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8348A -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8348A
KR20180048348A KR1020170140753A KR20170140753A KR20180048348A KR 20180048348 A KR20180048348 A KR 20180048348A KR 1020170140753 A KR1020170140753 A KR 1020170140753A KR 20170140753 A KR20170140753 A KR 20170140753A KR 20180048348 A KR20180048348 A KR 20180048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number
low
hydroxypropyl cellulose
concrete composition
substituted hydroxyprop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카즈 고니시
츠토무 야마카와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8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34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2Cellulos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48Fibr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02Water reduc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0Surface-active agents, dispers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과제] 건조 수축이 저감되고, 유동성의 저하가 방지되어 유동성이 우수하고, 내동해성도 우수한 콘크리트 건조물을 부여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히드록시프로폭시기 치환도가 5 내지 16질량%이며, 또한 애스펙트비가 4 내지 7인 섬유상 입자 형태의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물 분산액, 시멘트 및 골재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시멘트 및 골재를 건식 혼합 후, 미리 물에 상기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분산시킨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물 분산액을 첨가하고, 혼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ONCRETE COMPOSITION AND MAKING METHOD}
본 발명은 건조 수축이 저감되고, 유동성의 저하가 적어 유동성이 우수하고, 내동해성도 우수한 콘크리트 건조물을 부여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는 알칼리성을 나타내는 시멘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중에서는 물에 용해되지 않고 팽윤하고, 일부 용해하여 증점한다는 특성이 있다. 이 성질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재료 분리 억제를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재료 분리 억제제로서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사용하고, 또한 발포제, 팽창재 및 감수제를 함유하는 무수축 콘크리트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또한,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물에 분산시키고, 이것을 전단 마쇄한 수성 겔을 재료 분리 방지제로서 고유동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4936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9-11855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방법에서는, 시멘트, 세골재 등과 함께 분말상의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건식 혼합한 후에 물을 가하고 있기 때문에,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가 흡수ㆍ팽윤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현저하게 나빠질 가능성이 있고, 한편, 특허문헌 2의 방법에서는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물에 분산시켜 전단 마쇄할 때에 절단ㆍ단섬유화되기 때문에, 건조 수축 저감 효과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건조 수축이 저감되고, 유동성의 저하가 방지되어 유동성이 우수하고, 내동해성도 우수한 콘크리트 건조물을 부여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입자 형상에 착안하여, 특정한 애스펙트비를 갖는 섬유상 입자 형태의 것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과제에 대하여 현저한 효과를 발현하는 것, 또한 이 경우, 상기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물 분산액으로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는 데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서는 히드록시프로폭시기 치환도가 5 내지 16질량%이며, 또한 애스펙트비가 4 내지 7인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물 분산액, 시멘트 및 골재를 배합함으로써, 건조 수축이 저감되고, 유동성의 저하가 적어 유동성이 적당하고 또한 우수하고, 내동해성도 우수한 콘크리트 건조물을 부여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의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1〕
히드록시프로폭시기 치환도가 5 내지 16질량%이며, 또한 애스펙트비가 4 내지 7인 섬유상 입자 형태의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물 분산액, 시멘트 및 골재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2〕
상기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레이저 회절법에 의한 평균 입자 직경이 40 내지 100㎛이고, 또한 90% 적산 입자 직경이 130 내지 250㎛인 〔1〕에 기재된 콘크리트 조성물.
〔3〕
상기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물 분산액 농도가 0.01 내지 20질량%인 〔1〕 또는 〔2〕에 기재된 콘크리트 조성물.
〔4〕
상기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첨가량이 단위 시멘트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질량%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콘크리트 조성물.
〔5〕
또한 리그닌계, 폴리카르복실산계 및 멜라민계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감수제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콘크리트 조성물.
〔6〕
또한 고급 알코올과 지방산 에스테르를 적어도 포함하는 계면 활성제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콘크리트 조성물.
〔7〕
또한 공기 연행제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콘크리트 조성물.
〔8〕
시멘트 및 골재를 건식 혼합 후, 미리 물에 히드록시프로폭시기 치환도가 5 내지 16질량%이며, 또한 애스펙트비가 4 내지 7인 섬유상 입자 형태의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분산시킨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물 분산액을 첨가하고, 혼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또한 상기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물 분산액과 함께, 리그닌계, 폴리카르복실산계 및 멜라민계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감수제를 첨가하는 〔8〕에 기재된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또한 시멘트 및 골재에 더하여, 고급 알코올과 지방산 에스테르를 적어도 포함하는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는 〔8〕 또는 〔9〕에 기재된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또한 상기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물 분산액과 함께, 공기 연행제를 첨가하는 〔8〕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 수축이 저감되어 적고, 유동성의 저하가 적어 적당하고 또한 우수한 유동성을 갖고, 내동해성도 우수한 콘크리트 건조물을 부여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콘크리트 조성물은 특정한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물 분산액, 시멘트, 골재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하는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히드록시프로폭시기 치환도는 5 내지 16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15.5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5질량%이다. 히드록시프로폭시기 치환도가 16질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수용성이 되어 공기 연행성이 증가하고, 공기량 컨트롤을 위해 소포제가 필요하기 때문에, 내동해성이 나빠진다. 한편, 5질량% 미만인 경우는, 흡수 특성이 낮기 때문에, 건조 수축 저감 효과가 인정되지 않는다.
