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763B1 -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 분석 및 판매 촉진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 분석 및 판매 촉진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0763B1 KR102060763B1 KR1020180004386A KR20180004386A KR102060763B1 KR 102060763 B1 KR102060763 B1 KR 102060763B1 KR 1020180004386 A KR1020180004386 A KR 1020180004386A KR 20180004386 A KR20180004386 A KR 20180004386A KR 102060763 B1 KR102060763 B1 KR 1020607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duct
- information
- sales
- group
- consum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2—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having one or more bowls or cones diverging in the flow dire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30/0629—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for generating comparis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매자의 상품을 잘 팔리는 상품과 상대적으로 잘 팔리지 않는 상품으로 구분하여 잘 팔리는 상품의 판매 정보를 분석하여 잘 팔리는 상품은 더 잘 팔리도록 하고, 안 팔리는 상품은 잘 팔리는 상품의 판매 정보를 적용하여 판매가 촉진되도록 하는 것이 목적으로,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API(A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 연동하여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을 분석하고 판매를 촉진시키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판매 상품을 제1 상품군과 제2 상품군으로 구분하는 상품 구별부;와 상기 판매 상품의 소비자 정보를 분석하는 소비자 정보 분석부;와 상기 판매 상품의 CS(Customer Service) 정보를 분석하는 CS 분석부;와 상기 판매 상품의 후기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상품군에 대한 소비자의 상품에 대한 만족 원인을 알아내고, 상기 제2 상품군의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상품 불만 원인을 알아내는 후기 분석부;와 상기 소비자 정보 분석부, 상기 CS분석부 및 상기 후기 분석부를 통해서 상기 제1 상품군의 상품의 판매 정보를 알아내고, 생성한 제1 상품군의 판매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 상품군의 상품 및 상기 제2 상품군의 상품이 더 잘팔리도록 하는 판매 촉진 정보를 생성하는 판매 촉진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판매 촉진 정보를 해당 쇼핑몰 및 타 쇼핑몰의 상품 판매시 적용하는 판매 촉진부;를 포함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을 분석하고 판매를 촉진시키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 분석 및 판매 촉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쇼핑몰의 상품 판매 정보를 통해 잘 팔리는 상품군과 잘 팔리지 않는 상품군을 분리하여 잘 팔리는 상품군의 판매 정보를 분석하여 이를 모든 상품에 적용하여 상품의 판매 촉진을 도모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정보 통신이 발전함에 따라 오프라인 쇼핑보다는 온라인 쇼핑이 대세가 되어 있고 그에 따라 수많은 온라인 쇼핑몰이 산재하여 있다.
따라서, 수많은 쇼핑몰에서 수많은 상품을 팔고 있어 쇼핑몰 간에 경쟁이 치열하며, 판매자의 경우에도 수많은 쇼핑몰과는 차별적인 상품 정보를 제공하고 판매 상품의 판매를 촉진시키기 위한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즉, 상품의 분석을 통해 소비자에게 정확하고 원하는 쇼핑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상품의 판매 촉진을 시킬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10756호(쇼핑 분석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 시스템 및 쇼핑 분석 방법)에는 소비자의 온라인 쇼핑 단계를 다단계로 구분하고 상품 선택 이후의 쇼핑 단계에 따른 소비자 수를 근거로 각 상품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를 판단함으로써, 보다 객관적인 상품 선호도에 근거한 분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쇼핑 분석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 시스템 및 쇼핑 분석 방법에 관한 특징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획일적인 상품에 대한 분석에 불과하여 잘 팔리는 상품과 상대적으로 잘 팔리지 않는 상품에 대한 차별적인 적용이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판매자의 상품을 잘 팔리는 상품과 상대적으로 잘 팔리지 않는 상품으로 구분하여 잘 팔리는 상품의 판매 정보를 분석하여 잘 팔리는 상품은 더 잘 팔리도록 하고, 안 팔리는 상품은 잘 팔리는 상품의 판매 정보를 적용하여 판매가 촉진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잘 팔리는 상품과 잘 팔리지 않는 상품을 서로 연동하여 소비자에게 상품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잘 팔리는 메인 상품과 잘 팔리지 않는 매칭 상품간에 서로 시너지가 효과를 내면서 상품 판매가 촉진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API(A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 연동하여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을 분석하고 판매를 촉진시키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판매 상품을 제1 상품군과 제2 상품군으로 구분하는 상품 구별부;와 상기 판매 상품의 소비자 정보를 분석하는 소비자 정보 분석부;와 상기 판매 상품의 CS(Customer Service) 정보를 분석하는 CS 분석부;와 상기 판매 상품의 후기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상품군에 대한 소비자의 상품에 대한 만족 원인을 알아내고, 상기 제2 상품군의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상품 불만 원인을 알아내는 후기 분석부;와 상기 소비자 정보 분석부, 상기 