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4362A - 종아리 근육 단련기 - Google Patents

종아리 근육 단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4362A
KR20230124362A KR1020220021582A KR20220021582A KR20230124362A KR 20230124362 A KR20230124362 A KR 20230124362A KR 1020220021582 A KR1020220021582 A KR 1020220021582A KR 20220021582 A KR20220021582 A KR 20220021582A KR 20230124362 A KR20230124362 A KR 20230124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machine
calf
machine body
walking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이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수 filed Critical 이정수
Priority to KR1020220021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4362A/ko
Publication of KR20230124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3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ankl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아리 및 하체 근육 강화를 통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므로 심혈관계, 뇌혈관 및 하지정맥류와 같은 혈액과 관련이 있는 질환을 예방과 완화, 말초부위의 저림 질환 예방, 다리 부종의 예방과 완화, 골다공증의 예방 및 완화, 무릎관련질환의 예방과 완화, 발목강화, 관절강화 및 근골격계 향상으로 인한 낙상방지, 체형교정 등의 효과와 더불어 기립성 저혈압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하향돌출되는 단련기바디와;
상기 단련기바디의 전방에 신발의 콧등과 걸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전방걸이구와;
상기 단련기바디의 후방에 신발의 뒷굼치와 걸 수 있도록 형성하는 후방걸이구를 포함하여;
신발에 착용하여 제자리걸음, 보행 또는 달리기를 통하여 까치발 걷기 형태를 통하여 종아리 근육을 강화시키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종아리 근육 단련기{CALF MUSCLE TRAINER}
본 발명은 종아리 근육 단력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발에 결합하여 제자리 걸음이나 보행 및 달리기를 통하여 종아리 근육 및 하체근육을 단련 및 강화시켜 혈액순환을 활성화시키고 종아리 부종의 완화, 부정맥 완화, 무릎관련 질환의 완화 등을 통하여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종아리 근육 단련기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종아리는 무릎과 발목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정강뼈의 뒤쪽에 장딴지근, 가자미근, 아킬레스힘줄로 이루어진 종아리 근육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종아리 근육은 발과 발가락을 아래로 굽히거나 무릎관절에서 종아리를 굽히는 역할을 한다.
종아리 근육 운동을 하면 강한 수축과 이완이 일어나게 되며 이 과정에서 하지로 내려온 혈액이 심장까지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게 되므로 피로가 쉽게 쌓이지 않게 되고, 종아리에서 발목까지 이어지는 부분의 근력이 강화되므로 균형 감각이 늘어나 낙상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종아리 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운동기구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대표적인 예를 특허문헌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외관을 형성하는 장치 몸체(110) 및
상기 장치 몸체(110)의 상단부 일측에 함몰되게 형성되되 서로 대칭되며,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를 위한 운동 수행시 발의 앞쪽 1/3영역이 걸쳐지면서 배치되게끔 하는 한 쌍의 발 배치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발 배치부(120)에 발의 앞쪽 1/3 영역이 걸쳐지면서 배치되게 끔 한 다음 체중을 실어 발뒤꿈치가 상하로 움직이게 운동함으로써 발과 종아리 근육을 강화할 수 있으며,
높은 발등을 가진 사람은 발뒤꿈치의 상하 운동 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고, 평발인 사람은 발뒤꿈치의 상하 운동폭을 상대적으로 크게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장치 몸체(110)는 탄성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발 배치부(120)가 배치되는 영역의 상기 장치 몸체(110)의 바닥에서 연장되게 마련되며, 상기 발 배치부(120)에 올라섰을 때, 상기 장치 몸체(110)가 사용자 측으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복 방지용 플랜지(240)를 포함하고,
장치 몸체(110)가 과도하게 눌리거나 혹은 사용자 측으로 전복될 수 있으므로,
발 배치부(120)가 배치되는 영역의 장치 몸체(110) 내에 인서트(insert)되어 형성되는 저중량 보강파트(131)와,
