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439A -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439A
KR20180042439A KR1020187010059A KR20187010059A KR20180042439A KR 20180042439 A KR20180042439 A KR 20180042439A KR 1020187010059 A KR1020187010059 A KR 1020187010059A KR 20187010059 A KR20187010059 A KR 20187010059A KR 20180042439 A KR20180042439 A KR 20180042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zirconia
parts
polyester fil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0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3741B1 (ko
Inventor
리에 다가와
요헤이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2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7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끄러짐성과 투명성 등 특성의 균형이 우수하고, 제조 시나 액정표시장치의 편광판 제조공정 등 후공정에서의 핸들링성이 우수하며, 흠집 발생이 적고, 무지개 얼룩 억제를 위한 저간섭성도 우수한 광학용도에 있어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적어도 한쪽 면에 도포층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상기 도포층이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혼합 입자 A, 윤활제 입자 B 및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고, 상기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혼합 입자 A에 있어서의 지르코니아와 티타니아 합계 질량에 대한 지르코니아의 함유율이 10~90 질량%이며, 상기 윤활제 입자 B의 평균 입경이 20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Multilayer polyester film}
본 발명은 무지개 얼룩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저간섭성을 확보할 수 있고, 투명성이 우수한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한 흠집 발생이 적어 고정세한 광학용도에 있어서도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터치 패널, 컴퓨터, TV, 액정표시장치 등의 디스플레이, 장식재 등의 전면에는 투명한 하드코트층을 적층시킨 하드코트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기재의 투명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기재인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하드코트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들의 중간층으로서 이접착성을 갖는 도포층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상기 하드코트 필름에는 온도, 습도, 빛에 대한 내구성, 투명성, 내약품성, 내찰상성, 방오성 등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나 장식재 등의 표면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시인성과 의장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임의의 각도에서 봤을 때의 반사광에 의한 번쩍임이나 홍채상 색채 등을 억제하기 위해, 하드코트층의 상층에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을 상호 적층한 다층 구조의 반사방지층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나 장식재 등의 용도에서는 최근 들어 추가적인 대화면화(대면적화) 및 고정세화가 요구되어, 그에 수반하여 특히 형광등 아래에서의 홍채상 색채(간섭 불균일)의 억제에 대한 요구레벨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형광등은 주광색의 재현성을 위해 3파장형이 주류로 되어 있어 보다 간섭 불균일이 나타나기 쉬워져 있다. 또한, 반사방지층의 간소화에 따른 비용 절감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반사방지층을 부가하지 않는 하드코트 필름만으로도 간섭 불균일을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하드코트 필름의 홍채상 색채(간섭 불균일)는 기재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예를 들면 1.62~1.65)과 아크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하드코트층의 굴절률(예를 들면 1.49)의 차가 크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적층 간의 굴절률차를 작게 하여 간섭 불균일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기재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도포층을 설치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도포층의 굴절률차, 도포층과 하드코트층의 굴절률차를 작게 하도록, 도포층을 구성하는 수지와 고굴절 첨가제의 함유량으로 도포층의 굴절률을 제어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 광학용 이접착성 필름 분야에 있어서 이접착층 중에 특정 미립자를 포함시킴으로써 무지개 얼룩이 저감되는 기술이 알려져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접착성과 무지개 얼룩 억제 관점에서는 일정 성과를 올리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미끄러짐성이 좋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흠집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고, 미끄러짐성을 높이기 위해 다른 입자를 첨가하면 투명성이 저하되는 등, 미끄러짐성과 투명성, 무지개 얼룩 저감을 위한 저간섭성의 균형을 이룰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7-203712호 공보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휴대전화, 카내비게이션이나 전자책 등 휴대기기의 옥외영역에서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상기 휴대기기는 박형화 측면에서 액정패널에 의한 디스플레이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분야에서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을 탑재한 휴대전화의 경우는 디스플레이의 표면 보호를 위한 하드코트 필름으로서, 도포면에 접하는 양쪽 계면의 반사광에 의한 간섭무늬나 아이콘 시트 등 하드코트 필름의 뒷면에 의장성을 시행하는 용도에서는 간섭무늬에 의한 시인성의 결점이 보다 두드러지고 있다.
그러나, 높은 저간섭성을 얻으려고 고굴절 첨가제를 다량으로 첨가하면 투명성이 손상되어 저간섭성과 투명성을 양립시킬 수 없는 경우가 생겼다. 또한 고정세한 디스플레이에서의 사용용도도 있기 때문에, 흠집을 억제하려고 윤활제를 첨가하여 미끄러짐성을 좋게 하더라도 투명성을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최근 들어서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하드코트층의 적층이나 슬릿 가공 등, 후가공처리의 고속화가 진행됨에 따라 도포층으로 강한 마찰이 가해져, 종래 문제가 되지 않았던 도포층의 흠집 발생에 따른 두께 변동, 품질 변동이 과제가 되고 있다. 특히, 굴절률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수지는 비교적 경도가 높고, 부서지기 쉽기 때문에, 간섭 불균일을 억제한 도포층일수록 이 도포층의 흠집 발생성은 커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간섭 불균일의 억제효과를 가지면서, 또한 고속가공에 있어서도 도포층에 흠집이 발생하지 않으며, 투명성과 하드코트층과의 높은 밀착성을 갖는 광학 이접착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절실하게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과제를 배경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미끄러짐성과 투명성 등 특성의 균형이 우수하고, 제조 시나 액정표시장치의 편광판 제조공정 등 후공정에서의 핸들링성이 우수하며, 흠집 발생이 적고, 무지개 얼룩 억제를 위한 저간섭성도 우수한 광학용도에 있어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적어도 한쪽 면에 도포층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상기 도포층이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혼합 입자 A, 윤활제 입자 B 및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고, 상기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혼합 입자 A에 있어서의 지르코니아와 티타니아 합계 질량에 대한 지르코니아의 함유율이 10~90 질량%이며, 상기 윤활제 입자 B의 평균 입경이 200 ㎚ 이상인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혼합 입자 A의 평균 입경이 5~200 ㎚인 상기 제1에 기재된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3. 도포층의 고형분에 대한 윤활제 입자 B의 함유율이 0.1~20 질량%인 상기 제1 또는 제2에 기재된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4. 도포층의 고형분에 대한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혼합 입자 A의 함유율이 2~50 질량%인 상기 제1 내지 제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상기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도포층 상에 하드코트층, 방현층, 방현성 반사방지층, 반사방지층 및 저반사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층을 갖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본 발명에 의해 무지개 얼룩을 억제할 수 있는 저간섭성을 확보할 수 있고, 투명성과 미끄러짐성의 균형이 우수하며, 흠집 발생이 적고, 제조 시나 액정표시장치의 편광판 제조공정 등 후공정에서의 핸들링성이 우수한 광학용도에 있어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공이 가능해졌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본 발명에서 기재로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구성되는 필름으로, 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의 1종 이상을 구성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폴리에스테르에 제3 성분 모노머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필름이어도 된다. 이들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서도 물성과 비용의 균형면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단층이어도 되고 복층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범위 내라면, 이들 각층에는 필요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 각종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내광제, 겔화 방지제, 유기 습윤제, 대전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도포층)
본 발명의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와 같은 폴리에스테르제 기재 필름 상에 이접착성 도포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다. 도포층 중에는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혼합 입자 A(이하, 간단히 입자 A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 윤활제 입자 B(이하, 간단히 입자 B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고 있다.
