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8675A - 발가락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발가락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8675A
KR20070018675A KR1020060069870A KR20060069870A KR20070018675A KR 20070018675 A KR20070018675 A KR 20070018675A KR 1020060069870 A KR1020060069870 A KR 1020060069870A KR 20060069870 A KR20060069870 A KR 20060069870A KR 20070018675 A KR20070018675 A KR 20070018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el
toe
outer frame
plate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지 나카니시
Original Assignee
에이지 나카니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지 나카니시 filed Critical 에이지 나카니시
Priority to KR1020060069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8675A/ko
Publication of KR20070018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86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1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feet or to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with springs acting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made of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rubber, steel wool, intended to be compress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Linearly-compress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운동장치는, 발가락 운동 및 스트레칭의 모두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운동 장치의 소형화 및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장치 전체의 외측선을 구성하는 외부 프레임의 후부에 설치된 뒤꿈치 재치판(3)과, 상기 뒤꿈치 재치판(3)의 전방으로, 상기 외부 프레임에 대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슬라이드 운동판(5A,5B)과, 상기 좌우 한 쌍의 슬라이드 운동판(5A,5B)을 항상 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7)과, 상기 뒤꿈치 재치판(3)상에 사용자의 뒤꿈치(10)를 실은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9)의 목에 위치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운동판상(5A,5B)에 배치된 볼록부(6)를 설치한다.
발가락, 운동, 스트래칭

Description

발가락 운동장치{A Device of Exercise for toe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나타낸 발가락 운동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발가락 운동 장치상에 다리를 올려서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발가락 운동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사용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좌우 발가락의 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좌우 발가락의 목을 굴곡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뒤꿈치 재치판을 경사시키기 위한 순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뒤꿈치 재치판을 경사시켜 아킬레스건, 장딴지 및 엄지의 발밑 근력등의 스트레칭을 실시하고 있는 모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발가락 힘을 계측하는 계측 수단을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고, 발가락 힘을 계측하는 계측 장치의 개략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고, 발가락 힘을 계측하는 계측 장치 의 개략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발가락 운동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발가락 운동 장치 2: 외부 프레임
2a: 결합구멍 2b: 결합 돌기
3: 뒤꿈치 재치판 4: 중앙의 격벽부
4A: 중앙의 격벽부의 후단부 5B: 중앙의 격벽부의 앞단부
5A, 5 B: 슬라이드 운동판 6: 볼록부
7: 스프링 7a: 걸이핀
8: 슬라이드홈 9: 발가락
10: 뒤꿈치 20: 각도 조절 스톱퍼
20a: 결합구멍 21: 결합 돌기
30: 표시부 60: 힌지 기구
80: 계측 수단 100: 계측 장치
101: 표시장치
본 발명은 발가락 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밑 근육(엄지의 발밑 근육)을 강화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매우 적합한 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밑에는 내장 관계의 신경이나 소위 「급소」가 집중되어 있어, 발밑을 단련하거나 자극하면, 내장의 활동을 활발하게 시켜 건강에 좋다고 여겨지고 있다. 또한, 스포츠를 할 때의 기초체력이 되는 주력이나 점프력 및 순발력등에는 엄지의 근력이 특별히 중요시 되고 있어 스포츠 선수에게는 발밑 강화 트레이닝을 하는 사람이 많다.
한편, 최근의 생활 양식의 영향 등에 의해서, 발밑이 약해지고 있어 일반적으로, 다리의 엄지가 외반 상태(몸의 중심선에 대해서 엄지가 검지 방향으로 도는 증상)가 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외반 상태가 되면 간장 장해등에 결합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어 상기 외반증상을 치료하고, 방지하기 위해서는 발밑 강화가 가장 좋다고 여겨지고 있다.
본 발명은 발가락 운동 및 스트레칭의 양쪽 모두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운동 장치의 소형화 및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가락 운동 장치는 장치 전체의 외측을 구성하는 외부 프레임의 후부에 설치된 뒤꿈치 재치판과, 상기 뒤꿈치 재치판의 전방으로, 상기 외부 프레임에 대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 운동판과, 상기 좌우 한쌍의 슬라이드 운동판을 항상 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수단과, 상기 뒤꿈치 재치판상에 사용자의 뒤꿈치를 올린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의 목에 위치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운동판상에 배치된 볼록부를 포함한다.
