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6886A - 기판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용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46886A KR20180046886A KR1020170140213A KR20170140213A KR20180046886A KR 20180046886 A KR20180046886 A KR 20180046886A KR 1020170140213 A KR1020170140213 A KR 1020170140213A KR 20170140213 A KR20170140213 A KR 20170140213A KR 20180046886 A KR20180046886 A KR 201800468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xis direction
- housing
- hole
- board
- board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17—Snap means
- H01R12/7023—Snap means integral with the coupling devi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기판용 커넥터는 프린트 기판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직교하는 방향(+Y축 방향)에 연재하는 도체 스웨이징부로 이뤄지는 L자 형상의 핀 단자와, 프린트 기판의 일 주면(+Z측의 면)에 배치되고, 도체 스웨이징부의 적어도 단부를 수용하고, 도체 스웨이징부에 접속되는 케이블이 삽통되는 개구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기판용 커넥터는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며, 프린트 기판의 관통 구멍을 통해서 프린트 기판의 타 주면(-Z측의 면)으로 돌출되며, 삽입부를 향하는 방향과는 역방향(+Y축 방향)에 연재하고, 또한 프린트 기판으로 향해 연재하는 J자 형상의 보스부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판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기판에 커넥터를 실장하는 기술로서 핀의 딥부에 대향하는 빠짐방지 걸림고정 클로를 갖는 돌기부를 하우징에 마련하고, 돌기부를 돌기부용 관통 구멍에 삽입하고, 빠짐방지 걸림고정 클로를 기판의 다른쪽의 주면에 계합시키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커넥터를 다른 부재에 고정하는 기술로서, 선단부에 한쌍의 탄성 걸림고정편을 구비한 클립을 사용하는 것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의 클립 참조). 이 기술에서는, 관통 구멍에 클립을 삽입하고, 한쌍의 탄성 걸림고정편을 관통 구멍의 가장자리에 계합시킨다.
특허문헌 1에 기재의 기판용 커넥터에서는, 빠짐방지 걸림고정 클로가 핀의 딥부에 대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케이블의 조작 등에 의해, 커넥터의 단부에 상향의 강한 힘이 작용하면, 핀의 기판에의 고정 부분을 지점으로 하는 회동에 의해 하우징이 케이블 측으로 인장된다. 그리고, 빠짐방지 걸림고정 클로의 기판과의 계합이 얕아지고, 빠짐방지 걸림고정 클로가 기판으로부터 분리되어, 계합이 해제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의 커넥터는, 한쌍의 탄성 걸림고정편이 기판의 2개소에 계합하고 있는 상태로 계류(장착)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나, 한쌍의 탄성 걸림고정편의 한쪽이 장착 대상물로부터 분리되어 버리면, 다른쪽의 계합도 해제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커넥터는 기판 등의 장착 대상물로부터 분리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뤄진 것이며, 기판으로부터 분리되기 어려운 기판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기판용 커넥터는,
제 1 관통 구멍과 제 2 관통 구멍을 갖는 기판에 장착되는 기판용 커넥터에서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재하는 접속부로 이뤄지는 L자 형상의 핀 단자와,
상기 접속부의 적어도 단부를 수용하고, 상기 접속부에 접속되는 케이블이 삽통되는 개구를 구비하는, 상기 기판의 일 주면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관통 구멍을 통해서 상기 기판의 타 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삽입부를 향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연재하고, 또한 상기 기판으로 향해 연재하는 J자 형상의 보스부를 구비한다.
상기 보스부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기판의 타 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를 향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연재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기판으로 향해 반전하는 반전부와,
상기 반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기판으로 향해 연재하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선단부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선단부는, 상기 반전부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상기 삽입부를 향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의 두께 치수가 작아지는 형상을 가져도 좋다.
