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508A - 접이식 휠체어 - Google Patents
접이식 휠체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44508A KR20180044508A KR1020160138080A KR20160138080A KR20180044508A KR 20180044508 A KR20180044508 A KR 20180044508A KR 1020160138080 A KR1020160138080 A KR 1020160138080A KR 20160138080 A KR20160138080 A KR 20160138080A KR 20180044508 A KR20180044508 A KR 201800445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ddle
- wheel
- frame
- footrest
- backres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 A61G5/08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folding direction
- A61G5/0833—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folding direction folding front to back, e.g. reducing or expanding the overall depth of the wheelchai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1—Arrangements for steer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the bac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14—Joystick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휠체어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는 탑승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안장, 안장에 힌지 결합되어 접히도록 형성되는 등받이, 안장의 양 측면에 설치되며, 바퀴부착부가 형성되는 측면 프레임부, 측면 프레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보조바퀴가 장착된 보조바퀴 프레임, 바퀴부착부에 탈착되게 형성되는 메인 바퀴, 탑승자의 발을 지지하는 발받침부, 안장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관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일단에 발받침부가 결합되도록 받침결합부가 형성되는 전면이동 프레임, 측면 프레임에 부착되어 레버 작동시 메인 바퀴측으로 이동하여 장착된 모터부와 연결된 회전롤러가 메인 바퀴의 외주면과 밀착되게 구동되는 동력전환부, 상기 등받이부 측면에 장착되는 팔걸이부 및 팔걸이부에 장착되어 보조 바퀴 또는 동력전환부에 방향이동 신호를 제공하는 조이스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량으로 제조되며,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접이식으로 형성되며, 동력전환부가 탈착식으로 형성되는 접이식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휠체어는 장애인 또는 노약자들의 이동을 위해 개발된 이동형 의자이다. 종래 휠체어는 안장 양측에 설치된 큰 바퀴를 손으로 조작하여 이동하거나, 보호자 등이 뒤에서 밀어 이동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상기 수동식 휠체어의 경우 환자가 손으로 바퀴를 굴려야 하므로 환자의 체력소모가 크고, 동시에 환자 손이 다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전동 휠체어가 개발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75444호(전동휠체어)는 후방에 모터가 구비되어 있어 탑승자가 모터를 구동시켜 이동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 전동휠체어는 과다한 무게로 인하여 이동의 편의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애인 차량으로 사용되는 LPG 차량의 경우 트렁크 공간에 가스통이 설치되어 차량으로 전동휠체어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실내는 공간이 좁고 왕래가 잦은 특성으로 인해 전동휠체어의 주행이 평소보다 어렵고, 무게가 너무 무거워서 자칫 오작동 시에는 큰 사고를 야기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무게가 가볍고, 보관이 용이하도록 접이가 용이하며, 수동과 자동으로 동력을 변환할 수 있는 접이식 휠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접이식 휠체어로서, 탑승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안장; 상기 안장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안장 방향으로 접히도록 형성되는 등받이; 상기 안장의 양 측면에 설치되며, 바퀴부착부가 형성되는 측면 프레임부; 상기 측면 프레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보조바퀴가 장착된 보조바퀴 프레임; 상기 바퀴부착부에 탈착되게 형성되는 메인 바퀴; 상기 탑승자의 발을 지지하는 발받침부; 상기 안장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관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발받침부가 결합되도록 받침결합부가 형성되는 전면이동 프레임; 상기 측면 프레임에 부착되어 레버 작동시 상기 메인 바퀴측으로 이동하여 장착된 모터부와 연결된 회전롤러가 상기 메인 바퀴의 외주면과 밀착되게 구동되는 동력전환부; 상기 등받이부 측면에 장착되는 팔걸이부; 및 상기 팔걸이부에 장착되어 상기 보조 바퀴 또는 상기 동력전환부에 방향이동 신호를 제공하는 조이스틱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 프레임부는 상기 보조바퀴 프레임이 회전하도록 중공의 관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바퀴 프레임은 상기 보조바퀴측이 접철되도록 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휠체어가 접철될 때, 상기 등받이는 상기 안장의 상부면측으로 접히고, 상기 전면이동 프레임이 상기 가이드관부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발받침부를 이동시키며, 상기 보조바퀴 프레임은 상기 측면 프레임부의 내측에서 바깥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보조바퀴측이 접철되는 접이식 휠체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환부는 상기 레버, 모터 및 