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6159A - 고주파를 이용한 3d 입체 가방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주파를 이용한 3d 입체 가방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6159A
KR20180046159A KR1020160141070A KR20160141070A KR20180046159A KR 20180046159 A KR20180046159 A KR 20180046159A KR 1020160141070 A KR1020160141070 A KR 1020160141070A KR 20160141070 A KR20160141070 A KR 20160141070A KR 20180046159 A KR20180046159 A KR 20180046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adhesive
sheet
paper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7887B1 (ko
Inventor
김대현
Original Assignee
김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현 filed Critical 김대현
Priority to KR1020160141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887B1/ko
Priority to PCT/KR2016/014018 priority patent/WO2018079922A1/ko
Publication of KR20180046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01Flexible 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02Open containers
    • B32B2439/06Bags, sacks, sach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방제조용 합성수지 원단 및 그 제조방법과 이것을 이용한 가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방 몸체의 외피를 이루는 상면지(110)와, 중간그물망지(120)와, 밑면지(130)를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합지하는 합성수지시트의 합지단계(S 210)와; 합지된 3개의 합성수지시트를 고주파금형을 이용하여 접착작업을 수행하되, 고주파금형(50)의 접착칼날(52)의 끝단을 경사면(54)으로 형성하고 서로 짝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기 접착작업 이후 상기 상면지(110)의 표면에는 상면제거띠(116)를 형성하도록 하는 합성수지시트의 고주파접착단계(S 220)와; 상기 상면지(110)의 표면에서 상면제거띠(116)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상면지(110)의 표면에 다수의 삼각형과 다수의 사각형 및 다수의 다각형의 모양(117)을 형성하게 되는 상면지(110) 표면의 디자인 형성단계(S 230)와; 상기 디자인 형성단계 이후에, 상기 상면지(110)를 이용하여 가방의 몸체를 만들고, 상기 가방의 몸체에 손잡이를 형성하거나 멜빵끈을 형성하는 디자인 가방의 완성단계(S 240); 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가방의 제조방법 {Method of Producing Bag}
본 발명은 가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방의 몸체의 외부 표면에 삼각형 및 사각형의 모양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하고 있고, 가방 몸체를 자유롭게 절곡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방 제조용 합성수지 원단 및 이것을 이용한 가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은 사용자들이 자신의 소유 물건을 자유롭게 소지하여 가지고 다니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생활용품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가방은 자신의 소유 물건을 담아 둘 수 있는 가방 몸체와, 상기 가방 몸체를 손으로 들거나 어깨에 메어 달 수 있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던 가방은 소비자들의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점차적으로 물건을 담는 용도를 벗어나, 소유자의 개성을 나타내거나 소유자의 취향을 나타내는 악세사리로서의 용도 및 기능을 가지게 되었다.
최근에 이르러서는, 가방의 몸체의 외부 표면에 디자인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고급 악세사리로서의 기능을 더욱 강조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디자인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제조되어지는 가방 제조용 합성수지 원단 및 상기 합성수지 원단을 이용하여, 균일하고 정교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한 가방의 제조방법은 아직까지 소개된 사실이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5164호 "가방과 이를 위한 가방본체 및 그 제조방법" (2011. 6. 2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4393호 "보자기 및 이를 이용한 가방의 제조방법" (2014. 3. 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385734호 "비닐가방 및 그 제조방법" (2003. 5. 6.).