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631B1 - 온라인 마켓에서 타임 갭 정보와 결합한 가격 및 배송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마켓에서 타임 갭 정보와 결합한 가격 및 배송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631B1
KR100955631B1 KR1020090010218A KR20090010218A KR100955631B1 KR 100955631 B1 KR100955631 B1 KR 100955631B1 KR 1020090010218 A KR1020090010218 A KR 1020090010218A KR 20090010218 A KR20090010218 A KR 20090010218A KR 100955631 B1 KR100955631 B1 KR 100955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duct
price
time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오엠
Priority to KR1020090010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5Including financial accounts
    • G06Q30/0216Investment accou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마켓에서 타임 갭 정보와 결합한 가격 및 배송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 판매 클라이언트로부터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a) 단계,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상품의 판매와 관련된 타임 갭 정보를 검색하는 (b) 단계, 상기 타임 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의 가격 변화 정보를 계산하는 (c) 단계, 상기 상품의 가격 변화 정보를 시간 정보와 결합하는 (d) 단계, 및 상기 결합된 가격 변화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상기 판매 클라이언트의 출력 장치에 맞게 변환하여 상기 판매 클라이언트에 송신하는 (e) 단계를 포함한다.
타임 갭, 시간, 온라인 쇼핑, 배송, 가격 추천

Description

온라인 마켓에서 타임 갭 정보와 결합한 가격 및 배송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of recommanding adequate price and delivery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ime gap information in online market}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에 적용할 수 있는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라인 또는 인터넷 상에서 상품을 판매함에 있어서 시간 요소를 적용하여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가격-배송 정보에 기반한 추천 가격을 제공하는 분야에 관한 발명이다.
전통적으로 온라인(Online) 쇼핑과 같은 인터넷 상에서 쇼핑을 제공하는 것은 소비자가 직접 매장을 방문할 필요 없이 전화 또는 방송, 인터넷 등을 통하여 상품의 구매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온라인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는 소비자가 전화, 방송, 인터넷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인터넷 또는 무선상에서 정보 접근이 가능한 사이트를 구축하여 영업 활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운영자는 직접 상품을 제조하거나 구매, 판매하는 것이 아니며, 별도의 판매자가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사이트상에 올리거나 또는 상품을 등록, 배송할 수 있다.
전통적인 온라인 쇼핑에서의 쇼핑의 흐름을 살펴보면, 도 1과 같다.
도 1에서 살펴보면, 인터넷 상의 마켓(110)과 소비자 또는 구매자(120), 판매자(130)가 존재한다. 판매자(130)는 마켓(110)에 상품을 등록할 수 있으며(S151), 이는 마켓(110)이 제공되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다. 인터넷상의 마켓(110)에 등록되어 제공되는 상품을 구매자(120)가 선택하여 구매하고자 할 경우, 인터넷 상의 혹은 무선상의 접속/통신 수단을 사용하여 주문,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S152). 주문/결제가 진행하면 마켓(110)의 시스템은 판매자(130)에게 통신 수단(메일, 문자)을 사용하여 배송을 요청하거나 판매자(130)가 주문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인터넷 상의 보안 영역으로 접속하여 주문을 확인할 경우 배송을 진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S153). 그 결과, 판매자(130)는 주문된 상품을 구매자(120)에게 배송하며(S154), 구매자는 인터넷 마켓(110)에 접속하거나 통신 수단을 사용하여 상품을 수령 또는 수취하였음을 확인한다(S155). 인터넷 마켓(110)은 수취 확인이 이루어진 경우, S152 단계에서 결제된 금액 중 수수료 등을 제외한 금액을 상품대금으로 판매자(130)에게 지급한다(S156)
이러한 방식은 종래에 다수의 인터넷 마켓을 통해 제공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인터넷 마켓은 구매자와 판매자의 상이한 니즈에 부합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시간이라는 개념이 결여되었다는 것이다.
