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262B1 - 문양 원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문양 원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262B1
KR102007262B1 KR1020170030015A KR20170030015A KR102007262B1 KR 102007262 B1 KR102007262 B1 KR 102007262B1 KR 1020170030015 A KR1020170030015 A KR 1020170030015A KR 20170030015 A KR20170030015 A KR 20170030015A KR 102007262 B1 KR102007262 B1 KR 102007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fabric
glyph
hot mel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3292A (ko
Inventor
김대현
Original Assignee
김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현 filed Critical 김대현
Priority to KR1020170030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262B1/ko
Publication of KR20180103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05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2Mountings for pictures; Mountings of horns on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6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heating of the applied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양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형지 위에 핫멜트층을 형성하고 상기 핫멜트층의 위에 문양시트를 올려놓고 합지원단을 준비하는 이형지와 문양시트의 합지 단계(S 210)와; 커팅 플로터의 입력장치에 절단하고자 하는 문양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커팅 플로터에 의해 상기 합지원단 중의 문양시트와 핫멜트층을 커팅함으로써, 상기 합지원단에 제1 문양부와 제2 문양부를 형성하여 구분하는 문양형성 단계(S 220)와; 상기 합지원단에서 상기 제1 문양부를 떼어내어서 분리하고, 상기 합지원단 중에 상기 제2 문양부를 그대로 위치시키는 제1 문양부와 제2 문양부의 분리단계(S 230)와; 상기 제1 문양부를 제1 직물의 표면에 부착하여 제1 문양원단을 형성하는 제1 문양원단의 제조단계(S 240)와; 상기 제2 문양부를 제2 직물의 표면에 부착하여 제2 문양원단을 형성하는 제2 문양원단의 제조단계(S 250); 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문양시트에 형성된 제1 문양부와 제2 문양부를 모두 활용할 수 있으므로, 문양을 형성한 이후에, 외부에 버려지는 것이 전혀 없으며, 모든 재료를 완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문양 원단의 제조방법 {Method of Producing Patterned Fablic}
본 발명은 문양 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문양 시트지에 제1 문양과 제2 문양을 형성하고, 제1 문양과 제2 문양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고,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문양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것을 이용한 생활용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지의 표면에 다양한 모양의 디자인을 형성하여, 가방이나 의류 또는 신발 등의 생활용품에 사용하고 있다. 직물지의 표면에 다양한 모양의 디자인을 형성할 경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자신의 개성을 외부로 드러내거나 자신의 사회적 평판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활용되는 수단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통상적으로 생활용품 중의 가방은 자신의 소유 물건을 담아 둘 수 있는 가방 몸체와, 상기 가방 몸체를 손으로 들거나 어깨에 메어 달 수 있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에 이르러서는, 가방의 몸체의 외부 표면에 디자인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고급 악세사리로서의 기능을 더욱 강조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또한, 생활용품 중의 의류는 착용자의 개성을 더욱 드러내기 위한 수단으로 여겨지기도 하므로, 개성이 있는 의류 제품의 출현을 고대하고 있기도 하다.
