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4185A - 오미자와 맥문동 및 복신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오미자와 맥문동 및 복신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4185A
KR20180054185A KR1020160151812A KR20160151812A KR20180054185A KR 20180054185 A KR20180054185 A KR 20180054185A KR 1020160151812 A KR1020160151812 A KR 1020160151812A KR 20160151812 A KR20160151812 A KR 20160151812A KR 20180054185 A KR20180054185 A KR 20180054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functional beverage
functional
beverag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원
김경희
김민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라임오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라임오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라임오라
Priority to KR1020160151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4185A/ko
Priority to JP2016236972A priority patent/JP2018078875A/ja
Publication of KR20180054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18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미자와 맥문동 및 복신을 혼합하여 조성하고 이를 열수 추출법 또는 에탄올 추출법 등의 방법으로 추출함으로써 항스트레스 효능과 인지기능 효능이 강화된 릴렉스 기능성 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음료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오미자와 맥문동 및 복신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METHOD OF PREPARING FUNCTIONAL BEVERAGE}
본 발명은 오미자와 맥문동 및 복신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미자, 맥문동, 복신을 혼합물로 조성한 다음 이를 추출함으로써 항스트레스 효능과 인지기능 개선 효능을 구현할 수 있는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선진 사회에서 식생활의 의미가 영양소를 공급하는 일차적인 기능에서 벗어나 식품 중에 함유되어 있는 생리활성 성분을 통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국민 보건적 가치를 포함하게 되면서 안전성이 확보된 건강기능성 보조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건강보조 식품은 1980년대 초의 효소 제품을 효시로 20년의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1990년대 초부터는 그 시장규모가 급성장하여 연 20~40%의 성장률로 1996년에는 1조원에 달하였다. 이렇게 시장의 규모가 성장하는 중요한 이유는 빠른 경제 성장으로 인한 생활 습관과 식습관의 변화로 인한 불균형 영양섭취, 화학농법에 의한 작물재배, 환경오염으로 인한 작물의 손상 및 공기오염, 또한 농약 및 방부제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수입작물의 소비, 운동부족 및 스트레스 등으로 건강에 위협을 받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국내 우수 자원의 개발 및 가공제품개발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이 현대인들이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건강기능성 식품 시장 또한 크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음료 형태의 건강기능성 식품은 소비자가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다양한 소재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이다. 또한, 세계 음료시장에서는 건강 기능성을 지닌 소재를 이용한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발맞추어 고령 친화적 음료 또한 기호성에 부가하여 기능적인 소재의 활용이 필요하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109675호(발명의 명칭: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및 건강음료조성물. 공개일자: 2012년 10월 09일)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30617호(발명의 명칭: 다기능성 미네랄 복합체를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공고일자: 2012년 04월 02일)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1-0107182호(발명의 명칭: 솔잎 추출물을 이용한 항스트레스 음료의 제법. 공개일자: 2001년 12월 07일)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6-0110639호(발명의 명칭: 수삼과 홍삼농축액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제조방법과 그 음료. 공개일자: 2006년 10월 25일)
본 발명은 맥문동과 오미자 및 복신을 혼합하고 이를 추출함으로써 항스트레스 효능과 인지기능 개선 효능이 강화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고령화층을 위한 제품일 뿐 아니라 학생층과 청장년층을 함께 아우러는 기능성 음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스트레스 효능과 인지기능 개선 효능이 강화된 기능성 음료는 오미자, 맥문동, 복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은 맥문동 30~45중량%와 오미자 10~30중량% 및 복신 30~45중량%를 혼합하여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열수 추출법 또는 에탄올 추출법으로 추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미자와 맥문동 및 복신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은 많은 효과를 달성한다.
첫 번째로, 본 발명은 기능성 음료를 제조할 때 오미자를 배합함으로써 GABA 생합성 경로에서 GABA 분해효소의 활성을 조절하여 높은 GABA 함량을 가지고 있을뿐 아니라 GABA로 전환되는 L-Glutamate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이 되고, 동시에 높은 항산화활성과 신경세포보호 및 AchE 저해 활성을 가지고 있는 장점이 있다.
