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983A -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 - Google Patents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7983A
KR20180047983A KR1020160144981A KR20160144981A KR20180047983A KR 20180047983 A KR20180047983 A KR 20180047983A KR 1020160144981 A KR1020160144981 A KR 1020160144981A KR 20160144981 A KR20160144981 A KR 20160144981A KR 20180047983 A KR20180047983 A KR 20180047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way valve
packaging material
pouch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운
Original Assignee
유미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미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미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4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7983A/ko
Publication of KR20180047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9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25Pressure relief-valves incorporated in a container wall, e.g. valves comprising at least one elastic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4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포장재 상단 일측 표면에 원웨이밸브가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원웨이밸브는 방수가 가능한 합성수지 소재로 제조되어 액체의 유출입은 방지하고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은 차단하면서도 포장재 내부의 탄산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원웨이밸브 상부에는 공기 투과가 가능한 필름 형태의 방수부재가 추가로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김치를 포장하여 유통 및 판매하는 과정에서 포장재 내부에서 발생하는 탄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여 탄산가스로 인해 포장재가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산소가 포장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김치가 과숙성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포장재 내외부로 액체가 유출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KIMCHI PACKAGING POUCH-TYPE PACKAGE}
본 발명은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포장재 상단 일측 표면에 원웨이밸브가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원웨이밸브는 방수가 가능한 합성수지 소재로 제조되어 액체의 유출입은 방지하고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은 차단하면서도 포장재 내부의 탄산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원웨이밸브 상부에는 공기 투과가 가능한 필름 형태의 방수부재가 추가로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김치를 포장하여 유통 및 판매하는 과정에서 포장재 내부에서 발생하는 탄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여 탄산가스로 인해 포장재가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산소가 포장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김치가 과숙성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포장재 내외부로 액체가 유출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김치는 배추, 무, 오이 등의 채소를 절인 후 여러 가지 양념을 첨가하여 일정기간 숙성시키는 발효식품으로 삼국시대 이전부터 한국의 가장 중요한 전통식품으로 자리 잡았으며, 현재까지도 우리의 식생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김치는 각 가정에서 자가 제조하여 소비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여성의 사회 참여, 외식 산업의 성장, 주거 환경의 변화, 단체 급식의 증가, 김치 수출 산업의 향상 등 국내외의 여건 변화에 따라 전통 김치의 품질 향상 및 산업화와 과학화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김치를 전문 생산업체에서 생산, 유통 및 판매하여 소비자들이 소량의 김치를 구입하여 먹는 경우가 증가하게 되면서 김치를 포장하는 포장재 또는 포장방식에 대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김치의 경우 일반적인 식품과 달리 계속적으로 발효과정을 거치게 됨에 따라 포장재 내부에 김치를 충진한 후, 밀폐하게 될 경우 발효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산가스로 인해 포장재가 무제한적으로 팽창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김치를 포장하고 유통 및 판매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산가스로 인해 포장재가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다수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8084호는 발효식품용 포장지에 관한 것으로서,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을 포장함에 있어, 전체적으로는 방수성 및 인체 무해성을 가진 포장지로 이루어지되, 포장 수용된 발효식품에서 발생되는 발효가스가 자연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가스배출수단을 별도 구비하여 발효가스에 의한 포장지의 무제한적 팽창과 팽창으로 인한 파손 등의 문제를 방지하고, 내부 가스로 인한 식품의 신서도가 떨어지거나 변질 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효식품용 포장지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07157호는 식품용 기능성 흡수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포장재 자체에 통기층을 형성하여 가스 흡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식품 기능성 흡수 포장재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공기투과가 일부 가능하도록 구성된 포장재에 김치를 포장함으로써, 김치가 발효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산가스로 인해 포장재가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기는 하지만, 포장재 내부로 산소가 유입되는 것은 방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김치를 밀폐 포장하되, 포장재 자체에 기공을 형성하거나, 공기 투과가 용이한 재질로 제조하여, 유통 및 판매 과정에서 김치가 발효되면서 발생하는 탄산가스를 배출시키는 기술이 일부 공개되어 있기는 하지만, 포장재 내외부 양방향으로 공기가 투과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기술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포장재 내외부 양방향으로 공기가 투과될 수 있을 경우, 탄산가스 배출로 인해 포장지가 팽창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는 