회전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부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레버가 회동하도록 상기 장착부 측면에 결합되는 레버연결부; 일단이 상기 레버연결부에 회동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에 상기 회전롤러가 결합되는 연결바; 및 상기 레버 이동시 상기 연결바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레버연결부와 상기 연결바 사이에 결합되는 연결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받침부는 \상기 전면이동 프레임에 탈착되게 형성되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와, 상기 탑승자의 발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모터가 동작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프레임부 또는 보조바퀴 프레임은 강도를 강화하고 무게를 줄이도록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파이프에 프리프레그가 코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이식 휠체어로서, 접이식 휠체어로서, 탑승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안장; 상기 안장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안장 방향으로 접히도록 형성되는 등받이; 상기 안장의 양 측면에 설치되며, 바퀴부착부가 형성되는 측면 프레임부; 상기 바퀴부착부에 탈착되게 형성되는 메인 바퀴; 상기 탑승자의 발을 지지하며,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내부에 설치된 보조바퀴를 구비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가 구비되어 상기 보조바퀴에 동력을 제공하는 발받침부; 상기 안장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관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발받침부가 탈착되도록 받침결합부가 형성되는 전면이동 프레임; 상기 등받이부 측면에 장착되는 팔걸이부; 및 상기 팔걸이부에 장착되어 상기 발받침부에 방향이동 신호를 제공하는 조이스틱부를 포함하되, 상기 휠체어가 접철될 때, 상기 등받이는 상기 안장의 상부면측으로 접히고, 상기 전면이동 프레임이 상기 가이드관부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발받침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휠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는 메인바퀴 탈거 후 소형으로 접혀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주요 구성부가 탄소복합소재로 형성되어 무게가 가볍고, 강도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변환부가 장착되어 자동주행 또는 수동주행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휠체어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동력전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4는 도 3에 도시된 동력전환부의 레버가 A위치일 경우의 회전롤러의 위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동력전환부의 레버가 B위치일 경우 회전롤러의 위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휠체어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동력전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4는 도 3에 도시된 동력전환부의 레버가 A위치일 경우의 회전롤러의 위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동력전환부의 레버가 B위치일 경우 회전롤러의 위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휠체어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100)는 안장(120), 등받이(110), 측면 프레임부(130), 바퀴부착부(136), 보조바퀴(144), 보조바퀴 프레임(140), 메인 바퀴(180), 발받침부(160), 전면이동 프레임(150), 동력전환부(200), 팔걸이부(170) 및 조이스틱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장(120)은 탑승자의 신체를 지지한다. 이때, 탑승자는 다리 또는 팔 등의 부상이 있는 환자인 경우이며, 안장은 상기 탑승자가 편안하게 지지되도록 쿠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안장(120) 내부에는 전면이동 프레임(150)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관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관부(122)는 중공관 형태의 파이프 구조물이 안장(120)에 내재되거나, 안장(120)의 제조시 내부에 중공관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관부(122)는 전면이동 프레임(150)이 이동되도록 서로 나란한 두개의 중공관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관부(122)의 끝단측에 전면이동 프레임(150)의 상태를 고정하는 락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락장치는 가이드관부(122)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잠금핀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전면이동 프레임(150)에 형성된 홀 또는 홈에 삽입되어 전면이동 프레임(150)이 가이드관부(122)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전면이동 프레임(150)의 양단부에 각각 홀 또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받이(110)는 안장의 후면에 기립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등받이(110)는 휠체어를 이동 또는 보관이 용이하도록 안장(120)의 상부면 방향으로 접히도록 힌지 결합된다.
등받이(110)와 안장(120)의 힌지결합 부위에는 등받이(110)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락장치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등받이(110)가 안장(120)에 기립된 상태일 경우 기립상태를 유지시키도록 락장치가 작동한다. 이때, 등받이(110)를 접기 위해 락장치를 해제하고, 등받이(110)는 안장(120)측에 밀착시킨다. 등받이(110)가 안장(120)에 밀착되면 락장치가 작동하여 등받이(110)의 상태를 유지시킨다.
