분리 사시도를, 도 4은 도 1에 도시된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100)는 고정패널(10)과, 잠금수단(20)과, 리미트 스위치(30)와, 제어부(4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패널(10)은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1)과 엑셀 페달(3)이 위치되는 대시 패널(5)에 위치 고정되는 후설될 상기 잠금수단(20)과 리미트 스위치(30)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패널(10)은 접착제의 접착력 또는 볼트결합 방식을 통해 차량의 대시 패널(5)에 간편히 결합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방식으로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수단(20)은 상기 고정패널(10)에 형성되어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을 결속하거나 결속 해제하여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의 락킹을 결정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패널(10)에 결합 고정되는 솔레노이드 밸브(21)와, 일단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1)와 연결되며, 타단은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회동 바(22)와, 상기 회동 바(22)의 타단에 연결 고정되어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을 결속하는 고정돌기(23)와, 일단은 상기 고정패널(10)에 결합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동 바(22)의 중심 부근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 바(22)의 위치를 고정하되, 상기 회동 바(22)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1)와 상기 회동 바(22)는 링크(6) 연결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1) 작동에 의해 위치가 변화되는 상기 회동 바(22) 일단의 부하를 보상하여 장치의 안정적인 작동을 유도함은 물론이다.
즉,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1)을 밟은 상태에서 브레이크 락킹이 요구되면 상기 잠금수단(20)의 솔레노이드 밸브(21)가 상기 회동 바(22)의 일단을 후방으로 당겨 상기 회동 바(22)를 상기 회전축(24)을 기준으로 회동시켜 상기 회동 바(22)의 타단을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이 위치되는 전방으로 이송시킴으로, 상기 회동 바(22)의 타단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돌기(23)에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이 결속되어 브레이크가 락킹되도록 하고,
반대로,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이 요구되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1)가 상기 회동 바(22)의 일단을 전방으로 밀어 복귀시켜 상기 회동 바(22)의 타단이 상기 고정돌기(24)와 함께 후방으로 이송 복귀되게 하여 상기 고정돌기(24)를 통한 브레이크 페달(1) 암(2)의 결속이 해제되어 차량이 주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1)는 후설될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수단(20)의 오작동으로 상기 고정돌기(23)가 전방으로 이송되어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이 상기 고정돌기(23)에 걸려 브레이크 페달(1)이 눌러지지 않는 경우를 보상하여 안전하게 브레이크 페달(1)이 눌러지게 하는 안전수단(5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안전수단(50)은 상기 고정돌기(23)를 상기 회동 바(22)의 타단에 상기 회동 바(22)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 고정시키는 회동핀(51)과, 상기 회동 바(22)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23)가 브레이크 페달(1) 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해하는 고정턱(52)과, 상기 고정돌기(23)를 브레이크 페달(1)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상기 고정돌기(23)를 상기 고정턱(52)에 밀착시키는 안전스프링(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수단(20)의 오작동으로 상기 고정돌기(23)가 전방으로 이송되어 상기 고정돌기(23)에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이 걸린 상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1)을 밟으면, 그 밟는 힘에 의해 상기 고정돌기(23)가 회동핀(51)을 기준으로 대시 패널(5) 측으로 회동되면서 브레이크 페달(1)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아 자연스럽게 브레이크 페달(1)이 밟혀 브레이크 페달(1)의 작동이 원활하게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수단(20)의 오작동으로 인해 브레이크 페달(1)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을 상기 안전수단(50)을 통해 보상할 수 있어 상기 잠금수단(20)의 오작동으로 인한 차량의 안전사고를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안전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20)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잠금수단(20)의 고정돌기(23)에 의해 눌러진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이 결속되는 경우에 상기 고정돌기(23)는 상기 고정턱(52)에 의지하여 견고히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상기 고정돌기(23)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을 안정적으로 결속 고정하여 브레이크 락킹을 유지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미트 스위치(30)는 상기 고정패널(10) 상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이 눌러지면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에 접촉되어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의 눌러짐을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제어부(40)로 전송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30)의 감지정보는 상기 제어부(40)에서 상기 잠금수단(20)의 작동을 결정하는 판단 기준되므로, 상기 리미트 스위치(30)는 운전자가 브레이크의 락킹을 수행할 의지로 브레이크 페달(1)을 깊이 밟았을 때 브레이크 페달(1)의 암(2)과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적합하게 리미트 스위치(30)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설정수단(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설정수단(60)은 일단은 상기 리미트 스위치(30)와 