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418A -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418A
KR20180041418A KR1020160133550A KR20160133550A KR20180041418A KR 20180041418 A KR20180041418 A KR 20180041418A KR 1020160133550 A KR1020160133550 A KR 1020160133550A KR 20160133550 A KR20160133550 A KR 20160133550A KR 20180041418 A KR20180041418 A KR 20180041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es
information
product
unit
go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3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2220B1 (ko
Inventor
최원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팅
Priority to KR1020160133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220B1/ko
Publication of KR20180041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2Market predictions or forecasting for commercial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gebra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매자에게 판매 예측 정보를 제공하여 히트 상품이나 베스트 상품을 신속하면서 쉽게 예측 및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장치는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사용자단말기에 탑재되어 사용자에게 상품 판매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품의 종류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종류 입력부와; 상기 상품 종류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상품 종류에 해당하는 다수의 상품의 판매 관련 정보를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판매 정보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판매 정보에서 판매량, 판매 가격, 매장 개수, 구매자 정보, 구매자의 선호도, 브랜드 인지도 및 판매 증감률을 포함하는 기준 정보에 각각 기준값을 설정한 후에 상기 기준값에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여 점수화하고, 상기 기준값과 가중치에 따른 점수를 합산하여 각 상품의 예상 판매 순위를 평가하는 순위 평가부와; 상기 순위 평가부에 의해 평가된 예상 판매 순위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에 상품 순위를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상품 종류에 속하는 다수의 상품의 판매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판매 예측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SALES FORECASTING INFORMATION BASED ON NETWORK}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판매자에게 판매 예측 정보를 제공하여 히트 상품이나 베스트 상품을 신속하면서 쉽게 예측 및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라인이나 오프라인 상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가 가장 큰 관심을 가지고 노력을 기울이는 것은 어떻게 하면 좋은 상품을 선정하여 적정한 이윤을 붙여서 많은 상품을 판매하여 이익을 극대화 할 수 있는가 하는데 있다. 그러나, 시장에는 많은 경쟁자가 있고 유사한 상품들이 많이 있으므로 판매자가 매입하여 판매하는 상품이 성공을 하리라는 보장이 없다.
상품을 제조업자로부터 매입하거나 외국으로부터 수입하여 판매하는 판매자는 좋은 상품을 발견하기 위해 많은 비용과 시간을 사용하고, 판매에 대비하기 위하여 다량의 상품을 미리 구입하여 재고를 확보하거나 물품 공급처와 구매계약을 하거나 한다.
아울러, 제조업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여 신제품을 개발하여 대량 생산을 하고, 이와 같이 개발 생산된 신제품의 판매를 극대화하기 위해 많은 광고비를 들여서 신제품을 광고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판매자이던 제조업자이든 간에 하나의 상품을 시장에 내놓고 히트 상품이 되거나 베스트 상품이 되어 판매에 성공하기까지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 및 비용이 소요되는데, 추진하였던 상품이 기대 이하일 때에는 사업상의 상당한 위험까지를 감수하여야만 한다.
이러한 위험부담을 회피하고 사업의 안정적인 경영을 위해서는 판매자가 판매를 하고자하는 상품이 얼마나 고객들에게 팔릴 수 있는가 하는 것을 미리 예측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지만 종래에는 실질적으로 판매 성공 여부를 예측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 거의 없었다.