두 번째로, 본 발명은 기능성 음료를 제조할 때 맥문동을 배합함으로써 신경돌기성장을 유도하고 NGF(신경성장인자) 유사 신호 전달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신경세포의 사멸을 억제하고, 인지기능의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세 번째로, 본 발명은 기능성 음료를 제조할 때 오미자와 맥문동에 복신을 혼합함으로써 오미자와 맥문동의 항스트레스 효능과 인지기능 개선 효능이 강화된 릴렉스한 기능성 음료를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의약적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한 개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서는 오미자와 맥문동 및 복신을 혼합하여 조성하고 이를 열수 추출법 또는 에탄올 추출법 등의 방법으로 추출함으로써 항스트레스 효능과 인지기능 효능이 강화된 릴렉스 기능성 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음료를 구현하고자 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항스트레스 효능 및 인지기능 효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오미자, 맥문동, 복신을 주성분으로 하여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 오지마(Schizandra chinemsis Baillon)는 5가지 맛이 나서 "오미자"라고 하지만, 그 중에서도 신맛이 강한 소재로 한의학을 비롯한 민간에서 기침, 천식 등의 증상에 사용되는 약재이자 음료의 소재로 사용되어 왔다. 근래에는 중추억제 작용, 혈압강하 작용 및 알코올 해독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암 예방, 항노화, 항산화 및 면역조절작용 등의 다양한 효능이 있다. 또한 오미자의 shizandrin은 GABA 생합성 경로에서 GABA 분해효소의 활성을 조절하여 높은 GABA 함량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GABA로 전환되는 L-Glutamate를 함유하고 있디. 상기 오미자의 GABA는 신경세포 흥분을 억제하는 데 관여하여 신경안정 및 불안감 해소에 도움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맥문동은 차로써도 많이 음용할 뿐 아니라 호흡기계증상의 치료를 위해 맥문동 탕을 위시하여 한의학에서 자주 사용되는 약재로 가슴이 답답하고 팔다리를 가만히 두지 못하는 증상과 불면증에 사용되었으며, 최근에는 불안장애와 우울증의 치료에 이용된다.
상기 맥문동의 기능성에 대한 연구는 아래의 표 1에 제시된 논문 등이 있으나 맥문동을 이용한 AchE 억제활성에 대한 연구, 인지기능 및 스트레스 완화에 관한 논문 및 특허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기능성 논문 제목 발표 게재지
항산화 맥문동열수추출물의 항산화력과 항균력에 관한 연구 한 국 식 품 영 양 과 학 회 지 22:279-285, 2009

항당뇨
HIT-T15췌장세포의 인슐린분비촉진을 유도하는 맥문동추출물의 효능 및 독성분석 생 명 과 학 회 지 20:1027-1033, 2010
맥문동 물추출물을 첨가한 바케트빵의 품질특성 및 당뇨유발흰쥐의 혈당, 혈청지질에 미친 효과 동 아 시 아 식 색 활 학 회 지 14:275-282, 2004
맥문동이 기아스트레스로 유발된 생쥐의 혈중 corticosterone농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18:279-287, 2003
맥문동 물추출물의 식이가 Streptozotocin으로 유도된 당뇨흰쥐의 혈당과 혈청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 동 아 시 아 식 색 활 학 회 지 15:20-28, 2006

항암
간암세포주HepG2에 대한 맥문동탕 추출물의 항암 및 항전이효능 대한본초학회지 24:161-167, 2009
맥문동스테로이드사포닌의 항암활성 한 국 응 용 생 명 화 학 회 지 41:390-394, 2003
가미사삼맥문동탕이 항암활성과 방사선부작용 억제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 의 학 연 수고 논 문 집 8:403-424, 1999