연결되고, 외주면에는 나사산(61a)이 형성되는 설정돌기(61)과, 일단은 상기 고정패널(10)에 결합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설정돌기(61)의 나사산(61a)과 체결되어 상기 설정돌기(61)의 위치를 설정하는 암나사홈(62a)이 형성되는 설정봉(62)과, 상기 설정봉(62)의 암나사홈(62a)에 내장되어 상기 설정돌기(61)의 타단을 탄성 지지하여 상기 설정돌기(61)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하는 지지스프링(63)과, 상기 설정돌기(61)와 리미트 스위치(3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설정돌기(61)와 리미트 스위치(30)를 서로 연결하되, 상기 설정돌기(61)에 의지하여 상기 리미트 스위치(30)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리미트 스위치(30)에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이 접촉되는 충격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탄성스프링(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미트 스위치(30)와 브레이크 페달(1)의 암(2) 사이의 거리가 멀어 상기 리미트 스위치(30)와 브레이크 페달(1)의 암(2)과 접촉이 곤란하면, 상기 설정돌기(61)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설정돌기(61)와 함께 상기 리미트 스위치(30)를 브레이크 페달(1) 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리미트 스위치(30)와 브레이크 페달(1)의 암(2) 사이의 거리를 절감시켜 상기 리미트 스위치(30)와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이 용이하게 접촉되게 하고,
반대로, 상기 리미트 스위치(30)와 브레이크 페달(1)의 암(2) 사이의 거리가 가까우면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에 상기 리미트 스위치(30)에 강하게 충돌될 수 있으므로, 상기 설정돌기(61)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설정돌기(61)와 함께 상기 리미트 스위치(30)를 대시 패널(5) 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리미트 스위치(30)와 브레이크 페달(1)의 암(2) 사이의 거리를 증대시켜 상기 리미트 스위치(30)와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이 안전하게 접촉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돌기(61)의 회전을 통해 상기 리미트 스위치(30)의 위치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지지스프링(63)에 의해 상기 설정돌기(61)가 탄성 지지되므로 상기 설정돌기(61)의 임의 회전이 방지되어 설정된 상기 리미트 스위치(30)의 위치가 견고히 고정 유지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위치 설정수단(60)을 통해 상기 리미트 스위치(30)의 위치가 정밀하게 설정되더라도, 상기 리미트 스위치(30)와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의 접촉에 의한 미약한 충격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충격은 상기 리미트 스위치(30)를 탄성 지지하는 상기 제1탄성스프링(64)에서 흡수 해소할 수 있어 상기 리미트 스위치(30)가 장기적으로 미약한 충격에 노출되더라도 손상이나 파손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미트 스위치(30)를 대신하여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센서 등과 같은 감지센서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1)의 눌러짐을 감지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30)의 감지정보와 차량의 RPM 및 주행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잠금수단(2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을 밟아 상기 리미트 스위치(30)에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의 눌러짐이 감지되고, 동시에 차량의 RPM이 800 내지 1400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주행이 정지(차량속도:0㎞/h)되면, 상기 제어부(40)에서 상기 잠금수단(20)을 작동시켜 눌러진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을 결속 고정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1)을 밟지 않더라도 브레이크 페달(1)이 락킹(Locking)되어 차량의 정지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후,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이 요구되면 상기 잠금수단(20)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이 결속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다시 브레이크 페달(1)을 밟아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에 상기 리미트 스위치(30)가 재접촉되면 상기 제어부(40)에서 상기 잠금수단(20)을 통한 브레이크 페달(1) 암(2)의 결속을 해제하여 차량이 주행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잠금수단(20)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이 결속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엑셀 페달(3)을 밟아 차량의 RPM이 증가하면 상기 제어부(40)에서 상기 잠금수단(20)을 통한 브레이크 페달(1) 암(2)의 결속을 해제하여 차량이 주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패널(10)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고정패널(10) 상에 형성되는 상기 잠금수단(20)의 위치를 제어하는 조절수단(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조절수단(70)은 상기 고정패널(10)을 대신하여 대시 패널(5)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양측에는 상기 고정패널(10)의 양측이 내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슬라이드 홈(71a)이 형성되는 조절패널(71)과, 상기 슬라이드 홈(71a)이 형성되는 상기 조절패널(71)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조절구멍(72)과, 상기 고정패널(10)의 하부에 상기 고정패널(10)을 관통하여 상기 제1조절구멍(72)에 내입되어 상기 고정패널(10)의 위치를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조절볼트(73)와, 상기 조절볼트(73)에 체결되어 상기 조절볼트(73)와 함께 상기 고정패널(10)의 위치를 고정하는 조절너트(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상 차량의 종류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의 위치가 다양하게 형성되므로, 본 발명의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100)를 대시 패널(5)에 설치한 후에 장치의 정확한 작동을 유도하기 위해 브레이크 페달(1)의 암(2)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잠금수단(20)의 