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6168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6168A
KR20180046168A KR1020160141090A KR20160141090A KR20180046168A KR 20180046168 A KR20180046168 A KR 20180046168A KR 1020160141090 A KR1020160141090 A KR 1020160141090A KR 20160141090 A KR20160141090 A KR 20160141090A KR 20180046168 A KR20180046168 A KR 20180046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blade
outlet
ai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0869B1 (ko
Inventor
조상기
김기준
김대동
이창헌
신문선
조영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1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869B1/ko
Priority to US15/720,052 priority patent/US10458673B2/en
Priority to EP18173358.5A priority patent/EP3401615B1/en
Priority to ES17196205T priority patent/ES2830924T3/es
Priority to EP17196205.3A priority patent/EP3315871B1/en
Priority to AU2017332968A priority patent/AU2017332968B2/en
Priority to PCT/KR2017/011459 priority patent/WO2018080082A1/en
Priority to BR112018008535A priority patent/BR112018008535A2/pt
Priority to RU2018122081A priority patent/RU2685035C1/ru
Priority to CN201711006890.7A priority patent/CN108006932B/zh
Priority to CN201810471056.3A priority patent/CN108870536B/zh
Priority to CN202210291081.XA priority patent/CN114608069A/zh
Publication of KR20180046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168A/ko
Priority to US15/992,409 priority patent/US10788238B2/en
Priority to KR1020180095397A priority patent/KR102420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869B1/ko
Priority to US17/032,677 priority patent/US11739976B2/en
Priority to US18/221,481 priority patent/US2023035843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5Cross-flow or tangent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3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characterised by a split arrangement, wherein parts of the air-conditioning system, e.g. evaporator and condenser, are in separately located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공기조화기는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되어 상기 아웃렛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가이드위치와, 상기 아웃렛을 폐쇄하는 폐쇄위치를 이동하는 토출블레이드로서,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토출블레이드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도록 복수의 블레이드홀을 갖는 토출블레이드를 포함하며, 토출블레이드의 상기 가이드위치와 상기 폐쇄위치 간의 이동으로,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상기 토출블레이트 또는 상기 아웃렛으로의 공기유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토출블레이드의 동작을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토출방법을 달리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인간이 활동하기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 분포 등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로써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송풍팬 등이 구비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캐비닛에 함께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패널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실내의 공기를 패널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한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열교환기를 최소화하고, 송풍팬의 RPM을 올려 풍속 및 풍량을 최대화하는 형태로 제작되었다. 이에 따라 토출온도가 낮아지고, 토출공기는 좁고 긴 유로를 형성하여 실내공간으로 토출되었다.
사용자가 토출공기에 직접 닿는 경우, 추위와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반면에 토출공기에 접하지 않는 경우 더위 및 불쾌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빠른 풍속의 구현을 위해 송풍팬의 RPM을 높이면 소음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송풍팬을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조화시키는 복사 공기조화기의 경우에는 송풍팬을 사용하는 공기조화기와 동일한 능력을 내기 위해서는 큰 패널을 필요로 한다. 또한 냉방속도 또한 매우 느리고, 시공비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공기 토출 방법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가 쾌적함을 느끼는 최소풍속으로 실내를 냉난방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풍속을 최소화하여 대류를 통한 냉방을 수행하고, 공기조화기 근접구간으로 복사냉방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홀을 가지는 토출플레이트와, 아웃렛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플레이트 또는 상기 아웃렛으로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되어 상기 아웃렛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가이드위치와, 상기 아웃렛을 폐쇄하는 폐쇄위치를 이동하는 토출블레이드로서,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토출블레이드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도록 복수의 블레이드홀을 갖는 토출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블레이드는, 상기 가이드위치와 상기 폐쇄위치를 이동하여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상기 토출블레이트 또는 상기 아웃렛으로의 공기유동을 제어한다.
상기 가이드위치에서 상기 아웃렛의 개방과 상기 토출플레이트로의 공기유동을 막는 동작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토출블레이드는, 상기 아웃렛과 대응되며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홀이 형성되는 블레이드몸체로서, 상기 가이드위치에서 상기 토출플레이트를 향해 이동하는 공기유동을 가로막도록 구성되는 블레이드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상기 아웃렛으로 공기가 유동하는 제 1 유로를 형성하는 제 1 유로가이드와, 상기 제 1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복수의 홀로 공기가 유동하는 제 2 유로를 형성하는 제 2 유로가이드를 갖는 유로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블레이드는, 상기 제 1, 2 유로를 선택적으로 가로막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몸체는, 상기 가이드위치에서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위치에서 상기 제 2 유로를 가로막도록 구성되는 유로도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유로가이드는, 상기 가이드위치에서 상기 유로도어부의 회전공간을 형성하는 곡면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도어부의 단부는 상기 곡면가이드의 내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토출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 상기 아웃렛이 위치하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토출플레이트는, 제 1 구간과, 상기 제 1 구간 양 사이드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 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간에 위치하는 복수의 홀은, 상기 제 2 구간에 위치하는 복수의 홀보다 크기가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아웃렛을 형성하는 아웃렛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블레이드는, 상기 아웃렛형성부와 일정갭을 형성하도록, 그 단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격돌기는, 상기 토출블레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간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이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홀은, 원형과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플레이트와 상기 토출블레이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이동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블레이드는 상기 가이드위치와 상기 폐쇄위치를 회전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아웃렛과, 상기 아웃렛과 인접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홀을 가지는 토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아웃렛을 개방하며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위치와, 상기 아웃렛을 폐쇄하는 폐쇄위치를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토출블레이드로서,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토출블레이드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도록 복수의 블레이드홀을 갖는 토출블레이드;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상기 토출플레이트로의 공기유동을 가로막도록 구성되는 차단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블레이드와 상기 토출블레이드는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아웃렛을 형성하는 아웃렛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토출블레이드의 동작에 의해 상기 토출블레이드와 상기 아웃렛형성부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메우도록 구성되는 무빙블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플레이트는, 상기 무빙블레이드가 상기 토출플레이트에 대해 진퇴이동하도록, 상기 무빙블레이드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무빙블레이드는, 일측은 삽입공간에 위치하며, 타측은 상기 토출블레이드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무빙블레이드는, 상기 토출블레이드의 동작과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홀을 가지는 토출플레이트와, 아웃렛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아웃렛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아웃렛을 개폐하는 토출블레이드로서, 상기 아웃렛이 상기 토출블레이드에 의해 폐쇄될 때 상기 토출블레이드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도록 복수의 블레이드홀을 갖는 토출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블레이드는,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아웃렛과 상기 토출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유동하도록, 다른 하나를 폐쇄한다.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 1 유로를 형성하는 제 1 유로가이드와, 상기 제 1 유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토출플레이트로 공기가 유동하는 제 2 유로를 형성하는 제 2 유로가이드를 갖는 유로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블레이드는, 회전동작으로 상기 제 1, 2 유로가이드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열교환된 공기를 풍속을 달리하여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열교환된 공기의 송풍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된 공기가 직접 사용자에게 송풍되지 않도록 조절함으로서,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
도 5,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7,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에 관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C의 확대도.