즉, 소비자/구매자가 구매를 하는 시점과 상품을 배송받는 시점의 차이에 따라 상품의 가치는 변하지만, 종래의 인터넷 마켓에서의 구매자의 구매 가격 또는 판매자의 판매 가격이 이러한 차이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인터넷 마켓에서의 상품 판매의 한계가 되고 있다. 예를 들어, 내일 필요한 경우에는 배송 시점의 차이가 있어 가격에 상관없이 직접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있다. 즉 그만큼, 시간이라는 요소는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어서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더 높은 가격이라도 시간의 이익이 있다면 구매하게 되며, 더 낮은 가격으로 시간의 이익을 포기하며 구매하게 된다.
또한, 배송시점까지 상품을 받지 못하게 되므로 그 기간동안 결제 금액은 소비자에게 있어 일정부분 금전의 손실로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구매자와 판매자의 거래 과정에서 시간이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가격 결정이 이루어지도록 타임 갭 정보를 제공하는 타이밍 마켓에서는 그냥 저렴한 상품이 인기있는 상품이 되는 것은 아니다. 타이밍 마켓에서의 구매자에게는 시간에 따라 상품의 가격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따라 상품을 선택하게 된다. 그 결과, 타이밍 마켓의 판매자는 자신의 상품이 보다 많이 팔리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품의 가격과 시간과의 연관지어 좋은 조건으로 판매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인터넷 마켓에서 판매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는 거의 없었으므로, 판매자를 위한 가격 추천 시스템이 필요하다.
종래의 인터넷 마켓에서는 판매자에게는 해당 상품의 최저 가격에 대한 정보 이외에는 특별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시간과 가격이 다양하게 결합되어 있는 타이밍 마켓에서는 판매자가 보다 상품을 많이 판매하기 위해서는 상품의 가격에 대한 판단 기준 또는 추천을 진행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특히, 상품에 대한 가격-시간별 선호는 상품의 종류 및 상품의 선호도의 변화에 따라 다르므로, 상품을 기준으로 적합한 판매 가격 또는 판매 방식을 추천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판매 클라이언트로부터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a) 단계,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상품의 판매와 관련된 타임 갭 정보를 검색하는 (b) 단계, 상기 타임 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의 가격 변화 정보를 계산하는 (c) 단계, 상기 상품의 가격 변화 정보를 시간 정보와 결합하는 (d) 단계, 및 상기 결합된 가격 변화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상기 판매 클라이언트의 출력 장치에 맞게 변환하여 상기 판매 클라이언트에 송신하는 (e) 단계를 포함한다.
판매 클라이언트로부터 검색하고자 하는 상품의 정보를 수신하며, 중앙 처리 장치가 생성한 추천 가격-배송 정보를 검색 클라이언트로 송부하는 통신 정보 처리부, 소정 가격 정보의 범위 또는 소정 배송 정보의 범위에 따라 검색 가능하게 상품의 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정보 DB, 구매자의 구매 현황 및 결제 정보를 저장하는 구매자 정보 DB, 판매자의 판매 정보 및 결제 정보를 저장하는 판매자 정보 DB, 및 통신 정보 처리부가 수신한 상품의 판매와 관련된 타임 갭 정보를 검색하여 타임 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의 가격 변화 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상품의 가격 변화 정보를 시간 정보와 결합하여 결합된 가격 변화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상기 판매 클라이언트의 출력 장치에 맞게 변환하는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판매자가 상품을 판매함에 있어서 시간의 요소를 적용하여 보다 구매자들에게 인기있는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간차에 기반한 상품 판매 정보의 제공은 판매자로 하여금 판매량을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배송 시간을 제공하여 판매자가 물류 상황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 않으며,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적용 가능하며, 이러한 적용 역시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DB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의미하며, 