CS분석부 및 상기 후기 분석부를 통해서 상기 제1 상품군의 상품의 판매 정보를 알아내고, 생성한 제1 상품군의 판매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 상품군의 상품 및 상기 제2 상품군의 상품이 더 잘팔리도록 하는 판매 촉진 정보를 생성하는 판매 촉진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판매 촉진 정보를 해당 쇼핑몰 및 타 쇼핑몰의 상품 판매시 적용하는 판매 촉진부;를 포함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을 분석하고 판매를 촉진시키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소비자 정보 분석부를 통해 상기 제1 상품의 소비자가 구매할 가능성이 높은 상품을 상기 제2 상품군의 상품 중에서 선별하는 매칭 상품 선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매 촉진부는 상기 제1 상품군의 상품을 쇼핑몰의 화면에 표시할 때 제1 상품군의 상품과 매칭되는 제2 상품군의 상품을 동시에 표시하는 매칭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매 촉진부는 소비자가 상기 매칭 화면을 통해 상기 제2 상품군의 매칭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에 타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해당 상품의 가격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상기 매칭 상품을 판매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매 상품의 판매 개수를 카운트하는 판매 상품 개수 카운트부; 및 상기 판매 개수에 따라 상기 제1 상품군의 상품 가격 및 상기 제2 상품군의 상품 가격을 변동하여 책정하는 가격 책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매 촉진부는 상기 판매 상품 개수 카운트부를 통해 상기 제1 상품군의 상품과 매칭되어 판매되는 상기 제2 상품군의 매칭 상품의 판매 개수를 알아내고, 상기 가격 책정부에서 상기 매칭 상품의 판매 개수에 따라 매칭된 상기 제1 상품군의 상품 가격을 변동하여 책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비자 정보는 소비자의 성별, 나이, 지역, 학력, 소득 수준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CS 정보는 해당 상품의 교환, 반품, 환불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후기 정보는 해당 상품의 만족 원인 및 불만족 원인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판매 정보는 상기 제1 상품군의 상품 구매시 해당 상품 구입 만족 원인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판매 촉진 정보는 상기 제1 상품군의 특정 상품을 구매한 상기 소비자 정보, 상기 CS정보, 상기 후기 정보 및 상기 판매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한 종합 판매 촉진 방법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을 통해 쇼핑몰에 접속하여 상품을 검색할 때, 검색하는 상품이 제1 상품군의 상품인 메인 상품인 경우, 상기 소비자 단말의 화면이 상기 메인 상품의 정보가 표시되는 메인 상품 표시 화면과 상기 메인 상품의 가격 정보가 표시되는 메인 상품 가격 표시 화면 및 상기 매칭 상품의 정보가 표시되는 매칭 상품 표시화면으로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상품의 가격 정보는 설정된 메인 상품의 판매가격에서 판매 시기에 따른 판매량 변화율과 경기 지표를 고려한 메인 상품 판매 대수와 메인 상품 예상 판매 대수의 비율에서 매칭 상품의 판매대수 변화량을 차감한 값이며, 매칭 상품의 가격 정보는 설정된 매칭 상품의 판매가격에서 판매 시기에 따른 판매량 변화율과 경기 지표를 고려한 매칭 상품 판매 대수와 매칭 상품 예상 판매 대수의 비율에서 메인 상품의 판매대수 변화량을 차감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잘 팔리는 상품의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잘 팔리는 상품들은 더욱 잘 팔리도록 하고, 안 팔리는 상품들은 잘 팔리는 상품의 판매 정보를 적용하여 판매가 촉진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잘 팔리는 상품의 가격을 해당 상품의 판매 개수와 이에 매칭되는 매칭 상품의 판매 개수에 따라 결정함으로써, 잘 팔리는 상품과 이에 매칭되는 상품이 서로 판매가 촉진되도록 하는 시너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명의 일 실시예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 분석 및 판매 촉진 시스템과 쇼핑몰과의 연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 분석 및 판매 촉진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을 분석하고 판매를 촉진시키는 시스템을 통한 쇼핑몰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 분석 및 판매 촉진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을 분석하고 판매를 촉진시키는 시스템을 통한 쇼핑몰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의 일 실시예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 분석 및 판매 촉진 시스템과 쇼핑몰과의 연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 분석 및 판매 촉진 시스템(100)은 온라인 쇼핑몰(10,20,30)로부터 상품의 판매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상품의 판매 촉진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적용하여 상품의 판매를 촉진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품의 판매 정보는 시스템(100)을 이용하는 판매자가 판매를 하고 있는 상품이 판매가 되는 쇼핑몰(10,20,30)에서 해당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의 정보, 해당 상품의 CS정보 및 해당 상품의 후기 정보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 분석 및 판매 촉진 시스템(100)은 쇼핑몰(10,20,30)로부터 수신한 상품의 판매 정보를 DB(200)에 저장한다. 여기서, DB(200)는 시스템(100)과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고 시스템(10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소비자는 자신의 단말(300)을 통해 원하는 쇼핑몰(10,20,30)에 접속하고 단말(300)에 표시되는 해당 쇼핑몰의 원하는 상품 정보를 통해 온라인 쇼핑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소비자의 단말(300)에는 시스템이 해당 쇼핑몰의 API를 통해 제공하는 메인 상품의 정보 및 매칭 상품의 정보가 표시된다.
