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504B1 -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 - Google Patents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504B1
KR102226504B1 KR1020200140108A KR20200140108A KR102226504B1 KR 102226504 B1 KR102226504 B1 KR 102226504B1 KR 1020200140108 A KR1020200140108 A KR 1020200140108A KR 20200140108 A KR20200140108 A KR 20200140108A KR 102226504 B1 KR102226504 B1 KR 102226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ople
population
density
sensor
sp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규
홍정환
정원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경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경산업
Priority to KR1020200140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50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실내 또는 실외의 제한된 공간을 가지는 특정공간 내에서 인구의 출입에 기반하여 인원수를 판단함으로써 해당 공간 내의 인구 밀집을 측정하여, 인원의 많고 적음을 해당 공간에 출입예정인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바이러스에 기반한 감염병이 유행하는 시기에 사람이 많은 곳을 피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SYSTEM FOR MEASURING OF PERSON'S DENSITY IN PARTICULAR-AREA}
본 발명은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실내 또는 실외의 제한된 공간을 가지는 특정공간 내에서 인구의 출입에 기반하여 인원수를 판단함으로써 해당 공간 내의 인구 밀집을 측정하여, 인원의 많고 적음을 해당 공간에 출입예정인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바이러스에 기반한 감염병이 유행하는 시기에 사람이 많은 곳을 피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유행하면서 각 세계는 물론 범세계적으로 경제활동이 마비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오래 전부터 우리 인류는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병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고, 한 차례 유행을 앓고 난 후 백신 등의 치료제가 개발되어 정복되고는 있지만, 정복되어지기 전까지 많은 사람이 고통받고 있다.
때문에, 유행병이 유행하고 나면, 사람들은 자신을 보호하고자 방역활동과 청결에 유의하기 시작하며, 특히 사람이 많은 곳에 출입하는 것을 꺼리게 된다.
즉, 특정공간을 출입할 때 사람이 많은 곳을 피하게 되는데, 본 출원인은 사용자가 출입하려는 공간의 인구 밀집을 미리 파악할 수 있다면, 방역활동을 더욱 도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본 발명을 착안하게 되었다.
예컨대, 등록특허공보 제10-2063496호에는 통행량과 통행인원 파악을 통한 예상 혼합지표 산출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교통수단의 사용에 따른 입력정보를 활용하도록 후불신용카드, 선불신용카드와 연결되는 과금정산서버; 현재 또는 가고자 하는 지역의 위치정보를 활용토록 핸드폰이나 네비게이션에 연결되는 통신사서버; 차량의 진행방향이나 통행량 및 밀집도록 확인토록 측정지역의 고공에 설치되는 교통량 감지유닛; 교통량감지유닛과 과금서버 및 통신사서버에 연결되어 통행량 및 인구밀집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혼잡지표 산출서버로서 이루어진 통행량과 통행인원 파악을 통한 혼잡지표 산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술된 기술은 특정공간에서의 인구 밀집을 측정할 수는 없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2635호에는 유동인구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지도 서버와 연계하여 특정 구역의 유동인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상권 분석 및 유동인구를 파악하고, 유동인구가 밀집되지 않은 지역으로 길안내를 하여 사용자가 사람들이 붐비지 않는 길을 택하여 빨리 목적지로 도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써,
이러한 유동인구 분석 시스템은, 측위수단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측위수단 위치 정보를 포함한 지도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신호를 가지고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스페이스의 유동인구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상기 지도와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은, 사람들이 붐비지 않는 길을 택하여 길안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유동인구가 밀집되지 않은 지역으로의 길 안내가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특정 위치에서의 인구 밀집을 판단할 수는 있지만, 사람이 많고 적음 정도의 판단만 가능할 뿐, 위험의 세부 분석이 불가능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63496호(2020.02.11. 공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2635호(2013.07.22.) 등록특허공보 제10-1982159호(2019.05.24.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474865호(2014.12.23.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또는 실외의 제한된 공간을 가지는 특정공간 내에서 인구의 출입에 기반하여 인원수를 판단함으로써 해당 공간 내의 인구 밀집을 측정하여, 인원의 많고 적음을 해당 공간에 출입예정인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바이러스에 기반한 감염병이 유행하는 시기에 사람이 많은 곳을 피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은,
특정공간에 설치된 센서와; 상기 센서와 통신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와 통신하여 인구 밀집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서버는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서값에 기반하여 특정지역 내의 인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인원수에 기반하여 위험성을 판단한 후, 단말기에 인원정보와 위험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센서는 특정공간의 인구가 출입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는 특정공간이 동일 층에 다수의 분리된 공간을 가지는 경우 해당 공간으로 인구가 출입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는 특정공간이 다수 층을 가지는 경우, 각 층으로 인구가 출입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센서로부터 센서값을 수신하는 센서값수신부와;
