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859B1 - 이동형 지압장치가 구비된 신발 - Google Patents

이동형 지압장치가 구비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859B1
KR101793859B1 KR1020170010636A KR20170010636A KR101793859B1 KR 101793859 B1 KR101793859 B1 KR 101793859B1 KR 1020170010636 A KR1020170010636 A KR 1020170010636A KR 20170010636 A KR20170010636 A KR 20170010636A KR 101793859 B1 KR101793859 B1 KR 101793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shoe
foot
pressure
acu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미승
Original Assignee
정미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미승 filed Critical 정미승
Priority to KR1020170010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859B1/ko
Priority to PCT/KR2018/000674 priority patent/WO201813582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지압장치가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 신발의 내측에 설치된 이동형 지압장치가 보행과정에서 승하강하는 발바닥에 의해 지압부재가 발에 접촉된 상태로 발끝 방향으로 밀어주어 발바닥의 넓은 범위에 지압효과와 마사지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혈액순환 및 발의 피로를 풀어줄 수 있도록 한 이동형 지압장치가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발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바닥에는 밑창이 형성되어 있는 신발과, 상기 신발의 밑창에 올려지는 형태로 이동형 지압장치가 설치되되, 상기 이동형 지압장치;는 발바닥의 폭에 맞게 복수로 구비되어 신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사이에 연결되고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에 복수로 설치되는 지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정구간에는 상부로 굴곡진 형태의 탄성작동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자체적으로 탄성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형 지압장치가 구비된 신발{moving type acupressure shoes}
본 발명은 이동형 지압장치가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 신발의 내측에 설치된 이동형 지압장치가 보행과정에서 승하강하는 발바닥에 의해 지압부재가 발에 접촉된 상태로 발끝 방향으로 밀어주어 발바닥의 넓은 범위에 지압효과와 마사지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혈액순환 및 발의 피로를 풀어줄 수 있도록 한 이동형 지압장치가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우리 몸에서 발은 하중이 가장 많이 집중되는 곳으로, 장시간 서있거나 걷기 또는 뛰는 활동시 발의 피로가 가장 먼저 찾아오게 된다. 그리고 발은 인체의 축소판이라 할 정도로 오장육부를 비롯한 다양한 신체기관에 해당하는 혈자리가 발바닥 전체에 걸쳐 분포되어 있으며 혈자리 지압이나 마사지를 통해 해당 신체기관의 건강을 향상시키고 발의 피로를 풀어주도록 한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와 같이 발바닥을 지압하기 위해 지압용 신발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지압용 신발은 발바닥이 접촉되는 신발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시켜 보행과정에서 몸의 무게를 통해 돌기가 발바닥에 강하게 압박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압용 신발은 돌기가 형성된 특정부위만 반복적으로 압박되기 때문에, 일정시간이 지나면 압박부위에 통증을 유발되어 오랫동안 지압할 수 없고, 지압부위를 변경하려면 사용자가 직접 발의 위치를 움직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실용신안 제251084호(발바닥 지압용 신발)에는 신발의 바닥면 둘레와 동일한 형상의 골격을 형성시켜 내측면의 양측으로 결합공을 대응되게 형성하는 신발 테두리틀과, 상기 신발테두리틀의 내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압체와, 상기 지압체를 신발테두리틀의 내부에 지지할 수 있도록 지압체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양측의 결합공에 설치되는 중심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지압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압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통증을 줄이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지압체는 압박방식에만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 압박되는 위치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반복적인 위치의 지압으로 인해 발생되는 통증문제는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기술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실용신안 제458472호(이동가능한 지압봉을 구비한 기능성 신발)에는 인솔 전측에 형성되어 발가락을 지압하는 지압봉을 구비한 기능성 신발에 있어서, 상기 지압봉을 구비하여, 상기 인솔의 