여기서, 쇼핑몰(10,20,30)은 국내의 쇼핑몰뿐만 아니라 아마존, 알리바바와 같은 해외의 쇼핑몰을 모두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 분석 및 판매 촉진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쇼핑몰의 판매 상품 분석 및 판매 촉진 시스템(100)은 상품 구별부(110), 소비자 정보 분석부(120), CS 분석부(130), 후기 분석부(140), 판매 촉진 정보 생성부(150), 상품 선별부(160), 판매 상품 개수 카운트 부(170) 및 가격 책정부(180)를 포함한다.
상품 구별부(110)는 판매 상품을 제1 상품군과 제2 상품군으로 구분한다.
여기서, 제1 상품군은 잘팔리는 상품들의 집합으로 판매자가 판매하는 전체 상품 중에서 상대적으로 잘팔리는 상품들을 의미한다. 이는 판매자가 판매하는 전체 상품의 약 20%에 해당한다.
여기서, 제2 상품군은 잘팔리는 상품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잘 팔리지 않는 상품들의 집합으로 판매자가 판매하는 전체 상품 중에서 하위 80%에 해당한다.
상품 구별부(110)는 쇼핑몰의 API 를 통해서 해당 쇼핑몰의 판매 및 매출 정보 등을 이용하여 판매자가 판매하고 있는 상품들의 판매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각각의 쇼핑몰로부터 수집한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판매자가 판매하고 있는 모든 상품들의 판매 정보를 분석하여 잘팔리는 상품군과 상대적으로 잘 팔리지 않는 상품군으로 구분한다.
소비자 정보 분석부(120)는 판매 상품의 소비자 정보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소비자 정보 분석부(120)는 각 쇼핑몰로부터 소비자 정보를 수집하여 자신이 판매하고 있는 상품을 구매하는 모든 소비자들의 정보를 취합하여 분석한다.
여기서, 소비자 정보는 소비자의 성별, 나이, 지역, 학력, 소득 수준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품에 따라서 상품을 구입하는 소비자의 성별, 나이, 지역, 학력, 소득 수준 등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의 정보가 유사한 경우에는 유사한 형상의 상품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상품 또는 유사한 가격을 가진 상품일 수 있다.
즉, 특정 상품을 구입하는 소비자들의 정보를 분석하면 해당 상품과 유사한 상품을 구입하는 소비자들의 정보도 유추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상품과 유사한 상품의 판매시 유사한 상품을 살 가능성이 있는 소비자들의 정보를 미리 유추함으로써 유사한 상품의 판매 전략에 이용할 수 있다.
CS 분석부(130)는 판매 상품의 CS(Customer Service) 정보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CS 정보는 쇼핑몰을 통해 판매되는 상품의 대한 고객 불만, 반품, 환불 정보 등을 의미한다.
CS정보를 분석하면, 상품 자체의 정보 외에도 상품 판매시 소비자에 대한 고개 응대 서비스, 상품을 구입한 소비자가 교환이나 반품 및 환불을 진행하는 원인에 대한 정보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 제품이 의류인 경우에 일반적으로 교환이나 반품의 가장 큰 원인은 상품의 사이즈 및 색상에 대한 문제가 가장 큰 원인이다. 따라서, 의류 제품인 경우에는 CS정보를 통해서 상품의 판매시 안내하는 사이즈나 색상과 실제 소비자가 느끼는 사이즈나 색상과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 수 있다.
후기 분석부(140)는 판매자가 자신의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모든 쇼핑몰로부터 판매하고 있는 판매 상품의 후기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잘 팔리고 있는 상품인 제1 상품군에 대한 소비자의 상품에 대한 만족 원인을 알아내고, 상대적으로 잘 팔리지 않고 있는 제2 상품군의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상품 불만 원인을 알아낸다.
즉, 잘 팔리는 상품의 후기를 분석하여 소비자가 상품에 대해 만족한 원인을 알아내고, 잘 팔리지 않고 있는 상품의 후기를 분석하여 소비자의 상품 불만 원인을 알아낸다.
판매 촉진 정보 생성부(150)는 소비자 정보 분석부(120), CS분석부(130) 및 후기 분석부(140)를 통해서 제1 상품군의 상품의 판매 정보를 알아내고, 생성한 제1 상품군의 판매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 상품군의 상품 및 상기 제2 상품군의 상품이 더 잘 팔리도록 하는 판매 촉진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판매 촉진 정보는 제1 상품군의 특정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 정보, CS정보, 후기 정보 및 판매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한 상품의 판매를 촉진할 수 있는 종합적인 방법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여기서, 판매 정보는 제1 상품군의 상품 구매시 해당 상품 구입 만족 원인에 대한 정보이다.
즉, 특정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정보와 해당 특정 상품이 잘팔리는 원인에 대한 정보와 해당 상품의 소비자 불만을 제거할 수 있는 정보를 종합하여 상품의 광고시에 해당 상품과 유사 또는 동종의 잘팔리는 상품의 소비자의 취향에 맞도록 광고를 하고, 상품의 소비자 불만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소비자의 불만에 응대하고, 소비자가 상품에 대한 만족한 원인을 상품 판매 또는 상품의 제조시에 반영한다.
