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9508A - 기울기 조절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 - Google Patents

기울기 조절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9508A
KR20180049508A KR1020160145512A KR20160145512A KR20180049508A KR 20180049508 A KR20180049508 A KR 20180049508A KR 1020160145512 A KR1020160145512 A KR 1020160145512A KR 20160145512 A KR20160145512 A KR 20160145512A KR 20180049508 A KR20180049508 A KR 20180049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lastic member
main body
foot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석
Original Assignee
김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석 filed Critical 김용석
Priority to KR1020160145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9508A/ko
Priority to PCT/KR2017/003210 priority patent/WO2018084389A1/ko
Publication of KR20180049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5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가정, 사무실 등의 책상 밑에 구비하여 사용자의 발을 올려둘 수 있도록 하면서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다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기울기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울기 조절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의 하부 중앙부에 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의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제 1, 2만곡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연결된 발판부에 발을 올려놓고 사용자의 발 또는 발목을 이용하여 본체부의 지지부 또는 제 1만곡부 또는 제 2만곡부가 지면에 맞닿도록 기울기를 조절하며 다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울기 조절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울기 조절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Leg exercise and Tilt-adjustable footrest}
본 발명은 기울기조절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가정, 사무실 등의 책상 밑에 구비하여 사용자의 발을 올려둘 수 있도록 하면서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다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기울기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울기 조절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판은 가정, 사무실 등의 책상 밑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신발을 벗고 발을 올려놓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발판은 발을 발판의 일정한 위치에만 올려놓을 수 있을 뿐 만성 피로감을 해소시키지 못하고, 사용자에 따라 장시간 같은 자세로 발을 올려놓을 경우, 오히려 역효과가 나타나는 원인이 있었다.
그리하여 근래에는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리 운동을 겸할 수 있는 발판 등이 다양하게 가변되어 개발되고 있다.
우선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제 20-0199891호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한 저면 흡착판을 구비한 설치대와; 설치대의 양측으로 설치하여 인장스프링에 의해 전, 후진으로 동작하도록 설치한 발판과; 발판 내부에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발판이 전, 후진으로 동작하는 회수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한 계수기와; 계수기의 후미와 양측 발판 사이에 설치시켜 진동기에 의해 발을 안마해주기 위한 발안마기와; 양측 발판의 후단부에 탄발스프링을 개재하여 내측을 핀축으로 유착시켜 외측에 설치되는 돌기홀을 구비한 ‘형 잠금구에 의하여 잠그고 풀어주면서 핀축을 기점으로 상하로 동작하기 위한 돌기를 구비한 스텝핑과; 양측 스텝핑 사이에 설치하여 외부로 빼내어 인장스프링에 의해 팔운동을 하는 완력기로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흡착판을 구비한 설치대를 바닥에 고정시킨 후, 인장스프링에 의해 강제전진 및 자동후진할 수 있도록 설치한 발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다리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상기 설치대 및 발판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가 항상 일정한 자세로 다리 운동을 할 수밖에 없으며, 그로 인해 운동효과를 받는 다리부위가 한정적일 수밖에 없고, 상기 다목적 운동기구를 단순히 발판 용도로만 사용하게 될 경우에도 발 또는 발목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본체부의 하부 중앙부에 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의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제 1, 2만곡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연결된 발판부에 발을 올려놓고 사용자의 발 또는 발목을 이용하여 본체부의 지지부 또는 제 1만곡부 또는 제 2만곡부가 지면에 맞닿도록 기울기를 조절하며 다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울기 조절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내부에 탄성부재(110)가 포함된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구성되되, 상기 탄성부재(110)와 연결되어 슬라이딩 하는 발판부(200)로 구성되는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 중앙부에는 지지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20)의 일 측과 타 측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만곡지는 제 1만곡부(130)와 제 2만곡부(14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10)는 본체부(100)의 상측 중앙부에 