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408B1 -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408B1
KR102425408B1 KR1020210045554A KR20210045554A KR102425408B1 KR 102425408 B1 KR102425408 B1 KR 102425408B1 KR 1020210045554 A KR1020210045554 A KR 1020210045554A KR 20210045554 A KR20210045554 A KR 20210045554A KR 102425408 B1 KR102425408 B1 KR 102425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yment
simple payment
shopping mal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현수
김화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데이터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데이터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데이터랩
Priority to KR1020210045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쇼핑몰에서 결제 방법 중 간편 결제 방법 선택에 따른 온라인 쇼핑 데이터를 분석 및 처리하는 방법은, 상기 쇼핑몰로부터 간편 결제 선택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하여 태깅하는 단계; 상기 태깅된 데이터와 상기 쇼핑몰로부터 간편 결제 시스템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양 데이터 정합성 판단에 따른 정합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분석 툴에서 상기 태깅된 데이터와 생성된 결제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 및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analyzing and processing data of online shopping}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쇼핑몰에서 결제 방법 중 간편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관련 데이터의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쇼핑, 결제 등이 활성화되어 있다. 특히, 온라인 쇼핑몰에서 쇼핑 후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결제를 하는 경우, 결제 방법 중 간편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는 로그인의 번거로움, 각종 혜택, 편리한 구매 방법에 대한 고객의 니즈로 인해, 온라인 쇼핑물에서 전자상거래 결제를 위한 방법의 하나로 간편 결제 시스템을 지원하고 있다.
다만, 온라온 쇼핑몰의 경우, 고객이 간편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면, 해당 사이트의 url로 이동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는바, 이러한 전환 결과 간편 결제 시스템 이용과 관련된 쇼핑 데이터를 수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고자, 온라인 쇼핑몰의 구매 페이지에서 간편 결제를 선택하는 경우를 트래킹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다만, 이 경우 간편 결제 후 실제 결제 처리된 경우, 결제를 완료하지 않은 경우 등에 따른 허수가 많아 상기 방법에 따른 데이터 수집은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 후 주문 취소, 환불 등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전술한 문제점이 역시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과제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전자상거래 결제 방법 중 하나인 간편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에 관련 데이터의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쇼핑몰에서 결제 방법 중 간편 결제 방법 선택에 따른 온라인 쇼핑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은, 상기 쇼핑몰로부터 간편 결제 선택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하여 태깅하는 단계; 상기 태깅된 데이터와 상기 쇼핑몰로부터 간편 결제 시스템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양 데이터 정합성 판단에 따른 정합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분석 툴에서 상기 태깅된 데이터와 생성된 결제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 및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간편 결제가 아닌 쇼핑몰 내 결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툴에서 상기 간편 결제에 따른 데이터와 쇼핑몰 내 결제 데이터를 함께 분석 및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석 툴에 의해 분석 및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쇼핑몰로부터 환불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데이터와 환불 요청 데이터를 비교하여 환불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쇼핑몰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는, 상기 쇼핑몰 API와 상기 간편 결제 시스템 API에 기초하여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석 및 처리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정의된 기간 단위의 결제 및 환불 처리에 대한 분석 리포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쇼핑몰에서 결제 방법 중 간편 결제 방법 선택에 따른 온라인 쇼핑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은, 각종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쇼핑몰로부터 간편 결제 선택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하여 태깅하고, 상기 태깅된 데이터와 상기 쇼핑몰로부터 간편 결제 시스템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양 데이터 정합성 판단에 따른 정합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태깅된 데이터와 생성된 결제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 및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결제 방법 중 간편 결제 방법 선택에 따른 데이터를 전송하는 쇼핑몰; 상기 쇼핑몰의 간편 결제 방법을 지원하는 간편 결제 시스템; 및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는, 상기 쇼핑몰로부터 간편 결제 선택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하여 태깅하고, 상기 태깅된 데이터와 상기 쇼핑몰로부터 간편 결제 시스템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양 데이터 정합성 판단에 따른 정합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태깅된 데이터와 생성된 결제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 