이와 같은 판매 성공 여부의 예측 불가에 따라 판매자가 히트 상품이나 베스트 상품을 쉽게 파악할 수 없어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매장의 개설을 꺼려하게 되고, 이는 국내외의 상품 판매 시장 침체의 주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14-0139466호 "데이터 크롤링 및 관리자 입력에 기반한 판매 예측 자동화 장치"(2014.12.05)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판매자에게 판매 예측 정보를 제공하여 히트 상품이나 베스트 상품을 신속하면서 쉽게 예측 및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판매자에게 신제품에 대한 판매 예측 정보를 제공하여 신제품의 판매가 보다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판매자에게 상품의 적정 판매량, 적정 판매 수익, 과다 입고 상태 등 판매 및 입고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판매자의 상품에 대한 입고량의 판단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는,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사용자단말기에 탑재되어 사용자에게 상품 판매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품의 종류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종류 입력부와; 상기 상품 종류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상품 종류에 해당하는 다수의 상품의 판매 관련 정보를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판매 정보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판매 정보에서 판매량, 판매 가격, 매장 개수, 구매자 정보, 구매자의 선호도, 브랜드 인지도 및 판매 증감률을 포함하는 기준 정보에 각각 기준값을 설정한 후에 상기 기준값에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여 점수화하고, 상기 기준값과 가중치에 따른 점수를 합산하여 각 상품의 예상 판매 순위를 평가하는 순위 평가부와; 상기 순위 평가부에 의해 평가된 예상 판매 순위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에 상품 순위를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상품 종류에 속하는 다수의 상품의 판매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판매 예측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에 따라 상기 순위 평가부에 사용되는 상기 기준값과 가중치가 증감되어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가중치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화면 상에서 상기 판매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되는 판매 관련 정보의 현재로부터 과거의 특정 일자를 지정하여 추출되는 판매 정보 획득 기간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획득 기간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화면 상에서 상기 순위 평가부의 기준 정보의 항목을 변경하거나 추가하여 재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 재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화면 상에서 판매 가격, 브랜드 정보, 유사 제품 및 개선 내용을 포함하는 신제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신제품 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순위 평가부는, 상기 유사 제품의 판매 정보와 상기 신제품의 입력된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우위에 있는 부분에는 가점을 부여하고 열위에 있는 부분에는 감점을 부여한 후에 이를 합산하여 상기 신제품의 예상 판매 순위를 평가하는 신제품 평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상품과 과거의 특정 날짜를 입력하면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소매업자가 도매업자 혹은 제조업자로부터 주문하여 입고되는 입고량을 과거의 특정 날짜로부터 현재까지 일자별로 수치로 표시하여 제공하는 입고량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의 상기 입고량 정보 제공부는, 상기 입고량의 수치 표시에 더하여 상기 입고량의 증감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입고량을 일자별로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상품과 지정 기간을 입력하면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일자별 평균 판매량을 추출하고 상기 지정 기간 동안의 판매량 증감률을 산출한 후에 상기 평균 판매량과 판매량 증감률을 통해 일일 적정 판매량을 산출하고 이를 수치로 표시하여 안내하는 적정 판매량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적정 판매량 안내부에서 산출된 일일 적정 판매량에 해당 상품의 판매 수익을 곱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일일 판매수익을 산출하고 이를 수치로 표시하여 안내하는 판매 수익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상품과 특정 기간을 입력하면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최근의 상기 특정 기간의 일일 평균 판매량을 추출하고 소매업자가 도매업자 혹은 제조업자로부터 주문하여 입고되는 입고량을 현재 시간별 실시간으로 추출한 후에 상기 일일 평균 판매량과 현재 실시간 입고량을 비교 분석하여 과다 입고 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안내하는 과다 입고상태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상품과 특정 기간을 입력하면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최근의 상기 특정 기간의 일일 평균 판매량을 추출하고 소매업자가 도매업자 혹은 제조업자로부터 주문하여 입고되는 입고량을 현재 시간별 실시간으로 추출한 후에 상기 일일 평균 판매량과 현재 실시간 입고량을 비교 분석하여 수익이 발생할 수 있는 현재 입고 가능한 양이 얼마인지 안내하는 입고 가능량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판매자에게 판매 예측 정보를 제공하여 히트 상품이나 베스트 상품을 신속하면서 쉽게 예측 및 파악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판매자의 시장 진입이 용이하여 국내외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한 상품 판매가 활성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판매자에게 신제품에 대한 판매 예측 정보를 제공하여 신제품의 판매가 보다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국내외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한 신제품 판매가 활성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판매자에게 상품의 적정 판매량, 적정 판매 수익, 과다 입고 상태 등 판매 및 입고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판매자의 상품에 대한 입고량의 판단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판매자의 재고 발생이 극소화되면서 안정적인 판매 수익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예측 정보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예측 정보 장치를 보인 블록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예측 정보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예측 정보 장치를 보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는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단말기(100)에 프로그램으로 탑재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0)에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된다.
상기 서버(200)는 도매업자(또는 총판업자)가 각 판매자(소매업자)의 온라인 매장 또는 오프라인 매장으로부터 획득한 각 상품에 대한 판매 정보와 입고 정보를 상품 종류(상품의 카테고리)별로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화된 판매 정보 및 입고 정보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다.
상기 판매 정보는 상품의 판매량, 상품의 판매 가격,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의 개수, 상품에 대한 구매자 정보, 상품에 대한 구매자의 선호도, 상품의 브랜드 인지도 및 상품의 판매 증감률을 포함한다.
