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492A -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 - Google Patents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492A
KR20180042492A KR1020160134310A KR20160134310A KR20180042492A KR 20180042492 A KR20180042492 A KR 20180042492A KR 1020160134310 A KR1020160134310 A KR 1020160134310A KR 20160134310 A KR20160134310 A KR 20160134310A KR 20180042492 A KR20180042492 A KR 20180042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hole
exhaust
main plat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6653B1 (ko
Inventor
최부연
김종배
오정열
Original Assignee
(주)룩스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룩스이엔지 filed Critical (주)룩스이엔지
Priority to KR1020160134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653B1/ko
Publication of KR20180042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with gripping and holding devices using a vacuum; Bernoulli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8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laser radi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를 리페어하는 과정에서 마스크가 떨리지 않도록 안정화시키는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플레이트와, 연결포트부를 포함한다. 메인플레이트는 마스크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레이저빔이 통과하는 관통홀을 구비한다. 연결포트부는 메인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양압을 제공받는 배기포트와 음압을 제공받는 흡기포트를 각각 구비한다. 마스크와 마주보는 메인플레이트의 하면에는, 관통홀에서 제1거리만큼 이격되고 배기포트와 연결되어 마스크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제1배기홀과, 관통홀에서 제1거리보다 먼 제2거리만큼 이격되고 배기포트와 연결되어 마스크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제2배기홀과, 제1배기홀과 제2배기홀 사이에서 흡기포트와 연결되어 제1배기홀에서 분사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홀이 각각 형성된다. 공기가 마스크와 메인플레이트 사이에서 순환되면서 기단(air mass)을 형성하며, 기단의 압력에 의해 마스크가 스테이지에 압박되어 고정된다.

Description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Module for using the pressure of air masses to fix the mask}
본 발명은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를 리페어하는 과정에서 마스크가 떨리지 않도록 안정화시키는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에 대한 연구는 대용량 데이터를 단시간 내에 처리하기 위하여 고집적 및 고성능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평판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도 고해상도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반도체 및 평판 디스플레이를 제조하기 위해 박막 형성, 패턴 형성, 금속 배선 형성 등과 같은 일련의 단위공정들이 수행된다. 패턴 형성 공정에는 사진 식각 공정이 포함되며, 사진 식각 공정은 세정 공정, 표면 처리 공정, 포토 레지스트 막 형성 공정, 정렬/노광 공정, 현상 공정, 및 검사 공정 등의 일련의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단위공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공조 설비(클린룸)가 필수적이다. 공조 설비는 실내 공기 중의 부유입자, 공기의 온ㆍ습도 및 실내 압력 등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실내의 공기를 외부와 순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패턴 형성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패턴 형성을 위해서는 패턴의 원판에 해당하는 마스크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패턴 형성 과정에서 마스크에는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 이물질(파티클, 유기물, 포토 레지스트 잔류물, 레이저 가공 부산물 등)이 남게 되는데, 이물질이 마스크에 묻어 있는 상태에서 패턴을 형성하게 되면, 소자나 배선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못하여 반도체 및 평판 디스플레이의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마스크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소정의 반응 기체를 마스크에 분사한 후, 이물질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마스크 리페어 공정이 수행된다.
