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9469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9469A
KR20180049469A KR1020160145216A KR20160145216A KR20180049469A KR 20180049469 A KR20180049469 A KR 20180049469A KR 1020160145216 A KR1020160145216 A KR 1020160145216A KR 20160145216 A KR20160145216 A KR 20160145216A KR 20180049469 A KR20180049469 A KR 20180049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gion
disposed
substrate
d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2192B1 (ko
Inventor
이근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5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192B1/ko
Priority to US15/801,115 priority patent/US10056569B2/en
Publication of KR20180049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01L51/5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ulphones; polysulf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H01L27/3276
    • H01L51/0097
    • H01L51/5246
    • H01L51/525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6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H01L2227/32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41Short-circuit preven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수명을 담보할 수 있으면서도 외부 충격에 의한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하여,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벤딩 영역을 갖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된, 기판;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폭을 갖도록 상기 벤딩 영역 상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댐들과 상기 복수개의 댐들 사이에 각각 위치한 복수개의 홈들을 갖는, 무기절연부; 및 상기 복수개의 댐들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무기절연부와 일부 중첩되며 상기 벤딩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1 유기막;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수명을 담보할 수 있으면서도 외부 충격에 의한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 상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를 갖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를 벤딩시킴으로써, 다양한 각도에서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거나 비디스플레이 영역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이와 같이 벤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명이 줄어든다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수명을 담보할 수 있으면서도 외부 충격에 의한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벤딩 영역을 갖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된, 기판;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폭을 갖도록 상기 벤딩 영역 상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댐들과 상기 복수개의 댐들 사이에 각각 위치한 복수개의 홈들을 갖는, 무기절연부; 및 상기 복수개의 댐들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무기절연부와 일부 중첩되며 상기 벤딩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1 유기막;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막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복수개의 홈들에 매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기절연부는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절연막 및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배치된 제2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홈들은 상기 제2 절연막을 관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홈들은 상기 제1 절연막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홈들은 상기 제1 절연막 및 상기 제2 절연막을 관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홈들은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막 상에 배치되는 제1 배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막 상에 배치되는 제2 유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유기막 상에 배치되는 제2 배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부와 상기 제2 배선부는 서로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벤딩 영역은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폭을 갖는 에지 영역 및 상기 에지 영역의 일측에 위치한 배선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무기절연부는 상기 배선 영역을 제외한 상기 에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막은 상기 배선 영역 및 상기 에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댐들은 상기 무기절연부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댐들은 상기 무기절연부의 일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막은 상기 복수개의 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영역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기판의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치된 패널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수명을 담보할 수 있으면서도 외부 충격에 의한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 일부의 벤딩 전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X1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2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한편,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또는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 일부의 벤딩 전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인 기판(100)의 일부가 벤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이 기판(100)과 마찬가지로 벤딩된 형상을 갖는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도 2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참고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 관한 단면도들이나 평면도들 등에서도 도시의 편의 및 설명의 편의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하는 기판(100)은 제1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된 벤딩 영역(BA)을 갖는다. 이 벤딩 영역(BA)은 제1 방향(+x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y 방향)에 있어서,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기판(10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된 벤딩 축(BAX)을 중심으로 벤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벤딩 영역(BA)을 사이에 둔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은 비벤딩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기판(100)은 플렉서블 또는 벤더블 특성을 갖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기판(100)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R),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elenen 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elene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A1)은 디스플레이 영역(DA) 및 기판(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DA)의 외곽에 위치한 비디스플레이 영역(NDA)을 포함한다. 제1 영역(A1)의 디스플레이 영역(DA)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소자의 발광을 제어함으로써 외부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소자는 예컨대, 유기발광소자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소자는 액정소자일 수도 있다.
