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1083A - 열차 혼잡도 정보의 통합 안내 방법 - Google Patents

열차 혼잡도 정보의 통합 안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1083A
KR20160111083A KR1020150035757A KR20150035757A KR20160111083A KR 20160111083 A KR20160111083 A KR 20160111083A KR 1020150035757 A KR1020150035757 A KR 1020150035757A KR 20150035757 A KR20150035757 A KR 20150035757A KR 20160111083 A KR20160111083 A KR 20160111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gestion
platform
congestion information
trai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7750B1 (ko
Inventor
이한상
Original Assignee
이한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상 filed Critical 이한상
Priority to KR1020150035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750B1/ko
Publication of KR20160111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61L25/04Indicating or recording train ident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 혼잡도 정보 통합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혼잡도 알림 서버가 열차 객실 차량 내부의 출입구 영역의 혼잡도 정보 및 상기 출입구 영역에 대응하는 플랫폼 영역의 혼잡도 정보를 포함하는 두 가지 혼잡도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혼잡도 알림 서버가 상기 열차가 플랫폼에 진입하기 전에 상기 열차 객실 차량 내부의 출입구 영역마다 지정된 위치값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상기 출입구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플랫폼 영역의 혼잡도 정보를 각각 표시하고, 또한 상기 플랫폼 영역마다 지정된 위치값을 갖는 스크린도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플랫폼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출입구 영역의 혼잡도 정보를 각각 표시함으로써, 열차 객실 차량 내부의 출입구 영역에 위치하는 승객과 상기 출입구 영역에 대응하는 플랫폼 영역에 위치하는 승객에게 상기 두 가지 혼잡도 정보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차 혼잡도 정보의 통합 안내 방법{UNIFIED NOTICE METHOD FOR CONGESTION INFORMATION OF SUBWAY}
본 발명은 열차 내부 혹은 플랫폼에 관련한 정보를 안내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은 대도시의 대표적인 대중 운송 수단이다. 가장 저렴하며 가장 정확하고 가장 빠르기 때문에 많은 시민들이 지하철을 이용한다. 하지만 그만큼 다양한 위험도 있다. 너무 많은 사람이 지하철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지하철 열차는 다수의 객실차량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승객을 분산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렇지만 정확하게 분배된 수만큼 승객들이 플랫폼에 위치하지는 않는다. 대개 역사의 출입 통로와 인접하는 플랫폼에 더 많은 사람들이 몰리며, 특히 환승역의 경우에는 그런 편중 현상이 가중된다. 출퇴근 시에는 극심한 혼잡이 초래된다. 하지만 어떤 객실차량에는 지나치게 많은 승객이 탑승함에 비해서 어떤 객실차량에는 여전히 여유가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시도가 행해졌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75797호는 지하철 환승역 기반의 승객 분산 유도 시스템을 제안하였고(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114294호는 지하철 혼잡도 알림 시스템을 제안하였다(특허문헌 2).
특허문헌 1은 디지털 카메라로 혼잡지역의 영상을 획득하여 그것을 기반으로 혼잡도를 분석하여 역사의 관제센터가 실시간으로 승객 분산을 유도할 수 있는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2는 객차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 센서를 다수의 객차에 설치해서 감지된 하중으로부터 객차의 혼잡도를 산출함으로써 혼잡도를 알려주는 방법을 특징으로 하였다.
종래 특허문헌들은 혼잡도를 감지하고 연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나, 정작 승객들이 자신의 위치에서 혼잡도를 직감적으로 인식하여 자신과 타인의 행동을 예상할 수 있는 수단을 효과적으로 제공하지는 못했다. 주로 플랫폼에서 열차를 기다리는 승객에게, 플랫폼에 진입하는 열차 내부의 혼잡도를 알려주기는 하지만, 열차 내부 승객에게는 플랫폼 외부의 사정을 알 수 없었다. 또한 종래 특허문헌들은 “플랫폼에서 이동 중인 승객”들에게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는 하지만, 플랫폼에서 승객들은 항상 이동중이지는 않다는 현실이 반영되지 못했다. 요컨대 많은 승객은 플랫폼의 지정된 위치에서 줄지어 기다린다. 그렇다면 줄지어 기다리는 승객에게는 사실상 바로 그 위치에 대응되는 열차 내부의 혼잡도 정보만이 필요할지도 모른다.