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방의 몸체의 외부 표면에 삼각형 및 사각형의 모양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하고 있고, 가방 몸체를 자유롭게 절곡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방 제조용 합성수지 원단 및 이것을 이용한 가방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면지와 밑면지를 고주파 접착시켜 이루어진 가방제조용 합성수지 원단에 있어서, 상기 상면지와 상기 밑면지의 사이에 그물망으로 형성된 그물망지를 개입시켜 중간그물망지를 형성하고, 상기 상면지와 상기 중간그물망지와 상기 밑면지를 합지시킨 상태에서 고주파 접착작업을 수행하여 상기 상면지와 상기 밑면지를 상기 중간그물망지의 그물망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서로 접착시킨 다음, 상기 상면지로부터 상기 고주파 접착작업시 좌우 양측으로 2밀리미터 내지 7밀리미터의 폭을 가지고 형성된 상면띠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상면지의 표면에는 다수의 삼각형과 다수의 사각형 및 원형이나 다각형의 모양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방 제조용 합성수지 원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가방 몸체의 외피를 이루는 상면지와, 다수의 그물망을 가지고 있고 상기 상면지에 대해 이종의 재질로 이루어진 중간그물망지와, 상기 중간그물망지의 아래쪽에 배열되어지고 가방 몸체의 내피를 이루는 밑면지를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합지하는 합성수지시트의 합지단계(S 210)와; 상기 상면지와 상기 중간그물망지와 상기 밑면지를 합지된 상태에서 고주파금형을 이용하여 접착작업을 수행하되, 상기 고주파금형의 접착칼날의 끝단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고온의 접착열을 상기 상면지에 효율적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추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형성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상면지와 상기 밑면지가 서로 상기 중간그물망지의 그물망의 사이를 통하여 서로 접착되어지도록 하며, 상기 접착칼날의 상호 이격거리를 2밀리미터 내지 7밀리미터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접착작업 이후 상기 상면지의 표면에는 접착부위와 상면제거띠를 형성하도록 하는 합성수지시트의 고주파접착단계(S 220)와; 상기 고주파접착단계를 마친 이후, 상기 상면지의 표면에서 상면제거띠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상면지의 표면에 다수의 삼각형과 다수의 사각형 및 다수의 다각형의 모양을 형성하게 되는 상면지 표면의 디자인 형성단계(S 230);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방 제조용 합성수지 원단을 이용하여 가방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디자인 형성단계(S 230) 이후에, 상기 상면지를 이용하여 가방의 몸체를 만들고, 상기 가방의 몸체에 손잡이를 형성하거나 멜빵끈을 형성하는 디자인 가방의 완성단계(S 240); 를 더욱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방제조용 합성수지 원단은 상면지와 밑면지의 사이에 중간그물망지를 개입시켜 이루어진 것이므로, 상면지와 밑면지가 그물망에 의해 접착된 부분과 미접착된 부분이 존재하게 되어, 상면띠를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띠는 경사면을 가진 금형칼날에 의해 쉽게 제거될 수 있고, 또한 제거된 이후 정교한 절단면을 형성하게 되므로, 최종 제품의 품질을 고급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방의 제조방법은 상면지의 삼각형과 사각형 및 다각형의 모양을 정교하고 깔끔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완성된 가방 제품의 고급화를 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방의 제조방법을 이용할 경우, 정교하고 단정한 합성수지 원단을 대량생산할 수 있으므로, 그 제조원가를 대폭적으로 낮출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방의 제조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시트의 합지단계(S 210)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고주파접착단계(S 220)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주요부 설명도로서, 도 3a는 고주파접착단계(S 220)의 준비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b는 고주파접착단계(S 220)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c는 고주파접착단계(S 220)를 실시한 이후의 합성수지 원단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는 상면지(110) 표면의 디자인 형성단계(S 230)를 실시한 이후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면지와 중간그물망지의 상호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상면지(110) 표면의 디자인 형성단계(S 230)를 실시한 이후에 얻어진 합성수지 원단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완성된 디자인 가방을 사진 자료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구체적인 수치 또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창작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항에 있어서, 상면이라 함은 대상이 되는 구성요소의 방향을 지칭할 경우 지면에서 위쪽을 향한 부분을 의미하고, 저면이라 함은 지면에서 아래쪽을 향한 부분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자인 가방의 제조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시트의 합지단계(S 210)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상면지(110)와 밑면지(130)를 이용하되, 상기 상면지(110)와 밑면지(130)의 사이에 중간그물망지(120)를 배열하고 합지하는 합성수지시트의 합지단계(S 2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합성수지시트의 합지단계(S 210)는 가방 몸체의 외피를 이루는 상면지(110)를 선택한다. 상기 상면지(110)는 그 표면 위에 다양한 모양으로 인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합성수지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합성수지 시트로서는 그 표면 위에 실크 인쇄, 옵셋 인쇄, 또는 디지탈 인쇄를 행할 수 있는 피브이씨 합성수지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상면지(110)의 바로 아래쪽에 그물망(122)을 가지고 있는 중간그물망지(120)를 배열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상적으로, 합성수지 시트를 고주파 접착시킬 경우, 상면지(110)와 밑면지(130)를 직접 맛대어 놓고 이들을 고주파 접착시키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면지(110)와 상기 밑면지(130)의 사이에 중간그물망지(120)를 개입시키는 점에서, 종래의 방식과는 다르다. 