제2 영역(A2)은 비디스플레이 영역(NDA)을 포함한다. 제2 영역(A2)의 비디스플레이 영역(NDA)에는 패널 구동부(500)가 위치할 수 있다. 패널 구동부(500)는 기판(100)의 패드부에 접속되어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신호 및 게이트 신호(이하, 간단히 '신호'라 함)를 공급한다. 이러한 패널 구동부(500)는 예컨대 드라이버IC 일 수 있으며, 기판(100)의 패드부에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패드부는 드라이버IC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판(100)의 제2 영역(A2)의 제1 방향(+x 방향)의 폭은 제1 영역(A1)의 제1 방향(+x 방향)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또한 기판(100)의 벤딩 영역(BA)의 제1 방향(+x 방향)의 폭 역시 제1 영역(A1)의 제1 방향(+x 방향)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영역(DA)이 위치하지 않는 벤딩 영역(BA)과 제2 영역(A2)의 폭이 디스플레이 영역(DA)이 위치하는 제1 영역(A1)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이는 제2 영역(A2)에 패널 구동부(500)가 배치될 최소한의 영역으로 구비되면, 이러한 제2 영역(A2)의 폭을 따라 벤딩 영역(BA)의 폭도 좁아지게 되고, 벤딩 영역(BA)의 폭이 좁을수록 기판(100)의 일부를 벤딩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이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로 기판(100)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제1 영역(A1), 벤딩 영역(BA), 제2 영역(A2)의 폭이 모두 일정할 수도 있고, 제1 영역(A1)의 폭에 비해 벤딩 영역(BA)에서 제2 영역(A2)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제1 영역(A1)에 위치한 기판(100)의 가장자리를 포함한 비디스플레이 영역(NDA)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에서는 제1 영역(A1)의 기판(100)의 가장자리 부분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으나, 제2 영역(A2)의 기판(100)의 가장자리 부분도 이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도 3은 벤딩 영역(BA)을 제외한 비벤딩 영역에서의 기판(100)의 가장자리 부분의 단면을 도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기판(100)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무기절연부(110)가 위치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기절연부(110)가 하나의 층으로 형성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무기절연부(110)는 복수개의 절연층들이 적층된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무기절연부(110)는 기판(100)의 디스플레이부로부터 기판(100)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도록 기판(100)의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 전면(全面)에 배치될 수 있다.
무기절연부(110)는 복수개의 댐(110a)들을 가질 수 있다. 복수개의 댐(110a)들은 무기절연부(110)의 일부가 패터닝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댐(110a)들은 기판(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DA)을 둘러싸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댐(110a)들은 서로 소폭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댐(110a)들 사이에는 복수개의 홈(110b)들이 위치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의 홈(110b)들 각각은 복수개의 댐(110a)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무기절연부(110)는 제1 절연막(113) 및 제1 절연막(113) 상에 위치한 제2 절연막(115)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절연막(113) 및 제2 절연막(115)은 단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여러 층이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때 복수개의 홈(110b)들은 제2 절연막(115)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복수개의 홈(110b)들은 제1 절연막(113) 및 제2 절연막(115)을 모두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홈(110b)들이 제2 절연막(115)만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복수개의 홈(110b)들에 의해 제1 절연막(113)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복수개의 홈(110b)들이 제1 절연막(113) 및 제2 절연막(115)을 모두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복수개의 홈(110b)들에 의해 기판(10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댐(110a)들은 기판(100)의 에지에서 발생한 크랙이 디스플레이 영역(DA)까지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서는 도 3에 도시된 기판(100)의 에지 부분을 확대하여 구체적으로 도시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영역(DA)까지 연장된 단면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영역(A1)의 디스플레이 영역(DA)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소자(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소자(300)의 발광을 제어함으로써 외부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소자(300)로서 유기발광소자를 구비한다.
기판(100)의 디스플레이 영역(DA)에는 디스플레이소자(300) 외에도,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소자(3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박막트랜지스터(210)도 위치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디스플레이소자(300)로서 유기발광소자가 디스플레이 영역(DA)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유기발광소자가 박막트랜지스터(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화소 전극(310)이 박막트랜지스터(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기판(100)의 디스플레이 영역(DA) 외측의 주변영역에도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주변영역에 위치하는 박막트랜지스터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영역(DA) 내에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부의 일부일 수 있다.
