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164A - 밴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포밍장치 - Google Patents

밴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포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164A
KR20180056164A KR1020160154056A KR20160154056A KR20180056164A KR 20180056164 A KR20180056164 A KR 20180056164A KR 1020160154056 A KR1020160154056 A KR 1020160154056A KR 20160154056 A KR20160154056 A KR 20160154056A KR 20180056164 A KR20180056164 A KR 20180056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hole
coupled
installation hole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4041B1 (ko
Inventor
이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서오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서오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서오토텍
Priority to KR1020160154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041B1/ko
Publication of KR20180056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6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in press brakes or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Pliers with form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2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8Lubricating, e.g. lubricating tool and workpiece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21Control or correction devices in association with moving strips
    • B21D43/023Centering devices, e.g. edge gu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2Ejec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구성이 간단하고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는 밴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포밍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밴딩장치는 본체부, 메인기어부, 밴딩부 그리고 푸시부를 포함한다. 본체부는 밴딩장치의 몸체를 형성하고, 제1설치홀과, 제1설치홀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으로 복수의 제2설치홀이 관통 형성되는 전면플레이트를 가진다. 메인기어부는 본체부의 내부에 제1설치홀과 같은 중심축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밴딩부는 제2설치홀에 구비되고, 메인기어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1설치홀의 반경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소재를 가압하여 밴딩한다. 그리고 푸시부는 제1설치홀에 결합되고, 밴딩부에 의해 밴딩 성형된 소재를 밀어낸다.

Description

밴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포밍장치{BENDING APPARATUS AND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밴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포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단하고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는 밴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포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밍장치는 정밀 부품을 가공하는 설비로서, 띠 형상의 판재 및 선재 등의 소재를 공급하는 소재 공급장치와, 소재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소재에 홈이나 구멍 등을 형성하는 프레스장치와, 다수의 펀치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소재를 다양한 형상으로 밴딩하는 밴딩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포밍장치는 여러 가지 모양의 자동차 부품, 휴대폰 부품, 컴퓨터 부품 등을 생산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보통 포밍장치는 띠 형상의 금속판재를 권취 드럼으로부터 공급하는 공급부, 공급되는 금속판재를 곧게 펴주는 역할을 하는 레벨부, 레벨부에서 공급되는 금속판재를 만들고자 하는 치수로 설정하여 프레스나 포밍기로 이송하는 피딩부, 금속판재에 홈 및/또는 구멍 등을 형성하는 프레스,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펀치로 금속판재를 절단함과 아울러 포밍하는 포밍기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포밍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제품은 다양한 종류와 기능을 가지는 것들이 여러 분야에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각각의 제품들은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가공을 거치게 된다. 이를 위해 최근의 멀티 포밍기들은 각종 기능들을 추가로 구비하여 제품의 사양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한국 공개특허 10-2010-0115185호에는 압연기능이 융합된 멀티포밍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압연기능이 융합된 멀티포밍기는 프레스 공정과 포밍 공정이 이루어지는 각 영역 사이에 압연기를 배치하여, 금속판재에 대한 압연가공을 전체 공정과 연계시켜 수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압연가공이 가능한 멀티 포밍기의 경우 별도의 압연 처리된 고가의 원재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압연처리가 이루어진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등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밴딩장치는 밴딩된 소재를 밀어내기 위한 구성이 마련되는데, 구성품이 많고, 각 구성품 간에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장시간 작동 시에 구성 부분의 헐거워짐 등으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구성품이 적고, 단순한 작동 메커니즘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내구성도 증대될 수 있는 밴딩장치가 요구된다.
