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550B1 -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550B1
KR102296550B1 KR1020210049898A KR20210049898A KR102296550B1 KR 102296550 B1 KR102296550 B1 KR 102296550B1 KR 1020210049898 A KR1020210049898 A KR 1020210049898A KR 20210049898 A KR20210049898 A KR 20210049898A KR 102296550 B1 KR102296550 B1 KR 102296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kiosk
information
user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일
Original Assignee
박건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건일 filed Critical 박건일
Priority to KR1020210049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550B1/ko
Priority to KR1020210112747A priority patent/KR1023174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nthropometrical measurements, such as weight, height, strength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3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presentation or advertising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장 내 설치되어 매장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발열체크, 전자출입명부작성 및 상품의 주문, 결제 과정을 안내하는 키오스크; 및 상기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휴대한 채로 키오스크에 접근하면, 별도의 키오스크 조작 없이도 매장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발열체크, 전자출입명부작성, 상품의 주문 및 결제 과정이 한 번에 이루어져 매장 이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 {Electronic access list creation and order payment system using kiosks}
본 발명은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장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발열체크, 전자출입명부작성 및 상품의 주문, 결제 과정이 한 번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 19의 다중이용시설을 통한 지역감염 확산이 문제되고 있다.
관공서, 학교, 공항, 기차역, 버스 터미널, 지하철 역사, 대형마트, 백화점 또는 유흥시설 등과 같이 다수의 이용자들의 출입이 많은 다중이용시설에서는 출입자의 발열체크 통제가 필요하다.
현재 관공서와 같은 큰 시설에서는 통과자의 신상정보를 종이와 펜을 이용하여 방문자 개인정보를 수기로 기록하고, 통과자 발열체크는 통상적으로 열화상 카메라로 출입자들을 체크하여 발열자가 발견되면 관리자가 적외선 체온계로 다시 한번 체크하고 있다. 보다 소규모의 시설에는 고가의 열화상 카메라 보다는 관리자가 적외선 체온계로 통과자의 발열상태를 일일이 체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통과자는 여러 명이 접촉한 펜과 종이를 이용해 감염상태에 노출되어 야 하고, 반드시 관리자가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관리자가 감염상태에 노출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중이용시설마다 각자 출입자 체온측정을 해야하기 때문에 숙련된 열화상 카메라 운영자 및 적외선 체온계 운영자의 확보가 곤란하고 미숙련자에 의한 오측정과 출입자의 성명, 출입시간, 핸드폰 번호 등 개인정보 유출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이런 이유로 다중이용시설이나 전통시장 등을 이용하여 상품이나 서비스를 받는 소비자의 유입이 줄어들어 상권과 자영업자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키오스크와 같이 매장에 설치된 무인 단말기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체온을 체크하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키오스크(KIOSK)는 정보통신 분야에서 정보 서비스와 업무의 무인자동화를 위하여 대중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장소에 설치한 무인 단말기를 말한다. 현재, 각종 공공시설, 대형서점, 백화점, 전시장 또는 공항이나 철도역 등에 설치하여 각종 행정절차나 상품정보, 시설물의 이용 방법, 인근지역 관광정보 등을 제공한다.
키오스크를 이용한 체온 측정 기술로, 등록특허 10-2134903호(감염예방 인증 키오스크)는 손 투입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손 투입구 공간에 설치되어 이용자의 손 투입시 소독액을 자동으로 토출하기 위한 손소독제 토출부와,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이용자의 열화상을 통하여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제1체온 측정부와, 하우징에 설치되어 이용자의 체온을 비접촉식으로 측정하기 위한 제2 체온 측정부와, 다중이용시설의 출입통과를 위한 감염예방 인증 스티커를 발행하기 위한 인증 발행부와,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각 부들을 제어하기 위한 감염예방인증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바, 따라서 무인으로 감염예방 인증 스티커 발행이 가능하고 이중 체온체크로 보다 정확한 체온측정이 가능하고, 인증 스티커를 공유함으로써 다중이용시설의 출입자 통제를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감염예방 인증 키오스크를 제공한 바 있다.
