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391B1 - 의자에 앉아서 하는 하체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의자에 앉아서 하는 하체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391B1
KR100720391B1 KR1020060085937A KR20060085937A KR100720391B1 KR 100720391 B1 KR100720391 B1 KR 100720391B1 KR 1020060085937 A KR1020060085937 A KR 1020060085937A KR 20060085937 A KR20060085937 A KR 20060085937A KR 100720391 B1 KR100720391 B1 KR 100720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spring
shaft
lower body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철
Original Assignee
김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철 filed Critical 김정철
Priority to KR1020060085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3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1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feet or to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에 앉아서 하는 하체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놓이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핀고정되는 복수의 스프링(30a,30b,30c)과, 이 복수의 스프링(30a,30b,30c) 타단 상부에 각각 부착되는 발판(40a,40b,40c)을 포함하며, 복수의 스프링(30a,30b,30c)은 운동시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11)에 대하여 넓은 각도로 벌릴 수 있고, 보관시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11)에 가능한 밀착된 작은 각도로 접혀질 수 있도록 그 일단이 베이스 플레이트(10)에 대하여 각도조절이 가능한 고정대(20)의 상부에 구비된 스프링 고정축(22)에 고정되고, 이 고정대(20)는 레버(50)와 스톱퍼(60)에 의해 각각 각도조절 및 조절된 각도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발바닥, 지압, 착석, 하체, 운동, 분할, 계수기

Description

의자에 앉아서 하는 하체운동기구 {A exercising device for lower-bod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하체운동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체운동기구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체운동기구의 측면도로서 발판이 해제된 상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하체운동기구의 측면도로서 발판이 고정된 상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체운동기구에 발을 올린 상태에서 단계적으로 누르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플레이트 12 : 고정브라켓
14 : 축공 16 : 슬릿(slit)
18 : 요철면 20 : 고정대
22 : 스프링 고정축 24 : 회동축
26 : 경사면 30a,30b,30c : 스프링
40a,40b,40c : 발판 42 : 회동축
44 : 위치조절구 46 : 지압돌기
48 : 자석 50 : 레버
52 : 고정축 54 : 가동축
60 : 스톱퍼 61 : 받침면
62 : 걸림면 63 : 바닥면
64 : 관통축 65 : 스프링
72 : 센서(또는 스위치) 74 : 연결단자
80 : 커버
본 발명은 실내에서 간단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한 의자에 앉아서 하는 하체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의자에 앉아서 오랜 시간 동안 생활해야 하는 수험생이나 사무직근로자 등이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수시로 하체의 근력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발바닥의 경혈을 자극함으로써 혈액순환과 신진대사의 촉진이 가능하도록 하여 운동부족으로 인한 체력저하와 집중력감소 및 신체 면역력 저하 등과 같은 각종 폐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특히,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부품 수를 최소화하여 염가에 제작·보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험생이나 사무직근로자 등은 거의 온 종일을 의자에 앉아서 생활 함으로써 운동부족으로 인한 각종 골 근육계 및 내장질환이 발생하게 됨은 물론 특히, 하체의 근육이 부실해지고 여성의 경우에는 하체와 상체 간의 혈행이 원활치 못하여 하체 비만이 유발되기도 한다. 그렇다고 이러한 수험생이나 사무직 근로자들이 주간에 별도로 시간을 내서 헬스클럽에 간다거나 야외로 나가서 운동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일상생활 속에서 일상의 동작이나 생활 그 자체에서의 동작을 운동으로 승화시킨다면 어느 정도 건강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인이 조사한 바에 의하면 이러한 수험생이나 사무직근로자의 운동부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할 수 있는 종래기술에 의한 운동기구 또는 발 마사지기는 전동 및 진동 방식의 발 마사지기인 공개특허 제1996-0016858호(1996.06.17.공개), 좌판을 편심회전시켜 허리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운동용 회전의자"인 실용신안등록 제284522호(2002.07.23. 등록), 양발을 지압기에 올려놓고 상호 교호로 반복하여 상하작동되도록 한 "유희겸용 지압기"인 실용신안등록 제341864호(2004.02.03. 등록), 발판 위에 발을 얹어 놓으면 전기력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형 액추에이터에 의해 지압돌기가 상하로 승강하면서 발바닥을 지압할 수 있도록 된 "발 지압장치"인 공개특허 제2004-0040985호(2004.05.13. 공개) 및 의자의 다리 자체에 회전식 지압돌기를 부착한 형태의 "발바닥 지압부를 형성한 의자"인 공개특허 제2004-0105527호(2004.12.16. 공개) 등이 있다.
