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291B1 - 승강장 분산 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강장 분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291B1
KR101917291B1 KR1020180010752A KR20180010752A KR101917291B1 KR 101917291 B1 KR101917291 B1 KR 101917291B1 KR 1020180010752 A KR1020180010752 A KR 1020180010752A KR 20180010752 A KR20180010752 A KR 20180010752A KR 101917291 B1 KR101917291 B1 KR 101917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ing
unit
display unit
information
conge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한
곽민석
Original Assignee
이종한
곽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한, 곽민석 filed Critical 이종한
Priority to KR1020180010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2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61L25/04Indicating or recording train ident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분산 시스템은, 복수의 객차- 상기 복수의 객차는 제1 객차 및 제2 객차 내지 제N 객차를 포함하며, N은 3 이상의 자연수 - 각각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열차에 탑승하기 위해, 승강장 - 상기 승강장은 제1 탑승부 및 제2 탑승부 내지 제N 탑승부를 포함하며, N은 3 이상의 자연수- 에서 대기하는 사람들을 분산시키기 위한 승강장 분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객차 내의 혼잡한 정도와 관계된 정보인 혼잡 정보를 제공하는 감지부; 탑승부 각각에 배치되어, 상기 탑승부에서 대기하는 사람들이 상기 객차의 혼잡한 정도를 인지할 수 있는 인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탑승부에 대기하는 사람들이 상기 탑승부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 내의 혼잡한 정도를 인지하기 위하여, 상기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혼잡 정보를 기초로 상기 표시부가 배치되는 상기 탑승부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 내의 혼잡 정보와 관련된 상기 인지 정보가 상기 표시부에서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객차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제1 탑승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표시부가 상기 제1 탑승부와 대응되는 상기 제1 객차와 관련된 상기 인지 정보 및 상기 제1 탑승부 이외의 상기 탑승부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와 관련된 상기 인지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강장 분산 시스템 {PLATFORM DISTRIBUTION SYSTEM}
본 발명은 승강장 분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객차 각각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열차에 탑승하기 위해 승강장의 임의의 탑승부에서 대기하는 사람들을 분산시키기 위한 승강장 분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환경 오염이 심화되고 있는 것에 따라 자가용의 이용 보다는 대중 교통의 이용이 권장되고 있다. 빈번하게 이용되고 있는 대중 교통의 수단으로는 크게 버스와 지하철로 구별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역시 자가용과 같이 매연을 방출하므로, 최근에는 버스보다는 지하철이 더욱 권장되고 있다.
이로 인해, 지하철 이용객이 점점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지하철 증가되는 수요에 따라 지하철의 이용 숫자나 지하철역의 설립 등 지하철 대중 교통이 확대되고 있다. 다만, 지하철 대중 교통의 확대되는 정도가 지하철 이용객이 증가되는 정도를 쫓아가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지하철 객실 내 및 지하철 승강장은 사람들에 의해 매우 혼잡하며, 지하철을 이용하는 승객들은 많이 불편해 하여 대중 교통을 이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지하철 승강장에 대기하고 있는 사람들을 적절하게 분배하여, 상기 승강장이 사람들에 의해 혼잡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승강장 분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분산 시스템은, 복수의 객차- 상기 복수의 객차는 제1 객차 및 제2 객차 내지 제N 객차를 포함하며, N은 3 이상의 자연수 - 각각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열차에 탑승하기 위해, 승강장 - 상기 승강장은 제1 탑승부 및 제2 탑승부 내지 제N 탑승부를 포함하며, N은 3 이상의 자연수- 에서 대기하는 사람들을 분산시키기 위한 승강장 분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객차 내의 혼잡한 정도와 관계된 정보인 혼잡 정보를 제공하는 감지부; 탑승부 각각에 배치되어, 상기 탑승부에서 대기하는 사람들이 상기 객차의 혼잡한 정도를 인지할 수 있는 인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탑승부에 대기하는 사람들이 상기 탑승부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 내의 혼잡한 정도를 인지하기 위하여, 상기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혼잡 정보를 기초로 상기 표시부가 배치되는 상기 탑승부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 내의 혼잡 정보와 관련된 상기 인지 정보가 상기 표시부에서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객차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제1 탑승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표시부가 상기 제1 탑승부와 대응되는 상기 제1 객차와 관련된 상기 인지 정보 및 상기 제1 탑승부 이외의 상기 탑승부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와 관련된 상기 인지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표시부가 상기 제1 탑승부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와 관련된 상기 인지 정보 및 상기 제2 탑승부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와 관련된 상기 인지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분산 시스템.