하지만, 종래의 키오스크 장치는 열화상을 이용한 제1 측정부와 적외선 체온계를 별도의 하우징으로 제2 측정부를 구성하였으나, 실화상 카메라를 구비하지 못하여 사용자 인증 검증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37965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매장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발열체크, 전자출입명부작성 및 상품의 주문, 결제 과정이 한 번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은, 매장 내 설치되어 매장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발열체크, 전자출입명부작성 및 상품의 주문, 결제 과정을 안내하는 키오스크; 및 상기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키오스크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통신부;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생체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카메라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개인정보 및 주문정보를 감지하는 사용자 단말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생체정보,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주문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통합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키오스크 통신부;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체온정보를 생성하는 체온 센서부;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촬영영상을 생성하는 키오스크 카메라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매장 내 출입을 위한 안내화면을 표시하는 키오스크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키오스크로 접근한 사용자 단말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 통합정보에 기초하여 매장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발열체크, 전자출입명부작성, 상품의 주문 및 결제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키오스크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키오스크에 의해 생성된 상기 체온정보 및 상기 촬영영상을 이용하여 매장을 이용한 사용자 목록인 전자출입명부를 실시간 업데이트하는 전자출입명부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주문정보에 대한 결제정보를 생성하는 주문결제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일반모드 및 방역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작동하고,
상기 키오스크가 방역모드로 동작되면,
상기 전자출입명부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생체정보와 상기 키오스크 카메라부에 의해 생성된 촬영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생체정보를 전송한 사용자와 상기 촬영영상에 촬영된 사용자가 동일 인물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생체정보를 전송한 사용자와 상기 촬영영상에 촬영된 사용자가 동일 인물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체온정보가 기 설정된 정상체온 범위 내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며, 상기 촬영영상을 영상 분석하여 사용자의 마스크 착용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체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출입명부를 실시간 업데이트 하면서, 상기 사용자 통합정보를 전송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입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생체정보를 전송한 사용자와 상기 촬영영상에 촬영된 사용자가 동일 인물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체온정보가 기 설정된 정상체온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매장 이용 불가를 나타내는 출입불가 안내화면이 상기 키오스크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문결제 관리부는,
출입권한이 부여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통합정보에 상기 주문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종류 및 수량을 분석하여 결제금액을 산출하고, 산출된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제안내화면이 상기 키오스크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출입권한이 부여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통합정보에 상기 주문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매장 내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주문안내화면이 상기 키오스크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휴대한 채로 키오스크에 접근하면, 별도의 키오스크 조작 없이도 매장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발열체크, 전자출입명부작성, 상품의 주문 및 결제 과정이 한 번에 이루어져 매장 이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키오스크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전자출입명부 관리부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인증 과정의 구체적인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1000)은 매장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발열체크, 전자출입명부작성 및 상품의 주문, 결제 과정이 한 번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키오스크(200) 및 사용자 단말(100)을 포함한다.