입자 A는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혼합 입자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혼합 입자란, 지르코니아와 티타니아가 단일 액체 중에서 각각 단독으로 분산되어, 복합체를 형성하지 않는 집합상태로 지르코니아와 티타니아 양자를 포함하는 입자군이다. 물론, 도포층 중에서는 액체 성분은 건조공정이나 경화공정에서 거의 증발하여 없어져 있다. 이러한 입자 A를 도포층이 포함하고 있음으로써 미끄러짐성과 투명성의 균형이 우수하여 높은 투명성과 저간섭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액체는 후술하는 소위 인라인 코팅법으로 도포층을 형성하기 쉽게 하기 위해 수계의 액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 A 중에는 지르코니아/티타니아 이외의 다른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상관없고, 무기 입자여도 되고 유기 입자여도 되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실리카, 이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탈크, 카올리나이트 등의 금속산화물, 탄산칼슘, 인산칼슘, 황산바륨 등의 폴리에스테르에 대해 불활성인 무기 입자가 예시된다.
혼합 입자인 입자 A의 질량(액체의 질량을 포함하지 않음)에 대한 지르코니아와 티타니아 합계 질량의 비율은 7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이다. 물론, 100 질량%여도 상관없다. 입자 A 중에 있어서의 지르코니아와 티타니아 합계 질량의 비율은 70 질량% 이상이면 미끄러짐성과 투명성이 균형을 이루어 바람직하다.
혼합 입자인 입자 A를 구성하는 지르코니아와 티타니아의 합계 질량에 대한 지르코니아의 질량 비율은 1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이며,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55 질량% 이상이다. 지르코니아와 티타니아의 합계 질량에 대한 지르코니아의 질량 비율이 10 질량% 이상이면, 표면 거칠기가 지나치게 커지는 경우가 없어 가이드 롤과의 미끄러짐성이 적당해져 흠집이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헤이즈가 높아지는 경우가 없어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입자 A를 구성하는 지르코니아와 티타니아의 합계 질량에 대한 지르코니아의 질량 비율은 9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질량%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77 질량% 이하이다. 지르코니아와 티타니아의 합계 질량에 대한 지르코니아의 질량 비율이 90 질량% 이하면, 표면 거칠기가 지나치게 작아지는 경우가 없어 적당한 미끄러짐성이 유지되어 핸들링성이 양호하며, 언와인딩 시에 흠집이 발생하기 어려워 바람직하다.
입자 A를 구성하는 지르코니아와 티타니아의 합계 질량에 대한 티타니아의 질량 비율은 1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3 질량% 이상이다. 지르코니아와 티타니아의 합계 질량에 대한 티타니아의 질량 비율이 10 질량% 이상이면, 미끄러짐성이 향상되어 핸들링성이 향상되고, 내흠집성이 양호해져 바람직하다. 다만, 지르코니아와 티타니아의 합계 질량에 대한 티타니아의 질량 비율이 커지는 것은 지르코니아의 질량 비율이 작아지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9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하이며,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45 질량% 이하이다.
입자 A의 평균 입경은 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이다. 입자 A의 평균 입경은 5 ㎚ 이상이면 응집되기 어려워 바람직하다.
입자 A의 평균 입경은 2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이다. 입자 A의 평균 입경은 200 ㎚ 이하면 투명성이 양호하여 바람직하다.
입자 B는 (1) 실리카, 카올리나이트, 탈크, 경질 탄산칼슘, 중질 탄산칼슘, 제올라이트, 알루미나, 황산바륨, 카본블랙, 산화아연, 황산아연, 탄산아연, 이산화티탄, 새틴 화이트, 규산알루미늄, 규조토, 규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가수 할로이사이트, 탄산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무기 입자, (2) 아크릴 또는 메타아크릴계, 염화비닐계, 초산비닐계, 나일론, 스티렌/아크릴계, 스티렌/부타디엔계, 폴리스티렌/아크릴계, 폴리스티렌/이소프렌계, 폴리스티렌/이소프렌계,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계, 멜라민계, 폴리카보네이트계, 요소계, 에폭시계, 우레탄계, 페놀계, 디알릴프탈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계 등의 유기 입자를 들 수 있는데, 도포층에 적당한 미끄러짐성을 부여하기 위해 실리카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입자 B의 평균 입경은 2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50 ㎚ 이상이다. 입자 B의 평균 입경은 200 ㎚ 이상이면 응집되기 어려워 미끄러짐성을 확보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입자 B의 평균 입경은 2,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700 ㎚이다. 입자 B의 평균 입경이 2,000 ㎚ 이하면 투명성이 유지되고, 또한 입자가 탈락하는 경우가 없어 바람직하다.
입자 A 및 B의 표면처리를 행해도 되며, 표며처리법으로서는 플라즈마 방전처리나 코로나 방전처리와 같은 물리적 표면처리와 커플링제를 사용하는 화학적 표면처리가 있는데, 커플링제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커플링제로서는 오르가노알콕시메탈 화합물(예, 티탄 커플링제, 실란 커플링제)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입자 B가 실리카인 경우는 실란 커플링제 처리가 특히 유효하다. 입자 B의 표면처리제로서 이 층 도포액 조제 이전에 사전에 표면처리를 행하기 위해 사용해도 되고, 이 층 도포액 조제 시에 추가로 첨가제로서 첨가하여 이 층에 함유시켜도 된다. 물론 입자 A에 사용해도 된다.
도포층을 구성하는 바인더 수지로서는 이접착성을 초래하는 수지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폴리머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비닐계 수지(폴리비닐알코올 등), 폴리알킬렌글리콜, 폴리알킬렌이민,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셀룰로오스, 전분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입자의 유지, 밀착성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과의 친화를 고려한 경우,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가장 적합하다. 이들 상기 바인더 수지를 병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도포층 중에 전체 고형성분 중 100 질량%여도 되나, 10 질량% 이상 90 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 80 질량% 이하이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유량이 90 질량% 이하인 경우에는, 고온 고습하의 하드코트층과의 밀착성이 유지되어 바람직하다. 반대로 함유량이 10 질량% 이상이면, 다른 우레탄 수지 등의 존재에 의해 상온, 고온 고습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과의 밀착성이 유지되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포층 중에 가교구조를 형성시키기 위해 도포층은 가교제가 포함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가교제를 함유시킴으로써, 고온 고습하에서의 밀착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인 가교제로서는 요소계, 에폭시계, 멜라민계, 이소시아네이트계, 옥사졸린계, 카르보디이미드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도포액의 경시 안정성, 고온 고습 처리하의 밀착성 향상효과로부터 멜라민계, 이소시아네이트계, 옥사졸린계, 카르보디이미드계의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가교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 촉매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의 도포층 중 함유량으로서는 전체 고형성분 중 5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이다. 10 질량% 이상이면 도포층의 수지의 강도가 유지되고, 고온 고습하에서의 밀착성이 양호하며, 40 질량% 이하면 도포층의 수지의 유연성이 유지되고, 상온, 고온 고습하에서의 밀착성이 유지되어 바람직하다.
도포층 중 입자 A의 함유량은 2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질량%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이다. 도포층 중 입자 A의 함유량은 2 질량% 이상이면 도포층의 굴절률을 높게 유지할 수 있고, 저간섭성이 효과적으로 얻어져 바람직하다.
도포층 중 입자 A의 함유량은 5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이다. 도포층 중 입자 A의 함유량은 50 질량% 이하면 제막성이 유지되어 바람직하다.
도포층 중 입자 B의 함유량은 0.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이다. 도포층 중 입자 B의 함유량은 0.1 질량% 이상이면 적당한 미끄러짐성이 유지되어 바람직하다.
도포층 중 입자 B의 함유량은 2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이다. 도포층 중 입자 B의 함유량은 20 질량% 이하면 헤이즈가 낮게 유지되어 투명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도포층의 막두께는 0.00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 ㎛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 이상이다. 도포층의 막두께가 0.001 ㎛ 이상이면 접착성이 양호하여 바람직하다.
도포층의 막두께는 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 이하이다. 도포층의 막두께가 2 ㎛ 이하면 블로킹이 발생한 우려가 없어 바람직하다.