적합한 위치를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차량의 대시 패널(5)에 상기 조절패널(71)을 설치 고정한 후,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의 암(2)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고정패널(10)을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켜 상기 고정패널(10)과 함께 이송되는 상기 잠금수단(20)의 위치를 정밀하게 설정하고,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조절볼트(73)를 상기 제1조절구멍(71)에 관통 위치시킨 후에 상기 조절볼트(73) 끝단에 상기 조절너트(74)를 체결 결속하여 상기 고정패널(10)과 함께 상기 잠금수단(20)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 고정한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수단(20)의 회동 바(22)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1)와 연결되는 제1 바(22a)와 상기 고정돌기(23)와 연결되는 제2 바(22b)로 구분하고,
상기 제1 바(22a)의 타단에는 상기 제2 바(22b)의 일단이 내입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조절 홈(81)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 홈(81)에 내입되는 상기 제2 바(22b)의 일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제2조절구멍(8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바(22a)의 타단에 상기 제2조절구멍(82)과 연통되는 고정구멍(83)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멍(83)과 제2조절구멍(82)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바(22b)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볼트(84)와 상기 고정볼트(84)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볼트(84)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너트(8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동 바(22)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회동 바(22)에 고정되는 상기 고정돌기(23)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하도록 한다.
즉, 상기 조절수단(70)을 통해 상기 잠금수단(20)의 위치가 설정 완료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바(22a)의 조절 홈(81)에 상기 제2 바(22b)를 슬라이드 시켜 상기 회동 바(22)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회동 바(22) 끝단에 고정되는 상기 고정돌기(23)의 위치를 브레이크 페달(1)의 암(2) 위치를 고려하여 정밀 설정하고,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볼트(84)로 상기 고정구멍(83)과 제2조절구멍(82)을 관통 위치시켜 상기 제2 바(22b)의 위치를 고정한 후, 상기 고정볼트(84)에 고정너트(85)를 체결하여 상기 회동 바(22)의 길이 조절을 완료한다.
따라서, 상기 조절수단(70)을 통한 상기 잠금수단(20)의 위치 설정과 함께 상기 회동 바(22)의 길이 조절을 통한 상기 고정돌기(23)의 위치 설정을 통해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을 안정적으로 결속할 수 있는 상기 고정돌기(23)의 정밀한 위치를 간편히 설정하여 장치의 용이한 작동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수단(20)의 회동 바(22)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1)와 연결되는 제1 바(22a)와 상기 고정돌기(23)와 연결되는 제2 바(22b)로 구분하고,
상기 제1 바(22a)의 타단에는 암나사공(86)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바(22b)의 일단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공(86)과 체결되는 수나사산(87)이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공(86)에는 상기 제2 바(22b)의 일단을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스프링(88)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바(22a)의 외측에는 상기 제1 바(22a)를 관통하여 상기 제2 바(22b)의 외측을 가압하여 상기 제2 바(22b)의 견고한 고정을 유도하는 가압볼트(8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동 바(22) 전체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회동 바(22)에 고정되는 상기 고정돌기(23)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바(22a)의 암나사공(86)에 체결되는 상기 제2 바(22b)의 회전을 통해 상기 회동 바(22) 전체의 길이를 간편히 조절하며, 상기 회동 바(22)의 길이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가압볼트(89)를 통해 상기 제2 바(22b)의 외측을 가압하여 상기 제2 바(22b)가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탄성스프링(88)이 상기 제2 바(22b)의 일단을 탄성 지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2 바(22b)의 회전이 방지되어 상기 제2 바(22b)의 위치가 더욱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회동 바(22)의 길이 조절을 통한 상기 고정돌기(23)의 위치 설정을 통해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을 안정적으로 결속할 수 있는 상기 고정돌기(23)의 정밀한 위치를 간편히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100)는 제어부(40)에서 리미트 스위치(30)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1)의 누름을 감지하는 동시에 차량의 RPM이 800 내지 1400으로 절감되면서 차량의 주행이 정지되는 3가지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잠금수단(20)을 통한 차량의 브레이크 자동 락킹이 수행되므로 종래의 기계식 오토브레이크 장치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을 갖는 상기 잠금수단(20)을 통해 브레이크 자동 락킹을 수행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차량에도 간편히 설치 사용할 수 있어 종래의 전자식 및 기계식 오토브레이크 장치의 장점을 모두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20)의 오작동으로 인해 브레이크 페달(1)의 눌림이 방해되더라도 상기 안전수단(50)을 통해 간편히 오작동을 보상하여 원활한 브레이크 작동을 유도할 수 있어 상기 잠금수단(20)의 오작동으로 인한 차량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장치의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100)를 차량의 대시 패널(5)에 설치한 후, 조절수단(70)을 통해 고정패널과 함께 잠금수단(20)의 적합한 위치를 조절 설정한다.