매칭 상품 선별부(160)는 소비자 정보 분석부(120)를 통해 제1 상품의 소비자가 구매할 가능성이 높은 상품을 제2 상품군의 상품 중에서 선별하는 매칭한다.
매칭 상품 선별부(160)는 제1 상품군의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 정보를 분석하여 소비자의 성별, 나이, 지역, 학력, 소득 수준 정보를 알아내고 해당하는 성별의 소비자가 자주 구매한 제1 상품군의 정보, 해당하는 나이의 소비자가 자주 구매한 제1 상품의 정보, 해당하는 지역의 소비자가 자주 구매한 제1 상품의 정보, 해당하는 지역의 소비자가 자주 구매한 제1 상품의 정보, 해당하는 학력의 소비자가 자주 구매한 제1 상품군의 정보, 해당하는 소득 수준의 소비자가 자주 구매한 제1 상품군의 정보에 따라서 각각의 상품과 유사성이 높은 상품을 제2 상품군에서 선별하여 해당 소비자의 정보와 매칭하거나, 상기 소비자의 성별, 나이, 지역, 학력, 소득 수준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제1 삼품군을 구매한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상품을 제2 상품군으로 부터 알아내고 이를 해당 제1 상품군의 상품과 매칭할 수도 있다.
즉, 매칭 상품 선별부(160)는 제1 상품군의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 정보를 분석하여 소비자의 성별, 나이, 지역, 학력, 소득 수준 정보에 각각 해당하는 제2 상품군의 상품을 매칭할 수도 있고, 제1 상품군의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상품을 제2 상품군의 상품에서 선별하여 해당하는 제1 상품군의 상품과 매칭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각각의 소비자 정보에 따라 제2 상품군의 상품이 매칭될 수도 있고, 소비자의 취향이 반영된 제1 상품군의 상품에 해당하는 제2 상품군의 상품이 매칭될 수도 있다.
판매 상품 개수 카운트부(170)는 판매 상품의 판매 개수를 카운트한다.
여기서, 판매 개수는 한 쇼핑몰의 판매 개수뿐만 아니라 판매자가 입점하여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모든 쇼핑몰에서 판매하고 있는 해당 상품의 판매 개수를 의미한다.
판매 상품 개수 카운터부(170)는 판매자의 상품 재고량을 카운트 할 수도 있다.
가격 책정부(180)는 판매 상품 개수 카운트 부(170)에서 카운트한 상품의 판매 대수에 상응하여 해당 상품의 가격을 책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특정 상품의 가격이 결정되어 해당 상품을 쇼핑몰에서 광고하여 판매를 하다가 해당 상품이 잘 팔리게 되어 특정 개수를 초과하여 판매가 되면, 판매전에 예측한 예상 이득보다 더 많은 이득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경우, 즉, 예상 판매 개수를 초과하여 예상이익보다 더 많은 이익이 생기게 되면 해당 상품의 초과 개수에 대해서는 마진이 적어도 큰 문제가 되진 않는다 따라서, 특정 상품의 판매가 예상 판매 개수를 초과한 경우에는 특정 기간 동안 이벤트성으로 해당 상품의 가격을 판매 가격보다 더 낮추어 더 잘 팔릴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예상 판매 개수보다 덜 팔린 상품의 경우에는 예상 판매 개수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정된 기간 동안 이벤트성으로 예상 판매대수에 미달된 상품의 가격을 한시적으로 낮추어 판매를 잘되어 예상 판매 개수에 도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이때, 가격 책정부(180)는 예상 판매대수와 실제 판매대수와의 차이에 상응하여 해당 상품의 가격을 특정 기간 동안 변동하여 책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상 판매 개수가 10,000개인 경우 10,500 가 팔린 경우에는 판매가격에서 5%를 할인한 가격으로 판매를 하고 11,000개가 팔린 경우에는 10%를 할인하여 가격을 책정한다.
또한, 예상 판매 개수가 10,000개이나, 실제로는 5,000가 팔린 경우에는 판매가격에서 50%를 할인한 가격으로 판매를 하고 판매가 촉진되어 6,000개, 7,000개, 8,000개, 9,000개가 팔린 경우에는 각각 40%, 30%, 20%, 10%를 할인하여 가격을 책정한다. 이때 변동된 가격으로 판매되는 시기는 판매자의 판매전략 및 판매 개수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여기서, 가격 책정부(180)는 제1 상품군의 상품(메인 상품)의 판매 개수 및 제1 상품군의 상품과 매칭되는 제2 상품군의 상품(매칭 상품)의 판매 개수를 모두 고려하여 제1 상품군의 상품(메인 상품)의 가격 및 제1 상품군의 상품과 매칭되는 제2 상품군의 상품(매칭 상품)의 가격을 책정한다.
또한, 경기 지표, 시즌 별 이슈 및 판매 시기의 판매 변화량을 고려하여 제1 상품군의 가격 및 제1 상품군의 상품과 매칭되는 제2 상품군의 상품(즉, 매칭 상품)의 가격을 책정한다.