반드시 상용의 고기능의 데이터베이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파일에 저장하여도 데이터를 정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면, 해당 파일 역시 본 명세서에서의 데이터베이스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매자 또는 소비자는 최종 소비자에 한정되어 의미하지 않으며, 더 넓게 상품의 생산, 판매에서 구매에 이르는 모든 사이클에서 구매 행위를 하는 자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편의상 구매자라고 하지만, 이는 구매 행위를 하는 개체의 컴퓨터, 휴대폰, 또는 정보 통신 수단을 모두 포함하며, 이는 판매자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게 되는 인터넷 마켓은 유, 무선의 통신 수단에 의해 접속하며, 케이블 티비와 같은 방송, 전화 등을 통해서도 접속할 수 있는 마켓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존의 오프라인 방문이 이루어지는 오프라인 마켓을 제외한, 모든 유형의 마켓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게 되는 소비자 시간, 판매자 시간, 그리고 상품의 시간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소비자가 구매행위를 함에 있어 결제시점과 배송시점의 차이에 따라 상품가치는 변화한다. 그러나 기존의 온라인쇼핑몰은 이 시간적 가치를 시스템화 시키지 못하고 일반적인 판매모델에 한정되어 있다. 즉 소비자 시간이란 상품 구매를 위한 결제와 배송 시점의 차이를 의미하는데, 이 시간의 크기가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본 명세서에서는 타이밍 마켓(Timing-Market) 시스템에 대한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고자 한다. 타이밍 마켓에서는 시간적인 개념을 시스템화 시킨 새로운 개념의 인터넷 마켓 또는 마켓 플레이스(Market Place)이다.
소비자 시간은 오프라인(offline)에서 시간에 따른 가치를 소비자가 달리 인식하게 된다. 즉, 내일 필요로 하는 상품을 온라인에서 주문/배송하면 필요시점 이후에 배송되므로 다소 비싸더라도 가까운 마트나 오프라인 매장을 이용하여 상품을 구매하게 된다. 그 결과 초과되는 비용만큼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다. 이외에도 여름철에 겨울용품(스키 등)을, 겨울철에 냉방용품(에어컨 등)을 예약하고 필요할 때 배송을 저렴하게 구매하는 방안이 있다. 즉, 할인되는 만큼 경제적 이익이 발생한다. 그리고 항공권을 6개월 전에 구매하면 할인된 가격으로 구입이 가능하여 할인되는 만큼 경제적 이익이 발생한다. 상품을 구매하고 필요한 시점에 맞춘 배송이 필요하며 배송시점이 늦어질수록 상품의 가격은 낮아져야 한다. 예를 들어 아기가 태어날 때 필요한 유모차는 아기가 태어난 후에 배송 되어야 하며 그때까지 시간이 늦어짐에 따라 상품의 가격은 할인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소비자 시간과 가격의 상관관계를 가격 결정 함수의 인자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판매자 시간 역시 가격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판매자 시간은 상품대의 지급시점에 따라 자금의 효용성은 변하고 때에 따라서는 금융비용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미래에 판매되는 상품의 수량을 알 수 있다면 재고비용/창고비용을 절감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현하게 되는 타이밍 마켓에서는 이러한 판매자의 시간적인 개념을 시스템화시키고 있다.
판매자 시간의 예로 살펴볼 수 있는 사항은 비용의 결제와 지급, 재고 관리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일 결제자금이 필요하지만 상품대(금)의 지급시점은 월말에 일괄 정산이므로 내일 사용할 자금이 없다면 판매자의 자금 효용성은 떨어진다. 따라서, 상품대 지급시점까지 금융비용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자금이 여유있는 상품공급자와 자금의 여유가 없는 상품공급자의 상품대 결제주기는 달라야 하므로, 결제주기에 따라 상품대금에 대한 수수료의 할인이 가능하다. 한편,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미래에 판매되는 제품의 수량을 알 수 있다면 재고관리 및 시장예측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타이밍 마켓에서 판매자가 상품을 판매하고 상품대 수수료는 적정 지급주기/수수료율로 탄력적으로 지급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판매된 상품에 대하여 익일결제의 경우는 높은 판매수수료율을 적용하고, 여신의 경우는 낮은 판매수수료율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배송시점까지 결제 금액을 금융 상품에 투자하여 투자금액을 구매자에게 배송 시점에 환급할 수 있다.