한편, 상기한 종래기술에 의한 운동기구는 단순한 마사지 기능만을 갖거나 또는 유희기능이 위주로 되어 있어서 운동효과가 크지 않아 운동부족의 해소에 별 도움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전기를 사용하는 방식의 마사지는 소음이 필수적으로 발생하여 오히려 공부에 방해가 되거나 업무 집중에 장애가 될 수도 있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특허 제518924호(등록연월일 2005.09.20)로 '발바닥 지압겸용 착석식 하체운동기구'를 개발한 바 있는데, 이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복수의 회동 프레임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회동 프레임과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압축코일형 스프링을 설치한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그 구성부품 수가 많을 뿐만 아니라 내부의 복잡한 구성을 가려주기 위해서 외부에 벨로우즈와 같은 형태의 고무막으로 된 커버를 씌워주어야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제조원가가 높아지고 이로 인해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출원인의 특허 제518924호를 개량하여 적은 부품 수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염가로 제작 보급할 수 있는 하체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에 놓이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핀 고정되는 복수의 스프링과, 이 복수의 스프링 타단 상부에 각각 부착되는 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자에 앉아서 하는 하체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프링은 운동시에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대하여 넓은 각도로 벌릴 수 있고, 보관시에는 스프링을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가능한 밀착된 상태 즉, 작은 각도로 접혀질 수 있도록 그 일단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 여 각도조절이 가능한 고정대에 핀고정시키고, 이 고정대는 레버와 스톱퍼에 의해 각도조절 및 조절된 각도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운동기구의 운반과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판은 위치조절구에 의해 스프링의 타단 상부에서 전후로 위치이동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발크기에 따라 발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발에 가해지는 스프링의 저항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하체운동기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체운동기구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하체운동기구의 측면도로서 발판이 해제된 상태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체운동기구는 바닥에 놓이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핀 고정되는 복수의 스프링(30a,30b,30c)과, 이 복수의 스프링(30a,30b,30c) 타단 상부에 각각 부착되는 발판(40a,40b,40c)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복수의 스프링(30a,30b,30c)은 운동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11)에 대하여 넓은 각 도로 벌릴 수 있고, 보관시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11)에 가능한 밀착된 상태 즉, 작은 각도로 접혀질 수 있도록 그 일단이 베이스 플레이트(10)에 대하여 각도조절이 가능한 고정대(20)의 상부에 구비된 스프링 고정축(22)에 고정되고, 이 고정대(20)는 레버(50)와 스톱퍼(60)에 의해 각도조절 및 조절된 각도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대(20)는 측면에서 볼 때, 대체로 평행사변형의 단면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상면 일측에는 스프링 고정축(22)이 구비되어 있고, 하면 타측(우측)에는 좌우로 베이스 플레이트(10) 선단 양측의 고정브라켓(12)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축공(14)에 축결합되는 회동축(24)이 구비되어 있으며, 하면 일측(좌측)에는 레버(50)의 하단부에 구비된 가동축(54)에 핀결합되어 있다.
상기 레버(50)는 대체로 중간 부분의 고정축(52)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브라켓(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외측의 손잡이부(51)를 전방 측으로 밀어 내리거나 상부로 당겨 올리는 것에 의해 고정대(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데, 레버(50)를 상부로 들어올리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20)의 회동축(24)이 축공(14)의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회동되어 세워지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대(20) 후단 측의 경사면(26)에 스톱퍼(60)를 끼워주면 고정대(20)가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되어 스프링(30a,30b,30c)이 베이스 플레이트(10)에 대하여 넓은 각도로 벌어진 상태가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판(40a,40b,40c)을 발로 밟아 누르는 운동을 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톱퍼(60)는 고정대(20)가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쐐기작용을 함과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20)가 눕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구(걸림쇠)의 역할을 겸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일측에 받침면(61)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이와 대응되는 걸림면(62)이 형성되어 측면에서 볼 때 대체로 평행사변형 단면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바닥면(63)은 요철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바닥면(63)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중간 부분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슬릿(16)을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한 관통축(64)이 돌출부착되어 있으며, 이 관통축(64)과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저면 사이에는 압축코일형 스프링(65)이 끼워져 있어 스톱퍼(60)의 바닥면(63)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슬릿(16) 상면의 요철면(18)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스톱퍼(60)는 그 방향을 앞뒤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20)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쐐기의 기능을 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20)가 눕혀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구의 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톱퍼(60)의 회전조작 및 슬라이드 조작은 스톱퍼(60)의 관통축(64)을 베이스플레이트(10)의 밑에서 눌러 스톱퍼(60)의 바닥면(63)이 베이스 플레이트(10) 상면의 요철면(18)에 걸린 상태가 해제되도록 한 후 조작하면 된다.