예를 들어, 경기지표가 나쁘거나 나쁘다고 예상되는 시기에는 상술한 판매 대수에 상응하여 가격을 변동하고, 여기에 추가로 경지 지표를 반영하여 가격을 변동하여 가격을 책정한다. 또한 판매 시기에 따른 판매량 변화율을 적용하여 상품의 가격을 책정한다.
이를 수식화 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상품군의 상품(메인 상품) 가격 = 설정된 메인 상품의 판매가격 - (a/b)*(메인 상품 판매 대수/메인 상품 예상 판매 대수)-(매칭 상품의 판매 대수 변화량)
이고,
제2 상품군의 상품(매칭 상품) 가격 = 설정된 매칭 상품의 판매가격 - (a/b)*(매칭 상품 판매 대수/매칭 상품 예상 판매 대수)-(메인 상품의 판매 대수 변화량)
a : 판매 시기에 따른 판매량 변화율
b : 경기 지표
이다.
판매 촉진부(190)는 판매 촉진 정보를 해당 쇼핑몰 및 타 쇼핑몰의 상품 판매시 적용하여 현재 잘 팔리는 상위 20%에 해당하는 제1 상품군의 상품들은 더욱 잘 팔릴 수 있도록 하고, 안 팔리는 하위 80%에 해당하는 제2 상품군의 상품은 제1 상품군의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판매가 잘 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판매 촉진부(190)는 제1 상품군의 상품을 쇼핑몰의 화면에 표시할 때 제1 상품군의 상품과 매칭되는 제2 상품군의 상품을 한 화면에 동시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판매 촉진부(190)는 소비자가 쇼핑몰의 상기 매칭 화면을 통해 소비자가 상기 제2 상품군의 매칭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에 타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해당 상품의 가격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상기 매칭 상품을 판매하도록 한다.
여기서, 판매 촉진부(190)는 판매 상품 개수 카운트부(170)를 통해 제1 상품군의 상품과 매칭되어 판매되는 제2 상품군에 해당하는 매칭 상품의 판매 개수를 알아내고, 매칭 상품의 판매 개수에 따라 가격 책정부(180)에서 매칭된 상기 제1 상품군의 상품 가격을 변동하여 책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상품군의 상품과 매칭된 상품이 많이 팔리게 되면 매칭된 제1 상품군의 해당 상품도 가격을 낮추어, 매창된 두 제품이 동시에 서로 영향을 주어 더 잘 팔릴 수 있는 시너지 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판매 촉진부(190)는 제1 상품군의 특정 상품을 구매한 상기 소비자 정보, 상기 CS정보, 상기 후기 정보 및 상기 판매 정보와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생성한 종합 판매 촉진 방법을 포함하는 판매 촉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판매 촉진부(190)는 생성한 판매 촉진 정보를 제1 상품군에 적용하여 잘 팔리는 상품이 더 잘 팔릴 수 있도록 하고, 제2 상품군에 적용하여 잘 팔리지 않는 원인을 제거하여 잘 안 팔리는 상품이 잘 팔릴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 분석 및 판매 촉진 시스템(100)은 시스템(100)을 통해서 판매가 되는 상품들의 소비자 정보, CS정보, 후기 정보 및 재고량 정보가 포함된 DB(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판매 촉진부(190)는 시스템의 판매 상품의 정보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생성한 판매 촉진 정보를 DB(200)에 저장하고 이를 해당 쇼핑몰(10,20,30)에서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여 해당 쇼핑몰에 접속하는 소비자의 단말 화면(300)에 도 3에서 설명하는 화면 구성 및 특징이 나타나도록 소비자의 화면을 구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을 분석하고 판매를 촉진시키는 시스템을 통한 쇼핑몰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을 분석하고 판매를 촉진시키는 시스템(100)은 쇼핑몰의 API 를 이용하여 해당 쇼핑몰의 화면 구성을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쇼핑몰의 화면(200)을 메인 상품 표시 화면(210)과 메인 상품 가격 표시 화면(220)과 매칭 상품 표시 화면(230)으로 크게 3개의 표시 화면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메인 상품 표시 화면(210)은 현재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메인 상품의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이다.
메인 상품 가격 표시 화면(220)은 메인 상품의 가격 정보가 표시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상품의 판매 개수에 따라 메인 상품의 판매 가격을 변동하여 특정 시간 동안 메인 상품 가격 표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매칭 상품의 판매 개수 및 경기 지표, 시즌 별 이슈 및 판매 시기의 판매 변화량을 고려하여 메인 상품의 가격을 책정한다.
이때 변동된 판매 가격의 남은 판매 시간도 같이 표시하여 소비자가 해당 메인 상품을 충동적으로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매칭 상품 표시 화면(230)은 메인 상품이 제1 상품군에 해당하는 상품인 경우에 메인 상품과 연관성이 있는 제2 상품군의 상품 정보 및 가격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이다.
예를 들어, 소비자의 성별이 여자이고 메인 상품이 여성용 상품인 경우에는 제2 상품군의 여성용 상품 중에서 메인 상품과 연관성이 있는 상품의 정보를 매칭 상품 표시 화면(230)에 표시한다.