및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에서 전자상거래 결제 방법 중 하나인 간편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결제, 환불 등과 관련된 데이터의 수집, 분석 및 처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내지 도 2의 컴퓨팅 디바이스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처리되어 쇼핑몰로 제공되는 온라인 쇼핑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용어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히 그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여기에 기재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숫자들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예로서, 기재된 숫자들에 의해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 구성요소들이 해당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적어도 하나의"와 같은 표현은, 구성요소들의 리스트 전체를 수식하고, 그 리스트의 구성요소들을 개별적으로 수식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A와 B 모두, B와 C 모두, A와 C 모두, A와 B와 C 전체, 또는 그 조합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에서 전자상거래 결제 방법 중 하나인 간편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결제, 환불 등과 관련된 데이터의 수집, 분석 및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온라인 쇼핑몰을 연결되는 컴퓨팅 디바이스(computing devic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컴퓨팅 디바이스는 온라인 쇼핑몰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툴들(tools)을 포함하거나 해당 툴들이 포함된 플랫폼(platform)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는, 온라온 쇼핑몰에 직접 적어도 하나의 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그러한 툴들에 기반하여 수집, 분석 및 처리된 데이터를 온라인 쇼핑몰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라 함은,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한 문맥에 따라 관련 데이터의 수집, 분석, 및 처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시스템(1)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시스템(1)은, 단말(10), 쇼핑몰(20), 간편 결제 시스템(30) 및 컴퓨팅 디바이스(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시스템(1)의 핵심 구성요소만을 간략히 도시하고 설명한바,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요소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각 구성요소는 단수 형태로 표현되었으나, 단지 '단말', '쇼핑몰(20)', '간편 결제 시스템(30)', 및 '컴퓨팅 디바이스(40)'로 기술하더라도, 문맥에 따라 복수의 의미일 수 있다. 또한, 도 1의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는 해당 구성에서 직접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거나 데이터 처리를 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타 전자장치(eletronic device)를 통하여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거나 데이터 처리를 할 수도 있다.
단말(10)은 쇼핑몰(20)에 접속하여 쇼핑, 구매 내지 결제, 주문 취소 내지 환불 등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10)은 PC, TV, 키오스크(kiosk),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와 같은 고정 단말과,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디지털 촬영장치와 같은 이동 단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쇼핑몰(20)은, 단말(고객)(10)을 통하여 온라인상에서 상품을 쇼핑, 구매 등이 가능하도록 서비스하는 웹사이트 또는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간편 결제 시스템(30)은, 상기 쇼핑몰(20)에 의해 지원되는 전자상거래 결제 방법의 하나로, 온라인상에서 복잡한 절차없이 간단한 인증을 통하여 결제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서비스 제공하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간편 결제 시스템(30)과 관련된 상세한 내용은 공지 기술을 참조하고 본 명세서에서 별도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컴퓨팅 디바이스(40)는, 쇼핑몰(20)에서 전자상거래 결제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 관련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특히, 컴퓨팅 디바이스(40)는 상기 전자상거래 결제 방법 중 하나인 간편 결제 시스템(30)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관련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40)는, 쇼핑몰(20)에서의 전자상거래 결제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하드웨어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40)는,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를 위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으로서, 프로세서(processor), 제어부(controller), 제어장치 등으로 명명되어 기술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40)는 상기한 동작들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명령어,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 내지 펌웨어, 데이터 등을 일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memory) 내지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내장하거나 그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내지 데이터베이스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40)는 클라우드(Cloud) 서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40)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서버, 텔레포니 어플리케이션(Telephony Application) 서버, IM(Instant Messaging) 서버,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 서버, MSG(Messaging Gateway) 서버,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서버 