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3987A - 재실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실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3987A
KR20220153987A KR1020210078201A KR20210078201A KR20220153987A KR 20220153987 A KR20220153987 A KR 20220153987A KR 1020210078201 A KR1020210078201 A KR 1020210078201A KR 20210078201 A KR20210078201 A KR 20210078201A KR 20220153987 A KR20220153987 A KR 20220153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person
target area
identification inform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9210B1 (ko
Inventor
이현우
우용일
Original Assignee
이후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후시스(주) filed Critical 이후시스(주)
Publication of KR20220153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 영역으로 입실하는 사람을 식별하여 입실자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제1 단말기, 대상 영역으로부터 퇴실하는 사람을 식별하여 퇴실자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제2 단말기, 대상 영역의 입구에 구비되어, 정보를 출력하는 제3 단말기, 및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로부터 입실자 식별 정보 및 퇴실자 식별 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수신된 입실자 식별 정보 및 퇴실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대상 영역에 대한 재실 현황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재실 현황 정보와 대상 영역에 설정된 출입 제한 인원수를 제3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실 관리 시스템{SYSTEM FOR ROOM MANAGEMENT}
본 발명은 재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중이용시설의 재실 인원 및 제한 인원을 확인하여 표시하는 재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감염병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마스크 착용, 출입자 명부 작성, 다중이용시설 입장 시 체온 측정,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 등을 통해 방역 수칙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방역 수칙 강화에 따라 다중이용시설 입구에 이용 가능 인원을 게시 및 안내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단순히 해당 다중이용시설의 이용 가능 인원만을 안내할 수 있을 뿐, 해당 다중이용시설의 재실 현황을 충분히 안내하지 못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다중이용시설의 이용 가능 인원의 게시 및 안내는 해당 다중이용시설의 관리자에 의한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감염자 현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4424호(2013.01.10.)의 '실시간 재실 인원 계수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다중이용시설의 재실 인원 및 제한 인원을 확인하여 표시할 수 있는 재실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재실 관리 시스템은 대상 영역으로 입실하는 사람을 식별하여 입실자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제1 단말기; 상기 대상 영역으로부터 퇴실하는 사람을 식별하여 퇴실자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제2 단말기; 상기 대상 영역의 입구에 구비되어, 정보를 출력하는 제3 단말기; 및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입실자 식별 정보 및 퇴실자 식별 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입실자 식별 정보 및 퇴실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재실 현황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재실 현황 정보와 상기 대상 영역에 설정된 출입 제한 인원수를 상기 제3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입실자 식별 정보는, 상기 입실하는 사람의 안면 영상 및 입실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퇴실자 식별 정보는 상기 퇴실하는 사람의 안면 영상 및 퇴실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입실자 식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입실자 식별 정보에 포함된 안면 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퇴실자 식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퇴실자 식별 정보에 포함된 안면 영상에 대응하는 안면 영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안면 영상에 대응하는 사람이 퇴실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안면 영상에 대응하는 사람들 중 퇴실한 것으로 판단된 사람들을 제외한 사람들은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된 사람의 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사람의 수를 상기 재실 현황 정보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된 사람의 수가 상기 대상 영역에 설정된 출입 제한 인원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대상 영역으로부터 퇴실한 것으로 판단된 사람들의 평균 재실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평균 재실 시간에 기반하여 입장 가능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입장 가능 시간을 상기 제3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서버는, 상기 퇴실자 식별 정보에 포함된 퇴실 시간과, 상기 입실자 식별 정보에 포함된 입실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영역으로부터 퇴실한 사람 각각의 재실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각각 산출된 재실 시간을 평균하여 상기 평균 재실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서버는, 상기 대상 영역에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된 사람들 중 가장 먼저 입실한 사람의 입실 시간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입실 시간에 상기 산출된 평균 재실 