락장치는 힌지 결합부위에 형성되며, 고정핀을 이용한 고정 또는 기어와 해제 버튼 등이 결합된 형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측면 프레임부(130)는 안장(12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 고정된다. 측면 프레임부(130)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의 지지관(132)과, 적어도 하나의 연결프레임(134)이 구비되며, 메인 바퀴(180)가 결합되는 바퀴결합부(136)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관(132)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소재로 형성되어 무게를 줄이고,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외부 또는 내부에 탄소복합소재 예를 들면, 프리프레그를 코팅하여 형성한다.
연결프레임(134)은 상기 지지관(132)과 같은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연결프레임(134)은 지지관(132)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안장(120)과 지지관(132)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바퀴결합부(136)는 지지관(132)과 안장(120) 사이의 공간에 판형상의 구조물이 결합된다. 바퀴결합부(136)는 메인 바퀴(180)가 장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홀(138)이 구비될 수 있다.
보조바퀴 프레임(140)은 측면 프레임부(1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보조바퀴(144)가 장착된다. 보조바퀴 프레임(140)은 지지관(132)에 삽입되는 관형태의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보조바퀴 프레임(140)의 일단에 보조바퀴(144)가 장착된다.
보조바퀴 프레임(140)은 힌지부(142)가 구비되어 휠체어 접철시 보조바퀴(144)측을 바깥쪽을 접을 수 있도록 한다.
메인 바퀴(180)는 통상의 휠체어에 사용되는 바퀴와 같이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메인 바퀴(180)는 무게 감소를 위하여, 에어블로우(Air Blow) 성형 방법과 탄소 복합 소재로 형성된다. 메인 바퀴(18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스포크 타입으로 형성되어 무게를 줄임과 동시에 탄소 복합 소재를 이용하여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발받침부(160)는 탑승자의 발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발받침부(160)는 전면이동 프레임(150)에 결합되며 탈착되게 형성된다. 즉, 발받침부(160)는 분리가능하게 형성되어 추후, 동력수단이 구비된 장치호 호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발받침부(160)도 무게를 줄이고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탄소 복합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전면이동 프레임(150)은 가이드관부(122)를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관부(122)의 내경에 상응하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전면이동 프레임(150)은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관부(122)도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이동 프레임(150)은 무게를 줄이고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탄소 복합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전면이동 프레임(150)은 발받침부(160)가 결합되도록 받침결합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받침결합부(162)는 발받침부(160)가 결합되도록 하며, 결합 이후, 발받침부(160)가 고정되도록 한다.
팔걸이부(170)는 등받이(110)의 양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팔걸이부(170)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휠체어를 접어야 할 경우,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조이스틱부(190)는 팔걸이부(170)에 설치된다. 조이스틱부(190)는 보조바퀴(144) 또는 후술하는 동력전환부(200)에 방향이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동력전환부(200)는 측면프레임부(130)에 부착된다. 동력전환부(200)는 레버(220)를 동작시켜 메인 바퀴(180)측으로 장착된 회전롤러(240)를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때, 회전롤러(240)는 모터부(250)와 연결되어 모터부(250)의 회전력을 메인 바퀴(180)로 전달하도록 한다. 회전롤러(240)는 메인 바퀴(18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회전력을 메인 바퀴(180)에 전달한다.
동력전환부(200)는 수동식 휠체어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동력전환부(200)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는 휠체어를 접을 경우, 등받이(110)는 안장(120)의 상부면측으로 접힌다. 그리고 전면이동 프레임(150)이 가이드관부(122) 내측으로 이동하여 발받침부(160)를 이동시킨다. 또한, 보조바퀴 프레임(140)은 측면 프레임부(130)의 내측에서 바깥방향으로 회전하고, 보조바퀴(144)측에 형성된 힌지부(142)에 의해 접철된다.