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혼잡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탑승부에 있는 사람들을 적절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상기 제1 표시부가 상기 제1 탑승부에서 상기 제2 탑승부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탑승부와 상기 제2 탑승부 이외의 상기 탑승부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의 혼잡 정보를 기초로 안내 정보를 더 표시하도록, 상기 제1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제2 탑승부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의 혼잡한 정도가 소정의 기준 값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동시에 미리 정해진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탑승부에 있는 사람들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표시부가 제1 안내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동시에 미리 정해진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탑승부에 있는 사람들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상기 제1 표시부가 제2 안내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은, 상기 제1 탑승부에서 상기 제2 탑승부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탑승부와 상기 제2 탑승부 이외의 상기 탑승부 중에서, 소정의 범위 내의 상기 탑승부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에서 제공되는 혼잡 정보를 기초로 만족 여부가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객차 내의 혼잡한 정도와 관련된 정보인 상기 혼잡 정보를 제공하는 제1 감지부 및 제2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혼잡 정보를 기초로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혼잡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감지부가 비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가 비 정상적으로 동작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혼합 정보를 기초로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혼합 정보를 기초로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승강장 내부로 유입되는 사람의 숫자와 관련된 유입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감지부의 비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감지부가 비 정상적으로 동작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기존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분산 시스템은, 승강장이 사람들에 의해 혼잡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객들이 지하철에 효과적으로 탑승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하철의 가동 횟수를 감소시켜 전력 소비를 절약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분산 시스템이 적용되는 승강장 및 열차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분산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분산 시스템이 구비하는 표시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분산 시스템이 구비하는 제어부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분산 시스템이 구비하는 표시부가 인지 정보 및 안내 정보를 표시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분산 시스템이 구비하는 표시부가 인지 정보 및 안내를 표시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분산 시스템이 구비하는 제어부가 감지부가 비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분산 시스템이 구비하는 제어부가 감지부가 비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분산 시스템이 적용되는 승강장 및 열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분산 시스템은 복수의 객차 - 상기 복수의 객차는 제1 객차 및 제2 객차 내지 제N 객차를 포함하며, N은 3 이상의 자연수 - 각각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열차에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열차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객차(31), 제2 객차(32), 제3 객차(33), 제4 객차(34), 제5 객차(35), 제6 객차(36), 제7 객차(37) 및 제8 객차(38)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열차는 지하철, 기차, 철도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장 분산 시스템은 상기 열차에 탑승하기 위해, 승강장 - 상기 승강장은 제1 탑승부 및 제2 탑승부 내지 제N 탑승부를 포함하며, N은 3 이상의 자연수 -에 적용될 수 있다.
승강장은 열차를 탑승하기 위해 사람들이 대기할 수 있는 모든 공간 및 상기 열차가 역 내로 진입하는 경우 정차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탑승부는 사람들이 상기 열차 내로 탑승하기 위해서 반드시 통과하여야 하는 상기 승강장 내의 공간일 수 있다.