도 12는 도 4의 B 부분에 대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정면도.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공기조화기를 이루는 냉동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져 있다. 냉동사이클은 압축-응축-팽창-증발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하고, 고온의 공기가 저온의 냉매와 열교환 후 저온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한다.
압축기는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하여 배출하며, 배출된 냉매가스는 응축기로 유입된다. 응축기는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고, 응축과정을 통해 주위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팽창밸브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고온고압상태의 액상 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킨다. 증발기는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킨다. 증발기는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피 냉각 물체와 열교환에 의하여 냉동효과를 달성하고, 저온저압 상의 냉매가스를 압축기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사이클을 통해 실내공간의 공기 온도를 조절 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냉동사이클 중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로 이루어진 부분을 말한다. 팽창밸브는 실내기나 실외기 중 어느 한 곳에 있을 수 있고, 실내 열교환기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다.
본 발명은 실내공간을 냉방시키는 공기조화기에 대한 것으로, 실외열교환기는 응축기로, 실내 열교환기는 증발기로 역할한다. 이하, 편의상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내기를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 열교환기를 열교환기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공기조화기(1)는 인렛(12)과, 아웃렛(14)을 갖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40)와, 하우징(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45)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예를 드는 공기조화기(1)는 벽면에 설치되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1)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10)은 공기조화기(1)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복수의 홀(22)을 갖는 토출플레이트(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홀(22)은 아웃렛(14)과는 구별될 수 있다. 복수의 홀(22)은 도 2와 같이 토출플레이트(20)에 분포되며 그 너비가 아웃렛(14)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홀(22)을 통해 이후 설명하는 제 2 유로(75b)를 유동하는 공기가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홀(22)은 도 2와 같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분포될 수 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토출플레이트(20)의 특정영역에 집중하여 분포될 수도 있다. 복수의 홀(22), 이후의 설명하는 복수의 블레이드홀(56), 무빙블레이드(384)의 복수의 홀(385)등으로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서, 하우징(10)의 외부로 공기를 저속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직접풍을 맞지 않되, 공기조화의 목적을 이룰 수 있어서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우징(10)은 아웃렛형성부(15)에 의해 형성되는 아웃렛(14)을 갖는 전면패널과, 전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패널(24)과, 전면패널과 후면패널(24) 사이에 마련되는 한 쌍의 측면패널(25)과, 인렛(12)이 형성되며 한 쌍의 측면패널(25)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패널(26)과, 한 쌍의 측면패널(25)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패널(27)을 포함할 수 있다. 아웃렛(14)과 인렛(12)은 각각 전면패널과 상부패널(26)에 마련되는 것을 예로 드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면패널은 앞서 설명한 토출플레이트(20)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상부패널(26)에는 인렛(12)으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인렛가이드(13)가 마련될 수 있다. 인렛가이드(13)는 복수개가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아웃렛(14)을 개폐하는 토출블레이드(5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블레이드(50)는 하우징(10)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토출플레이트(20)에 대해 블레이드축(59)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축(59)은 토출플레이트(20)의 내면에 위치할 수 있다.
토출블레이드(50)는 아웃렛(14)을 폐쇄하는 폐쇄위치(50b)와, 아웃렛(14)을 개방하며 송풍팬(45)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아웃렛(14)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가이드위치(50a)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위치(50a)는 토출블레이드(50)가 아웃렛(14)을 개방하여, 아웃렛(14)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위치로서, 토출블레이드(50)가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일정각도범위에서의 위치이다. 공기조화기(1)는 토출블레이드(50)가 가이드위치(50a)와 폐쇄위치(50b)간을 이동함으로서, 송풍팬(45)으로부터 토출플레이트(20) 또는 아웃렛(14)으로의 공기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토출블레이드(50)가 가이드위치(50a)에 있을 때는 아웃렛(14)의 개방과, 토출플레이트(20)로의 공기유동을 막는 동작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토출블레이드(50)가 폐쇄위치(50b)에 있을 때는 아웃렛(14)의 폐쇄와, 토출플레이트(20)로의 공기유동을 막는 동작에 대한 해제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토출블레이드(50)의 내측에서 송풍팬(45)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보조블레이드(7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블레이드(50)는 송풍되는 공기를 상하방향으로 제어하며, 보조블레이드(70)는 송풍되는 공기를 좌우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보조블레이드(70)는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되는 복수의 보조블레이드(70)가 구비된다. 복수의 보조블레이드(70)는 아웃렛(14)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보조블레이드(70)는 토출블레이드(50)의 내측에 위치하여, 토출블레이드(50)가 폐쇄위치(50b)에 있을 때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보조블레이드(70)의 측부에는 센서수신부(72, 도 7 참고)가 마련될 수 있다. 센서수신부(72)는 토출블레이드(50)가 폐쇄위치(50b)에 있을 때, 토출블레이드(5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센서수신부(72)가 토출블레이드(50)에 의해 덮이더라도, 토출블레이드(50)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22)을 통해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신호를 전달하여 공기조화기(1)를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도 5,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열교환기(4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인렛(12)으로부터 아웃렛(14)로의 공기 이동경로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40)는 인렛(12)으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거나, 공기로 열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열교환기(40)의 하부에는 열교환기(40)에 응축되는 수분이 고일 수 있도록 드레인패널(42)이 구비될 수 있다. 드레인패널(42)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하우징(10)의 외부로 연결되는 드레인호스와 연결되어, 하우징(10)의 외부로 응축되는 수분을 배출할 수 있다.