상기 구매자 정보는 구매자의 인적사항, 배송지, 성별 등을 포함한다. 상기 구매자 선호도는 동일한 상품의 반복 구매 횟수를 통해 산정된다. 상품의 브랜드 인지도는 유사 상품에 대한 각 브랜드의 인지도를 순위로 정해진 것이다. 상품의 판매 증감률은 일정 기간 동안 상품의 판매가 증가되거나 감소되는 비율을 수치로 표시한 것이다.
상기 입고 정보는 판매자(소매업자)가 도매업자(총판업자) 또는 제조업자로부터 상품을 주문하여 입고되는 입고량에 대한 정보이다.
본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통상 상품을 도매업자나 제조업자로부터 도매로 구매하여 일반인에게 판매하는 판매자(소매업자)이다.
이와 같은 본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단말기(100)의 화면 상에서 사용자에게 상품 판매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종류 입력부(101)와, 판매 정보 추출부(102)와, 순위 평가부(103)와, 판매 예측 정보 제공부(104)를 포함한다.
상기 상품 종류 입력부(101)는 사용자가 판매 예측 정보를 획득하고 싶은 상품의 종류를 사용자단말기(100)의 화면 상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품의 종류는 상품의 카테고리를 말하는 것으로, 다수의 하위 상품을 포괄하는 상품의 분류에 속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품의 종류는 '화장품'일 수 있고, 더욱 세분화하여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두발용 화장품' 등으로 하위 분류일 수 있으며, 다수의 상품을 가지고 있는 모든 상품 종류 및 분류를 포함한다.
상기 판매 정보 추출부(102)는 상기 상품 종류 입력부(101)에 의해 입력되는 상품 종류에 해당하는 다수의 상품의 판매 관련 정보를 상기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품 종류에 해당하는 상품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각 브랜드별 개별 상품을 말한다.
상기 순위 평가부(103)는 상기 추출된 판매 정보에서 판매량, 판매 가격, 매장 개수, 구매자 정보, 구매자의 선호도, 브랜드 인지도 및 판매 증감률을 포함하는 기준 정보에 각각 기준값을 설정한 후에 상기 기준값에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여 점수화하고, 상기 기준값과 가중치에 따른 점수를 합산하여 각 상품의 예상 판매 순위를 평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값은 판매 정보의 각 항목에 동일한 값으로 매겨지는 것이고, 상기 가중치는 각 항목이 예상 판매 순위에 기여하는 정도에 따라 추가로 더해지는 값을 말한다. 이와 같은 기준값과 가중치는 프로그램의 내에 임의로 설정된다.
상기 판매 예측 정보 제공부(104)는 상기 순위 평가부(103)에 의해 평가된 예상 판매 순위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의 화면에 상품 순위를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상품 종류에 속하는 다수의 상품의 판매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제공되는 예상 판매 순위에 따라 사용자는 높은 순위에 속하는 상품이 지속적인 판매가 예상되는 히트 상품 또는 베스트 상품으로 인지하게 된다.
본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는 가중치 조정부(105)와, 정보 획득 기간 조정부(106)와, 항목 재설정부(107)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중치 조정부(105)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에 따라 상기 순위 평가부(103)에 사용되는 상기 기준값과 가중치가 증감되어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품별로 업데이트되는 기준값과 가중치의 조정을 통해 보다 정확한 판매 예측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정보 획득 기간 조정부(106)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의 화면 상에서 상기 판매 정보 추출부(102)에서 추출되는 판매 관련 정보의 현재로부터 과거의 특정 일자를 지정하여 추출되는 판매 정보 획득 기간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판매 기간이 긴 상용 상품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정보 획득 기간을 길게 설정하고, 판매 기간이 짧은 계절 상품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정보 획득 기간을 짧게 설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품별로 정보 획득 기간을 조정함으로써, 각 상품에 대해 보다 정확한 판매 예측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항목 재설정부(107)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의 화면 상에서 상기 순위 평가부(103)의 기준 정보의 항목을 변경하거나 추가하여 재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각 상품의 특성에 따라 평가 항목을 변경하거나 추가하여 보다 정확한 예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의 화면 상에서 판매 가격, 브랜드 정보, 유사 제품 및 개선 내용을 포함하는 신제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신제품 정보 입력부(108)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신제품 정보 입력부(108)는 판매자인 사용자가 신규로 개발되어 제조된 신제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유사 제품과의 비교를 통해 판매 예측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신제품에 대한 판매 예측을 위해 상기 순위 평가부(103)는 상기 유사 제품의 판매 정보와 상기 신제품의 입력된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우위에 있는 부분에는 가점을 부여하고 열위에 있는 부분에는 감점을 부여한 후에 이를 합산하여 상기 신제품의 예상 판매 순위를 평가하는 신제품 평가부(103a)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가점과 감점의 수치적 정도는 프로그램 내에 임의로 설정된다.