상기 보스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접속부가 연재하는 방향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핀 단자는 상기 삽입부에 직교하고, 또한 상기 접속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사이를 두고서 복수 배치되며,
상기 보스부는 상기 핀 단자가 배치된 방향으로 서로 사이를 두고서 복수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관한 기판용 커넥터는 기판으로부터 분리되기 어려워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기판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판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기판용 커넥터의 뒤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기판용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6의 (A) 내지 (D)는 기판용 커넥터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1)은 기판용 커넥터가 기판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의 (A2)는 도 7의 (A1)의 보스부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7의 (B1)은 보스부의 선단부가 기판에 계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의 (B2)는 도 7의 (B1)의 보스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의 (A1)은 한쌍의 탄성 걸림고정편을 갖는 비교예의 보스부를 구비하는 기판용 커넥터가 기판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8의 (A2)는 도8의 (A1)의 보스부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8의 (B1)은 비교예의 보스부의 계합이 해제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8의 (B2)는 도 8의 (B1)의 보스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의 (A1)은 비교예의 보스부의 계합이 해제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9의 (A2)는 도 9의 (A1)의 보스부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9의 (B1)은 비교예의 보스부의 계합이 해제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9의 (B2)는 도 9의 (B1)의 보스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기판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기판용 커넥터의 뒤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기판용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6의 (A) 내지 (D)는 기판용 커넥터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1)은 기판용 커넥터가 기판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의 (A2)는 도 7의 (A1)의 보스부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7의 (B1)은 보스부의 선단부가 기판에 계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의 (B2)는 도 7의 (B1)의 보스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의 (A1)은 한쌍의 탄성 걸림고정편을 갖는 비교예의 보스부를 구비하는 기판용 커넥터가 기판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8의 (A2)는 도8의 (A1)의 보스부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8의 (B1)은 비교예의 보스부의 계합이 해제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8의 (B2)는 도 8의 (B1)의 보스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의 (A1)은 비교예의 보스부의 계합이 해제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9의 (A2)는 도 9의 (A1)의 보스부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9의 (B1)은 비교예의 보스부의 계합이 해제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9의 (B2)는 도 9의 (B1)의 보스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기판용 커넥터(1)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7을 이용해 설명한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XYZ 직교 좌표계를 설정하고, 적당 참조한다. 이하, -Z축 방향을 후술하는 핀 단자(10)의 삽입부(11)의 연재 방향, +Y축 방향을 핀 단자(10)의 도체 스웨이징부(12)의 연재하는 방향으로 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용 커넥터(1)는 XY 평면에 배치된 프린트 기판(2)(기판)의 +Z측의 면인 한쪽의 주면(일 주면)에 실장된다. 기판용 커넥터(1)는 핀 단자(10)와, 하우징(20)과, 보스부(50)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 단자(10)는 도체, 예를 들면 동,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의 판재를 휨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핀 단자(1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자 형상으로 성형되고, -Z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삽입부(11)와, +Y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도체 스웨이징부(접속부)(12)를 구비한다. 핀 단자(10)의 도체 스웨이징부(12)는 피복 스웨이징부(13)를 거쳐서, 케이블(14)의 심선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피복 스웨이징부(13)는 핀 단자(10)와 일체의 부재로 구성되며, 핀 단자(10)의 도체 스웨이징부(12)를 거쳐서 삽입부(11)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피복 스웨이징부(13)는 절연 피복이 제거되어 심선 도체가 노출된 케이블(14)의 단부에 연결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핀 단자(10)와 케이블(14)의 심선 도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하우징(20)은 절연 소재인 고분자 수지로부터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핀 단자(10)와, 피복 스웨이징부(13)와, 케이블(14)의 단부를 수용해 보호한다. 하우징(20)은 천판(21)과, 2개의 측벽(22, 23)과, 2개의 칸막이 벽(24, 25)을 구비하고 있다. 측벽(22)은 천판(21)의 -X축 방향의 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측벽(23)은 천판(21)의 +X축 방향의 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칸막이 벽(24, 25)은 2개의 측벽(22, 23) 사이에 배치되고, 2개의 측벽(22, 23)의 사이의 영역을 X축 방향으로 3분할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20)은, 측벽(22)의 바닥부(-Z축 방향의 단부)로부터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판(26)과, 칸막이 벽(24)의 바닥부로부터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판(27)과, 칸막이 벽(25)의 바닥부로부터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판(28)을 구비하고 있다. 바닥판(26)과 칸막이 벽(24)과의 사이, 바닥판(27)과 칸막이 벽(25)과의 사이, 및 바닥판(28)과 측벽(23)과의 사이에는, 슬릿(2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슬릿(29)은 핀 단자(10)의 삽입부(11)는 통과 가능하지만, 도체 스웨이징부(12)는 통과할 수 없는 폭을 갖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판(21)과 측벽(22)과 바닥판(26)과 칸막이 벽(24)으로 둘러싸진 영역, 천판(21)과 칸막이 벽(24)과 바닥판(27)과 칸막이 벽(25)으로 둘러싸진 영역, 및 천판(21)과 칸막이 벽(25)과 바닥판(28)과 측벽(23)으로 둘러싸진 영역은, 각각 피복 스웨이징부(13)와 케이블(14)의 단부와 도체 스웨이징부(12)의 단부가 수용되는 수용 영역(30)을 형성한다. 하우징(20)은, +Y축 방향의 단부에, 수용 영역(30)에 통하는 개구(31)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20)은, -Y축 방향의 단부에, 핀 단자(10)의 수용 영역(30) 외부에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스토퍼(35), 랜스(36), 스토퍼(37)를 구비하고 있다. 스토퍼(35)는 천판(21)에 일체로 형성되고,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스토퍼(35)는, 하우징(20)에 삽입된 핀 단자(10)가 수용 영역(30)을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랜스(36)는 측벽(22) 또는 칸막이 벽(24, 25)에 일체로 형성되고, +Y축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랜스(36)는, 하우징(20)에 삽입된 핀 단자(10)가 수용 영역(30)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핀 단자(10)를 압압한다. 따라서, 핀 단자(10)는 하우징(20)에 고정된다. 스토퍼(37)는 바닥판(26, 27, 28)에 일체로 형성되고,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스토퍼(37)는, 스토퍼(35)와 함께, 핀 단자(10)가 수용 영역(30)을 빠져나가지 않게 하기 위한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 단자(10)와 피복 스웨이징부(13)와 케이블(14)은, 연결된 상태로, 하우징(20)의 개구(31)(도 4 참조)에 삽입된다. 이때, 핀 단자(10)의 삽입부(11)를 슬릿(29)에 통하면서, 피복 스웨이징부(13)를 수용 영역(30)에 삽입한다(도 3 참조). 도체 스웨이징부(12)가 랜스(36)에 고정되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복 스웨이징부(13)와 케이블(14)의 단부와 도체 스웨이징부(12)의 단부가 수용 영역(30)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모든 수용 영역(30)에 피복 스웨이징부(13)가 수용되면, 핀 단자(10)는 X축 방향으로 서로 사이를 두고서 3개 배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스부(50)는, 하우징(20)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20)의 +Y축 방향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보스부(50)는 X축 방향으로 서로 사이를 두고서 2개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스부(50)는 J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단부(51)와, 돌출부(52)와, 반전부(53)와, 선단부(54)를 구비하고 있다.