키오스크(200)는 매장 내 설치되어 매장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발열체크, 전자출입명부작성 및 상품의 주문, 결제 과정을 안내하는 무인 단말기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매장에 진입하여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사용자가 소지하는 전자장치로, 사용자에 의해 휴대가 가능하고 다른 장치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정보의 입출력 및 처리가 가능한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태블릿 PC 등과 같은 전자장치일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200) 및 사용자 단말(1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을 이용한 발열체크, 전자출입명부작성 및 상품의 주문, 결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될 수 있으며, 키오스크(200) 및 사용자 단말(100)은 미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1000)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에 자신의 개인정보와 주문정보를 미리 입력해 둔 후 매장 입구에 배치된 키오스크(200)와 사용자 단말(100)이 소정 거리 이상 접근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100)에 미리 저장된 개인정보 및 주문정보를 이용하여 키오스크(200)가 사용자 인증, 발열체크, 전자출입명부 작성, 주문 및 결제 과정을 한 번에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매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키오스크(100) 및 사용자 단말(200)의 상세 구성과, 이들의 세부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사용자 단말(20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단말 통신부(210), 사용자 단말 카메라부(220), 사용자 단말 터치스크린부(230) 및 사용자 단말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 통신부(110)는 키오스크(2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 통신부(11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NFC 등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키오스크(200)와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사용자 단말 카메라부(120)는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안면과 관련된 생체적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생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 카메라부(120)는 사용자의 얼굴 전체에 대한 촬영영상을 생체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 카메라부(120)는 사용자의 홍채, 귓바퀴 등과 같이 안면의 부분적인 촬영영상을 생체정보로 설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 터치스크린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개인정보 및 주문정보를 감지하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개인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성별, 나이, 전화번호, 거주지역 등과 같이 전자출입명부에 기록될 항목에 관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주문정보는 사용자가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이나 음식 등을 미리 주문해 둠으로써, 사용자가 매장에 실제 방문 시 바로 상품을 제공받기 위해 입력되는 정보이다. 예컨대, 주문정보는 음식의 메뉴, 수량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매장에서 취급하는 다양한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정보(색상, 사이즈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터치스크린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개인정보 및 주문정보를 사용자 단말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사용자 단말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 카메라부(12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생체정보와, 사용자 단말 터치스크린부(130)로부터 전달된 개인정보 및 주문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통합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100)이 키오스크(200)에 접근하여 두 장치간의 근거리 네트워크가 형성되면, 미리 저장된 사용자 통합정보를 키오스크(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개인정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 통합정보를 암호화하여 키오스크(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100)의 구체적인 암호화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키오스크(20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키오스크(200)는 키오스크 통신부(210), 체온 센서부(220), 키오스크 카메라부(230), 키오스크 터치스크린부(240) 및 키오스크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키오스크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된 사용자 단말 통신부(11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체온 센서부(220)는 키오스크(200)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키오스크(200)에 접근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예컨대, 체온 센서부(220)는 열화상센서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외선 카메라 등과 같이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다른 장치로도 대체될 수 있다.
키오스크 카메라부(230)는 키오스크(200)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키오스크(200)에 접근한 사용자의 안면부를 촬영하여 촬영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장치이다.
키오스크 터치스크린부(240)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매장 내 출입을 위한 안내화면을 표시하는 터치감응형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키오스크 제어부(250)는 키오스크(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MCU(Micro Controller Unit)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제어부(250)는 키오스크(200)로 접근한 사용자 단말(100)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 통합정보에 기초하여 매장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발열체크, 전자출입명부작성, 상품의 주문 및 결제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키오스크 제어부는 전자출입명부 관리부(251) 및 주문결제 관리부(252)를 포함한다.
전자출입명부 관리부(251)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키오스크에 의해 생성된 상기 체온정보 및 상기 촬영영상을 이용하여 매장을 이용한 사용자 목록인 전자출입명부를 실시간 업데이트한다.
먼저, 전자출입명부 관리부(251)는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출입명부 관리부(251)는 사용자 인증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이 매장에 출입이 허가되어도 괜찮은 인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전자출입명부 관리부(251)는 키오스크(200)의 동작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200)는 일반모드 및 방역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작동한다.
일반모드는 감염병의 우려가 없는 환경에 동작되는 모드이고, 방역모드는 코로나, 독감 등과 같이 다중이용시설을 통한 감염병의 지역감염 확산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동작되는 모드이다.