등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시스템(1)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는 상호 간에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커뮤니케이션(data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3G(generation), LTE(Long-Term Evolution), LTE-A(advanced), 5G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uetoothTM), 와이파이(Wi-Fi) 등을 포함하여 현재 이미 구현 내지 상용화되었거나 추후 구현 내지 상용화 가능한 다양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으나, 도 1에 도시된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는 컨텐츠 처리 과정에서 블록체인(Block-chain) 등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들을 이용하거나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딥러닝(deep-learning) 등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편의상 이에 관한 상세 설명은 공지기술을 참조하고 여기서 관련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구체적으로,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시스템(1)에서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시스템(1)에서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내지 도 2의 컴퓨팅 디바이스(4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40)에 의해 처리되어 쇼핑몰(20)로 제공되는 온라인 쇼핑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시스템(1)에서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편, 이하에서는 주로 온라인 전자상거래 결제 방법 중 간편 결제와 관련된 내용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10)에서 쇼핑몰의 상품 구매 페이지에서 전자상거래 결제 방법 중 간편 결제를 선택(예를 들어, 클릭(click))하면, 쇼핑몰(20)의 API에 기반하여 관련 내용이 컴퓨팅 디바이스(40)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컴퓨팅 디바이스(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태그 매니저(tag manager)(310), 컴퓨팅 엔진(computing engine)(320), 및 분석 툴(analysis tool)(3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단말(10)에서 선택한 간편 결제 선택 신호는 컴퓨팅 디바이스(40)의 태그 매니저(310)로 전송되어 태깅(tagging)되고 태깅된 데이터, 즉 데이터레이어(DataLayer)는 컴퓨팅 엔진(320)과 분석 툴(330)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레이어에는, 간편 결제 선택과 관련된 데이터, 예를 들어 결제 예정 금액(또는 상품 가격), 결제 예정 상품명, 결제 예정 상품의 수량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상기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레이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쇼핑몰(20)은 전술한 단말(10), 즉 고객의 간편 결제 선택에 따라 관련 데이터를 간편 결제 시스템(40)에 제공하고, 단말(10)상에는 간편 결제 시스템 화면으로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단말(10)이 전환된 간편 결제 시스템 화면에서 결제를 완료하고 정상적으로 처리가 이루어지면, 쇼핑몰(20)은 간편 결제 시스템(30)으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쇼핑몰(20)은 단말(10)의 간편 결제 요청에 따라 간편 결제 시스템(30)사에서 처리된 내용에 관한 데이터를 컴퓨팅 디바이스(40)로 전송할 수 있다.
컴퓨팅 엔진(320)는 쇼핑몰(20)로부터 단말(10)의 간편 결제 요청에 따라 기 수신하여 태깅된 데이터(예를 들어, 데이터레이어)와 상기 쇼핑몰(20)로부터 간편 결제 시스템(30)을 통해 수신하여 전달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 정합성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정합성 판단이라 함은, 예를 들어 전술한 양 데이터가 서로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온라인 쇼핑몰(20)에서 간편 결제하고자 요청한 상품과 실제 간편 결제 시스템(30)에서 결제 완료 처리된 상품이 동일 또는 매칭되는 상품인지 판단하는 것이다.
컴퓨팅 엔진(320)는 전술한 데이터 정합성 판단 결과에 따른 정합성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분석 툴(3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정합성 데이터는, 예를 들어 메져먼트 프로토콜(measurement protocol)을 통하여 분석 툴(330)로 전송되어 상기 분석 툴(330)에서 단말(10)의 상품 구매 등과 관련된 소스(source) 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정합성 데이터는 직접 메져먼트 프로토콜을 통하여 단말(10)의 상품 구매 등과 관련된 소스 등 데이터를 생성하여 분석 툴(3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엔진(320)은 상기 데이터 정합성 판단을 위하여 쇼핑몰(20)의 API와 간편 결제 시스템(30)의 API를 참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간편 결제 시스템(30)에서 쇼핑몰(20)과 함께 직접 컴퓨팅 디바이스(40)에 결제 처리와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분석 툴(330)은 수신되는 데이터레이어와 정합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쇼핑몰(20) 및 간편 결제 시스템(30)의 이용, 처리 및 처리 결과 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분석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분석 결과 정보는 미리 정의된 주기로 쇼핑몰(20)에 전송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분석 결과 정보는 리포트 형태로 도 6 내지 도 12의 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분석 결과 정보는 도 6, 도 9 및 도 10과 같이 간편 결제 시스템 이용 경우 외에 쇼핑몰 내 일반 결제의 경우에 대한 분석 결과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분석 결과 정보는 도 7, 도 8 및 도 11과 같은 실시간 이벤트 생성 및 관련 내용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분석 결과 정보는 도 12와 같은 환불에 따른 결과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분석 툴(330)은 구글 어낼러틱스(Google Analytics)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는 분석 툴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분석 툴(33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툴들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각 툴은 분석 결과 정보의 정확성, 분석 결과 정보의 다양성 등에 참조될 수 있다.