기단부(51)는 하우징(20)의 바닥판(26) 또는 바닥판(28)에 연결되고, -Z축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돌출부(52)는 기단부(51)에 연결되고, -Z축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기단부(51)의 -Y축 방향의 측면과, 돌출부(52)의 -Y축 방향의 측면은 면일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2)의 +Y축 방향의 치수는 기단부(51)의 +Y축 방향의 치수보다 작게 되어 있다. 기단부(51)의 +Y축 방향의 측면과, 돌출부(52)의 +Y축 방향의 측면과의 사이에는, 단차(55)가 형성되어 있다.
반전부(53)는 돌출부(52)에 연결되고, 삽입부(11)를 향하는 방향(D1)과는 역방향(D2)으로 연재하는 것과 동시에 +Z축 방향으로 반전하고 있다. 여기서, 방향(D1)은 -Y 방향과 동일 방향이며, 역방향(D2)은 +Y 방향과 동일 방향이다. 선단부(54)는 반전부(53)에 연결되고, +Z축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돌출부(52)와 선단부(54)와의 사이에는, 공간(5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전부(53) 및 선단부(54)는 하우징(20)의 +Y축 방향의 측면보다 +Y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54)는 Z축으로 직교하는 평면(541)을 구비하고 있다. 평면(541)과 기단부(51)의 단차(55)까지의 거리(L)는 프린트 기판(2)의 두께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기판용 커넥터(1)가 프린트 기판(2)에 실장될 때, 평면(541)과 기단부(51)의 단차(55)와의 사이에, 프린트 기판(2)의 일부가 끼어들어가는 일이 없고, 기단부(51)는 프린트 기판(2)의 관통 구멍(2b)(도 1 참조)에 부드럽게 삽입된다.
또한, 평면(541)으로부터 하우징(20)의 바닥판(26, 27, 28)(-Z측의 면)까지의 거리(L'), 즉 평면(541)으로부터 프린트 기판(2)의 하면까지의 거리(L')는 프린트 기판(2)의 두께보다 조금 크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선단부(54)의 반전부(53)에 인접한 부분은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변형부(542)로 되어 있다. 선단부(54)는, -Z축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즉 반전부(53)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Y축 방향의 두께 치수가 작게 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선단부(54)의 +Y축 방향의 측면은 -Z축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Y축 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선단부(54)는 프린트 기판(2)의 관통 구멍(2b)에의 보스부(50)의 삽입 때, 탄성변형부(542) 부근을 기점으로 해서, 돌출부(52)에 가까워지는 방향(-Y축 방향)으로 경사넘어짐 가능하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2)은 관통 구멍(제 1 관통 구멍)(2a)과, 관통 구멍(제 2 관통 구멍)(2b)을 구비하고 있다. 관통 구멍(2a)은 핀 단자(10)의 삽입부(11)용의 구멍이며, 핀 단자(10)의 삽입부(11)를 삽입 가능한 직경 치수를 갖고 있다. 관통 구멍(2a)의 연부에는, 도체 패턴(2c)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2a)은, 모든 핀 단자(10)의 삽입부(11)가 삽입되도록, X축 방향으로 핀 단자(10)와 동일한 피치로 3개 배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2b)은 보스부(50)용의 구멍이며, 보스부(50)의 기단부(51)보다 조금 크고, 기단부(51)를 삽입 가능한 직경 치수를 갖고 있다. 관통 구멍(2b)은 X축 방향으로 보스부(50)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서 2개 배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2a)의 중심과 관통 구멍(2b)의 중심과의 Y축 방향의 거리는, 핀 단자(10)의 삽입부(11)의 중심으로부터 보스부(50)의 중심까지의 Y축 방향의 거리와 거의 동일하다.
