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921B1 -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 - Google Patents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921B1
KR102270921B1 KR1020190094576A KR20190094576A KR102270921B1 KR 102270921 B1 KR102270921 B1 KR 102270921B1 KR 1020190094576 A KR1020190094576 A KR 1020190094576A KR 20190094576 A KR20190094576 A KR 20190094576A KR 102270921 B1 KR102270921 B1 KR 102270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device body
strengthening
calf
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5553A (ko
Inventor
안광욱
Original Assignee
(주)안광욱걷기약발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안광욱걷기약발연구소 filed Critical (주)안광욱걷기약발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094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921B1/ko
Publication of KR20210015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1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feet or to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6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permanent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9Specific exercise interfaces contoured to fit to specific body parts, e.g. back, knee or neck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25Supports for both feet or both hands performing simultaneously the same movement, e.g. single pedal or singl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 A61H2205/125Foot reflex zo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장치 몸체; 및 상기 장치 몸체의 상단부 일측에 함몰되게 형성되되 서로 대칭되며,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를 위한 운동 수행 시 발의 앞쪽 1/3 영역이 걸쳐지면서 배치되게끔 하는 한 쌍의 발 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발 배치부에 발의 앞쪽 1/3 영역이 걸쳐지면서 배치되게끔 한 다음, 체중을 실어 발뒤꿈치가 상하로 움직이게 운동함으로써 발과 종아리 근육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Foot and calf muscle strengthening and relaxation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래보다 훨씬 간단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어서 제작비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발과 종아리의 근육 강화 및 이완 작용에 이바지할 수 있는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후천적으로 발 아치가 점점 낮아지는 소위, 유연성 평발과, 이와는 반대로 발 아치가 정상보다 과도하게 점점 높아지는 두 가지 타입 모두는 종아리, 즉 장딴지 근육의 이상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때, 유연성 평발은 절대적 보행량의 감소로 약해진 발바닥 근육과 더불어 근력과 탄력이 저하된 종아리 근육에 의해 발생한다.
반대로, 발 아치가 과도하게 높은 소위, 하이 아치(high arch)는 키 높이 구두를 사용하는 젊은 남성층과 하이힐을 과거에 자주 신었던 여성들 대부분에서 발생한다. 높은 굽에 의해 짧아진 종아리는 발바닥 조직의 긴장과 수축을 초래하며 결과적으로 발등이 점점 솟아올라 아치가 높아진다.
한편,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무빙워크 등의 이용으로 인해 현대인들의 보행량은 상당히 감소하고 있다.
특히, 평소에 굽이 높은 신발을 선호하고 최소한의 보행량만을 갖는다면 점점 더 발의 아치와 아킬레스를 포함한 종아리 근육 기능은 퇴화할 수밖에 없다.
이에, 이 부분에 대한 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1 및 도 2와 같은 형태의 다리 종아리 근육 강화기구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다리 종아리 근육 강화기구(10)는 기립 상태로 올라서는 사람의 양쪽 발을 지지하는 발판부재(11)와, 그의 선단 측을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려 선고후저(앞부분은 높고, 후방 측은 낮은 상태) 형상의 경사를 가지도록 지지하는 발판 지지부재(12) 및 상기 발판부재(11) 위에 올라선 사람이 발판부재(11)의 경사도에 의해 후방으로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토록 발뒤꿈치(13)를 지지하는 발꿈치 지지부재(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다리 종아리 근육 강화기구(10)의 사용법을 설명한다.
기구(10)를 처음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고정수단(15,35,45)을 풀어 발판 지지부재(12)를 최대한 전방 위치로 이동시킨 후 다시 단단하게 조여 고정하는 것이 좋은데, 이렇게 하면 발판부재(11)의 경사도는 가장 작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발판부재(11) 위에 두 발을 올려놓고 기립하게 되면(도2 참조), 발판부재(11)는 수평면인 지면(30)에 대해 각도 a를 이루고 있으므로 발(25)과 다리(31)의 각도는 90-a 즉, 각도 b의 예각을 형성하게 되어 종아리 근육(32)은 신장력을 받아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상 발판부재(11)를 평면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지면(30)이 경사지게 되었으나, 지면(30)은 본래 수평면이다.