시간을 더하여 상기 입장 가능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서버는, 전염병 감염 현황 정보 및 상기 대상 영역의 면적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전염병 감염 현황 정보 및 대상 영역의 면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출입 제한 인원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서버는, 상기 입력받은 전염병 감염 현황 정보에 포함된 실시간 전염병 환자수에 기반하여 전염병 확산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전염병 확산 레벨에 기반하여 단위면적당 출입 제한 인원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단위면적당 출입 제한 인원수와 상기 입력받은 대상 영역의 면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출입 제한 인원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중이용시설의 재실 인원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파악된 재실 인원을 다중이용시설의 출입구에 표시하여 다중이용시설의 이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실시간 전염병 감염 현황에 기반하여 다중이용시설의 제한 인원을 설정하고, 설정된 제한 인원을 다중이용시설의 출입구에 표시하여 다중이용시설의 이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다중이용시설의 재실 인원 및 제한 인원을 다중이용시설의 출입구에 표시하여 다중이용시설의 재실 인원이 적정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전염병 감염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실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실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실 관리 시스템의 제1 및 제2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실 관리 시스템의 제3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재실 관리 시스템의 서버가 입실 가능 시간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실 관리 시스템의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실 관리 시스템이 재실 현황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실 관리 시스템이 재실 현황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실 관리 시스템이 대상 영역에 입실한 사람의 퇴실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실 관리 시스템이 출입 제한 인원수를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실 관리 시스템이 입장 가능 시간을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실 관리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실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실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실 관리 시스템의 제1 및 제2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실 관리 시스템의 제3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재실 관리 시스템의 서버가 입실 가능 시간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실 관리 시스템의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실 관리 시스템은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제3 단말기(300) 및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는 대상 영역으로 입실하는 사람을 식별하여 입실자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00)는 대상 영역의 입구에 구비되어, 대상 영역으로 입실하는 사람을 식별하여 입실자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입실자 식별 정보를 후술하는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실자 식별 정보는 대상 영역으로 입실하는 사람의 안면 영상 및 입실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통해 대상 영역으로 입실하는 사람의 안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는 대상 영역으로 입실하는 사람이 식별된 시간을 검출하고, 검출된 시간을 입실 시간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입실자 식별 정보는 대상 영역으로 입실하는 사람의 마스크 착용 여부 및 체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단말기(100)는 안면 영상에 기반하여 대상 영역으로 입실하는 사람의 마스크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온도 센서를 통해 입실하는 사람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는 대상 영역의 입구마다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대상 영역은 행사장, 전시장 등의 다중이용시설일 수 있다. 도 3은 제1 단말기(100)의 일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대상 영역이 복수의 세부공간(예를 들어, 부스)으로 구분되는 경우, 제1 단말기(100)는 각 세부공간의 입구마다 구비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는 대상 영역으로부터 퇴실하는 사람을 식별하여 퇴실자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기(200)는 대상 영역의 출구에 구비되어, 대상 영역으로부터 퇴실하는 사람을 식별하여 퇴실자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퇴실자 식별 정보를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퇴실자 식별 정보는 대상 영역으로부터 퇴실하는 사람의 안면 영상 및 퇴실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통해 대상 영역으로부터 퇴실하는 사람의 안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는 대상 영역으로부터 퇴실하는 사람이 식별된 시간을 검출하고, 검출된 시간을 퇴실 시간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퇴실자 식별 정보는 대상 영역으로부터 퇴실하는 사람의 마스크 착용 여부 및 체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단말기(200)는 안면 영상에 기반하여 대상 영역으로부터 퇴실하는 사람의 마스크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온도 센서를 통해 퇴실하는 사람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는 대상 영역의 출구마다 구비될 수 있다. 대상 영역이 복수의 세부공간(예를 들어, 부스)으로 구분되는 경우, 제2 단말기(200)는 각 세부공간의 출구마다 구비될 수 있다.