또한,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히드록시프로폭시기의 치환도는 제17 개정 일본 약전에 기재된 것이고, 제17 개정 일본 약전 기재의 히프로멜로오스(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의 치환도 분석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애스펙트비는 4 내지 7이고,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5,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이다.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애스펙트비가 7을 초과하는 경우는, 입자 형태가 장섬유상이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나빠져 버린다. 한편, 4 미만인 경우는, 건조 수축 저감에 유효한 섬유상 입자가 지나치게 짧기 때문에, 건조 수축 저감 효과가 인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애스펙트비는 50 내지 200개의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입자에 대하여, 일반적인 광학 현미경으로 100배의 배율로 긴 직경 및 짧은 직경의 길이를 측정하고, 이 비(긴 직경/짧은 직경)를 구하고, 그의 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얻어진다.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레이저 회절법에 의한 평균 입자 직경(50% 적산 입자 직경)은 콘크리트의 유동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5㎛이다. 또한, 90% 적산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2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00㎛이다.
또한, 평균 입자 직경 및 90% 적산 입자 직경은 체적 환산 입자 직경이고, 레이저 회절법을 사용한 분체 입자 직경 측정 방법을 채용하여, 예를 들어 HELOS&RODOS(닛폰 레이저사제)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는 미리 혼련수에 첨가해 두고, 물 분산액으로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물 분산액의 상태로 배합하는 것이, 콘크리트의 유동성 확보의 점에서 적합하다. 이 경우,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물 분산액 농도는 콘크리트 조성물 중의 전체 수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질량%이다.
또한, 콘크리트 조성물에 첨가되는 물의 전량을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물 분산액의 제조에 사용해도 되고, 일부를 분산액의 제조에 사용하고, 나머지의 물은 콘크리트 조성물에 그대로 첨가해도 된다.
또한,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첨가량은 건조 수축 저감의 관점에서, 단위 시멘트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9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8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질량%이다. 또한, 단위 시멘트량이란, 프레시 콘크리트 1㎥ 중에 포함되는 시멘트의 질량을 말한다(이하 마찬가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시멘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고로 시멘트, 실리카 시멘트, 플라이애쉬 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 초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등의 각종 시멘트를 들 수 있다.
콘크리트 조성물 중의 물/시멘트비(질량%)는 재료 분리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2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3질량%이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조성물은 골재로서, 세골재 및 조골재를 함유한다. 세골재로서는, 강 모래, 산 모래, 육지 모래, 부순 모래 등이 바람직하다. 조골재로서는, 강 자갈, 산 자갈, 육지 자갈, 쇄석 등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세골재의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고, 조골재의 입경은 이것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다.
골재(세골재+조골재)의 첨가량은 콘크리트 1㎥당,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2,3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0 내지 2,150㎏이다.
또한, 상기 골재(세골재+조골재)의 첨가량의 범위 내에 있어서, 세골재의 첨가량은 콘크리트 1㎥당,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1,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000㎏이다. 조골재의 첨가량은 콘크리트 1㎥당,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1,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650 내지 1,150㎏이다.
골재는 상기 첨가량의 범위 내가 되도록 콘크리트 조성물에 배합된다.
골재 중에 있어서의 세골재율(용적 백분율)은 유동성 또는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3 내지 51용적%,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0용적%, 더욱 바람직하게는 37 내지 49용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또한 적은 수량으로 높은 유동 유지성을 얻기 위해, 감수제를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 있다.
감수제로서는, 리그닌계, 폴리카르복실산계, 멜라민계 등을 들 수 있다.
리그닌계의 감수제로서는, 리그닌술폰산염 및 그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카르복실산계의 감수제로서는, 폴리카르복실산에테르계, 폴리카르복실산에테르계와 가교 중합체의 복합체, 폴리카르복실산에테르계와 배향 중합체의 복합체, 폴리카르복실산에테르계와 고변성 중합체의 복합체, 폴리에테르카르복실산계 고분자 화합물, 말레산 공중합물, 말레산에스테르 공중합물, 말레산 유도체 공중합물, 카르복실기 함유 폴리에테르계, 말단 술폰기를 갖는 폴리카르복실산기 함유 다원 중합체, 폴리카르복실산계 그래프트 공중합체, 폴리카르복실산계 화합물, 폴리카르복실산에테르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멜라민계의 감수제로서는, 멜라민술폰산포르말린 축합물, 멜라민술폰산염 축합물, 멜라민술폰산염폴리올 축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감수제를 첨가하는 경우, 그의 첨가량은 콘크리트의 유동성의 관점에서, 단위 시멘트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질량%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또한 소정의 공기량을 확보하고,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얻기 위해, AE제(Air Entraining Agent: 공기 연행제)를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 있다.