박막트랜지스터(210)는 비정질실리콘, 다결정실리콘 또는 유기반도체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층(211), 게이트 전극(213), 소스 전극(215a) 및 드레인 전극(215b)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211)과 게이트 전극(213)과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물을 포함하는 게이트절연막(116)이 반도체층(211)과 게이트 전극(213)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아울러 게이트 전극(213)의 상부에는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물을 포함하는 층간절연막(118)이 배치될 수 있으며, 소스 전극(215a) 및 드레인 전극(215b)은 그러한 층간절연막(118)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기물을 포함하는 절연막은 CVD 또는 ALD(atomic layer deposition)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210)와 기판(100) 사이에는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과 같은 무기물을 포함하는 배리어층(112) 및 버퍼층(114)이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배리어층(112) 및 버퍼층(114)은 기판(100)의 상면을 평탄화 하거나 기판(100) 등으로부터의 불순물이 박막트랜지스터(210)의 반도체층(211)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210) 상에는 평탄화층(140)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막트랜지스터(210) 상부에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될 경우, 평탄화층(140)은 박막트랜지스터(210)를 덮는 보호막 상부를 대체로 평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평탄화층(140)은 예컨대 아크릴, BCB(Benzocyclobutene) 또는 HMDSO(hexamethyldisiloxane) 등과 같은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평탄화층(140)이 단층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층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탄화층(140)이 디스플레이 영역(DA) 외측에서 개구를 가져, 디스플레이 영역(DA)의 평탄화층(140)의 부분과 제2 영역(A2)의 평탄화층(140)의 부분이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외부에서 침투한 불순물 등이 평탄화층(140) 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영역(DA) 내부에까지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기판(100)의 디스플레이 영역(DA) 내에 있어서, 평탄화층(140) 상에는, 화소 전극(310), 대향 전극(330) 및 그 사이에 개재되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320)을 갖는 유기발광소자가 위치할 수 있다. 화소 전극(310)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탄화층(140) 등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소스 전극(215a) 및 드레인 전극(215b) 중 어느 하나와 컨택하여 박막트랜지스터(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평탄화층(140) 상부에는 화소정의막(15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화소정의막(150)은 각 부화소들에 대응하는 개구, 즉 적어도 화소 전극(310)의 중앙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를 가짐으로써 화소를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 화소정의막(150)은 화소 전극(310)의 가장자리와 화소 전극(310) 상부의 대향 전극(330)과의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화소 전극(310)의 가장자리에서 아크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화소정의막(150)은 예컨대 폴리이미드 또는 HMDSO(hexamethyldisiloxane) 등과 같은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의 중간층(320)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저분자 물질을 포함할 경우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한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층들은 진공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층(320)이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경우에는 대개 홀 수송층(HTL) 및 발광층(EML)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홀 수송층은 PEDOT을 포함하고, 발광층은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중간층(320)은 스크린 인쇄나 잉크젯 인쇄방법, 레이저열전사방법(LITI; Laser induced thermal imaging)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중간층(320)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중간층(320)은 복수개의 화소 전극(310)들에 걸쳐서 일체인 층을 포함할 수도 있고, 복수개의 화소 전극(310)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패터닝된 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향 전극(330)은 디스플레이 영역(DA) 상부에 배치되는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DA)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대향 전극(330)은 복수개의 유기발광소자들에 있어서 일체(一體)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화소 전극(310)들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발광소자는 외부로부터의 수분이나 산소 등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기에, 봉지층(400)이 이러한 유기발광소자를 덮어 이들을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봉지층(400)은 디스플레이 영역(DA)을 덮으며 디스플레이 영역(DA) 외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봉지층(400)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무기봉지층(410), 유기봉지층(420) 및 제2 무기봉지층(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기봉지층(410)은 대향 전극(330)을 덮으며,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제1 무기봉지층(410)과 대향 전극(330) 사이에 캐핑층 등의 다른 층들이 개재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무기봉지층(410)은 그 하부의 구조물을 따라 형성되기에,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상면이 평탄하지 않게 된다. 