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950B1 -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950B1
KR101011950B1 KR1020100061959A KR20100061959A KR101011950B1 KR 101011950 B1 KR101011950 B1 KR 101011950B1 KR 1020100061959 A KR1020100061959 A KR 1020100061959A KR 20100061959 A KR20100061959 A KR 20100061959A KR 101011950 B1 KR101011950 B1 KR 101011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passenger
congestion
display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영
장정필
Original Assignee
(주)정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은테크 filed Critical (주)정은테크
Priority to KR1020100061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10Fl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48Vehicle exterior or interi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를 이용하는 승객의 혼잡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승객혼잡도를 탑승객에게 제공하여 승객이 열차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탑승객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열차의 운행여부를 감지하는 운행감지수단과, 운행감지수단의 감지에 따라 감지수단을 동작시키고,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탑승객의 승객혼잡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승객혼잡도를 외부에 송신하도록 열차에 마련되는 열차서버와, 수신되는 승객혼잡도가 각 역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에 선택적으로 현시되도록 각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열차서버는 감지된 승객의 승객혼잡도를 근거로 열차내의 실내온도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차에 탑승한 승객의 혼잡상태를 열차에 탑승하려는 승객에게 제공하여 승객이 열차를 선택적으로 이용하게 되므로, 열차운행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TRAIN GUIDING SYSTEM USING CONFUSION OF PASSENGER CARS}
본 발명은 열차를 이용하는 승객의 혼잡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승객혼잡도를 탑승객에게 제공하여 탑승객이 열차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는, 복수의 열차들이 연결된 형태의 운송 수단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열차는, 열차의 운행 시에는 복수의 열차들 각각에 승객들이 분산되어 탑승하게 된다.
그런데 열차의 열차들은 서로 독립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열차들에 탑승한 승객들은 자신이 탑승한 열차의 승객혼잡도 이외에 다른 열차의 승객혼잡도를 알 수 없다. 또한, 열차에 탑승하고자 하는 승객들도 자신이 탑승하고자 하는 열차의 각 열차들의 승객혼잡도를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수 각각의 열차에 탑승하게 된다.
이로 인해 열차 내의 각 열차들 간의 승객수의 분산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하나의 열차 내에서 승객혼잡도가 상대적으로 현저히 높은 열차와 승객혼잡도가 상대적으로 현저히 낮은 챠량이 혼재할 수 있다. 이때 승객혼잡도가 높은 열차에 탑승한 승객들은 쾌적한 탑승 환경을 제공받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는 승객의 편의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한편, 열차들간의 차간 간격은 시간대별로 조절됨이 일반적이다. 즉, 출퇴근 시간 등의 열차 탑승 승객이 많은 시간대와 낮 시간 등의 열차 탑승 승객이 적은 시간대 등으로 몇몇 시간대를 구분하고, 각 시간대별로 열차들간의 차간 간격이 조절된다.
그러나 이러한 차간 간격은 평균적인 실험치에 의해 설정된 것이므로, 수시로 변화하는 승객 탑승 현황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로 인해 열차들 간의 승객수의 분산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선행 열차의 승객혼잡도가 현저히 낮음에 비해 후행 열차의 승객혼잡도가 현저히 높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열차 운행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열차에 탑승한 승객의 혼잡상태를 열차에 탑승하려는 승객에게 제공하여 승객이 열차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차에 탑승한 승객을 다양한 방식으로 감지하여 승객혼잡도의 정밀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차의 전체무게를 측정하지 않고, 열차에 탑승하는 승객 및 승객이 휴대 또는 운반하는 물품들이 차지하는 면적을 감지하여 열차내의 혼잡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객의 혼잡상태에 따라 열차내의 온도를 적정하게 조절하여 승객에게 쾌적한 객차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역에 도착하는 각각의 열차들에 대한 혼잡도를 제공하여 승객이 선택적으로 열차를 이용할 수 있는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승역에서 하차하는 승객에게 환승하고자 하는 다른 노선의 열차에 대한 혼잡도를 제공할 수 있는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탑승객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열차의 운행여부를 감지하는 운행감지수단과, 운행감지수단의 감지에 따라 감지수단을 동작시키고,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탑승객의 승객혼잡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승객혼잡도를 외부에 송신하도록 열차에 마련되는 열차서버와, 수신되는 승객혼잡도가 각 역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에 선택적으로 현시되도록 