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830A - 사람의 출입방향과 인원 수를 확인할 수 있는 출입감지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람의 출입방향과 인원 수를 확인할 수 있는 출입감지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830A
KR20180053830A KR1020160150861A KR20160150861A KR20180053830A KR 20180053830 A KR20180053830 A KR 20180053830A KR 1020160150861 A KR1020160150861 A KR 1020160150861A KR 20160150861 A KR20160150861 A KR 20160150861A KR 20180053830 A KR20180053830 A KR 20180053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ensor
human body
generated
det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플러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플러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플러그
Priority to KR1020160150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3830A/ko
Publication of KR20180053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8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103
    • G07C9/00071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감지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입감지장치는, 출입구에 설치된 도어;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센서; 상기 출입구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를 통한 사람의 이동여부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상기 도어센서 및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출입여부를 판단하는 출입판단부와 출입인원 및 실내인원을 카운팅하는 카운팅부를 구비하는 제어부; 외부 서버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비해 간단한 방법으로 사람의 출입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인원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실내인원수를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홈 오토메이션 서비스 또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람의 출입방향과 인원 수를 확인할 수 있는 출입감지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ying in and out direction and number of person and IoT service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출입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람의 출입방향과 인원수를 확인할 수 있는 출입감지장치와 이를 기반으로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람의 출입이 잦은 지하철, 대형 건물 등에서는 사람의 출입을 감지하는 출입감지장치를 설치하여 에스컬레이터, 회전문 등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출입감지장치는 센서를 통해 단순히 사람의 접근 여부를 감지할 수 있을 뿐이고 사람의 출입여부와 출입 인원수를 정확히 판단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사람의 출입 방향과 인원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출입감지장치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은 출입구의 내측에 사람의 이동방향을 따라 다수의 동작감지센서를 설치하고, 다수 동작감지센서의 감지 순서에 따라 출입방향을 판단하고 출입인원을 카운팅하는 장치를 소개하고 있다.
그런데 동작감지센서의 감지범위는 제한적이므로 특허문헌 1과 같이 몇 개의 동작감지센서만으로 사람의 모든 이동경로를 커버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동작감지센서만으로는 2명 이상이 동시에 출입하는 경우에 출입인원을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11646호(2014.06.24 공고)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사람의 출입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 출입인원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출입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양상은. 출입구에 설치된 도어;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센서; 상기 출입구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를 통한 사람의 이동여부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상기 도어센서 및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출입여부를 판단하는 출입판단부와 출입인원 및 실내인원을 카운팅하는 카운팅부를 구비하는 제어부; 외부 서버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출입감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출입감지장치에서, 상기 인체감지센서는 상기 출입구의 내측 바닥에 설치되고 다수의 하중감지요소를 구비하는 하중감지매트, 상기 출입구의 내측에 설치된 적외선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은, 도어가 설치된 출입구의 내측에 설치된 인체감지센서에서 인체감지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센서에서 열림감지신호가 발생하는지 감시하는 단계; 상기 열림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인체감지신호가 소멸되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단계; 상기 인체감지신호가 소멸되면, 상기 도어센서에서 닫힘감지신호가 발생하는지 감시하는 단계; 상기 닫힘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사람이 밖으로 나간 것으로 판단하여 진출인원수를 카운팅하고 실내인원수를 갱신하는 카운팅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감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른 출입 감지 방법은, 상기 도어센서에서 상기 닫힘감지신호가 발생하는지 감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닫힘감지신호가 설정시간 동안 발생하지 않으면 문열림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다른 양상은, 출입구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센서에서 열림감지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상기 출입구의 내측에 설치된 인체감지센서에서 인체감지신호가 발생하는지 감시하는 단계; 상기 인체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도어센서에서 닫힘감지신호가 발생하는지 감시하는 단계; 상기 닫힘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인체감지신호가 소멸되는지 감시하는 단계; 상기 인체감지신호가 소멸되면, 사람이 실내로 들어온 것으로 판단하여 진입인원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실내인원수를 갱신하는 카운팅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감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 양상에 따른 출입 감지 방법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인체감지신호가 발생하는지 감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체감지신호가 설정시간 동안 발생하지 않거나, 상기 도어센서에서 닫힘감지신호가 발생하는지 감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닫힘감지신호가 설정시간 동안 발생하지 않으면 문열림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출입 감지 방법에서, 상기 인체감지센서는 상기 출입구의 내측 바닥에 설치되고 다수의 하중감지요소를 구비하는 하중감지매트이고, 상기 카운팅 단계에서는 상기 하중감지매트에서 검출한 하중패턴을 분석하여 진입 또는 진출 인원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출입 감지 방법에서, 상기 문열림 경보는 서버를 경유하여 등록된 사용자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비해 간단한 방법으로 사람의 출입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인원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실내인원수를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홈 오토메이션 서비스 또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감지장치의 설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감지장치의 블록도
도 3은 하중감지매트를 예시한 도면
도 4와 도 5는 각각 진출과 진입시에 제1 실시예에 따른 출입감지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과 도 7은 각각 진출과 진입시에 제2 실시예에 따른 출입감지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a 및 도 8b는 다양한 하중패턴을 예시한 도면
도 9와 도 10은 각각 진출과 진입시에 제3 실시예에 따른 출입감지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통신하는 경우는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통신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통신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 결합, 또는 통신하는 경우는 중간에 다른 요소 없이 연결, 결합, 또는 통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하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다면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은 물론이다.
