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537A - 지하철 객차의 내부환경정보 알림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철 객차의 내부환경정보 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537A
KR20160046537A KR1020140142575A KR20140142575A KR20160046537A KR 20160046537 A KR20160046537 A KR 20160046537A KR 1020140142575 A KR1020140142575 A KR 1020140142575A KR 20140142575 A KR20140142575 A KR 20140142575A KR 20160046537 A KR20160046537 A KR 20160046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ironment information
data
internal environment
environmental information
passenger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관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2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6537A/ko
Publication of KR20160046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 객차의 내부환경정보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객차의 탑승공간별로 인원수, 온도, 습도, 냄새정도를 감지하는 환경정보 감지수단을 설치하고, 감지된 정보를 열차가 다음 정차할 역 승강장의 스크린도어 상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여, 탑승대기자가 미리 객차내 환경정보를 보고 탑승여부 및 위치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지하철 객차의 내부환경정보 알림장치{Apparatus for displaying in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subway car}
본 발명은 지하철 객차의 내부환경정보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음에 정차할 지하철의 객차 내부환경정보를 승강장의 도어 상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탑승 대기자에게 미리 알려 줄 수 있도록 된 지하철 객차의 내부환경정보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에서 철도는 도시의 지상기능 및 미관을 살리고 소음방지, 용지 확보의 어려움을 감안하여 주로 도로 하부에 건설되고 있다.
현대 도시에서 지하철(연계 운행되는 지상 전철 포함)은 여객 수송의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근래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하철 역사의 사상사고 방지를 위하여 지하철 승강장에는 승강장과 철로 공간을 구분하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는 열차 진입 전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승객의 철로 공간 진입을 차단하고, 열차 정차 후에는 열차 도어와 동시에 개방됨으로써 승객의 승/하차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스크린도어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에는 승객 편의를 위하여 열차 접근 상태, 열차의 목적지 등의 정보를 표시해주고 있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 제10-2014-0066949호(2014.06.03.공개)에서와 같이, 스크린도어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열차 도어의 개방 잔여시간을 표시하여 승객들이 보다 여유 있고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기술도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고가의 설비임에도 불구하고 그 표시정보의 종류가 단순하여 여전히 그 활용 정도가 낮은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승객에게 보다 다양한 편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열차의 각 객차 내 환경정보를 표시하여 승객들의 탑승 위치 선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된 지하철 객차의 내부환경정보 알림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열차의 객차 내부에 설치된 환경정보 감지수단과, 상기 환경정보 감지수단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그 감지신호로부터 환경정보 데이터를 산출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산출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무선 송신하는 데이터송신장치와, 지하철역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데이터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장치와, 상기 데이터수신장치에 수신된 데이터가 입력 및 저장되는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된 객차 내 환경정보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환경정보 감지수단으로서 카메라, 온도센서, 습도센서, 냄새센서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상기 환경정보 감지수단은 객차의 각 도어를 중심으로 하는 각각의 탑승공간마다 동일한 종류와 수로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측부에 객차 내부환경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스피커가 더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환경정보 감지수단의 종류 수와 동일한 수로 표시 영역이 구분된다.
상기 각각의 표시 영역에 해당 내부환경정보가 수치 및 등급별 색깔로 표시된다.