휠체어를 펼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로 동작시킨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동력전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레버가 A위치일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접이식 휠체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레버가 B 위치일 경우를 도시한 접이식 휠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동력전환부(200)는 장착부(210), 레버(220), 회전롤러(240), 모터부(250), 연결바(230), 레버연결부(260) 및 연결바 이동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부(210)는 레버(220), 회전롤러(240), 모터부(250), 연결바(230), 레버연결부(260) 및 연결바 이동부(27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일측에 측면프레임부(130)의 지지관(132)에 장착되도록 장착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홈(212)은 측면프레임부(130)의 모양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홈(21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장착홈(212)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측면프레임부(130)의 지지관(132)에 결합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레버(220)는 회전롤러(240)와 결합되어 회전롤러(240)를 도 1의 메인 바퀴(180)측으로 이동시키거나, 메인 바퀴(180)와 밀착된 회전롤러(240)를 메인 바퀴(180)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한다. 레버(220)는 막대형태로 형성되며 탑승자 또는 사용자가 방향전환을 하도록 설치된다.
회전롤러(240)는 우레탄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형성된다. 회전롤러(240)는 메인 바퀴(180)가 바닥에 닿는 면에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회전롤러(240)와 메인 바퀴(180)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도록 회전롤러(240)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모터부(250)는 회전롤러(24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회전롤러(24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모터부(250)는 BLDC 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모터부(250)는 조이스틱부(190)에서 제공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모터부(250)는 정방향 및 역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며, 감속기어가 장착된다.
레버연결부(270)는 장착부(210)의 일측에 결합된다. 이때, 레버연결부(270)는 레버(220)와 연결바(230)가 결합되어 지지된다. 레버연결부(270)에 연결된 레버(220)의 끝단은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도록 설치되며, 연결바(230)도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도록 설치된다.
연결바(230)는 일단이 상기와 같이, 레버연결부(270)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회전롤러(240)와 모터부(250)가 결합된다.
연결바 이동부(270)는 레버(220)와 연결바(230) 사이에 결합되어 레버(220)의 이동시 연결바(230)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레버(220)가 A 위치로 이동할 때, 연결바(230)를 이동시켜 회전롤러(240)가 A' 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레버(220)가 B 위치로 이동할 때, 연결바(230)를 이동시켜 회전롤러(240)가 B'위치로 이동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20)가 A 위치에 있을 경우 회전롤러(240)는 메인 바퀴(180)에 밀착되게 위치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20)가 B 위치에 있을 경우 회전롤러(240)는 메인 바퀴(180)에서 떨어진다.
상기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동력전환부(200)는 모터부(250)의 동력을 메인 바퀴(180)에 전달하여 수동식 휠체어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탑승자 또는 사용자가 레버를 조작하여 회전롤러(240)와 메인 바퀴(180)를 이격시키면 수동으로 휠체어를 조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과 대비하여 발받침부가 다를 뿐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발받침부(300)는 바퀴부와 자체동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발받침부(300)는 내부에 자이로센서 또는 압력센서 등의 센서수단이 구비되어 방향 전환 또는 전후진 등의 휠체어 동작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발받침부(300)는 배터리가 구비되어 센서들과 모터 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휠체어에 탑승한 탑승자가 조이스틱부(190)를 조작할 수 없을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동력전환부(200)의 사용도 용이하지 못하므로, 도 6에 도시된 발받침부(300)를 사용한다.