각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열차서버는 감지된 승객의 승객혼잡도를 근거로 열차내의 실내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수단은 카메라, 적외선CCTV, CO2감지센서, 온도센서, 수광센서, 압력센서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복합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센서는 열차의 바닥에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광센서는 열차의 바닥에 다수개가 설치되되 열차의 바닥에서 상부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투명판 또는 반투명판에 의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행감지수단은 열차의 도어의 동작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승객의 승객혼잡도를 숫자 또는 그래프로 현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차서버는 감지수단이 카메라 일 때,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로 데이터화하는 데이터처리부와, 데이터 처리된 영상에서 물체의 영상과 배경영상을 구분하여 인식하는 영상인식부와, 물체의 영상이 배경영상을 점유하는 점유율을 판단하는 점유율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상기 관제서버는 디스플레이들을 각각 인식하는 디스플레이인식부와, 열차서버들을 각각 인식하는 열차서버인식부와, 열차서버로부터 승객혼잡도가 전송되면 해당 열차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인식부와, 인식된 디스플레이들 중 인식된 해당열차가 도착해야 하는 역과 그 다음 역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를 선택하는 디스플레이선택부와, 수신된 승객혼잡도에 데이터를 선택된 디스플레이로 출력시키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제서버는 환승역의 서로 다른 노선의 승강장에 각각 마련된 디스플레이에서 서로 다른 노선의 열차에 대한 승객혼잡도가 현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차에 탑승한 승객의 혼잡상태를 열차에 탑승하려는 승객에게 제공하여 승객이 열차를 선택적으로 이용하게 되므로, 열차운행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열차에 탑승한 승객을 다양한 방식으로 감지하여 승객혼잡도의 정밀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열차의 전체무게를 측정하지 않고, 열차에 탑승하는 승객 및 승객이 휴대 또는 운반하는 물품들이 차지하는 면적을 감지하여 열차내의 혼잡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승객의 혼잡상태에 따라 열차내의 온도를 적정하게 조절하여 승객에게 쾌적한 객차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역에 도착하는 각각의 열차들에 대한 혼잡도를 제공하여 승객이 선택적으로 열차를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환승역에서 하차하는 승객에게 환승하고자 하는 다른 노선의 열차에 대한 혼잡도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감지수단이 열차바닥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의 승강장마다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열차서버를 보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관제서버를 보인 블록도.
도 7은 환승역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탑승객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0)과, 열차의 운행여부를 감지하는 운행감지수단(30)과, 운행감지수단(30)의 감지에 따라 감지수단(10)을 동작시키고, 감지수단(10)에서 감지된 탑승객의 승객혼잡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승객혼잡도를 외부에 송신하도록 열차에 마련되는 열차서버(70)와, 수신되는 승객혼잡도가 각 역에 마련된 디스플레이(50)에 선택적으로 현시되도록 각각의 디스플레이(50)를 제어하는 관제서버(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열차서버(70)와 관제서버(90)는 PC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차서버(70)와 관제서버(90)는 각각 통신장치가 구비되고, 이 통신장치들은 CBTC를 통해 상호 통신하면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CBTC(Communication Based Train Control)는 통신장치로서 열차를 제어하는 장치와 통신한다. 이와 같은 CBTC는 위치결정이 정교하고, 연속/고밀도/차상/지상간 양방향 무선 데이터통신을 사용한다. 이때, 관제서버(90)는 지상에 마련되는 CBTC에 연결되어 사용되거나, CBTC의 내부에 관제서버(90)의 구성이 함께 구성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먼저, 감지수단(10)은 카메라, 적외선CCTV, CO2감지센서, 온도센서, 수광센서, 압력센서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복합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감지수단(10)은 열차에 탑승한 승객들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는 승객들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열차서버(70)에 제공한다. 그리고, 적외선CCTV는 열차가 이동 중에 사구간에서 어두워질 경우에도 승객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센서는 승객의 유무를 감지하는 것으로, 다수의 승객을 용이하게 감지하도록 적외선센서들이 여러 방향을 향하면서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어 열차의 천정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CO2감지센서는 승객에게서 발생되는 CO2를 감지하는 것으로, CO2의 농도를 측정하여 승객의 혼잡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는 열차내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승객의 혼잡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온도센서는 열차의 천정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무게센서는 열차의 저면에 설치되어 승객의 무게를 측정하는 것으로, 승객혼잡도를 측정하게 된다.