이는 상기 중간그물망지(12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그물망(122)들로 인하여, 다음 단계에서 고주파접착 작업을 수행할 경우, 상기 그물망(122)의 빈공간부를 통하여 상기 상면지(110)와 상기 밑면지(130)가 서로 접착되는 반면에, 상기 그물망(122)을 이루고 있는 그물코(그물망의 직선의 실)들에 의해서는 상기 상면지(110)와 상기 밑면지(130)가 서로 접착되지 않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간그물망지(120)는 상기 상면지(110)와 대비할 경우 상기 상면지(110)에 대해 이종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주파 접착을 행할 경우, 상기 상면지(110)의 합성수지 재질이 상기 중간그물망지(120)의 그물코(그물망의 직선의 실)에 접착되어지는 것을 방지해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반하여, 상기 상면지(110)와 상기 밑면지(130)의 합성수지 재질은 서로 동종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중간그물망지(120)의 그물망(122)의 빈공간을 통하여 서로 잘 접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기 중간그물망지(120)의 바로 아래쪽에 밑면지(130)를 배열한다. 상기 밑면지(130)는 추후 고주파 접착되었을 때 가방 몸체의 내피를 이루게 된다. 상기 밑면지(130)는 합성수지 시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상면지(110)와 상기 중간그물망지(120)와 상기 밑면지(130)를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이들을 서로 합지시킨 이후, 다음 단계로 이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주파접착단계(S 220)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주요부 설명도로서, 도 3a는 고주파접착단계(S 220)의 준비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b는 고주파접착단계(S 220)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c는 고주파접착단계(S 220)를 실시한 이후의 합성수지 원단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상면지(110)와 상기 중간그물망지(120)와 상기 밑면지(130)를 합지된 상태에서 고주파금형을 이용하여 접착작업을 수행하는 합성수지시트의 고주파접착단계(S 2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합성수지시트의 고주파접착단계(S 220)는 상기 상면지(110)와 상기 중간그물망지(120)와 상기 밑면지(130)를 합지된 상태에서 고주파금형을 이용하여 접착작업을 수행한다.
고주파 접착작업은 전단계에서 합지된 합성수지원단을 고주파 장치에 올려놓고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면지(110)의 위쪽에 고주파금형(50)을 위치시키고, 고주파 가열에 의해 상기 상면지(110)와 상기 밑면지(130)를 서로 접착시키게 된다. 상기 고주파금형(50)은 서로 좌우 양쪽 방향으로 2밀리미터 내지 7밀리미터의 폭 또는 이격 거리(D)를 가지고 있는 접착 칼날(52a)(52b)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접착칼날(52a)(52b)은 그 끝단이 경사면(54)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경사면(54)은 한쪽 또는 양쪽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한쪽에만 경사면(54)을 형성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임을 밝혀둔다.
상기 접착칼날(52a)(52b)은 그 끝단에 경사면(54)을 형성하여, 더 많은 양의 고온의 열을 상면지(110)의 합성수지시트에 공급할 수 있어서 접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그 끝단의 날카로운 단면을 이용하여 매우 정교하고 매끈한 절단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접착칼날(52a)(52b)이 서로 짝을 이루고 2밀리미터 내지 7밀리미터의 폭 또는 이격거리(D)를 형성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접착작업을 수행한 이후에는, 상기 상면지(110)의 표면에 좌우방향으로 접착띠(114)를 형성하고, 그들 사이에 상면제거띠(116)를 형성하게 되는 결과를 도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접착칼날(52)의 경사면(54)의 이중적인 작용으로 인하여, 고온의 접착열을 상기 상면지(110)에 효율적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추후 용이하게 상면제거띠(116)를 뜯어내어 제거하거나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게 된다. 상기 상면지(110)에 고온의 열이 전달되어지면, 상기 상면지(110)의 합성수지시트의 플라스틱 재질은 용융되어 상기 밑면지(130)에 접착되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중간그물망지(120)는 다수의 그물망(122)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그물망(122)의 빈공간부를 통하여 상기 상면지(110)와 상기 밑면지(130)가 상호 접착되어지는 반면에, 상기 그물망(122)을 이루고 있는 그물코(124)는 상기 상면지(110)와 상기 밑면지(130)를 서로 접착되지 못하게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면지(110)와 상기 밑면지(130)는 상기 그물망(122)의 빈공간부를 이루는 영역에서 서로 접착되어지는 접착부위(112)를 형성하게 되지만, 상기 그물망(122)의 그물코(124)에 해당하는 영역에서는 서로 접착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면지(110)는 상기 접착칼날(52a)(52b)의 경사면(54)에 대응하여 서로 2밀리미터 내지 7밀리미터의 이격 간격(D)을 두고 길게 나란히 형성된 접착띠(114)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접착띠(114)와 접착띠(114)의 사이에는 상면제거띠(116)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접착띠(114)의 아래쪽 내부에는 상기 접착부위(112)가 존재하게 됨은 당연하다.