상기 센서값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센서값에 기반하여 인원수를 산출하는 인원수산출부와;
상기 인원수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인원수를 인원정보로 하여 해당 공간에서의 인구 밀집을 판단하여 밀집이 높은 경우 위험성을 판단하는 위험성판단부와;
상기 인원수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인원수를 인원정보로 하여 단말기에 공유하고, 상기 위험성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결과를 단말기에 공유하는 인원정보공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특정공간의 공기질 관리 시스템에 연계되는 경우,
상기 공기질 관리 시스템을 통해 특정공간 내의 공기질 관리를 제어 또는 제어요청하는 공기질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인원수 및 위험성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에 의하면, 실내 또는 실외의 제한된 공간을 가지는 특정공간 내에서 인구의 출입에 기반하여 인원수를 판단함으로써 해당 공간 내의 인구 밀집을 측정하여, 인원의 많고 적음을 해당 공간에 출입예정인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고, 그에 따라 바이러스에 기반한 감염병이 유행하는 시기에 사람이 많은 곳을 피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 중 특정공간에 센서(카메라)가 구비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을 통해 단말기에서 인원정보와 위험정보를 표시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실내 또는 실외의 제한된 공간을 가지는 특정공간 내에서 인구의 출입에 기반하여 인원수를 판단함으로써 해당 공간 내의 인구 밀집을 측정하여, 인원의 많고 적음을 해당 공간에 출입예정인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바이러스에 기반한 감염병이 유행하는 시기에 사람이 많은 곳을 피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 중 특정공간에 센서(카메라)가 구비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른 본 발명은, 실내외 제한적공간(이하, '특정공간'으로 지칭)에 설치된 센서와; 상기 센서와 통신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와 통신하여 인구 밀집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특정공간이란 마트, 병원, 고수부지, 광장, 행사장, 대학로, 한강,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도서관, 박물관, 지하철, 버스, 유명관광지 등과 같이 실내, 실외에 한정되지 않고 면적공간적인 측면에서 제한을 가지는 공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특정공간에 설치되는 센서는, 라이다, 마이크로웨이브, 카메라, 열화상, 열감지 등 물체 또는 유동인구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다.
이러한 센서는 특정공간 내부 중 인구의 출입을 판단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즉, 출입구를 비롯한 계단 등의 유출입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의 도 2 및 도 3을 참조할 수 있다.
예컨대, 출입구가 1개인 공간에서는 해당 출입구에 센서를 설치하여 인구의 출입을 감지하고, 도 2와 같이 1개 층을 가지는 공간에서 분벽을 통해 다수의 공간을 가지는 경우, 분벽으로 구분된 공간의 출입영역에 센서를 설치하며, 계단을 통해 출입이 가능한 경우 계단방향으로 센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공간이 다수의 층을 가지는 경우, 층별로 계단마다 센서를 설치하여 계단 상에서 감지된 사람의 면적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경우 공간을 벗어나는 인구로 판단하고, 면적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경우 공간에 유입되는 인구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서 상기 센서는 카메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후술되겠지만 서버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픽셀분석을 수행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센서로부터 센서값을 수신하는 센서값수신부와; 상기 센서값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센서값에 기반하여 인원수를 산출하는 인원수산출부와; 상기 인원수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인원수를 인원정보로 하여 해당 공간에서의 인구 밀집을 판단하여 밀집이 높은 경우 위험성을 판단하는 위험성판단부와; 상기 인원수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인원수를 인원정보로 하여 단말기에 공유하고, 상기 위험성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결과를 단말기에 공유하는 인원정보공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서버가 특정공간의 공기질 관리 시스템, 즉 환기제어수단, 관리센터, 출입통제시스템 등에 연계되는 경우, 공기질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질관리부를 통해 특정공간 내의 공기질 관리를 제어 또는 제어요청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정보를 공유받은 단말기는 해당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정보가 공유되도록 하는데, 상기 단말기는 옥외에 설치된 간판, 전광판, 전기식 간판 등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단말기, 노트북, 데스크탑, PDA 등 다양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응용프로그램(App) 또는 웹(Web)을 설치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위험성판단부가 위험성을 판단하는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서버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관리대상인 특정공간에 대한 면적정보를 m2단위로 저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인원수산출부는, 특정공간 내의 인원수를 산출하되, 인원수는 특정공간 내에 유입되는 인원수를 카운팅하여 산출하고, 퇴장하는 인원수를 카운팅하여 산출된 정보에 빼기 산출을 수행하여 특정공간 내의 인원수를 산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위험성판단부는, 특정공간에 대한 면적정보와 상기 인원수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인원수의 비율을 면적정보 : 인원수로 판단하되, 면적정보가 인원수에 비하여 10배 이상인 경우, 위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10배 미만인 경우, 위험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10배의 기준은, 사람 1인이 제자리에서 움직이는 최대범위를 3평(9.9m2)으로 가정한 것으로, 약 10m2만큼의 면적을 차지한다고 가정한 것에 기반한다.