도면 중 부호 80은 커버이다.
한편, 상기 스프링(30a,30b,30c)은 스프링용 강선을 사용하여 제작한 것으 로, 이 스프링(30a,30b,30c)의 강도는 30c > 30b > 30c가 되도록 함으로써 초기에 힘을 주는 발바닥 앞 부분의 발판(40a)은 크게 힘을 주지 않아도 되나 발바닥 중간 부분과 뒤꿈치 부분의 발판(40b 및 40c)에 점차 더 큰 힘을 주어 눌러주어야 하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발판(40a,40b,40c)은 위치조절구(44)에 의해 각 스프링(30a,30b,30c)의 타단 상부에서 전후로 위치이동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발크기에 따라 발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발에 가해지는 스프링의 저항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판(40a,40b,40c) 위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시 발바닥을 지압하기 위한 지압돌기(46) 및 자석(48)을 형성하거나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지압돌기(46)는 개별 또는 부분적으로 발판(40)으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 지압돌기를 사용자의 발 크기에 맞도록 조절하거나 사용자마다 필요로 하는 서로 다른 지압위치로 지압돌기를 이동부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운동횟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계수기가 부착될 수 있는데, 이는 베이스 플레이트(10) 상에 설치되어 회동프레임(30)의 하강 횟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또는 스위치(72)와, 이 센서 또는 스위치(72)에서 감지된 신호를 외부의 계수기에서 표시하기 위한 연결단자(74)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디지털 계수기(만보계 또는 만보기 등)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체운동기구에 발을 올린 상태에서 단계적으로 누르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허리를 곧게 편 상태에서 좌,우의 양 발을 들어 본 발명의 운동기구 위에 각각 올린 상태에서 자전거 페달을 구르듯 좌우 교대로 밟아주거나, 또는 좌,우 양발을 동시에 밟으면 되는데, 초기에는 발바닥 앞 부분의 발판(40a)만이 눌린 상태로서 발에 크게 힘을 주지 않은 상태이고, 그 다음에는 발바닥 앞 부분과 발바닥 중간 부분을 함께 눌러 2개의 발판(40a,40b)을 함께 누르게 되며, 마지막으로는 발 뒤꿈치 부분의 발판(40c)까지 모두 밟아 누르면 된다.
상기 스프링(30a,30b)은 각각 다른 스프링(30b,30c)의 상부에 위치한 발판(40b,40c)이 하강하면서 눌려 순차적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발바닥의 앞 부분에서 힘을 주다가 중간 부분을 함께 힘을 주고 최종적으로는 뒤꿈치 부분까지 함께 힘을 주면서 발판(40a,40b,40c)을 밟아 누르게 되므로 하체의 모든 근육을 동원하여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단순히 발판을 눌러주는 것이 아닌, 발바닥 앞 부분의 다섯 발가락과 발바닥 중간 부분과 발 뒤꿈치에 이르기까지 이들 모두에 힘을 주어 발판(40a,40b,40c)을 눌러주어야 하므로 발바닥에 연계된 모든 근육이 동시에 사용됨은 물론 발목을 움직이기 위한 다리 근육까지 모두 동원되므로 앉은 상태에서 하체운동을 톡톡히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한 하체운동과 더불어 발바닥이 지압돌기에 의해 자동으로 지압 되므로 발바닥에 위치한 지압점을 자극하는 것에 의해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신진대사의 활성화 및 상체와 하체 사이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며, 이로 인해 하체 비만을 해소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근과 척추 부분의 근육까지도 강화되며 앉은 자세를 곧게 유지하는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계수기를 위한 센서 또는 스위치(72)는 뒤꿈치 부분의 스프링(30c)이 완전히 눌려진 경우에만 신호를 감지하게 되며, 여기에서 감지된 전기적인 신호는 외부의 계수기(도시 안 됨)에 전달되어 외부로 숫자형태로 표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서 오랜 시간 동안 공부를 하다가 또는 사무를 보다가 잠시 쉴 경우나 졸릴 경우, 허리를 곧게 펴고 똑바로 앉은 상태에서 양 발을 각각의 운동기구 위의 분할형 발판에 올리고 힘을 주어 교대로 또는 동시에 눌러주면 되는데, 분할형 발판을 차례대로 눌러주는 것에 의해 발바닥의 앞 부분인 다섯 발가락과 중간 부분 및 뒤꿈치 부분을 모두 움직이기 