저중량 보강파트(131)와 연결 혹은 분리되게 발 배치부(120)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의 장치 몸체(110) 내에 인서트(insert)되어 형성되며, 저중량 보강파트(131)보다 큰 중량을 이루어 장치 몸체(110)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배치부(120)에는 발에 대한 지압효과를 제공해서 발과 종아리 근육을 강화하는 동안에 혈액순환이 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지압식 자석 돌기(311)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특허문헌 2는, 중앙의 구획면에 의하여 각각 1쌍의 요철홈레일이 이격면으로 이격되어지게 구비되고,
상기 요철홈레일은 이면으로 돌출면에 의하여 이격면이나 구획면보다 내입되어지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돌출면에는 논슬립패드가 구비되어지는 1개의 레일보드와 상기 요철홈레일에 맞물림되는 요철돌기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피칭만곡면이 구비되고,
상기 피칭만곡면의 양단에는 각각 발 받침면이 구비되고,
상기 피칭만곡면의 지지살에는 관통홀이 구비되어 연결봉으로 한쌍의 피칭보드가 연결되어 동시 작동되고,
상기 피칭보드의 피칭만곡면의 후단 뒷꿈치 받침면의 후방으로는 완충면을 구비하고, 상기 완충면을 견고하게 고정토록 하면서 완충의 정도를 조절가능하도록 후단에 돌출관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관에 탄성체를 삽입하여 일정높이로 돌출토록 함으로서 완충의 정도를 조절가능토록 할 수 있으면서도 완충면의 훼손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특허등록 제 10 - 2270921 - 0000 호 특허등록 제 10 - 2273598 - 0000 호
없음.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중 특허문헌 1은 발의 앞쪽 1/3을 걸친 상태에서 뒤꿈치를 상,하방향으로 움직여 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특허문헌 2는 족저근막의 손상 예방과 손상된 상태에서도 운동이 가능하도록 바닥면에 놓여지는 레일보드와 그 상층에서 피칭되어지는 복수의 피칭보드로 이루어져 피칭보드에 양발을 올려 놓고 레일보드에서 피칭동작을 반복토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경우에는 실내에 구비한 상태에서 운동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런닝머신 등을 비롯하여 실내에 비치하여 둔 상태에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기구와 같이 처음에는 열심히 운동을 수행하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규칙적인 운동을 수행하지 못하고 포기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실내에 운동기구를 비치하여 둔 상태에서는 쇼파에 앉거나 바닥에 비스듬하게 누워 있는 자세가 편하고, 텔레비젼의 시청, 인터넷 및 휴대폰 등과 같은 미디어 기기의 사용 때문에 편안함 자세를 탈피하는 것이 어려워 운동을 위한 의지가 쉽게 꺽여지기 때문에 목표한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운동효과를 극대화 하는 것은 물론, 실질적인 운동효과를 얻는 것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실내 운동의 문제점을 탈피하기 위하여 실외로 이동하여 달리기, 걷기와 같은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한 시간 이상을 수행하여야 미약하게나마 운동효과를 볼 수 있고, 일주일에 몇 일 이상을 꾸준하게 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를 지속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게 된다.
특히 외부기온이 낮은 동절기 또는 외부기온이 높은 하절기의 경우에는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더욱 어렵기 때문에 적극적이고도 지속적인 운동이 어렵게 되며, 걷기와 달리기 만으로 종아리 근육을 강화(단련)하는 것은 쉽지 않게 되며 나이가 많은 노령자의 경우에는 더어욱 쉽지 않기 때문에 혈액순환의 저하와 근력약화로 인한 질병이 악화되는 문제점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측은 넓고 하측이 좁은 형태로 하향돌출되는 단련기바디(101)와;
상기 단련기바디(101)의 전방에 신발(102)의 콧등(103)과 걸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전방걸이구(105)와;
상기 단련기바디(101)의 후방에 신발(102)의 뒷굼치(106)와 걸 수 있도록 형성하는 후방걸이구(107)를 포함하여;
신발(102)에 착용하여 제자리걸음, 보행 또는 달리기를 통하여 까치발 걷기 형태를 통하여 종아리 근육을 강화시킴으로서;
종아리 근육과 하체근육 강화를 통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므로 심혈관계, 뇌혈관 및 하지정맥류와 같은 혈액과 관련이 있는 질환을 예방과 완화, 말초부위의 저림 질환 예방, 다리 부종의 예방과 완화, 골다공증의 예방 및 완화, 무릎관련질환의 예방과 완화, 발목강화, 관절강화 및 근골격계 향상으로 인한 낙상방지, 체형교정 등의 효과와 더불어 기립성 저혈압을 예방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신발에 자유롭게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의 종아리 근육 단련기를 제공하여 신발에 착용하여 보행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까치발 운동이 이루어져 종아리 및 하체 근육이 단련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단시간에 근육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전신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신발에 착용하여 보행 또는 가벼운 조깅을 수행하면 까지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여타의 다른 운동기구와 같이 인위적으로 까치발을 들어야 하는 불편이 