다음에, 프린트 기판(2)에의 기판용 커넥터(1)의 설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 단자(10)의 도체 스웨이징부(12)와 케이블(14)의 도체의 단부를 피복 스웨이징부(13)에 의해 접속한다. 다음에, 핀 단자(10)를 선두로 해서 케이블(14)을 하우징(20)의 개구(31)(도 4 참조)에 삽입한다. 이 때, 핀 단자(10)의 삽입부(11)를 슬릿(29)에 통과시키면서, 피복 스웨이징부(13)를 수용 영역(30)에 삽입한다. 삽입 완료되면, 도체 스웨이징부(12)가 랜스(36)에 고정되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복 스웨이징부(13)와 케이블(14)의 단부와 도체 스웨이징부(12)의 단부가 수용 영역(30)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다음에,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 단자(10)의 삽입부(11)를 프린트 기판(2)의 관통 구멍(2a)에 삽입하는 것과 동시에, 보스부(50)를 프린트 기판(2)의 관통 구멍(2b)에 삽입한다. 이 때,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스부(50)의 선단부(54)가 관통 구멍(2b)의 연부에 당접한다. 다만, 선단부(54)는 탄성변형부(542)를 갖고 있고, 또한 돌출부(52)와 선단부(54)와의 사이에 공간(56)이 있다. 따라서, 선단부(54)는 도 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5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넘어진다. 그리고, 선단부(54)가 관통 구멍(2b)으로부터 빠지면, 선단부(54)는 도 6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래의 자세로 복귀한다.
이어서, 삽입부(11)와 관통 구멍(2a)의 연부에 형성된 도체 패턴(2c)을 납땜한다. 이와 같이 해서, 핀 단자(10)의 삽입부(11)가 프린트 기판(2)에 형성된 회로에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7의 (A1) 및 (A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용 커넥터(1)는 납땜된 삽입부(11)와 보스부(50)에 의해 프린트 기판(2)에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케이블(14)이 들어 올려진 경우 등, 하우징(20)의 +Y축 방향의 단부에 +Z축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핀 단자(10)의 프린트 기판(2)에 고정된 부분 또는 핀 단자(10)의 굴곡 부분을 지점으로 해서, 하우징(20)이 도 7의 (B1)의 화살표(K)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러면, 도 7의 (B1) 및 (B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54)의 평면(541)이 프린트 기판(2)의 -Z측의 면인 다른쪽의 주면(타 주면)에 당접하고, 보스부(50)가 프린트 기판(2)의 다른쪽의 주면에 걸림고정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하우징(20)의 회동이 정지한다. 또한, 하우징(20)에 +Z축 방향의 힘이 작용해도, 선단부(54)가 프린트 기판(2)에 당접하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20)의 회동은 제한된다. 이 때, 보스부(50)의 선단부(54)에는, +Y축 방향에의 힘이 작용한다. +Y축 방향에의 힘이 작용한 것에 의해 선단부(54)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해도, 선단부(54)가 프린트 기판(2)으로부터 분리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기판용 커넥터(1)는, +Z축 방향에의 힘이 더해져도, 프린트 기판(2)으로부터 분리되는 일은 없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판용 커넥터(1)와 비교하기 위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보스부와 마찬가지로, 한쌍의 탄성 걸림고정편을 갖는 비교예의 보스부를 구비하는 기판용 커넥터(100)에 대해서, 도 8 및 도 9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 1 내지 도 7과 마찬가지로 XYZ의 직교좌표계를 설정하고, 적당 참조한다. 또한, 기판용 커넥터(100)는 기판용 커넥터(1)의 핀 단자(10) 및 하우징(20)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도 8의 (A1) 및 (A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용 커넥터(100)는 한쌍의 탄성 걸림고정편을 갖는 보스부(150)를 구비한다. 보스부(150)는 하우징(20)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우징(20)의 Y축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8의 (A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스부(150)는 기단부(151)와, 돌출부(152)와, 반전부(153a, 153b)와, 선단부(154a, 154b)를 구비하고 있다. 반전부(153a) 및 선단부(154a), 반전부(153b) 및 선단부(154b)에 의해서, 한쌍의 탄성 걸림고정편이 구성된다.
기단부(151)는 하우징(20)의 바닥판(26) 또는 바닥판(28)에 연결되고, -Z축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돌출부(152)는 기단부(151)에 연결되고, -Z축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돌출부(152)의 Y축 방향의 치수는 기단부(151)의 Y축 방향의 치수보다 작다. 기단부(151)의 +Y축 방향의 측면과, 돌출부(152)의 +Y축 방향의 측면과의 사이에는, 단차(155a)가 형성되어 있다. 기단부(151)의 -Y축 방향의 측면과 돌출부(152)의 -Y축 방향의 측면과의 사이에는, 단차(155b)가 형성되어 있다.
반전부(153a)는 돌출부(152)에 연결되고, +Y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것과 동시에 +Z축 방향으로 반전하고 있다. 선단부(154a)는 반전부(153a)에 연결되고, +Z축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돌출부(152)와 선단부(154a)와의 사이에는, 공간(156a)이 형성되어 있다. 반전부(153b)는 돌출부(152)에 연결되고, -Y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것과 동시에 +Z축 방향으로 반전하고 있다. 선단부(154b)는 반전부(153b)에 연결되고, +Z축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돌출부(152)와 선단부(154b)와의 사이에는, 공간(156b)이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154a, 154b)는 Z축으로 직교하는(XY면에 평행한) 평면(1541a, 1541b)을 구비하고 있다. 선단부(154a, 154b)는, -Z축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즉 반전부(153a, 153b)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Y축 방향의 두께 치수가 작아지는 형상을 갖고 있다. 선단부(154a, 154b)의 반전부(153a, 153b)에 인접한 부분은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변형부(1542a, 1542b)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선단부(154a)는, 탄성변형부(1542a) 부근을 기점으로 해서, 돌출부(152)에 가까워지는 방향(-Y축 방향)으로 경사넘어짐 가능하다. 또한, 선단부(154b)는, 프린트 기판(2)의 관통 구멍(2b)에의 보스부(150)의 삽입 시에, 탄성변형부(1542b) 부근을 기점으로 해서, 돌출부(152)에 가까워지는 방향(+Y축 방향)으로 경사넘어짐 가능하다.