제3 단말기(300)는 서버(4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며, 대상 영역의 입구 및 출구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경우, 제1 및 제2 단말기(2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제3 단말기(300)로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대상 영역이 복수의 세부공간(예를 들어, 부스)으로 구분되는 경우, 제3 단말기(300)는 각 세부공간의 입구 및 출구마다 구비될 수 있다. 제3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 크기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제3 단말기(300)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일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서버(400)는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로부터 입실자 식별 정보 및 퇴실자 식별 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수신된 입실자 식별 정보 및 퇴실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대상 영역에 대한 재실 현황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재실 현황 정보와 대상 영역에 설정된 출입 제한 인원수를 제3 단말기(3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재실 현황 정보는 대상 영역에 재실 중인 사람의 수인 재실자 인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재실 현황 정보는 대상 영역으로 입실한 사람의 수인 입실자 인원수, 및 대상 영역으로부터 퇴실한 사람의 수인 퇴실자 인원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입실자 식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서버(400)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입실자 식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서버(400)는 해당 입실자 식별 정보에 포함된 안면 영상 및 입실 시간을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입실자 식별 정보에 마스크 착용 여부 및 체온이 포함되는 경우, 서버(400)는 마스크 착용 여부 및 체온을 안면 영상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도 있다.
대상 영역의 입구가 복수인 경우, 각 입구에 구비된 제1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가 서버(40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서버(400)는 입실자 식별 정보를 전송한 제1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 정보(즉, 입실 위치)를 안면 영상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다양한 이유로 대상 영역에 입장하는 사람이 제1 단말기(100)를 통해 중복하여 식별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실제 대상 영역으로 입실하는 사람은 한명이지만, 입실자 식별 정보는 복수회에 걸쳐 수신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 설정된 설정 시간 이내에 동일인에 대한 입실자 식별 정보가 중복하여 수신되는 경우, 서버(400)는 중복 수신된 입실자 식별 정보 중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는 폐기할 수 있다. 서버(400)는 안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신된 입실자 식별 정보가 동일인에 대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설정 시간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퇴실자 식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서버(400)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퇴실자 식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서버(4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안면 영상 중 해당 퇴실자 식별 정보에 포함된 안면 영상에 대응하는 안면 영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안면 영상에 대응하는 사람이 퇴실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400)는 안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안면 영상과 퇴실자 식별 정보에 포함된 안면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안면 영상 중 퇴실자 식별 정보에 포함된 안면 영상에 대응하는 안면 영상을 검출할 수 있다. 서버(400)는 퇴실자 식별 정보에 포함된 퇴실 시간을 검출된 안면 영상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대상 영역의 출구가 복수인 경우, 각 출구에 구비된 제2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가 서버(40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서버(400)는 퇴실자 식별 정보를 전송한 제2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 정보(즉, 퇴실 위치)를 안면 영상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서버(400)가 재실 현황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서버(4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안면 영상에 대응하는 사람들(즉, 대상 영역에 입실한 사람들) 중 퇴실한 것으로 판단된 사람들을 제외한 사람들은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400)는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된 사람의 수(즉, 재실자 인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사람의 수를 재실 현황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서버(400)는 대상 영역으로부터 퇴실한 것으로 판단된 사람의 수(즉, 퇴실자 인원수), 및 대상 영역에 입실한 사람의 수(즉, 입실자 입원수)를 재실 현황 정보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서버(400)는 대상 영역으로부터 퇴실한 것으로 판단된 사람의 수(즉, 퇴실자 인원수)와 대상 영역에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된 사람의 수(즉, 재실자 인원수)를 합산하여 입실자 