그런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수단(20)의 회동 바(22)의 길이 조절을 통해 상기 회동 바(22) 끝단에 고정되는 고정돌기(23)의 위치를 브레이크 페달(1) 암(2)의 위치를 고려하여 적합하게 설정 배치한다.
그런 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설정수단(60)을 통해 리미트 스위치(30)의 적합한 위치를 설정하여 본 발명의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100)의 설치를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가 완료된 후,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는 과정에서 브레이크 락킹을 위해 브레이크 페달(1)을 깊숙이 밟아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이 리미트 스위치(30)에 접촉되면, 제어부(40)에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30)의 감지정보와 함께 차량의 RPM 800 내지 1400으로 유지되고 차량의 주행이 정지되는 조건이 모두 만족되면 상기 잠금수단(20)을 통해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을 결속하여 브레이크를 락킹한다.
그런 후,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이 요구되면 운전자는 브레이크 페달(1)을 다시 한번 밟아 상기 리미트 스위치(30)를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40)에서 상기 잠금수단(20)을 통한 브레이크 락킹을 해제하여 차량이 주행되게 한다.
여기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1)을 통해 상기 리미트 스위치(30)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브레이크 락킹을 해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엑셀 페달(3)을 통한 차량의 RPM 증가를 통해 브레이크 락킹을 해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본 발명의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100)를 통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매우 간편히 브레이크 락킹을 수행 또는 해제할 수 있어 차량을 편리하게 운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브레이크 페달 2. 암
3. 엑셀 페달 5. 대시 패널
6. 링크
10. 고정패널 20. 잠금수단
21. 솔레노이드 밸브 22. 회동 바
22a. 제1 바 22b. 제2 바
23. 고정돌기 24. 회전축
30. 리미트 스위치 40. 제어부
50. 안전수단 51. 회동핀
52. 고정턱 53. 안전스프링
60. 위치 설정수단 61. 설정돌기
61a. 나사산 62. 설정봉
62a. 암나사홈 63. 지지스프링
64. 제1탄성스프링 70. 조절수단
71. 조절패널 72. 슬라이드 홈
72. 제1조절구멍 73. 조절볼트
74. 조절너트 81. 조절 홈
82. 제2조절구멍 83. 고정구멍
84. 고정볼트 85. 고정너트
86. 암나사공 87. 수나사산
88. 제2탄성스프링 89. 가압볼트
100.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

Claims (8)

  1.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1)과 엑셀 페달(3)이 위치되는 대시 패널(5)에 위치 고정되는 고정패널(10);
    상기 고정패널(10)에 형성되어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을 결속하거나 결속 해제하여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잠금수단(20);
    상기 고정패널(10) 상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이 눌러지면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에 접촉되어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의 눌러짐을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제어부(40)로 전송하는 리미트 스위치(30);
    상기 리미트 스위치(30)의 감지정보와 차량의 RPM 및 주행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잠금수단(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을 밟아 상기 리미트 스위치(30)에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의 눌러짐이 감지되고, 동시에 차량의 RPM이 800 내지 1400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주행이 정지되면, 상기 제어부(40)에서 상기 잠금수단(20)을 작동시켜 눌러진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을 결속 고정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1)을 밟지 않더라도 브레이크 페달(1)이 락킹(Locking)되어 차량의 정지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20)은,
    상기 고정패널(10)에 결합 고정되는 솔레노이드 밸브(21)와,
    일단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1)와 연결되며, 타단은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회동 바(22)와,
    상기 회동 바(22)의 타단에 연결 고정되어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을 결속하는 고정돌기(23)와,
    일단은 상기 고정패널(10)에 결합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동 바(22)의 중심 부근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 바(22)의 위치를 고정하되, 상기 회동 바(22)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24)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1)는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20)의 오작동으로 상기 고정돌기(23)가 전방으로 이송되어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이 상기 고정돌기(23)에 걸려 브레이크 페달(1)이 눌러지지 않는 경우를 보상하여 안전하게 브레이크 페달(1)이 눌러지게 하는 안전수단(5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안전수단(50)은,
    상기 고정돌기(23)를 상기 회동 바(22)의 타단에 상기 회동 바(22)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 고정시키는 회동핀(51)과,
    상기 회동 바(22)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23)가 브레이크 페달(1) 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해하는 고정턱(52)과,