도포층에는 도포 시 레벨링성의 향상, 도포액의 거품 제거를 목적으로 계면활성제를 함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계면활성제는 양이온계, 음이온계, 비이온계 등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으나, 실리콘계, 아세틸렌글리콜계 또는 불소계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형광등 아래에서의 홍채상(虹彩狀) 색채의 억제효과와 밀착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정도의 범위에서 도포층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층에 다른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 형광등 아래에서의 홍채상 색채의 억제효과와 밀착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정도의 범위에서 각종 첨가제를 함유시켜도 상관없다. 상기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형광염료, 형광증백제, 가소제, 자외선흡수제, 안료분산제, 거품 억제제, 거품 제거제, 방부제 등을 들 수 있다.
도공방법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 제막 시에 동시에 도공하는 소위 인라인 코팅법, 및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을 제막 후 별도 코터로 도공하는 소위 오프라인 코팅법 모두 적용할 수 있는데, 인라인 코팅법이 효율적이어서 보다 바람직하다.
도공방법으로서는 도포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로 약기함) 필름에 도포하기 위한 방법은 공지의 임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버스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키스 코트법, 다이 코터법, 롤 브러시법, 스프레이 코트법, 에어나이프 코트법, 와이어바 코트법, 파이프 닥터법, 함침 코트법, 커튼 코트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해서 도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도포층을 설치하는 방법으로서는 용매, 입자, 수지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 건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용매로서 톨루엔 등의 유기 용제, 물, 또는 물과 수용성 유기 용제의 혼합계를 들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환경문제 측면에서 물 단독 또는 물에 수용성 유기 용제를 혼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공액의 고형분 농도는 바인더 수지의 종류나 용매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나, 2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공액의 고형분 농도는 3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이다.
도포 후의 건조온도에 대해서도 바인더 수지의 종류, 용매의 종류, 가교제의 유무, 고형분 농도 등에 따라 다르나,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층의 표면 거칠기(Ra)는 도포층 표면의 미끄러짐성 등과 관계가 있어, 0.0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이다. 한편 도포층 표면 거칠기(Ra)의 상한에 대해서는 2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이다.
(광학용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본 발명의 광학용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융하고,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여 성형된 무배향 폴리에스테르를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롤의 속도차를 이용하여 종방향으로 연신한 후, 텐터에 의해 횡방향으로 연신하고 열처리를 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일축연신 필름이어도 되고 이축연신 필름이어도 상관없으나, 이축연신 필름을 액정패널 전면의 보호필름으로서 사용한 경우, 필름면의 바로 위에서 관찰해도 무지개형상의 색얼룩이 보이지 않으나, 경사방향에서 관찰했을 때 무지개형상의 색얼룩이 관찰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이 현상은 이축연신 필름이 주행방향, 폭방향, 두께방향에서 상이한 굴절률을 갖는 굴절률 타원체로 이루어지고, 필름 내부에서의 빛의 투과방향에 따라 리타데이션이 제로가 되는(굴절률 타원체가 완전한 원으로 보이는) 방향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액정표시화면을 경사방향의 특정 “‡향에서 관찰하면 리타데이션이 제로가 되는 점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어, 그 점을 중심으로 하여 무지개형상의 색얼룩이 동심원상으로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필름면의 바로 위(법선방향)에서 무지개형상의 색얼룩이 보이는 위치까지의 각도를 θ로 할 때, 이 각도 θ는 필름면 내의 복굴절이 클수록 커져 무지개형상의 색얼룩은 보이기 어려워진다. 이축연신 필름의 경우는 각도 θ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일축연신 필름 쪽이 무지개형상의 색얼룩은 보이기 어려워져 바람직하다.
그러나, 완전한 일축성(일축 대칭) 필름의 경우는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기계적 강도가 현저히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무지개형상의 색얼룩을 발생시키지 않는 범위, 또는 액정표시화면에 요구되는 시야각 범위에 있어서 무지개형상의 색얼룩을 발생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이축성(이축 대칭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본 발명의 주로 광학용도에 사용되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본 발명의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도포층 상에 전자선 또는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 또는 실록산계 열경화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하드코트층 등을 설치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의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도포층 상에 기능층을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기능층이란 비침 방지나 번쩍임 억제, 무지개 얼룩 억제, 흠집 억제 등을 목적으로, 전술한 하드코트층 외에 방현층, 방현성 반사방지층, 반사방지층, 저반사층 및 대전 방지층 등의 기능성을 갖는 층을 말한다. 기능층은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공지의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에 각 기능층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하드코트층의 형성에는 공지의 하드코트층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건조, 열, 화학반응, 또는 전자선, 방사선, 자외선 중 어느 하나를 조사함으로써 중합 및/또는 반응하는 수지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화성 수지로서는 멜라민계, 아크릴계, 실리콘계, 폴리비닐알코올계의 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는데, 높은 표면 경도 또는 광학설계를 얻는 측면에서 광경화형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아크릴계 경화성 수지로서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나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사용할 수 있고,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예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부타디엔 아크릴레이트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아크릴레이트계 경화성 수지에 반응 희석제, 광중합 개시제, 증감제 등을 혼합함으로써, 상기 광학 기능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트용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하드코트층은 외광을 산란시키는 방현 기능(안티글레어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방현 기능(안티글레어 기능)은 하드코트층 표면에 요철을 형성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이때 필름의 헤이즈는 이상적으로는 0~5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40%, 특히 바람직하게는 0~30%이다. 물론 0%는 이상적인 것으로, 0.2% 이상이어도 상관없고, 0.5% 이상이어도 상관없다.
이 때문에 본 발명 필름의 용도는 주로 광학용 필름의 전반에 걸쳐 프리즘 렌즈 시트, AR(안티리플렉션) 필름, 하드코트 필름, 확산판, 파쇄 방지 필름 등의 LCD나 플랫 TV, CRT 등의 광학용 부재의 베이스 필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면판에 부재인 근적외선 흡수 필터, 터치 패널이나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등의 투명 도전성 필름 등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하드코트층 형성을 위한 전자선 또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하는 아크릴 수지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크릴레이트계의 관능기를 갖는 것으로, 예를 들면 비교적 저분자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스피로아세탈 수지,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티올폴리엔 수지, 다가 알코올 등의 다관능 화합물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올리고머 또는 프리폴리머 및 반응성 희석제로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메틸스티렌, N-비닐피롤리돈 등의 단관능 모노머 및 다관능 모노머,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함유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전자선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경우에는, 전술한 수지 중에 광중합 개시제로서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미힐러벤조일벤조에이트, α-아밀옥심에스테르, 테트라메틸티우람모노설파이드, 티옥산톤류나, 광증감제로서 n-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n-부틸포스핀 등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계(실록산계) 열경화성 수지는 산 또는 염기 촉매하에 있어서 오르가노실란 화합물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해서 가수분해 및 축합반응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저반사용인 경우에 있어서 플루오로실란 화합물을 1종 이상 혼합해서 가수분해 및 축합반응시키는 것이 저굴절률성, 내오염성 등의 향상에 있어서 더욱 좋다.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예로 하여 설명하는데, 당연히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도포층면에 상기 전자선 또는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 또는 실록산계 열경화성 수지를 도포한다. 도포층이 양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적어도 한쪽의 도포층면에 도포한다. 도포액은 특별히 희석할 필요는 없지만, 도포액의 점도, 습윤성, 도막 두께 등의 필요에 따라 유기 용제로 희석해도 특별히 문제는 없다. 도포층은 전술한 필름에 상기 도포액을 도포 후, 필요에 따라 건조시켜서 도포액의 경화조건에 맞춰 전자선 또는 자외선 조사 및 가열함으로써 도포층을 경화시켜 하드코트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드코트층의 두께는 1~15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코트층의 두께가 1 ㎛ 이상이면, 하드코트층으로서의 내약품성, 내찰상성, 방오성 등에 대한 효과가 효율적으로 발휘되어 바람직하다. 한편 두께가 15 ㎛ 이하면 하드코트층의 가요성이 유지되어, 균열 등이 발생할 우려가 없어 바람직하다.