도 4는 온라인 데이터 처리 시스템(1)에서 결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도면이고, 도 5는 온라인 데이터 처리 시스템(1)에서 환불 데이터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의 데이터 처리 과정 역시 컴퓨팅 디바이스(40)의 관점에서 기술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쇼핑몰(20)에서 단말(10)에 의해 결제 방법 중 간편 결제 방법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에 따른 간편 결제를 위한 데이터를 간편 결제 시스템(30)으로 전송할 수 있다(S110). 간편 결제 시스템(30)은 쇼핑몰(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간편 결제를 위한 화면을 제공하고 간편 결제를 위한 절차를 수행하여, 수행 결과를 쇼핑몰(20)로 피드백(feedback)할 수 있다(S120).
컴퓨팅 디바이스(40)는 상기 쇼핑몰(20)로부터 단말(10)의 간편 결제 선택에 따른 데이터를 미리 수신하여 태깅하고, 상기 쇼핑몰(20)로부터 간편 결제 시스템(30)에 의해 피드백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40)는 이렇게 쇼핑몰(20)로부터 수신한 간편 결제 결과 데이터와 기 태깅한 간편 결제 선택에 따른 데이터(데이터레이어)의 데이터 정합성을 판단할 수 있다(S130).
컴퓨팅 디바이스(40)는 S130 단계에서 판단한 데이터 정합성 판단에 따른 정합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분석하여 리포트를 생성하여 쇼핑몰(20)에 전송할 수 있다(S140). 상기 전송은 미리 약속된 주기 또는 쇼핑몰(20)의 요청이나 이벤트 발생에 따라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컴퓨팅 디바이스(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간편 결제가 아닌 쇼핑몰 내 결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간편 결제에 따른 데이터와 쇼핑몰 내 결제 데이터를 함께 분석 및 처리하여 상기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40)는 분석 및 처리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쇼핑몰(20)은 단말(10)에 의해 주문 취소 내지 환불 요청이 수신되면, 관련 데이터를 간편 결제 시스템(30)으로 전송할 수 있다(S210). 상기 관련 데이터에는 주문번호, 결제성공 여부, 결제 금액, 결제수단, 결제한 상품명, 결제한 상품 수량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기 결제 처리와 관련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관련 데이터는 컴퓨팅 디바이스(40)로도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40)는 환불 관련 데이터 역시 태깅하고 저장할 수 있다.
간편 결제 시스템(30)은 쇼핑몰(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환불 처리 가부를 판단하고 환불 처리를 수행하여, 수행 결과를 다시 쇼핑몰(20)로 피드백할 수 있다(S220).
쇼핑몰(20)은 간편 결제 시스템(30)에서 피드백된 데이터, 즉 환불 처리 데이터를 컴퓨팅 디바이스(40)로 전송하고, 컴퓨팅 디바이스(40)는 상기 태깅한 데이터와 쇼핑몰(20)로부터 수신한 간편 결제 시스템(30)에서 환불 처리 수행된 결과 데이터를 비교하여 환불 요청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S230). 이 때, 컴퓨팅 디바이스(40)는 전술한 결제 처리와 유사하게 환불 요청된 데이터의 정합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데이터 정합성이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정합성 데이터를 생성하여 분석 툴(330)을 통하여 쇼핑몰(20)에 관현된 분석 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40)는 환불 처리와 관련된 분석 결과가 포함된 리포트를 생성하고, 생성한 리포트를 쇼핑몰(20)로 전송할 수 있다(S240). 이 때, 상기 리포트는 환불 처리 결과 분석 정보만 포함할 수도 있고, 전술한 도 4의 결제 처리 결과 분석 정보도 도 12와 같이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2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쇼핑몰(20)은 분석 결과 리포트에서 결제 방법(610) 항목을 액세스하여, 일반 결제와 간편 결제를 구분하여 관련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핑몰(20)은 일반 결제와 간편 결제 모두에 대한 데이터(620)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후 도 6의 (a) 결제 방법 항목(610)을 통하여 결제 방법 단위로 분류할 수도 있다.
도 7은 예를 들어, 쇼핑몰(20)에서 API를 통해 단말(10)에 의해 간편 결제 선택시 컴퓨팅 디바이스(40)로 전송되는 데이터(710)와 관련된 정보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과 같이 체크아웃 상태인 경우에 대한 이벤트 정보와 일반 결제 또는 간편 결제를 통한 결제 완료된 경우에 이벤트 정보의 생성 및 처리에 대한 도면이다.