먼저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감지장치(100)의 설치 구성도와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감지장치(100)는 출입구에 설치된 도어(10), 도어(1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센서(20), 출입구의 내측 천정에 설치되는 적외선센서(30), 출입구의 내측 바닥에 설치되는 하중감지매트(40), 제어부(110), 저장부(120), 통신부(130) 등을 포함한다.
도어센서(20)는 마그네틱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의 근접센서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적외선센서(30)는 출입자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PIR(Passive Infrared 또는 Pyroelectric Infrared) 센서일 수 있다. 도면에는 적외선센서(30)가 천정에 설치된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벽면이나 바닥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하중감지매트(40)는 출입자의 하중과 하중패턴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하중감지요소(예, 로드셀)와 하중감지요소에서 발생한 신호를 증폭 및/또는 필터링하는 신호처리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기능적인 관점에서 출입판단부(112), 하중패턴분석부(114), 카운팅부(116) 등을 포함하며, 출입판단 프로그램, 하중패턴분석프로그램, 카운팅 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와 이들을 실행하는 하드웨어(CPU, 마이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판단부(112)는 도어센서(20)의 감지결과, 적외선센서(30)의 감지결과, 하중패턴분석부(114)의 분석결과 등을 이용하여 사람의 출입여부, 출입방향, 출입인원수 등을 판단한다.
하중패턴분석부(114)는 하중감지매트(40)에서 감지된 하중패턴을 분석하여 사람의 이동방향, 이동방향별 인원수 등을 판단한다.
카운팅부(116)는 출입판단부(112)의 판단결과에 따라 실내로 들어온 인원수, 실외로 나간 인원수, 실내에 잔류하는 인원수 등을 카운팅하고 카운팅 정보를 저장부(120)에 저장한다.
저장부(120)는 제어부(110)의 운영프로그램, 출입판단 프로그램, 하중패턴분석프로그램, 카운팅 프로그램 등의 기능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한편, 관련 데이터를 저장한다.
통신부(130)는 서버(200)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통신 인터페이스는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인터넷 등으로 연결된 원격의 사물인터넷 관리서버일 수도 있고, 홈 오토메이션을 위해 댁내에 설치되는 홈서버일 수도 있고, 매장 등에 설치된 매장관리서버일 수도 있고, 기타 다른 용도의 서버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출입감지장치(100)로부터 실내인원수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홈 오토메이션 서버(200)는 댁내의 보안시스템을 제어하여 보안모드를 활성화시키거나, 조명장치를 제어하여 소등하거나, 가스제어장치를 제어하여 가스밸브를 잠그거나, 기타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감지장치(100)는 출입자의 인체를 감지하기 위하여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외선센서(30)와 하중감지매트(40)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둘 중 하나만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출입감지장치(100)를 이용하여 사람의 출입여부와 출입인원수를 카운팅하는 여러 가지 출입감지방법을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입감지방법은 도어센서(10)와 적외선센서(30)만을 이용한 출입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사람이 실외로 나가는 경우의 출입감지방법을 설명한다.