상기 데이터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된 객차 내부환경정보 데이터가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을 통해 객차 내부환경정보 제공 서비스 업체의 서비스 서버에 입력 및 저장되고,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객차 내부환경정보 데이터는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을 통해 서비스 이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객(탑승 대기자)들이 열차가 승강장으로 들어오기 전에 자신이 탑승할 객차 탑승공간의 내부환경정보 즉, 현재 탑승 인원수, 실내 온도, 실내 습도, 실내 악취 정도를 스크린도어 상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시각정보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일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의 측부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음성정보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열차에 탑승하려고 하는 사람들은 제공된 객차내 환경정보를 토대로 사람이 너무 많거나, 덥거나(또는 춥거나), 습도가 너무 높거나, 또는 냄새(악취)가 많이 나거나 하는 실내 환경 조건을 감안하여 해당 탑승공간으로의 탑승 여부를 결정하고, 마음에 들지 않으면 보다 탑승 환경이 좋은 탑승공간을 선택하여 탑승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항상 주어진 조건 내에서 최적의 환경조건을 택하여 쾌적하게 열차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제공되는 객차 내부환경정보의 종류별로 표시면적이 구분되어 있고, 각각의 구분된 표시면적에서는 해당 환경정보 데이터를 수치로 표시하거나, 등급(양호, 보통, 불량)을 나타내는 색깔로 표시하거나, 수치와 색깔 모두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 대기자들은 자신이 탑승하고자 하는 공간의 내부환경정보를 미리 명확하게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객차의 내부환경정보는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자신의 모바일기기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정차할 열차의 모든 탑승공간에 대한 내부환경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므로 현재 탑승대기위치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않고도 다른 탑승위치의 내부환경정보를 알 수 있게 되어,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좋은 탑승조건을 가진 탑승공간을 선택하고, 해당 탑승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모바일 기기를 통해 운행하고 있는 열차들의 내부환경정보를 알아볼 수 있으므로, 지하철 이용 전에 정보를 미리 검색해보고 이용에 부적절한 상황이면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객차의 내부환경정보 알림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객차의 내부환경정보 알림장치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객차의 내부환경정보 알림장치는, 열차의 객차 내부에 설치된 환경정보 감지수단(10)과, 환경정보 감지수단(10)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그 감지신호로부터 환경정보 데이터를 산출하는 마이크로컴퓨터(20)와, 마이크로컴퓨터(20)에서 산출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무선 송신하는 데이터송신장치(30)와, 지하철역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데이터송신장치(3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장치(40)와, 데이터수신장치(40)에 수신된 데이터가 입력 및 저장되는 관리서버(50) 및 승강장의 스크린도어(60) 상부에 설치되어 관리서버(50)로부터 전달된 객차 내 환경정보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70)를 포함한다.
환경정보 감지수단(10)은 객차 내의 환경정보 예를 들어, 탑승자 수, 온도, 습도, 냄새(악취) 등을 감지하는 수단으로서, 카메라(11), 온도센서(12), 습도센서(13), 냄새센서(14)가 이용될 수 있다. 이들 환경정보 감지수단(10)은 단독 또는 2개 이상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환경정보 감지수단(10)은 승강장의 승차 위치 즉, 스크린도어(60) 별로 해당 탑승공간의 환경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객차의 각 도어를 중심으로 설정된 탑승공간(도 1에서 객차를 상하로 가로지르는 점선 사이의 공간)마다 설치된다. 즉, 객차의 탑승공간은 도어와 도어 사이의 중간 위치를 경계로 설정되며 각각의 탑승공간마다 동일한 종류와 수의 환경정보 감지수단(10)이 설치된다.(각 탑승공간은 통상적으로 탑승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익히 사용되고 있는 일련의 승강장 번호에 상응한다.) 이를 위해 상기 카메라(11), 온도센서(12), 습도센서(13), 냄새센서(14) 등은 객차의 도어가 설치된 부분마다 설치된다.
카메라(11)는 자신이 설치된 탑승 공간을 촬영하여 그 영상정보를 마이크로컴퓨터(20)로 전달하고, 마이크로컴퓨터(20)는 그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탑승공간의 탑승 인원수를 산출한다.
온도센서(12), 습도센서(13), 냄새센서(14)의 측정신호는 마이크로컴퓨터(20)에 포함된 인코더에 의해 부호화되고, 마이크로컴퓨터(20)는 각 센서 별로 마련된 데이터 산출 프로그램에 의해 센서의 측정신호로부터 온도값, 습도값, 냄새정도값(악취정도값)을 산출한다.
냄새센서(14)는 악취를 유발하는 여러 냄새 성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들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알코올, 입냄새, 땀냄새, 음식물냄새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들을 조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마이크로컴퓨터(20)에서 산출된 각 탑승공간별 내부환경정보 데이터는 데이터송신장치(30)에 의해 무선 송신된다.
열차의 데이터송신장치(30)에서 송신된 각 객차 탑승공간별 환경정보 데이터는 열차가 이동하는 다음 지하철 역의 승강장에 구비된 데이터수신장치(40)에 수신된다.
데이터수신장치(40)에 수신된 탑승공간별 내부환경정보 데이터는 지하철 역사에 구비된 시설 관리서버(50)(이하, 관리서버로 약칭함)에 입력 및 저장된다.
관리서버(50)에 저장된 탑승공간별 내부환경정보 데이터는 각 탑승공간에 해당하는 스크린도어(60) 상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70)에 표시된다.
디스플레이장치(70)의 측부에는 스피커(80)가 설치될 수 있다. 관리서버(50)는 탑승공간별 환경정보 데이터를 해당 위치에 설치된 스피커(80)를 통해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보 표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공 정보 수와 동수로 표시 영역이 구획된다. 즉, 환경정보 감지수단(10)의 종류 수와 동일한 수로 표시 영역이 구획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원수 표시 영역(A), 온도 표시 영역(B), 습도 표시 영역(C), 냄새정도값 표시 영역(D)으로 구획된다.