인원수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서버(400)는 전염병 감염 현황 정보 및 대상 영역의 면적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전염병 감염 현황 정보 및 면적 정보에 기반하여 출입 제한 인원수를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버(400)가 출입 제한 인원수를 설정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서버(400)는 외부로부터 전염병 감염 현황 정보 및 대상 영역의 면적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전염병 감염 현황 정보는 현재 국내(또는 일정 지역)에 발생된 전염병 환자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면적 정보는 대상 영역의 시설 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400)는 입력받은 전염병 감염 현황 정보에 포함된 전염병 환자수에 기반하여 전염병 확산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전염병 환자수에 따른 전염병 확산 레벨이 룩업 테이블 형태로 미리 서버(4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서버(400)는 저장된 룩업 테이블을 참고하여, 입력받은 전염병 환자수에 대응하는 전염병 확산 레벨을 검출함으로써 전염병 확산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400)는 결정된 전염병 확산 레벨에 기반하여 단위면적당 출입 제한 인원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전염병 확산 레벨에 따른 단위면적당 출입 제한 인원수가 룩업 테이블 형태로 미리 서버(4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서버(400)는 저장된 룩업 테이블을 참고하여, 결정된 전염병 확산 레벨에 대응하는 단위면적당 출입 제한 인원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400)는 결정된 단위면적당 출입 제한 인원수와 입력받은 대상 영역의 면적 정보에 기반하여 출입 제한 인원수를 설정할 수 있다. 서버(400)는 단위면적당 출입 제한 인원수와 입력받은 대상 영역의 면적 정보에 포함된 시설 면적을 곱셈 연산하고, 연산된 값을 출입 제한 인원수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400)는 전염병 확산 레벨에 대응하는 정보(예를 들어,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받고, 입력받은 정보에 따라 단위면적당 출입 제한 인원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단위면적당 출입 제한 인원수와 입력받은 대상 영역의 면적 정보에 기반하여 출입 제한 인원수를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서버(400)는 대상 영역에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된 사람의 수가 대상 영역에 설정된 출입 제한 인원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된 사람의 수가 설정된 출입 제한 인원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대상 영역으로부터 퇴실한 것으로 판단된 사람들의 평균 재실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 재실 시간에 기반하여 입장 가능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입장 가능 시간을 제3 단말기(3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서버(400)는 대상 영역에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된 사람의 수가 대상 영역에 설정된 출입 제한 인원수 이상인 경우로서, 입장을 대기하는 입실 대기자가 존재하는 경우, 입장 가능 시간(즉, 입실 대기자가 입장하기 위해 대기하여야 하는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입장 가능 시간을 제3 단말기(3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서버(400)는 대상 영역에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된 사람의 수가 대상 영역에 설정된 출입 제한 인원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고 메시지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0)는 생성된 경고 메시지를 제3 단말기(300)로 전송하거나, 또는 기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버(400)가 입장 가능 시간을 산출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서버(400)는 대상 영역에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된 사람의 수가 대상 영역에 설정된 출입 제한 인원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된 사람의 수가 설정된 출입 제한 인원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서버(400)는 대상 영역으로부터 퇴실한 것으로 판단된 사람 각각의 재실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서버(4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퇴실 시간과, 해당 퇴실 시간에 매칭된 입실 시간에 기반하여 대상 영역으로부터 퇴실한 것으로 판단된 사람 각각의 재실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400)는 각각 산출된 재실 시간을 평균하여 대상 영역의 평균 재실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400)는 대상 영역에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된 사람들 중 가장 먼저 입실한 사람의 입실 시간을 검출할 수 있다. 서버(4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입실 시간들을 비교함으로써 대상 영역에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된 사람들 중 가장 먼저 입실한 사람의 입실 시간을 검출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400)는 검출된 입실 시간에 앞서 산출된 평균 재실 시간을 더하여 입장 가능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도 5는 입실 가능 시간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서버(400)는 대상 영역에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된 사람들 각각의 입실 시간에 산출된 평균 재실 시간을 더하여 대상 영역에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된 사람들 각각에 대한 퇴실 예상 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다.