    상기 고정돌기(23)를 브레이크 페달(1)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상기 고정돌기(23)를 상기 고정턱(52)에 밀착시키는 안전스프링(5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30)가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에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리미트 스위치(30)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설정수단(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위치 설정수단(60)은,
    일단은 상기 리미트 스위치(30)와 연결되고, 외주면에는 나사산(61a)이 형성되는 설정돌기(61)과,
    일단은 상기 고정패널(10)에 결합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설정돌기(61)의 나사산(61a)과 체결되어 상기 설정돌기(61)의 위치를 설정하는 암나사홈(62a)이 형성되는 설정봉(62)과,
    상기 설정봉(62)의 암나사홈(62a)에 내장되어 상기 설정돌기(61)의 타단을 탄성 지지하여 상기 설정돌기(61)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하는 지지스프링(63)과,
    상기 설정돌기(61)와 리미트 스위치(3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설정돌기(61)와 리미트 스위치(30)를 서로 연결하되, 상기 설정돌기(61)에 의지하여 상기 리미트 스위치(30)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리미트 스위치(30)에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이 접촉되는 충격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탄성스프링(6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10)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고정패널(10) 상에 형성되는 상기 잠금수단(20)의 위치를 제어하는 조절수단(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조절수단(70)은,
    상기 고정패널(10)을 대신하여 대시 패널(5)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양측에는 상기 고정패널(10)의 양측이 내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슬라이드 홈(71a)이 형성되는 조절패널(71)과,
    상기 슬라이드 홈(71a)이 형성되는 상기 조절패널(71)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조절구멍(72)과,
    상기 고정패널(10)의 하부에 상기 고정패널(10)을 관통하여 상기 제1조절구멍(72)에 내입되어 상기 고정패널(10)의 위치를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조절볼트(73)와,
    상기 조절볼트(73)에 체결되어 상기 조절볼트(73)와 함께 상기 고정패널(10)의 위치를 고정하는 조절너트(7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20)의 회동 바(22)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1)와 연결되는 제1 바(22a)와 상기 고정돌기(23)와 연결되는 제2 바(22b)로 구분하고,
    상기 제1 바(22a)의 타단에는 상기 제2 바(22b)의 일단이 내입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조절 홈(81)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 홈(81)에 내입되는 상기 제2 바(22b)의 일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제2조절구멍(8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바(22a)의 타단에 상기 제2조절구멍(82)과 연통되는 고정구멍(83)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멍(83)과 제2조절구멍(82)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바(22b)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볼트(84)와 상기 고정볼트(84)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볼트(84)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너트(8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동 바(22) 전체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회동 바(22)에 고정되는 상기 고정돌기(23)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20)의 회동 바(22)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1)와 연결되는 제1 바(22a)와 상기 고정돌기(23)와 연결되는 제2 바(22b)로 구분하고,
    상기 제1 바(22a)의 타단에는 암나사공(86)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바(22b)의 일단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공(86)과 체결되는 수나사산(87)이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공(86)에는 상기 제2 바(22b)의 일단을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스프링(88)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바(22a)의 외측에는 상기 제1 바(22a)를 관통하여 상기 제2 바(22b)의 외측을 가압하여 상기 제2 바(22b)의 견고한 고정을 유도하는 가압볼트(8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동 바(22) 전체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회동 바(22)에 고정되는 상기 고정돌기(23)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