없기 때문에 종아리 및 하체 근육단련을 쉽게할 수 있으므로 종아리 및 하체 근육 강화로 인힌 신체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종아리 근육 단련기의 평면을 보인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종아리 근육 단련기의 저면을 보인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종아리 근육 단련기를 도시한 파절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종아리 근육 단련기를 도시한 단면 상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종아리 근육 단력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종아리 근육 단련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종아리 근육 단련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종아리 근육 단련기의 평면을 보인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종아리 근육 단련기의 저면을 보인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종아리 근육 단련기를 도시한 파절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종아리 근육 단련기를 도시한 단면 상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종아리 근육 단력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종아리 근육 단련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종아리 근육 단련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종아리 근육 단련기(10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측은 넓고 하측이 좁은 삼각형상의 단련기바디(101)를 구비하고, 상기 단련기바디(101)의 전방에는 신발(102)의 콧등(103)과 걸 수 있도록 전방걸이구(105)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단련기바디(101)의 후방에는 신발(102)의 뒷굼치(106)와 걸 수 있도록 후방걸이구(107)을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단련기바디(101)를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삼각형상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태이면 "∪"형상을 비롯하여 사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 종아리 근육 단련기(100)의 재질은 단련기바디(101)를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경질로 구성하고, 전,후방걸이구(105,107)를 연질로 구성하여도 될 것이나, 보행시 지면과 연접시 소음발생을 배제하고 충격과 진동이 이용자에게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체를 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련기바디(101)와 전,후방걸이구(105,107)를 이종(異種)의 재질로 구성할 경우에는 단련기바디(101)의 전,후방에 걸이구를 형성하여 전,후방걸이구(105,107)를 착탈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되고, 이 경우에는 전,후방걸이구(106,107)에 통상의 길이조절수단을 강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단련기바디(101)의 상부의 폭은 5cm 이고 높이는 3cm로 예시하고 있으나, 다양한 폭과 높이를 가지도록 함으로서 초급자, 중급자, 고급자 또는 어린이 및 노약자용, 청소년용 성인용 등으로 구분하여 선책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될 것이다.
상기 전방걸이구(105)에 비하여 후방걸이구(107)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하는 데, 단련기바디(101)의 상부 폭(B)과 대등하게 전방걸이구(105)의 길이(L)를 가지도록 하고, 후방걸이구(106)의 길이(L1)는 전방걸이구(105)의 2배에서 2배 이상의 길이를 가지도록 한다.
이는 단련기바디(101)를 발바닥의 전방위치 가장 넓은 부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신발(102)의 전방에서 1/3 지점에 위치하여야 하므로 전방걸이구(105)와 콧등(103) 까지의 거리는 짧고, 신발(102)의 전방에서 1/3 지점에서 뒷굼치(106) 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이다.
특히 단련기바디(101)를 신발(102) 바닥의 선단에서 1/3 지점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이 부분이 높아야 까치발을 들어서 운동할 수 있게 되고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데, 너무 전방에 위치할 경우에는 실질적인 운동을 위한 보행에 어려움이 있고 너무 후방에 위치할 경우에는 까치발 운동 효과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상기 단련기바디(101)의 폭(B)과 길이(L2)는 신발(102)의 바닥면보다 크게할 경우에는 시각적으로 노출되어 외관이 좋지 않으므로 신발(102) 바닥면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착용 후 시각적으로 노출이 적어 외관을 해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단련기바디(101)의 중간 위치에는 보행하면서 운동하는 과정에서 딱딱함으로 인하여 운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이 신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완충홀(110)을 형성하여도 된다.