송풍팬(45)은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송풍팬(45)은 인렛(12)으로부터 아웃렛(14) 또는 토출플레이트(20) 로 공기가 유동하게 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된다. 송풍팬(45)은 하우징(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길이방향을 갖는 크로스플로우팬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유로가이드(74)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가이드(74)는 송풍팬(45)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유로가이드(74)는 제 1 유로가이드(76)와, 제 2 유로가이드(78)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유로가이드(76)는 송풍팬(45)으로부터 아웃렛(14)으로 공기가 유동하는 제 1 유로(75a)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제 1 유로(75a)는 아웃렛(14)과 연결될 수 있다. 아웃렛(14)은 제 1 유로가이드(76)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아웃렛(14)은 제 1 유로가이드(76)에 의해 가이드되는 공기 이동경로의 연장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유로가이드(78)는 제 2 유로(75b)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제 2 유로(75b)는 복수의 홀(22)과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 유로(75b)는 제 2 유로가이드(78)와, 토출플레이트(20)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며, 제 2 유로(75b)를 유동하는 공기는 토출플레이트(20)의 복수의 홀(22)을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 2 유로(75b)는 제 1 유로(75a)로부터 분기되며, 복수의 홀(22)로 공기가 유동한다. 제 1 유로가이드(76)에는 가이드개구(77)가 형성되어, 제 1 유로(75a)를 유동하는 공기가 제 2 유로(75b)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제 2 유로가이드(78)의 배면에는 앞서 설명한 드레인패널(42)이 구비될 수 있다.
제 2 유로가이드(78)는 곡면가이드(79)를 포함할 수 있다. 곡면가이드(79)는 토출블레이드(50)의 회전을 고려하여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곡면가이드(79)는 이후 설명하는 토출블레이드(50)의 유로도어부(54)의 회전공간(79a)을 형성할 수 있다. 회전공간(79a)은 제 2 유로(75b)의 일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유로도어부(54)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이다. 곡면가이드(79) 내측에 형성되는 회전공간(79a)에 의해, 토출블레이드(50)는 곡면가이드(79)에 간섭되지 않고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토출블레이드(50)는 가이드위치(50a)와 폐쇄위치(50b)를 회전이동 할 수 있다. 토출블레이드(50)는 제 1, 2 유로(75a, 75b)를 선택적으로 가로막도록 동작할 수 있다. 토출블레이드(50)는 폐쇄위치(50b)일 때, 아웃렛(14)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토출블레이드(50)는 폐쇄위치(50b)에서 센서수신부(72)도 덮도록 구성되어, 외부에서 하우징(10)의 내부구성이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블레이드몸체(52)와 복수의 블레이드홀(56)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몸체(52)는 블레이드축(59)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몸체(52)는 아웃렛(14)과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몸체(52)는 대략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 홀은 블레이드몸체(52)에 분포되며, 그 너비가 아웃렛(14)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블레이드홀(56)을 통해 토출블레이드(50)가 폐쇄위치(50b)에 있더라도 토출블레이드(50)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블레이드홀(56)과 토출플레이트(20)의 복수의 홀(22)은 동일한 크기,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른 크기 다른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블레이드몸체(52)는 가이드부(53)와, 유로도어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53)와 유로도어부(5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53)는 토출블레이드(50)가 가이드위치(50a)에 있을 때, 송풍팬(45)으로부터 송풍되어 아웃렛(14)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가이드부(53)는 블레이드축(59)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각도에 따라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유로도어부(54)는 가이드부(53)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가이드위치(50a)에서 제 2 유로(75b)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로막도록 마련된다. 유로도어부(54)는 토출블레이드(50)가 가이드위치(50a)에 있을 때, 곡면가이드(79)가 형성하는 회전공간(79a)을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토출블레이드(50)가 가이드위치(50a)에 있을 때, 유로도어부(54)로 제 2 유로(75b)를 가로막도록 구성된다. 가이드위치(50a)에서는 가이드부(53)는 하우징(10)의 외부로 이동하며, 상대적으로 유로도어부(54)는 하우징(1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 5,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토출블레이드(50)가 폐쇄위치(50b)에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와 같이 토출블레이드(50)가 폐쇄위치(50b)에 있을 때는, 아웃렛(14)은 토출블레이드(50)에 의해 폐쇄되며, 제 2 유로(75b)는 개방된다. 그러므로 송풍팬(45)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는 제 1, 2 유로(75a, 75b)를 통해 유동하여, 토출플레이트(20)의 복수의 홀(22)과, 토출블레이드(50)의 복수의 블레이드홀(56)을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다음으로 토출블레이드(50)가 가이드위치(50a)에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6과 같이 토출블레이드(50)가 가이드위치(50a)에 있을 때는, 아웃렛(14)은 개방되며, 제 2 유로(75b)는 유로도어부(54)에 의해 가로막히게 된다. 즉, 송풍팬(45)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는 제 1 유로(75a)를 통해서만 유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송풍팬(45)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는 제 1 유로(75a)를 따라 유동하여, 아웃렛(14)을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하는 공기조화기(1)에서 토출플레이트(20)의 결합 및 분해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에 관한 도면이다.