면역성 맥문동탕의 면역조절효과 동 의 생 리 병 리 학 회 지
17:946-951, 2003
신경인자 산지별 맥문동부탄올분획물의 신경성장인자 유도효과에 관한 비교 생약학회지 39:76-79, 2008
구속스트레스로 유발된 기억손상에 대한 맥문동의 신경보호효능 대한본초학회지 21:63-75, 2006
간보호 맥문동열수추출물의 사염화탄소로 유발된 흰쥐의 간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생약학회지 34:166-171, 2003
한편,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음료를 제조할 때 위에서 보았듯이 오미자, 맥문동과 함께 복신을 혼합하게 되는데, 상기 복신은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 "이 약은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복령 Poria cocos Wolf의 균핵으로 속에 소나무 뿌리를 감싸고 있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식품업계에서는 "Poria cocos Wolf"의 균핵으로 정의된 복령과 동일한 소재로 취급되고 있으나, 한의학에서는 복령과 복신을 구분하여, 복령에 비해 신경안정작용과 인지기능개선 작용이 더 강한 약재로 인식하여 이름도 복신(茯神)이라고 하며 "잘 놀라는 것을 진정시키고, 건망증을 다스리며, 자주 화를 내고 짜증내는 것"을 치료하는 데에 복신을 사용하는 등 복령과 복신을 구별하여 사용하여 왔다. 또한 Ache 저해율 등의 실험에서도 복신은 건재 분말, 열수 추출물, 메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뛰어난 효능을 보여 복령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복신에 대한 연구 및 논문은 아래의 표 2와 같다.
1. 복신의 인지기능 향상 및 해마 신경세포분화 촉진에 대한 효능 연구
- 최진규 등. 대한본초학회지 제30권 제2호
2. 스코폴라민으로 유도된 기억력 손상에 대한 복신의 보호 효과 및 작용기전 연구
- 제갈경환 등. 동의생리병리학회지 제24권 제2호
3. cold stress로 유발된 생쥐의 혈중 corticosterone 농도변화에 대한 사군자탕 구성약물의 효능
- 권용욱, 이태희. 대한한의학 방제학회지 제11권 2호
한편, 정연섭 등은 "10가지 식용식물 추출물의 가바, 글루탐산 함량,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 및 라디컬 소거능 비교" 논문에서 오미자의 AchE 활성에 대해서는 오미자 메탄올 추출물 1mg/mL의 농도에서 33.0%의 AchE 억제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한 바가 있으나, 오미자, 맥문동, 복신 혼합물의 AchE 억제율에 대한 보고 및 선행연구는 존재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자체 실험한 오미자, 맥문동, 복신 혼합물을 이용한 본 발명의 릴렉스 기능성 음료 시제품 "행복한 기억"은 500㎍/㎖의 농도에서 43%의 AchE 억제활성을 보였으며, 이는 대조군인 Donepezil의 40% 수준으로 오미자의 33% 억제율에 비해 맥문동과 복신이 혼합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상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건조중량 100g 기준으로 맥문동 30~45중량%, 오미자 10~30중량%, 복신 30~45중량%의 비중으로 한다. 동의보감 등 한의학의 고전에 기재된 맥문동과 복신의 사용례를 분석한 결과 맥문동과 보신의 비중은 1:1의 비중이 가장 적합하고, 오미자는 유기산이 가진 신맛으로 인하여 맥문동의 1/3 정도일 때 음료의 관능적 특성이 가장 좋기 때문에 맥문동과 복신 각각 45중량%와 오미자 10중량%의 비중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신맛을 좋아하는 등 개인의 기호성에 따라 오미자를 증량시킬 때도 건조중량 100g을 기준으로 하여 오미자의 중량이 30중량% 이상이 될 때는 신맛이 강하여 대부분의 계층에서 기호성을 저해하고, 오미자의 중량이 10중량% 이하일 때는 오미자의 GABA를 이용하는 항스트레스 효능이 미미하여 본 발명의 릴렉스 기능성 음료로써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생긴다.