AE제로서는, 음이온 계면 활성제계, 양이온 계면 활성제계, 비이온 계면 활성제계, 양성 계면 활성제계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 계면 활성제계로서는, 카르복실산형, 황산에스테르형, 술폰산형, 인산에스테르형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 계면 활성제계로서는, 아민염형, 제1급 아민염형, 제2급 아민염형, 제3급 아민염형, 제4급 아민염형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 계면 활성제계로서는, 에스테르형, 에스테르ㆍ에테르형, 에테르형, 알칸올아미드형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계로서는, 아미노산형, 술포베타인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공기 연행성의 점에서, 음이온 계면 활성제계의 AE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E제의 첨가량은 콘크리트 중의 공기량의 관점에서, 단위 시멘트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1질량%이다. 또한, JIS A 5308의 규격에서는, 보통 콘크리트 중의 공기량은 3.0 내지 6.0 용적%가 되는 범위가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서도 공기량이 이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의 수분 증발 억제 효과를 부여하고, 건조 수축 저감 효과를 높이기 위해, 고급 알코올과 지방산 에스테르를 적어도 포함하는 계면 활성제를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계면 활성제로서는, 하기에 나타내는 고급 알코올과 지방산 에스테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고급 알코올로서는, 직쇄상 포화 알코올, 직쇄상 불포화 알코올, 분지쇄상 포화 알코올, 분지쇄상 불포화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코올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이다.
직쇄상 포화 알코올로서는, 라우릴알코올(탄소수 12), 미리스틸알코올(탄소수 14), 세틸알코올(탄소수 16), 스테아릴알코올(탄소수 18), 이코실알코올(탄소수 20), 도코실알코올(탄소수 22), 테트라코실알코올(탄소수 24), 헥사코실알코올(탄소수 26), 옥타코실알코올(탄소수 28), 트리아콘틸알코올(탄소수 30) 등을 들 수 있다.
직쇄상 불포화 알코올로서는, 도데세닐알코올(탄소수 12), 테트라데세닐알코올(탄소수 14), 헥사데세닐알코올(탄소수 16), 올레일알코올(탄소수 18), 이코세닐알코올(탄소수 20), 도코세닐알코올(탄소수 22), 테트라코세닐알코올(탄소수 24), 헥사코세닐알코올(탄소수 26), 옥타코세닐알코올(탄소수 28), 트리아콘테닐알코올(탄소수 30) 등을 들 수 있다.
분지쇄상 포화 알코올로서는, 이소라우릴알코올(탄소수 12), 이소미리스틸알코올(탄소수 14), 이소세틸알코올(탄소수 16), 이소스테아릴알코올(탄소수 18), 이소이코실알코올(탄소수 20), 이소도코실알코올(탄소수 22), 이소테트라코실알코올(탄소수 24), 이소헥사코실알코올(탄소수 26), 이소옥타코실알코올(탄소수 28), 이소트리아콘틸알코올(탄소수 30), 도데칸-2-올(탄소수 12), 테트라데칸-2-올(탄소수 14), 헥사데칸-2-올(탄소수 16), 옥타데칸-2-올(탄소수 18), 이코산-2-올(탄소수 20), 도코산-2-올(탄소수 22), 테트라코산-2-올(탄소수 24), 헥사코산-2-올(탄소수 26), 옥타코산-2-올(탄소수 28), 트리아콘탄-2-올(탄소수 30), 2,4,6,8-테트라메틸옥틸알코올(탄소수 12) 등을 들 수 있다.
분지쇄상 불포화 알코올로서는, 제라니올(탄소수 10), 피톨(탄소수 20)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외에, 콜레스테릴알코올(탄소수 27) 등도 사용할 수 있다.
고급 알코올로서는, 특히, 수분 증발 억제 효과의 관점에서,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이코실알코올, 도코실알코올, 테트라코실알코올, 헥사코실알코올, 옥타코실알코올, 트리아콘틸알코올 등의 탄소수 12 내지 30, 특히 15 내지 25의 직쇄상 포화 알코올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에스테르, 지방족 디카르복실산디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고, 포화ㆍ불포화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에스테르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8,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이다.