토출플레이트(20)는 하우징(10)에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토출플레이트(20)의 내측에서, 토출플레이트(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전면프레임(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토출플레이트(20)는 전면프레임(30)에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전면프레임(30)은 제 2 유로가이드(78)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20)와 전면프레임(30) 중 어느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에 끼움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플레이트(20)는 전면프레임(30)과 마주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1 결합부재(62)와, 제 1 결합부재(62)의 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 결합홈(6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면프레임(30)은 토출플레이트(20)의 제 1 결합홈(63)에 끼움결합되는 제 1 결합돌기(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결합부재(62)는 탄성을 가지고 벌어지는 한 쌍의 탄성레그(62a)를 포함한다. 자세하게는 제 1 결합돌기(32)의 한 쌍의 탄성레그(62a)는, 제 1 결합돌기(32)가 제 1 결합홈(63)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하여 벌어지며, 제 1 결합돌기(32)가 제 1 결합홈(63)에 삽입되면 벌어진 한 쌍의 탄성레그(62a)는 탄성복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1 결합돌기(32)가 제 1 결합홈(63)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또한 전면프레임(30)은 토출플레이트(20)와 마주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2 결합부재(34)와, 제 2 결합부재(34)의 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2 결합홈(35)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20)는 전면프레임(30)의 제 2 결합홈(35)에 끼움결합되는 제 2 결합돌기(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결합부재(34)는 탄성을 가지고 벌어지는 한 쌍의 탄성레그(34a)를 포함한다. 자세하게는 제 2 결합돌기(64)의 한 쌍의 탄성레그(34a)는, 제 2 결합돌기(64)가 제 2 결합홈(35)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하여 벌어지며, 제 2 결합돌기(64)가 제 2 결합홈(35)에 삽입되면 벌어진 한 쌍의 탄성레그(34a)는 탄성복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2 결합돌기(64)가 제 2 결합홈(35)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토출플레이트(20)와 전면프레임(30) 중 어느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36)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36)에 걸리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66)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플레이트(20)는 전면프레임(30)과 마주하는 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후크(66)가 형성되며, 전면프레임(30)에는 후크(66)가 걸릴 수 있도록 후크(66)와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홀(36)이 형성된다.
후크(66)는 삽입홀(36)에 대해 토출플레이트(20)의 자중을 견딜 정도로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후크(66)는 제 1 결합부재(62)와 제 1 결합돌기(32), 제 2 결합부재(34)와 제 2 결합돌기(64)가 분리되면 삽입홀(36)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플레이트(20)에 제 1 결합부재(62), 제 2 결합돌기(64), 후크(66)순으로 마련되고, 전면프레임(30)에 제 1 결합돌기(32), 제 2 결합부재(34), 결합홈 순으로 마련되나, 그 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결합부재(34, 62)들과 결합돌기(32, 64)들, 후크(66)들과 삽입홀(36)들은 공기조화기(1)의 길이방향인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토출플레이트(20)가 전면프레임(3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토출플레이트(20)는 그 양 단부에 각각 돌출되는 단차방지돌기(68)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단차방지돌기(68)는 토출플레이트(20)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각각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전면프레임(30)에는 한 쌍의 단차방지돌기(68)에 대응되는 한 쌍의 단차방지홈(38, 도 7참고)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단차방지돌기(68)는 각각 한 쌍의 단차방지홈(38)에 결합됨으로서, 토출플레이트(20)의 좌우가 나란하게 전면프레임(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하우징(110)은 공기조화기(1)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복수의 홀(22)을 갖는 토출플레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홀(22)은 아웃렛(14)과는 구별될 수 있다. 복수의 홀(22)은 도 2와 같이 토출플레이트(120)에 분포되며 그 너비가 아웃렛(14)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홀(22)을 통해 제 2 유로(75b)를 유동하는 공기가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하우징(10)은 아웃렛(14)이 형성되는 전면패널과, 전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패널(24)과, 전면패널과 후면패널(24) 사이에 마련되는 한 쌍의 측면패널과, 인렛(12)이 형성되며 한 쌍의 측면패널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패널(26)과, 한 쌍의 측면패널(25)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패널(27)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패널과 한 쌍의 측면패널은 앞서 설명한 토출플레이트(120)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즉, 토출플레이트(120)는 하우징의 전면과, 양측면에 형성됨으로서, 복수의 홀(22)이 분포되는 영역을 넓게 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C의 확대도이다.