한편, 압력센서는 열차의 바닥에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수개의 압력센서가 열차에 탑승한 승객들을 각각 감지하므로, 각각의 감지값은 열차서버(70)에 제공한다. 그러면, 열차서버(70)는 감지된 압력센서와 감지되지 않은 압력센서를 비교하여 열차내 승객의 점유율을 파악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센서(11)가 열차의 바닥에 다수개가 설치되되 열차의 바닥(12)에서 상부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투명판(13) 또는 반투명판에 의해 커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투명판(13) 또는 반투명판은 수광센서(11)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열차의 바닥(12)에 설치되는 내력부재(15)들에 의해 수평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수광센서(11)는 적외선센서로 대신할 수도 있다.
즉, 열차의 바닥(12)에 다수개의 수광센서(11)를 설치하고, 센서들의 상부에 투명판(13) 또는 반투명판을 설치하면, 열차내의 조명이 수광되게 된다. 이때, 열차에 탑승하는 승객들은 투명판(13)의 상부에 위치되므로, 탑승자의 하부에 위치되는 수광센서(11)들은 탑승객에 의해 가려져서 열차내의 조명을 수광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승객의 수에 따라 조명을 수광하거나 수광하지 못하는 수광센서(11)들이 구별되므로, 수광센서(11)들의 센싱비율을 파악하는 것으로 승객의 혼잡도는 쉽게 파악되게 된다.
이와 같이, 수광센서(11)를 이용하여 열차내에 탑승한 승객의 수를 파악하기 보다는 열차내의 밀도를 파악하는 것으로, 열차내의 혼잡상태는 더욱 정확하게 파악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열차에 탑승하는 승객들은 가방, 배낭, 자전거, 유모차 운반용 상자들과 같은 물품을 함께 운반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승객이 휴대 또는 운반하는 물품들은 승객의 몸무게보다 적은 무게 이지만 물품이 차지하는 부피는 사람의 면적보다 넓게 차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무게센서를 이용하여 열차의 전체무게를 감지하는 것보다, 다수개의 센서들을 이용하면 열차내부의 밀도 즉 혼잡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행감지수단(30)은 열차의 도어의 동작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운행감지수단(30)은 도어의 동작을 감지하는 광센서 또는 근접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운행감지수단(30)은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에 대한 동작을 감지하여 열차서버(70)에 제공하면, 열차서버(70)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감지수단(10)이 작동되게 한다.
열차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만 출발하게 되므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승객이 하차하거나 탑승하는 이동이 발생되게 않게 된다. 따라서, 감지수단(10)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승객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0)는 승객의 승객혼잡도를 숫자 또는 그래프로 현시하도록 승강장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차의 객실에 설치되어 탑승객에게도 혼잡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서버(70)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로 데이터화하는 데이터처리부(71)와, 데이터 처리된 영상에서 물체의 영상과 배경영상을 구분하여 인식하는 영상인식부(73)와, 물체의 영상이 배경영상을 점유하는 점유율을 판단하는 점유율판단부(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감지수단(10)이 카메라 일 때,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이 열차서버(70)에 제공되면, 이미지 처리되고 처리된 이미지는 점유율판단부(75)에서 승객점유율이 판단되게 된다. 이와 같이, 판단된 점유율은 디스플레이(50)에 제공되어 현시되게 된다.