유기봉지층(420)은 이러한 제1 무기봉지층(410)을 덮는데, 제1 무기봉지층(410)과 달리 그 상면이 대략 평탄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기봉지층(420)은 디스플레이 영역(DA)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상면이 대략 평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봉지층(42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설포네이트,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아릴레이트, 헥사메틸디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무기봉지층(430)은 유기봉지층(420)을 덮으며,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무기봉지층(430)은 디스플레이 영역(DA) 외측에 위치한 그 자장자리에서 제1 무기봉지층(410)과 컨택함으로써, 유기봉지층(42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봉지층(400)은 제1 무기봉지층(410), 유기봉지층(420) 및 제2 무기봉지층(430)을 포함하는바, 이와 같은 다층 구조를 통해 봉지층(400) 내에 크랙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제1 무기봉지층(410)과 유기봉지층(420) 사이에서 또는 유기봉지층(420)과 제2 무기봉지층(430) 사이에서 그러한 크랙이 연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수분이나 산소 등이 디스플레이영역(DA)으로 침투하게 되는 경로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봉지층(400) 상에는 투광성 접착제(OCA; optically clear adhesive)에 의해 편광판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편광판은 외광 반사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외광이 편광판을 통과하여 대향 전극(330) 상면에서 반사된 후 다시 편광판을 통과할 경우, 편광판을 2회 통과함에 따라 그 외광의 위상이 바뀌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반사광의 위상이 편광판으로 진입하는 외광의 위상과 상이하도록 함으로써 소멸간섭이 발생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외광 반사를 줄임으로써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편광판을 생략하고 블랙매트릭스와 칼라필터를 이용하여 외광반사를 줄일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봉지층(400) 상에 터치스크린 기능을 위한 다양한 패턴의 터치 전극이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무기물을 포함하는 배리어층(112), 버퍼층(114), 게이트절연막(116) 및 층간절연막(118)을 통칭하여 무기절연부(110)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무기절연부(11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DA)에서 비디스플레이 영역(NDA) 측으로 연장되어 기판(100)의 에지까지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비디스플레이 영역(NDA)에 위치한 무기절연부(110)는 복수개의 댐(110a)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무기절연부(110)는 복수개의 홈(110b)들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개의 홈(110b)들은 각각 복수개의 댐(110a)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복수개의 홈(110b)들이 버퍼층(114)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홈(110b)들이 버퍼층(114)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킨다는 것은, 복수개의 댐(110a)들이 게이트절연막(116) 및 층간절연막(118)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복수개의 홈(110b)들은 배리어층(112)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개의 홈(110b)들은 기판(100)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게이트절연막(116)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홈(110b)들이 배리어층(112)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댐(110a)들은 버퍼층(114), 게이트절연막(116) 및 층간절연막(118)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홈(110b)들이 기판(100)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댐(110a)들은 배리어층(112), 버퍼층(114), 게이트절연막(116) 및 층간절연막(118)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홈(110b)들이 게이트절연막(116)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댐(110a)들은 층간절연막(118)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디스플레이 영역(NDA), 즉 기판(100)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한 무기절연부(110)가 복수개의 댐(110a)들 및 복수개의 댐(110a)들 사이에 각각 위치한 복수개의 홈(110b)들을 가짐에 따라, 기판(100)의 에지에서 발생한 크랙이 디스플레이 영역(DA)으로 전파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의 다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벤딩 영역(BA)에는 기판(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무기절연부(110), 무기절연부(11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제1 유기막(120)이 위치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무기절연부(110)가 하나의 층으로 형성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무기절연부(110)는 복수개의 절연층들이 적층된 다층 구조일 수 있다.
무기절연부(110)는 벤딩 영역(BA)이 위치한 기판(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폭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무기절연부(110)가 배치된 영역은 기판(100)의 에지를 포함하고 있어 에지 영역(R1)으로 정의될 수 있다. 무기절연부(110)는 에지 영역(R1)에만 배치될 수 있는데, 이는 제조 과정에서 무기절연부(110)의 일부가 벤딩 영역(BA) 상에서 제거되었음을 의미한다. 무기절연부(110)는 벤딩 영역(BA) 상에 배선들이 배치된 영역에서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영역은 배선 영역(R2)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무기절연부(110)는 복수개의 댐(110a)들과 복수개의 댐(110a)들 사이에 각각 위치한 복수개의 홈(110b)들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의 댐(110a)들이 무기절연부(110)의 일부에만 위치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복수개의 댐(110a)들이 배선 영역(R2)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복수개의 댐(110a)들은 무기절연부(110)의 중앙 또는 기판(100)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유기막(120)은 벤딩 영역(BA)의 배선 영역(R2)에 위치할 수 있다. 배선 영역(R2)에는 상술한 것과 같이 무기절연부(110)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유기막(120)은 기판(100) 상에 바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 배선 영역(R2) 상에도 배리어층(112) 및/또는 버퍼층(114)이 일부 배치되고, 그 위에 제1 유기막(120)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유기막(120)은 무기절연부(11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될 수 있다. 제1 유기막(120)은 무기절연부(110)와 중첩되는 영역에서 복수개의 댐(110a)들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유기막(120)은 무기절연부(110)의 복수개의 댐(110a)들을 덮도록 에지 영역(R1)까지 일부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기막(120)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개의 홈(110b)들에 매립될 수 있다.