상기 탑승부는 상기 열차의 출입문의 숫자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열차의 객차에는 4개의 출입문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탑승부는 제1 탑승부, 상기 제1 탑승부와 이웃한 제2 탑승부, 상기 제1 탑승부와 이웃하나 상기 제2 탑승부와 대향적인 위치에 배치되는 제3 탑승부, 상기 제2 탑승부와 이웃하는 제4 탑승부, 상기 제4 탑승부와 이웃하는 제5 탑승부, 상기 제5 탑승부와 이웃하는 제6 탑승부, 상기 제6 탑승부와 이웃하는 제7 탑승부 및 상기 제3 탑승부와 이웃하는 제8 탑승부 내지 제32 탑승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열차는 역 내로 진입하여 상기 승강장에 정차되는 경우, 상기 탑승부와 상기 객차의 출입문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 분산 시스템은 상기 승강장에서 대기하는 사람들을 분산시키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분산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분산 시스템은 상기 객차 내의 혼잡한 정도와 관련된 정보인 혼잡 정보를 제공하는 감지부(10), 탑승부 각각에 배치되어, 상기 탑승부에서 대기하는 사람들이 상기 객차의 혼잡한 정도를 인지할 수 있는 인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00) 및 상기 탑승부에 대기하는 사람들이 상기 탑승부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 내의 혼잡한 정도를 인지하기 위하여, 상기 감지부(10)에서 제공되는 상기 혼잡 정보를 기초로 상기 표시부(100)가 배치되는 상기 탑승부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 내의 혼잡 정보와 관련된 상기 인지 정보가 상기 표시부(100)에서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100)를 제어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0)는 상기 객차 내의 혼잡한 정도와 관련된 정보인 혼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혼잡 정보는 상기 감지부(10)가 감지해서 상기 제어부(20)로 송신하는 상기 객차 내의 혼잡한 정도와 관련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감지부(10)는 무게 센서, CO2 감지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일 수 있다.
일레로, 상기 감지부(10)가 무게 센서일 경우, 상기 감지부(10)는 상기 객차의 무게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20)에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지부(10)에서 제공된 상기 무게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객차 내의 혼잡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혼잡 정보는 상기 객차의 무게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감지부(10)가 CO2 감지 센서일 경우, 상기 감지부(10)는 상기 객차 내의 CO2 농도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20)에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지부(10)에서 제공된 상기 CO2 농도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객차 내의 혼잡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혼잡 정보는 상기 CO2 농도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센서로 상기 감지부(10)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감지부(10)는 상기 객차 각각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감지부(10)는 역과 역을 서로 연결시키는 통로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어부(2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24), 상기 승강장 분산 시스템이 작동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5), 제어에 필요한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부(21), 상기 감지부(10)와 및/또는 상기 표시부(100)로부터 정보를 전달받거나 제어적인 신호를 송신하는 송수신부(22) 및 상기 승강장 분산 시스템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분산 시스템이 구비하는 표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표시부(100)는 상기 탑승부(200)에서 대기하는 사람들이 객차 내의 혼잡한 정도를 인지할 수 있는 인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인지 정보는 상기 탑승부(200)에 대기하고 있는 사람들이 상기 객차 내의 혼잡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인지 정보는 색깔일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객차 내부의 혼잡도가 높을 경우 빨간색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객차 내부의 혼잡도가 보통인 경우 주황색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객차 내부의 혼잡도가 낮을 경우 초록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인지 정보는 숫자일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제공된 혼잡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객차 내의 혼잡한 정도를 수치화 시킬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수치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인지 정보를 상술한 예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하, 상기 인지 정보가 색깔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탑승부(200)에서 대기하는 사람들에게 상기 인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모든 표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표시부(100)는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인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발광체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체는 LED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승강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00)는 주요 표시부(110), 상기 주요 표시부(110)와 이웃되는 일측 표시부(120) 및 상기 주요 표시부(110)와 이웃되며 상기 일측 표시부(120)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타측 표시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a)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승강장에 배치되는 안전선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승강장에 배치되는 스크린도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탑승부(200)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제1 탑승부에 배치되는 제1 표시부, 상기 제2 탑승부에 배치되는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3 탑승부에 배치되는 제3 표시부 내지 상기 제32 표시부에 배치되는 제32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표시부를 상기 스크린도어에 배치되는 일례로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분산 시스템이 구비하는 제어부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분산 시스템이 구비하는 표시부가 인지 정보 및 안내 정보를 표시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분산 시스템이 구비하는 표시부가 인지 정보 및 안내를 표시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탑승부(200a)와 대응되는 상기 제1 객차와 관련된 인지 정보 및 상기 제1 탑승부(200a) 이외의 탑승부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와 관련된 인지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 표시부(100a)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차가 상기 승강장에 정차되는 경우에, 상기 객차 내에 존재하는 사람이 상기 열차의 출입문을 통해 가장 짧은 이동 거리로 하차할 수 있는 탑승부와 상기 탑승부로 