또한, 열차서버(70)는 감지된 승객의 승객혼잡도를 근거로 열차내의 실내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열차에는 냉난방장치가 구비되어 계절에 따라 작동되는데, 승객의 혼잡도를 파악하는 열차서버(70)에서 의해 제어되게 된다. 즉, 열차서버(70)는 파악된 혼잡도에 따라 냉난방장치를 적정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열차서버(70)에 적정온도를 설정하여 저장하고 승객혼잡도와 대응되는 온도값을 데이터화하여 설정하여 저장하며, 실시간으로 파악되는 승객혼잡도와 대응되는 온도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온도값과 설정된 온도값을 비교하여서 실내온도가 높거나 낮은 것으로 판단하여 냉난방장치를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열차서버(70)의 제어에 의해 냉난방장치의 가동률을 조절하서 열차의 실내온도가 적절하게 유지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서버(90)는 디스플레이(50)들을 각각 인식하는 디스플레이인식부(91)와, 열차서버(70)들을 각각 인식하는 열차서버인식부(93)와, 열차서버(70)로부터 승객혼잡도가 전송되면 해당 열차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인식부(95)와, 인식된 디스플레이(50)들 중 인식된 해당열차가 도착해야 하는 역과 그 다음 역에 마련된 디스플레이(50)를 선택하는 디스플레이선택부(97)와, 수신된 승객혼잡도에 데이터를 선택된 디스플레이(50)로 출력시키는 출력부(9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50)들과 열차서버(70)들은 각각의 고유ID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인식부(91) 및 열차서버인식부(93)는 디스플레이(50)들과 열차서버(70)들을 구별하여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위치인식부(95)는 열차의 위치를 인식하고자 하는 것으로, 승객혼잡도를 전송하는 열차서버(70)가 구비된 열차가 어느 역을 향하여 이동하고 있는지 인식한다. 이때, 위치인식부(95)는 CBTC에서 제공되는 열차운행정보를 통해 승객혼잡도를 전송하는 열차의 현재위치를 인식하게 된다.
또한, 승객혼잡도를 전송하는 열차의 현재위치가 인식되면, 해당 열차가 도착하여야 하는 역과 그 다음 역에 각각 설치된 디스플레이(50)를 디스플레이선택부(97)가 선택하게 된다. 이어서, 출력부(99)에 의해 선택된 디스플레이(50)들에서 승객혼잡도가 표시되게 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열차가 도착하여야 하는 역에서는 해당 열차에 대한 승객혼잡도가 표시되는데, 해당역보다 전역에 도착하기 위한 이동 중인 열차에서 대한 승객혼잡도가 전송되면 그 열차에 대한 승객혼잡도도 함께 표시되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50)의 일측에 현재 도착하는 열차의 혼잡도가 ‘전역’이라는 문구와 함께 그래프로 표시되고, 타측에 뒤따르는 열차의 혼잡도가 ‘전전역’이라는 문구와 함께 그래프로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열차를 탑승하고자 하는 승객은 디스플레이(50)에 현시되는 현재 도착하는 열차의 혼잡도와 뒤따르는 열차의 혼잡도를 비교하여, 2대의 열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탑승할 수 있다.
만약, 뒤따르는 열차가 현재 도착하는 열차보다 혼잡하지 않다면 승객은 도착하는 열차를 보낸 후에, 뒤에 도착하는 열차를 선택하면 승객은 혼잡하지 않은 열차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객이 안내되는 승객혼잡도를 이용하여 열차를 선택적으로 이용함으로써, 특정 열차에 승객이 몰리지 않으면서 다른 열차들에 분산되게 되므로 열차운행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열차를 이용하는 승객은 혼잡하지 않은 열차를 선택하여 이용함으로써, 쾌적한 상태의 열차를 이용하게 되고, 특정열차에 승객이 집중되지 않게 됨으로써, 승객들의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서버(90)는 환승역의 서로 다른 노선의 승강장에 각각 마련된 디스플레이(50)에서 서로 다른 노선의 열차에 대한 승객혼잡도가 현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서로 다른 노선에서 각각의 열차들이 환승역에 도착하려고 가까워지는 경우에, 관제서버(90)는 각각의 열차에 대한 혼잡도를 각각의 디스플레이(50)에 현시시키되, 서로 다른 열차의 혼잡도도 함께 현시되도록 디스플레이(50)를 제어한다.
즉, 환승역에는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노선이 지나게 된다. 따라서, 승객들은 자신이 원하는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해 각각의 노선으로 운행되는 열차를 선택하여 이용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다른 노선에 해당되는 승강장에는 디스플레이(50)들이 설치되어 각각의 노선을 이동하는 열차들에 대한 혼잡도를 표시하게 되는데, 각기 다른 노선의 승강장에 각기 다른 열차들이 진입하면 각 열차에 대한 혼잡도가 디스플레이(50)들에 서로 공유되어서 함께 현시되게 된다.