그러나 마스크의 두께가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매우 얇아 상기 공조 설비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흐름(풍속)에 의해 마스크의 가장자리 영역에 흔들림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패턴의 불량을 판단하기 어렵고 레이저 초점을 맞추기 힘들기 때문에 레이저 가공이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임시방편으로 마스크의 리페어 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공조 설비의 출력을 줄여 실내 풍속을 낮추고 있기는 하나, 공기의 흐름량 감소로 실내 공기의 청정도가 낮아져 부유입자가 마스크에 유입됨으로써, 이후 식각/노광 공정에서의 불량율이 높아질 수밖에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3450호(2011. 08. 03. 등록 공고, 발명의 명칭 : 마스크 리페어 장치 및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조 설비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마스크의 패턴을 안정적으로 리페어할 수 있는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은,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를 스테이지 상에 탑재하여 레이저빔으로 제거하는 마스크 리페어 장치에 사용되고, 상기 마스크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레이저빔이 통과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메인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양압을 제공받는 배기포트와 음압을 제공받는 흡기포트를 각각 구비하는 연결포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와 마주보는 메인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관통홀에서 제1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배기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마스크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제1배기홀과, 상기 관통홀에서 상기 제1거리보다 먼 제2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배기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마스크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제2배기홀과, 상기 제1배기홀과 상기 제2배기홀 사이에서 상기 흡기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1배기홀에서 분사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공기가 상기 마스크와 상기 메인플레이트 사이에서 순환되면서 기단(air mass)을 형성하며, 상기 기단의 압력에 의해 상기 마스크가 상기 스테이지에 압박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에 있어서, 상기 기단은, 상기 제1배기홀에서 분사된 공기 중 일부가 상기 흡기홀에 1차적으로 흡입되고, 나머지가 상기 제2배기홀에서 분사된 공기에 의해 형성된 공기벽(air curtain)에 가로막혀 상기 흡기홀에 2차적으로 흡입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2배기홀은,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일정반경을 갖는 단일의 폐곡선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공기벽은, 상기 기단의 둘레를 따라 빈틈없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을 차폐하고, 상기 레이지빔이 통과되도록 광 투과성 재질로 구성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외측부가 상기 마스크를 향해 연장되어 외측으로 확장된 걸림턱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상면이 함몰되어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의 바닥면에서 상기 걸림턱부 사이의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된 가고정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턱부에 걸리도록 상기 커버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에 안착고정되는 고정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에 있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상기 마스크로부터 3mm ~ 7mm의 거리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에 있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내부에는 상기 배기포트와 상기 제1배기홀을 연결하는 제1배기유로와, 상기 흡기포트와 상기 흡기홀을 연결하는 흡기유로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상기 배기포트와 상기 제1배기유로가 만나는 제1경계부와 상기 흡기홀과 상기 흡기유로가 만나는 제2경계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1경계선을 따라 두 개로 분할되어 형성된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가 체결부재를 매개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에 있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내부에는 상기 배기포트와 상기 제2배기홀을 연결하는 제2배기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상기 제2배기홀과 상기 제2배기유로가 만나는 제3경계부를 지나는 가상의 제2경계선을 따라 두 개로 분할되어 형성된 제3플레이트와 제4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3플레이트와 상기 제4플레이트가 체결부재를 매개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에 따르면, 공조 설비에 의한 공기 흐름으로 인해 떨리는 마스크를 기단으로 눌러 마스크의 흔들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에 따르면, 풍속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마스크의 패턴을 리페어할 수 있고, 공조 설비의 출력을 낮출 필요없이 공기 청정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이후 공정들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부유입자들에 의한 제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에 따르면, 커버부재를 통해 기단의 압력을 일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에 따르면, 커버부재를 메인플레이트에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에 따르면, 기단에 의해 마스크가 손상되거나 마스크를 압박하는 기단의 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에 따르면, 내부 구조가 복잡한 메인플레이트를 쉽게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을 이용하여 마스크 리페어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마스크 리페어 공정 과정에서 마스크의 가장자리 영역이 떨리지 않고 안정화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에 구성된 고정캡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에서 메인플레이트가 분할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의 변형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을 이용하여 마스크 리페어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마스크 리페어 공정 과정에서 마스크의 가장자리 영역이 떨리지 않고 안정화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에 구성된 고정캡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1)은 소정의 패턴(P)이 형성된 마스크(M)를 스테이지(S) 상에 탑재하여 레이저빔(LB)으로 제거하는 마스크 리페어 장치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마스크(M)를 리페어하는 과정에서 마스크(M)가 떨리지 않도록 안정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메인플레이트(100)와 연결포트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S) 상에 탑재된 마스크(M)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레이저빔(LB)이 통과하는 관통홀(101)을 구비한다. 메인플레이트(100)는 플라스틱, 금속 등과 같이 충분한 강도를 가지면서 가공이 용이한 재질로 제작된다.