위한 모든 근육과 발목을 움직이기 위한 모든 하체 근육 및 발을 눌러주기 위한 모든 근육이 사용되므로 하체운동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어 운동부족으로 인한 각 종 폐해를 예방하고 흐트러진 정신을 집중함으로써 공부와 업무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하체운동과 동시에 발판 위의 지압돌기에 의해 발바닥의 경혈이 자극됨으로써 인체 내의 여러 장기 들의 활성화는 물론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사용자의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고, 각종 질환까지도 자연스레 치유할 수도 있으며, 특히 간단한 구조와 많지 않은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어 염가로 제작 보급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삭제
  2. 바닥에 놓이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핀 고정되는 복수의 스프링(30a,30b,30c)과, 이 복수의 스프링(30a,30b,30c) 타단 상부에 각각 부착되는 발판(40a,40b,40c)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복수의 스프링(30a,30b,30c)은 운동시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11)에 대하여 넓은 각도로 벌릴 수 있고, 보관시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11)에 가능한 밀착된 작은 각도로 접혀질 수 있도록 그 일단이 베이스 플레이트(10)에 대하여 각도조절이 가능한 고정대(20)의 상부에 구비된 스프링 고정축(22)에 고정되고, 이 고정대(20)는 레버(50)와 스톱퍼(60)에 의해 각도조절 및 조절된 각도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에 앉아서 하는 하체운동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20)는 그 상면 일측에 스프링 고정축(22)이 구비되고, 하면 타측에는 좌우로 베이스 플레이트(10) 선단 양측의 고정브라켓(12)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축공(14)에 축결합되는 회동축(24)이 구비되며, 하면 일측에는 레버(50)의 하단부에 구비된 가동축(54)에 핀결합되며, 상기 레버(50)는 중간 부분의 고정축(52)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브라켓(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외측의 손잡이부(51)를 전방 측으로 밀어 내리거나 상부로 잡아 올리는 것에 의해 고정대(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에 앉아서 하는 하체운동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60)는 고정대(20)가 눕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구의 역할을 겸하도록 일측에 받침면(61)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타측에는 이와 대응되는 걸림면(62)이 형성되어 측면에서 볼 때 평행사변형 단면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바닥면(63)은 요철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바닥면(63)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중간 부분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슬릿(16)을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한 관통축(64)이 돌출부착되며, 이 관통축(64)과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저면 사이에는 압축코일형 스프링(65)이 끼워져 있어 스톱퍼(60)의 바닥면(63)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슬릿(16) 상면의 요철면(18)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에 앉아서 하는 하체운동기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0a,30b,30c)의 탄성강도는 스프링(30c) > 스프링(30b) > 스프링(30c)의 세기가 되도록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에 앉아서 하는 하체운동기구.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판(40a,40b,40c)은 위치조절구(44)에 의해 각 스프링(30a,30b,30c)의 타단 상부에서 전후로 위치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에 앉아서 하는 하체운동기구.