이처럼 종아리 근육(32)이 발과의 예각을 이루게 되면 큰 힘과 스피드를 요구하는 단거리 경주시 종아리 근육 상태와 같아지므로 이 같은 종아리 근육(32)의 팽창과 수축을 통해 근육단련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며, 이때 앉았다 서는 동작을 반복하면 종아리 근육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처음에는 종아리 근육이 갑자기 인장력을 받아 많이 아파서 무리하지 않게 서서히 적응해 나가는 것이 좋으며, 종아리 근육의 아픔이 가시게 되는 경우 근육의 강화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므로 이때부터는 발판 지지부재(12)의 위치를 후방으로 한 단계 후퇴시켜 발판부재(11)의 경사도를 높여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경사도가 높아지면 종아리 근육이 더욱 큰 힘을 받게 되어 단련 효과가 증대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다리 종아리 근육 강화기구(10)를 꾸준히 사용하면 분명 운동의 효과가 있으므로 다리 종아리 근육이 강화될 수 있을 수는 있지만,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구조가 복잡해서 제작비가 증가할 수밖에 없고, 또한 사용상의 편의성도 낮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9-000963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7-017234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1-000188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3-003689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보다 훨씬 간단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어서 제작비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발과 종아리의 근육 강화 및 이완 작용에 이바지할 수 있는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외관을 형성하는 장치 몸체; 및 상기 장치 몸체의 상단부 일측에 함몰되게 형성되되 서로 대칭되며,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를 위한 운동 수행 시 발의 앞쪽 1/3 영역이 걸쳐지면서 배치되게끔 하는 한 쌍의 발 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발 배치부에 발의 앞쪽 1/3 영역이 걸쳐지면서 배치되게끔 한 다음, 체중을 실어 발뒤꿈치가 상하로 움직이게 운동함으로써 발과 종아리 근육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높은 발등을 가진 사람은 발뒤꿈치의 상하 운동 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고, 평발인 사람은 발뒤꿈치의 상하 운동 폭을 상대적으로 크게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장치 몸체는 탄성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장치 몸체 내에는 상기 장치 몸체를 보강하는 보강부가 상기 장치 몸체와 일체로 인서트(insert)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발 배치부가 배치되는 영역의 상기 장치 몸체 내에 인서트(insert)되어 형성되는 저중량 보강파트; 및 상기 저중량 보강파트와 연결 혹은 분리되게 상기 발 배치부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의 상기 장치 몸체 내에 인서트(insert)되어 형성되며, 상기 저중량 보강파트보다 큰 중량을 이루어 상기 장치 몸체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중량 보강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 배치부가 배치되는 영역의 상기 장치 몸체의 바닥에서 연장되게 마련되며, 상기 발 배치부에 올라섰을 때, 상기 장치 몸체가 사용자 측으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복 방지용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보다 훨씬 간단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어서 제작비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발과 종아리의 근육 강화 및 이완 작용에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다리 종아리 근육 강화기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기준으로 해서 내부 구조를 보이기 위한 개략화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발을 배치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로서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을 기준으로 해서 내부 구조를 보이기 위한 개략화한 도면, 도 6은 도 4에 발을 배치한 상태의 평면도, 그리고, 도 7은 도 6의 측면도로서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100)는 도 6처럼 발의 운동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종래보다 훨씬 간단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어서 제작비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발과 종아리의 근육 강화 및 이완 작용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기존 운동기구가 근육 강화 또는 이완 작용 한 가지에 집중했다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100)는 근육 강화 작용 및 근육 이완 작용 모두를 아우르면서도 제작과 운동 방법이 간단한 것을 큰 장점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100)는 장치 몸체(110)와, 장치 몸체(110) 상에 형성되는 한 쌍의 발 배치부(120)를 포함한다.
장치 몸체(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100)의 외관을 이룬다. 장치 몸체(110)는 약간 견고하고 강한 탄성재질로 제작된다.
한 쌍의 발 배치부(120)는 장치 몸체(110)의 상단부 일측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한 쌍의 발 배치부(120)는 서로 대칭되며, 도 7처럼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를 위한 운동 수행 시 도 6처럼 발의 앞쪽 1/3 영역이 걸쳐지면서 배치되게끔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발 배치부(120)가 한 쌍으로 마련된다.
다시 말해, 도 6처럼 한 쌍의 발 배치부(120)에 발의 앞쪽 1/3 영역이 걸쳐지면서 배치되게끔 한 다음, 도 7처럼 체중을 실어 발뒤꿈치가 상하로 움직이게 운동함으로써 발과 종아리 근육을 강화할 수 있다.
이때, 높은 발등을 가진 사람은 발뒤꿈치의 상하 운동 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고, 평발인 사람은 발뒤꿈치의 상하 운동 폭을 상대적으로 크게 유지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방법으로 발과 종아리 근육을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
한편, 장치 몸체(110)가 탄성재질로 제작되고 한 쌍의 발 배치부(120)는 장치 몸체(110)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도 7과 같이 실질적인 운동을 수행할 때, 장치 몸체(110)가 과도하게 눌리거나 혹은 사용자 측으로 전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폐단을 막기 위해 보강부(130)가 마련된다. 보강부(130)는 장치 몸체(110) 내에 마련되어 장치 몸체(110)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보강부(130)는 장치 몸체(110)와 일체로 인서트(insert)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130)는 발 배치부(120)가 배치되는 영역의 장치 몸체(110) 내에 인서트(insert)되어 형성되는 저중량 보강파트(131)와, 저중량 보강파트(131)와 연결 혹은 분리되게 발 배치부(120)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의 장치 몸체(110) 내에 인서트(insert)되어 형성되며, 저중량 보강파트(131)보다 큰 중량을 이루어 장치 몸체(110)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100)의 사용법을 소개한다.