전자출입명부 관리부(251)는 키오스크(200)가 일반모드로 동작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생체정보와 키오스크 카메라부(230)에 의해 생성된 촬영영상을 비교하여 생체정보에 포함된 사람과 촬영영상에 촬영된 사람이 동일 인물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전자출입명부 관리부(251)는 키오스크(200)가 일반모드로 동작되면 생체정보 인증을 이용한 1단계 인증만으로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전자출입명부 관리부(251)는 미리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생체정보 및 촬영영상에 포함된 사용자의 얼굴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 영역의 패턴(특징점, 눈썹, 눈(홍채), 코, 입, 턱윤곽, 각도, 조명 등)을 추정하여 비교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생체정보와 키오스크 카메라부(230)에 의해 생성된 촬영영상을 비교하여 생체정보에 포함된 사람과 촬영영상에 촬영된 사람이 동일 인물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안면인식 기술을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자출입명부 관리부(251)는 키오스크(200)가 방역모드로 동작되면, 3단계 인증 과정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출입명부 관리부(251)는 생체정보를 전송한 사용자와 상기 촬영영상에 촬영된 사용자가 동일 인물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체온정보가 기 설정된 정상체온 범위 내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며, 상기 촬영영상을 영상 분석하여 사용자의 마스크 착용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 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사용자 출입을 승인할 수 있다.
즉, 전자출입명부 관리부(251)는 상술한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제1 인증과정과, 체온이 정상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제2 인증과정과, 마스크를 착용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제3 인증과정을 모두 통과한 사용자 단말(100)에게만 출입권한을 부여하며, 3단계 인증 중 어느 하나라도 통과하지 못한 사용자 단말(100)은 출입을 제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자출입명부 관리부(251)는 상술한 바와 같은 영상처리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출입명부 관리부(251)는 3단계 인증에 모두 성공한 사용자 단말(100)에게는 출입권한을 부여하면서, 이와 동시에 개인정보 및 상기 체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출입명부를 실시간 업데이트한다.
전자출입명부 관리부(251)는 사용자 인증에 실패한 사용자 단말(100)에게 매장 이용 불가를 나타내는 출입불가 안내화면이 제공되도록, 출입불가 안내화면이 상기 키오스크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출입명부 관리부(251)는 키오스크(200)의 카메라부(230)에 미리 촬영된 사진을 입력시켜, 촬영영상의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인증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출입명부 관리부(251)는 미리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생체정보 및 촬영영상 각각에 포함된 생체정보 간의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전자출입명부 관리부(251)는 생체정보 및 촬영영상에 포함된 두 생체정보의 유사도가 기 설정된 제1 임계값(예컨대 95%)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추가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출입명부 관리부(251)는 키오스크 터치스크린부(250)를 통해 '눈을 깜빡여 주세요', '얼굴을 좌측(또는 우측)으로 약간 기울여주세요'등과 같은 안내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여, 키오스크 카메라부(230)로부터 촬영된 영상에서 사용자가 안내된 지시사항을 이행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전자출입명부 관리부(251)는 촬영된 영상에서 사용자 눈을 깜빡이는 것 등과 같이 지시사항을 이행한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생체정보와 촬영영상에 포함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다시 산출하고, 산출된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제2 임계값(예컨대 90%)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제1 인증과정이 승인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전자출입명부 관리부(251)는 촬영된 영상에서 사용자가 안내된 지시사항을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거나, 재산출된 유사도가 제2 임계값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면 생체정보 비교를 통한 제1 인증과정이 승인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미리 찍어놓은 사진을 키오스크 카메라부(230)에 인식시켜, 생체정보를 전송하지 않은 사용자가 인증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주문결제 관리부(252)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주문정보에 대한 결제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주문결제 관리부(252)는 출입권한이 부여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통합정보에 상기 주문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종류 및 수량을 분석하여 결제금액을 산출하고, 산출된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제안내화면이 상기 키오스크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반면, 주문결제 관리부(252)는 출입권한이 부여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통합정보에 상기 주문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매장 내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주문안내화면이 상기 키오스크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1000)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휴대한 채로 키오스크(200)에 접근하면, 별도의 키오스크 조작 없이도 매장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발열체크, 전자출입명부작성, 상품의 주문 및 결제 과정이 한 번에 이루어져 매장 이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생체정보, 개인정보 및 주문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통합정보를 암호화하여 키오스크(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키오스크(2000)는 사용자 통합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암호화부는 비대칭 암호화 방법을 통해 사용자 통합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암호화부는 수학적으로 연결된 공개 키와 개인 키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호화부는 사용자가 사용자 통합정보를 생성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과 키오스크(200)는 미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관리서버(미도시)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원거리에서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암호화부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통합정보가 생성된 시점의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소수와 제2 소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소수와 제2 소수를 개인 키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암호화부는 13시 25분 21초에 사용자 통합정보가 생성되면, 사용자 통합정보가 생성된 시점인 시간 정보를 세 자리 단위의 수로 분할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의 경우에서는 승인된 시간이 13:25:21이므로, 암호화부는 시간 정보를 132와 521로 분할할 수 있다.