전측에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압부재와, 상기 지압부재가 이동되도록, 수축 및 이완되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인솔과 상기 지압부재를 연결하게 형성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의 발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지압부재가 이동되어 발가락을 지압하는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지압봉이 발의 사이즈에 맞게 지압봉의 돌출위치만 조절할 뿐 조절된 상태에서 지압봉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발가락을 지압하도록 인솔의 앞 부분에만 설치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발바닥을 전체적으로 지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발바닥을 지압하는 지압부재가 고정되지 않고 보행과정에서 승,하강하는 발에 의해 탄성작동부가 변형되면서 이와 연동하는 지압부재가 발바닥에서 왕복운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압박부위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통증을 줄이면서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이동형 지압장치가 구비된 신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발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바닥에는 밑창이 형성되어 있는 신발과, 상기 신발의 밑창에 올려지는 형태로 이동형 지압장치가 설치되되, 상기 이동형 지압장치;는 발바닥의 폭에 맞게 복수로 구비되어 신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사이에 연결되고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에 복수로 설치되는 지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정구간에는 상부로 굴곡진 형태의 탄성작동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자체적으로 탄성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작동부는 발바닥의 뒷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압부재는 연결프레임에 회전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후에 각각 결합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신발에 고정된 가이드튜브에 각각 끼워져 이동형 지압장치의 이탈을 방지하고 이동이 안내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바닥을 지압하는 지압부재가 보행과정에서 자동으로 왕복 이동함으로써, 특정부위만 반복적으로 지압하지 않아 발에 통증이 발생하지 않고, 발바닥의 전체적으로 지압 및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간편하게 활용하여 발의 혈액순환을 좋게하고 발의 피로를 풀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형 지압장치가 구비된 신발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형 지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작동부가 하중에 의해 벌어지면서 지압부재가 전후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작동부가 다시 오므려지면서 지압부재가 복귀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에 결합부를 형성하고 신발에 고정된 가이드튜브에 삽입된 형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작동부의 작동에 따라 결합부가 가이드튜브에 삽입된 상태로 안내 이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종래의 지압신발은 발바닥의 특정위치에만 압박되기 때문에, 일정시간이 지나면 압박부위에 통증을 유발되어 오랫동안 지압할 수 없고, 지압부위를 변경하려면 사용자가 직접 발의 위치를 움직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바, 본 발명을 통해 발바닥에 접촉된 지압부재가 보행과정에서 앞뒤로 움직이면서 지압되는 부위를 광범위하게 하여 통증을 줄이고 마사지 효과까지 얻을 수 있는 이동형 지압장치가 구비된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이동형 지압장치가 구비된 신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바닥에는 밑창(110)이 형성되어 있는 신발(100)과,상기 신발(100)의 밑창(110)에 올려지는 형태로 이동형 지압장치(200)가 설치되되, 상기 이동형 지압장치(200);는 발바닥의 폭에 맞게 복수로 구비되어 신발(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메인프레임(300)과, 상기 메인프레임(300)의 사이에 연결되고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연결프레임(400)과, 상기 연결프레임(400)에 복수로 설치되는 지압부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프레임(300)의 일정구간에는 상부로 굴곡진 형태의 탄성작동부(3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자체적으로 탄성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형 지압장치가 구비된 신발은 보행과정에서 발이 들어올려 졌다가 디딜 때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메인프레임(300)의 탄성작동부(310)가 움직이면서 지압 및 마사지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발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신발(100) 내부의 공간이 어느 정도 확보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이동형 지압장치(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크게 메인프레임(300), 연결프레임(400), 지압부재(50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300)은 수평으로 형성되되 일정구간에는 원호 형태로 상향 굴곡진 탄성작동부(3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자체적으로 탄성을 갖도록 되어 있다. 