한편 무기절연부(110)는 제1 절연막(113) 및 제1 절연막(113) 상에 위치한 제2 절연막(115)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절연막(113) 및 제2 절연막(115)은 단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여러 층이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때 복수개의 홈(110b)들은 제2 절연막(115)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홈(110b)들이 제2 절연막(115)만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복수개의 홈(110b)들에 의해 제1 절연막(113)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댐(110a)들이 무기절연부(110)의 전 영역에 위치하는 것에서 상술한 도 5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1 유기막(120)은 복수개의 댐(110a)들을 덮도록 무기절연막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유기막(120)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개의 댐(110a)들 사이에 위치한 복수개의 홈(110b)들에 매립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기막(120)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판(100)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배선 영역(R2) 상의 구조는 도 5의 실시예와 도 6의 실시예가 동일한 바, 이하 공통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유기막(120) 상에는 제1 배선부(130)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배선부(130) 상에는 제1 배선부(130)를 덮도록 제2 유기막(122)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유기막(122) 상에는 제2 배선부(132)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배선부(130)와 제2 배선부(132)는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배선부(130)와 제2 배선부(132)는 박막트랜지스터(210)의 소스 전극(215a) 및/또는 드레인 전극(215b)과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박막트랜지스터(210)는 제1 소스/드레인 전극 및 제2 소스/드레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배선부(130)는 제1 소스/드레인 전극과 동일 물질을 포함하며, 제2 배선부(132)는 제2 소스/드레인 전극과 동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배선부(130)와 제2 배선부(132)는 게이트 전극(213) 또는 화소 전극(310)을 포함한 다른 도전층들과 동일 물질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7은 도 6의 X1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기절연부(110)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무기절연부(110)는 무기물을 포함하는 배리어층(112), 버퍼층(114), 게이트절연막(116) 및 층간절연막(118)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절연부(110)는 복수개의 댐(110a)들과 복수개의 댐(110a)들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복수개의 홈(110b)들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기절연부(110)는 제1 절연막(113) 및 제2 절연막(115)을 포함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홈(110b)들은 제2 절연막(115)을 관통할 수 있다. 즉, 무기절연부(110)에 있어서 복수개의 홈(110b)들이 관통하는 부분을 제2 절연막(115)으로 정의하고, 복수개의 홈(110b)들이 관통하지 않는 부분을 제1 절연막(113)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복수개의 홈(110b)들이 제2 절연막(115)을 관통함에 따라, 복수개의 댐(110a)들은 제2 절연막(115)을 포함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1 절연막(113)은 배리어층(112) 및 버퍼층(114)을 포함하고, 제2 절연막(115)은 게이트절연막(116) 및 층간절연막(118)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댐(110a)들은 게이트절연막(116) 및 층간절연막(118)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복수개의 홈(110b)들은 버퍼층(114)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절연막(113)이 배리어층(112)을 포함하고, 제2 절연막(115)이 버퍼층(114), 게이트절연막(116), 층간절연막(118)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개의 댐(110a)들은 버퍼층(114), 게이트절연막(116), 층간절연막(118)의 일부를 포함하고, 따라서 복수개의 홈(110b)들은 배리어층(112)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절연막(113)이 배리어층(112), 버퍼층(114), 게이트절연막(116)을 포함하고, 제2 절연막(115)이 층간절연막(118)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개의 댐(110a)들은 층간절연막(118)을 포함하고, 따라서 복수개의 홈(110b)들은 게이트절연막(116)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한편, 무기절연부(110) 상에는 제1 유기막(120) 및 제2 유기막(122)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홈(110b)들에는 제1 유기막(120)의 일부가 매립될 수 있다.
종래에는 벤딩 영역에서 기판의 벤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벤딩 영역상에 위치한 무기층들을 모두 제거하고 유기층만으로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유기층만으로 형성된 구조는 외부에서 발생한 충격에 취약하며, 특히 기판의 에지로부터 발생된 크랙이 배선들의 불량을 야기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벤딩 영역(BA)에 위치한 기판(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폭을 갖도록 무기절연부(110)를 배치하고, 이러한 무기절연부(110)가 복수개의 댐(110a)들을 포함하도록 구비하면서, 유기층이 복수개의 댐(110a)들을 덮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판(100)의 에지에서 발생한 크랙이 배선부까지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여, 벤딩 영역(BA)에서의 벤딩이 용이함과 동시에 배선의 단선이 최소화되어 장수명이 담보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의 다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벤딩 영역(BA)에는 기판(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무기절연부(110), 무기절연부(11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제1 유기막(120)이 위치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무기절연부(110)가 하나의 층으로 형성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무기절연부(110)는 복수개의 절연층들이 적층된 다층 구조일 수 있다.