반면에, 외부의 산소가 포장재 내부로 유입되어 김치가 과숙성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현재까지는 포장재 내부에서 발생되는 탄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여 탄산가스로 인해 포장재가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과 동시에 외부의 산소가 포장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김치가 과숙성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에 대해서는 개발되지 않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808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0715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것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목적은 일반적인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 상단 일측 표면에 원웨이밸브를 부설함으로써 김치를 포장하여 유통 및 판매하는 과정에서 포장재 내부에서 발생하는 탄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여 탄산가스로 인해 포장재가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산소가 포장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김치가 과숙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다른 목적은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 상단 일측 표면에 부설되는 원웨이밸브를 방수가 가능한 합성수지 소재로 제조하고, 원웨이밸브 상부에 공기 투과가 가능한 필름 형태의 방수부재를 추가로 부설함으로써, 포장재 내외부로 액체가 유출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용물이 변성 및 변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유통 및 판매 과정에서 파우치형 포장재의 적재상태를 고려하지 않도록 하여 운반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는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또 다른 목적은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 상단 일측 표면에 원웨이밸브를 부설하고, 상기 원웨이밸브 상부에 공기 투과가 가능한 방수 필름 형태로 형성되되, 포장재 제작 시 원웨이밸브 상부에 레이어층으로 일체 형성되거나, 사후에 부착 가능하도록 스티커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목적 및 필요성에 따라 방수부재의 사용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사용편의성이 증진된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김치 포장을 위한 파우치형 포장재에 있어서, 포장재(100) 상단 일측 표면에 탄산가스 배출을 위한 원웨이밸브(200)가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원웨이밸브(200)는 방수가 가능한 합성수지 소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원웨이밸브(200) 상부에 공기 투과가 가능한 필름 형태의 방수부재(300)가 추가로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방수부재(300)는, 상기 원웨이밸브(200) 보다 크거나 같은 크기로 이루어져, 상기 원웨이밸브(200)를 덮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부재(300)는, 공기 투과가 가능한 방수 필름 형태로 형성되되, 포장재 제작 시 원웨이밸브(200) 상부에 레이어층으로 일체 형성되거나, 사후에 부착 가능하도록 스티커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는 파우치형 포장재 상단 일측 표면에 원웨이밸브를 부설하여, 김치를 포장하여 유통 및 판매하는 과정에서 포장재 내부에서 발생하는 탄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여 탄산가스로 인해 포장재가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외부의 산소가 포장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김치가 과숙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김치 특유의 맛과 향이 변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는 파우치형 포장재 상단 일측 표면에 부설되는 원웨이밸브를 방수가 가능한 합성수지 소재로 제조하고, 원웨이밸브 상부에 공기 투과가 가능한 필름 형태의 방수부재를 추가로 부설하여, 포장재 내외부로 액체가 유출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내용물이 변성 및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포장지 내부의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유통 및 판매 과정에서 파우치형 포장재의 적재상태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운반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는 원웨이밸브 상부에 방수부재가 레이어층으로 일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를 제조하여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방수부재를 스티커 형태로 제작하여 사후에 필요에 따라 방수부재를 별도로 부착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에 대한 전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포장재(100) 상단 일측 표면에 원웨이밸브(200)가 부설된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에 대한 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포장재(100) 상단 일측 표면에 원웨이밸브(200)가 부설된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포장재(100) 상단 일측 표면에 원웨이밸브(200)가 부설되고, 상기 원웨이밸브(200) 상부에 방수부재(300)가 추가로 부설된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에 대한 전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고, 첨부된 도면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고, 도명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에 대한 전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포장재(100) 상단 일측 표면에 원웨이밸브(200)가 부설된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에 대한 전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포장재(100) 상단 일측 표면에 원웨이밸브(200)가 부설된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원웨이밸브(200) 상부에 방수부재(300)가 추가로 부설된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에 대한 전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이 방수가 가능한 합성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단순히 김치를 밀폐 포장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포장재(100)는 폴리에틸렌 튜브를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방수가 가능한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비닐 또는 필름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김치 포장시 다양한 형태 및 재질의 포장재(100)가 사용되고 있다.