내삽되어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10)의 양측에는 탄성부재(110)를 중심으로 이격을 이루며 대칭되는 제 1, 2가이드부(150, 160)가 내삽되어 구성되며, 상기 발판부(200)의 하부에는 상기 탄성부재(110)와 연결되는 탄성부재연결부(210)와, 상기 제 1, 2가이드부(150, 160)와 연결되는 제 1, 2연결부(250, 260)가 각각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부(200)의 상면에는 다수의 지압돌기(280)가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부(200)의 상면에는 다수의 보조지압돌기(295)가 형성된 보조지압부(290)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미끄럼방지부재(300)가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조절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에 의하면, 사용자가 가정, 사무실 등의 책상 밑에 구비하여 사용자의 발을 올려둘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발 또는 발목의 힘을 조절하여 발판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종아리, 허벅지, 발목 등과 같은 다리의 다양한 부위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다리 운동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운동을 하지 않고 발판의 용도로만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발목 스트레칭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다리 운동효과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인 발판의 구성 중 제 1, 2가이드부와 제 1, 2연결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가정, 사무실 등의 책상 밑에 구비하여 사용자의 발을 올려둘 수 있도록 하면서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다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기울기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울기 조절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내부에 탄성부재(110)가 포함된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구성되되, 상기 탄성부재(110)와 연결되어 슬라이딩 하는 발판부(200)로 구성되는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 중앙부에는 지지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20)의 일 측과 타 측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만곡지는 제 1만곡부(130)와 제 2만곡부(14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10)는 본체부(100)의 상측 중앙부에 내삽되어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10)의 양측에는 탄성부재(110)를 중심으로 이격을 이루며 대칭되는 제 1, 2가이드부(150, 160)가 내삽되어 구성되며, 상기 발판부(200)의 하부에는 상기 탄성부재(110)와 연결되는 탄성부재연결부(210)와, 상기 제 1, 2가이드부(150, 160)와 연결되는 제 1, 2연결부(250, 260)가 각각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 4,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상기 발판부(200)가 연결되어 사용자의 다리 힘(미는 힘) 및 탄성에 의해 탄성이 작용하는 전, 후 방향으로 반복적인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탄성부재(11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10)는 스프링 및 실리콘, 고무, 우레탄 등의 재질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탄성체가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탄성부재(110)로 스프링이 사용된 것을 도시하였다.
한편, 도 3 및 도 6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 중앙부에는 지면과 맞닿을 시, 발판부(200)가 지면과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지지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20)의 일 측에는 발판부(200)가 사용자의 발 또는 발목의 힘 조절에 따라 소정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측에서 상측으로 만곡지는 제 1만곡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20)의 타 측에는 발판부(200)가 상기 제 1만곡부(130)에 의해 기울어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만곡부(130)가 형성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만곡지는 제 2만곡부(14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만곡부(130)가 형성된 발판부(200)의 상면에 사용자의 발가락이 위치되고, 상기 제 2만곡부(140)가 형성된 발판부(200)의 상면에 사용자의 발뒤꿈치가 위치될 시, 사용자가 발가락 및 발뒤꿈치의 힘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본체부(100)를 기울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인 발판을 발을 올려놓기 위한 발판 용도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장시간 발을 올려놓고 있더라도 간편하게 기울기를 조절하며 사용자의 발목 스트레칭을 손쉽게 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다리에 피로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7,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발판부(200)의 상면에 발을 올리고, 발 또는 발목을 이용하여 발가락 또는 발뒤꿈치에 선택적으로 힘을 주며 상기 발판부(200)를 본체부(100)의 상부에서 슬라이딩시키며 반복운동 할 시, 사용자가 힘을 싣는 발의 위치에 따라 본체부(100) 및 발판부(200)가 기울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사용자가 힘을 주는 위치를 가변시키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리부위의 운동을 손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 양 끝 단부는 상기 발판부(200)의 양 측면을 감싸도록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발판부(200)의 좌, 우 양 측면이 본체부(100)의 돌출된 좌, 우 양 끝 단부에 의해 감싸짐으로써, 상기 