이와 같이 맥문동과 오미자 및 복신을 혼합한 다음, 상기 혼합물을 분쇄하거나, 혹은 맥문동, 오미자, 복신을 각각 분쇄하여 혼합한 후, 이를 열수 추출법(음료의 제조를 위해서는 열수 추출법이 바람직하나, 알코올 추출법 등과 같이 다양한 추출 방법에는 구애받지 않는다)으로 추출한다.
본 발명의 실험에서 열수 추출법은 재료 중량의 10배(v/w)의 증제수를 붓고 180분 동안 100±10℃의 온도로 가열하여 열수 추출법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추출액을 여과하여 추출액의 1~40배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올리고당, 정제당, 감귤농축액, 식용향료 등의 식품첨가물을 첨가하여 본 발명의 릴렉스 기능성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실험에서는 열수 추출법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알코올 추출법은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건조 재료 중량의 100~300%(v/v)의 50~100%의 알코올(에탄올 또는 메탄올)에 상온에서 8~24시간 침지(浸漬, 담궈둠)시키고, 20~100℃의 추출온도에서 약 1시간 내지 2일 동안 환류 냉각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1~3회 반복하여 추출물을 수득한다.
이후, 수득한 추출물을 No 2 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여과한 추출물을 혼합하여 회전식 감압농축기로 40∼80℃, 100~350mbar에서 감압농축(본 실험에서는 전술의 방법으로 여과, 감압농축 하였으나 음료의 제조에서 업계의 통상적인 여과 농축방법에 제한받지 않는다)하여 용매를 제거하거나 에탄올의 경우 자연증발로 용매를 제거한다. 용매를 제거한 추출물 농축액을 영하(-)70℃에서 동결건조하여 알코올 추출물을 제조한다,
{실시 예 2}
본 발명에서는 맥문동과 오미자를 배합하여 기능성 음료를 제조할 때, 상기 맥문동을 '맥문동 수증초(酒蒸炒)'로 제조하고 또한 오미자를 '오미자 초(炒)'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다.
1. 맥문동 수증초(酒蒸炒)의 제조방법
맥문동에 존재하는 심을 제거(거심)한 후 이를 건조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거심 후 건조한 것을 구입한 다음, 상기 건조된 맥문동의 20~30%(V/V)의 술을(이때, 술의 종류는 제한받지 않으나 청주 또는 탁주가 좋다)을 골고루 뿌린 후, 이를 다시 1시간 동안 덮어두었다가 약한 불로 가열하여 1시간 동안(바람직하게는, 100℃에서 20분 이상) 술로 찐 후 겉면에 물기가 없을 때까지 건조한다.
이후, 건조된 수증(술로 찐) 맥문동을 15분간 볶은 다음, 전술한 실시 예 1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를 제조한다.
2, 오미자 초(炒)의 제조방법
후라이팬 등의 용기를 사용하여 150℃ 내외의 온도에서 15분간 볶은 후, 이를 분쇄한 다음 사용하는데, 역시 전술한 실시 예 1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를 제조한다.

Claims (3)

  1. 기능성 음료에 있어서,
    오미자, 맥문동, 복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음료.