즉, 종래의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는 방수재질의 포장재(100)로 김치를 밀폐 포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발효식품인 김치를 밀폐 포장함으로써 발효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산가스로 인해 포장재(100)가 무제한적으로 팽창되게 되고, 팽창으로 인한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포장재(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탄산가스로 인해 김치가 단기간에 과숙성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포장된 김치를 유통 및 판매하는 기간 동안 김치가 변질되어 김치 특유의 맛과 향이 저감되게 되고, 김치 자체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파우치형 포장재(100) 상단 일측 표면에 원웨이밸브(200)를 부설함으로써 포장재(100) 내부에서 발생하는 탄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고, 외부의 산소가 포장재(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원웨이밸브(200) 상부에 공기 투과가 가능한 필름 형태의 방수부재(300)를 추가로 부설함으로써, 포장재 내외부로 액체가 유출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는, 김치 포장을 위한 파우치형 포장재(100) 상단 일측 표면에 탄산가스 배출을 위한 원웨이밸브(200)가 부설되어 구성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는, 김치 포장을 위한 파우치형 포장재(100) 상단 일측 표면에 탄산가스 배출을 위한 원웨이밸브(200)가 부설되고, 상기 원웨이밸브(200) 상부에는 공기 투과가 가능한 필름 형태의 방수부재(300)가 추가로 부설되어 구성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의 구조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는 포장재(100) 상단 일측 표면에 탄산가스 배출을 위한 원웨이밸브(200)가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포장재(100)는 다층구조로 이루어지되, 식품이 닿는 내측은 PE 필름층으로 형성되고, 외부와 접촉하는 외측은 PET 필름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PE 필름층과 PET 필름층 사이에는 알루미늄 필름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는 포장재(100) 상단 일측 표면에 탄산가스 배출을 위한 원웨이밸브(200)가 부설되어 있음으로써, 발효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산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탄산가스로 인해 포장재가 무제한적으로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포장재 내부로 산소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김치를 유통 및 판매하는 과정에서 김치가 과숙성되지 않도록 하여 김치 특유의 맛과 향이 변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원웨이밸브(200)는 파우치형 포장재(100) 내부의 탄산가스는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지만, 외부의 공기 또는 수분은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웨이밸브(200)는 방수가 가능한 합성수지 소재로 제조되어 있으므로 파우치형 포장재(100) 내부의 액체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원웨이밸브(200)는 방수가 가능한 합성수지 소재로 제조하되,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염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Chloride) 및 요소수지(Urea Resin)로 구성된 합성수지소재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웨이밸브(200)는 파우치형 포장재(100)의 상단 일측 표면에 부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원웨이밸브(200)는 파우치형 포장재(100)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의 상단보다 항상 위쪽에 위치할 수 있는 위치에 부설함으로써 원웨이밸브(200)가 내용물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가 가능한 합성수지 소재로 제조되어 액체의 유출입은 방지하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과 같이 공기가 한쪽 방향(One-way Line)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밸브는 모두 원웨이밸브(200)로 사용 가능하다. 즉, 다양한 원리 및 형태로 고안되되, 액체의 유출입은 방지하면서도 공기가 한쪽 방향(One-way Line)으로만 통할 수 있도록 공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는 모두 원웨이밸브(200)로 사용 가능하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원웨이밸브(200)는 내측에 밸브 타입으로 제작된 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원웨이밸브(200) 내측에 밸브 타입의 필름이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포장재(100) 내부의 내용물에서 발생한 가스로 인해 포장재(100) 내부의 압력이 높아질 경우 필름이 외측 방향으로 오픈되게 되어 내부의 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포장재(100) 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하가 될 경우 필름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원웨이밸브(200) 내측에 부착된 밸브 타입의 필름은 공기가 내부에서 외부(One-way Line)로만 통할 수 있도록 외측 방향으로 오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필름 상부에 실리콘부재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는 포장재(100) 상단 일측 표면에 탄산가스 배출을 위한 원웨이밸브(200)가 부설되어 있으며, 상기 원웨이밸브(200) 상부에는 공기 투과가 가능한 필름 형태의 방수부재(300)가 추가로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는 포장재(100) 상단 일측 표면에 탄산가스 배출을 위한 원웨이밸브(200)가 부설되어 있으며, 상기 원웨이밸브(200) 상부에는 공기 투과가 가능한 방수부재(300)가 추가로 부설되되, 상기 방수부재(300)는 상기 원웨이밸브(200) 보다 크거나 같은 크기로 이루어져, 상기 원웨이밸브를 덮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김치가 내장된 파우치형 포장재(100)를 유통 및 판매하는 과정에서 포장재(100)가 정방향으로 적재되지 않고 사방으로 흔들리게 되고, 상기 원웨이밸브 상부에 방수부재(300)가 추가로 부설되지 않은 경우에는 내용물에 포함된 액체가 소량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웨이밸브(200) 상부에 공기 투과가 가능한 필름 형태의 방수부재(300)가 추가로 부설되어 있음으로써, 발효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산가스를 외부로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우치형 포장재(100) 내부의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100)의 상단 일측 표면에 형성된 원웨이밸브(200) 상부에 공기 투과가 가능한 필름 형태의 방수부재(300)를 추가로 부설함으로써, 포장재(100)의 내외부로 액상 형태 물질이 유출입 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포장재(100)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이 