KR1020060085937A 2006-09-07 2006-09-07 의자에 앉아서 하는 하체운동기구 KR100720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937A KR100720391B1 (ko) 2006-09-07 2006-09-07 의자에 앉아서 하는 하체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937A KR100720391B1 (ko) 2006-09-07 2006-09-07 의자에 앉아서 하는 하체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0391B1 true KR100720391B1 (ko) 2007-05-21

Family

ID=38277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937A KR100720391B1 (ko) 2006-09-07 2006-09-07 의자에 앉아서 하는 하체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39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610B1 (ko) 2007-11-16 2008-08-22 김정철 좌식 하체운동기구
KR100853609B1 (ko) 2007-08-24 2008-08-22 김정철 의자에 앉아서 하는 하체운동기구
WO2009028788A1 (en) * 2007-08-24 2009-03-05 Jeong Cheol Kim An exercising device for lower-body
GB2500590A (en) * 2012-03-25 2013-10-02 Mityas Rifaat Foot and leg exerciser
WO2016017891A1 (ko) * 2014-07-31 2016-02-04 이차영 매트가 부착된 스탭퍼용 발판
US20220362624A1 (en) * 2021-05-14 2022-11-17 Ifit Inc. Convertible rowing machin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6255U (en) * 1993-05-17 1994-12-08 M Yum Pil Exercising device
KR960010030U (ko) * 1994-09-01 1996-04-12 황준식 지압겸용 하체단련운동구
KR200199891Y1 (ko) * 2000-05-31 2000-10-16 남상현 다목적 운동기구
US20030092538A1 (en) * 2001-11-06 2003-05-15 Cheng-Tzu Kuo Foot stepper exercise machine
KR200390632Y1 (ko) * 2005-05-06 2005-07-25 이판국 좌식 스텝퍼
KR100518924B1 (ko) * 2005-04-29 2005-10-06 김정철 발바닥 지압겸용 착석식 하체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6255U (en) * 1993-05-17 1994-12-08 M Yum Pil Exercising device
KR960010030U (ko) * 1994-09-01 1996-04-12 황준식 지압겸용 하체단련운동구
KR200199891Y1 (ko) * 2000-05-31 2000-10-16 남상현 다목적 운동기구
US20030092538A1 (en) * 2001-11-06 2003-05-15 Cheng-Tzu Kuo Foot stepper exercise machine
KR100518924B1 (ko) * 2005-04-29 2005-10-06 김정철 발바닥 지압겸용 착석식 하체운동기구
KR200390632Y1 (ko) * 2005-05-06 2005-07-25 이판국 좌식 스텝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609B1 (ko) 2007-08-24 2008-08-22 김정철 의자에 앉아서 하는 하체운동기구
WO2009028788A1 (en) * 2007-08-24 2009-03-05 Jeong Cheol Kim An exercising device for lower-body
KR100853610B1 (ko) 2007-11-16 2008-08-22 김정철 좌식 하체운동기구
GB2500590A (en) * 2012-03-25 2013-10-02 Mityas Rifaat Foot and leg exerciser
GB2500590B (en) * 2012-03-25 2014-04-23 Mityas Rifaat Foot and leg exerciser
WO2016017891A1 (ko) * 2014-07-31 2016-02-04 이차영 매트가 부착된 스탭퍼용 발판
US9901773B2 (en) 2014-07-31 2018-02-27 Cha-Young LEE Scaffold for a fitness stepper
US20220362624A1 (en) * 2021-05-14 2022-11-17 Ifit Inc. Convertible row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2697A (en) Tilting exercise bed actuated by a linear electromechanical device
KR100518924B1 (ko) 발바닥 지압겸용 착석식 하체운동기구
JP2010536466A (ja) 着座式下半身運動装置
KR100720391B1 (ko) 의자에 앉아서 하는 하체운동기구
KR20100077516A (ko) 다목적 물리치료용 운동기구
JP3749248B1 (ja) エクササイズチェア
WO2013124930A1 (ja) 運動補助装置
KR20090094588A (ko) 하지재활 운동기구를 이용한 시각적 운동기구
US6837831B2 (en) Combined exerciser/massage device
KR200436589Y1 (ko) 다리 스트레칭 기구
KR20170000039U (ko) 다리찢기 운동기구
JP2012192107A (ja) 筋力トレーニング装置
KR100869178B1 (ko)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JP2001000485A (ja) 足の鍛練装置
KR100936619B1 (ko) 하지 재활을 위한 균형 진단 및 훈련 장치
KR200436896Y1 (ko) 헬스 운동 보조 기구
JP3130251U (ja) 足踏み健康歩行器
KR100853609B1 (ko) 의자에 앉아서 하는 하체운동기구
KR101365934B1 (ko) 발바닥 지압 및 하체운동용 좌식발판
JP2000342714A (ja) 椅子に腰掛けて足首、足指を屈伸する運動具
JP2005211323A (ja) 筋力トレーニング器具
KR200436590Y1 (ko) 다리 스트레칭 기구
CN214910030U (zh) 一种心血管病人术后康复装置
KR200276707Y1 (ko) 마사지 발판 운동기구
JP6150160B2 (ja) 筋力トレーニング座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