내흠집성으로서는 도공면을 검정 대지로 마모시켰을 때, 육안으로 보아 흠집이 눈에 띄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가에서 흠집이 눈에 띄지 않으면, 가이드 롤 통과 시에 흠집이 발생하기 어려워 핸들링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정지 마찰계수(μs)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3이고, 0.3 이상이면 지나치게 미끄러지는 문제가 없기 때문에, 제조공정에 있어서 하드 크롬 도금의 롤 등으로 감아 올리기가 용이해져 핸들링성, 내블로킹성이 유지되어 바람직하다. 정지 마찰계수(μs)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0.5이고, 0.5 이하면 감아 올릴 때 접촉 상대면이 되는 필름에 흠집을 발생시킬 우려가 없어 바람직하다.
운동 마찰계수(μd)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4이고, 0.4 이상이면 지나치게 미끄러지는 문제가 없기 때문에, 제조공정에 있어서 하드 크롬 도금의 롤 등으로 감아 올리기가 용이해져 핸들링성, 내블로킹성이 유지되어 바람직하다. 운동 마찰계수(μd)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0.6이고, 0.6 이하면 감아 올릴 때 접촉 상대면이 되는 필름에 흠집을 발생시킬 우려가 없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광학용 이접착 필름으로서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높은 투명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이즈의 하한은 이상적으로는 0%이고, 0%에 가까울수록 보다 바람직하다. 헤이즈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이하면 광선 투과율이 양호하여,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헤이즈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이접착성 도포층과 하드코트층의 밀착성은 후술하는 측정법에 따른 평가에 의해,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80%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00%이다. 80% 이상이면 도포층과 하드코트층의 밀착성이 충분히 유지된 상태라 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방법에 따라 평가하는 이접착층과 하드코트층의 고온 고습 조건하에 있어서의 밀착성에 대해서,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0%인 것이 바람직하고, 고온 고습 밀착성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00%이다. 10% 이상이면, 고온 고습 조건하에 있어서 이접착층과 하드코트층의 밀착성이 대체로 만족되어, 후가공공정에서의 통과성이 대체로 만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다.
하드코트를 형성한 편광자 보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후술하는 평가방법에 의한 간섭 불균일이 확인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당해 평가방법에 의한 간섭 불균일이 확인되지 않는 것이라면 액정화상장치의 시인성이 양호해져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각종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데,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편광판의 제조공정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편광판을 구성하는 편광자의 보호필름으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통상,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제인 것이 많고, 본 발명의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편광자에 필요에 따라 폴리비닐알코올제나 그것에 가교제 등을 첨가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도포층은 편광자와 접착하는 쪽 면이 아니라, 그 반대면을 향해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편광자와 접착되는 표면에는, 예를 들면 국제공개 제2012/105607호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이접착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당연히 아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평가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평균 입경
〔주사형 전자현미경에 의한 측정법〕
상기 입자의 평균 입경 측정은 아래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입자를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으로 사진을 찍고, 가장 작은 입자 1개의 크기가 2~5 ㎜가 되는 배율로 300~500개 입자의 최대지름(가장 떨어진 2점 간의 거리)을 측정하여, 그의 평균값을 평균 입경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도포층 중에 존재하는 입자의 평균 입경은 당해 측정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동적 광산란법〕
입자의 평균 입경은 입자나 필름의 제조 시에 있어서는 동적 산란법으로 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졸을 분산매로 희석하고, 분산매의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서브미크론 입자 애널라이저 N4 PLUS(벡크만쿨터사 제조)로 측정하고, 큐뮬런트법으로 연산함으로써 평균 입자경을 얻었다. 동적 광산란법에서는 졸 중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관측되고, 입자끼리의 응집이 있을 때는 그들 응집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관측된다.
(2) 입자의 굴절률  
입자의 굴절률 측정은 아래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무기 입자를 150℃에서 건조하여 유발로 분쇄한 분말을 용매 1(입자보다 저굴절률인 것)에 침지한 후, 용매 2(입자보다 고굴절률인 것)를 소량씩 미립자가 거의 투명해질 때까지 첨가하였다. 이 액의 굴절률을 아베의 굴절계(주식회사 아타고 제조 아베 굴절률계)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측정은 23℃, D선(파장 589 ㎚)으로 행해졌다. 상기 용매 1과 용매 2는 서로 혼합 가능한 것을 선정하여 굴절률에 따라, 예를 들면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판올, 2-프로판올,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톨루엔, 글리세린 등의 용매를 들 수 있다.
(3)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헤이즈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헤이즈는 JIS K 7136:2000에 준거하여 탁도계(닛폰 덴쇼쿠 제조, NDH2000)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4) 밀착성
실시예에서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이접착층 상에 전술한 하드코트층의 형성 항목에서 기술한 하드코트층을 형성하였다. 하드코트를 형성한 이접착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JIS-K5400-1990의 8.5.1의 기재에 준거하여 하드코트층과 기재 필름의 밀착성을 구한다.
구체적으로는 극간 간격 2 ㎜의 커터 가이드를 사용하여 하드코트층을 관통해서 기재 필름에 도달하는 100개의 바둑판눈 형상의 컷라인을 하드코트층면에 긋는다. 이어서, 셀로판 점착 테이프(니치반 제조, 405번;24 ㎜ 폭)를 바둑판눈 형상의 컷라인을 그은 면에 붙이고, 지우개로 문질러 완전히 부착시킨다. 그 후, 수직으로 셀로판 점착 테이프를 하드코트 적층 편광자 보호필름의 하드코트층면으로부터 잡아떼어서, 하드코트 적층 편광자 보호필름의 하드코트층면으로부터 떼어진 바둑판눈의 수를 육안으로 세어, 아래 식으로부터 하드코트층과 기재 필름의 밀착성을 구한다. 또한 바둑판눈 중에서 부분적으로 박리되어 있는 것도 떼어진 바둑판눈으로 센다.
Figure pct00001
(5) 내습열성
상기 하드코트를 형성한 편광자 보호용 적층 필름을 고온 고습조 중에서 85℃, 85RH%의 환경하에 500시간 방치하고, 이어서 하드코트 적층 편광자 보호필름을 꺼내서 실온에서 12시간 방치하였다. 그 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드코트층과 기재 필름의 밀착성을 구하여 내습열성으로 하였다.
(6) 정지 마찰계수, 운동 마찰계수(μs, μd)
실시예에서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마찰계수는 JIS K7125-1999 플라스틱-필름 및 시트 마찰계수 시험방법에 준거하여, 텐실론(도요 볼드윈, RTM-100)을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7) 간섭무늬 개선성(홍채상 색채)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광학용 이접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이접착층 상에 하드코트층을 형성하였다. 하드코트를 형성한 광학용 이접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10 ㎝(필름 폭방향)×15 ㎝(필름 길이방향)의 면적으로 잘라내서 시료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시료 필름의 하드코트층면과는 반대면에 검정색 광택 테이프(닛토 덴코 주식회사 제조, 비닐 테이프 No21;검정)를 붙였다. 이 시료 필름의 하드코트면을 상면으로 하여 3파장형 주백색(내셔널 파룩크, F.L 15EX-N 15W)을 광원으로 하여, 비스듬히 위에서 육안으로 봤을 때 가장 반사가 강하게 보이는 위치관계(광원으로부터의 거리 40~60 ㎝, 15~45°의 각도)에서 관찰하였다.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를 아래 기준으로 등급을 나눈다. 또한, 관찰은 당해 평가에 정통한 5명이 행하고, 가장 많은 등급을 평가 등급으로 한다. 가령, 2개의 등급에서 동수가 된 경우에는, 3개로 나뉜 등급의 중심을 채용하였다. 예를 들면 ◎과 ○가 각 2명이고 △가 1명인 경우는 ○를, ◎가 1명이고 ○와 △가 각 2명인 경우에는 ○를, ◎와 △가 각 2명이고 ○가 1명인 경우에는 ○를 각각 채용한다.