본 발명의 발명가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모로 연구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차 내외의 승객, 특히 열차 출입구의 안팎에서 대기하고 있는 승객에게 효과적으로 혼잡도 정보를 안내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열차 혼잡도 정보 통합 안내 방법으로서:
혼잡도 알림 서버가 열차 객실 차량 내부의 출입구 영역의 혼잡도 정보 및 상기 출입구 영역에 대응하는 플랫폼 영역의 혼잡도 정보를 포함하는 두 가지 혼잡도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혼잡도 알림 서버가 상기 열차가 플랫폼에 진입하기 전에 상기 열차 객실 차량 내부의 출입구 영역마다 지정된 위치값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상기 출입구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플랫폼 영역의 혼잡도 정보를 각각 표시하고, 또한 상기 플랫폼 영역마다 지정된 위치값을 갖는 스크린도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플랫폼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출입구 영역의 혼잡도 정보를 각각 표시함으로써, 열차 객실 차량 내부의 출입구 영역에 위치하는 승객과 상기 출입구 영역에 대응하는 플랫폼 영역에 위치하는 승객에게 상기 두 가지 혼잡도 정보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혼잡도 정보 통합 안내 방법에 있어서, 승객의 사용자 단말이 미리 설치되어 있는 혼잡도 알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모바일 혼잡도 정보의 알림을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 화면을 통해서 상기 두 가지 혼잡도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혼잡도 정보 통합 안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잡도 알림 서버가 상기 두 가지 혼잡도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은 상기 출입구 영역의 바닥 및 상기 플랫폼 영역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압력센서를 이용하거나, 상기 출입구 영역 및 상기 플랫폼 영역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에 의해서, 열차 내외의 승객, 특히 열차 출입구의 안팎에서 대기하고 있는 승객에게 자기 위치를 기준으로 효과적으로 관심있는 혼잡도 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승하차에 직면하여 승객은 두 분류로 구분된다. 지정된 위치의 플랫폼에서 승차하려고 대기하는 승객과 또한 마찬가지로 지정된 위치의 열차 내부의 출입구 근방에서 하차하려고 대기하려는 승객들 모두에게 서로 대응되는 위치의 혼잡도 정보를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까닭에 종래의 해결방법보다 훨씬 지하철 혼잡에 의한 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열차 객실 차량 내부의 출입구 영역(110)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열차 출입구(120) 위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영역(210)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에서의 혼잡도 감지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혼잡도 정보 통합 안내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열차 객실 차량에는 다수의 내부 디스플레이 장치(12)와 다수의 제 1 혼잡도 감지 장치(11)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 1 혼잡도 감지 장치(11)와 내부 디스플레이 장치(12)는 열차 객실 차량의 출입구 영역마다 설치된다. 6량의 객실 차량을 갖는 열차라면 6*4= 24개의 제 1 혼잡도 감지장치(11)와 내부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제 1 혼잡도 감지장치(11)와 내부 디스플레이 장치(12)는 제어장비와 통신장비를 구비한 열차 장치(10)에 연결되며, 열차 장치(10)는 혼잡도 알림 서버(50)와 통신하여 제 1 혼잡도 감지장치(11)의 정보를 혼잡도 알림 서버(50)로 전송하고, 내부 디스플레이 장치(12)에 표시할 데이터를 수신한다.
열차가 들어오는 플랫폼에도 다수의 제 2 혼잡도 감지 장치(21)와 다수의 스크린도어 디스플레이 장치(2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 2 혼잡도 감지장치(21)와 스크린도어 디스플레이 장치(22)는 제어장비와 통신장비를 구비한 플랫폼 장치(20)에 연결된다. 플랫폼 장치(20)는 혼잡도 알림 서버(50)와 통신하여 제 2 혼잡도 감지장치(21)의 정보를 혼잡도 알림 서버(50)에 전송하고, 스크린도어 디스플레이 장치(22)에 표시할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30)에 설치되어 있는 혼잡도 알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혼잡도 알림 서버(50)로부터 플랫폼과 열차 객실 차량 내부의 혼잡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혼잡도 알림 서버(50)에는 복수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장비를 포함한 다수의 서버 장치와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혼잡도 알림 서버(50)는 데이터베이스(51, 52)를 포함한다. 열차 데이터베이스(51)는 운행 중인 열차에 관련한 데이터를 기록한다. 플랫폼 데이터베이스(52)는 각 플랫폼에 관련한 데이터를 기록한다. 또한 혼잡도 알림 서버(50)는 제 1 혼잡도 감지 장치(11) 및 제 2 혼잡도 감지 장치(21)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각각 플랫폼 장치(20)와 열차 장치(10)로 전송한다. 각 디스플레이 장치(12, 22)의 위치값을 이용하여 혼잡도 정보가 정확히 표시되도록 한다. 플랫폼 영역의 혼잡도 정보는 그 플랫폼 영역에 대응하는 열차 객실 차량 내부의 출입구 영역의 디스플레이 장치(12)에 표시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열차 객실 차량 내부의 출입구 영역의 혼잡도 정보는 그 영역에 대응하는 플랫폼 영역의 디스플레이 장치(22)에 표시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출입구 영역(110)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에서 나타난 것처럼, 출입구 영역(110)은 열차 객실 차량 내부의 영역이며, 또한 열차 출입구(120) 앞쪽 부분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물리적으로 정확히 어디까지 출입구 영역(110)으로 볼 것인지는 제 1 혼잡도 감지 장치(11)의 감지 가능 영역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도 1의 내부 디스플레이 장치(12)의 예를 나타낸다. 열차 출입구(120)의 위에 설치되는 LCD(130)를 통해서 대응 플랫폼 영역의 혼잡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LCD(130)에 표시되는 혼잡도 정보는 이 열차가 플랫폼에 들어와 멈출 때, 해당 열차 출입구(120)가 열리는 플랫폼 영역에 얼마나 승객이 기다리고 있는가에 관한 정보가 된다.