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에스테르로서는, 아세트산메틸(탄소수 3), 아세트산에틸(탄소수 4), 아세트산프로필(탄소수 5), 아세트산부틸(탄소수 6), 아세트산헥실(탄소수 7), 아세트산라우릴(탄소수 14), 아세트산스테아릴(탄소수 20), 아세트산테트라코실(탄소수 26), 아세트산트리아콘틸(탄소수 32), 부티르산메틸(탄소수 5), 부티르산에틸(탄소수 6), 부티르산프로필(탄소수 7), 부티르산부틸(탄소수 8), 부티르산헥실(탄소수 10), 부티르산라우릴(탄소수 16), 부티르산스테아릴(탄소수 22), 부티르산테트라코실(탄소수 28), 부티르산트리아콘틸(탄소수 34), 이소부티르산메틸(탄소수 5), 이소부티르산에틸(탄소수 6), 이소부티르산프로필(탄소수 7), 이소부티르산부틸(탄소수 8), 이소부티르산헥실(탄소수 10), 이소부티르산라우릴(탄소수 16), 이소부티르산스테아릴(탄소수 22), 이소부티르산테트라코실(탄소수 28), 이소부티르산트리아콘틸(탄소수 34), 발레르산메틸(탄소수 6), 발레르산에틸(탄소수 7), 발레르산프로필(탄소수 8), 발레르산부틸(탄소수 9), 발레르산헥실(탄소수 11), 발레르산라우릴(탄소수 17), 발레르산스테아릴(탄소수 23), 발레르산테트라코실(탄소수 29), 발레르산트리아콘틸(탄소수 38), 이소발레르산메틸(탄소수 6), 이소발레르산에틸(탄소수 7), 이소발레르산프로필(탄소수 8), 이소발레르산부틸(탄소수 9), 이소발레르산헥실(탄소수 10), 이소발레르산라우릴(탄소수 17), 이소발레르산스테아릴(탄소수 22), 이소발레르산테트라코실(탄소수 28), 이소발레르산트리아콘틸(탄소수 38), 피발산메틸(탄소수 6), 피발산에틸(탄소수 7), 피발산프로필(탄소수 8), 피발산부틸(탄소수 9), 피발산헥실(탄소수 11), 피발산라우릴(탄소수 17), 피발산스테아릴(탄소수 23), 피발산테트라코실(탄소수 29), 피발산트리아콘틸(탄소수 38), 라우르산메틸(탄소수 13), 라우르산에틸(탄소수 14), 라우르산프로필(탄소수 15), 라우르산부틸(탄소수 16), 라우르산헥실(탄소수 18), 라우르산라우릴(탄소수 24), 라우르산스테아릴(탄소수 30), 라우르산테트라코실(탄소수 36), 라우르산트리아콘틸(탄소수 42), 미리스트산메틸(탄소수 15), 미리스트산에틸(탄소수 16), 미리스트산프로필(탄소수 17), 미리스트산부틸(탄소수 18), 미리스트산헥실(탄소수 20), 미리스트산라우릴(탄소수 26), 미리스트산스테아릴(탄소수 32), 미리스트산테트라코실(탄소수 38), 미리스트산트리아콘틸(탄소수 44), 팔미트산메틸(탄소수 17), 팔미트산에틸(탄소수 18), 팔미트산프로필(탄소수 19), 팔미트산부틸(탄소수 20), 팔미트산헥실(탄소수 22), 팔미트산라우릴(탄소수 28), 팔미트산스테아릴(탄소수 34), 팔미트산테트라코실(탄소수 40), 팔미트산트리아콘틸(탄소수 46), 스테아르산메틸(탄소수 19), 스테아르산에틸(탄소수 20), 스테아르산프로필(탄소수 21), 스테아르산부틸(탄소수 22), 스테아르산헥실(탄소수 24), 스테아르산라우릴(탄소수 30), 스테아르산스테아릴(탄소수 34), 스테아르산테트라코실(탄소수 40), 스테아르산트리아콘틸(탄소수 48), 올레산메틸(탄소수 19), 올레산에틸(탄소수 20), 올레산프로필(탄소수 21), 올레산부틸(탄소수 22), 올레산헥실(탄소수 24), 올레산라우릴(탄소수 30), 올레산스테아릴(탄소수 34), 올레산테트라코실(탄소수 40), 올레산트리아콘틸(탄소수 48)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디카르복실산디에스테르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4 내지 70이다.
지방족 디카르복실산디에스테르로서는, 옥살산디메틸(탄소수 4), 옥살산디에틸(탄소수 6), 옥살산디프로필(탄소수 8), 옥살산디부틸(탄소수 10), 옥살산디헥실(탄소수 14), 옥살산디라우릴(탄소수 26), 옥살산디스테아릴(탄소수 38), 옥살산디테트라코실(탄소수 50), 옥살산디트리아콘틸(탄소수 62), 말론산디메틸(탄소수 5), 말론산디에틸(탄소수 7), 말론산디프로필(탄소수 9), 말론산디부틸(탄소수 11), 말론산디헥실(탄소수 15), 말론산디라우릴(탄소수 27), 말론산디스테아릴(탄소수 39), 말론산디테트라코실(탄소수 51), 말론산디트리아콘틸(탄소수 63), 숙신산디메틸(탄소수 6), 숙신산디에틸(탄소수 8), 숙신산디프로필(탄소수 10), 숙신산디부틸(탄소수 12), 숙신산디헥실(탄소수 16), 숙신산디라우릴(탄소수 28), 숙신산디스테아릴(탄소수 40), 숙신산디테트라코실(탄소수 52), 숙신산디트리아콘틸(탄소수 64), 글루타르산디메틸(탄소수 7), 글루타르산디에틸(탄소수 9), 글루타르산디프로필(탄소수 11), 글루타르산디부틸(탄소수 13), 글루타르산디헥실(탄소수 17), 글루타르산디라우릴(탄소수 29), 글루타르산디스테아릴(탄소수 41), 글루타르산디테트라코실(탄소수 53), 글루타르산디트리아콘틸(탄소수 65), 아디프산디메틸(탄소수 8), 아디프산디에틸(탄소수 10), 아디프산디프로필(탄소수 12), 아디프산디부틸(탄소수 14), 아디프산디헥실(탄소수 18), 아디프산디라우릴(탄소수 30), 아디프산디스테아릴(탄소수 42), 아디프산디테트라코실(탄소수 54), 아디프산디트리아콘틸(탄소수 66), 피멜산디메틸(탄소수 9), 피멜산디에틸(탄소수 11), 피멜산디프로필(탄소수 13), 피멜산디부틸(탄소수 15), 피멜산디헥실(탄소수 19), 피멜산디라우릴(탄소수 31), 피멜산디스테아릴(탄소수 43), 피멜산디테트라코실(탄소수 55), 피멜산디트리아콘틸(탄소수 67), 수베르산디메틸(탄소수 10), 수베르산디에틸(탄소수 12), 수베르산디프로필(탄소수 14), 수베르산디부틸(탄소수 16), 수베르산디헥실(탄소수 20), 수베르산디라우릴(탄소수 32), 수베르산디스테아릴(탄소수 44), 수베르산디테트라코실(탄소수 56), 수베르산디트리아콘틸(탄소수 68), 아젤라산디메틸(탄소수 11), 아젤라산디에틸(탄소수 13), 아젤라산디프로필(탄소수 15), 아젤라산디부틸(탄소수 17), 아젤라산디헥실(탄소수 21), 아젤라산디라우릴(탄소수 33), 아젤라산디스테아릴(탄소수 45), 아젤라산디테트라코실(탄소수 57), 아젤라산디트리아콘틸(탄소수 69), 세바스산디메틸(탄소수 12), 세바스산디에틸(탄소수 14), 세바스산디프로필(탄소수 16), 세바스산디부틸(탄소수 18), 세바스산디헥실(탄소수 22), 세바스산디라우릴(탄소수 34), 세바스산디스테아릴(탄소수 46), 세바스산디테트라코실(탄소수 58), 세바스산디트리아콘틸(탄소수 70)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특히, 수분 증발 억제 효과의 관점에서, 라우르산메틸, 미리스트산메틸, 팔미트산메틸, 스테아르산메틸, 올레산메틸 등의 탄소수 3 내지 48, 특히 15 내지 20의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고급 알코올과 지방산 에스테르의 혼합 비율(질량비)은 고급 알코올:지방산 에스테르가 바람직하게는 2:98 내지 99:1, 보다 바람직하게는 95:5 내지 50:50, 더욱 바람직하게는 90:10 내지 60:40, 특히 바람직하게는 85:15 내지 70:30이다.