이와 같은 생활용품으로서의 가방이나 의류 등은 직물지를 바탕으로 하여, 그 위에 다양한 모양을 가진 문양시트를 부착하거나 문양을 형성하고 있으나, 문양시트를 완전히 활용하는 방법은 아직까지 소개된 사실이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7478호 "의류원단의 음각 무늬형성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생산된 의류원단" (2015. 2. 2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5164호 "가방과 이를 위한 가방본체 및 그 제조방법" (2011. 6. 2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385734호 "비닐가방 및 그 제조방법" (2003. 5. 6.).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문양 시트지에 제1 문양과 제2 문양을 형성하고, 제1 문양과 제2 문양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문양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것을 이용한 생활용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형지 위에 핫멜트층을 형성하고 상기 핫멜트층의 위에 문양시트를 올려놓고 합지원단을 준비하는 이형지와 문양시트의 합지 단계(S 210)와; 커팅 플로터의 입력장치에 절단하고자 하는 문양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커팅 플로터에 의해 상기 합지원단 중의 문양시트와 핫멜트층을 커팅함으로써, 상기 합지원단에 제1 문양부와 제2 문양부를 형성하여 구분하는 문양형성 단계(S 220)와; 상기 합지원단에서 상기 제1 문양부를 떼어내어서 분리하고, 상기 합지원단 중에 상기 제2 문양부를 그대로 위치시키는 제1 문양부와 제2 문양부의 분리단계(S 230)와; 상기 제1 문양부를 제1 직물의 표면에 부착하여 제1 문양원단을 형성하는 제1 문양원단의 제조단계(S 240)와; 상기 제2 문양부를 제2 직물의 표면에 부착하여 제2 문양원단을 형성하는 제2 문양원단의 제조단계(S 250); 를 포함하고 있는 문양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문양원단을 이용하여, 가방이나 의류 또는 신발 등과 같은 생활용품을 제조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문양원단을 이용하여, 역시 가방이나 의류 또는 신발 등과 같은 생활용품을 제조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문양시트에 형성된 제1 문양부와 제2 문양부를 모두 활용할 수 있으므로, 문양을 형성한 이후에, 외부에 버려지는 것이 전혀 없으며, 모든 재료를 완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양 형성 작업을 수행한 이후에, 외부에 버려지는 재료가 없으므로, 부자재 쓰레기가 발생되지 않으며,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하나의 문양시트로 서로 다른 2개의 제1 문양부와 제2 문양부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은 각각 서로 다른 미적 감각을 제공하게 되므로, 디자인의 활용 측면에서도 매우 유익한 효력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합지원단의 구성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합지원단에 대해 제1 문양부와 제2 문양부를 디자인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합지원단에 대한 커팅플로터의 커터 작용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4a는 제1 문양부를 분리하여 제1 직물에 부착시키는 것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b는 상기 도 4a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a는 제2 문양부가 합지원단에 남겨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b는 상기 도 5a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6a는 합지원단에서 이형테이프를 가접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b는 상기 이형테이프에 제2 문양부가 접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6c는 상기 이형테이프를 제거한 이후 상기 제2 문양부가 제2 직물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창작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합지원단의 구성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는 합지원단에 대해 제1 문양부와 제2 문양부를 디자인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형지 위에 핫멜트층을 형성하고 상기 핫멜트층의 위에 문양시트를 올려놓고 합지원단을 준비하는 이형지와 문양시트의 합지 단계(S 2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합지단계(S 210)는 이형지(112)의 위에 핫멜트층(114)을 형성한다. 핫멜트층(114)은 외부에서 가열할 경우 열에 의해 접착력을 발생하는 핫멜트 접착제를 이형지(112)의 위에 도포하거나 분사하여서 형성할 수 있다. 핫멜트층(114)이 형성되어지면, 그 위에 문양시트(110)를 올려놓고 가접합시킨다. 상기 문양시트(110)는 인조가죽이거나 합성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합성수지 필름으로서는 PVC 원단 또는 우레탄 원단이 바람직하다. 상기 문양시트(110)의 표면으로서 핫멜트층(114)에 접합되어지는 반대쪽 표면에는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형지(112)와 상기 핫멜트층(114)과 상기 문양시트(110)가 가 접합되어 하나의 시트 형상으로 합지원단(120)을 형성하게 되면, 다음 단계로 이행되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합지원단(120)에 제1 문양부(122)와 제2 문양부(124)를 형성하여 구분하는 문양형성 단계(S 220)를 포함하고 있다.
도 3은 합지원단에 대한 커팅플로터의 커터 작용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문양형성 단계(S 220)는 전단계에서 얻어진 합지원단(120)에 제1 문양부(122)와 제2 문양부(124)를 동시에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커팅 플로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팅 플로터를 사용하기 위하여, 커팅 플로터의 입력장치에 절단하고자 하는 문양 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문양 정보는 상기 합지원단(120)을 제1 문양부(122)와 제2 문양부(124)로 구분하여 절단하기 위한 도형 정보를 말한다. 이때, 상기 제1 문양부(122)는 커팅 플로터의 커터(125)에 의해 절단되어지는 부분으로서, 절단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도형 부분을 말한다. 이에 반하여, 상기 제2 문양부(124)는 상기 합지원단(120)에서 상기 제1 문양부(122)를 제거하고 남겨져 있는 부분으로서, 전체적으로 모든 도형들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도형 부분을 말한다.