도 4는 승객이 승하차하는 플랫폼(200)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플랫폼 영역(210)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면에서는 플랫폼 영역(210)이 작게 표시되었으나, 실제로는 스크린도어(220) 기준으로 수 미터에 이르는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크린도어(220)의 중앙으로부터의 가상의 연장선이 중심이 되며 스크린도어(220)에 접하는 대략 2~4M의 직경을 갖는 영역이 좋다. 물리적으로 정확하게는 제 2 혼잡도 감지 장치(21)의 감지 가능 영역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난 것처럼, 스크린도어(220)의 위쪽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30)를 통해서 열차의 대응 출입구 영역의 혼잡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30)에 표시되는 혼잡도 정보는 이 열차가 플랫폼에 들어와 멈출 때, 해당 스크린 도어(220)에 대응하는 출입구 영역에 얼마나 많은 승객이 있는가에 관한 정보가 된다.
제 1 혼잡도 감지 장치(11)와 제 2 혼잡도 감지 장치(21)의 구성에 있어서 기술적으로 다양한 감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출입구 영역(110)과 플랫폼 영역(210)을 촬영하여 승객의 인원수를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원수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며, 디지털 카메라로 캡쳐한 영상을 통해서 소프트웨어 검출을 통해서 인원수를 감지할 수 있다. 카메라를 이용한 혼잡도 감지장치(11, 21)는 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오류없이 정밀한 연산을 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고, 무엇보다 카메라를 이용하여 승객의 영상을 촬영하는 까닭에 기술적용에 있어 신중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압력센서를 이용한 방법으로 도 5를 통해 예시한 구성이다. 출입구 영역(110)과 플랫폼 영역(210)의 바닥에 감지 설비(300)를 설치하는 것이다. 감지설비(300)는 다수의 감지셀(310)이 포함되며, 이 감지셀(310)에는 압력 센서(311)와 LED(312)가 포함된다. LED(312)와 압력 센서(311)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압력 센서(311)가 고장나서 동작하지 않을 때에는 LED(312)가 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LED(312)가 온된다면 압력 센서(311)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위 실시예에서 감지셀(310)은 이처럼 버튼 형식의 구성이 될 수 있고, 따라서 감지 설비(300)는 감지 버튼의 집합이 될 수 있다. 감지설비(300)의 하부에는 신호처리가, 통신부, 전원부가 구성되는 것이 좋다.
도 6은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본 발명의 열차 혼잡도 정보 통합 안내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먼저 열차가 운행한다(S100). 이 열차는 N1 플랫폼을 출발하였으며 N2 플랫폼에 진입하기 전이라고 가정한다. 그렇다면 N2 플랫폼의 혼잡도 정보를 취득하여 이를 안내하는 프로세스가 요청된다.
바람직하게는 열차 객실 차량 내부의 제 1 혼잡도 정보와 플랫폼에서의 제 2 혼잡도 정보는 혼잡도 알림 서버가 실시간으로 취득하고 적시에 통지하는 것이 좋다. 즉, 혼잡도 알림 서버는 전술한 열차 장치와 플랫폼 장치와 통신하면서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에 의해서 혼잡도 정보를 얻고, 특정 플랫폼(Nk 플랫폼, k는 1이상의 정수)에 진입하기 전의 시점에 혼잡도 안내 정보를 열차장치와 플랫폼 장치 각각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마치 열차가 N1 플랫폼을 출발하여 N2 플랫폼에 진입하기 전의 시점에서 비로소 혼잡도 정보를 취득하는 것처럼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함이지, 반드시 그렇게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님을 첨언한다.