즉, 탄성작동부(310)가 형성된 부분을 발바닥으로 눌렀을 때 탄성작동부(310)가 펴지면서 메인프레임(300)이 늘어나는 형태로 이동하게 되고, 발바닥을 떼었을 때 탄성작동부(310)가 다시 원래 상태로 오므려지면서 메인프레임(300)이 줄어드는 형태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메인프레임(300)은 발바닥의 폭에 맞도록 적어도 2군데 이상 형성되어야 하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옆과 중앙에 각각 총 3군데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300)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직선형태로 도시하였지만, 신발(100)의 형태에 맞게 곡선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길이방향 양쪽 끝 부분에는 내측으로 휘어진 형태로 형성하여 신발(100) 내측에서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프레임(400)은 메인프레임(300)의 사이에 가로지르는 형태로 연결되어 메인프레임(300)끼리 일체로 연결된 구조가 되고, 탄성작동부(310) 작용시 메인프레임(300)과 함께 이동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400)은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작동부(310)가 형성된 부분의 연결프레임(400)은 다른 부분의 연결프레임(400)보다 조밀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은데, 이는 발바닥이 처음으로 눌려지는 부분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탄성작동부(310)가 압력에 의해 펴질때 연결프레임(400)의 간격이 너무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지압부재(500)는 연결프레임(400)에 복수로 설치되어 피부를 압박하는 것으로, 플라스틱, 나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감촉형태를 다양하게 변경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지압부재(500)는 연결프레임(400)에 완전히 고정된 형태로 설치되어 지압부재(500)의 일부분만 발바닥에 마찰되면서 왕복이동할 수 있지만, 상기 지압부재(500)가 연결프레임(400)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설치될 경우 왕복이동시 지압부재(500)가 발바닥에 마찰된 상태에서 이동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이 좀 더 용이하게 된다.
도 3 내지 4는 이동형 지압장치(200)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은 보행시 발을 내딛는 순간 발바닥의 뒷부분이 탄성작동부(310)를 가압하면서 펴지는 형태로 변형되게 된다. 이때 탄성작동부(310)는 펴진 만큼 앞뒤로 늘어나면서 메인프레임(300), 연결프레임(400), 지압부재(500)가 함께 이동하여 발바닥에 지압부재(500)가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여 지압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나서 발을 다시 들어올리게 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작동부(310)가 다시 원래 상태로 오므려지면서 줄어들게 되고 지압부재(500)가 복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지압부재(500)는 발바닥에 밀착된 상태로 움직이면서 지압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발로 누르고 들어올리는 과정만으로 지압부재(500)가 발바닥에 접촉된 상태로 왕복이동하여 지압 및 마사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메인프레임(300)의 전,후에 각각 결합부(320)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320)는 신발(100)에 고정된 가이드튜브(120)에 각각 끼워져 이동형 지압장치(200)의 이탈을 방지하고 이동이 안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결합부(320)는 메인프레임(300)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전방에 2군데, 후방에 2군데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320)는 이탈방지뿐만 아니라 결합부(320)의 꺾어진 부분이 가이드튜브(120)의 끝 부분에 걸리면서 탄성작동부(310)가 더는 펴지지 않도록 스톱퍼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튜브(120)는 신발(100) 내부에 직접 고정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본드와 같은 접착제로 고정하여 결합부(320)가 끼워진 상태에서 이동형 지압장치(200)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좀더 설명하면, 발바닥으로 누르기 전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320)가 가이드튜브(120)에 약간만 삽입된 형태로 이동형 지압장치(2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약간 움직일 수는 있으나 결합부(320)가 가이드튜브(120)에 끼워진 상태이기 때문에 지정된 위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게 된다.