도 6에 도시된 발받침부(300)는 탑승자 발이 닿는 2개의 부분이 각각 분리되게 형성된다. 각각의 발판은 자이로센서가 구비되어 탑승자 발의 위치변화에 따라 바퀴에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과 대비하여 동력전환부가 없고 조이스틱이 부가된 점을 제외하면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점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받침부(300)는 바퀴부와 자체동력을 구비할 수 있다. 발받침부(300)는 배터리가 구비되어 내부에 구비된 모터 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발받침부(300)는 조이스틱(19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조이스틱(190)에서 전후좌우의 제어신호가 유입되면, 발받침부(300) 내부에 구비된 바퀴부와 모터를 통해 휠체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는 메인바퀴 탈거 후 소형으로 접혀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주요 구성부가 탄소복합소재로 형성되어 무게가 가볍고, 강도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변환부가 장착되어 자동주행 또는 수동주행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100: 접이식 휠체어
110: 등받이
120: 안장
130: 측면프레임부
140: 보조바퀴 프레임
150: 전면이동 프레임
160: 발받침부
170: 팔걸이부
180: 메인 바퀴
190: 조이스틱부
200: 동력전환부
110: 등받이
120: 안장
130: 측면프레임부
140: 보조바퀴 프레임
150: 전면이동 프레임
160: 발받침부
170: 팔걸이부
180: 메인 바퀴
190: 조이스틱부
200: 동력전환부
Claims (5)
- 접이식 휠체어로서,
탑승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안장;
상기 안장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안장 방향으로 접히도록 형성되는 등받이;
상기 안장의 양 측면에 설치되며, 바퀴부착부가 형성되는 측면 프레임부;
상기 측면 프레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보조바퀴가 장착된 보조바퀴 프레임;
상기 바퀴부착부에 탈착되게 형성되는 메인 바퀴;
상기 탑승자의 발을 지지하는 발받침부;
상기 안장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관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발받침부가 결합되도록 받침결합부가 형성되는 전면이동 프레임;
상기 측면 프레임에 부착되어 레버 작동시 상기 메인 바퀴측으로 이동하여 장착된 모터부와 연결된 회전롤러가 상기 메인 바퀴의 외주면과 밀착되게 구동되는 동력전환부;
상기 등받이부 측면에 장착되는 팔걸이부; 및
상기 팔걸이부에 장착되어 상기 보조 바퀴 또는 상기 동력전환부에 방향이동 신호를 제공하는 조이스틱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 프레임부는 상기 보조바퀴 프레임이 회전하도록 중공의 관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바퀴 프레임은 상기 보조바퀴측이 접철되도록 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휠체어가 접철될 때, 상기 등받이는 상기 안장의 상부면측으로 접히고, 상기 전면이동 프레임이 상기 가이드관부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발받침부를 이동시키며, 상기 보조바퀴 프레임은 상기 측면 프레임부의 내측에서 바깥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보조바퀴측이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휠체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환부는
상기 레버, 모터 및 회전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부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레버가 회동하도록 상기 장착부 측면에 결합되는 레버연결부;
일단이 상기 레버연결부에 회동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에 상기 회전롤러가 결합되는 연결바; 및
상기 레버 이동시 상기 연결바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레버연결부와 상기 연결바 사이에 결합되는 연결바 이동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휠체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받침부는
상기 전면이동 프레임에 탈착되게 형성되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와, 상기 탑승자의 발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모터가 동작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접이식 휠체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부 또는 보조바퀴 프레임은 강도를 강화하고 무게를 줄이도록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파이프에 프리프레그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휠체어. - 접이식 휠체어로서,
탑승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안장;
상기 안장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안장 방향으로 접히도록 형성되는 등받이;
상기 안장의 양 측면에 설치되며, 바퀴부착부가 형성되는 측면 프레임부;
상기 바퀴부착부에 탈착되게 형성되는 메인 바퀴;
상기 탑승자의 발을 지지하며,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내부에 설치된 보조바퀴를 구비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가 구비되어 상기 보조바퀴에 동력을 제공하는 발받침부;
상기 안장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관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발받침부가 탈착되도록 받침결합부가 형성되는 전면이동 프레임;
상기 등받이부 측면에 장착되는 팔걸이부; 및
상기 팔걸이부에 장착되어 상기 발받침부에 방향이동 신호를 제공하는 조이스틱부를 포함하되,