메인플레이트(100)는 레이저빔(LB)을 조사하는 레이저조사부(30)와 마스크(M) 사이에 배치되어 별도로 지지될 수 있으나, 레이저조사부(30)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는 액츄에이터(미도시)에 일체로 결합되어 레이저빔(LB)의 광축 상에 상시 정렬되어 있는 것이 설비 절감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메인플레이트(100)와 마스크(M) 사이의 거리(L)는 3mm ~ 7mm 정도로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메인플레이트(100)가 마스크(M)에서 3mm보다 가깝게 배치되면 후술되는 기단(air mass, AM)이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해지고,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얇은 박막 형태의 마스크(M)가 기단(AM)의 압력에 의해 찢어져 손상될 수 있으며, 메인플레이트(100)가 마스크(M)에서 7mm보다 멀리 배치되면 기단(AM)의 압력이 감소되어 마스크(M)를 압박하는 효과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연결포트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플레이트(100)에 결합되고, 양압을 제공받는 배기포트(210)와 음압을 제공받는 흡기포트(220)를 각각 구비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배기포트(210)와 흡기포트(220)는 양압과 음압을 제공하는 복수의 공압라인에 연결된다.
마스크(M)와 마주보는 메인플레이트(100)의 하면에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01)에서 제1거리(L1)만큼 이격되고 배기포트(210)와 연결되어 마스크(M)를 향해 공기(A)를 분사하는 제1배기홀(102)과, 관통홀(101)에서 제1거리(L1)보다 먼 제2거리(L2)만큼 이격되고 배기포트(210)와 연결되어 마스크(M)를 향해 공기(A3)를 분사하여 공기벽(C)을 형성하는 제2배기홀(103)과, 제1배기홀(102)과 제2배기홀(103) 사이에서 흡기포트(220)와 연결되어 제1배기홀(102)에서 분사된 공기(A)를 흡입하는 흡기홀(106)이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배기홀(102)은 관통홀(101)과 인접한 위치에 하나만 마련되고, 흡기홀(106)은 제1배기홀(102)에서 분사된 공기(A)가 분산되어 흡입되도록 제1배기홀(102)의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배열되고 서로 이격되어 2열 형태를 이룬다. 특히, 제2배기홀(103)은 공기벽(air curtain, C)이 기단(AM)의 둘레를 따라 빈틈없이 형성되도록 관통홀(101)을 중심으로 일정반경을 갖는 단일의 폐곡선(미도시)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1, 2배기홀(102, 103) 및 흡기홀(106)의 배치 구조는 공기(A)의 안정적인 흐름을 형성한다는 데에 설계적 의의가 있다.
제1배기홀(102)에서 분사된 공기(A) 중 일부(A1)가 흡기홀(106)에 1차적으로 흡입되고, 나머지(A2)가 제2배기홀(103)에서 분사된 공기(A3)에 의해 형성된 공기벽(air curtain, C)에 가로막혀 흡기홀(106)에 2차적으로 흡입되면서 기단(air mass, AM)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공기(A)가 마스크(M)와 메인플레이트(100) 사이에서 순환되면서 기단(AM)을 형성하며, 기단(AM)이 가지는 압력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M)가 스테이지(S)에 압박되어 고정될 수 있다.