또한, 선단부(154a, 154b)는 평면(1541a, 1541b)에서 +Z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규제부(1543a, 1543b)를 구비한다. 규제부(1543a)가 관통 구멍(2b)의 내벽에 당접하면, 선단부(154a)의 +Y축 방향에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규제부(1543b)가 관통 구멍(2b)의 내벽에 당접하면, 선단부(154b)의 -Y축 방향에의 이동이 규제된다.
도 8의 (A1), (A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용 커넥터(100)가 프린트 기판(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보스부(150)의 기단부(151)는 관통 구멍(2b)에 삽입되고, 선단부(154a, 154b)는 프린트 기판(2)으로 향해 연재한다.
케이블(14)이 들어 올려지는 등의 이유에 의해, 하우징(20)의 +Y축 방향의 단부에 +Z축 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하우징(20)이 도 8의 (B1)의 화살표(K)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어서, 선단부(154a, 154b)의 평면(1541a, 1541b)이 프린트 기판(2)의 -Z측의 면에 당접하고, 보스부(150)가 프린트 기판(2)에 계합하는 상태로 되고, 하우징(20) 및 보스부(150)의 회동이 정지한다.
또한, 하우징(20)에 +Z축 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규제부(1543b)가 관통 구멍(2b)의 내벽에 당접하고, 선단부(154b)의 -Y축 방향에의 이동이 규제되는 것과 동시에, 돌출부(152)가 선단부(154b)에 가까워진다. 돌출부(152)가 선단부(154b)에 가까워지면, 거기에 따라 선단부(154a)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도 8의 (B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154a)가 프린트 기판(2)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하우징(20)이, 도 9의 (A1)의 화살표(K)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도 9의 (A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스부(150)의 선단부(154b)의 평면(1541b)이 기울고, 도 9의 (B1) 및 (B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154b)가 +Y축 방향으로 어긋나 프린트 기판(2)으로부터 분리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비교예의 보스부(150)를 구비하는 기판용 커넥터(100)에서는, 선단부(154a)가 프린트 기판(2)으로부터 분리되어 버리면, 선단부(154b)나 프린트 기판(2)으로부터 분리되어 버려, 프린트 기판(2)에의 계합이 해제되어 버린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보스부(150)는 하우징(20)의 Y축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케이블(14)을 들어 올린 경우에는, 하우징(20)의 +Y축 방향의 단부가 역점이 되어, 핀 단자(10)의 프린트 기판(2)에 고정된 부분 또는 핀 단자(10)의 굴곡 부분이 지점이 되고, 보스부(150)의 기단부가 작용점이 된다. 이 때문에, 하우징(20)의 +Y축 방향의 단부에 작용하는 힘보다 큰 힘이 보스부(150)에 작용한다. 따라서, 하우징(20)에 작용하는 힘이 작은 경우에서도, 선단부(154a, 154b)가 프린트 기판(2)으로부터 분리되고, 프린트 기판(2)에의 계합이 해제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것으로부터도, 본 실시형태의 기판용 커넥터(1)가 프린트 기판(2)으로부터 분리되기 어려운 것이 이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판용 커넥터(1)는 프린트 기판(2)의 관통 구멍(2a)에 삽입되는 삽입부(11)와 상기 삽입부(11)에 직교하는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도체 스웨이징부(12)로 구성되는 L자 형상의 핀 단자(10)와, 도체 스웨이징부(12)의 적어도 단부를 수용하고, 도체 스웨이징부(12)에 접속되는 케이블(14)이 삽통되는 개구(31)를 갖는, 프린트 기판(2)의 한쪽의 주면에 배치되는 하우징(2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기판용 커넥터(1)는 하우징(20)에 일체로 형성되며, 프린트 기판(2)의 관통 구멍(2b)을 통해서 프린트 기판(2)의 다른쪽의 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삽입부(11)를 향하는 방향(D1)과는 역방향(D2)(+Y축 방향)으로 연재하고, 또한 프린트 기판(2)으로 향해 연재하는 J자 형상의 보스부(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케이블(14)의 부주의한 조작이나 진동 등으로, 하우징(20)에 +Z축 방향의 힘이 작용해도, 보스부(50)의 프린트 기판(2)에의 계합이 해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기판용 커넥터(1)에 있어서는, 보스부(50)는 하우징(20)에 연결되고, 프린트 기판(2)의 관통 구멍(2b)에 삽입되는 기단부(51)와, 기단부(51)에 연결되고, 프린트 기판(2)의 다른쪽의 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52)와, 돌출부(52)에 연결되고, 삽입부(11)를 향하는 방향(D1)과는 역방향(D2)(+Y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것과 동시에 프린트 기판(2)으로 향해 반전하는 반전부(53)와, 반전부(53)에 연결되고, 프린트 기판(2)으로 향해 연재하는 