공개특허공보 제2010-0115185호(2010.10.27. 공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성이 간단하고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는 밴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포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몸체를 형성하고, 전면플레이트에 제1설치홀과, 상기 제1설치홀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으로 복수의 제2설치홀이 관통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상기 제1설치홀과 같은 중심축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메인기어부; 상기 제2설치홀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기어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설치홀의 반경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소재를 가압하여 밴딩하는 밴딩부; 그리고 상기 제1설치홀에 결합되고, 상기 밴딩부에 의해 밴딩 성형된 소재를 밀어내는 푸시부를 포함하는 밴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는 상기 제1설치홀에 상기 제1설치홀과 같은 중심축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메인기어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마운트부와, 상기 슬라이드홀의 내측에 구비되고, 일단부에는 복수의 장착공이 형성되는 이젝터바와, 상기 이젝터바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제1롤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장바를 가지는 코어부와, 상기 제1설치홀에 상기 제1마운트부와 같은 중심축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중앙에는 상기 이젝터바의 장착공이 노출되도록 개방홀이 관통 형성되는 제2마운트부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일면에는 상기 제1롤이 결합되며, 상기 제1롤의 회전을 가이드하여 상기 코어부가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하는 안내홈이 함몰 형성되는 캠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1반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1안내홈과, 상기 제1안내홈과 연결되고, 상기 제1반지름보다 큰 제2반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롤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하는 제2안내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바의 표면에는 윤활물질이 수용되는 그루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마운트부에는 상기 밴딩부에 의한 밴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소재가 위치되는 밴딩금형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밴딩금형에는 제1위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마운트부에는 상기 제1위치공에 대응되는 제2위치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위치공 및 제2위치공에는 제1체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에는 상기 밴딩금형에 구비되고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밴딩된 소재를 밀어내는 푸시바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는 상기 제2설치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설치홀의 중심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설치홀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제1축이 결합되는 베이스와, 상기 제1축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기어부와 기어 결합되어 상기 메인기어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보조기어와, 상기 제1축에 결합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외측에 구비되되,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상기 보조기어의 회전 시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캠 및 제2캠과,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제1캠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1롤러가 가압되면 상기 제1설치홀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캠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2롤러가 가압되면 상기 제1설치홀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소재를 가압하여 밴딩하는 밴딩툴이 결합되는 슬라이더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에서 상기 소재를 가압하여 밴딩하는 일행정과, 상기 밴딩부에서 밴딩 성형된 소재를 상기 푸시부에서 밀어내는 일행정은 동일한 행정 시간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소재를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공급하는 소재 공급장치; 상기 소재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소재를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스탬핑하는 프레싱장치; 그리고 상기 프레싱장치에서 공급되는 소재를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밴딩하는 밴딩장치를 포함하는 포밍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종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캠부의 일면에는 서로 다른 반지름을 가지도록 안내홈이 함몰 형성되고, 안내홈에는 코어부의 제1롤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캠부가 일방향으로 회전 시에, 제1롤이 제1안내홈 및 제2안내홈으로 유입되면서 이젝터바가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부의 왕복 이동을 위한 구성이 코어부 및 캠부로 이루어지므로 구성요소가 적어질 수 있다. 또한, 캠부와 코어부 간에 작동이 제1롤을 중심으로 하는 부분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작동 메커니즘이 간단하여 내구성도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밍장치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딩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딩장치의 밴딩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딩장치의 밴딩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작동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딩장치의 캠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딩장치의 푸시부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딩장치의 푸시부의 작동예를 나타내 작동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딩장치와 금형의 결합예를 나타내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밍장치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포밍장치는 소재 공급장치(100), 프레싱장치(200) 그리고 밴딩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재 공급장치(100)는 소재(M)를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싱장치(200)는 소재 공급장치(100)에서 공급되는 소재(M)를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스탬핑(Stamping)할 수 있다. 