공기조화기(200)는 토출플레이트(220)와 토출블레이드(250)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220)는 복수의 홀(222)을 포함하며, 토출블레이드(250)는 복수의 블레이드홀(256)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220)의 일부구간의 복수의 홀(222)은, 다른구간의 복수의 홀(222)보다 크기가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토출블레이드(250)의 일부구간의 복수의 블레이드홀(256)은, 다른구간의 복수의 블레이드홀(256)보다 크기가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플레이트(220)는 제 1 구간(221a)과, 제 2 구간(22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구간(221a)에서의 복수의 홀(222a)은, 제 2 구간(221b)에서의 복수의 홀(222b)보다 크기가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구간(221b)은 제 1 구간(221a)의 좌우방향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 1 구간(221a)에서의 복수의 홀(222a)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이 제 2 구간(221b)에서의 복수의 홀(222b)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보다 빠르게 되어, 토출플레이트(220)의 복수의 홀(222)로 토출되는 공기가 직진성을 가지고 정면으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토출블레이드(250)는 제 1 블레이드구간(251a)과, 제 2 블레이드구간(25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구간(221a)에서의 복수의 블레이드홀(256a)은, 제 2 구간(221b)에서의 복수의 블레이드홀(256b)보다 크기가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구간(221b)은 제 1 구간(221a)의 좌우방향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 1 구간(221a)에서의 복수의 블레이드홀(256a)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이 제 2 구간(221b)에서의 복수의 블레이드홀(256b)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보다 빠르게 되어, 토출블레이드(250)의 복수의 블레이드홀(256)로 토출되는 공기가 직진성을 가지고 정면으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구간(221a)과 제 1 블레이드구간(251a)의 너비가 일치하도록 도시하였으나, 이는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제 1 구간(221a)과 제 1 블레이드구간(251a)의 너비를 다르게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 1, 2 구간(221a, 221b)과, 제 1, 2 블레이드구간(251a, 251b)은 좌우방향으로 나열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나열되어도 무방하다. 물론, 상하좌우방향으로 복수의 구간을 형성하여 중앙부가 외곽부의 복수의 홀보다 크게 형성되는 구성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도 4의 B 부분에 대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토출블레이드(50)는 이격돌기(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격돌기(58)는 아웃렛형성부(15)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블레이드몸체(5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격돌기(58)는 블레이드몸체(52)와 아웃렛형성부(15) 사이에 일정갭을 가지고 이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블레이드몸체(52)와 아웃렛형성부(15)가 접촉하는 경우, 열교환된 공기가 양 구성 사이에 정체되면서, 블레이드몸체(52)의 내외면 온도차에 의해 블레이드몸체(52)에 이슬이 맺힐 수 있게 된다. 이격돌기(58)는 이를 방지하도록 블레이드몸체(52)와 아웃렛형성부(15)를 일정갭 이격시켜, 소량의 공기가 일정갭을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블레이드몸체(52)의 외면에도 도??의 F와 같이 열교환된 공기가 유동하게 함으로서, 블레이드몸체(52)에 이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정면도,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공기조화기(300)는 아웃렛(14)을 개폐하는 토출블레이드(35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블레이드(350)는 블레이드몸체(352)와, 블레이드홀(356)과, 블레이드축(359)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블레이드(350)는 하우징(310)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하우징(310)의 내부에 대해 블레이드축(359)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축(359)은 토출플레이트(320)의 내면에 위치할 수 있다.
토출블레이드(350)는 아웃렛(14)을 폐쇄하는 폐쇄위치(350b)와, 폐쇄위치(350b)로부터 회전하여 송풍팬(45)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위치(350a)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300)는 유로블레이드(38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블레이드(380)는 하우징(10)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제 2 유로가이드(78)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유로블레이드(380)는 제 2 유로(75b)를 가로막을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유로블레이드(380)는 토출블레이드(350)와 별도의 구성으로서, 토출블레이드(350)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유로블레이드(380)는 토출블레이드(350)의 블레이드축(359)과 이격되는 회전축(382)을 갖고, 회전축(38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토출블레이드(350)는 아웃렛(14)을 폐쇄하도록 동작할 수 있으며, 유로블레이드(380)는 제 2 유로(75b)를 폐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유로블레이드(380)는 제 2 유로(75b)를 지나는 공기 유동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도록 제 2 유로가이드(78)에 밀착하는 개방위치(380a)와, 제 2 유로(75b)를 가로막는 폐쇄위치(380b)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공기조화기(300)는 무빙블레이드(384)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블레이드(384)는 토출플레이트(20)에서 아웃렛형성부(15)의 상부에 위치하며, 토출플레이트(320)에 대해 슬라이딩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토출플레이트(320)는 무빙블레이드(384)가 삽입되는 삽입공간(386)을 포함하며, 무빙블레이드(384)는 삽입공간(386)에 삽입되거나, 토출플레이트(320)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무빙블레이드(384)는 토출플레이트(320)나 토출블레이드(350)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홀(38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무빙블레이드(384)의 슬라이딩동작에 의해 토출플레이트(320)는 그 너비가 확장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토출블레이드(350)가 블레이드축(359)을 중심으로 회전동작하게 되면, 토출블레이드(350)와 아웃렛형성부(15)의 상부 사이에는 도 17과 같이 갭(G)이 형성된다. 무빙블레이드(384)는 상기 갭을 메울 수 있도록, 토출플레이트(320)로부터 슬라이딩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빙블레이드(384)는 토출블레이드(350)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무빙블레이드(384)는 토출블레이드(350)가 폐쇄위치(350b)에 위치하면 하향 슬라이딩 이동하여 갭을 메울 수 있으며, 토출블레이드(350)가 가이드위치(350a)에 위치하면 토출블레이드(350)에 의해 가압되어 상향이동하여 삽입공간(386)으로 삽입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따른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내지 4 모드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제 1 모드는 도 15와 같이 송풍팬(45)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아웃렛(14)으로 배출되는 동작모드이다. 토출블레이드(350)는 가이드위치(350a)에 위치하여 아웃렛(14)을 개방하며, 유로블레이드(380)는 제 2 유로(75b)를 폐쇄하도록 위치한다. 무빙블레이드(384)는 토출블레이드(350)에 의해 가압되어 삽입공간(386)으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며, 토출블레이드(350)가 가이드위치(350a)에서 일정각도구간을 회전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딩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송풍팬(45)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는 제 1 유로(75a)를 따라 유동하여 아웃렛(14)을 통해 하우징(3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 2 모드는 도 16과 같이 송풍팬(45)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아웃렛(14)과 복수의 홀(22)로 배출되는 동작모드이다. 토출블레이드(350)는 가이드위치(350a)에 위치하여 아웃렛(14)을 개방하며, 유로블레이드(380)는 제 2 유로(75b)를 개방하도록 위치한다. 무빙블레이드(384)는 토출블레이드(350)에 의해 가압되어 삽입공간(386)으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며, 토출블레이드(350)가 가이드위치(350a)에서 일정각도구간을 회전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딩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송풍팬(45)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는 제 1, 2 유로(75a, 75b)를 따라 유동하여, 아웃렛(14)과, 토출플레이트(320)의 복수의 홀(22), 무빙블레이드(384)의 복수의 홀(22)을 통해 하우징(3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 3 모드는 도 17과 같이 송풍팬(45)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토출블레이드(350)의 복수의 블레이드홀(356)과, 무빙블레이드(384)의 복수의 홀(385)을 통해 배출되는 동작모드이다. 