특정 플랫폼에 진입하기 전에 혼잡도 알림 서버는 제 1 혼잡도 정보를 취득하고, 제 2 혼잡도 정보를 취득하는데, 이 두 가지 혼잡도 정보를 취득하는 것은 각각 별개의 시스템에 의해서 실시된다.
혼잡도 알림 서버는 전술한 제 1 혼잡도 감지 장치가 감지하는 열차 객실 차량 내부의 P(P는 1보다 큰 정수)개의 출입구 영역의 혼잡도 정보, 즉 제 1 혼잡도 정보를 열차 장치(10)와의 통신을 통해 취득한다(S110). 또한, 혼잡도 알림 서버는 전술한 제 2 혼잡도 감지 장치가 감지하는 플랫폼에서 승객들이 열차를 타기 위해서 기다리는 Q(Q는 1보다 큰 정수)개의 플랫폼 영역의 혼잡도 정보, 즉 제 2 혼잡도 정보를 플랫폼 장치(20)와의 통신을 통해 취득한다.
다음으로 상기 혼잡도 알림 서버는 두 가지 혼잡도 정보를 이용해서 서로 교호적으로 두 가지 혼잡도 알림을 실행한다. 바람직하게는 동일시점에 이루어지는 것이 좋지만, 무엇보다 열차가 플랫폼에 정차하기 전에 미리 안내함으로써 승객들을 분산시키기 좋은 시점에 안내하는 것이 좋다.
상기 혼잡도 알림 서버와 통신하는 플랫폼 장치(20)가 플랫폼 영역의 스크린도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 1 혼잡도 정보, 즉 해당 플랫폼 영역에 대응하는 출입구 영역의 혼잡도 정보를 표시한다(S120). 스크린도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스크린도어(220)의 위쪽에 위치하는 LCD(230)인 것이 좋다. 스크린도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저마다 지정된 위치값을 가지며, 플랫폼 장치(20)는 그 위치값을 제 1 혼잡도 정보에 표지되는 열차 내부의 출입구 영역의 위치값과 비교하여 상기 S120 단계를 실시한다.
또한, 상기 S120 단계와 병행하여, 상기 혼잡도 알림 서버와 통신하는 열차 장치(10)가 열차 내부의 출입구 영역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 2 혼잡도 정보, 즉 해당 출입구 영역에 대응하는 플랫폼 영역의 혼잡도 정보를 표시한다(S125). 디스플레이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열차 출입구(120)의 위쪽에 위치하는 LCD(130)인 것이 좋다. 출입구 디스플레이 장치는 출입구 영역마다 지정된 위치값을 가지며, 열차 장치(10)는 그 위치값을 제 2 혼잡도 정보에 표지되는 플랫폼 영역의 위치값과 비교하여 상기 S125 단계를 실시한다.
이와 같이 사전에 열차 객실 차량 내부의 출입구 영역에 위치하는 승객과 상기 출입구 영역에 대응하는 플랫폼 영역에 위치하는 승객에게 상기 두 가지 혼잡도 정보를 안내함으로써, 두 분류의 승객들(열차에서 하차하려고 대기하는 승객과 열차에 승차하려고 대기하는 승객)이 자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열차 내외부의 혼잡도 상황을 미리 알도록 하여, 예측행위를 함으로써 혼잡 상황으로부터 초래되는 위험을 방지하고, 자발적으로 분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두 분류의 승객들은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혼잡도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미리 설치되어 있는 혼잡도 알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모바일 혼잡도 정보의 알림을 요청할 수 있다. 그 경우 혼잡도 알림 서버는 기구축된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서 두 가지 혼잡도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모바일 디바이스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두 가지 혼잡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3)

  1. 혼잡도 알림 서버가 열차 객실 차량 내부의 출입구 영역의 혼잡도 정보 및 상기 출입구 영역에 대응하는 플랫폼 영역의 혼잡도 정보를 포함하는 두 가지 혼잡도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혼잡도 알림 서버가 상기 열차가 플랫폼에 진입하기 전에 상기 열차 객실 차량 내부의 출입구 영역마다 지정된 위치값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상기 출입구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플랫폼 영역의 혼잡도 정보를 각각 표시하고, 또한 상기 플랫폼 영역마다 지정된 위치값을 갖는 스크린도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플랫폼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출입구 영역의 혼잡도 정보를 각각 표시함으로써, 열차 객실 차량 내부의 출입구 영역에 위치하는 승객과 상기 출입구 영역에 대응하는 플랫폼 영역에 위치하는 승객에게 상기 두 가지 혼잡도 정보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혼잡도 정보 통합 안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승객의 사용자 단말이 미리 설치되어 있는 혼잡도 알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모바일 혼잡도 정보의 알림을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 화면을 통해서 상기 두 가지 혼잡도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열차 혼잡도 통합 안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잡도 알림 서버가 상기 두 가지 혼잡도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은 상기 출입구 영역의 바닥 및 상기 플랫폼 영역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압력센서를 이용하거나, 상기 출입구 영역 및 상기 플랫폼 영역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는 것인, 열차 혼잡도 통합 안내 방법.