    즉, 상기 제1 바(22a)의 암나사공(86)에 체결되는 상기 제2 바(22b)의 회전을 통해 상기 회동 바(22) 전체의 길이를 간편히 조절하며, 상기 회동 바(22)의 길이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가압볼트(89)를 통해 상기 제2 바(22b)의 외측을 가압하여 상기 제2 바(22b)가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탄성스프링(88)이 상기 제2 바(22b)의 일단을 탄성 지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2 바(22b)의 회전이 방지되어 상기 제2 바(22b)의 위치가 더욱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20)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이 결속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다시 브레이크 페달(1)을 밟아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에 상기 리미트 스위치(30)가 재접촉되면 상기 제어부(40)에서 상기 잠금수단(20)을 통한 브레이크 페달(1) 암(2)의 결속을 해제하여 차량이 주행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잠금수단(20)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이 결속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엑셀 페달(3)을 밟아 차량의 RPM이 증가하면 상기 제어부(40)에서 상기 잠금수단(20)을 통한 브레이크 페달(1) 암(2)의 결속을 해제하여 차량이 주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
KR1020160156081A 2016-11-22 2016-11-22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 KR101968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081A KR101968622B1 (ko) 2016-11-22 2016-11-22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081A KR101968622B1 (ko) 2016-11-22 2016-11-22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441A true KR20180057441A (ko) 2018-05-30
KR101968622B1 KR101968622B1 (ko) 2019-04-12

Family

ID=62300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081A KR101968622B1 (ko) 2016-11-22 2016-11-22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6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439A (ko) * 2016-11-22 2018-05-30 최호경 실용성을 갖는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
CN113532849A (zh) * 2021-07-05 2021-10-22 江苏双菊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卡车离合器踏板总成制造性能测试系统及测试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784A (ko) * 2003-02-19 2004-08-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발목상해 방지용 능동 브레이크 페달 시스템
KR20110062739A (ko) * 2009-12-04 2011-06-10 강석호 간편히 설치되는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
KR20130029537A (ko) * 2011-09-15 2013-03-25 남상인 자동차 브레이크의 제동력 유지장치
KR101504471B1 (ko) * 2014-11-18 2015-03-20 (주)마하 설치 및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
KR20180057439A (ko) * 2016-11-22 2018-05-30 최호경 실용성을 갖는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784A (ko) * 2003-02-19 2004-08-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발목상해 방지용 능동 브레이크 페달 시스템
KR20110062739A (ko) * 2009-12-04 2011-06-10 강석호 간편히 설치되는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
KR20130029537A (ko) * 2011-09-15 2013-03-25 남상인 자동차 브레이크의 제동력 유지장치
KR101504471B1 (ko) * 2014-11-18 2015-03-20 (주)마하 설치 및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
KR20180057439A (ko) * 2016-11-22 2018-05-30 최호경 실용성을 갖는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439A (ko) * 2016-11-22 2018-05-30 최호경 실용성을 갖는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
CN113532849A (zh) * 2021-07-05 2021-10-22 江苏双菊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卡车离合器踏板总成制造性能测试系统及测试方法
CN113532849B (zh) * 2021-07-05 2024-01-30 江苏双菊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卡车离合器踏板总成制造性能测试系统及测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622B1 (ko) 2019-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4398B2 (en) Pedal device
KR101968622B1 (ko)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
BR112015001167B1 (pt) Dispositivo de freio de estacionamento de um veículo e veículo
KR101968616B1 (ko) 실용성을 갖는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
KR20180106535A (ko) 통합일체형 오토브레이크 장치
JP2013039884A (ja) 緊急ブレーキシステム
JP3217039U (ja) アクセルペダル誤動作解消装置
WO2018186368A1 (ja) アクセルペダル誤動作解消装置
KR20180106534A (ko) 실용성을 갖는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
US6241068B1 (en) Shift lever assembly with a pre-load releasable interlock
EP1108921B1 (en) Locking apparatus for change lever of vehicle
EP0106735A1 (en) Mechanical brake control device
US20040182193A1 (en) Pedal support with coupled functions
KR200429582Y1 (ko) 차량 브레이크 자동 잠금 및 해제 장치
EP0201694B1 (en) Improved brake control device
KR102341429B1 (ko) 차량용 브레이크 록킹장치
US7909731B2 (en) Vehicle shift module assembly
KR101779383B1 (ko) 차량용 스위치의 결합 시스템
JP2014024504A (ja) 過剰踏込検知装置
US11619962B2 (en) Retainer for brake booster rod
AU2006225706B2 (en) Accelerator pedal operation device
CN211918472U (zh) 歇脚板总成及车辆
JPS5830750Y2 (ja) ペダル操作感知装置
JPH078288Y2 (ja) 自動車の制御装置
KR0151328B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