상기 스탬핑 공정을 통해, 소재(M)에는 다양한 형상의 구멍이 뚫리거나, 소재(M)의 테두리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밴딩장치(300)는 프레싱장치(200)에서 공급되는 소재(M)를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밴딩할 수 있다. 밴딩장치(300)를 거침으로써, 소재(M)는 최종 제품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포밍장치는 직선교정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직선교정장치(400)는 소재(M)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되어 소재(M)를 가압하는 복수의 롤러(410)를 가질 수 있으며, 직선교정장치(400)를 거치는 소재(M)는 곧게 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밴딩장치(3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딩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밴딩장치(300)는 본체부(310), 메인기어부(320), 밴딩부(330) 그리고 푸시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310)는 밴딩장치(300)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전(前)면플레이트(311)를 가질 수 있다. 전면플레이트(311)에는 제1설치홀(312)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설치홀(312)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으로 복수의 제2설치홀(31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메인기어부(320)는 본체부(3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메인기어부(320)는 제1설치홀(312)과 같은 중심축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메인기어부(320)는 푸시부(350)의 제1마운트부(351)와 베어링(322)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기어부(320)는 동력부(5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동력부(500)에서 제공되는 동력은 구동축(501)에 결합된 제1베벨기어(502)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1베벨기어(502)로 전달되는 동력은 제1베벨기어(502)와 기이 결합되는 제2베벨기어(503)를 통해 제2베벨기어(503)와 결합되는 제1종동축(504)에 전달될 수 있다. 제1종동축(504)에는 종동기어(50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종동기어(505)는 메인기어부(320)와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기어부(320)는 종동기어(505)의 회전에 연동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베벨기어(503)로 전달되는 동력은 제2베벨기어(503)와 기어 결합된 제3베벨기어(506)를 통해 제3베벨기어(506)와 결합된 제2종동축(507)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딩장치의 밴딩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딩장치의 밴딩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작동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더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밴딩부(330)는 제2설치홀(313)에 구비될 수 있으며, 메인기어부(3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1설치홀(312)의 반경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소재(M)를 가압하여 밴딩할 수 있다.
밴딩부(330)는 베이스(331), 보조기어(332), 제1캠(333), 제2캠(334) 그리고 슬라이더(335)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331)는 제2설치홀(313)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설치홀(312)의 중심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331)에는 제2설치홀(313)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제1축(336)이 결합될 수 있다.
보조기어(332)는 제1축(336)에 결합될 수 있으며, 메인기어부(320)와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인기어부(320)로부터 보조기어(332)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으며, 보조기어(332)의 회전에 의해 제1축(336)이 회전될 수 있다.
제1캠(333) 및 제2캠(334)은 제1축(336)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캠(333) 및 제2캠(334)은 전면플레이트(311)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캠(333) 및 제2캠(334)은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캠(333)은 제1축(336)을 중심으로 제2캠(334)과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캠(333) 및 제2캠(334)은 제1축(336)의 회전 시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슬라이더(335)는 베이스(331)에 결합될 수 있으며, 베이스(3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더(335)에는 제1캠(333)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1롤러(337) 및 제2캠(334)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2롤러(338)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롤러(337)는 제1축(336)을 중심으로 제1설치홀(312)에 가깝게 구비되고, 제2롤러(338)는 제1축(336)을 중심으로 제1설치홀(312)에 멀게 구비될 수 있다. 제1캠(333)은 일회전하면서 일정 회전구간에서 제1롤러(337)를 제1설치홀(312)의 중심방향으로 밀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슬라이더(335)는 제1설치홀(312)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캠(334)은 일회전하면서 일정 회전구간에서 제2롤러(338)를 제1설치홀(312)의 반경방향으로 밀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슬라이더(335)는 제1설치홀(312)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캠(333) 및 제2캠(334)이 일방향으로 일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더(335)는 제1설치홀(312)의 중심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1번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더(335)의 일단부에는 밴딩툴(339)이 결합될 수 있으며, 밴딩툴(339)은 슬라이더(335)가 제1설치홀(312)의 중심방향으로 이동 시에 소재(M)를 가압하여 밴딩할 수 있다.
밴딩부(330)는 제1설치홀(312)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설치홀(313)에 마련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제2설치홀(313)에 구비되는 슬라이더(335)는 제1설치홀(312)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슬라이더(335)가 왕복 이동함에 따라 밴딩툴(339)은 제1설치홀(312)의 중심선상에 위치되는 소재(M)를 각각 가압하여 밴딩함으로써 소재(M)의 형상을 가공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딩장치의 캠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딩장치의 푸시부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딩장치의 푸시부의 작동예를 나타내 작동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딩장치와 금형의 결합예를 나타내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더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푸시부(350)는 제1설치홀(312)에 결합될 수 있으며, 밴딩부(330)에 의해 밴딩 성형된 소재(M)를 밀어낼 수 있다.