이때, 암호화부는 132와 가장 가까운 소수인 131을 제1 소수로, 521과 가장 가까운 소수인 521을 제2 소수로 설정하고, 이를 개인 키로 설정할 수 있다.
암호화부는 생성된 두 개의 개인 키를 이용하여 공개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 키-공개 키 생성 방법은 RSA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것으로, RSA 암호화 알고리즘은 널리 공개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공개 키 생성 과정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사용자 단말(100)에서 사용자 통합정보가 생성되면, 키오스크(200)의 암호화부는 사용자 통합정보를 암호화하기 위한 개인 키 및 공개 키를 생성할 수 있으며, 암호화부는 생성된 공개 키를 사용자 단말(100)로 미리 전송하여, 사용자 통합정보의 전송 시 키오스크(200)의 암호화부로부터 수신된 공개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할 수 있다.
이후, 키오스크(200)의 암호화부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1사용자 통합정보를 수신하면, 미리 생성된 개인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사용자 통합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사용자는 사용자가 매장을 이용하고자 할 때에만 생성되는 사용자 통합정보의 생성 시점에 의해 결정되는 공개 키 및 개인 키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어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민감한 개인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통합정보를 안전하게 송수신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매장 이용과 관련된 만족도를 나타내는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여 키오스크(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키오스크(200)는 수집 대상 데이터 소스 모듈, 수집 대상 키워드 및 수집 대상 기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집 기준을 설정하는 수집 관리 모듈; 수집 관리 모듈로부터 설정 받은 데이터 수집 기준에 따라 해당 데이터 소스 모듈로부터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빅데이터의 형태소를 분석하여 형태소 별로 구분하고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형태소 분석 모듈; 및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분산 병렬 처리 기반의 통계분석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통계값을 산출하고 통계값에 따라 위크시그널을 출력하는 데이터 분석 모듈;을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위크시그널 도출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중 악의적 목적으로 작성된 비정상 평가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키오스크는, 수신된 평가 데이터를 의미를 갖는 형태소별로 구분한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저장하는 분산 파일 시스템; 상기 분산 파일 시스템에 존재하는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을 기반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가상화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가 제공하는 가상화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계분석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상기 형태소 분석 데이터로부터 연도별 출현빈도수(instance frequencies), 연도별 단어-단어 간 동시 출연 건수, 연도별 출현빈도수 및 연도별 단어-단어 간 동시 출현 건수로부터 가공된 값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산출하는 통계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계 분석부는, 상기 연도별 출현건수(instance frequencies) 및 단어-단어간 동시 발생건수에 기초하여 단어 별 발생건수 증가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계 분석부는, 상기 연도별 출현건수(instance frequencies)를 연도별 문서수로 나누어 문서당 상기 단어들의 연도별 출현 빈도수를 표준화하여 상기 단어들에 대한 표준화된 단어 별 출현 빈도수 증가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계 분석부는, 상기 단어-단어간 동시발생건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단어 별 연결 정도 중심성 증가율을 산출하고, 상기 표준화된 단어 별 출현 빈도수 증가율 및 상기 연결 정도 중심성 증가율이 상위 일정 부분 이상인 단어 또는 하위 일정 부분 이하인 단어를 위크시그널로 도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은, 이미지, 동영상, 음성, 센서, GPS, GIS, M2M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비정형 데이터를 포함하는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오스크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위크시그널 도출 시스템을 통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성희롱, 욕설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평가 데이터를 사전에 검출하여 제외시킴으로써 평가정보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술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
100: 사용자 단말
200: 키오스크

Claims (2)

  1. 매장 내 설치되어 매장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발열체크, 전자출입명부작성 및 상품의 주문, 결제 과정을 안내하는 키오스크;를 포함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은,