소비자와 판매자의 시간 외에도 상품의 시간이 존재한다. 상품의 시간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품의 가치가 변화하며 상품별로 상이하다는 점에 중점을 두어, 이에 상응하는 수수료율/결제주기/할인율 등을 탄력적으로 적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타이밍 마켓에서는 상품이 가지는 시간적인 개념 역시 시스템화 시킬 수 있다.
전통적인 오프라인에서 상품이 가지는 시간적 가치 변화는 유행에 민감한 제품은 수익이 낮더라도 빠르게 소진 시켜야 하고 판매가 꾸준하고 유행에 민감하지 않은 제품은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가지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상품의 재 고를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중요하다. 또한, 시장상황이 빠르게 변화하는 제품은 빠른 현금화로 시장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하여야 하지만 안정적인 제품은 빠른 현금화가 필요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역시 상품의 시장상황에 따라 결제주기를 달리 할 수 있다. 가격에 의해서도 상품의 시간은 변화할 수 있는데, 고가의 제품과 저가 제품의 예약판매에 따른 할인효과는 다르다. 이는 판매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따른 리스크비용을 판매자가 가져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품이 가지는 시간적 가치에 따라 가격체계/수수료율/결제주기/ 할인율등을 상품별로 적용할 수 있다. 이는 의류와 같은 상품에는 빠른 소진을, 메모리와 같은 제품은 빠른 현금화를 유도하도록 하며, 에어컨과 같은 상품은 선주문시 할인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소비자/구매자의 입장에서는 배송 시점에 따라 가격을 할인하여 구매하는 방법 외에도 배송 시점과 결제 시점 사이의 시간적 차이를 투자 수익으로 환원받아서 이익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도 2는 앞서 살펴본 시간 인자가 본 발명에서 가격과 결제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배송 시점에 따라 가격의 변동을 보여주는 그래프(210)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타이밍 마켓에서 배송 시점과 가격을 조율하여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배송 시점이 길어질수록 변동 가격은 낮아지며 이 변동된 가격이 타이밍 마켓을 통해 구매자에게 표시/결제된다.
한편 결제 주기에 따라 수수로율의 변동을 보여주는 그래프(220)를 살펴보 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타이밍 마켓에서 결제 시점과 수수료율을 조율하여 제공함을 알 수 있다. 결제 시점이 길어질수록 수수료율은 낮아지며 이 변동된 수수료율이 타이밍 마켓을 통해 판매자에게 결제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가 배송 시간에 따라 가격이 변동된 상품을 구매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에서 구매자/소비자는 상품 주문시점에서 주문하고 지정한 시점에 배송이 처리되며 주문시점과 배송시점까지 기간에 따라 판매자가 정한 할인율에 따라 할인된 금액을 구매자가 선결제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310은 사용자가 냉장고를 구매하기 위해 냉장고 상품 구매 페이지로 접속한 경우에 보여지는 정보이다. 상품의 사진과 판매가가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배송희망일(311)과 할인가(331)이 표시되어 있다. 구매자는 배송 희망일을 변경하거나 할인가를 변경할 수 있다.