실내에 있던 사람이 밖으로 나가기 위해서 출입구를 향해 이동하면 가장 먼저 출입구의 내측에 설치된 적외선센서(30)에서 감지신호가 발생한다. (ST11)
이와 같이 적외선센서(30)의 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출입판단부(112)는 도어센서(20)에서 열림감지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ST12)
만일 열림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출입판단부(112)는 적외선센서(30)의 감지신호가 소멸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ST13)
그리고 적외선센서(30)의 감지신호가 소멸되면, 출입판단부(112)는 도어센서(20)에서 닫힘감지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ST14)
이어서 도어센서(20)에서 닫힘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출입판단부(112)는 사람이 밖으로 나간 것으로 판단하고, 카운팅부(116)는 진출인원수를 +1 카운팅하는 한편 사전에 저장해 둔 실내인원수를 -1 카운팅한다. 초기 실내인원수는 출입감지장치(100)를 설치할 때 미리 저장부(120)에 등록해 둘 수 있다. (ST15, ST16)
한편 출입판단부(112)는 ST14 단계에서, 적외선센서(30)의 감지신호가 소멸되었음에도 설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도어센서(20)의 닫힘감지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도어(10)를 열어 둔 채 나간 것으로 간주하고 문열림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문열림 경보는 실내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음성메시지로 출력될 수도 있고, 서버(200)로 문열림 경보를 전송하면 서버(200)가 등록된 사용자단말 또는 관리자단말로 해당 정보를 문자메시지, 메신저메시지, 채팅메시지의 형식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실내인원수를 확인하여 실내에 사람이 있다고 판단되면 스피커를 통해 음성메시지를 출력하고, 사람이 없다고 판단되면 서버(200)를 통해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ST17, ST18)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사람이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입감지방법을 설명한다.
사람이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에는 먼저 도어센서(20)에서 열림감지신호가 발생한다. (ST21)
이와 같이 열림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출입판단부(112)는 적외선센서(30)에서 감지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ST22)
적외선센서(30)의 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사람이 실내로 진입한 것을 의미하므로 출입판단부(112)는 도어센서(30)에서 닫힘감지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ST23)
그리고 도어센서(20)에서 닫힘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적외선센서(30)의 감지신호가 소멸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ST24)
적외선센서(30)의 감지신호가 소멸되면 출입판단부(112)는 사람이 실내로 완전히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카운팅부(116)는 진입인원수를 +1 카운팅하는 한편 사전에 저장해 둔 실내인원수를 +1 카운팅한다. (ST25, ST26)
한편 ST22 단계에서, 도어센서(20)에서 열림감지신호가 발생하였음에도 설정시간 동안 적외선센서(30)의 감지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출입판단부(112)는 도어(10)만 열어 두고 다시 밖으로 나간 것으로 간주하여 문열림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ST23 단계에서, 도어센서(20)에서 열림감지신호가 발생한 후 적외선센서(30)의 감지신호가 발생하였음에도 설정시간 동안 도어센서(20)에서 도어닫힘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출입판단부(112)는 실내로 들어왔다가 도어(10)를 열어 둔 채 다시 나간 것으로 간주하여 문열림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문열림 경보의 구체적인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ST27,ST28)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출입감지방법은 도어센서(10)와 하중감지매트(40)만을 이용한 출입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사람이 실외로 나가는 경우의 출입감지방법을 설명한다.
실내에 있던 사람이 밖으로 나가기 위해서 출입구를 향해 이동하면 가장 먼저 출입구의 내측에 설치된 하중감지매트(40)에서 하중감지신호가 발생한다. (ST31)
이와 같이 하중감지매트(40)의 하중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출입판단부(112)는 도어센서(20)에서 열림감지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ST32)
열림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출입판단부(112)는 하중감지매트(40)의 하중감지신호가 소멸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ST33)
만일 하중감지신호가 소멸되면, 출입판단부(112)는 도어센서(20)에서 닫힘감지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ST34)
이어서 도어센서(20)에서 닫힘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출입판단부(112)는 사람이 밖으로 나간 것으로 판단하고, 카운팅부(116)는 진출인원수를 +1 카운팅하는 한편 사전에 저장해 둔 실내인원수를 -1 카운팅할 수 잇다.