우선, 도 6처럼 발의 앞쪽 1/3 영역이 장치 몸체(110)에 형성되는 발 배치부(120)에 걸쳐지면서 배치되게끔 한다.
다음, 발 배치부(120)에 배치된 발에 체중을 싣고, 도 7처럼 발뒤꿈치가 상하로 움직이게 운동한다. 이때, 앞서 기술한 것처럼 높은 발등을 가진 사람은 발뒤꿈치의 상하 운동 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고, 평발인 사람은 발뒤꿈치의 상하 운동 폭을 상대적으로 크게 유지한다.
이러한 운동을 예컨대 1분 정도 진행하면 되는데, 1분 정도의 운동만으로도 그 피로도가 평소 30분 산책했을 때와 동등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그 어떤 장치보다도 훨씬 효과적으로 발과 종아리 근육이 강화될 수 있게끔 유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보다 훨씬 간단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어서 제작비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발과 종아리의 근육 강화 및 이완 작용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200) 역시, 장치 몸체(110)와, 장치 몸체(110) 상에 형성되는 한 쌍의 발 배치부(120)를 포함한다. 이들의 구성과 기능, 역할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피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200)에는 전복 방지용 플랜지(240)가 더 마련된다.
이러한 전복 방지용 플랜지(240)는 발 배치부(120)가 배치되는 영역의 장치 몸체(110)의 바닥에서 연장되게 마련되며, 예컨대 도 7처럼 발 배치부(120)에 올라섰을 때, 장치 몸체(110)가 사용자 측으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전복 방지용 플랜지(240)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장치 몸체(110)가 사용자 측으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바람직하지만, 실험을 통해 적정한 선에서 결정되는 편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래보다 훨씬 간단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어서 제작비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발과 종아리의 근육 강화 및 이완 작용에 이바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300) 역시, 장치 몸체(110)와, 장치 몸체(110) 상에 형성되는 한 쌍의 발 배치부(120)와, 발 배치부(120)가 배치되는 영역의 장치 몸체(110)의 바닥에서 연장되게 마련되는 전복 방지용 플랜지(240)를 포함한다. 이들의 구성과 기능, 역할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피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300)에는 발 배치부(120)에 복수의 지압식 자석 돌기(311)가 마련된다.
지압식 자석 돌기(311)는 발에 대한 지압효과를 제공해서 발과 종아리 근육을 강화하는 동안에 혈액순환이 잘 되게끔 할 수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300)에는 장치 몸체(110)의 일측에 타이머(355)와 버튼(356)이 마련된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300)를 통한 운동은 대략 1분 정도면 충분하기 때문에, 타이머(355)가 적용되면 발로 버튼(356)을 가압한 후, 타이머(355)를 보면서 대략 1분 정도의 운동을 수행하기에 좋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래보다 훨씬 간단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어서 제작비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발과 종아리의 근육 강화 및 이완 작용에 이바지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400) 역시, 장치 몸체(410)와, 장치 몸체(410) 상에 형성되는 한 쌍의 발 배치부(120)와, 발 배치부(120)가 배치되는 영역의 장치 몸체(410)의 바닥에서 연장되게 마련되는 전복 방지용 플랜지(240)를 포함한다. 이들의 구성과 기능, 역할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피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장치 몸체(410)의 하단부가 경사진 경사면(411)을 이룬다. 따라서, 경사면(411)을 바닥에 대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400)를 설치하면 발 배치부(120)의 단부 영역이 위로 솟은 형태가 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이러한 경사도로 인해 장치 몸체(410)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래보다 훨씬 간단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어서 제작비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발과 종아리의 근육 강화 및 이완 작용에 이바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 110 : 장치 몸체
120 : 발 배치부 130 : 보강부
131 : 저중량 보강파트 132 : 고중량 보강파트

Claims (4)

  1. 외관을 형성하는 장치 몸체(110); 및
    상기 장치 몸체(110)의 상단부 일측에 함몰되게 형성되되 서로 대칭되며,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를 위한 운동 수행시 발의 앞쪽 1/3영역이 걸쳐지면서 배치되게끔 하는 한 쌍의 발 배치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발 배치부(120)에 발의 앞쪽 1/3 영역이 걸쳐지면서 배치되게 끔 한 다음 체중을 실어 발뒤꿈치가 상하로 움직이게 운동함으로써 발과 종아리 근육을 강화할 수 있으며,