먼저 구매자가 배송 희망일을 변경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311의 역삼각형 버튼을 누를 경우, 312와 같이 드롭다운 박스가 나타난다. 그리고, 배송받고자 하는 기간을 선택한다. 드롭다운 박스로 선택할 수 있고, 구매자가 직접 날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배송 희망일을 구매일로부터 1개월 정도 이후가 되는 시점인 2008년 3월 15일로 선택하면 320과 같이 할인가가 계산되어 표시된다. 결제 후 1주일 이내 배송되도록 할 경우에는 할인 없이 구매하게 되지만, 1개월정도의 시점에 배송이 되도록 할 경우 15%가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자는 구매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사를 예상하거나, 시급하게 구매할 필요가 없는 상품을 구매할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한편, 구매자가 자신의 예산보다 상품 가격이 높은 경우, 배송을 지연시키도록 할 수 있다. 331의 역삼각형 버튼을 누를 경우, 332와 같이 드롭다운 박스가 나타난다. 그리고, 자신이 구매 가능한 가격대를 선택한다. 역시 드롭다운 박스로 선택할 수 있고, 구매자가 직접 가격을 입력할 수 있다. 자신의 예산에 따라 가격을 선택하면 330과 같이, 해당 가격에 해당하는 배송일자가 표시된다.
도 3a의 과정을 통해, 구매자는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구매 시점과 배송 시점에 따라 가격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가격에 맞추어 배송 시점 역시 조절할 수 있다.
도 3a에서 배송일을 선택할 경우 할인이 되거나, 자신의 예산에 맞추어 가격을 선택할 경우 배송일이 결정되는 과정은 모두 타임 갭 가격 정보에 의해 결정된다. 타임 갭 가격 정보는 제품의 가격에 대해 배송일까지의 시간을 적용하여, 배송일이 길어질 경우 가격이 내려가도록 할 수 있으며, 구매가격이 낮아질 경우 배송일을 늦출 수 있도록 한다. 타임 갭 정보는 상품에 따라 달리 정해질 수 있으며, 은행의 이율, 또는 상품의 시간에 따른 가격 하락율 또는 상승율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도 3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가 상품을 구매하며 결제 시점과 배송 시간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금융 시간의 이익을 선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b에서 구매자/소비자는 상품 주문시점에서 주문을 수행하고 지정한 시점에 배송이 처리되며, 주문시점과 배송시점까지 기간에 따라 판매자가 제공하는 금융 투자 수익율에 따라 배송 시점 또는 수취 확인 시점에 투자 이익을 구매자에게 환급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주문시점과 배송시점까지의 금융 상품 투자 수익에 대한 정보는 타임 갭 투자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이는 타임 갭 정보의 일종이다.
350은 사용자가 냉장고를 구매하기 위해 냉장고 상품 구매 페이지로 접속한 경우에 보여지는 정보이다. 상품의 사진과 판매가가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배송희망일(351)과 환급 투자상품(361)이 표시되어 있다. 구매자는 배송 희망일을 변경할 수 있다.
배송 희망일을 입력하고, 환급 투자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361의 드롭 박스를 클릭할 경우 372와 같이 투자상품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투자 상품을 선택함에 있어 현재 수익율 정보도 함께 병기할 수 있다. 사용자가 코스닥펀드를 선택할 경우, 370과 같이 배송희망일 및 환급 투자 상품이 결정되어 주문 버튼을 누를 경우, 판매자에게 주문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3b의 과정을 통해, 구매자는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구매 시점과 배송 시점에 따라 투자 수익을 환급받을 수 있다.
도 3b에서 배송일을 선택할 경우 환급이 되도록 하는 과정은 모두 타임 갭 가격 정보에 의해 결정된다. 타임 갭 가격 정보는 제품의 가격에 대해 배송일까지의 시간을 적용하여, 배송일이 길어질 경우 적용할 수 있는 투자 금융 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단기간인 경우에는 단기간에 적합한 투자 금융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타임 갭 정보의 일종인 타임 갭 투자 정보는 상품에 따라 달리 정해질 수 있으며, 은행의 이율, 또는 투자 금융 상품의 시간에 따른 수익율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서 구매자는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가격을 배송 시점의 조정을 통해 인하시키거나, 또는 배송 시점과 결제 시점 사이의 시간적 간격을 이용하여 낮은 가격으로 구매하거나 또는 결제 금액의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는 타이밍 마켓의 구현을 살펴보았다.