도 9와 10은 도 6의 (b)와 유사하게, 컴퓨팅 디바이스(40)에서 쇼핑몰(20)로 제공된 분석 결과 리포트의 하나로, 해당 쇼핑몰(20)에서 소정 기간 동안 일반 결제와 간편 결제 처리된 결과 데이터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쇼핑몰(20)에서 단말(10)에 의해 환불 요청이 수신된 경우에 관련 이벤트(1110)의 생성 및 제공에 관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6의 (b), 도 9 내지 도 10의 리포트에서, 환불 요청 처리 결과가 반영된 도면이다.
도 6의 (b), 도 9 내지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각각은 거래 ID, 수익, 세금, 배송, 환불(1210), 수량 등의 항목에 따른 데이터가 제공되고, 각 항목의 액세스에 따라 자동 분류된 데이터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각 항목의 선택에 따라 해당 관련 데이터만(간편 결제, 환불 등)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3의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서의 컨텐츠 통합 관리 장치는 도 1의 컴퓨팅 디바이스(40)의 구성 블록도일 수 있다.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장치는 메모리(1310)와 프로세서(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도 3은 프로세스(1320)의 일 구성일 수도 있다.
메모리(1310)는 쇼핑몰(20)로부터 수신(또는 수집)한 데이터, 각종 명령어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메모리(1310)에 저장된 명령어들은 프로세서(1320)에 의해 독출되어 실행되어 소정 기능들이 수행될 수 있다.
메모리(1310)는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시스템(10)에서의 처리 과정에서 수집, 생성, 처리 등이 되는 다양한 데이터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20)는 쇼핑몰(20)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수집된 데이터를 처리 후 메모리(1310)에 저장하며, 메모리(1310)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여 정보를 생성, 처리, 전송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진 않았으나,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분석 툴(330)을 이용하여, 쇼핑몰(20)에 의해 요청되거나 자동으로 다양한 분석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쇼핑몰(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장치는 머신러닝이나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학습 모델을 구축하고 학습하여 학습 결과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학습 결과의 하나로 예컨대, 쇼핑몰(20) 이용자나 현재 쇼핑 트렌드나 쇼핑 관련 인기 검색어 등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예를 들어, 위치나 지역, 나이, 성별 등의 정보를 참조하거나 그에 따라 분류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모듈)이 이용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포함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포함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은, 전자 디바이스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고, 명령어들은 전자 디바이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전자 디바이스로 하여금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복수의 기록 매체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으며, 분산된 기록 매체들에 저장된 데이터, 예를 들면 프로그램의 명령어들 및 코드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기능들은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되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전용 하드웨어의 이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이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일부가 공유될 수 있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용어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의 명시적 이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비휘발성 저장 디바이스를 묵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개시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쇼핑몰에서의 하나 이상의 결제 방법 중 간편 결제 방식 선택에 따른 온라인 쇼핑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쇼핑몰에 접속한 단말이 상품 구매를 위한 하나 이상의 결제 수단 중 외부 간편 결제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간편 결제 방식을 선택하면, 상기 단말이 결제 수단으로 간편 결제 방식을 선택했음을 나타내는 간편 결제 선택 신호 데이터를 상기 쇼핑몰로부터 수신하여 태깅이 수행되는 단계;
    상기 단말이 간편 결제 방식으로 결제를 완료함에 따라, 상기 쇼핑몰이 외부 간편 결제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받은 간편 결제 처리 데이터를 상기 쇼핑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간편 결제 선택 신호 데이터 및 상기 간편 결제 처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양 데이터의 정합성 판단을 수행하고 그에 대한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정합성 데이터를 생성하여 분석툴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정합성 데이터가 나타내는 정합성 판단 결과가 정합에 해당될 경우, 상기 분석 툴에서 상기 간편 결제 선택 신호 데이터 및 상기 간편 결제 처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간편 결제 방식으로 결제하는 경우에 대한 온라인 쇼핑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간편 결제 방식은 상기 단말이 상기 접속 중인 쇼핑몰에 대한 로그인 과정 없이 외부 간편 결제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미리 설정된 개인 인증만을 상기 단말이 이행하면 상기 쇼핑몰에서의 결제가 이루어지는 방식이고,