상기 계면 활성제는 취급의 관점에서, 상온에서 고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온에서 액체인 계면 활성제의 경우에 있어서는, 다공질 분체에 담지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질 분체로서는, 실리카,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타늄,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카본 블랙, 탈크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계면 활성제로서 구체적으로는, SN 클린액트 900(산노푸코사제, 계면 활성제; 탄소수 15 내지 25의 직쇄상 포화 알코올 및 탄소수 15 내지 20의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에스테르의 혼합물(55질량%)과 다공질 분체; 실리카(45질량%)와의 혼합물)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계면 활성제로서 고급 알코올 및 지방산 에스테르의 혼합물의 첨가량은 수분 증발 억제 효과의 관점에서, 단위 시멘트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질량%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경화ㆍ건조에 의한 수축 갈라짐, 시멘트의 수화 반응열에 의한 온도 응력에 수반하는 갈라짐 방지를 위해, 팽창재를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 있다. 팽창재로서는, 아우인계나 석회계를 들 수 있고, 목적에 따른 물질을 상용량으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조성물에는,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의 AE제나 고급 알코올 및 지방산 에스테르의 혼합물 이외의 계면 활성제, 탄화수소유, 왁스, 지방산 아미드, 실리콘유, 소포제, 윤활제, 방부제, 방청제, 증점제, 용제 및 물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계면 활성제로서는, 하기에 나타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다가(2 내지 10가) 알코올 지방산(탄소수 8 내지 24)에스테르[글리세린모노옥타데칸산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옥타데칸산에스테르, 소르비탄옥타데센산모노- 또는 디-에스테르 등], 지방족 알칸올아미드[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도데칸산디에탄올아미드 등], 알킬(탄소수 8 내지 24)디알킬(탄소수 1 내지 6)아민옥시드[도데실디메틸아민옥시드 등]를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알킬(탄소수 8 내지 24)폴리옥시알킬렌(탄소수 2 내지 3, 중합도 1 내지 100)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알칼리 금속염 및 암모늄염 등)[도데실폴리옥시에틸렌(중합도 20)에탄산나트륨 등], 탄소수 8 내지 24의 황산에스테르염[도데실황산에스테르나트륨, 도데실폴리옥시에틸렌(중합도 30)황산에스테르나트륨 등], 탄소수 8 내지 24의 술폰산염[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술포숙신산디-2-에틸헥실에스테르나트륨 등], 탄소수 4 내지 12의 인산에스테르염[도데실인산나트륨, 도데실폴리옥시에틸렌(중합도 30)인산나트륨 등], 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암모늄염 또는 아민염[도데칸산나트륨, 도데칸산트리에탄올아민, 운데칸산암모늄 등], 아실화아미노산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린나트륨[야자유 지방산 아실-L-글루탐산트리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제4급 암모늄염형 계면 활성제[염화옥타데실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 등], 아민염형 계면 활성제[옥타데칸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락트산염 등]를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베타인형 양성 계면 활성제[야자유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륨베타인 등], 아미노산형 양성 계면 활성제[β-도데실아미노프로팬산나트륨 등]를 들 수 있다.