다만, 위의 일예의 경우 인구가 밀집되지 않았을 때를 가정한 것으로서, 설계 조건에 따라서 서버는 센서(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센서값(영상)을 기반으로 밀집도를 분석하는 밀집도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밀집도분석부는 영상 총면적을 100%를 기준하여 픽셀분석을 통해 사람이 밀집되어 있는 영역, 즉 뭉쳐있는 픽셀공간이 소정의 비중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 특정공간 내에 인구가 밀집해있는 것으로 분석한다.
이때, 소정의 비중이란 예컨대 30~70%로서 이는 설계조건과 특정공간의 상황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험성판단부는 상기 밀집도분석부에서 인구의 밀집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위험성을 판단하는 면적정보 대비 인원수의 판단 배수(비율)을 조정하도록 한다.
예컨대, 밀집되어 있는 픽셀공간인 위의 소정의 비중이 30%인 경우, 100%를 기준으로 차감값인 70%를 산출하고 10배의 판단기준을 7배로 조정하도록 한다.
또한, 밀집되어 있는 픽셀공간인 위의 소정의 비중이 80%인 경우, 100%를 기준으로 차감값인 20%를 산출하고 10배의 판단기준을 2배로 조정하도록 한다.
따라서, 50m2의 면적을 가지는 특정공간에 대하여, 80%의 밀집을 가지고 있는 경우, 25명까지는 위험한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 것이다.
즉, 50m2의 면적 중 25명 중 대다수가 밀접되어 있는 것이므로,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타인과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을 통해 단말기에서 인원정보와 위험정보를 표시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도 4에 따른 예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더 다양한 정보를 통해 구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의 (a)는 단말기가 전광판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b)는 단말기가 스마트단말기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Claims (7)

  1. 특정공간에 설치된 센서와; 상기 센서와 통신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와 통신하여 인구 밀집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서버는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서값에 기반하여 특정지역 내의 인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인원수에 기반하여 위험성을 판단한 후, 단말기에 인원정보와 위험정보를 전달하는,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센서로부터 센서값을 수신하는 센서값수신부와;
    상기 센서값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센서값에 기반하여 인원수를 산출하는 인원수산출부와;
    상기 인원수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인원수를 인원정보로 하여 해당 공간에서의 인구 밀집을 판단하여 밀집이 높은 경우 위험성을 판단하는 위험성판단부와;
    상기 인원수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인원수를 인원정보로 하여 단말기에 공유하고, 상기 위험성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결과를 단말기에 공유하는 인원정보공유부와;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서값을 기반으로 밀집도를 분석하는 밀집도분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밀집도분석부는,
    센서값의 총면적을 100%를 기준하여 픽셀분석을 통해 사람이 밀집되어 있는 영역인 뭉쳐있는 픽셀공간이 소정의 비중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 특정공간 내에 인구가 밀집해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상기 위험성판단부는,
    특정공간에 대한 면적정보와 상기 인원수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인원수의 비율을 면적정보 : 인원수로 판단하되, 면적정보가 인원수에 비하여 10배 이상인 경우, 위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10배 미만인 경우, 위험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밀집도분석부에서 인구의 밀집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위험성을 판단하는 면적정보 대비 인원수의 판단 배수를, 밀집되어 있는 픽셀공간인 소정의 비중을 100에서 차감한 차감값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특정공간의 인구가 출입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특정공간이 동일 층에 다수의 분리된 공간을 가지는 경우 해당 공간으로 인구가 출입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특정공간이 다수 층을 가지는 경우, 각 층으로 인구가 출입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특정공간의 공기질 관리 시스템에 연계되는 경우,
    상기 공기질 관리 시스템을 통해 특정공간 내의 공기질 관리를 제어 또는 제어요청하는 공기질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인원수 및 위험성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