  2.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오미자, 맥문동, 복신을 혼합하여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열수 수출법 또는 에탄올 추출법으로 추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미자와 맥문동 및 복신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맥문동 30~45중량%와 오미자 10~30중량% 및 복신 30~4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미자와 맥문동 및 복신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KR1020160151812A 2016-11-15 2016-11-15 오미자와 맥문동 및 복신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5418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812A KR20180054185A (ko) 2016-11-15 2016-11-15 오미자와 맥문동 및 복신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JP2016236972A JP2018078875A (ja) 2016-11-15 2016-12-06 チョウセンゴミシ、バクモンドウ、及びブクシンを含有する機能性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812A KR20180054185A (ko) 2016-11-15 2016-11-15 오미자와 맥문동 및 복신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185A true KR20180054185A (ko) 2018-05-24

Family

ID=62196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812A KR20180054185A (ko) 2016-11-15 2016-11-15 오미자와 맥문동 및 복신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8078875A (ko)
KR (1) KR201800541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811B1 (ko) * 2018-09-20 2019-05-29 주식회사 비앤에이치랩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314A (ko) * 2008-04-02 2009-10-07 샬롬산업(주)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기관지 기능 개선을 위한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한약재와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10101916A (ko) * 2010-03-10 2011-09-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용 조성물
KR20120061185A (ko) * 2010-12-03 2012-06-13 조명호 한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81034A (ko) * 2014-01-03 2015-07-13 충청남도 인삼, 오미자 및 맥문동의 발효를 이용한 스포츠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스포츠 음료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7394A (ja) * 1995-12-22 1997-09-02 Taisho Pharmaceut Co Ltd 経口投与用組成物
JP2001187725A (ja) * 2000-01-06 2001-07-10 Pola Chem Ind Inc ストレス予防剤及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皮膚外用剤
JP2004083449A (ja) * 2002-08-26 2004-03-18 Kinji Ishida ストレス緩和用の経口投与組成物
CN103320274B (zh) * 2013-05-19 2015-09-30 杨秀国 一种益寿酒及其制备方法
CN105695245A (zh) * 2014-11-27 2016-06-22 张蕾 一种补肾酒
CN105770598A (zh) * 2016-04-15 2016-07-20 陈孔春 一种缓解腰膝酸软的中药药酒配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314A (ko) * 2008-04-02 2009-10-07 샬롬산업(주)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기관지 기능 개선을 위한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한약재와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10101916A (ko) * 2010-03-10 2011-09-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용 조성물
KR20120061185A (ko) * 2010-12-03 2012-06-13 조명호 한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81034A (ko) * 2014-01-03 2015-07-13 충청남도 인삼, 오미자 및 맥문동의 발효를 이용한 스포츠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스포츠 음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811B1 (ko) * 2018-09-20 2019-05-29 주식회사 비앤에이치랩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78875A (ja)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959B1 (ko)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 완화용 또는 항피로용 조성물
KR101793933B1 (ko) 항산화활성 및 미백효과가 있는 기능성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316091B1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937646A (zh) 桂花风味姬松茸露酒及其制备方法
CN109247560A (zh) 一种发酵型调味玫瑰花料酒及其制备方法
KR102168192B1 (ko) 발효 생약초, 과실류 및 표고를 이용한 건강 혼합차 개발
KR20180054185A (ko) 오미자와 맥문동 및 복신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CN105941731B (zh) 松茸茶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0093239A (zh) 一种诺丽配制酒及其制备方法
KR102326975B1 (ko) 표고 및 황칠을 이용한 저염의 전통발효 된장 및 이를 이용한 스프레드 잼의 제조 방법
KR20090059270A (ko) 상황버섯을 포함하는 과립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312911B1 (ko) 옻이 함유된 잡화꿀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36600B1 (ko) 쓴맛이 차폐된 홍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96789A (ko) 기능성 곶감 및 그 제조방법
KR102428520B1 (ko) 홍삼농축액, 당귀추출물, 클로렐라 및 소엽추출물을 이용한 리큐르주의 제조방법
KR102556210B1 (ko) 브로콜리 및 효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
KR102365198B1 (ko) 천마, 하수오 및 산양삼을 이용한 기능성 액상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KR102489041B1 (ko) 기능성 양념을 사용한 저염 배추 김치의 제조방법
KR102557899B1 (ko)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파프리카 추출물과, 그 제조방법
CN108477361A (zh) 一种黄秋葵籽中药咖啡饮品及其制备方法
KR102239159B1 (ko) 약용 및 식용 천연물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444816B1 (ko) 뽕잎, 오디 및 찹쌀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쌀 앙금의 제조 방법
KR102044607B1 (ko) 활성형 진세노사이드, 클로르제닉산 및 쿼르세틴이 강화된 산양삼 전초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101167B1 (ko) 홍삼추출액을 함유하는 음료
KR20180057145A (ko) 감국 증류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