하차할 수 있는 사람이 위치될 수 있는 상기 객차내의 공간은 서로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표시부(100a)가 상기 제1 탑승부(200a, 도 1 참조)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와 관련된 상기 인지 정보 및 상기 제2 탑승부(200b, 도 1 참조)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와 관련된 상기 인지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 표시부(100a)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제어부의 제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표시부는 상기 표시부가 배치되는 탑승부와 대응되는 객차와 관련된 인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주요 표시부, 상기 표시부가 배치되는 탑승부와 대응되지 않은 객차와 관련된 인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일측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가 배치되는 탑승부와 대응되지 않은 객차와 관련된 인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타측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도 5를 참조하면, 제1 탑승부(200a)에 배치되는 제1 표시부(100a)는 제1 주요 표시부(110a), 제1 일측 표시부(120a) 및 제1 타측 표시부(130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요 표시부(110a)는 상기 제1 표시부(100a)가 배치되는 상기 제1 탑승부(200a)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와 관련된 인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일측 표시부(120a)는 상기 제2 표시부(100b)가 배치되는 상기 제2 탑승부(200b)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와 관련된 인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타측 표시부(130a)는 상기 제3 표시부(100c)가 배치되는 상기 제3 탑승부(200c)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와 관련된 인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탑승부(200a)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의 내부의 혼잡도는 높을 수 있고, 상기 제2 탑승부(200b)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의 내부의 혼잡도도 높을 수 있고, 상기 제3 탑승부(200c)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의 내부의 혼잡도는 보통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주요 표시부(110a)는 빨간색을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제1 일측 표시부(120a)도 빨간색을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제1 타측 표시부(130a)는 주황색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방법에 의해, 상기 제1 탑승부(200a)를 통해 상기 객차로 탑승하려고 하는 사람은 상기 제1 표시부(100a)의 인지 정보를 취득한 후에, 제3 탑승부(200c)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혼잡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탑승부(200a)에 있는 사람들을 적절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상기 제1 표시부(100a)가 상기 제1 탑승부(200a)에서 상기 제2 탑승부(200b)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탑승부(200a)와 상기 제2 탑승부(200b) 이외의 탑승부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의 혼잡 정보를 기초로 안내 정보를 더 표시하도록, 상기 제1 표시부(100a)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제2 탑승부(200b)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의 혼잡한 정도가 소정의 기준 값 이상인 것인 조건일 수 있다.
일레로,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객차의 혼잡도가 높음 혹 보통인 조건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동시에 미리 정해진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탑승부(200a)에 있는 사람들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표시부(100a)가 제1 안내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 표시부(100a)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동시에 미리 정해진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탑승부(200a)에 있는 사람들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상기 제1 표시부(100a)가 제2 안내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 표시부(100a)를 제어할 수 있다.
안내 정보는 승강장 내의 사람들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정보 표시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안내 정보는 화살표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1 안내 정보는 사람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고, 제2 안내 정보를 사람의 이동을 유동하기 위한 정보 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안내 정보는 빨간색 화살표일 수 있고, 상기 제2 안내 정보는 주황색 화살표 혹은 초록색 화살표 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은 상기 제1 탑승부(200a)에서 상기 제2 탑승부(200b)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탑승부(200a)와 상기 제2 탑승부(200b) 이외의 상기 탑승부 중에서, 소정의 범위 내의 상기 탑승부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에서 제공되는 혼잡 정보를 기초로 만족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제어부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인 일례로 자세히 설명하겠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표시부(100b)가 배치되는 상기 제2 탑승부(200b)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의 혼잡도가 높기 때문에,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일측 표시부(120a)가 안내 정보(일례로, 화살표)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 일측 표시부(120a)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표시부(100c)가 배치되는 상기 제3 탑승부(200c)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의 혼잡도가 높기 때문에,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타측 표시부(130a)가 안내 정보(일례로, 화살표)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 타측 표시부(130a)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4 탑승부(200d)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의 내부의 혼잡도는 높을 수 있고, 상기 제5 탑승부(200e)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의 내부의 혼잡도도 높을 수 있고, 상기 제6 탑승부(200f)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의 내부의 혼잡도는 보통일 수 있고, 상기 제7 탑승부(200g)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의 내부의 혼잡도도 보통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미리 정해진 기준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기준에서의 소정의 범위를 4개의 탑승부라고 가정을 한다면, 상기 제1 탑승부(200a)를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에 해당되는 탑승부는 상기 제4 탑승부(200d), 상기 제5 탑승부(200e), 상기 제6 탑승부(200f) 및 상기 제7 탑승부(200g)가 소정의 범위 내에 해당되는 탑승부일 수 있다.