KR1020150035757A 2015-03-16 2015-03-16 열차 혼잡도 정보의 통합 안내 방법 KR101757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757A KR101757750B1 (ko) 2015-03-16 2015-03-16 열차 혼잡도 정보의 통합 안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757A KR101757750B1 (ko) 2015-03-16 2015-03-16 열차 혼잡도 정보의 통합 안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083A true KR20160111083A (ko) 2016-09-26
KR101757750B1 KR101757750B1 (ko) 2017-07-13

Family

ID=57068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757A KR101757750B1 (ko) 2015-03-16 2015-03-16 열차 혼잡도 정보의 통합 안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75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58493A (ja) * 2016-10-05 2018-04-12 富士通株式会社 駅案内システム、駅案内プログラム、及び駅案内方法
KR20180058599A (ko) 2016-11-24 2018-06-01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밀집도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200079475A (ko) * 2020-06-29 2020-07-03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승차인원 분산방법
KR102226504B1 (ko) * 2020-10-27 2021-03-12 주식회사 서경산업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
KR102513532B1 (ko) * 2022-09-07 2023-03-23 임태훈 리모컨을 통한 스크린 도어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4138A (ja) * 2000-06-09 2001-12-25 Mitsubishi Electric Corp 駅内報知装置
JP2004322960A (ja) * 2003-04-28 2004-11-18 East Japan Railway Co 列車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電子乗車券情報を用いた予約システム
KR101011950B1 (ko) * 2010-06-29 2011-01-31 (주)정은테크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58493A (ja) * 2016-10-05 2018-04-12 富士通株式会社 駅案内システム、駅案内プログラム、及び駅案内方法
KR20180058599A (ko) 2016-11-24 2018-06-01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밀집도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200079475A (ko) * 2020-06-29 2020-07-03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승차인원 분산방법
KR102226504B1 (ko) * 2020-10-27 2021-03-12 주식회사 서경산업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
KR102513532B1 (ko) * 2022-09-07 2023-03-23 임태훈 리모컨을 통한 스크린 도어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7750B1 (ko) 201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750B1 (ko) 열차 혼잡도 정보의 통합 안내 방법
US10762775B2 (en) Vehicle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899371B2 (en) System for managing space available and seats for passengers for use of a passenger transport system
US101716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eolocation services
KR101159230B1 (ko) 버스 승차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9391B1 (ko)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
CN106256744B (zh) 电梯乘坐用户管理方法及系统
US1071565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eolocation services
US1145583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0208739A (zh) 辅助车辆定位的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103952A (zh) 辅助车辆驾驶的方法、设备、介质和系统
US20150256630A1 (en) Unused location discriminator
CN107848732A (zh) 电梯的目的地呼梯登记系统及其方法
US2022021530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apparatus
JP7265404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101701232B1 (ko) 버스 승객 수 카운팅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086744A (ja) 停止位置制御装置、停止位置制御方法、及び停止位置制御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262205B2 (en) Traffic control apparatus, traffic control system, traffic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cording medium
US20200039542A1 (en) Providing an alert to a passenger based on a location of the passenger while in transit on a multi-passenger mode of transport
KR101647625B1 (ko) 차량 내부의 영상 확인 기능을 갖는 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버스 안전 시스템
JP681072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20281486A1 (en) Automated driving vehicle, vehicle allocation management device, and terminal device
KR102162313B1 (ko) 주차된 차량 위치 알려주는 장치
US11108994B2 (en)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method
US201902206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data entry mechanism for an application based on security requir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