또한, 소비자의 나이가 10대이고 메인 상품이 청소년 상품인 경우에는 제2 상품군의 청소년 상품 중에서 메인 상품과 연관성이 있는 상품의 정보를 매칭 상품 표시 화면(230)에 표시한다.
또한, 소비자의 주거 지역이 서울이고 메인 상품이 서울과 관련된 상품인 경우에는 제2 상품군의 지역 상품 중에서 메인 상품과 연관성이 있는 상품의 정보를 매칭 상품 표시 화면(230)에 표시한다.
또한, 소비자가 학생이고 메인 상품이 학습과 관련된 상품인 경우에는 제2 상품군의 학습용 상품 중에서 메인 상품과 연관성이 있는 상품의 정보를 매칭 상품 표시 화면(230)에 표시한다.
또한, 소비자가 상류층이고 메인 상품이 명품과 관련된 상품인 경우에는 제2 상품군의 명품 상품 중에서 메인 상품과 연관성이 있는 상품의 정보를 매칭 상품 표시 화면(230)에 표시한다.
또한, 소비자가 여성이고 노년층이고 부산에 살고 있고 지식층이며 소득수준이 높다고 분석된 경우에 해당 소비자가 관심있는 메인 상품을 분석하여 부산지역의 상품 중에서 여성이고 나이가 있으며 소득 수준이 높은 지식층들이 원하는 메인 상품과 연관된 상품을 제2 상품군에서 선별하여 매칭 상품 표시 화면(23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매칭 상품 표시 화면에는 매칭 상품의 정보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상품의 판매 개수 및 경기 지표, 시즌 별 이슈 및 판매 시기의 판매 변화량을 고려하여 매칭 상품의 가격을 변동하여 일정 시간 동안 변동된 가격을 남은 판매 시간 정보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상품의 가격과 매칭 상품의 가격은 서로간의 판매 개수에 따라 영향을 주어 각각의 상품이 시너지 효과를 내면서 많은 판매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메인 상품과 매칭 상품의 가격 정보는 DB(200)를 참조하여 메인 상품 또는 매칭 상품의 재고량에 따라 판매 가격을 추가로 변동 시켜 표시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30 : 쇼핑몰
100 :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을 분석하고 판매를 촉진시키는 시스템
110 ; 상품 구별부
120 : 소비자 정보 분석부
130 : CS분석부
140 : 후기 분석부
150 : 판매 촉진 정보 생성부
160 : 매칭 상품 선별부
170 : 판매상품 개수 카운트부
180 : 가격 책정부
190 : 판매 촉진부
200 : DB
300 : 소비자 단말
100 :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을 분석하고 판매를 촉진시키는 시스템
110 ; 상품 구별부
120 : 소비자 정보 분석부
130 : CS분석부
140 : 후기 분석부
150 : 판매 촉진 정보 생성부
160 : 매칭 상품 선별부
170 : 판매상품 개수 카운트부
180 : 가격 책정부
190 : 판매 촉진부
200 : DB
300 : 소비자 단말
Claims (7)
-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API(A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 연동하여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을 분석하고 판매를 촉진시키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판매 상품을 제1 상품군과 제2 상품군으로 구분하는 상품 구별부;
상기 판매 상품의 소비자 정보를 분석하는 소비자 정보 분석부;
상기 판매 상품의 CS(Customer Service) 정보를 분석하는 CS 분석부;
자신의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모든 쇼핑몰로부터 판매하고 있는 판매 상품의 후기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잘 팔리고 있는 상품인 상기 제1 상품군에 대한 소비자의 상품에 대한 만족 원인을 알아내고, 상대적으로 잘 안 팔리고 있는 상기 제2 상품군의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상품 불만 원인을 알아내는 후기 분석부 - 제1 상품군과 제2 상품군은 동일 판매자의 상품을 말함 -;
상기 소비자 정보 분석부, 상기 CS분석부 및 상기 후기 분석부를 통해서 상기 제1 상품군의 상품의 판매 정보를 알아내고, 생성한 제1 상품군의 판매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 상품군의 상품 및 상기 제2 상품군의 상품이 더 잘팔리도록 하는 판매 촉진 정보를 생성하는 판매 촉진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판매 촉진 정보를 해당 쇼핑몰 및 타 쇼핑몰의 상품 판매시 적용하는 판매 촉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상품군은 판매자가 판매하는 전체 상품 중에서 상대적으로 잘 팔리는 상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매자가 판매하는 전체 상품의 20%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상품군은 판매자가 판매하는 전체 상품 중에서 상대적으로 잘 안 팔리는 상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매자가 판매하는 전체 상품의 80%에 해당하며,
상기 판매자는 하나 이상의 쇼핑몰에 입점하여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사람을 말하며,
상기 상품 구별부는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API를 통해서 해당 쇼핑몰의 판매 및 매출 정보를 이용하여 판매자가 판매하고 있는 상품들의 판매 정보를 수집하고, 각각의 쇼핑몰로부터 수집한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판매자가 판매하고 있는 모든 상품들의 판매 정보를 분석하여 잘 팔리는 20%의 제1 상품군과 상대적으로 잘 안 팔리는 80%의 제2 상품군으로 구분하고,
상기 소비자 정보 분석부를 통해 상기 제1 상품군의 소비자가 구매할 가능성이 높은 상품을 상기 제2 상품군의 상품 중에서 선별하는 매칭 상품 선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 상품 선별부는 제1 상품군의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 정보를 분석하여 소비자의 성별, 나이, 지역, 학력, 소득 수준 정보를 알아내고 해당하는 성별의 소비자가 자주 구매한 제1 상품군의 정보, 해당하는 나이의 소비자가 자주 구매한 제1 상품의 정보, 해당하는 지역의 소비자가 자주 구매한 제1 상품의 정보, 해당하는 학력의 소비자가 자주 구매한 제1 상품군의 정보, 해당하는 소득 수준의 소비자가 자주 구매한 제1 상품군의 정보에 따라서 각각의 상품과 유사성이 높은 상품을 제2 상품군에서 선별하여 해당 소비자의 정보와 매칭하거나, 상기 소비자의 성별, 나이, 지역, 학력, 소득 수준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제1 상품군을 구매한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상품을 제2 상품군으로부터 알아내고 이를 해당 제1 상품군의 상품과 매칭하며,