    상기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키오스크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통신부;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생체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카메라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개인정보 및 주문정보를 감지하는 사용자 단말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생체정보,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주문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통합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키오스크 통신부;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체온정보를 생성하는 체온 센서부;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촬영영상을 생성하는 키오스크 카메라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매장 내 출입을 위한 안내화면을 표시하는 키오스크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키오스크로 접근한 사용자 단말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 통합정보에 기초하여 매장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발열체크, 전자출입명부작성, 상품의 주문 및 결제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키오스크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키오스크에 의해 생성된 상기 체온정보 및 상기 촬영영상을 이용하여 매장을 이용한 사용자 목록인 전자출입명부를 실시간 업데이트하는 전자출입명부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주문정보에 대한 결제정보를 생성하는 주문결제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일반모드 및 방역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작동하고,
    상기 키오스크가 방역모드로 동작되면,
    상기 전자출입명부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생체정보와 상기 키오스크 카메라부에 의해 생성된 촬영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생체정보를 전송한 사용자와 상기 촬영영상에 촬영된 사용자가 동일 인물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생체정보를 전송한 사용자와 상기 촬영영상에 촬영된 사용자가 동일 인물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체온정보가 기 설정된 정상체온 범위 내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며, 상기 촬영영상을 영상 분석하여 사용자의 마스크 착용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체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출입명부를 실시간 업데이트 하면서, 상기 사용자 통합정보를 전송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입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생체정보를 전송한 사용자와 상기 촬영영상에 촬영된 사용자가 동일 인물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체온정보가 기 설정된 정상체온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매장 이용 불가를 나타내는 출입불가 안내화면이 상기 키오스크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전자출입명부 관리부는,
    상기 생체정보를 전송한 사용자와 상기 촬영영상에 촬영된 사용자가 동일 인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미리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상기 생체정보와 상기 촬영영상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여 산출된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의 특정 동작을 유도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의 특정 동작이 반영된 촬영영상을 상기 생체정보와 비교하여 유사도를 재산출하여 재산출된 유사도가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낮은 제2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생체정보를 전송한 사용자와 상기 촬영영상에 촬영된 사용자가 동일 인물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주문결제 관리부는,
    출입권한이 부여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통합정보에 상기 주문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종류 및 수량을 분석하여 결제금액을 산출하고, 산출된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제안내화면이 상기 키오스크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출입권한이 부여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통합정보에 상기 주문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매장 내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주문안내화면이 상기 키오스크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
  2. 삭제
KR1020210049898A 2021-04-16 2021-04-16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 KR102296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898A KR102296550B1 (ko) 2021-04-16 2021-04-16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
KR1020210112747A KR102317429B1 (ko) 2021-04-16 2021-08-26 발열체크가 가능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898A KR102296550B1 (ko) 2021-04-16 2021-04-16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747A Division KR102317429B1 (ko) 2021-04-16 2021-08-26 발열체크가 가능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6550B1 true KR102296550B1 (ko) 2021-08-31