상기 유사 제품의 판매 정보는 상기 판매 정보 추출부(102)를 통해 추출되고, 상기 신제품 평가부(103a)는 신제품을 이미 판매되고 있는 유사 제품과 비교하여 순위를 평가하는 것이다. 유사 제품인지 여부는 신제품의 정보로부터 독출된다.
또한, 본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상품과 과거의 특정 날짜를 입력하면 상기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소매업자가 도매업자 혹은 제조업자로부터 주문하여 입고되는 입고량을 과거의 특정 날짜로부터 현재까지 일자별로 수치로 표시하여 제공하는 입고량 정보 제공부(109)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입고량 정보 제공부(109)는 판매자가 도매업자 또는 제조업자로부터 필요한 상품을 주문하여 입고하는 수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입고량의 정보를 통해 사용자(판매자)는 도매업자나 제조업자에 대한 다른 판매자들의 일일 상품 주문량을 인지하거나, 순위 내에 있는 히트 상품이나 베스트 상품의 입고량을 인지하여 판매 예측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입고량 정보 제공부(109)는 상기 입고량의 수치 표시에 더하여 상기 입고량을 일자별로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사용자가 일자별로 상기 입고량의 증감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상품과 지정 기간을 입력하면 상기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일자별 평균 판매량을 추출하고 상기 지정 기간 동안의 판매량 증감률을 산출한 후에 상기 평균 판매량과 판매량 증감률을 통해 일일 적정 판매량을 산출하고 이를 수치로 표시하여 안내하는 적정 판매량 안내부(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적정 판매량 안내부(110)는 사용자가 예상되는 일일 적정 판매량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사용자는 과도한 상품의 입고를 미연에 방지하면서 적정한 입고량 및 판매량을 판단하거나 추정할 수 있게 된다.
본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적정 판매량 안내부(110)에서 산출된 일일 적정 판매량에 해당 상품의 판매 수익을 곱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일일 판매수익을 산출하고 이를 수치로 표시하여 안내하는 판매 수익 안내부(111)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판매 수익 안내부(111)는 사용자가 예상되는 일일 판매수익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품 입고 시에 발생하는 손익을 손쉽게 계산하거나 추정할 수 있어 매장의 운영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상품과 특정 기간을 입력하면 상기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최근의 상기 특정 기간의 일일 평균 판매량을 추출하고 소매업자가 도매업자 혹은 제조업자로부터 주문하여 입고되는 입고량을 현재 시간별 실시간으로 추출한 후에 상기 일일 평균 판매량과 현재 실시간 입고량을 비교 분석하여 과다 입고 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안내하는 과다 입고상태 안내부(112)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과다 입고상태 안내부(112)는 실시간으로 해당 상품의 현재(오늘 날짜) 시간별 누적 입고량을 산출하여 일일 평균 판매량보다 더 많이 입고되었는지를 판별하고 이에 대한 판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해당 상품의 과다 입고 상태의 여부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상품의 입고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즉, 과다 입고 상태로 판별되면 사용자는 도매업자나 제조업자에게 입고 주문을 하지 않게 되고, 과다 입고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별되면 적정한 양을 입고 주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상품과 특정 기간을 입력하면 상기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최근의 상기 특정 기간의 일일 평균 판매량을 추출하고 소매업자가 도매업자 혹은 제조업자로부터 주문하여 입고되는 입고량을 현재 시간별 실시간으로 추출한 후에 상기 일일 평균 판매량과 현재 실시간 입고량을 비교 분석하여 수익이 발생할 수 있는 현재 입고 가능한 양이 얼마인지 안내하는 입고 가능량 안내부(11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입고 가능량 안내부(113)는 과다 입고 상태가 아닌 경우에 상기 일일 평균 판매량과 현재 실시간 입고량을 비교하여 실시간 입고량이 평균 판매량보다 낮은 경우, 상기 실시간 입고량과 평균 판매량의 차이를 안내하여 수익이 발생할 수 있는 입고 가능한 양을 안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교 분석되어 안내되는 입고 가능한 양을 확인하고 사용자는 도매업자나 제조업자에게 적정한 입고량을 주문하면 상품의 적정한 판매가 이루어지면서 상품의 재고 발생이 해소되거나 극소화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0 : 사용자단말기
101 : 상품 종류 입력부
102 : 판매 정보 추출부
103 : 순위 평가부
103a : 신제품 평가부
104 : 판매 예측 정보 제공부
105 : 가중치 조정부
106 : 정보 획득 기간 조정부
107 : 항목 재설정부
108 : 신제품 정보 입력부
109 : 입고량 정보 제공부
110 : 적정 판매량 안내부
111 : 판매 수익 안내부
112 : 과다 입고상태 안내부
113 : 입고 가능량 안내부
200 : 서버

Claims (11)

  1.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사용자단말기에 탑재되어 사용자에게 상품 판매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품의 종류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종류 입력부와;