한편, 서버(400)는 사용자의 등록, 검색 및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400)를 이용할 수 있는 관리자를 등록하거나, 관리자의 권한을 설정하거나, 등록된 관리자를 검색하거나, 또는 등록된 관리자를 삭제할 수 있다. 도 6a는 사용자의 등록, 검색 및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서버(400)는 제1 내지 제3 단말기(300)의 등록, 검색 및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내지 제3 단말기(300)를 등록하거나, 등록된 제1 내지 제3 단말기(300)를 검색하거나, 또는 등록된 제1 내지 제3 단말기(300)를 삭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단말기(300)의 등록 시, 단말기가 구비된 대상 영역의 명칭(예를 들어, 행사명), 단말기가 설치된 입구 또는 출구의 위치, 단말기의 시리얼 번호, 단말기의 모델명, 단말기의 펌웨어버전 등의 장비 정보들이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장비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등록된 단말기를 검색할 수 있다. 도 6b 및 6c는 제1 내지 제3 단말기(300)의 등록, 검색 및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서버(400)는 대상 영역의 등록, 검색 및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상 영역을 등록하거나, 등록된 대상 영역을 검색하거나, 또는 등록된 대상 영역을 삭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대상 영역 등록 시, 사용자는 대상 영역의 명칭(예를 들어, 행사명), 대상 영역의 일정(예를 들어, 행사 시작 시간 및 행사 종료 시간), 대상 영역의 담당사(예를 들어, 행사 주관사), 대상 영역의 진행 상태, 대상 영역의 등록일 등의 대상 영역 정보들이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대상 영역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등록된 대상 영역을 검색할 수 있다. 도 6d 및 6e는 대상 영역의 등록, 검색 및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서버(400)는 출입자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에는 대상 영역에 입실한 사람의 안면 영상에 입실 시간, 입실 위치, 마스크 착용 여부, 체온 및 퇴실한 경우 퇴실 시간 및 퇴실 위치가 매칭되어 있으며, 서버(400)는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대상 영역에 입실한 사람 각각에 대해 입실 시간, 입실 위치, 마스크 착용 여부, 체온 및 퇴실한 경우 퇴실 시간 및 퇴실 위치가 기록된 출입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출입 리스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6f는 출입자 리스트의 일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서버(400)는 산출된 재실 현황 정보와 설정된 출입 제한 인원수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6g는 재실 현황 정보 및 출입 제한 인원수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제1 단말기(100)에 의해 대상 영역으로 입실하는 사람이 식별되지 않는 경우, 또는 제2 단말기(200)에 의해 대상 영역으로부터 퇴실하는 사람이 식별되지 않는 경우 등에 의해 실제 입실 인원, 재실 또는 퇴실 인원과 산출된 입실, 재실 또는 퇴실 인원이 다른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 서버(400)는 산출된 입실자 인원수, 퇴실자 인원수 및 재실자 인원수를 수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h는 입실자 인원수, 퇴실자 인원수 및 재실자 인원수를 수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서버(400)는 입실자 식별 정보가 중복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 시간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i는 설정 시간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서버(400)로 수신되는 데이터 및 서버(400)에서 산출되는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는 기 설정된 시간 단위(예를 들어, 1일)로 파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중이용시설의 재실 인원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파악된 재실 인원을 다중이용시설의 출입구에 표시하여 다중이용시설의 이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 전염병 감염 현황에 기반하여 다중이용시설의 제한 인원을 설정하고, 설정된 제한 인원을 다중이용시설의 출입구에 표시하여 다중이용시설의 이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이용시설의 재실 인원 및 제한 인원을 다중이용시설의 출입구에 표시하여 다중이용시설의 재실 인원이 적정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전염병 감염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실 관리 시스템이 재실 현황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실 관리 시스템이 재실 현황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실 관리 시스템이 대상 영역에 입실한 사람의 퇴실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재실 관리 시스템이 재실 현황 정보와 출입 제한 인원수를 출력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7을 참고하면, 서버(400)는 퇴실자 식별 정보 및 입실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0 단계)
이어서, 서버(400)는 수신된 입실자 식별 정보 및 퇴실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대상 영역에 대한 재실 현황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200 단계). 도 8을 참고하면, 입실자 식별 정보 및 퇴실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대상 영역에 입실한 사람이 대상 영역으로부터 퇴실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10 단계), 그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대상 영역에 재실 중인 사람의 수를 산출하고(S220 단계), 산출된 사람의 수를 재실 현황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S230 단계). 도 9를 참고하면, 퇴실자 식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서버(4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안면 영상 중 수신된 퇴실자 식별 정보에 포함된 안면 영상에 대응하는 안면 영상을 검출하고(S211 단계), 검출된 안면 영상에 대응하는 사람이 퇴실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212 단계)
다시 도 7을 참고하면, 서버(400)는 산출된 재실 현황 정보를 제3 단말기(3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300 단계)
도 10은 서버(400)가 출입 제한 인원수를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실 관리 시스템이 출입 제한 인원수를 출력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서버(400)는 전염병 감염 현황 정보 및 대상 영역의 면적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400 단계)
이어서, 서버(400)는 입력받은 전염병 감염 현황 정보에 포함된 전염병 환자수에 기반하여 전염병 확산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S500 단계),
이어서, 서버(400)는 결정된 전염병 확산 레벨에 기반하여 단위면적당 출입 제한 인원수를 결정할 수 있다.(S600 단계),