무기절연부(110)는 벤딩 영역(BA)이 위치한 기판(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폭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무기절연부(110)가 배치된 영역은 기판(100)의 에지를 포함하고 있어 에지 영역(R1)으로 정의될 수 있다. 무기절연부(110)는 에지 영역(R1)에만 배치될 수 있는데, 이는 제조 과정에서 무기절연부(110)의 일부가 벤딩 영역(BA) 상에서 제거되었음을 의미한다. 무기절연부(110)는 벤딩 영역(BA) 상에 배선들이 배치된 영역에서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영역은 배선 영역(R2)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무기절연부(110)는 복수개의 댐(110a)들과 복수개의 댐(110a)들 사이에 각각 위치한 복수개의 홈(110b)들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의 댐(110a)들이 무기절연부(110)의 일부에만 위치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복수개의 댐(110a)들이 배선 영역(R2)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복수개의 댐(110a)들은 무기절연부(110)의 중앙 또는 기판(100)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유기막(120)은 벤딩 영역(BA)의 배선 영역(R2)에 위치할 수 있다. 배선 영역(R2)에는 상술한 것과 같이 무기절연부(110)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유기막(120)은 기판(100) 상에 바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 배선 영역(R2) 상에도 배리어층(112) 및/또는 버퍼층(114)이 일부 배치되고, 그 위에 제1 유기막(120)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유기막(120)은 무기절연부(11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될 수 있다. 제1 유기막(120)은 무기절연부(110)와 중첩되는 영역에서 복수개의 댐(110a)들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유기막(120)은 무기절연부(110)의 복수개의 댐(110a)들을 덮도록 에지 영역(R1)까지 일부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기막(120)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개의 홈(110b)들에 매립될 수 있다.
한편 무기절연부(110)는 제1 절연막(113) 및 제1 절연막(113) 상에 위치한 제2 절연막(115)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절연막(113) 및 제2 절연막(115)은 단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여러 층이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때 복수개의 홈(110b)들은 제1 절연막(113) 및 제2 절연막(115)을 모두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홈(110b)들이 제1 절연막(113) 및 제2 절연막(115)을 모두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복수개의 홈(110b)들에 의해 기판(10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댐(110a)들이 무기절연부(110)의 전 영역에 위치하는 것에서 상술한 도 8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1 유기막(120)은 복수개의 댐(110a)들을 덮도록 무기절연막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유기막(120)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개의 댐(110a)들 사이에 위치한 복수개의 홈(110b)들에 매립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기막(120)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판(100)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배선 영역(R2) 상의 구조는 도 8의 실시예와 도 9의 실시예가 동일한 바, 이하 공통적으로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유기막(120) 상에는 제1 배선부(130)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배선부(130) 상에는 제1 배선부(130)를 덮도록 제2 유기막(122)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유기막(122) 상에는 제2 배선부(132)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배선부(130)와 제2 배선부(132)는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배선부(130)와 제2 배선부(132)는 박막트랜지스터(210)의 소스 전극 및/또는 드레인 전극과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박막트랜지스터(210)는 제1 소스/드레인 전극 및 제2 소스/드레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배선부(130)는 제1 소스/드레인 전극과 동일 물질을 포함하며, 제2 배선부(132)는 제2 소스/드레인 전극과 동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배선부(130)와 제2 배선부(132)는 게이트 전극 또는 화소 전극을 포함한 다른 도전층들과 동일 물질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9의 X2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기절연부(110)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무기절연부(110)는 무기물을 포함하는 배리어층(112), 버퍼층(114), 게이트절연막(116) 및 층간절연막(118)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절연부(110)는 복수개의 댐(110a)들과 복수개의 댐(110a)들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복수개의 홈(110b)들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기절연부(110)는 제1 절연막(113) 및 제2 절연막(115)을 포함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홈(110b)들은 제1 절연막(113) 및 제2 절연막(115)을 관통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홈(110b)들은 무기절연부(110)를 관통할 수 있다. 복수개 홈들이 무기절연부(110)을 관통함에 따라, 복수개의 댐(110a)들은 무기절연부(110)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제1 절연막(113)은 배리어층(112) 및 버퍼층(114)을 포함하고, 제2 절연막(115)은 게이트절연막(116) 및 층간절연막(118)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댐(110a)들은 배리어층(112), 버퍼층(114), 게이트절연막(116) 및 층간절연막(118)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복수개의 홈(110b)들은 기판(100)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한편, 무기절연부(110) 상에는 제1 유기막(120) 및 제2 유기막(122)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홈(110b)들에는 제1 유기막(120)의 일부가 매립될 수 있다.