만약, 제2배기홀(103)에 의해 공기벽(C)이 형성되지 않으면, 제1배기홀(102)에서 분사된 공기(A)가 내부 경로를 따라 순환되지 못하고, 외부로 새나가게 된다. 이렇게 되면, 기단(AM)의 압력을 일정수준 이상 유지하기 위해 배기포트(210) 및 흡기포트(220)에 제공되는 양압과 음압의 세기를 더 높여야 함은 물론, 제1배기홀(102)에서 분사된 공기(A)가 외부로 새나가면서 또 다른 공기 흐름이 생겨 마스크(M)에 떨림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제2배기홀(103)을 이용하여 공기벽(C)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경기술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공조 설비(클린룸)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흐름, 즉 풍속(다운 플로우라고도 함, DF)에 의해 도 2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 형태의 마스크(M)에 흔들림이 발생한다. 특히 마스크(M)의 가장자리 영역(M0)이 마치 깃발이 바람에 펄럭거리듯이 흔들림이 심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마스크(M)에 형성된 패턴의 위치 인식, 불량 여부 판단 및 레이저빔(LB)의 초점 정렬이 어려워 공정 수행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마스크(M)의 불량율이 높아지더라도 일단 공조 설비를 출력을 줄여 마스크(M)의 리페어 공정을 수행하였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은 도 2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 설비에 의한 공기 흐름(다운 플로우)으로 인해 떨리는 마스크(M)를 기단(AM)으로 눌러 마스크(M)의 흔들림을 감소시킨다. 이를 통해, 풍속(DF)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마스크(M)의 패턴(P)을 리페어할 수 있고, 공조 설비의 출력을 낮출 필요없이 실내의 공기 청정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이후 공정들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부유입자들에 의한 제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은 기단(AM)의 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부재(300)와 고정캡(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재(300)는 메인플레이트(100)의 관통홀(101)에 결합되어 관통홀(101)을 차폐하고, 레이저빔(LB)이 통과되도록 광 투과성 재질로 구성된다. 대표적으로 유리일 수 있다. 커버부재(300)는 기단(AM)을 형성하는 공기(A)가 관통홀(101)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여 기단(AM)의 압력이 일정수준을 유지시킨다.
이때, 커버부재(300)를 메인플레이트(100)에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300)는 외측부가 마스크(M)를 향해 연장되어 외측으로 확장된 걸림턱부(310)를 구비하고, 메인플레이트(100)는 관통홀(101)을 중심으로 메인플레이트(100)의 상면이 함몰되어 형성된 결합홈(104)과, 결합홈(104)의 바닥면에서 걸림턱부(310) 사이의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된 가고정리브(10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캡(400)은 걸림턱부(310)에 걸리도록 커버부재(300)에 삽입되어 결합홈(104)에 안착고정된다. 고정캡(400)은 다수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메인플레이트(100)에 결합되며, 커버부재(300)가 메인플레이트(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즉, 커버부재(300)가 가고정리브(105)에 의해 결합 위치가 안내되어 제 위치로 정렬됨으로써, 커버부재(300)를 고정캡(400)으로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2)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2)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1)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에서 메인플레이트가 분할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의 변형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2)은 메인플레이트(100)의 내부에 배기포트(210)와 제1배기홀(102)을 연결하는 제1배기유로(151)와, 흡기포트(220)와 흡기홀(106)을 연결하는 흡기유로(153)를 각각 구비한다.
메인플레이트(100)는 배기포트(210)와 제1배기유로(151)가 만나는 제1경계부(B1)와, 흡기홀(106)과 흡기유로(153)가 만나는 제2경계부(B2)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1경계선(Lf1)을 따라 두 개로 분할되어 형성된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를 구비하며,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가 체결부재(T)를 매개로 상호 결합된다.