푸시부(350)는 제1마운트부(351), 코어부(352), 제2마운트부(365) 그리고 캠부(360)를 가질 수 있다.
제1마운트부(351)는 제1설치홀(312)에 제1설치홀(312)과 같은 중심축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마운트부(351)는 본체부(310)의 전면플레이트(311)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본체부(31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마운트부(351)는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홀(35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마운트부(351)의 외측면에는 베어링(322)이 결합될 수 있으며, 베어링(322)에는 메인기어부(320)가 결합될 수 있다.
코어부(352)는 슬라이드홀(353)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코어부(352)는 이젝터바(354) 및 연장바(355)를 가질 수 있다. 이젝터바(354)는 슬라이드홀(353)의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이젝터바(354)는 슬라이드홀(353)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젝터바(354)의 일단부에는 복수의 장착공(35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바(355)는 이젝터바(354)의 타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연장바(355)의 일단부에는 제1롤(357)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마운트부(365)는 제1설치홀(312)에 제1마운트부(351)와 같은 중심축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마운트부(365)의 중앙에는 개방홀(366)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이젝터바(354)의 장착공(356)은 제2마운트부(365)의 개방홀(366)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2마운트부(365)는 제1마운트부(351)와 결합될 수 있다.
캠부(360)는 제2종동축(507)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종동축(507)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캠부(360)의 일면에는 안내홈(361)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안내홈(361)에는 제1롤(357)이 결합될 수 있다.
안내홈(361)은 제1안내홈(362)과 제2안내홈(363)을 가질 수 있다. 제1안내홈(362)은 제2종동축(507)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반지름(R1)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안내홈(363)은 제1안내홈(362)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반지름(R1)보다 큰 제2반지름(R2)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안내홈(363)은 제1안내홈(362)보다 캠부(360)의 가장자리에 더욱 가까운 위치까지 형성될 있다. 따라서, 캠부(36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롤(357)이 제1안내홈(362)에서 제2안내홈(363)으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이젝터바(354)가 수평방향으로 밀러 나가도록 이동하게 되며, 제1롤(357)이 다시 제1안내홈(362)으로 유입되는 경우에 이젝터바(354)는 수평방향으로 끌려 들어오도록 이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이젝터바(354)는 캠부(36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부(352)의 왕복 이동을 위한 구성이 코어부(352) 및 캠부(360)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구성요소가 적어질 수 있다. 또한, 캠부(360)와 코어부(352) 간에 작동이 제1롤(357)을 중심으로 하는 부분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작동 메커니즘이 간단하여 내구성도 증대될 수 있다.
이젝터바(354)의 표면에는 그루브(358)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그루브(358)에는 윤활물질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윤활물질은 예를 들면, 그리스(Grease)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마운트부(365)에는 밴딩부(330)에 의한 밴딩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소재(M)가 위치되는 밴딩금형(370)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밴딩금형(370)에는 제1위치공(37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마운트부(365)에는 제1위치공(371)에 대응되는 제2위치공(367)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위치공(371) 및 제2위치공(367)에는 제1체결부재(372)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밴딩금형(370)은 제2마운트부(365)에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밴딩금형(370)은 제2마운트부(365)의 개방홀(366)에 결합되는 결합블록(373)을 가질 수 있으며, 결합블록(373)이 개방홀(366)에 결합되므로써, 밴딩금형(370)과 제2마운트부(365) 간의 결합 위치가 용이하고 정확하게 맞춰질 수 있다.
또한, 밴딩금형(370)에는 배출홀(374)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밴딩금형(370)은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푸시바(375)를 가질 수 있다.