◎:모든 각도로부터의 관찰에서 홍채상 색채가 보이지 않음
○:어느 각도에서는 약간 홍채상 색채가 보임
△:약간 홍채상 색채가 관찰됨
×:명확한 홍채상 색채가 관찰됨
(8) 도포층의 내흠집성
마찰견뢰도 시험기(다이에이 가가쿠 세이키 제작소 제조, RT-200)에 3 ㎝(필름 폭방향)×20 ㎝(필름 길이방향)의 광학용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붙이고, 추(300 g)를 부착한 하중 헤드부(2 ㎝×2 ㎝, 200 g)와 시료 필름의 접촉부에 검정 대지(두께 80 ㎛, 산술적 평균 표면 거칠기 0.03 ㎛)를 사용해서, 10 ㎝의 거리를 1회 왕복 20초의 속도로 3회 왕복시켰다. 검정 대지 위에 얻어진 시료 필름을 올려서 흠집이 발생하였는지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검정 대지 상에서 흠집 발생이 확인되지 않거나 또는 장소에 따라서 약간의 흠집 발생이 확인됨
△:검정 대지 상에서 전체적으로 약간의 흠집 발생이 확인됨
×:검정 대지 상에서 흠집 발생이 명확하게 확인됨
(9) 유리 전이 온도
JIS K7121-1987에 준거하여 시차 주사 열량계(세이코 인스트루먼츠 제조, DSC6200)를 사용하여, 수지 샘플 10 ㎎을 25~300℃의 온도 범위에 걸쳐 20℃/min로 승온시켜, DSC 곡선으로부터 얻어진 보외 유리 전이 개시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로 하였다.
(10) 수 평균 분자량
수지 0.03 g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0 ㎖에 용해하여, GPC-LALLS장치 저각도 광산란 광도계 LS-8000(도소 주식회사 제조, 테트라히드로푸란 용매, 레퍼런스:폴리스티렌)을 사용하고, 칼럼온도 30℃, 유량 1 ㎖/분, 칼럼(쇼와 덴코사 제조 shodex KF-802, 804, 806)을 사용하여 수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11) 수지 조성
수지를 중클로로포름에 용해하고, 바리안사 제조 핵자기공명 분석계(NMR) 제미니-200을 사용해서 1H-NMR 분석을 행하여 그 적분비로부터 각 조성의 몰%비를 결정하였다.
(12) 표면 거칠기(Ra)
JIS-B0601-2001에 준거하여 서프콤(등록상표) 304B(주식회사 도쿄 세이미츠 제조)로 Ra를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조건은 컷오프 0.08 ㎛, 촉침 반경 2 ㎛, 측정길이 0.8 ㎜, 측정속도 0.03 ㎜/초로 행하였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합)
교반기, 온도계 및 부분 환류식 냉각기를 구비하는 스테인리스스틸제 오토클레이브에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194.2 질량부,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 184.5 질량부, 디메틸-5-나트륨설포이소프탈레이트 14.8 질량부, 디에틸렌글리콜 233.5 질량부, 에틸렌글리콜 136.6 질량부 및 테트라-n-부틸티타네이트 0.2 질량부를 넣고, 160℃~220℃의 온도에서 4시간에 걸쳐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행하였다. 이어서 255℃까지 승온시키고 반응계를 서서히 감압한 후, 30 ㎩의 감압하에서 1시간 30분 반응시켜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I)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I)는 담황색 투명이었다.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I)의 환원점도를 측정한 바, 0.70 ㎗/g이었다. DSC에 의한 유리 전이 온도는 40℃, 수 평균 분자량은 20,000이었다.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I)의 조성은 아래와 같다.
·디카르복실산 성분:테레프탈산 49 몰%, 이소프탈산 48 몰%, 5-나트륨이소프탈산 3 몰%
·디올 성분:에틸렌글리콜 40 몰%, 디에틸렌글리콜 60 몰%
(폴리에스테르 수분산체의 제조)
교반기, 온도계 및 환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I) 30 질량부, 에틸렌글리콜-n-부틸에테르 15 질량부를 넣고, 110℃에서 가열, 교반하여 수지를 용해하였다. 수지가 완전히 용해된 후, 물 55 질량부를 폴리에스테르 용액에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첨가 후, 액을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냉각하여 고형분 28.2 질량%의 유백색의 폴리에스테르 수분산체(Iα)를 제작하였다.
(폴리우레탄 수분산체의 제조)
교반기, 딤로스 냉각기, 질소 도입관, 실리카겔 건조관 및 온도계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3.75 질량부, 디메틸올부탄산 12.85 질량부, 수 평균 분자량 2,000의 폴리헥사메틸렌카보네이트디올 153.41 질량부,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0.03 질량부 및 용제로서 아세톤 84.00 질량부를 투입하고, 질소분위기하 75℃에서 3시간 교반하여, 반응액이 소정의 아민 당량에 도달한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이 반응액을 40℃까지 강온한 후, 트리에틸아민 8.77 질량부를 첨가하여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고속 교반 가능한 호모디스퍼를 구비한 반응용기에 물 450 g을 첨가하고 25℃로 조정하여, 2,000 min- 1으로 교반 혼합하면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용액을 첨가하여 수분산하였다. 그 후, 감압하에서 아세톤 및 물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고형분 37 질량%의 수용성 폴리우레탄 수지 용액(II)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폴리우레탄 수지(II)의 유리 전이점 온도는 -30℃였다.
(블록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중합)
교반기, 온도계 및 환류냉각관을 구비한 플라스크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원료로 한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 제조, 듀라네이트 TPA) 100 질량부,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55 질량부,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평균 분자량 750) 30 질량부를 넣고, 질소분위기하 70℃에서 4시간 유지하였다. 그 후, 반응액온도를 50℃로 낮추고, 메틸에틸케톡심 47 질량부를 적하하였다. 반응액의 적외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흡수가 소실된 것을 확인하고, 고형분 75 질량%의 블록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분산액(III)을 얻었다.
(옥사졸린계 가교제의 중합)
온도계, 질소가스 도입관, 환류냉각기, 적하 깔때기 및 교반기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수성 매체로서의 이온 교환수 58 질량부와 이소프로판올 58 질량부의 혼합물 및 중합 개시제(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이염산염) 4 질량부를 투입하였다. 한편, 적하 깔때기에 옥사졸린기를 갖는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로서의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 16 질량부,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에틸렌글리콜의 평균 부가 몰수·9몰, 신나카무라 화학 제조) 32 질량부 및 메타크릴산메틸 32 질량부의 혼합물을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하 70℃에서 1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반응용액을 9시간 교반하고, 냉각함으로써 고형분 농도 40 질량%의 옥사졸린기를 갖는 수용성 수지(IV)를 얻었다.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의 중합)
교반기, 온도계 및 환류냉각관을 구비한 플라스크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68 질량부와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M400, 평균 분자량 400) 220 질량부를 넣어 120℃에서 1시간 교반하고, 추가로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6 질량부와 카르보디이미드화 촉매로서 3-메틸-1-페닐-2-포스포린-1-옥시드 3.8 질량부(전체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2 질량%)를 첨가하여, 질소 기류하 185℃에서 추가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의 적외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파장 2,200~2,300 ㎝-1의 흡수가 소실된 것을 확인하였다. 60℃까지 방랭하고, 이온 교환수를 567 질량부 첨가하여, 고형분 40 질량%의 카르보디이미드 수용성 수지(V)를 얻었다.
(에폭시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로서 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데나콜 EX-521(고형분 농도 100%)을 사용하였다(에폭시계 가교제(VI)).
(멜라민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로서 DIC사 제조 베커민 M-3(고형분 농도 60%)를 사용하였다(멜라민계 가교제(VII)).