발판부(200)가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서 사용자의 다리 힘(미는 힘) 및 탄성에 의해 탄성이 작용하는 전, 후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고, 상기 발판부(200)의 양 측면에 작용할 수 있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발판부(200)가 본체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본체부(100)가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 2,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부(200)의 상면은 사용자의 발이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발의 형태와 유사하게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발판부(200)의 상면이 사용자의 발의 형태와 유사하게 굴곡지며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발판부(200)의 상면에 장시간 발을 올려두고 있더라도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상기 발판부(200)의 상면에 발을 올리고 다리 운동을 할 시에도 발바닥이 쉽게 피로를 느끼지 않게 되어, 다리 운동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110)는 본체부(100)의 상측 중앙부에 내삽되어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10)의 양측에는 탄성부재(110)를 중심으로 이격을 이루며 대칭되는 제 1, 2가이드부(150, 160)가 내삽되어 구성되며, 상기 발판부(200)의 하부에는 상기 탄성부재(110)와 연결되는 탄성부재연결부(210)와, 상기 제 1, 2가이드부(150, 160)와 연결되는 제 1, 2연결부(250, 260)가 각각 구성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110) 및 제 1, 2가이드부(150, 160)가 상기 본체부(100)의 상측에 내삽되어 구성되는데, 이는 상기 발판부(200)의 하부에 각각 구성되는 탄성부재연결부(210) 및 제 1, 2연결부(250, 260)가 각각 상기 탄성부재(110) 및 제 1, 2가이드부(150, 160)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탄성부재연결부(210)는 상기 탄성부재(110)와 연결되어 상기 발판부(200)가 본체부(100)의 상부에서 탄성에 의해 반복적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 1, 2연결부(250, 260)는 상기 제 1, 2가이드부(150, 160)에 연결되어 상기 발판부(200)가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서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탄성부재(110) 및 탄성부재연결부(210)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110)는 본체부(100) 또는 발판부(200)에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연결부(210)는 발판부(200) 또는 본체부(100)에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탄성부재(110) 및 탄성부재연결부(210)는 상기 발판부(200)가 본체부(100)의 상부에서 사용자의 힘과 탄성에 의해 반복적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는 모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2가이드부(150, 160) 및 제 1, 2연결부(250, 260)의 형상을 살펴보면, 상기 제 1, 2연결부(250, 260)의 형상은 상기 제 1, 2가이드부(150, 160)에 제 1, 2연결부(250, 260)가 연결되어 원활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제 1, 2가이드부(150, 160)의 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2가이드부(150, 160)의 정단면의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1, 2연결부(250, 260)가 제 1, 2가이드부(150, 160)에 연결되는 부분의 정단면의 형상 또한 원형 또는 다각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2연결부(250, 260)가 상기 제 1, 2가이드부(150, 160)를 완전히 감싸며 제 1, 2가이드부(150, 160)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1, 2연결부(250, 260)가 상기 제 1, 2가이드부(150, 16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2연결부(250, 260)가 제 1, 2가이드부(150, 16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연결되는 경우,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탄성부재(110)와 탄성부재연결부(210) 또한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본체부(100)와 발판부(200)를 분리할 수 있어 유지보수를 간편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부(200)의 상면에는 상호 이격을 이루며 발의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압돌기(28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지압돌기(280)는 사용자가 상기 발판부(200)의 상면에 발을 올려두거나, 발을 올리고 다리 운동을 할 시,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발을 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써, 사용자의 혈액순환을 도와주고 신체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도 1,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부(200)의 상면에는 다수의 보조지압돌기(295)가 형성된 보조지압부(29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보조지압부(290)는 발판부(200)의 상면에 사용자가 발을 위치시킬 시, 사용자의 발바닥 내측 아치부분이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발바닥 내측 아치부분의 형상과 유사하게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보조지압부(290)는 상기 발바닥 내측 아치부분을 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지압부(290)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발바닥 내측 아치부분을 상기 보조지압부(290)에 위치시켜 사용자의 발바닥 내측 아치부분을 지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다리 운동 시에도 사용자의 발바닥 내측 아치부분이 상기 보조지압부(290)에 밀착하게 되어, 다리 운동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미끄럼방지부재(300)가 구성된다.