일례로, 미리 정해진 기준을 만족되기 위한 판단 과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혼잡도 높을 경우에는 -5 점을 부여할 수 있고, 혼잡도가 보통일 경우에는 +2점을 부여할 수 있으며, 혼잡도가 낮을 경우에는 +5 점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는 혼잡도의 총 합이 0 미만인 경우일 수 있고,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는 혼잡도의 총 합이 0이상인 경우일 수 있다.
일례로, 미리 정해진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빨간색의 제1 안내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초록색 혹은 주황색의 제2 안내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혼합도의 총 합이 0 이상 3 이하일 경우 주황색의 제2 안내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혼합도의 총 합이 4 이상일 경우 초록색의 제2 안내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4 탑승부(200d)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의 혼잡도가 높기 때문에 -5점이 부여될 수 있고, 상기 제5 탑승부(200e)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의 혼잡도가 높기 때문에 -5점이 부여될 수 있으며, 상기 제6 탑승부(200f)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의 혼잡도가 보통이기 때문에 +2점이 부여될 수 있으며, 상기 제7 탑승부(200g)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의 혼잡도가 보통이기 때문에 +2 점이 부여될 수 있다. 따라서 혼잡도의 총 합은 -6점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탑승부(200a)를 기준으로 일 방향의 상기 탑승부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의 혼잡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을 만족하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일측 표시부(120a)가 제1 안내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 일측 표시부(120a)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일측 표시부(120a)는 빨간색의 인지 정보와 빨간색 화살표의 제1 안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일측 표시부(120a)는 상기 제1 탑승부(200a)에서 상기 제2 탑승부(200b) 방향을 향하는 화살표를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상기 제1 탑승부(200a)를 기준으로 일 방향과 반대인 타 방향의 상기 탑승부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의 혼잡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을 만족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타측 표시부(130a)가 제2 안내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 일측 표시부(120a)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타측 표시부(130a)는 주황색의 인지 정보와 주황색의 화살표의 제2 안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일측 표시부(120b)는 상기 제1 탑승부(200a)에서 상기 제3 탑승부(200c) 방향을 향하는 화살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탑승부(200a)에 있는 사람들은 상기 제1 탑승부(200a) 근방의 탑승부와 대응되는 객차의 혼잡도를 손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사람들의 적절한 이동으로 인해 객차에 상황에 맞게 객차로 용이하게 탑승할 수 있다.
상기 제2 탑승부(200b)에 배치되는 제2 표시부(100b)는 제2 주요 표시부(110b), 제2 일측 표시부(120b) 및 제2 타측 표시부(130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주요 표시부(110b), 상기 제2 일측 표시부(120b) 및 상기 타측 표시부가 어느 인지 정보를 표시하는 지에 대한 것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탑승부(200b)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의 내부의 혼잡도는 높을 수 있고, 상기 제4 탑승부(200d)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의 내부의 혼잡도도 높을 수 있고, 상기 제1 탑승부(200a)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의 내부의 혼잡도도 높을 수 있다.