그런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하중감지요소를 포함하는 하중감지매트(40)를 이용하므로 단순히 하중감지신호의 발생여부뿐만 아니라 출입자의 하중패턴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출입방향을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고 출입인원수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사람이 이동할 때는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발이나 발바닥의 뒷꿈치 부근이 가장 먼저 바닥에 접촉하고, 이어서 신발이나 발바닥 전체가 바닥에 접촉하고, 이어서 뒷꿈치가 바닥에서 떨어지면서 접촉영역이 점차 앞쪽으로 이동하는 하중패턴을 보이게 된다.
또한 전진하다가 뒤로 돌거나 진행방향을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발이나 발바닥 전체가 바닥에 접촉한 이후에 다시 뒷꿈치나 발바닥 양측에 하중이 강하게 실리는 하중패턴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하중패턴을 이용하여 하중감지매트(40)에서 감지된 사람의 진입, 진출 여부를 보다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10)가 열린 상태에서 어떤 사람은 나가고 어떤 사람은 들어오는 경우, 나가려다가 다시 들어 오는 경우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하중감지매트(40)에서 감지되는 하중패턴을 분석하면 진출인원과 진입인원을 구분하여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실내인원을 보다 정확하게 카운팅할 수 있다.
한편 여러 사람이 나란히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하중감지매트(40)에 같은 방향의 다수의 하중패턴이 동시에 감지되므로 이를 통해 몇 명이 동시에 진입하였는지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정과 같이 출입인원이 제한되어 있는 환경에서는 사전에 출입인원의 체중정보 및/또는 하중패턴을 등록해 둠으로써 감지되는 하중 및/또는 하중패턴을 이용하여 출입자의 정보까지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ST35, ST36)
한편 출입판단부(112)는 ST34 단계에서, 하중감지신호가 소멸되었음에도 설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도어센서(20)의 닫힘감지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도어(10)를 열어 둔 채 나간 것으로 간주하고 문열림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문열림 경보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다. (ST37, ST38)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사람이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출입감지방법을 설명한다.
사람이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에는 먼저 도어센서(20)에서 열림감지신호가 발생한다. (ST41)
이와 같이 열림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출입판단부(112)는 하중감지매트(40)에서 하중감지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ST42)
하중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사람이 실내로 진입한 것을 의미하므로 출입판단부(112)는 도어센서(30)에서 닫힘감지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ST43)
그리고 도어센서(20)에서 닫힘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출입판단부(112)는 하중감지매트(40)의 감지신호가 소멸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ST44)
하중감지신호가 소멸되면 출입판단부(112)는 사람이 실내로 완전히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카운팅부(116)는 진입인원수를 +1 카운팅하는 한편 사전에 저장해 둔 실내인원수를 +1 카운팅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하중감지매트(40)의 하중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하중패턴을 분석하고 진출입 방향 및 진출입인원수를 정확하게 카운팅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ST45, ST46)
한편 ST42 단계에서, 도어센서(20)에서 열림감지신호가 발생하였음에도 설정시간 동안 하중감지매트(40)의 감지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출입판단부(112)는 도어(10)만 열어 두고 다시 밖으로 나간 것으로 간주하여 문열림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ST43 단계에서, 도어센서(20)에서 열림감지신호가 발생하고 적외선센서(30)의 감지신호가 발생하였음에도 설정시간 동안 도어센서(20)에서 도어닫힘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출입판단부(112)는 실내로 들어왔다가 도어(10)를 열어 둔 채 다시 나간 것으로 간주하여 문열림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문열림 경보의 구체적인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ST47,ST48)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출입감지방법은 도어센서(10), 적외선센서(30) 및 하중감지매트(40)를 함께 이용하는 출입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여 사람이 실외로 나가는 경우의 출입감지방법을 설명한다.