상기 문양형성 단계(S 220)는 상기 커팅 플로터의 입력장치에 절단하고자 하는 문양 정보를 입력한 다음에, 상기 합지원단(120)을 상기 커팅 플로터의 커터(125)에 의해 제1 문양부(122)와 제2 문양부(124)로 절단하게 된다. 상기 커팅 플로터의 커터(125)는 상기 합지원단(120)을 절단하되, 절단되는 깊이는 상기 합지원단(120) 중의 문양시트(110)와 핫멜트층(11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이형지(112)에 대해서는 절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커팅 플로터의 커터(125)의 절단 깊이는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터(125)에 의해 상기 제1 문양부(122)의 모양에 따라 절단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자연적으로 상기 제2 문양부(124)의 모양으로 절단작업이 동시에 수행되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합지원단에서 상기 제1 문양부를 떼어내어서 분리하고, 상기 합지원단 중에 상기 제2 문양부를 그대로 위치시키는 제1 문양부와 제2 문양부의 분리단계(S 2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분리단계(S 230)는 상기 합지원단(120)에서 상기 제1 문양부(122)를 떼어내는 작업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문양부(122)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단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도형 부분이므로, 이 부분의 어느 한쪽을 잡은 상태에서, 이것을 위쪽으로 걷어 올리면, 상기 제1 문양부(122)는 쭈욱 따라 올라오면서, 상기 합지원단(120)에서 분리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문양부(122)와 상기 제2 문양부(124)는 모두 상기 이형지(112)에 상기 핫멜트층(114)에 의해 가접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제1 문양부(122)가 상기 이형지(112)에서 분리되어지게 되면, 상기 제2 문양부(124)는 원래의 위치에 그대로 놓여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문양부(122)를 제1 직물(142)의 표면에 부착하여 제1 문양원단(140)을 형성하는 제1 문양원단의 제조단계(S 2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문양원단의 제조단계(S 240)는 전 단계에서 분리된 상기 제1 문양부(122)를 취하고, 가방지 또는 의류 등과 같은 제1 직물(142)의 표면에 붙이고, 부착된 상기 제1 문양부(122)를 가열 및 가압하여 제1 문양원단(140)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직물(142)은 생활용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가방이나 의류 제품을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는 바탕지로서, 직물원단이나 합성수지 원단 또는 인조가죽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직물(142)을 어떤 형태의 바탕지로 사용하느냐의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문양원단(140)의 상품성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 문양부(122)를 상기 제1 직물(142)에 부착하여 가열 가압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 문양부(122)를 상기 제1 직물(142)에 가접합시킨 상태에서 그 위에 필름지를 올려놓고 가열 가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열 및 가압방법을 수작업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가열프레스 장치에 집어 넣어 기계작업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 문양부(124)를 제2 직물(152)의 표면에 부착하여 제2 문양원단(150)을 형성하는 제2 문양원단의 제조단계(S 250); 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 문양원단의 제조단계(S 250)는 전단계에서 상기 합지원단(120)에 남겨져 있는 제2 문양부(124)를 활용하여 제2 직물(152)의 표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 방식은 상기 제1 문양부(122)를 상기 제1 직물(142)에 부착하는 방식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진행되어진다.
상기 제2 문양원단의 제조단계(S 250)는, 이를 위하여, 실리콘 접착제(132)가 표면에 부착된 이동테이프(130)를 상기 제2 문양부(124)의 위에 고르게 펼쳐서 덮는다. 상기 실리콘 접착제(132)는 상기 제2 문양부(124)를 접착시키게 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이동테이프(130)를 잡아당긴다. 이 경우, 상기 이형지(112)위에 핫멜트층(114)에 의해 접착되어 있던 상기 제2 문양부(124)가 에서 떨어지게 나오게 되고, 상기 이동테이프(130)에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이동테이프(130)를 제2 직물(152)의 표면에 부착시킨 다음, 상기 이동테이프(130)의 위쪽 표면에서 가열 및 가압작업을 수행한다. 가열 및 가압작업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이동테이프(130)의 위쪽에서 가열 및 가압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상기 핫멜트층(114)의 핫멜트 성분은 상기 제2 직물(152)에 대하여 점점 강력한 접착력을 발휘하게 되는 반면에, 상기 실리콘 접착제(132)는 오히려 그 접착력을 점차적으로 잃어가게 된다. 상기 가열 및 가압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이동테이프(130)를 잡아당기면, 상기 제2 문양부(124)를 상기 제2 직물(152)에 접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이동테이프(130)가 떨어져 나오게 된다.