토출블레이드(350)는 폐쇄위치(350b)에 위치하여 아웃렛(14)을 폐쇄하며, 유로블레이드(380)는 제 2 유로(75b)를 폐쇄하도록 위치한다. 무빙블레이드(384)는 적어도 일부가 토출블레이드(350)로부터 돌출되게 하향 슬라이딩이동하여 토출블레이드(350)와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송풍팬(45)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는 제 1 유로(75a)를 따라 유동하여, 토출블레이드(350)의 복수의 블레이드홀(356)과, 무빙블레이드(384)의 복수의 홀(385)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 4 모드는 도 18과 같이 송풍팬(45)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토출플레이트(320)의 복수의 홀(22), 토출블레이드(350)의 복수의 블레이드홀(356), 무빙블레이드(384)의 복수의 홀(385)을 통해 배출되는 동작모드이다. 토출블레이드(350)는 폐쇄위치(350b)에 위치하여 아웃렛(14)을 폐쇄하며, 유로블레이드(380)는 제 2 유로(75b)를 개방하도록 위치한다. 무빙블레이드(384)는 적어도 일부가 토출플레이트(320)로부터 돌출되게 하향 슬라이딩이동하여, 토출블레이드(350)와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송풍팬(45)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는 제 1, 2 유로(75a, 75b)를 따라 유동하여, 토출플레이트(320)의 복수의 홀(22), 무빙블레이드(384)의 복수의 홀(385), 토출블레이드(350)의 복수의 블레이드홀(356)을 통해 하우징(3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하우징(10)은 하우징도어(49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도어(490)는 토출플레이트(2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토출플레이트(20)가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위치(490a)와, 토출플레이트(20)의 전면을 가리는 폐쇄위치(490a) 사이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도어(490)는 개방위치(490a)와 폐쇄위치(490b)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도어(490)는 제 1 도어(491)와, 제 1 도어(491)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도어(49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도어(491)는 토출플레이트(20) 전면 중 윗부분을 개폐할 수 있으며, 제 2 도어(492)는 토출플레이트(20) 전면 중 아랫부분을 개폐할 수 있다. 제 1, 2 도어(491, 492)는 하우징도어(490)가 폐쇄위치(490b)에 있을 때, 접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제 2 도어(492)는 토출플레이트(20) 전면 중 아랫부분 즉, 토출블레이드(50) 부분을 개폐할 수 있다. 그러므로 토출블레이드(50)가 가이드위치(50a)에 위치하여, 아웃렛(14)을 통해 공기를 배출하는 동작에서는 제 2 도어(492)만 개방되어도 무방하다.
제 1, 2 도어(491, 492)는 공기조화기가 동작하지 않을 때, 토출플레이트(20) 또는 토출블레이드(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위치(490b)에 위치함으로서, 복수의 홀(22)이나, 복수의 블레이드홀(56)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하우징(10)은 하우징도어(59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도어(590)는 토출플레이트(2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토출플레이트(20)가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위치 (590a)와, 토출플레이트(20)의 전면을 가리는 폐쇄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도어(590)의 폐쇄위치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9, 20과 같이 하우징(10)의 전방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도어(590)는 개방위치(590a)와 폐쇄위치를 회전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도어(590)는 제 1 도어(591)와, 제 1 도어(591)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도어(59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도어(591)는 토출플레이트(20) 전면 중 윗부분을 개폐할 수 있으며, 제 2 도어(592)는 토출플레이트(20) 전면 중 아랫부분을 개폐할 수 있다. 제 1, 2 도어(591, 592)는 하우징도어(59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접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제 1, 2 도어(591, 592)는 하우징(10)에 힌지결합됨으로서, 각각 상측, 하측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한 도면이다.
토출플레이트(20)와 전면프레임(30)은 하우징(10)에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20)와 전면프레임(30)은 하나의 모듈로서 공기조화기(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20)와 전면프레임(30)을 하나의 모듈로서 구성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지 않은 공기조화기들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공기조화기 10 : 하우징
12 : 인렛 14 : 아웃렛
20 : 토출플레이트 22 : 홀
30 : 전면프레임 40 : 열교환기
45 : 송풍팬 50 : 토출블레이드
50a : 가이드위치 50b : 폐쇄위치
70 : 보조블레이드 74 : 유로가이드
76 : 제 1 유로가이드 78 : 제 2 유로가이드

Claims (20)

  1. 복수의 홀을 가지는 토출플레이트와, 아웃렛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플레이트 또는 상기 아웃렛으로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되어 상기 아웃렛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가이드위치와, 상기 아웃렛을 폐쇄하는 폐쇄위치를 이동하는 토출블레이드로서,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토출블레이드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도록 복수의 블레이드홀을 갖는 토출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블레이드는, 상기 가이드위치와 상기 폐쇄위치를 이동하여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상기 토출블레이트 또는 상기 아웃렛으로의 공기유동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위치에서 상기 아웃렛의 개방과 상기 토출플레이트로의 공기유동을 막는 동작이 함께 이루어지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블레이드는,
    상기 아웃렛과 대응되며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홀이 형성되는 블레이드몸체로서, 상기 가이드위치에 있을 때 상기 토출플레이트를 향해 이동하는 공기유동을 가로막도록 구성되는 블레이드몸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상기 아웃렛으로 공기가 유동하는 제 1 유로를 형성하는 제 1 유로가이드와,
    상기 제 1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복수의 홀로 공기가 유동하는 제 2 유로를 형성하는 제 2 유로가이드를 갖는 유로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블레이드는,
    상기 제 1, 2 유로를 선택적으로 가로막도록 구성되는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몸체는,
    상기 가이드위치에서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위치에서 상기 제 2 유로를 가로막도록 구성되는 유로도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가이드는,
    상기 가이드위치에서 상기 유로도어부의 회전공간을 형성하는 곡면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도어부의 단부는 상기 곡면가이드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 상기 아웃렛이 위치하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각각 위치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플레이트는,
    제 1 구간과, 상기 제 1 구간 양 사이드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 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간에 위치하는 복수의 홀은, 상기 제 2 구간에 위치하는 복수의 홀보다 크기가 크도록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아웃렛을 형성하는 아웃렛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블레이드는,
    상기 아웃렛형성부와 일정갭을 형성하도록, 그 단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돌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격돌기는,
    상기 토출블레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간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이격돌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은,
    원형과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플레이트와 상기 토출블레이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이동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도어;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블레이드는 상기 가이드위치와 상기 폐쇄위치를 회전이동하는 공기조화기.