    상기 상품 종류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상품 종류에 해당하는 다수의 상품의 판매 관련 정보를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판매 정보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판매 정보에서 판매량, 판매 가격, 매장 개수, 구매자 정보, 구매자의 선호도, 브랜드 인지도 및 판매 증감률을 포함하는 기준 정보에 각각 기준값을 설정한 후에 상기 기준값에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여 점수화하고, 상기 기준값과 가중치에 따른 점수를 합산하여 각 상품의 예상 판매 순위를 평가하는 순위 평가부와;
    상기 순위 평가부에 의해 평가된 예상 판매 순위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에 상품 순위를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상품 종류에 속하는 다수의 상품의 판매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판매 예측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에 따라 상기 순위 평가부에 사용되는 상기 기준값과 가중치가 증감되어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가중치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화면 상에서 상기 판매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되는 판매 관련 정보의 현재로부터 과거의 특정 일자를 지정하여 추출되는 판매 정보 획득 기간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획득 기간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화면 상에서 상기 순위 평가부의 기준 정보의 항목을 변경하거나 추가하여 재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 재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화면 상에서 판매 가격, 브랜드 정보, 유사 제품 및 개선 내용을 포함하는 신제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신제품 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순위 평가부는,
    상기 유사 제품의 판매 정보와 상기 신제품의 입력된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우위에 있는 부분에는 가점을 부여하고 열위에 있는 부분에는 감점을 부여한 후에 이를 합산하여 상기 신제품의 예상 판매 순위를 평가하는 신제품 평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상품과 과거의 특정 날짜를 입력하면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소매업자가 도매업자 혹은 제조업자로부터 주문하여 입고되는 입고량을 과거의 특정 날짜로부터 현재까지 일자별로 수치로 표시하여 제공하는 입고량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고량 정보 제공부는,
    상기 입고량의 수치 표시에 더하여 상기 입고량의 증감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입고량을 일자별로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상품과 지정 기간을 입력하면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일자별 평균 판매량을 추출하고 상기 지정 기간 동안의 판매량 증감률을 산출한 후에 상기 평균 판매량과 판매량 증감률을 통해 일일 적정 판매량을 산출하고 이를 수치로 표시하여 안내하는 적정 판매량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적정 판매량 안내부에서 산출된 일일 적정 판매량에 해당 상품의 판매 수익을 곱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일일 판매수익을 산출하고 이를 수치로 표시하여 안내하는 판매 수익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상품과 특정 기간을 입력하면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최근의 상기 특정 기간의 일일 평균 판매량을 추출하고 소매업자가 도매업자 혹은 제조업자로부터 주문하여 입고되는 입고량을 현재 시간별 실시간으로 추출한 후에 상기 일일 평균 판매량과 현재 실시간 입고량을 비교 분석하여 과다 입고 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안내하는 과다 입고상태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상품과 특정 기간을 입력하면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최근의 상기 특정 기간의 일일 평균 판매량을 추출하고 소매업자가 도매업자 혹은 제조업자로부터 주문하여 입고되는 입고량을 현재 시간별 실시간으로 추출한 후에 상기 일일 평균 판매량과 현재 실시간 입고량을 비교 분석하여 수익이 발생할 수 있는 현재 입고 가능한 양이 얼마인지 안내하는 입고 가능량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
KR1020160133550A 2016-10-14 2016-10-14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 KR101872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550A KR101872220B1 (ko) 2016-10-14 2016-10-14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550A KR101872220B1 (ko) 2016-10-14 2016-10-14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418A true KR20180041418A (ko) 2018-04-24
KR101872220B1 KR101872220B1 (ko) 2018-06-28

Family

ID=62087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3550A KR101872220B1 (ko) 2016-10-14 2016-10-14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2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575A1 (ko) * 2018-05-14 2019-11-21 남기원 유저 반응형 프로모션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22174B1 (ko) * 2018-12-24 2020-06-11 김해동 투자형 쇼핑몰 운영 방법 및 그 장치