    상기 간편 결제 선택 신호 데이터는 상기 단말이 하나 이상의 결제 수단 중 간편 결제 방식을 선택했음을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상기 간편 결제 방식으로 결제를 수행할 상품 정보, 금액 정보 및 수량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간편 결제 처리 데이터는 상기 단말이 간편 결제 방식으로 결제를 완료하는 과정에서 상기 외부 간편 결제 시스템이 수집한 주문번호 정보, 상품 정보, 결제 수단 정보, 결제 금액 정보, 수량 정보 및 결제 성공 여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정합성 판단은 상기 쇼핑몰에서 간편 결제하고자 요청한 상품과 상기 외부 간편 결제 시스템에서 결제 처리 된 상품이 서로 동일한 상품인지 여부 및 결제 완료가 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포함하며,
    상기 정합성 판단을 수행한 이후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제 취소가 이루어지면, 상기 단말이 간편 결제 방식을 통해 수행한 결제가 취소되었음을 나타내는 간편 결제 선택 신호 데이터를 상기 쇼핑몰로부터 수신하여 태깅이 수행되고, 상기 결제 취소 처리를 수행한 외부 간편 결제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쇼핑몰이 전달받은 간편 결제 처리 데이터를 상기 쇼핑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간편 결제 선택 신호 데이터 및 상기 간편 결제 처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양 데이터의 정합성 판단을 수행하며, 그에 대한 판단결과를 포함하는 정합성 데이터를 생성하여 분석툴로 전달하되, 상기 정합성 데이터가 나타내는 정합성 판단 결과가 정합에 해당될 경우, 상기 분석 툴에서 상기 간편 결제 방식으로 결제하는 경우에 대한 온라인 쇼핑 분석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온라인 쇼핑 분석 데이터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간편 결제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간편 결제 방식이 아닌 상기 쇼핑몰을 통해 제공되는 결제 방식에 대한 결제 데이터를 상기 쇼핑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툴에서 상기 간편 결제 방식으로 결제하는 경우에 대한 온라인 쇼핑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쇼핑몰을 통해 제공되는 결제 방식에 대한 결제 데이터를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쇼핑 분석 데이터 제공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쇼핑 분석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쇼핑 분석 데이터 제공 방법.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로부터 수신하는 간편 결제 선택 신호 데이터 및 간편 결제 처리 데이터는,
    쇼핑몰의 API및 외부 간편 결제 시스템의 API에 기초하여 수신하는,
    온라인 쇼핑 분석 데이터 제공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상기 온라인 쇼핑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쇼핑 분석 데이터 제공 방법.
  7. 쇼핑몰에서의 하나 이상의 결제 방법 중 간편 결제 방식 선택에 따른 온라인 쇼핑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각종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쇼핑몰에 접속한 단말이 상품 구매를 위한 하나 이상의 결제 수단 중 외부 간편 결제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간편 결제 방식을 선택하면, 상기 단말이 결제 수단으로 간편 결제 방식을 선택했음을 나타내는 간편 결제 선택 신호 데이터를 상기 쇼핑몰로부터 수신하여 태깅이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단말이 간편 결제 방식으로 결제를 완료함에 따라, 상기 쇼핑몰이 외부 간편 결제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받은 간편 결제 처리 데이터를 상기 쇼핑몰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간편 결제 선택 신호 데이터 및 상기 간편 결제 처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양 데이터의 정합성 판단을 수행하고 그에 대한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정합성 데이터를 생성하여 분석툴로 전달하고,
    상기 정합성 데이터가 나타내는 정합성 판단 결과가 정합에 해당될 경우, 상기 분석 툴에서 상기 간편 결제 선택 신호 데이터 및 상기 간편 결제 처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간편 결제 방식으로 결제하는 경우에 대한 온라인 쇼핑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간편 결제 방식은 상기 단말이 상기 접속 중인 쇼핑몰에 대한 로그인 과정 없이 외부 간편 결제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미리 설정된 개인 인증만을 상기 단말이 이행하면 상기 쇼핑몰에서의 결제가 이루어지는 방식이고,
    상기 간편 결제 선택 신호 데이터는 상기 단말이 하나 이상의 결제 수단 중 간편 결제 방식을 선택했음을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상기 간편 결제 방식으로 결제를 수행할 상품 정보, 금액 정보 및 수량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간편 결제 처리 데이터는 상기 단말이 간편 결제 방식으로 결제를 완료하는 과정에서 상기 외부 간편 결제 시스템이 수집한 주문번호 정보, 상품 정보, 결제 수단 정보, 결제 금액 정보, 수량 정보 및 결제 성공 여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정합성 판단은 상기 쇼핑몰에서 간편 결제하고자 요청한 상품과 상기 외부 간편 결제 시스템에서 결제 처리 된 상품이 서로 동일한 상품인지 여부 및 결제 완료가 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포함하며,