이와 같은 메인플레이트(100)의 분할 구조는 제작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메인플레이트(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홀과 유로를 동시에 가공하기 어렵기 때문에, 두 개로 분할된 메인플레이트(100) 중 하나에는 다수의 홀을 가공하고, 다른 하나에는 유로를 가공하며, 이 둘을 조립하여 내부 구조가 복잡한 메인플레이트(100)를 쉽게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플레이트(100)의 내부에 배기포트(210)와 제2배기홀(103)을 연결하는 제2배기유로(152)가 구비될 수 있고, 메인플레이트(100)는 제2배기홀(103)과 제2배기유로(152)가 만나는 제3경계부(B3)를 지나는 가상의 제2경계선(Lf2)을 따라 두 개로 분할되어 형성된 제3플레이트(130)와 제4플레이트(140)를 구비하며, 제3플레이트(130)와 제4플레이트(140)가 체결부재(T)를 매개로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은, 공조 설비에 의한 공기 흐름으로 인해 떨리는 마스크를 기단으로 눌러 마스크의 흔들림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은, 풍속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마스크의 패턴을 리페어할 수 있고, 공조 설비의 출력을 낮출 필요도 없으므로 이후 공정들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부유입자들에 의한 제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은, 커버부재를 통해 기단의 압력을 일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은, 커버부재의 결합 위치가 가고정리브에 의해 안내/정렬되고, 고정캡이 커버부재의 걸림턱부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커버부재를 메인플레이트에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은, 메인플레이트가 마스크로부터 3mm ~ 7mm의 거리에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마스크가 손상되거나 마스크를 압박하는 힘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은, 메인플레이트를 두 개로 분할하고, 분할된 메인플레이트 중 하나에는 다수의 홀을 가공하고, 다른 하나에는 유로를 가공하며, 이 둘을 조립하여 내부 구조가 복잡한 메인플레이트를 쉽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메인플레이트
200 : 연결포트부
300 : 커버부재
400 : 고정캡
A : 공기
AM : 기단
C : 공기벽
M : 마스크
S : 스테이지
LB : 레이저빔
T : 체결부재

Claims (8)

  1.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를 스테이지 상에 탑재하여 레이저빔으로 제거하는 마스크 리페어 장치에 사용되고,
    상기 마스크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레이저빔이 통과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메인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양압을 제공받는 배기포트와 음압을 제공받는 흡기포트를 각각 구비하는 연결포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와 마주보는 메인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관통홀에서 제1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배기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마스크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제1배기홀과, 상기 관통홀에서 상기 제1거리보다 먼 제2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배기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마스크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제2배기홀과, 상기 제1배기홀과 상기 제2배기홀 사이에서 상기 흡기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1배기홀에서 분사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공기가 상기 마스크와 상기 메인플레이트 사이에서 순환되면서 기단(air mass)을 형성하며, 상기 기단의 압력에 의해 상기 마스크가 상기 스테이지에 압박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단은, 상기 제1배기홀에서 분사된 공기 중 일부가 상기 흡기홀에 1차적으로 흡입되고, 나머지가 상기 제2배기홀에서 분사된 공기에 의해 형성된 공기벽(air curtain)에 가로막혀 상기 흡기홀에 2차적으로 흡입되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기홀은,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일정반경을 갖는 단일의 폐곡선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공기벽은, 상기 기단의 둘레를 따라 빈틈없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을 차폐하고, 상기 레이지빔이 통과되도록 광 투과성 재질로 구성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외측부가 상기 마스크를 향해 연장되어 외측으로 확장된 걸림턱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상면이 함몰되어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의 바닥면에서 상기 걸림턱부 사이의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된 가고정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턱부에 걸리도록 상기 커버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에 안착고정되는 고정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상기 마스크로부터 3mm ~ 7mm의 거리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내부에는 상기 배기포트와 상기 제1배기홀을 연결하는 제1배기유로와, 상기 흡기포트와 상기 흡기홀을 연결하는 흡기유로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상기 배기포트와 상기 제1배기유로가 만나는 제1경계부와 상기 흡기홀과 상기 흡기유로가 만나는 제2경계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1경계선을 따라 두 개로 분할되어 형성된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가 체결부재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내부에는 상기 배기포트와 상기 제2배기홀을 연결하는 제2배기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상기 제2배기홀과 상기 제2배기유로가 만나는 제3경계부를 지나는 가상의 제2경계선을 따라 두 개로 분할되어 형성된 제3플레이트와 제4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3플레이트와 상기 제4플레이트가 체결부재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