도 4는 상면지(110) 표면의 디자인 형성단계(S 230)를 실시한 이후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면지와 중간그물망지의 상호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상면지(110) 표면의 디자인 형성단계(S 230)를 실시한 이후에 얻어진 합성수지 원단(100)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상면지(110)의 표면에서 상기 접착띠(114)들의 사이에 형성된 상면제거띠(116)를 뜯어내어 제거함으로써, 상기 상면지(110)의 표면에 다수의 다각형의 모양(117)을 형성하는 상면지 표면의 디자인 형성단계(S 2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면지 표면의 디자인 형성단계(S 230)는 상기 고주파접착단계를 마친 이후, 상기 상면지(110)의 표면에 상기 접착칼날(52a)(52b)들에 의해 형성된 접착띠(114)와, 그 사이에 형성된 상면제거띠(116)를 얻게 되고, 상기 상면제거띠(116)를 상기 상면지(110)의 표면에서 뜯어내는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접착칼날(52a)(52b)들에 의해 상면지(110)와 밑면지(130)가 서로 접착하게 되면, 상기 접착칼날(52a)(52b)들의 경사면(54)에 의해 길게 형성된 두 줄의 접착띠(114)를 얻게 되고, 상기 접착띠(114)의 짧은 폭(D)을 따라 가늘고 길게 형성된 상면제거띠(116)를 얻게 된다. 상기 상면제거띠(116)는 상기 상면지(110)의 표면에서 직선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서로 연결되어 있다. 작업자가 상기 상면제거띠(116)를 뜯어내어 제거하게 되면, 상기 상면지(110)의 표면에는 다수의 다각형의 모양(117)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다각형의 모양(117)은 삼각형이나,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8각형, 원형 등의 모양을 이루게 된다. 상기 삼각형과 상기 사각형 등이 서로 마주쳐 합쳐지는 부위에는 원형이나 5각형의 별 모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각형의 모양(117)은 상기 접착칼날(52a)(52b)들의 금형 설계 단계에서 디자인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반 단계들을 거치게 되면, 가방 제조용 합성수지 원단(100)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 고주파금형(50)의 접착 칼날(52a)(52b)의 배열에 의하여, 상기 상면지(110)의 표면에 형성되어지는 상면제거띠(116)의 형태를 다르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얻게 되는 상기 다각형의 모양(117)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완성된 디자인 가방에 관한 실시예를 사진자료로 촬영하여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디자인 형성단계(S 230) 이후에, 상기 가방 제조용 합성수지 원단(100)을 이용하여 가방의 몸체를 만들고, 상기 가방의 몸체에 손잡이를 형성하거나 멜빵끈을 형성하는 디자인 가방의 완성단계(S 2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디자인 가방의 완성단계(S 240)는 상기 가방 제조용 합성수지 원단(100)을 이용하여 가방의 몸체를 만든다. 가방의 몸체를 만드는 방식은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방 제조용 합성수지 원단(100)을 서로 접합시키거나, 서로 봉제하여 결합시키거나, 또는 벨크로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 가방의 몸체에는 상면부를 개방시킬 수도 있고, 상면부를 개방/폐쇄시키기 위해 그 내부에 벨크로를 형성하거나 지퍼를 형성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방의 몸체에 손잡이를 형성하거나 멜빵끈을 형성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가방 제조용 합성수지 원단 및 이것을 이용한 가방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0 : 합성수지 원단
110 : 상면지, 112 : 접착부위,