일례로, 상술한 제어방법에 의하면, 상기 제2 주요 표시부(110b)는 빨간색의 인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일측 표시부(120b)는 빨간색의 인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타측 표시부(130b)도 빨간색의 인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일측 표시부(120b)는 녹색의 제2 안내 정보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타측 표시부(130b)는 녹색의 제2 안내 정보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탑승부(200b)에 위치하는 사람은 상기 인지 정보만을 보았을 경우에는 제2 탑승부(200b)에서 위치 이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분배 시스템은 안내 정보를 통해 상기 제2 탑승부(200b)에 위치하는 사람이 상기 제4 탑승부(200d) 방향 혹은 상기 제1 탑승부(200a)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술한 방법과 같이 미리 정해진 기준 만족 여부에 따라 상기 안내 정보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표시부(100a)에서 표시한 인지 정보와 관련된 탑승부를 제외하고, 혼잡도가 소정의 기준 값 이하인 상기 객차와 대응되는 상기 탑승부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 표시부(100a)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탑승부(200a)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탑승부(200a)와 가장 가까운 탑승부에 관한 정표가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일측 표시부(120a)는 빨간색의 인지 정보가 표시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제6 탑승부(200f)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타측 표시부(130a)는 주황색의 인지 정보가 표시되는 것과 동시에, 제8 탑승부(200h)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1 탑승부(200a)에 위치되는 사람들은 제1 탑승부(200a)의 이웃되는 탑승부 이외의 탑승부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확인하여, 혼잡도가 적은 객실과 대응되는 탑승부로 위치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제어한 방법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3 탑승부(200c, 도 1 참조)에 배치된 제3 표시부(100c), 제4 탑승부(200d, 도 1 참조)에 배치된 제4 표시부(100d), 제5 탑승부(200e, 도 1 참조)에 배치된 제5 표시부(100e), 제6 탑승부(200f, 도 1 참조)에 배치된 제6 표시부(100f), 제7 탑승부(200g, 도 1 참조)에 배치된 제7 표시부(100g), 제8 탑승부(200h, 도 1 참조)에 배치된 제8 표시부(100h), 제9 탑승부(200i, 도 1 참조)에 배치된 제9 표시부(100i), 제10 탑승부(200j, 도 1 참조)에 배치된 제10 표시부(100j), 제11 탑승부(200k, 도 1 참조)에 배치된 제11 표시부(100k), 제12 탑승부(200l, 도 1 참조)에 탑승된 제12 표시부(100l), 제13 탑승부(200m, 도 1 참조)에 배치된 제13 표시부(100m) 제14 탑승부(200n, 도 1 참조)에 배치된 제14 표시부(100n), 제15 탑승부(200o, 도 1 참조)에 배치된 제15 표시부(100o) 및 제16 탑승부(200p, 도 1 참조)에 배치된 제 16 표시부(100p)도 상술한 제어 방법으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분산 시스템이 구비하는 제어부가 감지부가 비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분산 시스템이 구비하는 제어부가 감지부가 비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객차 내의 혼잡한 정도와 관련된 정보인 상기 혼잡 정보를 제공하는 제1 감지부 및 제2 감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감지부 및 제2 감지부는 종류가 서로 같은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가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2 감지부를 동작시키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제1 감지부가 동작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감지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혼잡 정보를 기초로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혼잡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감지부가 비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혼잡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같은 요일, 같은 시간대의 혼잡 정보를 기초로 연산된 혼잡도를 서로 비교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혼잡도의 변화량이 소정의 기준 값 이상인 경우인 조건일 수 있다.
일례로,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감지부에서 제공된 혼잡 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혼잡도는, 1월 2일 8시에는 80일 수 있고, 1월 9일 8시에는 78일 수 있고, 1월 16일 8시에는 83일 수 있고, 1월 23일 8시에는 65일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기준 값이 10일 경우, 1월 16일에서 1월 23일의 혼잡도의 변화량은 소정의 기준 값 이상이므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2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혼잡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감지부가 비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혼잡 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혼잡도가 상기 제1 감지부에서 제공된 혼잡 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혼잡도와 소정의 기준값 이하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가 비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기준값은 상기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혼합 정보의 오차 범위 내의 값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반대로, 상기 제2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혼잡 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혼잡도가 상기 제1 감지부에서 제공된 혼잡 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혼잡도와 소정의 기준값 이상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가 비 정상적으로 동작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가 비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혼합 정보를 기초로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제1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혼합 정보를 기초로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고,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는 상기 제1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혼합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시간은 하루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소정의 시간은 한 시간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가 비 정상적으로 동작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혼합 정보를 기초로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제2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혼합 정보를 기초로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승강장 내부로 유입되는 사람의 숫자와 관련된 유입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감지부의 비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감지부가 비 정상적으로 동작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기존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혼합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장 내부로 유입되는 사람의 숫자와 관련된 유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장 내부로 유입되는 사람의 숫자와 관련된 유입 정보는 역 내에 있는 개찰구에서 획득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승강장 내부로 유입되는 사람의 숫자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모든 수집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유입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역내 통로에 배치되는 비젼에 의해 상기 유입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같은 요일, 같은 시간대의 혼잡 정보를 기초로 연산된 혼잡도의 변화량과 상기 승강장 내부로 유입되는 사람의 숫자와 관련된 유입 정보를 기초로 연산된 유입 인구의 변화량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제2 감지부가 비 정상적으로 동작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감지부에서 제공된 혼잡 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혼잡도는, 1월 2일 8시에는 80일 수 있고, 1월 9일 8시에는 78일 수 있고, 1월 16일 8시에는 83일 수 있고, 1월 23일 8시에는 65일 수 있다.