상기 휠체어가 접철될 때, 상기 등받이는 상기 안장의 상부면측으로 접히고, 상기 전면이동 프레임이 상기 가이드관부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발받침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휠체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8080A KR101885157B1 (ko) | 2016-10-24 | 2016-10-24 | 접이식 휠체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8080A KR101885157B1 (ko) | 2016-10-24 | 2016-10-24 | 접이식 휠체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4508A true KR20180044508A (ko) | 2018-05-03 |
KR101885157B1 KR101885157B1 (ko) | 2018-09-11 |
Family
ID=62244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8080A KR101885157B1 (ko) | 2016-10-24 | 2016-10-24 | 접이식 휠체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515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75986A2 (ko) | 2018-10-08 | 2020-04-16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알코올 생성이 억제된 재조합 내산성 효모 및 이를 이용한 젖산의 제조방법 |
KR20220161997A (ko) * | 2021-05-31 | 2022-12-07 | 이해수 | 장애물 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바퀴와 이를 구비한 휠체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5278B1 (ko) | 2020-06-16 | 2020-10-13 | 김동민 | 접이식 휠체어 |
KR102553998B1 (ko) * | 2023-03-09 | 2023-07-11 | (주)다우테크놀로지 | 휠체어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99412A (ja) * | 1996-05-17 | 1997-11-25 | Science & Tech Agency | ペダル付き電動車両 |
JPH10509608A (ja) * | 1994-11-08 | 1998-09-22 | サンライズ メディカル エイチエイチ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垂直折畳み式車椅子フレーム |
KR101496742B1 (ko) * | 2013-08-16 | 2015-02-27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휴대용 휠체어 |
KR20160053739A (ko) * | 2014-10-31 | 2016-05-13 |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휠체어 구동보조장치 |
-
2016
- 2016-10-24 KR KR1020160138080A patent/KR10188515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509608A (ja) * | 1994-11-08 | 1998-09-22 | サンライズ メディカル エイチエイチ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垂直折畳み式車椅子フレーム |
JPH09299412A (ja) * | 1996-05-17 | 1997-11-25 | Science & Tech Agency | ペダル付き電動車両 |
KR101496742B1 (ko) * | 2013-08-16 | 2015-02-27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휴대용 휠체어 |
KR20160053739A (ko) * | 2014-10-31 | 2016-05-13 |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휠체어 구동보조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75986A2 (ko) | 2018-10-08 | 2020-04-16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알코올 생성이 억제된 재조합 내산성 효모 및 이를 이용한 젖산의 제조방법 |
US12084665B2 (en) | 2018-10-08 | 2024-09-10 | Sk Innovation Co., Ltd. | Recombinant acid-resistant yeast in which alcohol production is inhibited and method for producing lactic acid by using same |
KR20220161997A (ko) * | 2021-05-31 | 2022-12-07 | 이해수 | 장애물 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바퀴와 이를 구비한 휠체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5157B1 (ko) | 2018-09-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85157B1 (ko) | 접이식 휠체어 | |
KR101047342B1 (ko) | 전동 휠체어 | |
GB2539627A (en) | A reconfigurable wheeled personal mobility device | |
CN113734333B (zh) | 一种代步车 | |
AU2013318722B2 (en) | A rear steer portable wheelchair | |
EP3193805B1 (en) | A dual configuration portable wheelchair | |
WO2012036131A1 (ja) | 介護用車椅子 | |
KR200486351Y1 (ko) | 보행안정성이 향상된 의자겸용 보행보조장치 | |
JP7320192B2 (ja) | 電動車両 | |
JP2017196408A (ja) | 車椅子とカーシートとの結合機構 | |
US7971893B1 (en) | Wheelchair | |
KR101545158B1 (ko) | 접이식 전동 휠체어 | |
KR102041882B1 (ko) | 스마트 전동 겸용 휠체어 | |
CN107468438B (zh) | 折叠式电动轮椅车 | |
KR20130117602A (ko) | 접이식 전동 보행 보조차 | |
KR100883421B1 (ko) | 전동 휠체어 | |
US10363178B2 (en) | Motor vehicle with a mobile vehicle seat | |
KR101447550B1 (ko) | 접철식 전동 휠체어 | |
KR102636313B1 (ko) | 자율 주행 전동 휠체어 | |
JP3577993B2 (ja) | 車両用回転座席 | |
JP2006102403A (ja) | 移乗補助装置 | |
KR200486835Y1 (ko) | 손 페달이 구비된 휠체어 | |
JP3129587U (ja) | 簡易移動装置 | |
JP2004188076A (ja) | 電動四輪車 | |
JP2005007125A (ja) | 無電力方式アシスト装置付車い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