상기 완충홀(110)은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단련기바디(101)의 중앙위치에 원형의 홀을 하나 형성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작은 홀을 여러 개 형성하는 형태, 원형이 아닌 다각형상으로 형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의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 완충홀(110)로 인하여 단련기바디(101)가 운동과정에서 너무 연질화되어 지지력이 저하될 수 있는 우려가 있는 데, 이 때에는 환충홀(110)에 보강심재(115)를 더 결합하여 보완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보강심재(115)는 단련기바디(101)와 동일한 재질에서부터 목재, 비철금속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운동과정에서 무게를 늘여 운동효과를 높이도록 하고자 할 경우에는 무게가 많이 나가는 금속재를 사용하여도 될 것이다.
상기 단련기바디(101)의 하방에는 단련기바디(101)와 동일한 재질의 보조기(120)를 더 구비하여 단련기바디(101) 마모시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단련기바디(101)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보조기(120)는, 단련기바디(101)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바디홈(121)을 형성하여 단련기바디(101)의 하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보조기바디(122)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기바디(122)의 상단 전,후측(신발의 전,후측 방향)에는 단련기바디(101)의 상방위치(전,후방걸이구의 아래)에 형성되는 걸림홈(123)과 걸림되어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훅(125)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종아리 근육 단련기(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외에서 운동하기 위하여 신발(102)을 착용한 후 신발(102)의 저면에 단련기바디(101)를 밀착시키고 전방걸이구(105)를 당겨서 콧등(103)에 걸어서 유지하고 다음에는 후방걸이구(107)를 뒷꿈치(106)에 걸어줌으로써 종아리 근육 단련기(100)의 사용준비를 완료된다.
본 발명의 종아리 근육 단련기(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을 하게 되면 신발(102)의 전방위치 하방에 밀착된 단련기바디(101)의 하단과 신발(102)의 후단이 지면에 닿이게 되는 데, 단련기바디(101)의 높이 때문에 신발(102)이 전체적으로 후향 경사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발의 앞 부분이 들려지고 뒷부분이 지면에 닿아 후향 경사진 상태가 되므로 발의 후방으로 체중이 실리게 되고, 걸음을 걷거나 달리게 될 경우에는 단련기바디(101)의 하단을 기점으로 발을 전방으로 기울이면서 신발(102)의 앞쪽이 지면에 닿도록 한 후 디딘발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고, 걸음을 옮겨 지면에 닿을 때에는 단련기바디(101)의 하단과 발의 뒤쪽이 지면에 닿도록 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다른 운동 예로서는 단련기바디(101)의 하단과 발의 뒤쪽이 지면에 닿인 상태로만 보행을 하여도 되고, 반대로 발의 앞쪽과 단련기바디(101)의 하단이 지면에 닿도록 한 상태에서 보행하여도 되며, 단련기바디(101)만 지면에 닿도록 한 상태에서 중심을 잡으면서 보행하는 형태로의 운동을 수행하면 된다.
또한 단련기바디(101)와 발의 뒤쪽이 지면에 닿도록 한 상태에서 뒤꿈치(종아리)를 들어올리고 내리는 동작, 단련기바디(101)와 발의 앞쪽이 지면에 닿도록 한 상태에서 뒤꿈치(종아리)를 들어올리고 내리는 동작을 제자리에서 왼발과 오른발을 번갈아가면서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의 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아리 근육 단련기(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 제자리걸음, 제자리뛰기 및 달리기를 수행하게 되면, 까치발 걷기, 뒷꿈치들기, 경사지 걷기, 등산, 계단오르기, 자건거타기 등과 동일한 운동효과를 얻게 되므로 종아리 근육이 강화되는 것은 물론 부가하여 다리 전체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는 단련기바디(101)로만 구성하여 상부에 본드 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신발의 바닥에 바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단련기바디(101)의 상면에는 신발과 접촉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돌기를 다수개 돌출시켜 구성하여도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종아리 및 하체 근육이 강화되면, 제 2의 심장이라 불리우는 종아리 근육의 강화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므로 심혈관계, 뇌혈관 및 하지정맥류와 같은 혈액과 관련이 있는 질환을 예방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고, 혈액의 원활한 공급과 순환을 통하여 말초부위의 저림과 같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종아리 및 하체 근육의 강화로 다리 부종의 예방과 완화, 골다공증의 예방 및 완화, 무릎관련 질환의 예방과 완화, 발목강화, 관절강화 및 근골격계 향상으로 인한 낙상방지, 체형교정 등의 효과와 더불어 기립성 저혈압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와 장점을 가진다.