CN112950320A (zh) * 2021-03-03 2021-06-11 刘晓斌 基于机器自学习的商品自动上下线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4219412A (zh) * 2022-02-23 2022-03-22 广州丽晶软件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智慧商品系统销售预测的自动补货方法及补货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950B1 (ko) * 2019-07-12 2019-12-02 (주)제이코스 Erp를 이용한 복지몰 재고 관리 서버 및 시스템
KR102084719B1 (ko) 2019-08-12 2020-05-29 박병소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234497B1 (ko) 2020-07-06 2021-04-01 쿠팡 주식회사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9466A (ko) 2014-11-12 2014-12-05 변동삼 데이터 크롤링 및 관리자 입력에 기반한 판매 예측 자동화 장치
JP2015041121A (ja) * 2013-08-20 2015-03-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販売予測システム及び販売予測方法
KR20160050271A (ko) * 2014-10-29 2016-05-11 조두영 업종 맞춤형 입지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41121A (ja) * 2013-08-20 2015-03-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販売予測システム及び販売予測方法
KR20160050271A (ko) * 2014-10-29 2016-05-11 조두영 업종 맞춤형 입지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기록매체
KR20140139466A (ko) 2014-11-12 2014-12-05 변동삼 데이터 크롤링 및 관리자 입력에 기반한 판매 예측 자동화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575A1 (ko) * 2018-05-14 2019-11-21 남기원 유저 반응형 프로모션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22174B1 (ko) * 2018-12-24 2020-06-11 김해동 투자형 쇼핑몰 운영 방법 및 그 장치
CN112950320A (zh) * 2021-03-03 2021-06-11 刘晓斌 基于机器自学习的商品自动上下线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4219412A (zh) * 2022-02-23 2022-03-22 广州丽晶软件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智慧商品系统销售预测的自动补货方法及补货系统
CN114219412B (zh) * 2022-02-23 2022-04-22 广州丽晶软件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智慧商品系统销售预测的自动补货方法及补货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220B1 (ko)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220B1 (ko)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
KR101872223B1 (ko) 인터넷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
JP5337174B2 (ja) 需要予測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200009542A (ko) 소비자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쇼핑 플랫폼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60763B1 (ko)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 분석 및 판매 촉진 시스템
JP5418326B2 (ja) 価格決定装置、価格決定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2000052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an item assortment
KR101885155B1 (ko) 실시간 시세 기반 귀금속 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
CN111445133B (zh) 一种材料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11403574B1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an item assortment
Menezes et al. Product proliferation, cannibalisation, and substitution: A first look into entailed risk and complexity
US20190147400A1 (en) Inventory Management Software System
KR101963711B1 (ko) 중고물품 거래방법
Sharma et al. Best seller rank (bsr) to sales: An empirical look at amazon. com
KR101794936B1 (ko) 가중치를 이용한 수입 패션 상품 가격 책정 방법
KR101865521B1 (ko) 온라인을 통해 판매되는 제품의 가격결정방법
CN113421148B (zh) 商品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KR101045588B1 (ko) 거래 상황정보를 이용한 네트워크 패킷의 실시간 가변가격 결정 표시 장치
KR100955631B1 (ko) 온라인 마켓에서 타임 갭 정보와 결합한 가격 및 배송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60828A (ko) 수산물 유통 도매업 인터넷 판매관리 시스템
KR102324553B1 (ko) 예측 소비자 그룹 기반 스마트 판매중개 시스템
JP2002334379A (ja) 商品評価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70076404A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수입 패션 상품 가격 책정 방법
Khedlekar Logarithmic inventory model with shortage for deteriorating items
CN108389021A (zh) 一种基于大数据的服装连锁店采购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