(지르코니아 입자)
3리터의 유리제 용기에 순수(pure water) 2283.6 g과 옥살산 이수화물 403.4 g을 투입하고, 40℃로 가열하여 10.72 질량% 옥살산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이 수용액을 교반하면서 옥시탄산지르코늄 분말(ZrOCO3, AMR International Corp. 제조, ZrO2로 환산하여 39.76 질량%를 함유한다.) 495.8 g을 서서히 첨가하여 30분간 혼합한 후, 90℃에서 30분의 가열을 행하였다. 이어서, 25.0 질량% 수산화 테트라메틸암모늄 수용액(다마 화학공업(주) 제조) 1747.2 g을 1시간에 걸쳐 서서히 첨가하였다. 이 시점에서 혼합액은 슬러리상으로, ZrO2 환산으로 4.0 질량% 함유하였다. 이 슬러리를 스테인리스제 오토클레이브 용기에 옮겨 담고, 145℃에서 5시간의 수열처리를 행하였다. 이 수열처리 후의 생성물은 미해교물이 없어 완전히 졸화되었다. 얻어진 졸은 ZrO2로서 4.0 질량% 함유하고, pH 6.8, 동적 광산란법에 의한 평균 입자경은 19 ㎚였다. 또한, 졸을 ZrO2 농도 2.0 질량%로 순수로 조정하여 측정한 투과율은 88%였다. 투과형 전자현미경에 의해 입자를 관찰한 바, 7 ㎚ 전후의 ZrO2 1차입자의 응집입자가 대부분이었다. 상기 수열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ZrO2 농도 4.0 질량%의 지르코니아졸 4,000 g을 한외여과장치를 사용하여, 순수를 서서히 첨가하면서 세정 및 농축을 행하여 ZrO2 농도 13.1 질량%, pH 4.9, ZrO2 농도 13.1 질량%일 때의 투과율 76%의 지르코니아졸 953 g이 얻어졌다.
상기 세정 및 농축을 행하여 얻어진 ZrO2 농도 13.1 질량%의 지르코니아졸 300 g에 20 질량% 구연산 수용액 3.93 g 및 25 질량% 수산화 테트라메틸암모늄 수용액 11.0 g을 첨가한 후, 추가로 한외여과장치에서 농축을 행한 바, ZrO2 농도 30.5 질량%의 고농도 지르코니아졸 129 g이 얻어졌다. 이 얻어진 고농도 지르코니아졸은 pH 9.3, 동적 광산란법에 의한 평균 입자경 19 ㎚였다. 또한, 이 지르코니아졸은 침강물이 없고, 50℃의 조건하에서 1개월 이상 안정하였다.
(티타니아 입자)
사염화티탄(오사카 티타늄 테크놀로지즈(주) 제조)을 TiO2 환산 기준으로 7.75 질량% 포함하는 사염화티탄 수용액 12.09 ㎏과, 암모니아를 15 질량% 포함하는 암모니아수(우베 고산(주) 제조) 4.69 ㎏을 혼합하여, pH 9.5의 백색 슬러리액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이 슬러리를 여과한 후, 순수로 세정하여 고형분 함유량이 10 질량%인 함수 티탄산 케이크 9.87 ㎏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케이크에 과산화수소수를 35 질량% 포함하는 과산화수소수(미츠비시 가스 화학(주) 제조) 11.28 ㎏과 순수 20.00 ㎏을 첨가한 후, 80℃의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에서 가열하고, 추가로 순수 57.52 ㎏을 첨가하여, 과산화티탄산을 TiO2 환산 기준으로 1 질량% 포함하는 과산화티탄산 수용액을 98.67 ㎏ 얻었다. 이 과산화티탄산 수용액은 투명한 황갈색으로 pH는 8.5였다.
이어서, 상기 과산화티탄산 수용액 98.67 ㎏에 양이온 교환 수지(미츠비시 화학(주) 제조) 4.70 ㎏을 혼합하고, 여기에 주석산칼륨(쇼와 가코(주) 제조)을 SnO2 환산 기준으로 1 질량% 포함하는 주석산칼륨 수용액 12.33 ㎏을 교반하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칼륨 이온 등을 포함한 양이온 교환 수지를 분리한 후, 오토클레이브(다이아츠 유리 공업(주) 제조, 120L)에 넣고 165℃의 온도에서 18시간 가열하였다.
다음으로, 얻어진 혼합 수용액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 한외여과막장치(아사히 가세이(주) 제조, ACV-3010)로 농축하여 고형분 함유량이 10 질량%인, 티탄계 미립자(이하, 「P-1」이라 함)를 포함하는 수분산 졸 9.90 ㎏을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졸 중에 포함되는 고형물을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바, 루틸형의 결정 구조를 갖는, 티타늄 및 주석을 포함하는 복합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티탄계 미립자(1차입자)였다. 또한, 이 티탄계 미립자 중에 포함되는 금속 성분의 함유량을 측정한 바, 각 금속 성분의 산화물 환산 기준으로 TiO2 87.2 질량%, SnO2 11.0 질량% 및 K2O 1.8 질량%였다. 또한, 상기 혼합 수용액의 pH는 10.0이었다. 또한, 상기 티탄계 미립자를 포함하는 수분산 졸은 투명한 유백색으로, 이 수분산 졸 중에 포함되는 상기 티탄계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은 35 ㎚이며, 또한 100 ㎚ 이상의 입자경을 갖는 조대 입자의 분포 빈도는 0%였다. 또한, 얻어진 티탄계 미립자의 굴절률은 2.42로 볼 수 있었다.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혼합 입자)
상기에서 얻어진 지르코니아 입자와 티타니아 입자를 각각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고형분 농도 13 질량%의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혼합 입자를 제작하였다.
(하드코트층의 형성)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편광자와 접착하는 면과는 반대쪽 면에, 아래 조성의 하드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을 #10 와이어바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70℃에서 1분간 건조하여 용제를 제거하였다. 이어서, 하드코트층을 도포한 필름에 고압 수은등을 사용해서 300 mJ/㎠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두께 5 ㎛의 하드코트층을 갖는 편광자 보호필름을 얻었다.
·하드코트층 형성용 도포액
메틸에틸케톤 65.00 질량%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27.20 질량%
(신나카무라 화학 제조 A-DPH)
폴리에틸렌디아크릴레이트 6.80 질량%
(신나카무라 화학 제조 A-400)
광중합 개시제 1.00 질량%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 이르가큐어 184)
(실시예 1)
(도포액의 조제)
아래 조성의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물 34.94 질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30.00 질량부
입자 A-1 7.24 질량부
(평균 입경 23 ㎚의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혼합 입자,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합계 질량에 대한 지르코니아 질량 75 질량%,
고형분 농도 13 질량%)
입자 B-1 0.90 질량부
(평균 입경 450 ㎚의 실리카졸, 고형분 농도 40 질량%)
폴리에스테르 수분산체(Iα) 17.92 질량부
(고형분 농도 28.2 질량%)
블록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III) 2.90 질량부
(고형분 농도 75 질량%)
계면활성제 0.30 질량부
(불소계, 고형분 농도 10 질량%)
고비점 용매 3.00 질량부
분산 보조제 0.26 질량부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필름 원료 폴리머로서 고유점도(용매: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60/40)가 0.62 ㎗/g이고, 또한 입자를 실질상 함유하고 있지 않은 PET 수지 펠릿을, 133 ㎩의 감압하 135℃에서 6시간 건조하였다. 그 후, 압출기에 공급하고 약 280℃에서 시트 형상으로 용융 압출하여, 표면온도 20℃로 유지한 회전 냉각 금속롤 상에서 급랭 밀착 고화시켜서 미연신 PET 시트를 얻었다.