즉, 상기 미끄럼방지부재(300)는 사용자가 상기 발판부(200)의 상면에 발을 올리고 다리 운동을 할 시, 사용자의 힘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가 지면에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써, 상기 미끄럼방지부재(300)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가 지면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효과적으로 다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지면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가 손상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 전체에 미끄럼방지부재(300)가 구성되는 경우, 상기 미끄럼방지부재(300)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하나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부분적으로 미끄럼방지부재(300)가 구성되는 경우, 상기 미끄럼방지부재(300)는 다수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조절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에 의하면, 사용자가 가정, 사무실 등의 책상 밑에 구비하여 사용자의 발을 올려둘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발 또는 발목의 힘을 조절하여 발판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종아리, 허벅지, 발목 등과 같은 다리의 다양한 부위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다리 운동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운동을 하지 않고 발판의 용도로만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발목 스트레칭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다리 운동효과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0 : 본체부
110 : 탄성부재 120 : 지지부
130 : 제 1만곡부 140 : 제 2만곡부
150 : 제 1가이드부 160 : 제 2가이드부
200 : 발판부
210 : 탄성부재연결부
250 : 제 1연결부 260 : 제 2연결부
280 : 지압돌기
290 : 보조지압부 295 : 보조지압돌기
300 : 미끄럼방지부재

Claims (4)

  1. 내부에 탄성부재(110)가 포함된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구성되되, 상기 탄성부재(110)와 연결되어 슬라이딩 하는 발판부(200)로 구성되는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 중앙부에는 지지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20)의 일 측과 타 측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만곡지는 제 1만곡부(130)와 제 2만곡부(14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10)는 본체부(100)의 상측 중앙부에 내삽되어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10)의 양측에는 탄성부재(110)를 중심으로 이격을 이루며 대칭되는 제 1, 2가이드부(150, 160)가 내삽되어 구성되며,
    상기 발판부(200)의 하부에는 상기 탄성부재(110)와 연결되는 탄성부재연결부(210)와, 상기 제 1, 2가이드부(150, 160)와 연결되는 제 1, 2연결부(250, 260)가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조절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200)의 상면에는 다수의 지압돌기(28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조절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200)의 상면에는 다수의 보조지압돌기(295)가 형성된 보조지압부(290)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조절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미끄럼방지부재(3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조절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
KR1020160145512A 2016-11-03 2016-11-03 기울기 조절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 KR2018004950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512A KR20180049508A (ko) 2016-11-03 2016-11-03 기울기 조절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
PCT/KR2017/003210 WO2018084389A1 (ko) 2016-11-03 2017-03-24 기울기 조절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512A KR20180049508A (ko) 2016-11-03 2016-11-03 기울기 조절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508A true KR20180049508A (ko) 2018-05-11

Family

ID=62076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512A KR20180049508A (ko) 2016-11-03 2016-11-03 기울기 조절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49508A (ko)
WO (1) WO201808438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570U (ko) * 2019-12-30 2021-07-08 김용석 내구성을 향상시킨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발판
KR102515069B1 (ko) * 2022-08-12 2023-03-2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족저근막염 방지용 스트레칭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3039A (ja) * 1994-05-31 1995-12-12 Kazuo Takahashi 整体器
KR200199891Y1 (ko) * 2000-05-31 2000-10-16 남상현 다목적 운동기구
KR20070018675A (ko) * 2005-08-09 2007-02-14 에이지 나카니시 발가락 운동장치
KR20110032975A (ko) * 2009-09-24 2011-03-30 박갑원 다리근육 스트레칭기구
US20140274589A1 (en) * 2013-03-14 2014-09-18 George Christopher Harkins Lower extremity exercise wed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570U (ko) * 2019-12-30 2021-07-08 김용석 내구성을 향상시킨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발판
KR102515069B1 (ko) * 2022-08-12 2023-03-2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족저근막염 방지용 스트레칭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4389A1 (ko) 201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9466B2 (en) Chair-type massage machine
US20090227912A1 (en) Chair-type Massaging Machine
US20070037672A1 (en) Toe exercise apparatus
US20100035734A1 (en) Foot and Ankle Exercise Device
US9295876B2 (en) Foot exercise device
KR101765450B1 (ko) 보행 재활 훈련용 발목 관절 각도 변화 유도 장치
KR101968285B1 (ko) 무지외반증 교정기구 및 이를 이용한 신발
KR101617281B1 (ko) 발바닥 지압용구
KR20180049508A (ko) 기울기 조절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
KR101298882B1 (ko)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보드
KR100720391B1 (ko) 의자에 앉아서 하는 하체운동기구
KR100853610B1 (ko) 좌식 하체운동기구
KR101990270B1 (ko) 책상 및 소파용 다리 운동기구
JP2000317013A (ja) ストレッチ健康具
KR101580412B1 (ko) 발목펌프운동기구
US20020183664A1 (en) Tilt type jin-luo massaging device
KR20150111893A (ko) 발받침 장치
KR20150011455A (ko) 발지압용 쿠션부재
KR102270921B1 (ko)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
KR200276707Y1 (ko) 마사지 발판 운동기구
JP4787696B2 (ja) 足指運動装置
KR102318085B1 (ko) 압력측정 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신체 불균형 교정용 운동기기
KR101793859B1 (ko) 이동형 지압장치가 구비된 신발
KR101821583B1 (ko) 생식기능 강화를 위한 다리운동기구
KR20070018675A (ko) 발가락 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