따라서, 환승역에 도착하는 열차에서 하차하는 승객은 자신이 하차한 승강장의 디스플레이(50)를 통해 자신이 이용한 열차에 대한 혼잡도는 물론이고 다른 노선의 열차에 대한 혼잡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이를 참고로 다른 노선에서 환승역에 도착하는 열차들을 선택하여 이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열차를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에게 열차의 혼잡도를 안내하면 승객이 이를 참조하여 열차를 선택하여 이용하므로, 열차들의 혼잡도가 전체적으로 낮아지게 되면서 열차운행의 효율이 향상되면서 열차를 이용하는 승객들도 쾌적한 상태의 열차를 이용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감지수단
30 : 운행감지수단
50 : 디스플레이
70 : 열차서버
90 : 관제서버

Claims (10)

  1. 탑승객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열차의 운행여부를 감지하는 운행감지수단과,
    운행감지수단의 감지에 따라 감지수단을 동작시키고,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탑승객의 승객혼잡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승객혼잡도를 외부에 송신하도록 열차에 마련되는 열차서버와,
    수신되는 승객혼잡도가 각 역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에 선택적으로 현시되도록 각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열차서버는 감지된 승객의 승객혼잡도를 근거로 열차내의 실내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카메라, 적외선CCTV, CO2감지센서, 온도센서, 수광센서, 압력센서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복합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열차의 바닥에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센서는 열차의 바닥에 다수개가 설치되되 열차의 바닥에서 상부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투명판 또는 반투명판에 의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감지수단은 열차의 도어의 동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승객의 승객혼잡도를 숫자 또는 그래프로 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서버는 감지수단이 카메라 일 때,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로 데이터화하는 데이터처리부와,
    데이터 처리된 영상에서 물체의 영상과 배경영상을 구분하여 인식하는 영상인식부와,
    물체의 영상이 배경영상을 점유하는 점유율을 판단하는 점유율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디스플레이들을 각각 인식하는 디스플레이인식부와,
    열차서버들을 각각 인식하는 열차서버인식부와,
    열차서버로부터 승객혼잡도가 전송되면 해당 열차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인식부와,
    인식된 디스플레이들 중 인식된 해당열차가 도착해야 하는 역과 그 다음 역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를 선택하는 디스플레이선택부와,
    수신된 승객혼잡도에 데이터를 선택된 디스플레이로 출력시키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환승역의 서로 다른 노선의 승강장에 각각 마련된 디스플레이에서 서로 다른 노선의 열차에 대한 승객혼잡도가 현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
KR1020100061959A 2010-06-29 2010-06-29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 KR101011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959A KR101011950B1 (ko) 2010-06-29 2010-06-29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959A KR101011950B1 (ko) 2010-06-29 2010-06-29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1950B1 true KR101011950B1 (ko) 2011-01-31

Family

ID=43616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959A KR101011950B1 (ko) 2010-06-29 2010-06-29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95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263B1 (ko) * 2014-10-06 2016-01-12 (주)토브랩 지하철 객실 별 실시간 냉난방 제어 시스템
WO2016171370A1 (ko) * 2015-04-22 2016-10-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의 승강장 정차시간 자동 산출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101757750B1 (ko) * 2015-03-16 2017-07-13 이한상 열차 혼잡도 정보의 통합 안내 방법
WO2018097384A1 (ko) * 2016-11-24 2018-05-3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밀집도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1917291B1 (ko) * 2018-01-29 2018-11-09 이종한 승강장 분산 시스템
KR20190062993A (ko) 2017-11-29 2019-06-07 한국철도공사 열차 혼잡도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71874A (ko) * 2018-12-06 2020-06-22 채원기 지하철 객실 혼잡도 제공을 위한 지하철 객실 IoT 단말, 지하철 혼잡도 제공 시스템
CN111619614A (zh) * 2020-06-05 2020-09-04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车厢乘客拥挤监控与疏导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0574A (ja) 2006-04-26 2007-11-08 Mitsubishi Electric Corp 列車混雑度通知システム