(제1의 실시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발가락 운동 장치의 실시예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발가락 운동 장치(1)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발가락 운동 장치(1)는 사각형으로 테두리를 둘러싼 외부프레임(2) 후단의 상부에 판 형상의 뒤꿈치 재치판(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뒤꿈치 재치판(3)의 전방에는 중앙의 격벽부(4)에 의해서 구획된 외부 프레임(2)내에 좌우 한 쌍의 평판 형상의 슬라이드 운동판(5A, 5B)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슬라이드 운동판(5A, 5B)은 외부 프레임(2)의 내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8)(도 4및 도 5를 참조)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도 1의 좌우 방향으로 개별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있다. 이 슬라이드 운동판(5A, 5B)상에는 발가락의 목 부분에 계합하는 볼록부(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운동판(5A, 5B)은 스프링(7; 도 4 및 도 5를 참조)에 의해 전방으로 항상 탄성 지지되어 있고, 각 슬라이드 운동판(5A, 5B)의 전단과 외부 프레임(2)는 자유 상태로 서로 맞닿아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발가락 운동 장치(1)상에 왼발(LF), 오른발(RF)를 올려서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발가락 운동 장치(1)는 좌우 발가락의 목 부분에 볼록부(6)을 맞닿게 하여, 좌우 발가락으로 상기 볼록부(6)를 끌어 당기고, 상기 슬라이드 운동판(5A, 5B)을 앞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사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좌우 발 뒤꿈치(10)가 올려지는 뒤꿈치 재치판(3)은 복수의 홈부(3a)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뒤꿈치 재치판(3)과 뒤꿈치(10)와의 마찰력이 커지고, 발가락(9)에 의해 볼록부(6)를 걸어 두게 하여 슬라이드 운동판(5A, 5B)을 슬라이드시킬 때에, 뒤꿈치(10)가 뒤꿈치 재치판(3)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전술한 복수의 홈부(3a)에 의해 뒤꿈치 재치판(3)의 표면이 요철로 되어 있으므로, 뒤꿈치(10) 부분이 뒤꿈치 재치판(3)에 의해 자극되어 지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발가락 운동 장치(1)의 횡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발가락 운동 장치(1)는 외부 프레임(2) 및 중앙의 격벽부(4)에 슬라이드홈(8)이 각각 형성되고 있고, 이와 같은 슬라이드홈(8)에 좌우의 슬라이드 운동판(5A, 5B)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하부에는 일단이 외부 프레임(2)에 걸리게 되고, 타단이 슬라이드 운동판 (5A, 5B)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걸이핀(7a)에 걸리는 스프링(7)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운동판(5A, 5B)에 암나사부를 매설하고, 상기 걸이핀(7a)의 밑에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나사부를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나사 결합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암나사부를 도 4중의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 매설해 두고, 상기 걸이핀(7a)를 나사 결합하는 장소를 바꾸는 것에 의해, 상기 스프링(7)의 장력을 임의에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한 크기의 임의의 부하를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7)의 장력을 조정하는 기구는 임의의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7)에 의해, 각 슬라이드 운동판(5A, 5B)은 항상 전방으로 탄성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사용자가 뒤꿈치(10)을 뒤꿈치 재치부(3)에 올려서 체중이 실려진 때에, 슬라이드 운동판(5A, 5B)상에 형성된 볼록부(6)가 좌우의 발가락(9) 밑을 걸어두기 하는 위치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외부 프레임(2), 뒤꿈치 재치판(3), 중앙의 격벽부(4), 슬라이드 운동판(5A, 5B)등, 사용자가 접촉하는 부분의 소재를 자연목으로 구성하여 사용시의 감촉을 좋게 한다. 또한, 격벽부(4)는 슬라이드 운동판(5A, 5B)의 보관 유지와 그 슬라이드 작용을 원활하게 하는 작용 이외에, 격벽부(4)에 직교시키서 다리를 올리는 것에 의해, 이른바 제자리 걸음을 실시할 수 있도록 횡단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발가락 운동 장치(1)을 여러가지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제1의 사용 방법)
이후,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의 형태의 발가락 운동 장치(1)의 제1의 사용 방법을 도 4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사용자는, 발가락(9)의 목 부분을 볼록부(6)에 걸리게 하여 발가락 운동 장 치(1)상에 올리면, 사용자의 체중에 대응한 압력이 발바닥면에 가해지게 된다. 특히, 뒤꿈치(10)에는 뒤꿈치 재치판(3)상의 복수의 홈(3a)에 의해 뒤꿈치(10)의 복수 군데에 지압 요법이 실행된다. 또한, 각 슬라이드 운동판(5A, 5B)상에 배설된 볼록부(6)가 좌우의 발가락(9)의 목 부분을 눌러서 이 부분에 유효한 지압 요법이 실행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우의 발가락(9)을 스프링(7)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하부로 굴곡시키는 부분을 화살표 Y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운동판 (5A, 5 B)은 후방(사용자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이 상태를 도 5에 나타낸다.