KR1020200140108A 2020-10-27 2020-10-27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 Active KR102226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108A KR102226504B1 (ko) 2020-10-27 2020-10-27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108A KR102226504B1 (ko) 2020-10-27 2020-10-27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504B1 true KR102226504B1 (ko) 2021-03-12

Family

ID=75177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108A Active KR102226504B1 (ko) 2020-10-27 2020-10-27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50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3715A (zh) * 2021-07-28 2021-11-02 浪潮卓数大数据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实现传染病防控的方法、设备、存储介质
CN114666400A (zh) * 2022-03-17 2022-06-24 山东鲁软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校园智能预警分流方法及系统
KR20220153987A (ko) * 2021-05-11 2022-11-21 이후시스(주) 재실 관리 시스템
KR102511615B1 (ko) * 2021-10-15 2023-03-21 주식회사 에스이알 보행 패턴을 이용한 공간 내 밀집도 측정 및 제공시스템
KR20230067255A (ko) 2021-11-09 2023-05-16 주식회사 페타브루 밀집도 분석에 기반한 과밀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과밀 방지 시스템
KR102637784B1 (ko) * 2022-11-21 2024-02-16 김재한 Gps 좌표를 이용한 인원 안전관리 시스템 및 안전 정보 알림 방법
WO2024096673A1 (ko) * 2022-11-04 2024-05-10 안은희 실시간 혼잡도 산출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20240073640A (ko) * 2022-11-18 2024-05-27 황덕현 밀집으로 인한 인명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영상정보 처리 장치
KR20240105746A (ko) 2022-12-29 2024-07-08 한국투어패스 주식회사 관광지의 관객 밀집도를 예측 집계하여 안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691909B1 (ko) * 2023-05-02 2024-08-05 (주)엠디에스인텔리전스 계단실의 출입구에 구비된 모션 센서를 활용하여 건물에서의 계단 이용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계단 이용량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22516A1 (en) * 2008-02-19 2010-12-23 Li-Qun Xu Crowd congestion analysis
KR20110019925A (ko) * 2009-08-21 2011-03-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이산화탄소 농도를 이용한 지하철 객실 냉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82635A (ko) 2011-12-12 2013-07-22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유동인구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74865B1 (ko) 2013-04-19 2014-12-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엑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유동인구 측정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
KR20160111083A (ko) * 2015-03-16 2016-09-26 이한상 열차 혼잡도 정보의 통합 안내 방법
KR20180053830A (ko) * 2016-11-14 2018-05-24 주식회사 엔플러그 사람의 출입방향과 인원 수를 확인할 수 있는 출입감지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KR101982159B1 (ko) 2018-06-07 2019-05-24 넥스엔정보기술(주) 카테고리별로 구분된 유동인구 정보를 이용한 유동인구 측정 방법
KR102063496B1 (ko) 2018-07-31 2020-02-11 허성식 통행량과 통행인원 파악을 통한 예상 혼잡지표 산출시스템
KR20200071874A (ko) * 2018-12-06 2020-06-22 채원기 지하철 객실 혼잡도 제공을 위한 지하철 객실 IoT 단말, 지하철 혼잡도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22516A1 (en) * 2008-02-19 2010-12-23 Li-Qun Xu Crowd congestion analysis
KR20110019925A (ko) * 2009-08-21 2011-03-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이산화탄소 농도를 이용한 지하철 객실 냉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82635A (ko) 2011-12-12 2013-07-22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유동인구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74865B1 (ko) 2013-04-19 2014-12-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엑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유동인구 측정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
KR20160111083A (ko) * 2015-03-16 2016-09-26 이한상 열차 혼잡도 정보의 통합 안내 방법