KR1020160134310A 2016-10-17 2016-10-17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 KR101856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310A KR101856653B1 (ko) 2016-10-17 2016-10-17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310A KR101856653B1 (ko) 2016-10-17 2016-10-17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492A true KR20180042492A (ko) 2018-04-26
KR101856653B1 KR101856653B1 (ko) 2018-06-20

Family

ID=62082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310A KR101856653B1 (ko) 2016-10-17 2016-10-17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65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0990A (ja) * 1995-12-26 1997-07-11 Orc Mfg Co Ltd 画像形成用露光装置とワーク位置決め方法
JP2002329769A (ja) * 2001-04-27 2002-11-15 Lintec Corp アライメント装置
KR20090068824A (ko) * 2007-12-24 2009-06-29 주식회사 코윈디에스티 포토 마스크 리페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053450B1 (ko) 2008-09-26 2011-08-03 참엔지니어링(주) 마스크 리페어 장치 및 방법
KR20160079700A (ko) * 2014-12-26 2016-07-06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기판 흡착 보조 부재 및 기판 반송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7646B2 (ja) * 2007-05-23 2012-06-06 株式会社日本製鋼所 レーザ処理装置のガス噴射手段
WO2013052262A1 (en) * 2011-10-05 2013-04-11 Applied Materials, Inc. Particle control in laser processing systems
KR101451506B1 (ko) * 2013-04-17 2014-10-17 삼성전기주식회사 비접촉 기판이송 반전기
KR101862311B1 (ko) * 2013-10-22 2018-05-29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0990A (ja) * 1995-12-26 1997-07-11 Orc Mfg Co Ltd 画像形成用露光装置とワーク位置決め方法
JP2002329769A (ja) * 2001-04-27 2002-11-15 Lintec Corp アライメント装置
KR20090068824A (ko) * 2007-12-24 2009-06-29 주식회사 코윈디에스티 포토 마스크 리페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053450B1 (ko) 2008-09-26 2011-08-03 참엔지니어링(주) 마스크 리페어 장치 및 방법
KR20160079700A (ko) * 2014-12-26 2016-07-06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기판 흡착 보조 부재 및 기판 반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6653B1 (ko)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9866B2 (ja) 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
KR102532733B1 (ko) 분진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커팅 장치
US5973764A (en) Vacuum assisted debris removal system
JP6999264B2 (ja) レーザ剥離装置、レーザ剥離方法、及び有機el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KR20150085224A (ko) 기판의 에지부 검사장치
JP2000230910A (ja) 基板の付着異物検査装置および付着異物除去装置および付着異物除去方法
JPH06269968A (ja) ガラスの切断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856653B1 (ko) 기압을 이용한 마스크 고정모듈
US11565351B2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JP2006343327A (ja) 基板検査装置
JP4002429B2 (ja) 異物検査機能を備えた露光装置及びその装置における異物検査方法
JP2013044578A (ja) 基板検査方法及び装置
KR20190095625A (ko) 레이저 절단 장치 및 흡입 유닛
WO2017117971A1 (zh) 密封胶检测及超声清洗装置
US20140097162A1 (en) Laser processing apparatus
JP2006344705A (ja) 基板のステージ装置、検査装置及び修正装置
JP2007147837A (ja) 欠陥除去装置、欠陥除去方法、カラーフィルタ製造方法、カラーフィルタ、液晶素子
TWI408509B (zh) 光罩安裝/覆蓋裝置、光阻檢查方法以及使用前述方法之光阻檢查裝置
KR20150052831A (ko) 검사 장치
JP4294716B2 (ja) 測定機器用架台
KR20110003290A (ko) 노광장치
JP2008233616A (ja) 周辺露光装置およびパネル構造物の製造方法
JP2008039419A (ja) パターン欠陥検査装置
CN108626970A (zh) 液体去除装置及液体去除方法
KR20180073953A (ko) 오염물질 집진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