각 표시 영역에는 해당 정보값이 수치 또는 색깔로 표시될 수 있다. 수치로 표시될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20)에서 산출된 데이터값을 그대로 수치로 표시한다. 색깔로 표시할 경우는 마이크로컴퓨터(20)에서 산출된 데이터값을 양호, 보통, 불량의 세 등급으로 구분하고, 양호는 청색, 보통은 황색, 불량은 적색 등의 각 등급을 상징하는 색으로 표시한다. 각 환경정보를 등급별 색깔로 표시하는 것이 시인성 측면에서 유리하지만 보다 정확한 정보 제공을 위해서 색깔과 수치를 모두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스피커(80)를 통해서는 상기 객차 내부환경정보를 종류별로 순차적으로 반복 안내한다.
한편, 상기 탑승공간별 객차 내부환경정보는 승객이 소지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서 제공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의 데이터송신장치(30)에서 송신된 객차 내부환경정보 데이터는 이동통신망(100)과 인터넷망(200)을 통해 지하철 객차 내부환경정보 제공 서비스 업체의 서버(300; 서비스 서버로 칭하기로 함)로 전달된다.
서비스 서버(300)에는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수집된 모든 운행 열차의 객차의 탑승공간별 내부환경정보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저장된다.
상기 데이터를 제공받고자 하는 자는 해당 서비스 업체에 사용 신청을 하여 자신의 모바일 기기를 서비스 서버(300)에 등록한다.
서비스 서버(300)는 서비스 사용 신청을 통해 등록된 모바일 기기의 서비스 사이트 접속이 확인되면, 등록 모바일 기기에서의 서비스 정보 열람을 허용한다.
한편, 서비스 사용 신청을 한 사용자는 지하철 승강장에서 자신의 모바일 기기를 통해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하고, 현재 지하철을 탑승하고자 하는 역명과 열차진행방향을 입력하면, 해당 역으로 주행하고 있는 최전방 열차(=바로 다음에 승강장으로 진입할 열차)의 모든 객차의 탑승공간별 환경정보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자신이 탑승할 위치에 해당되는 탑승공간의 환경정보 데이터뿐만 아니라, 다른 탑승공간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열차가 승강장에 진입하기 전에 미리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다음 역으로 주행하는 열차의 모든 탑승공간별 환경정보는 상기 환경정보 감지수단(10)에 의해 감지되고, 마이크로컴퓨터(20)로 전달되어 구체적인 수치 데이터로 산출된다.
환경정보 감지수단(10)으로는 카메라(11), 온도센서(12), 습도센서(13), 냄새센서(14)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컴퓨터(20)에서 산출된 데이터는 열차에 구비된 데이터송신장치(30)에서 송신되고, 다음 정차할 지하철역에 구비된 데이터수신장치(40)에 의해 수신되며, 해당 역사의 시설 관리서버(50)에 입력 및 저장된다.
또한, 각 열차의 데이터송신장치(30)에서 송신된 탑승공간별 환경정보 데이터는 이동통신망(100)과 인터넷망(200)을 통해 해당 정보를 모바일로 제공하는 서비스 업체의 서비스 서버(300)에 입력 및 저장된다.
상기 지하철 역의 관리서버(50)에 저장된 다음 정차할 열차의 탑승공간별 객차 내부환경정보 데이터는 해당 탑승공간과 매칭되는 스크린도어(60)의 상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70)에 수치 및 등급별 색깔로 표시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70)의 측부에 설치된 스피커(80)를 통해 음성으로도 안내된다.