KR20180053830A (ko) * 2016-11-14 2018-05-24 주식회사 엔플러그 사람의 출입방향과 인원 수를 확인할 수 있는 출입감지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KR101982159B1 (ko) 2018-06-07 2019-05-24 넥스엔정보기술(주) 카테고리별로 구분된 유동인구 정보를 이용한 유동인구 측정 방법
KR102063496B1 (ko) 2018-07-31 2020-02-11 허성식 통행량과 통행인원 파악을 통한 예상 혼잡지표 산출시스템
KR20200071874A (ko) * 2018-12-06 2020-06-22 채원기 지하철 객실 혼잡도 제공을 위한 지하철 객실 IoT 단말, 지하철 혼잡도 제공 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987A (ko) * 2021-05-11 2022-11-21 이후시스(주) 재실 관리 시스템
KR102599210B1 (ko) * 2021-05-11 2023-11-09 이후시스(주) 재실 관리 시스템
CN113593715A (zh) * 2021-07-28 2021-11-02 浪潮卓数大数据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实现传染病防控的方法、设备、存储介质
KR102511615B1 (ko) * 2021-10-15 2023-03-21 주식회사 에스이알 보행 패턴을 이용한 공간 내 밀집도 측정 및 제공시스템
KR20230067255A (ko) 2021-11-09 2023-05-16 주식회사 페타브루 밀집도 분석에 기반한 과밀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과밀 방지 시스템
CN114666400A (zh) * 2022-03-17 2022-06-24 山东鲁软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校园智能预警分流方法及系统
WO2024096673A1 (ko) * 2022-11-04 2024-05-10 안은희 실시간 혼잡도 산출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20240073640A (ko) * 2022-11-18 2024-05-27 황덕현 밀집으로 인한 인명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영상정보 처리 장치
KR102777975B1 (ko) * 2022-11-18 2025-03-06 황덕현 밀집으로 인한 인명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영상정보 처리 장치
KR102637784B1 (ko) * 2022-11-21 2024-02-16 김재한 Gps 좌표를 이용한 인원 안전관리 시스템 및 안전 정보 알림 방법
KR20240105746A (ko) 2022-12-29 2024-07-08 한국투어패스 주식회사 관광지의 관객 밀집도를 예측 집계하여 안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691909B1 (ko) * 2023-05-02 2024-08-05 (주)엠디에스인텔리전스 계단실의 출입구에 구비된 모션 센서를 활용하여 건물에서의 계단 이용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계단 이용량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6504B1 (ko)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
EP2736027B1 (en) Method and system for evacuation support
KR101176947B1 (ko) Cctv를 이용한 인파정보 제공시스템
CN111401625A (zh) 火灾逃生路径规划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102073661B1 (ko) 차량 분산 주차를 위한 주차안내 시스템
EP3933794A1 (en) Accurate digital security system, method, and program
KR20190078845A (ko) 대형 전시공간을 위한 방문자 분산 및 동선 관리 시스템
JP2009260583A (ja) 携帯電話機情報視覚化装置、携帯電話機情報視覚化システム及びそれらに用いる携帯電話機情報視覚化方法
JP2013210870A (ja) 動線情報計測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
KR102511626B1 (ko) 인공지능 기반 엣지 컴퓨팅을 활용한 유형별 객체 계수를 위한 장치 및 방법
Bai et al. Helping the blind to find the floor of destination in multistory buildings using a barometer
KR20210093078A (ko) 사용자위치정보기반 실내측위시스템 및 그의 실내측위방법
US11176817B2 (en) Guiding signs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1757750B1 (ko) 열차 혼잡도 정보의 통합 안내 방법
KR20230067255A (ko) 밀집도 분석에 기반한 과밀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과밀 방지 시스템
KR101222887B1 (ko) 대규모 시설물 이용자 안내 시스템
KR102275796B1 (ko) 카메라 설치 인증 시스템
CN115031749A (zh) 夜间步行导航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KR102655474B1 (ko) 보행량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240113415A (ko) 인파 밀집 지역 결정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avallaro et al. Suggesting Just Enough (Un) Crowded Routes and Destinations.
JP5787367B2 (ja) 携帯電話機情報視覚化装置、携帯電話機情報視覚化システム及びそれらに用いる携帯電話機情報視覚化方法
Voskamp Measuring the influence of congested bottleneck on route choice behavior of pedestrians at Utrecht Centraal
KR20230039088A (ko) 위치 기반 실시간 주차정보 전달 기능을 구비한 부정 주차 단속 시스템
KR20210085432A (ko)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