종래에는 벤딩 영역에서 기판의 벤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벤딩 영역상에 위치한 무기층들을 모두 제거하고 유기층만으로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유기층만으로 형성된 구조는 외부에서 발생한 충격에 취약하며, 특히 기판의 에지로부터 발생된 크랙이 배선들의 불량을 야기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벤딩 영역(BA)에 위치한 기판(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폭을 갖도록 무기절연부(110)를 배치하고, 이러한 무기절연부(110)가 복수개의 댐(110a)들을 포함하도록 구비하면서, 유기층이 복수개의 댐(110a)들을 덮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판(100)의 에지에서 발생한 크랙이 배선부까지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여, 벤딩 영역(BA)에서의 벤딩이 용이함과 동시에 배선의 단선이 최소화되어 장수명이 담보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1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벤딩 영역(BA)에는 기판(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무기절연부(110), 무기절연부(11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제1 유기막(120)이 위치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무기절연부(110)가 하나의 층으로 형성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무기절연부(110)는 복수개의 절연층들이 적층된 다층 구조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무기절연부(110)는 도 5의 실시예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무기절연부(110)는 벤딩 영역(BA)이 위치한 기판(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폭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댐(110a)들과 복수개의 댐(110a)들 사이에 각각 위치한 복수개의 홈(110b)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도 11에 도시된 무기절연부(110)는 도 6, 도 8 또는 도 9의 실시예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무기절연부(110)의 설명은 전술한 도 5, 도 6, 도 8 또는 도 9의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유기막(120) 상에는 제1 배선부(130)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배선부(130)는 박막트랜지스터(210)의 소스 전극(215a) 및/또는 드레인 전극(215b)과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배선부(130)와 제2 배선부(132)는 게이트 전극(213) 또는 화소 전극(310)을 포함한 다른 도전층들과 동일 물질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2는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벤딩 영역(BA)에는 기판(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무기절연부(110), 무기절연부(11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제1 유기막(120) 및 제1 유기막(120) 상에 배치된 제2 유기막(122)이 위치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무기절연부(110)가 하나의 층으로 형성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무기절연부(110)는 복수개의 절연층들이 적층된 다층 구조일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무기절연부(110)는 도 5의 실시예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무기절연부(110)는 벤딩 영역(BA)이 위치한 기판(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폭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댐(110a)들과 복수개의 댐(110a)들 사이에 각각 위치한 복수개의 홈(110b)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도 12에 도시된 무기절연부(110)는 도 6, 도 8 또는 도 9의 실시예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무기절연부(110)의 설명은 전술한 도 5, 도 6, 도 8 또는 도 9의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유기막(120) 상에는 제1 배선부(130)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배선부(130) 상에는 제1 배선부(130)를 덮도록 제2 유기막(122)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유기막(122) 상에는 제2 배선부(132)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배선부(130)와 제2 배선부(132)는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배선부(130)와 제2 배선부(132)는 박막트랜지스터(210)의 소스 전극(215a) 및/또는 드레인 전극(215b)과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배선부(130)와 제2 배선부(132)는 게이트 전극(213) 또는 화소 전극(310)을 포함한 다른 도전층들과 동일 물질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유기막(120)은 제2 절연막(115)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유기막(120)은 복수개의 댐(110a)들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유기막(120)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개의 댐(110a)들 사이에 각각 위치한 복수개의 홈(110b)들에 매립될 수 있다.
한편, 제2 유기막(122)은 제1 유기막(120) 상에 배치될 수 있는데,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유기막의 끝 단과 제1 유기막의 끝 단은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유기막의 끝 단은 제1 유기막의 끝 단보다 배선 영역 측에 더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제2 유기막의 끝 단이 무기절연막(110)의 단부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않는다.