100; 종아리 근육 단련기
101; 단련기바디
105; 전방걸이구
107; 후방걸이구
110; 완충홀
115; 보강심재
120; 보조기
122; 보조기바디
123; 걸림홈
125; 걸림훅

Claims (3)

  1.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측은 넓고 하측이 좁은 형태로 하향돌출되는 단련기바디(101)와;
    상기 단련기바디(101)의 전방에 신발(102)의 콧등(103)과 걸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전방걸이구(105)와;
    상기 단련기바디(101)의 후방에 신발(102)의 뒷굼치(106)와 걸 수 있도록 형성하는 후방걸이구(107)를 포함하여;
    신발(102)에 착용하여 제자리걸음, 보행 또는 달리기를 통하여 까치발 걷기 형태를 통하여 종아리 근육을 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아리 근육 단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련기바디(101)에는 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이 신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형성하는 완충홀(110)과;
    상기 완충홀(110)에 결합하여 지지력을 보완할 수 있는 보강심재(1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아리 근육 단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련기바디(101)의 하방에는 단련기바디(101) 마모시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단련기바디(101)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보조기(12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기(120)는, 단련기바디(101)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바디홈(121)을 형성하여 단련기바디(101)의 하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하는 보조기바디(122)와;
    상기 보조기바디(122)의 상단 전,후측에 단련기바디(101)의 상방위치에 형성되는 걸림홈(123)과 걸림되어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훅(12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아리 근육 단련기.
KR1020220021582A 2022-02-18 2022-02-18 종아리 근육 단련기 KR202301243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582A KR20230124362A (ko) 2022-02-18 2022-02-18 종아리 근육 단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582A KR20230124362A (ko) 2022-02-18 2022-02-18 종아리 근육 단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362A true KR20230124362A (ko) 2023-08-25

Family

ID=87847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582A KR20230124362A (ko) 2022-02-18 2022-02-18 종아리 근육 단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436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921B1 (ko) 2019-08-02 2021-06-30 (주)안광욱걷기약발연구소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
KR102273598B1 (ko) 2019-11-15 2021-07-06 주식회사 코리아스포츠 종아리 스트레칭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921B1 (ko) 2019-08-02 2021-06-30 (주)안광욱걷기약발연구소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
KR102273598B1 (ko) 2019-11-15 2021-07-06 주식회사 코리아스포츠 종아리 스트레칭기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0324B1 (en) Convertible therapeutic sandals
US6782639B1 (en) Footwear for a dynamic, rolling walking-action
US3472508A (en) Exercising device for rocking the foot to exercise the lower leg
US5891002A (en) Orthopedic device ankle exerciser and method
US7278227B2 (en) Conditioning shoe and method of use
JPH07298903A (ja) 靴の底
KR102081901B1 (ko) 발가락 운동기구
JP6802557B2 (ja) 前、後脛骨筋及び足指力強化装置
CN104399232A (zh) 一种用于脚踝防扭伤锻炼与扭伤康复的训练器
JP2017086975A (ja) 靴の中敷又は履物底の構造
JP2002315846A (ja) シーソー型足腰鍛練器具
KR20230124362A (ko) 종아리 근육 단련기
KR20180002868U (ko) 발아치 및 아킬레스건 동시 운동기(일명 : 뒤꿈치 콩콩 운동기)
JP6343763B2 (ja) 下半身強化ボード
JP3130251U (ja) 足踏み健康歩行器
KR102270921B1 (ko)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
JP2004181195A (ja) 走歩等室内訓練用運動器具
KR20210001936U (ko) 종아리 근육 강화용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2594795B1 (ko) 신발부착형 운동기구
KR200267994Y1 (ko) 실내용 다리 운동기구
JP2020114345A (ja) 一本歯下駄
KR20180093846A (ko) 하지운동기구
CN204233388U (zh) 一种用于脚踝防扭伤锻炼与扭伤康复的训练器
KR20180100037A (ko) 운동용 신발 밑창
JP2004057787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