선단부(5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돌출부(52)와 선단부(54)와의 사이에 공간(5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우징(20)에 +Z축 방향의 힘이 작용해도, 선단부(54)가 프린트 기판(2)의 다른쪽의 주면에 당접하고, 보스부(50)의 프린트 기판(2)에의 계합이 해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기판용 커넥터(1)에 있어서는, 선단부(54)는, 반전부(53)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삽입부(11)를 향하는 방향(D1)과는 역방향(D2)(+Y축 방향)의 두께 치수가 작아지는 형상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선단부(54)의 반전부(53)에 인접한 부분이 탄성변형부(542)가 되어, 보스부(50)를 프린트 기판(2)의 관통 구멍(2b)에 삽입할 경우에, 선단부(54)가 돌출부(52)에 가까워질 방향으로 경사넘어지므로, 선단부(54)가 방해가 되는 일이 없고, 보스부(50)를 프린트 기판(2)의 관통 구멍(2b)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기판용 커넥터(1)에 있어서는, 보스부(50)는 하우징(20)의 삽입부(11)를 향하는 방향(D1)과는 역방향(D2)(+Y축 방향)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우징(20)의 +Y축 방향의 단부에 +Z축 방향의 힘이 작용해도, 이 힘보다 큰 힘이 보스부(50)에 작용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기판용 커넥터(1)에 있어서는, 핀 단자(10)는 삽입부(11)에 직교하고, 또한 도체 스웨이징부(12)에 직교하는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사이를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보스부(50)는, 핀 단자(10)가 배치된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사이를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우징(20)이 전체적으로 Y축 방향보다 X축 방향으로 긴 직방체로 형성되어 있었다고 해도, 보스부(50)의 프린트 기판(2)에의 계합이 해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핀 단자(10)를 삽입부(11)와 도체 스웨이징부(12)를 갖는 L자형의 것으로 했지만, 핀 단자(10)는 케이블(14)과 기판상의 회로 패턴을 접속할 수 있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핀 단자(10)와 피복 스웨이징부(13)는 서로 일체가 된 핀 접속 단자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핀 단자(10)와 피복 스웨이징부(13)는 별도의 부재여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핀 단자(10)와 피복 스웨이징부(13)와 케이블(14)이 연결된 상태로, 핀 단자(10)를 선두로 해서 케이블(14)을 하우징(20)의 개구(31)에 삽입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하우징(20)의 천판(21)의 -Y축 방향의 측부에 측벽을 구비하고, 이 측벽에 핀 단자(10)의 도체 스웨이징부(12)를 관통시켜 고정해도 좋다. 그리고, 도체 스웨이징부(12)에 끼워맞추는 접속 단자를 연결한 케이블(14)을 개구(31)에 삽입하고, 접속 단자를 도체 스웨이징부(12)에 끼워맞추는 것으로, 핀 단자(10)와 케이블(14)의 심선 도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해도 좋다.
하우징(20)은, 핀 단자(10)와 피복 스웨이징부(13)와 케이블(14)의 접속 부분을 수용해서 지지할 수 있으면, 그 구성은 임의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스부(50)를, 기단부(51)와 돌출부(52)와 반전부(53)와 선단부(54)에 의해 구성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보스부(50)는 관통 구멍(2b)을 통해서 프린트 기판(2)의 다른쪽의 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삽입부(11)를 향하는 방향과는 역방향(+Y축 방향)에 연재하고, 또한 프린트 기판(2)으로 향해 연재하는 J자 형상의 것이면 좋다. 예를 들면, 보스부(50)는 -Z축 방향으로 연재하고, +Y축 방향에 직각으로 구부러진 후에 +Y축 방향으로 연재하고, 또한 +Z축 방향에 직각으로 구부러진 후에 +Z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러한 보스부(50)의 형상도 J자 형상이라고 한다.
또한, XY면에 평행한 평면(541)을 구비하는 선단부(54)를 예시했지만,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프린트 기판(2)에 계합 가능하면, 그 형상은 임의이다. 예를 들면, 평면(541)은 XY면에 평행이 아니어도 좋고, 또한 평탄하지 않아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핀 단자(10)를 X축 방향으로 3개 배치하고, 보스부(50)를 X축 방향으로 2개 배치했다.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핀 단자(10) 및 보스부(50)의 수는 임의이다. 예를 들면, 핀 단자(10)의 수를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하고, 보스부(50)의 수를 3개 이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핀 단자(10)와 보스부(50)와의 수를 동일하게 해도 좋고, 상이하게 해도 좋다. 핀 단자(10)의 수와 보스부(50)의 수를 1개로 해도 좋다. 또한, 핀 단자(10)의 수를 복수로 하고, 보스부(50)의 수를 1개로 해도 좋고, 핀 단자(10)의 수를 1개로 하고, 보스부(50)의 수를 복수로 해도 좋다.