상기 제2 문양부(124)를 가열 및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제2 직물(152)을 바탕지로 한 제2 문양원단(15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2 직물(152)은 위에서 설명한 상기 제1 직물(142)과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제2 직물(152)은 역시 생활용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가방이나 의류 제품 등을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문양원단(140)을 이용하여, 가방이나 의류 또는 신발 등과 같은 생활용품을 제조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문양원단(150)을 이용하여, 역시 가방이나 의류 또는 신발 등과 같은 생활용품을 제조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문양원단(140)을 이용하여 가방을 제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1 문양원단(140)을 서로 접합시키거나, 서로 봉제하여 결합시켜서 가방 몸체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방 몸체에는 상면부를 개방시킬 수도 있고, 상면부를 개방/폐쇄시키기 위해 그 내부에 벨크로를 형성하거나 지퍼를 형성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방의 몸체에 손잡이를 형성하거나 멜빵끈을 형성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
도 7a은 상기 제1 문양원단(140)을 이용하여 가방을 만든 실시예 중의 하나이고, 도 7b은 상기 제2 문양원단(150)을 이용하여 또 다른 가방을 만든 실시예 중의 하나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상기 제1 문양부(122)와 제2 문양부(124)를 다양한 모양으로 설계하고 이를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상기 문양시트(110)에서 버려지는 부분이 전혀 없게 되고, 전체의 문양시트를 완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자원의 활용효율을 거의 100%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모양의 디자인을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생활용품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문양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문양원단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10 : 문양시트, 112 : 이형지,
114 : 핫멜트층, 120 : 합지원단,
122 : 제1 문양부, 124 : 제2 문양부,
125 : 커터, 130 : 이동테이프,
132 : 실리콘 접착제, 140 : 제1 문양원단,
150 : 제2 문양원단,

Claims (7)

  1. 이형지 위에 핫멜트층을 형성하고 상기 핫멜트층의 위에 문양시트를 올려놓고 합지원단을 준비하는 이형지와 문양시트의 합지 단계(S 210)와;
    커팅 플로터의 입력장치에 절단하고자 하는 문양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커팅 플로터에 의해 상기 합지원단 중의 문양시트와 핫멜트층을 커팅함으로써, 상기 합지원단에 제1 문양부와 제2 문양부를 형성하여 구분하는 문양형성 단계(S 220)와;
    상기 합지원단에서 상기 제1 문양부를 떼어내어서 분리하고, 상기 합지원단 중에 상기 제2 문양부를 그대로 위치시키는 제1 문양부와 제2 문양부의 분리단계(S 230)와;
    상기 제1 문양부를 제1 직물의 표면에 부착하여 제1 문양원단을 형성하되, 상기 제1 문양부는 커팅 플로터의 커터(125)에 의해 절단되어지는 부분으로서, 절단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도형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도형 부분의 어느 한쪽을 잡은 상태에서 위쪽으로 걷어 올려서 상기 합지원단에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1 문양원단의 제조단계(S 240)와;
    상기 제2 문양부를 제2 직물의 표면에 부착하여 제2 문양원단을 형성하되, 상기 제2 문양부는 커팅 플로터의 커터(125)에 의해 절단되어지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1 문양부(122)를 제거하고 남겨져 있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모든 도형들이 서로 분리되어 존재하게 되지만, 상기 합지원단에 남겨져서 분리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 존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2 문양원단의 제조단계(S 250);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문양원단의 제조단계(S 240)에서 형성된 상기 제1 문양부는 상기 합지원단에서 분리된 상태이고,
    상기 제2 문양원단의 제조단계(S 250)에서 형성된 상기 제2 문양부는 상기 합지원단에 부착된 상태이며,
    상기 제1 문양부와 상기 제2 문양부를 활용한 결과, 상기 문양시트에서 버려지는 부분이 전혀 없고, 전체의 문양시트를 완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문양원단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양원단의 제조단계(S 240)는
    상기 제1 문양부를 취하여 제1 직물의 표면에 가접합하여 붙이고, 가접합된 상기 제1 문양부의 표면을 가열 및 가압하여, 상기 제1 문양부의 이면에 존재하는 핫멜트 성분이 상기 제1 직물의 표면에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제1 문양원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문양원단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문양원단의 제조단계(S 250)는 실리콘 접착제가 표면에 부착된 이동테이프를 상기 제2 문양부의 위에 고르게 펼쳐서 덮고,