이어서, 서버(400)는 결정된 단위면적당 출입 제한 인원수와 입력받은 대상 영역의 면적 정보에 기반하여 출입 제한 인원수를 설정할 수 있다.(S700 단계)
이어서, 서버(400)는 설정된 출입 제한 인원수를 재실 현황 정보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S800 단계)
S400 내지 S800 단계는 S100 내지 S300 단계 이전에 수행되거나,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실 관리 시스템이 입장 가능 시간을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고하여, 재실 관리 시스템이 입장 가능 시간을 출력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서버(400)는 대상 영역에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된 사람의 수가 대상 영역에 설정된 출입 제한 인원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00 단계)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된 사람의 수가 설정된 출입 제한 인원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서버(400)는 대상 영역으로부터 퇴실한 것으로 판단된 사람 각각의 재실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S1000 단계)
이어서, 서버(400)는 각각 산출된 재실 시간을 평균하여 대상 영역의 평균 재실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S1100 단계)
이어서, 서버(400)는 대상 영역에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된 사람들 중 가장 먼저 입실한 사람의 입실 시간을 검출할 수 있다.(S1200 단계)
이어서, 서버(400)는 검출된 입실 시간에 앞서 산출된 평균 재실 시간을 더하여 입장 가능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S1300 단계)
이어서, 서버(400)는 산출된 입장 가능 시간을 제3 단말기(3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1400 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실 관리 시스템은 다중이용시설의 재실 인원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파악된 재실 인원을 다중이용시설의 출입구에 표시하여 다중이용시설의 이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 전염병 감염 현황에 기반하여 다중이용시설의 제한 인원을 설정하고, 설정된 제한 인원을 다중이용시설의 출입구에 표시하여 다중이용시설의 이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이용시설의 재실 인원 및 제한 인원을 다중이용시설의 출입구에 표시하여 다중이용시설의 재실 인원이 적정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전염병 감염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제1 단말기
200: 제2 단말기
300: 제3 단말기
400: 서버

Claims (9)

  1. 대상 영역으로 입실하는 사람을 식별하여 입실자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제1 단말기;
    상기 대상 영역으로부터 퇴실하는 사람을 식별하여 퇴실자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제2 단말기;
    상기 대상 영역의 입구에 구비되어, 정보를 출력하는 제3 단말기; 및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입실자 식별 정보 및 퇴실자 식별 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입실자 식별 정보 및 퇴실자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재실 현황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재실 현황 정보와 상기 대상 영역에 설정된 출입 제한 인원수를 상기 제3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실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실자 식별 정보는, 상기 입실하는 사람의 안면 영상 및 입실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퇴실자 식별 정보는 상기 퇴실하는 사람의 안면 영상 및 퇴실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실 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실자 식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입실자 식별 정보에 포함된 안면 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퇴실자 식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퇴실자 식별 정보에 포함된 안면 영상에 대응하는 안면 영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안면 영상에 대응하는 사람이 퇴실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실 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안면 영상에 대응하는 사람들 중 퇴실한 것으로 판단된 사람들을 제외한 사람들은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된 사람의 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사람의 수를 상기 재실 현황 정보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실 관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된 사람의 수가 상기 대상 영역에 설정된 출입 제한 인원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대상 영역으로부터 퇴실한 것으로 판단된 사람들의 평균 재실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평균 재실 시간에 기반하여 입장 가능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입장 가능 시간을 상기 제3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실 관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퇴실자 식별 정보에 포함된 퇴실 시간과, 상기 입실자 식별 정보에 포함된 입실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영역으로부터 퇴실한 사람 각각의 재실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각각 산출된 재실 시간을 평균하여 상기 평균 재실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실 관리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대상 영역에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된 사람들 중 가장 먼저 입실한 사람의 입실 시간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입실 시간에 상기 산출된 평균 재실 시간을 더하여 상기 입장 가능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실 관리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전염병 감염 현황 정보 및 상기 대상 영역의 면적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전염병 감염 현황 정보 및 대상 영역의 면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출입 제한 인원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실 관리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입력받은 전염병 감염 현황 정보에 포함된 실시간 전염병 환자수에 기반하여 전염병 확산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전염병 확산 레벨에 기반하여 단위면적당 출입 제한 인원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단위면적당 출입 제한 인원수와 상기 입력받은 대상 영역의 면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출입 제한 인원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실 관리 시스템.