상기 판매 촉진부는 상기 제1 상품군의 상품을 쇼핑몰의 화면에 표시할 때 제1 상품군의 상품과 매칭되는 제2 상품군의 상품을 동시에 표시하는 매칭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판매 상품의 판매 개수를 카운트하는 판매 상품 개수 카운트부 - 판매 개수는 한 쇼핑몰의 판매 개수 뿐만 아니라 판매자가 입점하여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모든 쇼핑몰에서 판매하고 있는 해당 상품의 판매 개수를 의미함 -; 및
상기 판매 개수에 따라 상기 제1 상품군의 상품 가격 및 상기 제2 상품군의 상품 가격을 변동하여 책정하는 가격 책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매 촉진부는 상기 판매 상품 개수 카운트부를 통해 상기 제1 상품군의 상품과 매칭되어 판매되는 상기 제2 상품군의 매칭 상품의 판매 개수를 알아내고, 상기 가격 책정부에서 상기 매칭 상품의 판매 개수에 따라 매칭된 상기 제1 상품군의 상품 가격을 변동하여 책정하도록 하며,
상기 가격 책정부는 경기 지표 및 판매 시기의 판매 변화량을 고려하여 제1 상품군의 가격 및 제1 상품군의 상품과 매칭되는 제2 상품군의 상품의 가격을 책정하되,
제1 상품군의 상품(메인 상품) 가격 = 설정된 메인 상품의 판매가격 - (a/b)*(메인 상품 판매 대수/메인 상품 예상 판매 대수)-(매칭 상품의 판매 대수 변화량),
제2 상품군의 상품(매칭 상품) 가격 = 설정된 매칭 상품의 판매가격 - (a/b)*(매칭 상품 판매 대수/매칭 상품 예상 판매 대수)-(메인 상품의 판매 대수 변화량)
a : 판매 시기에 따른 판매량 변화율
b : 경기 지표
와 같이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 분석 및 판매 촉진 시스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매 촉진부는 소비자가 상기 매칭 화면을 통해 상기 제2 상품군의 매칭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에 타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해당 상품의 가격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상기 매칭 상품을 판매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 분석 및 판매 촉진 시스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 정보는 소비자의 성별, 나이, 지역, 학력, 소득 수준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CS 정보는 해당 상품의 교환, 반품, 환불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후기 정보는 해당 상품의 만족 원인 및 불만족 원인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판매 정보는 상기 제1 상품군의 상품 구매시 해당 상품 구입 만족 원인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판매 촉진 정보는 상기 제1 상품군의 특정 상품을 구매한 상기 소비자 정보, 상기 CS정보, 상기 후기 정보 및 상기 판매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한 종합 판매 촉진 방법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 분석 및 판매 촉진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을 통해 쇼핑몰에 접속하여 상품을 검색할 때,
검색하는 상품이 제1 상품군의 상품인 메인 상품인 경우,
상기 소비자 단말의 화면이 상기 메인 상품의 정보가 표시되는 메인 상품 표시 화면과 상기 메인 상품의 가격 정보가 표시되는 메인 상품 가격 표시 화면 및 상기 매칭 상품의 정보가 표시되는 매칭 상품 표시화면으로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 분석 및 판매 촉진 시스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4386A KR102060763B1 (ko) | 2018-01-12 | 2018-01-12 |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 분석 및 판매 촉진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4386A KR102060763B1 (ko) | 2018-01-12 | 2018-01-12 |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 분석 및 판매 촉진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6173A KR20190086173A (ko) | 2019-07-22 |
KR102060763B1 true KR102060763B1 (ko) | 2020-02-11 |
Family
ID=67469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4386A KR102060763B1 (ko) | 2018-01-12 | 2018-01-12 |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 분석 및 판매 촉진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076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4794B1 (ko) | 2022-11-27 | 2023-05-26 | 주식회사 뉴리스 | 빅데이터를 이용한 온라인상품 소싱 및 판매 분석 시스템 |
KR102581743B1 (ko) | 2023-03-14 | 2023-09-21 | 구호광 | 전자상거래 마케팅 관리 컴퓨터, 전자상거래 마케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2045B1 (ko) * | 2020-04-13 | 2020-10-30 | (주)플로우 | 빅데이터 기반의 오픈마켓 연동 시스템 |
KR102166371B1 (ko) * | 2020-05-11 | 2020-10-15 | 오한상 | IoT 기반의 인공지능 마케팅 장치 및 방법 |
KR102301535B1 (ko) * | 2020-09-29 | 2021-09-13 | 이대성 | 쇼핑몰 방문 고객 및 고객의 지인에 대한 쇼핑몰 마케팅 시스템 |
KR102225212B1 (ko) * | 2020-09-29 | 2021-03-09 | 이대성 | 인공지능 기반의 고객 맞춤형 쇼핑몰 상품 추천 및 상품 페이지 자동 구성 시스템 |
KR102425408B1 (ko) * | 2021-04-07 | 2022-07-27 | 주식회사 파인데이터랩 |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KR102491280B1 (ko) * | 2022-05-10 | 2023-01-26 | 주식회사 메타플로 | 팝업 영상으로 유저에게 쇼핑 편의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컨텐츠 ip를 nft화하여 유저와 공동으로 소유하여 유저 참여도를 높이는 bnpl 이커머스 플랫폼의 운영방법 |