그런 다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작동부(310)가 압력에 의해 펴지게 되면 결합부(320)가 가이드튜브(120)에 더 삽입되면서 이동방향으로 안내되고, 어느 정도 더 압력이 가해지면 결합부(320)의 꺾어진 부분이 가이드튜브(120)에 걸리면서 멈춰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신발 110 : 밑창
120 : 가이드튜브 200 : 이동형 지압장치
300 : 메인프레임 310 : 탄성작동부
320 : 결합부 400 : 연결프레임
500 : 지압부재

Claims (4)

  1. 발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바닥에는 밑창(110)이 형성되어 있는 신발(100)과,
    상기 신발(100)의 밑창(110)에 올려지는 형태로 이동형 지압장치(200)가 설치되되,
    상기 이동형 지압장치(200);는
    발바닥의 폭에 맞게 복수로 구비되어 신발(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메인프레임(300)과,
    상기 메인프레임(300)의 사이에 연결되고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연결프레임(400)과,
    상기 연결프레임(400)에 복수로 설치되는 지압부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프레임(300)의 일정구간에는 상부로 굴곡진 형태의 탄성작동부(3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자체적으로 탄성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지압장치가 구비된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작동부(310)는 발바닥의 뒷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지압장치가 구비된 신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부재(500)는 연결프레임(400)에 회전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지압장치가 구비된 신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300)의 전,후에 각각 결합부(320)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320)는 신발(100)에 고정된 가이드튜브(120)에 각각 끼워져 이동형 지압장치(200)의 이탈을 방지하고 이동이 안내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지압장치가 구비된 신발
KR1020170010636A 2017-01-23 2017-01-23 이동형 지압장치가 구비된 신발 KR101793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636A KR101793859B1 (ko) 2017-01-23 2017-01-23 이동형 지압장치가 구비된 신발
PCT/KR2018/000674 WO2018135820A1 (ko) 2017-01-23 2018-01-15 이동형 지압장치가 구비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636A KR101793859B1 (ko) 2017-01-23 2017-01-23 이동형 지압장치가 구비된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859B1 true KR101793859B1 (ko) 2017-11-03

Family

ID=60383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636A KR101793859B1 (ko) 2017-01-23 2017-01-23 이동형 지압장치가 구비된 신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3859B1 (ko)
WO (1) WO20181358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079B1 (ko) * 2019-01-18 2020-05-13 정미승 신발용 지압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7047U (ko) * 1971-09-02 1973-05-04
JPH09238702A (ja) * 1996-03-11 1997-09-16 Hiroshi Iseda 足踏丸棒を設けた下駄
KR20030001774A (ko) * 2001-06-27 2003-01-08 이점수 발바닥 지압용 신발
US6684531B2 (en) * 2001-12-27 2004-02-03 Brian G. Rennex Spring space shoe
KR101649101B1 (ko) * 2014-09-02 2016-08-19 서동용 쿠션부를 갖는 구두용 중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079B1 (ko) * 2019-01-18 2020-05-13 정미승 신발용 지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35820A1 (ko) 2018-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246B1 (ko) 자력 및 탄성력을 이용한 혈류 개선용 신발 깔창
KR101793859B1 (ko) 이동형 지압장치가 구비된 신발
JP2007082611A (ja) 履物
KR200485505Y1 (ko) 앉은 상태에서 걷는 동작으로 지압이 가능한 발마사지기
KR101793858B1 (ko) 발바닥 지압 및 마사지용 신발
KR102110079B1 (ko) 신발용 지압기구
KR101439767B1 (ko) 발 마사지장치
JP3260668B2 (ja) 靴のソール
JP2007528259A (ja) マッサージおよびクッション用の靴の中敷
KR20130112408A (ko) 발바닥 지압 마사지 장치
JP3037911B2 (ja) 足指圧健康器
KR101619734B1 (ko) 장기 자극용 기능성 신발
JP2002209608A (ja)
KR101730295B1 (ko) 지압기능을 갖춘 구두
JP2691346B2 (ja) 足指ストレッチ器
KR200326252Y1 (ko) 파워워킹용 신발
JP3143152U (ja) 足踏み式マッサージ器
KR102338104B1 (ko) 깔창
JP3222557U (ja) サンダル
KR101098020B1 (ko) 보행시 가압에 의해 발가락 부위를 지압하는 기능성 신발
JPH1085004A (ja) 履 物
JPS63317153A (ja) 足裏の圧療器
KR20100004395U (ko) 지압용 신발창
CN207428537U (zh) 足部护理鞋
KR101483240B1 (ko) 지압장치를 구비한 지압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