KR1020210078201A 2021-05-11 2021-06-16 재실 관리 시스템 KR102599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60979 2021-05-11
KR1020210060979 2021-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987A true KR20220153987A (ko) 2022-11-21
KR102599210B1 KR102599210B1 (ko) 2023-11-09

Family

ID=84233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201A KR102599210B1 (ko) 2021-05-11 2021-06-16 재실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2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6343A (ja) * 2009-09-30 2011-04-14 Yamatake Corp 施設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6200990A (ja) * 2015-04-10 2016-12-01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200089432A (ko) * 2019-01-17 2020-07-27 엄상진 개인식별코드 정보를 활용한 출퇴근 관리시스템 및 출퇴근 관리방법
KR102226504B1 (ko) * 2020-10-27 2021-03-12 주식회사 서경산업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6343A (ja) * 2009-09-30 2011-04-14 Yamatake Corp 施設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6200990A (ja) * 2015-04-10 2016-12-01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200089432A (ko) * 2019-01-17 2020-07-27 엄상진 개인식별코드 정보를 활용한 출퇴근 관리시스템 및 출퇴근 관리방법
KR102226504B1 (ko) * 2020-10-27 2021-03-12 주식회사 서경산업 특정공간에서의 인구의 밀집도 측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210B1 (ko) 202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19228A1 (en) Face authentication apparatus
TW200809657A (en) Person identification device and person identification method
US20220044007A1 (en) Face mask detection system and method
JP6865321B1 (ja) 入退場管理装置、入退場管理方法、入退場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入退場管理システム
KR102296550B1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
KR102243890B1 (ko) 병원 방문객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04126829A (ja) 入場者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243798A (ja) 安否情報提供装置、安否情報提供方法及び安否情報提供プログラム
KR102599210B1 (ko) 재실 관리 시스템
US10579323B2 (en) Display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7209562B (zh) 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装置、控制方法和存储媒体
CN111489477A (zh) 一种智能探测体温的入场登录机及其应用方法
JP5847634B2 (ja) 受付管理システムおよび受付管理方法
WO2021241293A1 (ja) 行動体特定システム
JP2021099811A (ja) 健康状態管理装置、健康状態管理システム、健康状態管理方法、及び健康状態管理プログラム
JP201917512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503014B1 (ko)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
CN110600142B (zh) 一种用于电子处方的身份认证系统及其工作方法
JP2008216931A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JP6613502B1 (ja) 顔認識による来店者検証システム及び顔認識による来店者検証プログラム
WO2022180816A1 (ja) 入場判定システム、入場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WO2022153471A1 (ja) 感染リスク制御装置、感染リスク制御システム、感染リスク制御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11996175B2 (en) Trusted third-party computerized platform using biometric validation data structure for AI-based health wallet
CN116997921A (zh) 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方法和程序
WO2022153472A1 (ja) 入場制御装置、入場制御システム、入場制御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