실내에 있던 사람이 밖으로 나가기 위해서 출입구를 향해 이동하면 가장 먼저 출입구의 내측에 설치된 적외선센서(30)에서 감지신호가 발생한다.(ST51)
이와 같이 적외선센서(30)의 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출입판단부(112)는 도어센서(20)에서 열림감지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ST52)
열림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출입판단부(112)는 적외선센서(30)의 감지신호가 소멸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ST53)
그리고 적외선센서(30)의 감지신호가 소멸되면, 출입판단부(112)는 도어센서(20)에서 닫힘감지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ST54)
만일 도어센서(20)에서 닫힘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출입판단부(112)는 하중패턴분석부(114)의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진출입 방향 및 진출입 인원수를 판단하고, 카운팅부(116)는 진출인원수와 실내인원수를 카운팅한다. (ST55, ST56)
한편 출입판단부(112)는 ST54 단계에서, 적외선센서(30)의 감지신호가 소멸되었음에도 설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도어센서(20)의 닫힘감지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나가면서 도어(10)를 열어 둔 것으로 간주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문열림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ST57, ST58)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사람이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출입감지방법을 설명한다.
사람이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에는 먼저 도어센서(20)에서 열림감지신호가 발생한다. (ST61)
이와 같이 열림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출입판단부(112)는 적외선센서(30)에서 감지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ST62)
적외선센서(30)의 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사람이 실내로 진입한 것을 의미하므로 출입판단부(112)는 도어센서(30)에서 닫힘감지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ST63)
그리고 도어센서(20)에서 닫힘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출입판단부(112)는 적외선센서(30)의 감지신호가 소멸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ST64)
적외선센서(30)의 감지신호가 소멸되면, 출입판단부(112)는 하중패턴분석부(114)의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진출입 방향 및 진출입 인원수를 판단하고, 카운팅부(116)는 진출인원수와 실내인원수를 카운팅한다. (ST65, ST66)
한편 ST62 단계에서, 도어센서(20)에서 열림감지신호가 발생하였음에도 설정시간 동안 적외선센서(30)의 감지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출입판단부(112)는 도어(10)만 열어 두고 다시 밖으로 나간 것으로 간주하여 문열림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ST63 단계에서, 도어센서(20)에서 열림감지신호가 발생하고 적외선센서(30)의 감지신호가 발생하였음에도 설정시간 동안 도어센서(20)에서 도어닫힘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출입판단부(112)는 실내로 들어왔다가 도어(10)를 열어 둔 채 다시 나간 것으로 간주하여 문열림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문열림 경보의 구체적인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ST67,ST68)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 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10: 도어 20: 도어센서
30: 적외선센서 40: 하중감지매트
100: 출입감지장치 110: 제어부
112: 출입판단부 114: 하중패턴분석부
116: 카운팅부 120: 저장부
130: 통신부 200: 서버

Claims (9)

  1. 출입구에 설치된 도어;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센서;
    상기 출입구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를 통한 사람의 이동여부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상기 도어센서 및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출입여부를 판단하는 출입판단부와 출입인원 및 실내인원을 카운팅하는 카운팅부를 구비하는 제어부;
    외부 서버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출입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센서는 상기 출입구의 내측 바닥에 설치되고 다수의 하중감지요소를 구비하는 하중감지매트, 상기 출입구의 내측에 설치된 적외선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감지장치
  3. 도어가 설치된 출입구의 내측에 설치된 인체감지센서에서 인체감지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센서에서 열림감지신호가 발생하는지 감시하는 단계;
    상기 열림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인체감지신호가 소멸되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단계;
    상기 인체감지신호가 소멸되면, 상기 도어센서에서 닫힘감지신호가 발생하는지 감시하는 단계;
    상기 닫힘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사람이 밖으로 나간 것으로 판단하여 진출인원수를 카운팅하고 실내인원수를 갱신하는 카운팅 단계
    를 포함하는 출입 감지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센서에서 닫힘감지신호가 발생하는지 감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닫힘감지신호가 설정시간 동안 발생하지 않으면 문열림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감지 방법
  5. 출입구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센서에서 열림감지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상기 출입구의 내측에 설치된 인체감지센서에서 인체감지신호가 발생하는지 감시하는 단계;
    상기 인체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도어센서에서 닫힘감지신호가 발생하는지 감시하는 단계;
    상기 닫힘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인체감지신호가 소멸되는지 감시하는 단계;