상기 계면 활성제의 첨가량은 수분 증발 억제 효과의 관점에서, 단위 시멘트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1질량%이다.
탄화수소유으로서는, 광물유, 동식물유, 합성 윤활유를 사용할 수 있다. 광물유로서는, 스핀들유, 기계유, 냉동기유 등을 들 수 있다. 동식물유로서는, 우지, 돈유, 경유, 어유, 채종유, 대두유, 해바라기 종자유, 면실유, 낙화생유, 미강유, 옥수수유, 홍화유, 올리브유, 참기름, 달맞이꽃기름, 팜유, 시어 버터, 염지방, 카카오 버터, 야자유, 팜핵유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윤활유로서는, 폴리올레핀유(α-올레핀유), 폴리글리콜유, 폴리부텐유, 알킬벤젠유(알킬레이트유), 이소파라핀유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유의 첨가량은 수분 증발 억제 효과의 관점에서, 단위 시멘트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1질량%이다.
왁스로서는, 천연 왁스, 합성 왁스를 사용할 수 있다. 천연 왁스로서는, 칸델릴라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라이스 왁스, 목랍, 호호바유, 밀랍, 라놀린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왁스로서는,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페트롤레이텀, 폴리에틸렌 왁스, 피셔 트롭쉬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왁스의 첨가량은 수분 증발 억제 효과의 관점에서, 단위 시멘트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1질량%이다.
지방산 아미드로서는, 탄소수 26 내지 40의 알킬렌비스아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틸렌비스스테아릴아미드, 에틸렌비스팔미틸아미드, 에틸렌비스라우릴아미드, 부틸렌비스스테아릴아미드, 부틸렌비스팔미틸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산 아미드의 첨가량은 수분 증발 억제 효과의 관점에서, 단위 시멘트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1질량%이다.
실리콘유로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유의 첨가량은 수분 증발 억제 효과의 관점에서, 단위 시멘트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1질량%이다.
소포제로서는, 알코올계 소포제, 지방산계 소포제, 광물유계 소포제, 폴리에테르계 소포제, 실리콘계 소포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소포제의 첨가량은 공기량 조정의 관점에서, 단위 시멘트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1질량%이다.
윤활제로서는, 고급 지방산염, 왁스 에멀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고급 지방산염으로서는, 탄소수 13 내지 24의 고급 지방산염[스테아르산나트륨,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등] 등을 들 수 있다. 왁스 에멀션으로서는, 폴리에틸렌에멀션, 파라핀 왁스 에멀션,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에멀션 등을 들 수 있다.
윤활제의 첨가량은 수분 증발 억제 효과의 관점에서, 단위 시멘트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1질량%이다.
방부제로서는, 2-브로모-2-니트로-1,3-프로판디올(BNP),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MIT), 1,2-벤조티아졸린-3-온,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헥사히드로-1,3,5-트리스(2-히드록시에틸)-s-트리아진, 헥사히드로-1,3,5-트리스(2-에틸)-s-트리아진, o-페닐-페놀, 3-메틸-4-클로로-페놀, 소듐피리딘티올옥시드, 디티오카르바메이트, 4-(2-니트로부틸)모르폴린, 1-(3-클로르알릴)-3,5,7-트리아자-1-아조니아아다만탄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의 첨가량은 수분 증발 억제 효과의 관점에서, 단위 시멘트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1질량%이다.
방청제로서는, 아질산염, 아미노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방청제의 첨가량은 수분 증발 억제 효과의 관점에서, 단위 시멘트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1질량%이다.
증점제로서는, 유기 변성 몬모릴로나이트, 유기 변성 사포나이트, 유기 변성 헥토라이트, 유기 변성 나트륨실리식마이카나트륨, 유기 변성 리튬테니올라이트, 유기 변성 벤토나이트, 히드록시스테아르산, 폴리이소부틸렌(중량 평균 분자량 3만 내지 10만), 폴리알킬메타크릴레이트(중량 평균 분자량 50만 내지 200만), 금속 비누[고급 지방산 알루미늄(스테아르산알루미늄, 옥탄산알루미늄 등), 고급 지방산 아연(스테아르산아연) 등] 등을 들 수 있다.
증점제의 첨가량은 수분 증발 억제 효과의 관점에서, 단위 시멘트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1질량%이다.
용제로서는, 지방족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 할로겐화탄화수소(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1,2-디클로로에틸렌, 1,1,1-트리클로로에탄, 1,1,2,2-테트라클로로에탄,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클로로벤젠, 트리클로로에틸렌 등), 케톤(아세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시클로헥사논, 메틸부틸케톤 등), 에테르(에틸에테르, 1,4-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등), 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등), 폴리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폴리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등), 탄화수소(크실렌, 시클로헥산, 스티렌, 톨루엔, n-헥산 등), 다른 극성 용매(N,N-디메틸포름아미드, 이황화탄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용제의 첨가량은 수분 증발 억제 효과의 관점에서, 단위 시멘트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1질량%이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조성물은 시멘트 및 골재를 건식 혼합한 후, 미리 첨가수의 일부 또는 전량에 상기 특정한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분산시켜 제조한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물 분산액을 첨가하고, 혼련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분산액을 제조할 때는, 물에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간단히 분산시키면 되고, 분산시킨 후에 전단 마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물 분산액의 제조에 첨가수의 일부를 사용한 경우, 나머지의 물은 적절히 첨가하면 되고, 건식 혼합한 후 등에 첨가할 수 있다.