또한,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유입 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상기 승강장 내부로 유입되는 사람의 숫자는 1월 2일 7시 50분부터 8시 10분까지 유입 숫자는 93일 수 있고, 1월 9일 7시 50분부터 8시 10분까지 유입 숫자는 87일 수 있고, 1월 16일 7시 50분부터 8시 10분까지 유입 숫자는 88일 수 있고, 1월 23일 7시 50분부터 8시 10분까지 유입 숫자는 95일 수 있다.
일례로, 1월 23일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감지부에서 제공된 혼잡 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혼잡도의 변화량이 소정의 기준값 10 이상이지만, 상기 유입 정보를 기초로 환산된 상기 승강장 내부로 유입되는 사람의 숫자는 소정의 기준값 20 미만이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감지부가 비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감지부가 비 정상적으로 동작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기존에 저장된 데이터인 1월 16일에 저장된 혼잡 정보를 기초로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 및/또는 상기 제2 감지부가 비 정상적인 동작을 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거나 알림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분산 시스템은 감지부가 고장날 경우, 잘못된 정보가 상기 표시부를 통해 게시되므로, 승강장에 있는 사람들은 큰 혼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제1 감지부 및/또는 제2 감지부의 고장을 정확하게 판단한 뒤, 상기 제1 감지부가 고장 났을 경우 빠르게 제2 감지부를 가동시켜 제1 감지부의 고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감지부가 고장 났을 경우, 기존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기 표시부를 제어함으로서 상기 제2 감지부의 고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 감지부 100 : 표시부
20 : 제어부

Claims (5)

  1. 복수의 객차- 상기 복수의 객차는 제1 객차 및 제2 객차 내지 제N 객차를 포함하며, N은 3 이상의 자연수 - 각각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열차에 탑승하기 위해, 승강장 - 상기 승강장은 제1 탑승부 및 제2 탑승부 내지 제N 탑승부를 포함하며, N은 3 이상의 자연수- 에서 대기하는 사람들을 분산시키기 위한 승강장 분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객차 내의 혼잡한 정도와 관계된 정보인 혼잡 정보를 제공하는 감지부;
    탑승부 각각에 배치되어, 상기 탑승부에서 대기하는 사람들이 상기 객차의 혼잡한 정도를 인지할 수 있는 인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탑승부에 대기하는 사람들이 상기 탑승부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 내의 혼잡한 정도를 인지하기 위하여, 상기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혼잡 정보를 기초로 상기 표시부가 배치되는 상기 탑승부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 내의 혼잡 정보와 관련된 상기 인지 정보가 상기 표시부에서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객차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제1 탑승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표시부가 상기 제1 탑승부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와 관련된 상기 인지 정보 및 상기 제2 탑승부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와 관련된 상기 인지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동시에 미리 정해진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탑승부에 있는 사람들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표시부가 제1 안내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동시에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탑승부에 있는 사람들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상기 제1 표시부가 제2 안내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 표시부를 제어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제2 탑승부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의 혼잡한 정보가 소정의 기준 값 이상인 조건이고,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은,
    상기 제1 탑승부에서 상기 제2 탑승부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탑승부와 상기 제2 탑승부 이외의 상기 탑승부 중에서, 소정의 범위 내의 상기 탑승부와 대응되는 상기 객차에서 제공되는 혼잡 정보를 기초로 만족 여부가 판단되는,
    승강장 분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제1 탑승부와 대응되는 객차와 관련된 인지 정보를 표시하는 제1 주요 표시부 및 상기 제2 탑승부와 대응되는 객차와 관련된 인지 정보를 표시하는 제1 일측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일측 표시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동시에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이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탑승부와 대응되는 객차와 관련된 인지 정보와 함께 상기 제1 안내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동시에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이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탑승부와 대응되는 객차와 관련된 인지 정보와 함께 상기 제2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분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 정보는,
    빨간색 화살표이고,
    상기 제2 안내 정보는,
    주황색 또는 초록색 화살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분산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객차 내의 혼잡한 정도와 관련된 정보인 상기 혼잡 정보를 제공하는 제1 감지부 및 제2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혼잡 정보를 기초로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감지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혼잡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감지부가 비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분산 시스템.