    높은 발등을 가진 사람은 발뒤꿈치의 상하 운동 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고, 평발인 사람은 발뒤꿈치의 상하 운동폭을 상대적으로 크게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장치 몸체(110)는 탄성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발 배치부(120)가 배치되는 영역의 상기 장치 몸체(110)의 바닥에서 연장되게 마련되며, 상기 발 배치부(120)에 올라섰을 때, 상기 장치 몸체(110)가 사용자 측으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복 방지용 플랜지(240)를 포함하고,
    장치 몸체(110)가 과도하게 눌리거나 혹은 사용자 측으로 전복될 수 있으므로,
    발 배치부(120)가 배치되는 영역의 장치 몸체(110) 내에 인서트(insert)되어 형성되는 저중량 보강파트(131)와, 저중량 보강파트(131)와 연결 혹은 분리되게 발 배치부(120)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의 장치 몸체(110) 내에 인서트(insert)되어 형성되며, 저중량 보강파트(131)보다 큰 중량을 이루어 장치 몸체(110)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배치부(120)에는 발에 대한 지압효과를 제공해서 발과 종아리 근육을 강화하는 동안에 혈액순환이 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지압식 자석 돌기(3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94576A 2019-08-02 2019-08-02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 KR102270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576A KR102270921B1 (ko) 2019-08-02 2019-08-02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576A KR102270921B1 (ko) 2019-08-02 2019-08-02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553A KR20210015553A (ko) 2021-02-10
KR102270921B1 true KR102270921B1 (ko) 2021-06-30

Family

ID=74560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576A KR102270921B1 (ko) 2019-08-02 2019-08-02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9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4362A (ko) 2022-02-18 2023-08-25 이정수 종아리 근육 단련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2304A (ja) * 2011-07-22 2013-02-04 Nihon Sofuken:Kk 運動補助具
KR101985860B1 (ko) * 2019-01-04 2019-06-04 오미순 조립식 스쿼트 머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886U (ko) 1999-06-30 2001-01-26 마이클 디. 오브라이언 반도체패키지 제조시의 몰딩공정용 플런저
KR20090009637A (ko) 2007-07-20 2009-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엠비-오에프디엠 시스템 및 프레임 바운더리 검출 방법
KR20160010074A (ko) * 2014-07-18 2016-01-27 김동혁 걷기 운동 기구
KR20180002868U (ko) * 2017-03-28 2018-10-08 (주)안광욱걷기약발연구소 발아치 및 아킬레스건 동시 운동기(일명 : 뒤꿈치 콩콩 운동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2304A (ja) * 2011-07-22 2013-02-04 Nihon Sofuken:Kk 運動補助具
KR101985860B1 (ko) * 2019-01-04 2019-06-04 오미순 조립식 스쿼트 머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4362A (ko) 2022-02-18 2023-08-25 이정수 종아리 근육 단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553A (ko)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0921B1 (ko)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
JP6802557B2 (ja) 前、後脛骨筋及び足指力強化装置
KR102273598B1 (ko) 종아리 스트레칭기구
JP2007136064A (ja) 歩行安全靴
KR101646682B1 (ko) 발의 건강 장구
KR20180002868U (ko) 발아치 및 아킬레스건 동시 운동기(일명 : 뒤꿈치 콩콩 운동기)
JP6343763B2 (ja) 下半身強化ボード
JP2013146282A (ja) 椅子として兼用できる靴
JP6858319B2 (ja) 履物の中敷
KR200454039Y1 (ko) 발목 타격장치
KR20090100835A (ko) 기능성 신발
CZ2014790A3 (cs) Způsob cvičení k posilování svalů a udržování osob v dobré kondici, cvičební prostředek pro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a systém obsahující tento cvičební prostředek
KR100575138B1 (ko) 건강신발
KR101435757B1 (ko) 신발깔창
JP3107850U (ja) 足底板
KR102562653B1 (ko) 발 착용형 하지 훈련기
KR20230124362A (ko) 종아리 근육 단련기
KR102132206B1 (ko) 발 자극 교정기
JP3121825U (ja) 健康履物
JP3205834U (ja) エコノミークラス症候群予防グッズ
KR200408733Y1 (ko) 신발깔창
KR200453698Y1 (ko) 스텝퍼 신발
KR20170105243A (ko) 생식기능 강화를 위한 다리운동기구
KR20220132372A (ko) 평발 교정 보조기구
JP3080511U (ja) 健康補助履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