이 미연신 PET 시트를 가열된 롤군 및 적외선 히터로 100℃로 가열하고, 그 후 주속차가 있는 롤군으로 길이방향으로 3.5배 연신하여 일축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 도포액을 롤코트법으로 PET 필름의 한쪽면에 도포한 후, 80℃에서 15초간 건조하였다. 또한, 최종 연신 후의 건조 후 도포량이 0.12 g/㎡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계속해서 텐터로 150℃에서 폭방향으로 4.0배로 연신하고, 필름 폭방향의 길이를 고정한 상태로 230℃에서 0.5초간 가열하고, 추가로 230℃에서 10초간 3%의 폭방향의 이완처리를 행하여 두께 38 ㎛의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도포액의 입자 A-1 대신에 지르코니아와 티타니아의 합계 질량에 대한 지르코니아의 질량 비율이 50 질량%인 입자 A-2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
도포액의 입자 A-1 대신에 지르코니아와 티타니아의 합계 질량에 대한 지르코니아의 질량 비율이 25 질량%인 입자 A-3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조제, 사용한 도포액 대신에, 아래 조성의 도포액을 조제,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물 37.23 질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30.00 질량부
입자 A-1 3.79 질량부
(평균 입경 23 ㎚의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혼합 입자,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합계 질량에 대한 지르코니아 질량 75 질량%,
고형분 농도 13 질량%)
입자 B-1 0.95 질량부
(평균 입경 450 ㎚의 실리카졸, 고형분 농도 40 질량%)
폴리에스테르 수분산체(Iα) 18.77 질량부
(고형분 농도 28.2 질량%)
블록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III) 3.03 질량부
(고형분 농도 75 질량%)
계면활성제 0.30 질량부
(불소계, 고형분 농도 10 질량%)
고비점 용매 3.00 질량부
분산 보조제 0.27 질량부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조제, 사용한 도포액 대신에, 아래 조성의 도포액을 조제,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물 32.85 질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30.00 질량부
입자 A-1 10.39 질량부
(평균 입경 23 ㎚의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혼합 입자,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합계 질량에 대한 지르코니아 질량 75 질량%,
고형분 농도 13 질량%)
입자 B-1 0.87 질량부
(평균 입경 450 ㎚의 실리카졸, 고형분 농도 40 질량%)
폴리에스테르 수분산체(Iα) 17.15 질량부
(고형분 농도 28.2 질량%)
블록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III) 2.80 질량부
(고형분 농도 75 질량%)
계면활성제 0.30 질량부
(불소계, 고형분 농도 10 질량%)
고비점 용매 3.00 질량부
분산 보조제 0.25 질량부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조제, 사용한 도포액 대신에, 아래 조성의 도포액을 조제,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물 39.17 질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30.00 질량부
입자 A-1 7.24 질량부
(평균 입경 23 ㎚의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혼합 입자,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합계 질량에 대한 지르코니아 질량 75 질량%,
고형분 농도 13 질량%)
입자 B-1 0.90 질량부
(평균 입경 450 ㎚의 실리카졸, 고형분 농도 40 질량%)
폴리우레탄 수분산체(II) 13.70 질량부
(고형분 농도 37 질량%)
블록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III) 2.90 질량부
(고형분 농도 75 질량%)
계면활성제 0.30 질량부
(불소계, 고형분 농도 10 질량%)
고비점 용매 3.00 질량부
분산 보조제 0.26 질량부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조제, 사용한 도포액 대신에, 아래 조성의 도포액을 조제,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물 34.94 질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30.00 질량부
입자 A-1 7.24 질량부
(평균 입경 23 ㎚의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혼합 입자,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합계 질량에 대한 지르코니아 질량 75 질량%,
고형분 농도 13 질량%)
입자 B-1 0.90 질량부
(평균 입경 450 ㎚의 실리카졸, 고형분 농도 40 질량%)
폴리에스테르 수분산체(Iα) 13.27 질량부
(고형분 농도 28.2 질량%)
폴리우레탄 수분산체(II) 4.98 질량부
(고형분 농도 37 질량%)
블록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III) 2.90 질량부
(고형분 농도 75 질량%)
계면활성제 0.30 질량부
(불소계, 고형분 농도 10 질량%)
고비점 용매 3.00 질량부
분산 보조제 0.26 질량부
(실시예 8) 
도포액의 블록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III)를 옥사졸린기를 갖는 수용성 수지(IV)로 변경하고, 그 함유량을 조절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9)
도포액의 블록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III)를 카르보디이미드 수용성 수지(V)로 변경하고, 그 함유량을 조절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0)
도포액의 블록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III)를 멜라민계 가교제(VII)로 변경하고, 그 함유량을 조절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1)
도포액의 블록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III)를 에폭시계 가교제(VI)로 변경하고, 그 함유량을 조절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2)
도포액의 입자 A-1 대신에 평균 입경을 40 ㎚의 입자 A-4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3)
도포액의 입자 A-1 대신에 평균 입경을 30 ㎚의 입자 A-5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4)
도포층의 막두께를 0.05 ㎛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5)
도포층의 막두께를 0.075 ㎛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6)
도포층의 막두께를 0.125 ㎛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7)
실시예 1에서 조제, 사용한 도포액 대신에, 아래 조성의 도포액을 조제,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물 35.40 질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30.00 질량부
입자 A-1 7.26 질량부
(평균 입경 23 ㎚의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혼합 입자,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합계 질량에 대한 지르코니아 질량 75 질량%,
고형분 농도 13 질량%)
입자 B-1 0.36 질량부
(평균 입경 450 ㎚의 실리카졸, 고형분 농도 40 질량%)
폴리에스테르 수분산체(Iα) 17.98 질량부
(고형분 농도 28.2 질량%)
블록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III) 2.90 질량부
(고형분 농도 75 질량%)
계면활성제 0.30 질량부
(불소계, 고형분 농도 10 질량%)
고비점 용매 3.00 질량부
분산 보조제 0.26 질량부
(실시예 18)
실시예 1에서 조제, 사용한 도포액 대신에, 아래 조성의 도포액을 조제,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물 34.48 질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30.00 질량부
입자 A-1 7.22 질량부
(평균 입경 23 ㎚의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혼합 입자,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합계 질량에 대한 지르코니아 질량 75 질량%,
고형분 농도 13 질량%)
입자 B-1 1.44 질량부
(평균 입경 450 ㎚의 실리카졸, 고형분 농도 40 질량%)
폴리에스테르 수분산체(Iα) 17.88 질량부
(고형분 농도 28.2 질량%)
블록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III) 2.90 질량부
(고형분 농도 75 질량%)
계면활성제 0.30 질량부
(불소계, 고형분 농도 10 질량%)
고비점 용매 3.00 질량부
분산 보조제 0.26 질량부
(비교예 1)
도포액의 입자 A-1 대신에 티타니아를 함유하지 않는 비혼합 지르코니아 단독 입자 A-6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도포액의 입자 A-1 대신에 지르코니아를 함유하지 않는 비혼합 티타니아계 단독 입자 A-7으로 변경하고, 고형분 농도를 고려하여 질량%를 조정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조제, 사용한 도포액 대신에, 아래 조성의 도포액을 조제,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물 35.71 질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30.00 질량부
입자 A-1 7.27 질량부
(평균 입경 23 ㎚의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혼합 입자,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합계 질량에 대한 지르코니아 질량 75 질량%,
고형분 농도 13 질량%)
폴리에스테르 수분산체(Iα) 28.58 질량부
(고형분 농도 28.2 질량%)
블록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III) 1.38 질량부
(고형분 농도 75 질량%)
계면활성제 0.30 질량부
(불소계, 고형분 농도 10 질량%)
고비점 용매 3.00 질량부
분산 보조제 0.26 질량부
Figure pct00002
각 실시예에 의해 얻어진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내흠집성이 양호하고, 정지 마찰계수, 운동 마찰계수도 적당하며, 투명성, 밀착성, 내습열성, 저간섭성의 각 평가항목에 있어서도 만족스러운 결과가 얻어졌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 1에 의해 얻어진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도포층 중 입자 A에 지르코니아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내습열성에 있어서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또한, 비교예 2에 의해 얻어진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도포층 중 입자 A에 티타니아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내흠집성에 있어서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그리고, 비교예 3에 의해 얻어진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도포층 중 윤활제 입자 B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마찰계수가 컸다.