    상기 실리콘 접착제와 상기 제2 문양부를 접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이동테이프를 잡아당겨서, 상기 제2 문양부가 이형지에서 떨어지게 나와서, 상기 이동테이프에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이동테이프를 제2 직물의 표면에 부착시킨 다음, 상기 이동테이프의 위쪽 표면에서 가열 및 가압작업을 수행하여, 상기 제2 문양부의 이면에 존재하는 핫멜트 성분이 상기 제2 직물의 표면에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하며,
    상기 이동테이프(130)를 잡아당겨서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2 문양부를 제2 직물에 접착시켜서 제2 문양원단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문양원단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70030015A 2017-03-09 2017-03-09 문양 원단의 제조방법 KR102007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015A KR102007262B1 (ko) 2017-03-09 2017-03-09 문양 원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015A KR102007262B1 (ko) 2017-03-09 2017-03-09 문양 원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292A KR20180103292A (ko) 2018-09-19
KR102007262B1 true KR102007262B1 (ko) 2019-10-21

Family

ID=6371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015A KR102007262B1 (ko) 2017-03-09 2017-03-09 문양 원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2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930B1 (ko) * 2019-11-21 2021-04-07 현대트랜시스(주) 무봉제형 벨크로용 접착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시트 패딩재의 제조방법
CN113580695A (zh) * 2020-04-30 2021-11-02 罗伯特·博世有限公司 用于制造由至少两个织物层构成的织物复合结构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079B1 (ko) * 2009-09-18 2010-12-09 덕 희 홍 아플리케용 부착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734B1 (ko) 2001-03-10 2003-06-02 남준 비닐가방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04058U (ko) * 2007-10-26 2009-04-30 최동희 장식용 시트
KR100958836B1 (ko) * 2008-01-30 2010-05-31 주식회사 빈코퍼레이션 의류용 장식지 제조방법
KR101045164B1 (ko) 2008-09-02 2011-06-30 송영진 가방과 이를 위한 가방본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497478B1 (ko) 2014-03-05 2015-03-02 하성호 의류원단의 음각 무늬형성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생산된 의류원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079B1 (ko) * 2009-09-18 2010-12-09 덕 희 홍 아플리케용 부착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292A (ko) 201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48752B (zh) 将附加材料粘合到纺织品上的方法
US5599416A (en) Thermally transferable type emblem made of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761135B2 (ja) 熱可塑性合成樹脂製立体装飾片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07262B1 (ko) 문양 원단의 제조방법
US5520988A (en) Thermally transferable type emblem made of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07260B1 (ko) 유압 프레스기를 이용한 입체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
KR200454946Y1 (ko) 열전사방식을 이용한 스팽글 전사지
KR101759892B1 (ko) 장식 밴드 제조 방법
CN114206630B (zh) 用于服装、物品和家具部件装饰目的的脱水、密封和防水的植物组件及其实施/制造方法
KR20180086693A (ko) 우피를 이용한 뱀피무늬 가방 및 그 제조방법
KR101745885B1 (ko) 장식 밴드 제조 장치
KR20090046450A (ko) 입체무늬가 형성된 커버 및 그 제조방법
JP3093555U (ja) 立体成型生地
TWM565130U (zh) Pattern piece
JP5324104B2 (ja) 装飾シートの製造方法
JP6231968B2 (ja) レザーの立体模様形成方法
KR101891691B1 (ko) 자수가 형성된 원단
US20130118678A1 (en) Template Material and Method of Utilizing the Same to Attach Items to a Base Material
KR200282795Y1 (ko) 열가공 및 열정착 라벨 원단구조
EP1633921B1 (en) Process for obtaining a fused seam for pieces of fabric
KR20230114874A (ko) 로고 라벨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로고 라벨
KR20140049105A (ko) 종이, 비닐, 피혁, 천등 열에 약한 부자재에 아랫면이 평면인 보석류를 양면테이프를 사용하여 장식하는 방법
US20090277572A1 (en) Fabrication and attachment of multi-part appliques
JP2008246871A (ja) エンボス加工シート
KR880002847Y1 (ko) 의류장식용 인조귀석 부착시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