KR1020180010752A 2018-01-29 2018-01-29 승강장 분산 시스템 KR101917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752A KR101917291B1 (ko) 2018-01-29 2018-01-29 승강장 분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752A KR101917291B1 (ko) 2018-01-29 2018-01-29 승강장 분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291B1 true KR101917291B1 (ko) 2018-11-09

Family

ID=64426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752A KR101917291B1 (ko) 2018-01-29 2018-01-29 승강장 분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2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9941A (zh) * 2019-04-04 2019-06-07 辽宁鼎汉奇辉电子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铁路客运站站台地面标识引导系统
CN111204350A (zh) * 2018-11-21 2020-05-29 李子超 一种高铁进站候车系统
KR20200071874A (ko) * 2018-12-06 2020-06-22 채원기 지하철 객실 혼잡도 제공을 위한 지하철 객실 IoT 단말, 지하철 혼잡도 제공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7006A (ja) * 2007-09-03 2009-03-19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車両別混雑度に基づく乗車位置誘導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011950B1 (ko) * 2010-06-29 2011-01-31 (주)정은테크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7006A (ja) * 2007-09-03 2009-03-19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車両別混雑度に基づく乗車位置誘導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011950B1 (ko) * 2010-06-29 2011-01-31 (주)정은테크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4350A (zh) * 2018-11-21 2020-05-29 李子超 一种高铁进站候车系统
KR20200071874A (ko) * 2018-12-06 2020-06-22 채원기 지하철 객실 혼잡도 제공을 위한 지하철 객실 IoT 단말, 지하철 혼잡도 제공 시스템
KR102211855B1 (ko) * 2018-12-06 2021-02-02 채원기 지하철 객실 혼잡도 제공을 위한 지하철 객실 IoT 단말, 지하철 혼잡도 제공 시스템
CN109849941A (zh) * 2019-04-04 2019-06-07 辽宁鼎汉奇辉电子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铁路客运站站台地面标识引导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7291B1 (ko) 승강장 분산 시스템
US10388126B2 (en) Method for guiding passengers
US10899371B2 (en) System for managing space available and seats for passengers for use of a passenger transport system
US105506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the safety in the boarding area and for optimizing usage of the capacity in transport means which comprise at least one locally fixed boarding area
US8615338B2 (en) Aerial tramway with monitoring of the number of passengers allowable in the tram car
US8177036B2 (en) Communication of elevator reassignment information in a group elevator system
CN107758460A (zh) 电梯系统
JP4739848B2 (ja) 群管理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KR101011950B1 (ko) 승객혼잡도를 이용한 열차 안내 시스템
US20150127697A1 (en) Elevator system using dual communication channels
WO2014083111A1 (en) Passenger guidance system for guidance of passengers within a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KR20100067459A (ko) 열차의 탑승 안내 시스템
KR100953067B1 (ko) 지하철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
CN107000764A (zh) 缆车系统
JP5819028B2 (ja) 列車情報管理装置および列車乗務員支援方法
JP2005271765A (ja) 乗客案内システム
JP6068691B1 (ja) エレベータの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運行管理方法
CN101111443A (zh) 指示一电梯轿厢在等待同一电梯井中另一电梯轿厢的通知
JP2018167966A (ja) エレベーターシミュレーター
US9365391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6195390B2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US201902206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data entry mechanism for an application based on security requirements
KR20160046537A (ko) 지하철 객차의 내부환경정보 알림장치
KR102246208B1 (ko) 승차인원 분산시스템
RU2780594C2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доступным пространством и местами для пассажиров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системе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пассажир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