따라서, 지하철 이용 승객은 자신이 서 있는 탑승 대기 위치에서 해당 위치의 디스플레이장치(70)를 보고, 이번 정차할 열차의 해당 탑승공간내 탑승 인원수와, 온도와 습도 및 냄새(악취) 정도를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람이 너무 많거나, 온도와 습도가 높거나, 악취 정도가 심하면 다른 탑승공간으로 이동하여 상대적으로 탑승환경이 양호한 탑승공간에 탑승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모바일 기기를 통한 객차내 환경정보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는 승객의 경우에는, 열차가 해당 역사로 주행하고 있는 동안에 다음 정차할 열차에 포함된 모든 객차의 탑승공간별 환경정보 데이터를 자신의 모바일 기기를 통해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다른 탑승위치로 이동하지 않고서도 모든 탑승공간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미리 알 수 있으므로 열차 정차 전에 가장 탑승 환경이 양호한 탑승위치로 이동하여 열차를 탑승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안하고 쾌적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환경정보 감지수단 11 : 카메라
12 : 온도센서 13 : 습도센서
14 : 냄새센서 20 : 마이크로컴퓨터
30 : 데이터송신장치 40 : 데이터수신장치
50 : 관리서버 60 : 스크린도어
70 : 디스플레이장치 80 : 스피커
100 : 이동통신망 200 : 인터넷망
300 : 서비스 서버 400 : 모바일기기

Claims (8)

  1. 열차의 객차 내부에 설치된 환경정보 감지수단과,
    상기 환경정보 감지수단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그 감지신호로부터 환경정보 데이터를 산출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산출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무선 송신하는 데이터송신장치와,
    지하철역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데이터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장치와,
    상기 데이터수신장치에 수신된 데이터가 입력 및 저장되는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된 객차 내 환경정보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를 포함하는 지하철 객차의 내부환경정보 알림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경정보 감지수단으로서 카메라, 온도센서, 습도센서, 냄새센서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객차의 내부환경정보 알림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냄새센서로서 알코올 감지센서, 입냄새 감지센서, 땀냄새 감지센서, 음식냄새 감지센서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객차의 내부환경정보 알림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경정보 감지수단은 객차의 각 도어를 중심으로 하는 각각의 탑승공간마다 동일한 종류와 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객차의 내부환경정보 알림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측부에 객차 내부환경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스피커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객차의 내부환경정보 알림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환경정보 감지수단의 종류 수와 동일한 수로 표시 영역이 구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객차의 내부환경정보 알림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표시 영역에 해당 내부환경정보가 수치 및 등급별 색깔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객차의 내부환경정보 알림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된 객차 내부환경정보 데이터가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을 통해 객차 내부환경정보 제공 서비스 업체의 서비스 서버에 입력 및 저장되고,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객차 내부환경정보 데이터는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을 통해 서비스 이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객차의 내부환경정보 알림장치.

KR1020140142575A 2014-10-21 2014-10-21 지하철 객차의 내부환경정보 알림장치 KR201600465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575A KR20160046537A (ko) 2014-10-21 2014-10-21 지하철 객차의 내부환경정보 알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575A KR20160046537A (ko) 2014-10-21 2014-10-21 지하철 객차의 내부환경정보 알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537A true KR20160046537A (ko) 2016-04-29

Family

ID=55915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575A KR20160046537A (ko) 2014-10-21 2014-10-21 지하철 객차의 내부환경정보 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65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098B1 (ko) * 2018-11-23 2020-04-27 평택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철 객실 내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51564A (ko) * 2020-06-05 2021-12-1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특정공간 내 이벤트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098B1 (ko) * 2018-11-23 2020-04-27 평택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철 객실 내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51564A (ko) * 2020-06-05 2021-12-1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특정공간 내 이벤트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9371B2 (en) System for managing space available and seats for passengers for use of a passenger transport system
US10388126B2 (en) Method for guiding passengers
KR101586706B1 (ko) 카스토퍼 지자기 무선센서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CN104364831B (zh) 用于使汽车驶近特性适配于交通信号设备的方法和系统以及该系统的使用
CN104903176A (zh) 在公共交通车辆内引导乘客的乘客引导系统
US20180300773A1 (en) Method for providing travel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ystem
KR102033174B1 (ko) 스마트폰 통합측위를 활용한 지하철역 도착알림 및 역사 정보안내 시스템
KR102261014B1 (ko) 학원서버 연동 정보취합을 통한 최적자동노선생성시스템
CN107531282A (zh) 用于由自动车辆进行车道选择的系统
CN104282144B (zh) 交互式公共交通系统
KR20170066942A (ko)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KR200477262Y1 (ko) 정류장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내 탑승자 수 제공 시스템
KR101757750B1 (ko) 열차 혼잡도 정보의 통합 안내 방법
JP200920445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46537A (ko) 지하철 객차의 내부환경정보 알림장치
JP201909906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819028B2 (ja) 列車情報管理装置および列車乗務員支援方法
KR101701232B1 (ko) 버스 승객 수 카운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43679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282909B1 (ko) 버스 하차벨 원격 시스템
JP6068691B1 (ja) エレベータの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運行管理方法
JP7087976B2 (ja) 交通管理装置、交通管理システム、交通管理方法、及び交通管理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70091996A (ko) 지하철 승객 분산 시스템
JP2018094939A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902206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data entry mechanism for an application based on security requir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