114 : 접착띠, 116 : 상면제거띠,
117 : 다각형의 모양, 120 : 중간그물망지,
122 : 그물망, 124 : 그물코,
130 : 밑면지,

Claims (8)

  1. 상면지와 밑면지를 고주파접착시켜 가방 제조용 합성수지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방 몸체의 외피를 이루는 상면지(110)와, 다수의 그물망(122)을 가지고 있고 상기 상면지(110)에 대해 이종의 재질로 이루어진 중간그물망지(120)와, 상기 중간그물망지(120)의 아래쪽에 배열되어지고 가방 몸체의 내피를 이루는 밑면지(130)를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합지하는 합성수지시트의 합지단계(S 210)와;
    상기 상면지(110)와 상기 중간그물망지(120)와 상기 밑면지(130)를 합지된 상태에서 고주파금형을 이용하여 접착작업을 수행하되, 상기 고주파금형(50)의 접착칼날(52)의 끝단을 경사면(54)으로 형성하여 고온의 접착열을 상기 상면지(110)에 효율적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추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형성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상면지(110)와 상기 밑면지(130)가 서로 상기 중간그물망지(120)의 그물망(122)의 사이를 통하여 서로 접착되어지도록 하는 합성수지시트의 고주파접착단계(S 220)와;
    상기 고주파접착단계를 마친 이후, 상기 상면지(110)의 표면에서 상면제거띠(116)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상면지(110)의 표면에 다수의 삼각형과 다수의 사각형 및 다수의 다각형의 모양(117)을 형성하게 되는 상면지 표면의 디자인 형성단계(S 23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가방 제조용 합성수지원단을 제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금형(50)은 서로 좌우 양쪽으로 짝을 이루고 있는 접착칼날(52a)(52b)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가방 제조용 합성수지원단을 제조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짝을 이루고 있는 접착칼날(52a)(52b)은 그들 사이의 상호 이격거리(D)를 2밀리미터 내지 7밀리미터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가방 제조용 합성수지원단을 제조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짝을 이루고 있는 접착칼날(52a)(52b)은 그 끝단의 경사면(54)을 통하여 고온의 열을 상기 상면지(110)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상면지(110)와 상기 밑면지(130)의 접촉되는 영역에서 접착부위(112)를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을로 한, 가방 제조용 합성수지원단을 제조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짝을 이루고 있는 접착칼날(52a)(52b)은 그 끝단의 경사면(54)에 의해 상기 상면지(110)의 내부에 접착부위(112)를 형성하고, 상기 접착부위(112)에 대응되는 상기 상면지(110)의 표면 위에 두 줄의 접착띠(114)를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가방 제조용 합성수지원단을 제조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줄의 접착띠(114)는 그들 사이의 짧은 폭(D)을 따라 가늘고 길게 형성된 상면제거띠(116)를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가방 제조용 합성수지원단을 제조하는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하여 제조된 가방 제조용 합성수지 원단.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을 이용한 이후에,
    다수의 다각형의 모양(117)을 형성한 상기 상면지(110)를 이용하여 가방의 몸체를 만들고, 상기 가방의 몸체에 손잡이를 형성하거나 멜빵끈을 형성하는 디자인 가방의 완성단계(S 240); 를 더욱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가방의 제조방법.