CN117836793A (zh) * | 2022-05-17 | 2024-04-05 | 精细数据实验室有限公司 | 线上购物数据处理方法、装置及系统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37923A (ja) * | 2009-03-31 | 2010-10-21 | Dainippon Printing Co Ltd | 広告物作成支援装置、広告物作成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92038A (en) * | 1978-12-29 | 1980-07-12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Light receiving switch |
KR20040096810A (ko) * | 2004-08-17 | 2004-11-17 | 서순모 | 전자상거래의 소비자 상품선호도를 적용한 자동화된 상품 배열 시스템 및 방법 |
KR20100068979A (ko) * | 2008-12-15 | 2010-06-24 | (주)아토미디어 | 전자 상거래에서 동적 가격 조정 방법 및 시스템 |
KR20160010756A (ko) | 2014-07-17 | 2016-01-28 | 주식회사 넥스트웹 | 쇼핑 분석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 시스템 및 쇼핑 분석 방법 |
-
2018
- 2018-01-12 KR KR1020180004386A patent/KR1020607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37923A (ja) * | 2009-03-31 | 2010-10-21 | Dainippon Printing Co Ltd | 広告物作成支援装置、広告物作成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일본 특허공보 제5592038호(2014.08.08.) 1부.*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4794B1 (ko) | 2022-11-27 | 2023-05-26 | 주식회사 뉴리스 | 빅데이터를 이용한 온라인상품 소싱 및 판매 분석 시스템 |
KR102581743B1 (ko) | 2023-03-14 | 2023-09-21 | 구호광 | 전자상거래 마케팅 관리 컴퓨터, 전자상거래 마케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6173A (ko) | 2019-07-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60763B1 (ko) |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 분석 및 판매 촉진 시스템 | |
Olbrich et al. | Price-quality relationship in pricing strategies for private labels | |
Drozdenko et al. | Risk and maximum acceptable discount levels | |
Amanah et al. | Exploring online purchase decis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Indonesia | |
KR101872220B1 (ko) |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 | |
TWI652639B (zh) | 產品優惠組合推薦系統與方法 | |
KR20230074961A (ko) |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분석 및 판매 촉진 시스템 | |
Shkurkin et al. |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in the activities of production and trade enterprises | |
Low Foong Peng et al. | Store attributes: A sustainable strategy to influence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 |
CN116739652A (zh) | 一种服装电商销量预测建模方法 | |
US20160321728A1 (en) | Purchase management device, purchase management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
JP7140588B2 (ja) | 決定装置、決定方法および決定プログラム | |
KR101963711B1 (ko) | 중고물품 거래방법 | |
Nagaraja et al. | Consumer buying decision process in Indian organized retail industry-Characterization of male and female respondents | |
Gupta et al. | Research Article Private Brands Waiting to Be Purchased-the Store Image Story | |
Marinescu et al. | Pricing strategy used as a tool for building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retail sector | |
US7360698B1 (en) | Method for determining relevance to customers of an advertisement for retail grocery items offered by a retailer | |
Bharadwaj et al. | Five consumer trends to watch in Thailand | |
Berezvai | The pricing strategies of Hungarian food retail chains during the last recession | |
CN111143575B (zh) | 一种店铺商品结构的优化方法及系统 | |
Abidin et al. | Investigating antecedents of cross shopping behavior among consumers in selangor | |
Armansyah et al. | The Effect of Price Perception, Product Variations, and Brand Ambassador on Purchase Decisions of Aice Products in Gresik Regency | |
Heinrich et al. | How retailers can improve price perception—profitably | |
Dirgantara et al. | The influence of price, perceived quality, and brand image on customer post purchase behaviour of frestea at pt coca cola amatil indonesia semarang | |
Cheng | A consumer behavioral approach to resale price maintena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