다른 실시예로,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유기막의 끝 단과 제2 유기막의 끝 단은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유기막의 끝 단이 제1 유기막의 끝 단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유기막의 끝 단은 제1 유기막의 끝 단보다 기판의 에지에 더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 이다.
100: 기판
110: 무기절연부
110a: 복수개의 댐들
110b: 복수개의 홈들
112: 배리어층
113: 제1 절연막
114: 버퍼층
115: 제2 절연막
116: 게이트절연막
118: 층간절연막
120: 제1 유기막
122: 제2 유기막
130: 제1 배선부
132: 제2 배선부
140: 평탄화층
150: 화소정의막
210: 박막트랜지스터
300: 디스플레이소자
310: 화소 전극
320: 중간층
330: 대향 전극
400: 봉지층
410: 제1 무기봉지층
420: 유기봉지층
430: 제2 무기봉지층
500: 패널 구동부

Claims (17)

  1.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벤딩 영역을 갖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된, 기판;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폭을 갖도록 상기 벤딩 영역 상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댐들과 상기 복수개의 댐들 사이에 각각 위치한 복수개의 홈들을 갖는, 무기절연부; 및
    상기 복수개의 댐들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무기절연부와 일부 중첩되며 상기 벤딩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1 유기막;
    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막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복수개의 홈들에 매립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절연부는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절연막 및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배치된 제2 절연막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홈들은 상기 제2 절연막을 관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홈들은 상기 제1 절연막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홈들은 상기 제1 절연막 및 상기 제2 절연막을 관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홈들은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막 상에 배치되는 제1 배선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막 상에 배치되는 제2 유기막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기막 상에 배치되는 제2 배선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부와 상기 제2 배선부는 서로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영역은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폭을 갖는 에지 영역 및 상기 에지 영역의 일측에 위치한 배선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무기절연부는 상기 배선 영역을 제외한 상기 에지 영역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막은 상기 배선 영역 및 상기 에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댐들은 상기 무기절연부의 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댐들은 상기 무기절연부의 일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막은 상기 복수개의 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영역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기판의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치된 패널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145216A 2016-11-02 2016-11-02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2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216A KR102602192B1 (ko) 2016-11-02 2016-11-02 디스플레이 장치
US15/801,115 US10056569B2 (en) 2016-11-02 2017-11-01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216A KR102602192B1 (ko) 2016-11-02 2016-11-02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469A true KR20180049469A (ko) 2018-05-11
KR102602192B1 KR102602192B1 (ko) 2023-11-15

Family

ID=62021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216A KR102602192B1 (ko) 2016-11-02 2016-11-02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56569B2 (ko)
KR (1) KR1026021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8825B2 (en) 2019-03-20 2021-10-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6004B2 (en) * 2017-08-25 2019-11-12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flexible display panel
CN107863376B (zh) * 2017-12-11 2021-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208848933U (zh) * 2018-08-29 2019-05-10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KR102617925B1 (ko) * 2018-09-27 2023-1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634402A (zh) * 2019-08-28 2019-12-3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折弯方法及显示装置
CN114388679B (zh) * 2021-04-16 2023-05-30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2090A (ko) * 2013-06-03 2014-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402B1 (ko) * 2009-08-13 2011-09-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3680384B (zh) * 2012-09-26 2016-05-11 乐金显示有限公司 具有柔性膜线缆的显示装置
KR101965260B1 (ko) * 2012-10-09 2019-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어레이 기판
KR101736930B1 (ko) 2012-11-19 2017-05-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16105B1 (ko) 2013-07-31 2020-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KR102404393B1 (ko) 2014-12-26 2022-06-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361711B1 (ko) 2015-02-02 2022-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388711B1 (ko) * 2015-04-27 2022-04-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2090A (ko) * 2013-06-03 2014-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8825B2 (en) 2019-03-20 2021-10-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758799B2 (en) 2019-03-20 2023-09-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192B1 (ko) 2023-11-15
US20180123062A1 (en) 2018-05-03
US10056569B2 (en) 201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413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5789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7887338B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50587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7230688B (zh) 具有能够使制造缺陷最小化的弯曲区的显示设备
US10050227B2 (en) Display apparatus
KR10257272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7799553B (zh) 显示装置
US10453910B2 (en) Display apparatus
US10256165B2 (en) Bendable display apparatus
KR2019003599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5739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112203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219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189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3167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0659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16303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21293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1153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6878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2770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2739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28592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9411508B (zh) 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