또한, 고급 알코올과 지방산 에스테르를 적어도 포함하는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는 경우는, 계면 활성제가 상온에서 고체 혹은 액체상의 계면 활성제가 다공질 분체에 의해 고체상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멘트 및 골재와 함께 첨가할 수 있다. 또한, 계면 활성제가 상온에서 액체인 경우에는, 첨가수의 일부 혹은 상기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물 분산액에 분산시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수제 및/또는 공기 연행제를 첨가하는 경우는, 상기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물 분산액과 함께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수제 및/또는 공기 연행제는 첨가수의 일부 혹은 상기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물 분산액에 분산시켜 첨가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고,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비교예]
<사용 재료>
(1) 시멘트 (C);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타이헤이요 시멘트사제)
밀도; 3.16g/㎤
(2) 세골재 (S); 최대 입경 5㎜의 육지 모래, 니가타현 묘코시 시모니고리가와산
흡수율; 2.79%, 표건 밀도; 2.57g/㎤
(3) 조골재 (G); 최대 입경 25㎜의 강 자갈, 니가타현 묘코시 시모니고리가와산
흡수율; 1.45%, 표건 밀도; 2.60g/㎤
(4) 물 (W); 수돗물
(5)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표 3에 나타내는 샘플 No.1 내지 6
(6) 감수제; 마스터포졸리스 No.70(BASF 재팬사제)
리그닌술폰산과 폴리올의 복합체
(7) AE제; 마스터에어 775S(BASF 재팬사제)
고알킬카르복실산계 음이온 계면 활성제
(8) 계면 활성제 (X); SN 클린액트 900(산노푸코사제)
계면 활성제; 탄소수 15 내지 25의 직쇄상 포화 알코올 및 탄소수 15 내지 20의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에스테르의 혼합물(55질량%)과 다공질 분체; 실리카(45질량%)와의 혼합물.
<콘크리트 혼련>
표 1, 2에 나타내는 콘크리트 배합에 따라 실시했다.
60리터의 강제 2축 혼합 믹서에, 시멘트, 세골재, 조골재, 또한 필요에 따라 계면 활성제를 넣고, 건식 혼합을 30초간 행하였다. 그 후, 첨가수 전량에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표 3에 나타내는 샘플 No.1 내지 6)를 넣은 물 분산액, 감수제, AE제를 첨가하여 90초간 혼련하여 콘크리트를 얻었다. 1배치당의 콘크리트의 혼합은 40리터로 했다. 또한,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분말 첨가하는 경우는, 시멘트, 골재와 동일한 시기에 더하고, 건식 혼합 후에 물을 투입했다.
또한, 콘크리트의 공기량이 4.5±1.5질량%가 되도록, AE제를 사용하여 제조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표 3 중의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물성값의 측정법을 하기에 나타낸다.
히드록시프로폭시기 치환도;
제17 개정 일본 약전 기재의 히프로멜로오스의 치환도 분석 방법에 준하여 구했다.
애스펙트비;
50 내지 200개의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입자에 대하여, 일반적인 광학 현미경으로 100배의 배율로 긴 직경 및 짧은 직경의 길이를 측정하고, 이 비(긴 직경/짧은 직경)를 구하고, 그의 평균값을 산출했다.
평균 입자 직경 및 90% 적산 입자 직경;
체적 환산 입자 직경이고, 레이저 회절법을 사용한 분체 입자 직경 측정 방법(HELOS&RODOS(닛폰 레이저사제)를 사용)에 의해 측정했다.
얻어진 콘크리트 조성물을 하기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결과를 표 4, 5에 나타냈다.
<평가 방법>
1. 콘크리트 온도
콘크리트의 혼합 종료 온도는 20±3℃가 되도록 재료 온도를 조정했다.
2. 공기량
JIS A 1128에 준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3. 슬럼프 시험
JIS A 1101에 준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슬럼프값이 10.0㎝ 이상을 유동성이 우수하다고 판단했다.
4. 내동해성(동결 융해) 시험
JIS A 1148-2010 중의 A법에 준하여 시험을 행하고, 최대 300사이클까지의 상대 동탄성계수를 측정했다. 300사이클 시의 상대 동탄성계수가 60% 이상을 내동해성이 우수하다고 판단했다.