    상기 정합성 판단을 수행한 이후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제 취소가 이루어지면, 상기 단말이 간편 결제 방식을 통해 수행한 결제가 취소되었음을 나타내는 간편 결제 선택 신호 데이터를 상기 쇼핑몰로부터 수신하여 태깅이 수행되고, 상기 결제 취소 처리를 수행한 외부 간편 결제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쇼핑몰이 전달받은 간편 결제 처리 데이터를 상기 쇼핑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간편 결제 선택 신호 데이터 및 상기 간편 결제 처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양 데이터의 정합성 판단을 수행하며, 그에 대한 판단결과를 포함하는 정합성 데이터를 생성하여 분석툴로 전달하되, 상기 정합성 데이터가 나타내는 정합성 판단 결과가 정합에 해당될 경우, 상기 분석 툴에서 상기 간편 결제 방식으로 결제하는 경우에 대한 온라인 쇼핑 분석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온라인 쇼핑 분석 데이터 제공 장치.



  8. 삭제
KR1020210045554A 2021-04-07 2021-04-07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25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554A KR102425408B1 (ko) 2021-04-07 2021-04-07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554A KR102425408B1 (ko) 2021-04-07 2021-04-07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5408B1 true KR102425408B1 (ko) 2022-07-27

Family

ID=82701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554A KR102425408B1 (ko) 2021-04-07 2021-04-07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4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800A (ko) * 2016-12-29 2018-07-09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86173A (ko) * 2018-01-12 2019-07-22 고현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 분석 및 판매 촉진 시스템
KR20200011621A (ko) * 2018-06-28 2020-02-04 갤럭시아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판매점 수납 대행과 에스크로 서비스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800A (ko) * 2016-12-29 2018-07-09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실 구매정보에 기반한 구매내역 통합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86173A (ko) * 2018-01-12 2019-07-22 고현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 분석 및 판매 촉진 시스템
KR20200011621A (ko) * 2018-06-28 2020-02-04 갤럭시아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판매점 수납 대행과 에스크로 서비스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37533B (zh) 一种自助购物结算方法及系统
CN106873961B (zh) 通过移动浏览器唤醒app应用的方法及装置
US112636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upling a user computing device and a point of sale device
US9842310B2 (en) Inventorying items using image data
US1006206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trieving items for a customer at checkout
JP2020503591A (ja) 拡張現実に基づくオフラインインタラクション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13151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electronic documents
CN104067274A (zh) 用于改进对搜索结果的访问的系统和方法
US1157433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tilizing immediate gratification promotions
US20160086131A1 (en) Storage system
US10217155B2 (en) Product cross-selling method and system
CA30074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olving data discrepancy
US9836734B2 (en) Providing electronic receipts for vending machine transactions
JP2023103229A (ja) 関連アイテムを識別しウェブページに提示するための統合プラグイン
KR102547986B1 (ko) 사입대행 관리시스템, 사입대행사 단말, 및 각각의 정보 처리 방법
US20140258164A1 (en) Shipping preferences popula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CN108346095B (zh) 联合系统的管控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425408B1 (ko) 온라인 쇼핑 데이터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702496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chine learning based line assignment
KR102391703B1 (ko) 판매업체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주문접수 및 배송관리 시스템 제공방법
US20140279212A1 (en) Multi-channel wireless pre-approval system
US11341568B1 (en) Software enabling automated upsell text messaging for retailers within shipping notification text messages
CN117836793A (zh) 线上购物数据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12990902A (zh) 业务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TWI676155B (zh) 商品偏好分析系統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