그 외, 상술한 재질, 형상 및 사이즈는 일례이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광의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이 없이, 여러가지 실시형태 및 변형이 가능으로 여겨지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기판용 커넥터
2: 프린트 기판(기판)
2a: 관통 구멍(제 1 관통 구멍) 2b: 관통 구멍(제 2 관통 구멍)
2c: 도체 패턴 10: 핀 단자
11: 삽입부 12: 도체 스웨이징부(접속부)
13: 피복 스웨이징부 14: 케이블
20: 하우징 21: 천판
22, 23: 측벽 24, 25: 칸막이 벽
26, 27, 28: 바닥판 29: 슬릿
30: 수용 영역 31: 개구
35, 37: 스토퍼 36: 랜스
50: 보스부 51: 기단부
52: 돌출부 53: 반전부
54: 선단부 55: 단차
56: 공간 541: 평면
542: 탄성변형부 100: 기판용 커넥터
150: 보스부 151: 기단부
152: 돌출부 153a, 153b: 반전부
154a, 154b: 선단부 155a, 155b: 단차
156a, 156b: 공간 1541a, 1541b: 평면
1542a, 1542b: 탄성변형부 1543a, 1543b: 규제부
L, L': 거리 K: 화살표
D1: 방향 D2: 역방향
2a: 관통 구멍(제 1 관통 구멍) 2b: 관통 구멍(제 2 관통 구멍)
2c: 도체 패턴 10: 핀 단자
11: 삽입부 12: 도체 스웨이징부(접속부)
13: 피복 스웨이징부 14: 케이블
20: 하우징 21: 천판
22, 23: 측벽 24, 25: 칸막이 벽
26, 27, 28: 바닥판 29: 슬릿
30: 수용 영역 31: 개구
35, 37: 스토퍼 36: 랜스
50: 보스부 51: 기단부
52: 돌출부 53: 반전부
54: 선단부 55: 단차
56: 공간 541: 평면
542: 탄성변형부 100: 기판용 커넥터
150: 보스부 151: 기단부
152: 돌출부 153a, 153b: 반전부
154a, 154b: 선단부 155a, 155b: 단차
156a, 156b: 공간 1541a, 1541b: 평면
1542a, 1542b: 탄성변형부 1543a, 1543b: 규제부
L, L': 거리 K: 화살표
D1: 방향 D2: 역방향
Claims (5)
- 제 1 관통 구멍과 제 2 관통 구멍을 갖는 기판에 장착되는 기판용 커넥터에서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재하는 접속부로 이뤄지는 L자 형상의 핀 단자와,
상기 접속부의 적어도 단부를 수용하고, 상기 접속부에 접속되는 케이블이 삽통되는 개구를 구비하는, 상기 기판의 일 주면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관통 구멍을 통해서 상기 기판의 타 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삽입부를 향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연재하고, 또한 상기 기판으로 향해 연재하는 J자 형상의 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용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기판의 타 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를 향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연재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기판으로 향해 반전하는 반전부와,
상기 반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기판으로 향해 연재하는 선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선단부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용 커넥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상기 반전부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상기 삽입부를 향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의 두께 치수가 작아지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용 커넥터.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접속부가 연재하는 방향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용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 단자는 상기 삽입부에 직교하고, 또한 상기 접속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사이를 두고서 복수 배치되며,
상기 보스부는 상기 핀 단자가 배치된 방향으로 서로 사이를 두고서 복수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6-212035 | 2016-10-28 | ||
JP2016212035A JP6515900B2 (ja) | 2016-10-28 | 2016-10-28 | 基板用コネクタ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6886A true KR20180046886A (ko) | 2018-05-09 |
Family
ID=60162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0213A KR20180046886A (ko) | 2016-10-28 | 2017-10-26 | 기판용 커넥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122103B2 (ko) |
EP (1) | EP3316405A1 (ko) |
JP (1) | JP6515900B2 (ko) |
KR (1) | KR20180046886A (ko) |
CN (1) | CN108011231B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7554A (ko) | 2018-07-13 | 2020-01-22 | 케이시시정공 주식회사 | 터미널 일체형 pcb 어셈블리 |
US11764504B2 (en) | 2019-08-20 | 2023-09-19 | Lg Energy Solution, Ltd. | Connect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785261B2 (ja) * | 2018-05-11 | 2020-11-18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ユニット |
DE102018126148A1 (de) * | 2018-10-22 | 2020-04-23 |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 Elektrischer Verbinder zum Anschluss elektrischer Leiter an eine Leiterplatte |
JP7155987B2 (ja) * | 2018-12-14 | 2022-10-19 | 住友電装株式会社 | ハーネス部品 |
US11362448B2 (en) * | 2020-06-01 | 2022-06-14 | Tag-Connect, Llc | Connector having latching pins that change angle for mounting to a circuit board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501736A (en) * | 1967-12-07 | 1970-03-17 | Whitaker Cable Corp | Multiple terminal electrical connector |
FR2137167B1 (ko) | 1971-05-14 | 1973-05-11 | Socapex | |