Family

ID=774893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898A KR102296550B1 (ko) 2021-04-16 2021-04-16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
KR1020210112747A KR102317429B1 (ko) 2021-04-16 2021-08-26 발열체크가 가능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747A KR102317429B1 (ko) 2021-04-16 2021-08-26 발열체크가 가능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965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900B1 (ko) 2022-01-21 2022-04-14 엠넥스텍 주식회사 지능형 복합 키오스크 시스템
KR102400539B1 (ko) 2022-02-16 2022-05-20 샘랩 주식회사 전자출입명부를 생성하는 키오스크
KR102444270B1 (ko) * 2021-09-28 2022-09-16 주식회사 넷온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비대면 출입 통제 및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6193A (ko) * 2015-11-13 2017-05-23 주식회사 에스원 출입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08245A (ko) * 2018-03-14 2019-09-24 (주)한국이.디.에스 푸드 코트의 무인키오스크 결제 시스템
KR102134903B1 (ko) * 2020-06-08 2020-07-17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감염예방 인증 키오스크
KR102237965B1 (ko) 2020-09-17 2021-04-08 이용호 감염병 예방 인증 및 네트워크 광고 및 이를 이용한 할인 쿠폰 발행 및 복수의 할인 기능과 포인트 적립이 가능한 키오스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783B1 (ko) * 2020-08-31 2021-02-17 주식회사 날다 음성인식 기반 비대면 및 비접촉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6193A (ko) * 2015-11-13 2017-05-23 주식회사 에스원 출입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08245A (ko) * 2018-03-14 2019-09-24 (주)한국이.디.에스 푸드 코트의 무인키오스크 결제 시스템
KR102134903B1 (ko) * 2020-06-08 2020-07-17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감염예방 인증 키오스크
KR102237965B1 (ko) 2020-09-17 2021-04-08 이용호 감염병 예방 인증 및 네트워크 광고 및 이를 이용한 할인 쿠폰 발행 및 복수의 할인 기능과 포인트 적립이 가능한 키오스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270B1 (ko) * 2021-09-28 2022-09-16 주식회사 넷온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비대면 출입 통제 및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86900B1 (ko) 2022-01-21 2022-04-14 엠넥스텍 주식회사 지능형 복합 키오스크 시스템
KR102400539B1 (ko) 2022-02-16 2022-05-20 샘랩 주식회사 전자출입명부를 생성하는 키오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429B1 (ko) 2021-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6550B1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
CN110889320B (zh) 眼周面部识别切换
CN107995979B (zh) 用于对用户进行认证的系统、方法和机器可读介质
KR102173699B1 (ko) 안구 신호들의 인식 및 지속적인 생체 인증을 위한 시스템과 방법들
CN110968855B (zh) 面部识别过程期间的遮挡检测
JP6865321B1 (ja) 入退場管理装置、入退場管理方法、入退場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入退場管理システム
KR102268065B1 (ko) 감염병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장치
Khamis et al. Understanding face and eye visibility in front-facing cameras of smartphones used in the wild
KR20120139100A (ko) 얼굴 인증을 이용한 보안 장치 및 방법
EP3149626B1 (en) Personal area network
CA3065992A1 (en) Device with biometric system
KR102310915B1 (ko) 출입자의 마스크 탐지 및 체온 보정을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패스 시스템
KR102375962B1 (ko) 유저중심의 학습공간 매칭 통합관리 시스템
US20230059889A1 (en) Gate apparatus, control method of gat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07209562B (zh) 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装置、控制方法和存储媒体
CN107431714A (zh) 控制经由用户设备在资源的控制点处对资源功能的访问
KR102632212B1 (ko) 얼굴 인식을 이용하여 차량 정보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03014B1 (ko)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
JP666559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6438693B2 (ja) 認証装置、認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947244B2 (en) Gate apparatus
JP7103040B2 (ja)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ヘッドマウントユニット
Grabovskyi et al. Facial recognition with using of the microsoft face API Service
WO2022180816A1 (ja) 入場判定システム、入場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2430406B1 (ko) 체온 정보 기반의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