KR1020160141070A 2016-10-27 2016-10-27 고주파를 이용한 3d 입체 가방의 제조방법 KR101867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070A KR101867887B1 (ko) 2016-10-27 2016-10-27 고주파를 이용한 3d 입체 가방의 제조방법
PCT/KR2016/014018 WO2018079922A1 (ko) 2016-10-27 2016-12-01 고주파를 이용한 3d 입체 가방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070A KR101867887B1 (ko) 2016-10-27 2016-10-27 고주파를 이용한 3d 입체 가방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159A true KR20180046159A (ko) 2018-05-08
KR101867887B1 KR101867887B1 (ko) 2018-06-15

Family

ID=62025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070A KR101867887B1 (ko) 2016-10-27 2016-10-27 고주파를 이용한 3d 입체 가방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67887B1 (ko)
WO (1) WO20180799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08865A (ja) * 2018-06-05 2019-12-12 株式会社バルコス バッ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402Y1 (ko) * 2001-07-09 2002-03-18 장우환 고주파유도가열기를 이용한 합성수지시트 접착기
KR100385734B1 (ko) 2001-03-10 2003-06-02 남준 비닐가방 및 그 제조방법
JP2005047234A (ja) * 2003-07-31 2005-02-24 Nippon Petrochemicals Co Ltd 補強層入り包装材料およびこれを用いた包装袋
JP2008030199A (ja) * 2004-11-11 2008-02-14 Kuroda Nobuo 合成樹脂製立体装飾片とその製造方法
KR101045164B1 (ko) 2008-09-02 2011-06-30 송영진 가방과 이를 위한 가방본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374393B1 (ko) 2013-01-10 2014-03-28 김지은 보자기 및 이를 이용한 가방의 제조방법
KR20160109199A (ko) * 2015-03-10 2016-09-21 오정미 입체패턴이 형성된 합성수지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07110A (en) * 1987-07-20 1989-01-25 Nomix Mfg Co Ltd Containers for fluids such as herbicide
KR100621995B1 (ko) * 2004-04-27 2006-09-14 김막동 입체시트 제조방법 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입체시트
KR101527375B1 (ko) * 2014-03-07 2015-06-09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장식문양을 갖는 인조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제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734B1 (ko) 2001-03-10 2003-06-02 남준 비닐가방 및 그 제조방법
KR200262402Y1 (ko) * 2001-07-09 2002-03-18 장우환 고주파유도가열기를 이용한 합성수지시트 접착기
JP2005047234A (ja) * 2003-07-31 2005-02-24 Nippon Petrochemicals Co Ltd 補強層入り包装材料およびこれを用いた包装袋
JP2008030199A (ja) * 2004-11-11 2008-02-14 Kuroda Nobuo 合成樹脂製立体装飾片とその製造方法
KR101045164B1 (ko) 2008-09-02 2011-06-30 송영진 가방과 이를 위한 가방본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374393B1 (ko) 2013-01-10 2014-03-28 김지은 보자기 및 이를 이용한 가방의 제조방법
KR20160109199A (ko) * 2015-03-10 2016-09-21 오정미 입체패턴이 형성된 합성수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08865A (ja) * 2018-06-05 2019-12-12 株式会社バルコス バッ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79922A1 (ko) 2018-05-03
KR101867887B1 (ko) 2018-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8706B1 (en) Fabric welding and cutting wheel assembly
TWI544882B (zh) Zipper chain bel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WO2017193587A1 (zh) 一种拖鞋及其制造方法
US7166012B2 (en) Brassiere and molded breast cup construction therefor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JP5921810B2 (ja) 帽子及び帽子の製造方法
KR101867887B1 (ko) 고주파를 이용한 3d 입체 가방의 제조방법
KR20110013789A (ko) 한장의 원단지를 사용하여 입체구조를 갖는 마스크의 제조방법.
TW201934031A (zh) 用於鞋體之花紋布料的製造方法及其製品
KR101740659B1 (ko) 붙임머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07262B1 (ko) 문양 원단의 제조방법
TWI462703B (zh) 用以連接織物片及製造胸罩的方法
KR101759892B1 (ko) 장식 밴드 제조 방법
JP7248817B2 (ja) 積層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07260B1 (ko) 유압 프레스기를 이용한 입체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
KR102089727B1 (ko) 입체감있는 잔디자수 형성방법
KR101334109B1 (ko) 원단베이스를 사용한 후로킹퍼프 및 그 제조방법
JP5623069B2 (ja) 打ち抜き模様付きの縫製品用生地
JP2801607B2 (ja) プラスチック袋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80445B1 (ko) 브래지어컵의 제조방법
KR20200048928A (ko) 패턴이 형성된 기능성 원단
JP6703961B2 (ja) 制帽
KR101358932B1 (ko) 악세서리 마스크 구조체
JP3137587U (ja) プリーツ加工した布地を用いた靴用甲被材及びそれを用いた靴
EP2835069B1 (en) Method for providing a padded lining, particularly for crash helmets, and padded lining provided with the method
KR101676924B1 (ko) 접이식 매트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