또한, 굴곡시킨 발가락(9)를 펴서 원래로 돌아가면, 슬라이드 운동판(5A, 5 B)은 스프링(7)의 탄성 지지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상과 같은 발가락(9)의 굴곡 및 신장을 반복으로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슬라이드 운동판(5A, 5B)을 도시한 바와 같은 스트로크 길이(L)로 왕복 운동시키면, 발밑 근력의 강화 트레이닝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왕복 운동한 횟수를, 외부 프레임(2)에 설치된 카운트 장치의 센서(S)에 의해 슬라이드 운동판(5A, 5B)상에 설치된 스프링(7)의 걸이핀(7a)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계산하여 표시부(30)에 계산 결과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발가락 운동 장치(1)에 의하면, 상기 발가락(9)을 굽힘과 피는 운동을 시켜서 슬라이드 운동판(5A, 5B)을 슬라이드시킬 때, 스프링(7)의 장력에 대항하여 상당히 큰 힘으로 발가락(9)를 굴곡 반복시키게 되므로, 발밑 근력, 특히 엄지의 발밑 근력을 지극히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스포츠 선수등이 발가락 운동 장치(1)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스트로크(L)를 2~3센치 정도로, 약 200회/매일의 트레이닝을 계속하면, 엄지의 발밑 근력을 단기간에 현저하게 강화할 수 있고, 모든 스포츠의 기초체력이 되는 주력, 점프력 및 순발력등을 현저하게 강화할 수 있다.
  한편, 트레이닝 보드를 일상의 건강 용구로서 이용하면, 상기의 기초 체력의 향상과 함께, 엄지의 외반증상이나 마당발 치료, 교정에 지극히 효과적이며, 발밑의 자극이나 발밑 근력의 강화에 따른 내장 활동을 활발하게 하여 한층 더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제2의 사용 방법)
이후, 본 실시예의 발가락 운동 장치(1)는 경사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즉,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뒤꿈치 재치판(3)은 그 후단부가 힌지 기구(60)을 개입시켜 외부 프레임(2)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가락 운동 장치(1)의 후부에 위치하는 외부 프레임(2)에는 결합구멍(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결합구멍(2a)에 결합 돌기(21)을 결합시킨 상태로 각도 조절 스톱퍼(20)가 외부 프레임(2)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도 조절 스톱퍼(20)에는 그 저면 및 측면으로 결합구멍(20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외부 프레임(2)의 표면에는 결합 돌기(2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뒤꿈치 재치판(3)을 올린 상태에서, 상기 결합 돌기(2b)에 결합구멍 (20a)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각도 조절 스톱퍼(20)를 외부 프레임(2)의 표면에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도 조절 스톱퍼(20)를 외부 프레임(2)상에 고정한 상태로 뒤꿈치 재치판(3)을 넘어뜨리면, 도 7의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뒤꿈치 재치판(3)은 외부 프레임(2)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뒤꿈치(10)을 바닥에 닿은 채로 발끝을 뒤꿈치 재치판(3)에 올려서 체중을 싣는 것에 의해 아킬레스건, 장딴지 및 엄지의 발밑 근력등의 스트레칭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상태는 각도 조절 스톱퍼(2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구멍(20 a)을 외부 프레임(2)상의 결합 돌기(2b)에 결합시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시하지 않는 각도 조절 스톱퍼(20)의 측면으로 형성된 결합구멍(20a)을 결합 돌기(2b)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뒤꿈치 재치판(3)의 경사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발가락 운동 장치(1)에 있어서는, 뒤꿈치 재치판(3)의 표면에 복수의 홈부(3a)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아킬레스건, 장딴지 및 엄지의 발밑 근력등의 스트레칭을 실시할 경우에, 뒤꿈치 재치판(3)과 발바닥의 마찰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트레칭을 실시하기 위해서 발바닥에 체중을 싣는 것에 의해, 상기 홈부(3a)에 의한 요철로 발바닥을 눌러서 자극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신의 피로회복, 스포츠의 준비 운동, 근육통의 회복등을 도모할 수 있어 발가락 운동 장치(1)를 여러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발가락 운동 장치(1)의 기본적인 구성이며, 전 술한 구성 외에 여러 가지의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가락 힘을 계측하는 계측 수단(80)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2)에 슬라이드 운동판(5A, 5B)과의 사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하도록 한다. 설치되는 계측 수단(80)으로서는 공지의 기계식의 계측 수단이나 전기식(예를 들면, 압전 소자를 이용한 장치)의 계측 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 한다. 