    상기 인체감지신호가 소멸되면, 사람이 실내로 들어온 것으로 판단하여 진입인원수를 카운팅하고 실내인원수를 갱신하는 카운팅 단계
    를 포함하는 출입 감지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인체감지신호가 발생하는지 감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체감지신호가 설정시간 동안 발생하지 않거나, 상기 도어센서에서 닫힘감지신호가 발생하는지 감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닫힘감지신호가 설정시간 동안 발생하지 않으면 문열림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감지 방법
  7.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센서는 상기 출입구의 내측 바닥에 설치되고 다수의 하중감지요소를 구비하는 하중감지매트이고,
    상기 카운팅 단계에서는 상기 하중감지매트에서 검출한 하중패턴을 분석하여 진입 또는 진출 인원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감지 방법
  8.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문열림 경보는 서버를 경유하여 등록된 사용자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감지 방법
  9. 출입구에 설치된 도어,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센서, 상기 출입구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를 통한 사람의 이동여부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상기 도어센서 및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출입여부를 판단하는 출입판단부와 출입인원 및 실내인원을 카운팅하는 카운팅부를 구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출입 감지 장치;
    상기 출입 감지 장치의 카운팅 결과를 이용하여 보안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제어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시스템
KR1020160150861A 2016-11-14 2016-11-14 사람의 출입방향과 인원 수를 확인할 수 있는 출입감지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KR20180053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861A KR20180053830A (ko) 2016-11-14 2016-11-14 사람의 출입방향과 인원 수를 확인할 수 있는 출입감지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861A KR20180053830A (ko) 2016-11-14 2016-11-14 사람의 출입방향과 인원 수를 확인할 수 있는 출입감지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830A true KR20180053830A (ko) 2018-05-24

Family

ID=62296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861A KR20180053830A (ko) 2016-11-14 2016-11-14 사람의 출입방향과 인원 수를 확인할 수 있는 출입감지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383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504B1 (ko) * 2020-10-27 2021-03-12 주식회사 서경산업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
SE1951257A1 (en) * 2019-11-04 2021-05-05 Assa Abloy Ab Detecting people using a people detector provided by a doorway
KR20220067380A (ko) * 2020-11-17 2022-05-2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재실 추정 장치
KR102538287B1 (ko) * 2022-08-09 2023-05-31 최의영 스마트 소방방화문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1951257A1 (en) * 2019-11-04 2021-05-05 Assa Abloy Ab Detecting people using a people detector provided by a doorway
WO2021089571A1 (en) * 2019-11-04 2021-05-14 Assa Abloy Ab Detecting people using a people detector provided by a doorway
SE544624C2 (en) * 2019-11-04 2022-09-27 Assa Abloy Ab Setting a people sensor in a power save mode based on a closed signal indicating that a door of a doorway is closed
KR102226504B1 (ko) * 2020-10-27 2021-03-12 주식회사 서경산업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
KR20220067380A (ko) * 2020-11-17 2022-05-2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재실 추정 장치
KR102538287B1 (ko) * 2022-08-09 2023-05-31 최의영 스마트 소방방화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3830A (ko) 사람의 출입방향과 인원 수를 확인할 수 있는 출입감지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JP4035505B2 (ja) 出入りを得るための安全方法、出入り確認装置、エレベータ
CA2788866C (en) Elevator access control system
KR101871991B1 (ko) 재실자 유무 판단 시스템 및 방법
JP5550860B2 (ja) 無線装置を用いた自動ドア開閉装置
WO2007052336A1 (j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US20190226265A1 (en) Child-Safe Automatic Doors
CN104742140B (zh) 状态判定系统、状态判定方法及移动机器人
JP5088362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5132549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20140122616A (ko)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96647A (ko) 방문자 위치감시 및 안전관리 시스템
WO2006117957A1 (ja) エレベーター遠隔制御システム
JPH10196221A (ja) 自動ドアの開閉装置および不正入室防止方法
KR20180053128A (ko) 출입통제시스템과 이것을 이용한 출입통제방법
JP2630413B2 (ja) 複合ビルディングの共用エレベータ
KR101474213B1 (ko) 출입 게이트 개폐장치
KR20140002117A (ko) 자동문 개폐 시스템
JP4508898B2 (ja) 入室管理システム
JP4484538B2 (ja) 防犯機能付きエレベータ装置
JP3522528B2 (ja) 入退出タイマ機能付き警備装置
JPH08245101A (ja) 防犯機能付エレベータ
CN109961547A (zh) 具有探测功能的门禁管理系统及门禁管理方法
JPH11311060A (ja) 自動ドアの開閉制御方法
KR20160012314A (ko) 장애인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