변성 및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통 및 판매 과정에서 파우치형 포장재(100)의 적재상태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어 운반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방수부재(300)는 공기 투과가 가능한 방수 필름 형태로 형성되되, 포장재(100) 제작 시 원웨이밸브(200) 상부에 레이어층으로 일체 형성되거나, 사후에 부착 가능하도록 스티커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원웨이밸브(200) 상부에 방수부재(300)가 레이어층으로 일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100)를 제조하여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방수부재(300)를 스티커 형태로 제작하여 사후에 필요에 따라 방수부재(300)를 별도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서용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방수부재(300)는 공기 투과가 가능한 방수 필름 형태로 형성되되, LLDPE(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필름 또는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필름층 제작 시 필름용 수지에 탄산칼슘을 첨가함으로써 탄산칼슘이 필름층에 일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부재(300)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공기 투과가 가능한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으로도 구성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는 포장재(100) 상단 일측 표면에 원웨이밸브(200)가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원웨이밸브(200)는 방수가 가능한 합성수지 소재로 제조되어 액체의 유출입은 방지하고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은 차단하면서도 포장재(100) 내부의 탄산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원웨이밸브(200) 상부에는 공기 투과가 가능한 필름 형태의 방수부재(300)가 추가로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김치를 포장하여 유통 및 판매하는 과정에서 포장재(100) 내부에서 발생하는 탄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여 탄산가스로 인해 포장재(100)가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산소가 포장재(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김치가 과숙성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포장재(100) 내외부로 액체가 유출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100 : 포장재
200 : 원웨이밸브
300 : 방수부재

Claims (4)

  1. 김치 포장을 위한 파우치형 포장재에 있어서,
    포장재(100) 상단 일측 표면에 탄산가스 배출을 위한 원웨이밸브(200)가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밸브(200)는,
    방수가 가능한 합성수지 소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밸브(200) 상부에는 공기 투과가 가능한 필름 형태의 방수부재(300)가 추가로 부설되되,
    상기 방수부재(300)는,
    상기 원웨이밸브(200) 보다 크거나 같은 크기로 이루어져, 상기 원웨이밸브(200)를 덮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재(300)는,
    공기 투과가 가능한 방수 필름 형태로 형성되되,
    포장재 제작 시 원웨이밸브(200) 상부에 레이어층으로 일체 형성되거나, 사후에 부착 가능하도록 스티커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
KR1020160144981A 2016-11-02 2016-11-02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 KR201800479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981A KR20180047983A (ko) 2016-11-02 2016-11-02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981A KR20180047983A (ko) 2016-11-02 2016-11-02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983A true KR20180047983A (ko) 2018-05-10

Family

ID=62185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981A KR20180047983A (ko) 2016-11-02 2016-11-02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79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400A (ko) 2018-10-03 2020-04-13 소윤섭 가스 또는 증기의 배출 기능을 갖는 발효식품 및 즉석식품 포장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400A (ko) 2018-10-03 2020-04-13 소윤섭 가스 또는 증기의 배출 기능을 갖는 발효식품 및 즉석식품 포장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4153A (en) Modified atmosphere package with accelerated reduction of oxygen level in meat compartment
US8051998B1 (en) Product container with integral selective membrane
TW429300B (en) Thermally insulated packaging for temperature sensitive products
US20160332781A1 (en) Paper bag
US20110293802A1 (en) Banana Storage and Shipping Bags
ATE438504T1 (de) Verpackung
CN101720188B (zh) 用于香蕉的受控气氛包装
KR20180047983A (ko) 김치 포장용 파우치형 포장재
JP2017124841A (ja) 内容物の鮮度保持用に好適な包装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KR101458084B1 (ko) 발효식품용 포장지
CN105722681A (zh) 叠层膜、包装材料和包装袋
US9126734B2 (en) Self venting steam valve for flexible packaging bags and pouches used in cooking of foods
US10071834B2 (en) Paper sack
JP2003169598A (ja) 鮮度保持包装材、青果物の包装体及び鮮度保持包装方法
US20150079252A1 (en) Banana storage and shipping bags
KR20140114685A (ko) 발효식품용 포장지
JP6735250B2 (ja) レタスを含む青果物の鮮度保持性能に優れた包装体、及び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JP6728104B2 (ja) 青果物の包装体、及び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KR20160003271U (ko) 포장용 파우치
JP6694846B2 (ja) レタスを含む青果物の鮮度保持性能に優れた包装体、及びレタスを含む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JP6728102B2 (ja) 青果物の包装体
KR101059499B1 (ko) 발효식품 포장 용기
JP3216401U (ja) 野菜の包装体
KR100924712B1 (ko) 우주환경에서 사용될 김칫국물 흡수 및 압력평형 기능이내재된 우주김치 포장용 용기
JP4049924B2 (ja) 青果物鮮度保持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