  14. 아웃렛과, 상기 아웃렛과 인접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홀을 가지는 토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아웃렛을 개방하며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위치와, 상기 아웃렛을 폐쇄하는 폐쇄위치를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토출블레이드로서,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토출블레이드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도록 복수의 블레이드홀을 갖는 토출블레이드;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상기 토출플레이트로의 공기유동을 가로막도록 구성되는 유로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블레이드와 상기 토출블레이드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공기조화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아웃렛을 형성하는 아웃렛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토출블레이드의 동작에 의해 상기 토출블레이드와 상기 아웃렛형성부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메우도록 구성되는 무빙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플레이트는,
    상기 무빙블레이드가 상기 토출플레이트에 대해 진퇴이동하도록, 상기 무빙블레이드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무빙블레이드는,
    일측은 삽입공간에 위치하며, 타측은 상기 토출블레이드와 접촉하는 공기조화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블레이드는,
    상기 토출블레이드의 동작과 연동되어 동작하는 공기조화기.
  19. 복수의 홀을 가지는 토출플레이트와, 아웃렛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아웃렛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아웃렛을 개폐하는 토출블레이드로서, 상기 아웃렛이 상기 토출블레이드에 의해 폐쇄될 때 상기 토출블레이드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도록 복수의 블레이드홀을 갖는 토출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블레이드는,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아웃렛과 상기 토출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유동하도록, 다른 하나를 폐쇄하는 공기조화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 1 유로를 형성하는 제 1 유로가이드와, 상기 제 1 유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토출플레이트로 공기가 유동하는 제 2 유로를 형성하는 제 2 유로가이드를 갖는 유로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블레이드는,
    회전동작으로 상기 제 1, 2 유로가이드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공기조화기.
KR1020160141090A 2016-10-27 2016-10-27 공기조화기 KR101890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090A KR101890869B1 (ko) 2016-10-27 2016-10-27 공기조화기
US15/720,052 US10458673B2 (en) 2016-10-27 2017-09-29 Air conditioner
ES17196205T ES2830924T3 (es) 2016-10-27 2017-10-12 Aire acondicionado
EP17196205.3A EP3315871B1 (en) 2016-10-27 2017-10-12 Air conditioner
EP18173358.5A EP3401615B1 (en) 2016-10-27 2017-10-12 Air conditioner
RU2018122081A RU2685035C1 (ru) 2016-10-27 2017-10-17 Кондиционер
PCT/KR2017/011459 WO2018080082A1 (en) 2016-10-27 2017-10-17 Air conditioner
BR112018008535A BR112018008535A2 (pt) 2016-10-27 2017-10-17 aparelho de ar condicionado
AU2017332968A AU2017332968B2 (en) 2016-10-27 2017-10-17 Air conditioner
CN201711006890.7A CN108006932B (zh) 2016-10-27 2017-10-25 空调
CN201810471056.3A CN108870536B (zh) 2016-10-27 2017-10-25 空调
CN202210291081.XA CN114608069A (zh) 2016-10-27 2017-10-25 空调
US15/992,409 US10788238B2 (en) 2016-10-27 2018-05-30 Air conditioner
KR1020180095397A KR102420499B1 (ko) 2016-10-27 2018-08-16 공기조화기
US17/032,677 US11739976B2 (en) 2016-10-27 2020-09-25 Air conditioner
US18/221,481 US20230358434A1 (en) 2016-10-27 2023-07-13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090A KR101890869B1 (ko) 2016-10-27 2016-10-27 공기조화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397A Division KR102420499B1 (ko) 2016-10-27 2018-08-16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168A true KR20180046168A (ko) 2018-05-08
KR101890869B1 KR101890869B1 (ko) 2018-08-22

Family

ID=6008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090A KR101890869B1 (ko) 2016-10-27 2016-10-27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4) US10458673B2 (ko)
EP (2) EP3315871B1 (ko)
KR (1) KR101890869B1 (ko)
CN (3) CN108870536B (ko)
AU (1) AU2017332968B2 (ko)
BR (1) BR112018008535A2 (ko)
ES (1) ES2830924T3 (ko)
RU (1) RU2685035C1 (ko)
WO (1) WO201808008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3728A (zh) * 2019-07-10 2021-02-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CN112413873A (zh) * 2019-08-09 2021-02-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875B1 (ko) * 2016-10-21 202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890869B1 (ko) 2016-10-27 2018-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EP3339755A1 (en) * 2016-12-21 2018-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102391356B1 (ko) * 2017-04-28 2022-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531649B1 (ko) * 2018-01-17 2023-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8375114A (zh) * 2018-03-09 2018-08-0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空调器的控制方法
CN109405074B (zh) * 2018-10-24 2020-10-23 苏州因知成新能源有限公司 一种具有翼片扇叶的防温差冷凝现象的壁挂式空调室内机
CN109405214B (zh) * 2018-10-26 2021-10-26 美的集团武汉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装置、空调器及其控制方法和可读存储介质
CN109612042B (zh) * 2018-12-11 2022-03-0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空调器及计算机存储介质
US11913666B2 (en) * 2018-12-29 2024-02-27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CN209263310U (zh) * 2018-12-29 2019-08-1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109812872B (zh) * 2019-03-13 2024-05-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CN111811048A (zh) * 2019-04-10 2020-10-23 伊莱克斯家用电器股份公司 具有用于舒适的出口空气的百叶挡板的空调器
CN111059725A (zh) * 2019-11-25 2020-04-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空调
CN112032838B (zh) * 2020-09-09 2021-12-2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及其控制方法
CN115234979B (zh) * 2021-08-31 2024-04-12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室内机及空调器
CN114413330B (zh) * 2021-12-24 2023-05-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扫风机构及具有其的空调和空调控制方法