도 1에, 계측 수단 (80)에 의해 계측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장치(101)를 외측선(2)에 설치한 예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가락 힘을 계측하는 계측 수단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발가락 운동 장치를 이용하여 발가락 운동을 계속한 결과, 발밑 근력등의 운동 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수치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발가락 운동을 실시하려는 경우 격려가 되고, 계속하여 발가락 운동을 실시하기 위해서 유효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뒤꿈치 재치판(3)에 복수의 홈부(3a)를 형성하고, 뒤꿈치 재치판(3)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한 예를 나타냈다. 이예의 이외에, 뒤꿈치 재치판(3)의 표면에 복수의 볼록부를 형성하여 상기 요철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목제의 뒤꿈치 재치판(3)에 복수의 홈부(3a)나 복수의 볼록부를 형성하는데 수고가 들어 고비용이 되므로, 요철을 형성한 합성수지판이나 고무판등을 상기 뒤꿈치 재치판(3)의 표면에 붙이는 것에 의해 뒤꿈치 재치판(3)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가락 운동 장치는, 발가락 운동 및 스트레칭의 모두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운동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으므로, 발가락 운동 및 스트레칭의 모두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운동 장치의 소형화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스포츠 선수의 기초체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일반의 사용자가 간편하게 구입하는 것이 가능한 발가락 운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2의 실시의 형태)
이후에, 도 9및 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8에서 설명한, 발가락 힘을 계측하는 계측 수단(80)은 발가락 운동 장치(1)에 부가예이다.
이에 대해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발가락 운동 장치와는 별도로, 발가락 힘을 계측하는 계측 장치(100)를 단일 체제로 구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뒤꿈치 재치판(3)은 회동하지 않고, 이와 관련하여 각도 조절 스톱퍼(20), 결합구멍(20a), 결합 돌기(2b)등을 구비하지 않는다. 또한, 스프링(7)및 걸이핀(7a) 구비하지 않는 구성이다.
그리고, 계측 결과를 사용자에 알리는 표시장치는, 계측 장치(100)의 표면 측에 있는 임의의 장소에 배설한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는, 전방의 외측(2)에 표시장치(101)을 설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표시장치(101)는 계측 수단(80)에 대응시켜 기계식 또는 전자식등 임의의 표시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발가락 운동 장치(1)을 복수대 사용하고 있는 운동 시설등에 있어서, 계측 장치(100)를 1대 설치해 두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발가락 힘을 계측하는 경우에는 전용의 계측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스프링(7) 및 계측 수단(80)을 착탈하는 번거로움을 생략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계측 장치(100)는, 발가락 운동 장치(1)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발가락 운동을 하는 것과 같은 상태에서 발가락 힘을 계측할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발가락 운동 장치(1)를 사용해서 발가락 운동을 실시한 결과를 확실하게 알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 (2)와 뒤꿈치 재치판(3)을 자력으로 잡아 두기 위한 마그넷(201, 202)을 발가락 운동 장치1(100)에 설치해도 좋다. 게다가 외부 프레임(2)와 각도 조절 스톱퍼(20)을 자력으로 두기 위한 마그넷(203, 204)을 발가락 운동 장치 1(100)에 설치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 전체의 외측선을 구성하는 외부 프레임의 후부에 설치된 뒤꿈치 재치판과, 상기 뒤꿈치 재치판의 전방으로, 상기 외측선부에 대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 운동판과, 상기 좌우 한 쌍의 슬라이드 운동판을 항상 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수단과, 상기 뒤꿈치 재치판상에 사용자의 뒤꿈치를 올린 상태로,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의 목에 위치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운동판상에 배치된 볼록부를 설치하였으므로 항시 상기 뒤꿈치 재치판을 넘어뜨린 상태에서 뒤꿈치를 재치하여 발가락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운동판을 전후로 움직여서 엄지의 발밑 근력등을 단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뒤꿈치 재치판을 상기 외부 프레임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힌지 기구와, 상기 뒤꿈치 재치판을 소정의 각도로 일으킨 경사 상태에서 고정 지지하는 경사 지지 수단을 설치하였으므로 상기 뒤꿈치 재치판을 소정의 각도 경사시킨 상태에서 고정 지지하는 것에 의해 아킬레스건, 장딴지 및 엄지의 발밑 근력등의 스트레칭을 실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발가락 운동 및 스트레칭의 양쪽 모두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운동 장치의 소형화 및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5)

  1. 장치 전체의 외측을 구성하는 외부 프레임의 후부에 설치된 뒤꿈치 재치판과;
    상기 뒤꿈치 재치판의 전방으로, 상기 외부 프레임에 대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 운동판과;
    상기 좌우 한 쌍의 슬라이드 운동판을 항상 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수단과; 그리고