푸시바(375)는 왕복 이동하면서 밴딩금형(370)에서 밴딩이 완료된 소재(M)를 배출홀(374)을 통해 외측으로 밀어내어 배출시킬 수 있다. 푸시바(375)는 이젝터바(354)의 장착공(356)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젝터바(354)가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 시에 연동하여 수평 방향으로의 왕복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푸시바(375)는 나사 결합 등에 의하여 장착공(356)에 직접 결합되거나, 별도의 어댑터(미도시)에 의해 장착공(356)에 결합될 수 있다.
밴딩금형(370)에 위치된 소재(M)를 밴딩하기 위해 밴딩부(330)의 슬라이더(335)가 왕복 이동하는 일행정과, 밴딩금형(370)에서 밴딩 성형된 소재(M)를 밀어내어 배출시키기 위해 푸시부(350)의 이젝터바(354)가 왕복 이동하는 일행정은 동일한 행정 시간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재의 밴딩공정과 밴딩된 소재의 배출공정이 충돌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소재 공급장치 200: 프레싱장치
300: 밴딩장치 310: 본체부
312: 제1설치홀 313: 제2설치홀
320: 메인기어부 330: 밴딩부
350: 푸시부 351: 제1마운트부
352: 코어부 353: 슬라이드홀
354: 이젝터바 355: 연장바
356: 장착공 357: 제1롤
358: 그루브 360: 캠부
361: 안내홈 362: 제1안내홈
363: 제2안내홈 365: 제2마운트부
366: 개방홀 370: 밴딩금형
375: 푸시바 500: 동력부
507: 제2종동축

Claims (10)

  1. 몸체를 형성하고, 전면플레이트에 제1설치홀과, 상기 제1설치홀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으로 복수의 제2설치홀이 관통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상기 제1설치홀과 같은 중심축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메인기어부;
    상기 제2설치홀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기어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설치홀의 반경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소재를 가압하여 밴딩하는 밴딩부; 그리고
    상기 제1설치홀에 결합되고, 상기 밴딩부에 의해 밴딩 성형된 소재를 밀어내는 푸시부를 포함하는 밴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는
    상기 제1설치홀에 상기 제1설치홀과 같은 중심축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메인기어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마운트부와,
    상기 슬라이드홀의 내측에 구비되고, 일단부에는 복수의 장착공이 형성되는 이젝터바와, 상기 이젝터바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제1롤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장바를 가지는 코어부와,
    상기 제1설치홀에 상기 제1마운트부와 같은 중심축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중앙에는 상기 이젝터바의 장착공이 노출되도록 개방홀이 관통 형성되는 제2마운트부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일면에는 상기 제1롤이 결합되며, 상기 제1롤의 회전을 가이드하여 상기 코어부가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하는 안내홈이 함몰 형성되는 캠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1반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1안내홈과,
    상기 제1안내홈과 연결되고, 상기 제1반지름보다 큰 제2반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롤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하는 제2안내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바의 표면에는 윤활물질이 수용되는 그루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운트부에는 상기 밴딩부에 의한 밴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소재가 위치되는 밴딩금형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금형에는 제1위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마운트부에는 상기 제1위치공에 대응되는 제2위치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위치공 및 제2위치공에는 제1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에는 상기 밴딩금형에 구비되고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밴딩된 소재를 밀어내는 푸시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는
    상기 제2설치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설치홀의 중심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설치홀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제1축이 결합되는 베이스와,
    상기 제1축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기어부와 기어 결합되어 상기 메인기어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보조기어와,
    상기 제1축에 결합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외측에 구비되되,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상기 보조기어의 회전 시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캠 및 제2캠과,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제1캠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1롤러가 가압되면 상기 제1설치홀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캠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2롤러가 가압되면 상기 제1설치홀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소재를 가압하여 밴딩하는 밴딩툴이 결합되는 슬라이더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에서 상기 소재를 가압하여 밴딩하는 일행정과, 상기 밴딩부에서 밴딩 성형된 소재를 상기 푸시부에서 밀어내는 일행정은 동일한 행정 시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장치.