CN114517978B (zh) * 2022-02-28 2023-10-2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出风组件、空调控制方法及空调
CN114909723B (zh) * 2022-05-23 2024-04-02 广东美博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桌面空调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3043A (ja) * 2010-10-28 2012-05-17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空気式放射パネル装置
JP2013096638A (ja) * 2011-10-31 2013-05-20 Daikin Industries Ltd 空調室内機
KR20150018201A (ko) * 2013-08-09 201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150031832A (ko) * 2013-09-17 2015-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16099032A (ja) * 2014-11-19 2016-05-30 シャープ株式会社 暖房機、及び、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4518B2 (ja) 1993-09-29 2004-03-31 三菱電機株式会社 分離型空気調和機
JP2001304674A (ja) * 2000-04-20 2001-10-31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2098397A (ja) 2000-09-22 2002-04-05 Daikin Ind Ltd 天井埋込式室内機
JP3714354B2 (ja) 2004-04-08 2005-11-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FI119126B (fi) 2004-06-18 2008-07-31 Halton Oy Tuloilmalaite
JP4618254B2 (ja) 2004-11-02 2011-01-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遮蔽部材およ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
AU2006306950B2 (en) * 2005-10-26 2010-08-19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181545B1 (ko) 2005-10-26 2012-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RU2382284C1 (ru) 2005-11-23 2010-02-20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Кондиционер воздуха (варианты)
CN101153739B (zh) * 2006-09-28 2010-10-06 海尔集团公司 可防止灰尘进入的空调器出风口结构
RU88107U1 (ru) 2009-08-06 2009-10-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Вентстроймонтаж"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JP5365675B2 (ja) 2011-09-30 2013-12-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JP5949231B2 (ja) * 2012-07-04 2016-07-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印刷・梱包作業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印刷・梱包作業管理システム
KR20140019106A (ko) * 2012-08-03 201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55939B1 (ko) * 2012-10-10 2019-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DE102012220293A1 (de) * 2012-11-07 2014-05-08 Wobben Properties Gmbh Schleifringübertrager
KR101579221B1 (ko) 2013-07-23 2015-1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냉매관을 연결하는 방법
KR102203935B1 (ko) * 2014-01-08 2021-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토출구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N204084595U (zh) * 2014-07-08 2015-01-07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双侧出风的除湿机
KR20160041318A (ko) * 2014-10-07 2016-04-1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스트로브 신호 인터벌 검출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메모리 시스템
JP2016099030A (ja) 2014-11-19 2016-05-30 シャープ株式会社 暖房機、及び、空気調和機
CN104764182B (zh) * 2015-02-13 2018-05-0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百叶机构及具有其的出风装置
CN105003965B (zh) * 2015-02-13 2018-02-0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及其控制方法
CN204739747U (zh) * 2015-02-13 2015-11-0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和挡风板
EP3081876B1 (en) * 2015-03-26 2020-08-05 Fujitsu General Limited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CN204629972U (zh) * 2015-04-28 2015-09-0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壳体和具有其的空调器
CN105180267B (zh) 2015-08-07 2018-02-0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及空调室内出风控制方法
CN204962964U (zh) * 2015-08-07 2016-01-1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205119406U (zh) * 2015-09-30 2016-03-30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滑动门装置及空调
CN105546784B (zh) * 2016-01-18 2018-04-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及其室内机
CN205641190U (zh) * 2016-04-06 2016-10-1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竖款挂壁式空调器室内机和具有其空调器
KR101890869B1 (ko) 2016-10-27 2018-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3043A (ja) * 2010-10-28 2012-05-17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空気式放射パネル装置
JP2013096638A (ja) * 2011-10-31 2013-05-20 Daikin Industries Ltd 空調室内機
KR20150018201A (ko) * 2013-08-09 201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150031832A (ko) * 2013-09-17 2015-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16099032A (ja) * 2014-11-19 2016-05-30 シャープ株式会社 暖房機、及び、空気調和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3728A (zh) * 2019-07-10 2021-02-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CN112413873A (zh) * 2019-08-09 2021-02-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15871B1 (en) 2020-08-05
US20180119984A1 (en) 2018-05-03
EP3315871A2 (en) 2018-05-02
CN108006932B (zh) 2022-04-12
CN114608069A (zh) 2022-06-10
WO2018080082A1 (en) 2018-05-03
EP3401615A1 (en) 2018-11-14
BR112018008535A2 (pt) 2018-10-30
AU2017332968B2 (en) 2019-05-30
EP3315871A3 (en) 2018-05-23
CN108006932A (zh) 2018-05-08
US10458673B2 (en) 2019-10-29
AU2017332968A1 (en) 2018-05-17
KR101890869B1 (ko) 2018-08-22
EP3401615B1 (en) 2021-05-05
CN108870536A (zh) 2018-11-23
US20230358434A1 (en) 2023-11-09
US20210010711A1 (en) 2021-01-14
CN108870536B (zh) 2022-05-13
US20180274814A1 (en) 2018-09-27
US10788238B2 (en) 2020-09-29
ES2830924T3 (es) 2021-06-07
US11739976B2 (en) 2023-08-29
RU2685035C1 (ru) 201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869B1 (ko) 공기조화기
KR102600956B1 (ko) 공기조화기
KR20180044162A (ko) 공기조화기
KR20180032439A (ko) 공기조화기
KR102531649B1 (ko) 공기조화기
EP3514459B1 (en) Air conditioner
KR102613461B1 (ko) 공기조화기
CN111164349B (zh) 空调
KR102420499B1 (ko) 공기조화기
KR20190012841A (ko) 공기조화기
KR20150085218A (ko) 공기조화기
KR20150085219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