    상기 뒤꿈치 재치판상에 사용자의 뒤꿈치를 실은 상태로,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의 목에 위치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운동판상에 배치된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운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 재치판을 상기 외부 프레임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힌지기구와,
    상기 뒤꿈치 재치판을 소정의 각도로 일으킨 경사 상태에서 고정 지지하는 경사 지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운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 재치판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다리를 상기 뒤꿈치 재치판상에 올린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발바닥과 상기 뒤꿈치 재치판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킴과 함께, 상기 사용자의 발바닥을 상기 요철로 눌러 자극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운동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지수단은, 결합 돌기가 돌출 성형된 막대 형상체이고, 상기 결합 돌기를 상기 외부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구멍에 결합시켜 상기 막대 형상체를 상기 외부 프레임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운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운동판과 상기 외부 프레임과의 사이에, 발가락 힘을 계측하는 계측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운동 장치.
KR1020060069870A 2005-08-09 2006-07-25 발가락 운동장치 KR200700186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870A KR20070018675A (ko) 2005-08-09 2006-07-25 발가락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30851 2005-08-09
KR1020060069870A KR20070018675A (ko) 2005-08-09 2006-07-25 발가락 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675A true KR20070018675A (ko) 2007-02-14

Family

ID=43651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870A KR20070018675A (ko) 2005-08-09 2006-07-25 발가락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867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4389A1 (ko) * 2016-11-03 2018-05-11 김용석 기울기 조절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
KR20220096505A (ko) * 2020-12-31 2022-07-07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평발을 개선시키는 운동장치
KR20220127432A (ko) * 2021-03-10 2022-09-20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발-발목 생체되먹임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4389A1 (ko) * 2016-11-03 2018-05-11 김용석 기울기 조절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
KR20220096505A (ko) * 2020-12-31 2022-07-07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평발을 개선시키는 운동장치
KR20220127432A (ko) * 2021-03-10 2022-09-20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발-발목 생체되먹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37672A1 (en) Toe exercise apparatus
US6063013A (en) Resistive ankle exercise device
KR101948760B1 (ko) 스마트 하체운동기
US7857742B2 (en) Hip training apparatus
KR101898841B1 (ko) 스마트 하체운동기
US6709369B1 (en) Exercise apparatus
US8827882B2 (en) Proprioception balance and coordination enhancement system
US20070249971A1 (en) Portable physiotherapy apparatus for providing resistive exercise movement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070018675A (ko) 발가락 운동장치
KR200436589Y1 (ko) 다리 스트레칭 기구
JP6802557B2 (ja) 前、後脛骨筋及び足指力強化装置
JP2001000485A (ja) 足の鍛練装置
JP4787696B2 (ja) 足指運動装置
US10426998B1 (en) Portable device for movement and resistance training of the lower extremities
US9227100B2 (en) Portable physical therapy exercise support stand
JP2000342714A (ja) 椅子に腰掛けて足首、足指を屈伸する運動具
CN217526262U (zh) 一种足底肌抗阻训练器械
KR101239993B1 (ko) 전신 운동기기
KR200265540Y1 (ko) 트램폴린을 이용한 운동기구
KR200436590Y1 (ko) 다리 스트레칭 기구
KR200454039Y1 (ko) 발목 타격장치
KR101821583B1 (ko) 생식기능 강화를 위한 다리운동기구
JP2001178847A (ja) 足関節用運動器具
JP3237487U (ja) 足首健康器具
KR200361255Y1 (ko) 발목 펌프 건강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