5. 길이 변화율
JIS A 1129-1에 준하여, 최대 건조 재령 13주까지 길이 변화율을 측정했다. 재령 13주의 길이 변화율에 대하여, 비교예 4의 베이스 콘크리트(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무첨가)와의 차가 1.50×10-4% 이상인 경우를 건조 수축 저감이 우수하다고 판단했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표 4,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애스펙트비가 일정한 범위인 섬유상 입자 형태의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물 분산액으로서 첨가함으로써, 건조 수축이 저감되어, 유동성, 내동해성의 어느 것이든 우수한 콘크리트(실시예 1 내지 7)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계면 활성제를 더 병용함으로써, 유동성의 저하를 일으키는 일없이, 가일층의 건조 수축 저감 효과를 부여할 수 있었다(실시예 8, 9).
비교예 1과 같이,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애스펙트비가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실시예 5와 비교하여 건조 수축 저감 효과가 작고, 한편 비교예 2와 같이 애스펙트비가 지나치게 큰 경우는, 실시예 7과 비교하여 슬럼프가 현저하게 낮아지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떨어졌다.
또한, 비교예 3과 같이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분말상으로 첨가한 경우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유동성이 현저하게 낮아졌다.

Claims (11)

  1. 히드록시프로폭시기 치환도가 5 내지 16질량%이며, 또한 애스펙트비가 4 내지 7인 섬유상 입자 형태의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물 분산액, 시멘트 및 골재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레이저 회절법에 의한 평균 입자 직경이 40 내지 100㎛이고, 또한 90% 적산 입자 직경이 130 내지 250㎛인, 콘크리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물 분산액 농도가 0.01 내지 20질량%인, 콘크리트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첨가량이 단위 시멘트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질량%인, 콘크리트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또한 리그닌계, 폴리카르복실산계 및 멜라민계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감수제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또한 고급 알코올과 지방산 에스테르를 적어도 포함하는 계면 활성제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또한 공기 연행제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조성물.
  8. 시멘트 및 골재를 건식 혼합 후, 미리 물에 히드록시프로폭시기 치환도가 5 내지 16질량%이며, 또한 애스펙트비가 4 내지 7인 섬유상 입자 형태의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분산시킨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물 분산액을 첨가하고, 혼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물 분산액과 함께, 리그닌계, 폴리카르복실산계 및 멜라민계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감수제를 첨가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또한 시멘트 및 골재에 더하여, 고급 알코올과 지방산 에스테르를 적어도 포함하는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물 분산액과 함께, 공기 연행제를 첨가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70140753A 2016-11-01 2017-10-27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800483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14188 2016-11-01
JP2016214188 2016-11-01
JP2017128354A JP6791039B2 (ja) 2016-11-01 2017-06-30 コンクリート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7-128354 2017-06-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348A true KR20180048348A (ko) 2018-05-10

Family

ID=6215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753A KR20180048348A (ko) 2016-11-01 2017-10-27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791039B2 (ko)
KR (1) KR201800483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004B1 (ko) * 2022-06-14 2022-09-23 주식회사 한미 지반의 보강 및 개량을 위한 그라우트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38789B2 (ja) 2020-03-04 2024-02-27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の配合方法
CN115849764B (zh) * 2022-11-25 2023-10-27 四川沃庆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喷射混凝土掺合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2439B2 (ja) * 1994-03-31 2001-09-2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高流動コンクリート
JP3065476B2 (ja) * 1994-03-31 2000-07-1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高流動コンクリート
JPH09118554A (ja) * 1995-10-26 1997-05-06 Shin Etsu Chem Co Ltd 高流動コンクリート
JP4519420B2 (ja) * 2003-05-12 2010-08-04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結晶性セルロース微粉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004B1 (ko) * 2022-06-14 2022-09-23 주식회사 한미 지반의 보강 및 개량을 위한 그라우트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91039B2 (ja) 2020-11-25
JP2018076219A (ja)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8348A (ko)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EP1291408A1 (en) Nonflammable water-based cutting fluid composition
Tyagi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self-curing concrete incorporated with polyethylene glycol as self-curing agent
JP5489430B2 (ja) セメント組成物
JP2009249228A (ja) 超低収縮aeコンクリート組成物
JP4823967B2 (ja) セメント系固化材の製造方法
EP3318537B1 (en) Concrete composition and making method
JP5730758B2 (ja) 耐久性改善剤及びセメント組成物
JP7120770B2 (ja) 型枠離型剤
JP5659050B2 (ja) コンクリート骨材用膨張抑制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膨張抑制コンクリート骨材
JP5135056B2 (ja) 水硬性材料用収縮低減剤および水硬性材料用収縮低減剤組成物
JP2019043793A (ja) 吹付け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吹付け工法
JP4569172B2 (ja) 粉塵防止剤
JP7007887B2 (ja) 空隙充填材および空隙充填工法
JP4897754B2 (ja) セメント組成物用起泡剤
JP2004292528A (ja) 地盤改良用発塵抑制型固化材
JP6710195B2 (ja) レオロジー改質剤
JP5475224B2 (ja) セメント系固化材の製造方法
JP4057970B2 (ja) セメントコンクリート用混和材
JP2020050825A (ja) 地盤改良用固化材の製造方法
JP2006182625A (ja) セメント系グラウト組成物
JP2006523170A (ja) 組成物
JP2018100197A (ja) 気泡モルタル用起泡剤
JP6818732B2 (ja) レオロジー改質剤
JPH08295546A (ja) セメント組成物用空気連行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