US3811154A (en) * | 1973-02-26 | 1974-05-21 | R Lindeman | Panel mounting fastener |
JPS609282U (ja) * | 1983-06-28 | 1985-01-22 | 北川工業株式会社 | 固定具 |
JP2508076Y2 (ja) * | 1989-08-24 | 1996-08-21 |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 コネクタ |
EP0801824A1 (en) * | 1994-05-10 | 1997-10-22 | Berg Technology, Inc. | Multiple fish hook hold-downs |
JPH087952A (ja) * | 1994-06-15 | 1996-01-12 | Dai Ichi Denshi Kogyo Kk | 面実装用コネクタ |
JP3185668B2 (ja) * | 1996-06-14 | 2001-07-11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US5893776A (en) * | 1997-04-03 | 1999-04-13 | Porta Systems Corp. | Electrical connection strip with releasable mounting for mounting on brackets of different configurations |
KR100303412B1 (ko) * | 1997-07-14 | 2001-10-19 | 다카하시 도시히토 | 프린트기판용커넥터 |
JP2000067959A (ja) * | 1998-08-21 | 2000-03-03 | Nippon Tanshi Kk |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
JP3754243B2 (ja) * | 1999-08-25 | 2006-03-08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の固定構造 |
USD488777S1 (en) * | 2001-12-14 | 2004-04-20 | J.S.T. Mfg. Co., Ltd. | Receptacle connector |
US6482032B1 (en) * | 2001-12-24 | 2002-11-19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with board locks |
JP2004039742A (ja) * | 2002-07-01 | 2004-02-05 | Tokai Rika Co Ltd | 仮止部品 |
JP2004192882A (ja) * | 2002-12-10 | 2004-07-08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アースジョイントコネクタ |
US6773268B1 (en) * | 2003-06-27 | 2004-08-10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Holddown for circuit boards |
US6981894B1 (en) * | 2004-11-05 | 2006-01-03 | Osram Sylvania Inc. | Spring clip |
JP2007066575A (ja) * | 2005-08-29 | 2007-03-15 | Denso Corp | コネクタの実装構造及び実装方法 |
US7226304B1 (en) * | 2006-07-21 | 2007-06-05 | Lotes Co., Ltd. | Latching device |
TW200838403A (en) * | 2007-03-15 | 2008-09-16 | T Conn Prec Corp | A modified structure of a rigid jointed adapter |
JP2015038810A (ja) * | 2011-01-12 | 2015-02-26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
2016
- 2016-10-28 JP JP2016212035A patent/JP6515900B2/ja active Active
-
2017
- 2017-10-16 US US15/785,172 patent/US10122103B2/en active Active
- 2017-10-23 EP EP17197676.4A patent/EP3316405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7-10-25 CN CN201711007883.9A patent/CN108011231B/zh active Active
- 2017-10-26 KR KR1020170140213A patent/KR2018004688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7554A (ko) | 2018-07-13 | 2020-01-22 | 케이시시정공 주식회사 | 터미널 일체형 pcb 어셈블리 |
US11764504B2 (en) | 2019-08-20 | 2023-09-19 | Lg Energy Solution, Ltd. | Conn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8011231B (zh) | 2019-09-17 |
US20180123266A1 (en) | 2018-05-03 |
EP3316405A1 (en) | 2018-05-02 |
JP6515900B2 (ja) | 2019-05-22 |
JP2018073622A (ja) | 2018-05-10 |
US10122103B2 (en) | 2018-11-06 |
CN108011231A (zh) | 2018-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46886A (ko) | 기판용 커넥터 | |
KR102507203B1 (ko) | 커넥터 | |
CN110247215B (zh) | 插头、插座以及具备它们的基板连接用连接器 | |
JP6996694B2 (ja) | 垂直式ダイレクトpcbコネクタ | |
JP6498409B2 (ja) | コネクタ組立体 | |
JP2007109522A (ja) | 電気コネクタ | |
TWI455418B (zh) | 卡片邊緣連接器 | |
KR102417816B1 (ko) | 커넥터 조립체 | |
JP4756716B2 (ja) | コネクタ及び電子装置 | |
JP3620833B2 (ja) | モジュールコネクタ | |
JP4883670B2 (ja) | 電気コネクタ | |
JP4516938B2 (ja) | 電子部品取付用ソケット | |
JP3099108B2 (ja) | 平型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 |
US6764312B2 (en) | Connector for coupling panels and method of coupling panels using the connector | |
US9899782B2 (en) |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assembly mounted structure | |
JP5595087B2 (ja) | 平板状導電接続部材用コネクタ | |
JP4071791B2 (ja) | ソケット | |
US9337560B2 (en) | Connector having a mounting surface with engagement hooks offset from each other in an insertion direction of a flexible integrated wiring | |
CN111557065B (zh) | 用于连接器的端子和包括该端子的连接器 | |
EP2293394B1 (en) | Connection terminal and AC adapter. | |
JP5216505B2 (ja) | 位置決め部材、及び、位置決め構造 | |
KR20170127305A (ko) | 기판 커넥터 | |
JP2024090133A (ja) | コネクタ端子およびコネクタ | |
JP2021052115A (ja) | 複数部材の接続構造 | |
JP2017135010A (ja) | 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