(실시예 19)
실시예 1에 있어서 얻어진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도포층 상에 아래 조성의 방현층 형성용 도포액을 #5 와이어바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70℃에서 1분간 건조하여 용제를 제거하였다. 이어서, 방현층을 도포한 필름에 고압 수은등을 사용해서 300 mJ/㎠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두께 5 ㎛의 방현층을 갖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방현성이 부여된 바람직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얻어졌다.
·방현층 형성용 도포액
톨루엔 34 질량부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50 질량부
실리카(평균 입경 1 ㎛) 12 질량부
실리콘(레벨링제) 1 질량부
광중합 개시제 1 질량부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 이르가큐어 184)
(실시예 20)
실시예 1에 있어서 얻어진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도포층 상에 아래 조성의 중굴절률층 형성용 도포액을 바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70℃에서 1분간 건조 후, 고압 수은등을 사용해서 400 mJ/㎠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건조 막두께 5 ㎛의 중굴절률층을 얻었다. 다음으로, 형성한 중굴절률층 위에 바코터를 사용하여 아래 조성의 고굴절률층 형성용 도포액을 중굴절률층과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하고, 추가로 그 위에 아래 조성의 저굴절률층 형성용 도포액을 중굴절률층과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하여, 반사방지층을 적층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반사방지성을 갖는 바람직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얻어졌다.
·중굴절률층 형성용 도포액(굴절률 1.52)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70 질량부
1,6-비스(3-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헥산
30 질량부
광중합 개시제 4 질량부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주) 제조 이르가큐어 184)
이소프로판올 100 질량부
·고굴절률층 형성용 도포액(굴절률 1.64)
ITO 미립자(평균 입경 0.07 ㎛) 85 질량부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아크릴레이트 15 질량부
광중합 개시제(KAYACURE BMS, 닛폰 가야쿠 제조) 5 질량부
부틸알코올 900 질량부
·저굴절률층 형성용 도포액(굴절률 1.42)
1,10-디아크릴로일옥시-2,2,3,3,4,4,5,5,6,6,7,7,8,8,9,9-헥사데카플루오로데칸 70 질량부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10 질량부
실리카겔 미립자(XBA-ST, 닛산 화학 제조) 60 질량부
광중합 개시제(KAYACURE BMS, 닛폰 가야쿠 제조) 5 질량부

Claims (5)

  1. 적어도 한쪽 면에 도포층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상기 도포층이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혼합 입자 A, 윤활제 입자 B 및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고, 상기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혼합 입자 A에 있어서의 지르코니아와 티타니아 합계 질량에 대한 지르코니아의 함유율이 10~90 질량%이며, 상기 윤활제 입자 B의 평균 입경이 200 ㎚ 이상인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혼합 입자 A의 평균 입경이 5~200 ㎚인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도포층의 고형분에 대한 윤활제 입자 B의 함유율이 0.1~20 질량%인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포층의 고형분에 대한 지르코니아/티타니아 혼합 입자 A의 함유율이 2~50 질량%인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도포층 상에 하드코트층, 방현층, 방현성 반사방지층, 반사방지층 및 저반사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층을 갖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0187010059A 2015-11-13 2016-11-02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893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22757 2015-11-13
JPJP-P-2015-222757 2015-11-13
PCT/JP2016/082554 WO2017082130A1 (ja) 2015-11-13 2016-11-02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439A true KR20180042439A (ko) 2018-04-25
KR101893741B1 KR101893741B1 (ko) 2018-08-30

Family

ID=58695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0059A KR101893741B1 (ko) 2015-11-13 2016-11-02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6521264B2 (ko)
KR (1) KR101893741B1 (ko)
CN (1) CN108349228B (ko)
TW (1) TWI599482B (ko)
WO (1) WO20170821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217A1 (ko) * 2021-01-27 2022-08-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8759A1 (ja) * 2017-09-22 2019-03-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102376858B1 (ko) * 2017-09-22 2022-03-21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CN109130349B (zh) * 2018-06-07 2020-07-17 浙江欣麟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高清无彩虹防刮pc材质保护膜及其制备方法
SG10202101747TA (en) * 2018-08-10 2021-03-30 Toyo Boseki Release film for production of ceramic green sheet
EP3919185A4 (en) * 2019-01-31 2022-10-12 Toyobo Co., Ltd. FAST ADLING POLYESTER FILM AND METHOD OF MAKING THERE
WO2020166297A1 (ja) * 2019-02-13 2020-08-20 東洋紡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220032572A (ko) * 2019-07-12 2022-03-15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폴딩형 디스플레이용 하드 코트 필름과 그 용도
JPWO2021010158A1 (ko) * 2019-07-12 2021-01-21
KR20220038587A (ko) * 2019-07-23 2022-03-29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5718B2 (ja) * 1984-10-26 1994-07-27 ハ−・ルンドベツク・アクチエゼルスカベツト インダン誘導体および治療方法
JP2006249185A (ja) * 2005-03-09 2006-09-21 Fuji Photo Film Co Ltd 硬化性樹脂組成物、光学機能層およびその製造方法、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並びに画像表示装置
JP2007203712A (ja) 2006-02-06 2007-08-16 Fujifilm Corp 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積層フィルムを用いた光学シート及び表示装置
JP2010247442A (ja) * 2009-04-16 2010-11-04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離型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6601A (ja) * 1983-12-14 1985-07-06 Hoya Corp 多層反射防止膜
GB9212838D0 (en) * 1992-06-17 1992-07-29 Ici Plc Polymeric film
JPH11133204A (ja) * 1997-09-01 1999-05-21 Seiko Epson Corp 硬化膜付きプラスチックレンズ
JP2001100002A (ja) * 1999-09-29 2001-04-13 Canon Inc 反射防止膜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部材
CN102648094B (zh) * 2009-12-04 2015-04-08 东洋纺织株式会社 易粘接性热塑性树脂膜
CN103889721B (zh) * 2011-10-22 2016-08-24 三菱树脂株式会社 涂布膜
CN104159746B (zh) * 2012-03-16 2016-01-27 东丽株式会社 层合膜及其制造方法
JP2014065887A (ja) * 2012-09-10 2014-04-17 Toyobo Co Ltd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778724B2 (ja) * 2013-08-09 2015-09-16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5176465A (ja) * 2014-03-17 2015-10-05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透明導電性フィルムのベースフィル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用透明導電性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5718B2 (ja) * 1984-10-26 1994-07-27 ハ−・ルンドベツク・アクチエゼルスカベツト インダン誘導体および治療方法
JP2006249185A (ja) * 2005-03-09 2006-09-21 Fuji Photo Film Co Ltd 硬化性樹脂組成物、光学機能層およびその製造方法、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並びに画像表示装置
JP2007203712A (ja) 2006-02-06 2007-08-16 Fujifilm Corp 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積層フィルムを用いた光学シート及び表示装置
JP2010247442A (ja) * 2009-04-16 2010-11-04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離型フィル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217A1 (ko) * 2021-01-27 2022-08-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82130A1 (ja) 2017-05-18
JP2019090058A (ja) 2019-06-13
KR101893741B1 (ko) 2018-08-30
JP2017095734A (ja) 2017-06-01
TWI599482B (zh) 2017-09-21
CN108349228A (zh) 2018-07-31
CN108349228B (zh) 2019-03-26
JP6521264B2 (ja) 2019-05-29
TW201728461A (zh) 2017-08-16
JP6737364B2 (ja) 202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741B1 (ko)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7052854B6 (ja) 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20080233312A1 (en) Polarizing-Plate-Protect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WO2020095566A1 (ja) 光拡散層形成用塗料、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用フィルム、及び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
KR20190132231A (ko) 반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2016164668A (ja) 偏光子保護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048010B2 (ja) 積層体、偏光板、液晶パネル、タッチパネルセンサ、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4235233A (ja)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
KR20230086743A (ko)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JP6119941B1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4048528A (ja) 積層体、偏光板、液晶パネル、タッチパネルセンサ、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22196302A1 (ja) 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