  10. 소재를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공급하는 소재 공급장치;
    상기 소재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소재를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스탬핑하는 프레싱장치; 그리고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르고, 상기 프레싱장치에서 공급되는 소재를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밴딩하는 밴딩장치를 포함하는 포밍장치.
KR1020160154056A 2016-11-18 2016-11-18 밴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포밍장치 KR101964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056A KR101964041B1 (ko) 2016-11-18 2016-11-18 밴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포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056A KR101964041B1 (ko) 2016-11-18 2016-11-18 밴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포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164A true KR20180056164A (ko) 2018-05-28
KR101964041B1 KR101964041B1 (ko) 2019-04-02

Family

ID=62451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056A KR101964041B1 (ko) 2016-11-18 2016-11-18 밴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포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0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89566A (zh) * 2021-11-30 2022-04-08 东台立一工业技术有限公司 一种自润滑轴承金属件加工用卷圆机
CN114789206A (zh) * 2022-04-27 2022-07-26 宁波创涵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卷材成型的装置
CN116586527A (zh) * 2023-07-18 2023-08-15 盐山亚汇管业有限公司 一种便于上料的弯头推制装置及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5185A (ko) 2009-04-17 2010-10-27 (주)에버닉스 압연기능이 융합된 멀티포밍기
KR101394257B1 (ko) * 2012-08-06 2014-05-13 김강환 와이어 자동밴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5185A (ko) 2009-04-17 2010-10-27 (주)에버닉스 압연기능이 융합된 멀티포밍기
KR101394257B1 (ko) * 2012-08-06 2014-05-13 김강환 와이어 자동밴딩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89566A (zh) * 2021-11-30 2022-04-08 东台立一工业技术有限公司 一种自润滑轴承金属件加工用卷圆机
CN114289566B (zh) * 2021-11-30 2023-08-15 东台立一工业技术有限公司 一种自润滑轴承金属件加工用卷圆机
CN114789206A (zh) * 2022-04-27 2022-07-26 宁波创涵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卷材成型的装置
CN114789206B (zh) * 2022-04-27 2024-03-12 宁波创涵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卷材成型的装置
CN116586527A (zh) * 2023-07-18 2023-08-15 盐山亚汇管业有限公司 一种便于上料的弯头推制装置及工艺
CN116586527B (zh) * 2023-07-18 2023-09-05 盐山亚汇管业有限公司 一种便于上料的弯头推制装置及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4041B1 (ko) 201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7196A (en) Apparatus for performing operations on strip material
KR101964041B1 (ko) 밴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포밍장치
EP3504016B1 (en) Thread rolling assembly
JP2003500215A (ja) 自己案内型パンチ/ダイセット
KR20080020949A (ko) 성형 및 미세 블랭킹에 의해 3차원 부착부를 제조하는 방법및 공구
US5829291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forming metal member including bases portion and cylindrical portion formed on out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such that the cylindrical portion is integral with the base portion
WO2019180786A1 (ja) 曲げ加工装置
JP2010058353A (ja) 打刻装置,打刻方法及び刻印付き加工品
CN110695207A (zh) 一种冲孔与折弯一体的治具和加工设备
JP4867381B2 (ja) 順送りプレス加工装置の位置合わせ機構
US21362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strip feeding and fabricating movements
KR100442976B1 (ko) 수동식 밴딩 프레스
JP3205593U (ja) パイプ材等の折り曲げ加工装置
US611714A (en) Machine for manufacturing sheet-metal hinges
KR101788480B1 (ko) 파이프 절단장치의 받침코어 고정장치
CN106938298B (zh) 马达定位座一次成型模具及其制造方法
KR101988541B1 (ko) 프레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포밍장치
KR101213206B1 (ko) 대형 멀티 포밍기
CN209792343U (zh) 折弯装置
KR101850311B1 (ko) 트윈형 멀티 포밍기
KR101859023B1 (ko) 소재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포밍장치
CN207447085U (zh) 应用于高速管端机的动力传动装置
CN205110583U (zh) 一种冲压模具的穿料定位机构
US6792785B2 (en) Contact surface structure of bending die
CN107999616A (zh) 级进模模内攻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