JP2009057006A (ja) 2007-09-03 2009-03-19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車両別混雑度に基づく乗車位置誘導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90079090A (ko) * 2008-01-16 2009-07-21 서울메트로 열차의 차량별 혼잡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67459A (ko) * 2008-12-11 2010-06-2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의 탑승 안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0574A (ja) 2006-04-26 2007-11-08 Mitsubishi Electric Corp 列車混雑度通知システム
JP2009057006A (ja) 2007-09-03 2009-03-19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車両別混雑度に基づく乗車位置誘導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90079090A (ko) * 2008-01-16 2009-07-21 서울메트로 열차의 차량별 혼잡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67459A (ko) * 2008-12-11 2010-06-2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의 탑승 안내 시스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6692A1 (ko) * 2014-10-06 2016-04-14 (주)토브랩 지하철 객실 별 실시간 냉난방 제어 시스템
KR101584263B1 (ko) * 2014-10-06 2016-01-12 (주)토브랩 지하철 객실 별 실시간 냉난방 제어 시스템
KR101757750B1 (ko) * 2015-03-16 2017-07-13 이한상 열차 혼잡도 정보의 통합 안내 방법
US10457306B2 (en) 2015-04-22 2019-10-29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alculating platform dwell time of train
WO2016171370A1 (ko) * 2015-04-22 2016-10-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의 승강장 정차시간 자동 산출 서버, 시스템 및 방법
WO2018097384A1 (ko) * 2016-11-24 2018-05-3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밀집도 알림 장치 및 방법
US10841654B2 (en) 2016-11-24 2020-11-17 Hanwha Techwin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and passenger density
KR20190062993A (ko) 2017-11-29 2019-06-07 한국철도공사 열차 혼잡도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17291B1 (ko) * 2018-01-29 2018-11-09 이종한 승강장 분산 시스템
KR20200071874A (ko) * 2018-12-06 2020-06-22 채원기 지하철 객실 혼잡도 제공을 위한 지하철 객실 IoT 단말, 지하철 혼잡도 제공 시스템
KR102211855B1 (ko) 2018-12-06 2021-02-02 채원기 지하철 객실 혼잡도 제공을 위한 지하철 객실 IoT 단말, 지하철 혼잡도 제공 시스템
CN111619614A (zh) * 2020-06-05 2020-09-04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车厢乘客拥挤监控与疏导系统及方法
CN111619614B (zh) * 2020-06-05 2022-05-27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车厢乘客拥挤监控与疏导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950B1 (ko)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
US105506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the safety in the boarding area and for optimizing usage of the capacity in transport means which comprise at least one locally fixed boarding area
EP2738060A1 (en) Passenger guidance system for guidance of passengers within a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KR101181555B1 (ko) 엘리베이터 탑승 정보를 안내하는 시스템
KR20140133444A (ko) 승강자 계수 장치
JP2007326442A (ja) 循環式索道の閉鎖型搬器
KR101781170B1 (ko)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
US20210284485A1 (en) Elevator calling coordination for robots and individuals
ES2227505T3 (es) Dispositivo para controlar el enclavamiento de la barra de cierre de las sillas de una instalacion de funicular.
KR20130010394A (ko) 버스정보 안내시스템
KR20210076787A (ko) 버스 혼잡도 및 승객 인원 수 알림 시스템
JP2014092998A (ja) 乗降客数カウントシステム
KR20180071458A (ko) 비콘을 이용한 주차 유도 방법 및 시스템
JP2020086744A (ja) 停止位置制御装置、停止位置制御方法、及び停止位置制御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917291B1 (ko) 승강장 분산 시스템
JP7151562B2 (ja) 自律走行車両
KR20090087844A (ko) 지하철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
JP2016147620A (ja) 交通設備利用管理装置、輸送システム及び交通設備利用管理方法
US11661093B2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transporting vehicles hauled by a cable
KR20200074776A (ko) 어린이 등원 차량용 탑승자 차내 방치 방지장치
KR102174439B1 (ko) 비상 탈출 유도 및 환경 조명을 위한 지능형 객실 조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15785A (ko) 수평컨베이어 방식을 이용한 prt 차량 수직이송장치
KR100968017B1 (ko)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
KR20130010393A (ko) 버스정보 안내시스템
KR102079169B1 (ko)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철도시설물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