그런데, 이러한 시간적 간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금전적 이익은 상품의 선택에 있어 가격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그대로 반영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인터넷 쇼핑몰은 단순히 가격만을 입력하여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검색 기능은 타이밍 마켓의 다양한 가격 결정 모델에 적합하지 않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가 상품의 가격 정보 및 배송 정보를 기반으로 타이밍 마켓에서 상품을 검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구매자가 특정 상품에 대하여 가격대 및 배송기간을 입력하여 검색한 결과를 보 여주는 도면이다. 410은 구매자가 드롭박스를 통해 가격대를 선택하고 검색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배송기간 역시 드롭박스로 선택할 수 있다. 가격대 및 배송 기간이 입력되면 해당 상품에 대한 타이밍 마켓의 판매 상품이 421, 422, 423과 같이 나열된다. 421의 경우, 타이밍 가격이 55만원이며, 주문 후, 즉 결제 후 10일 이후 배송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즉시구매가가 60만원으로, 10일 이후 배송이 되면 5만원이 할인됨을 알 수 있다. 422의 경우, 타이밍 가격이 50만원이며, 주문 후, 즉 결제 후 10일 이후 배송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즉시구매가가 63만원으로, 20일 이후 배송이 되면 13만원이 할인됨을 알 수 있다. 421, 422는 배송 기간을 조절하여 가격의 인하를 가져오는 예를 보여준다. 423은 결제 이후 배송이 완료된 경우 금융상품의 투자를 통한 환급의 예를 보여준다. 환급 적용 예상 가격은 52만원이며 배송은 주문 후 20일 이후 가능하다. 즉시 구매가가 63만원으로, 11만원의 환급이 예상된다. 환급 적용 예상 가격은 금융 상품에 따라 달라지는데, 투자 금액의 환금액이 명확한 경우에는 환급 확정 가격으로 표시될 수 있다. 반면 투자 금액이 펀드와 같이 환금액을 명확하게 제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환급 적용 예상 가격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가격 및 배송 기간 정보를 모두 입력하여 검색하고 있다. 그러나, 구현 방식에 따라 가격 정보만 입력할 수도 있고, 배송 기간만 입력하여 검색할 수도 있다. 어떤 구현 방식인 경우에도 최소 가격 혹은 최대 환급액을 기준으로 검색할 수 있으므로, 검색의 기준은 가격 및 배송 기간 모두 적용 가능하다.
도 3a, 3b,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타이밍 마켓에서는 상품의 현재 판매가격뿐만 아니라, 배송을 늦출 경우의 가격 및 배송 이후 구매자에게 환급되는 이익이 상품의 판매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카테고리 혹은 이벤트를 기반으로 판매 상품의 가격 또는 배송 정보를 추천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판매자는 자신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다른 판매자가 어떤 가격에 판매하는지를 토대로 자신의 판매 가격을 책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그래프와 같이 가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510은 특정 상품의 판매가격이 배송 기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배송 기간은 1주일 간격으로 표시되어 있다. 판매자 1은 배송 기간과 무관하게 동일한 가격을 제공하는 판매자이다. 흔히 타이밍 마켓이 아닌 다른 온라인 마켓에서 볼 수 있는 판매자이다. 판매자 2는 배송 기간이 길어지면서 판매 가격이 완만하게 하락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가격의 하락 폭이 전반적으로 완만하며 2주를 기준으로 배송 기간이 길어지면 가격의 하락 폭이 더 크다. 반면 판매자 3은 배송기간이 2주 이내인 경우에는 가격의 하락이 없다. 그 대신 2주 이후 배송인 경우에는 가격의 하락 폭이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판매자 2와 판매자 3이 상이한 방식으로 가격 폭의 하락이 있는 것은 각각의 배송 상황, 물량 확보, 현금 보유 상황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타 판매자의 동일 상품에 대한 배송 기간-가격 그래프를 통해, 판매자는 배송 기간과 가격간에 어떤 할인율을 제공해야 할 것인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520은 계절 상품의 판매에 있어서 적정 가격대를 추천하는데 필요한 정보이다. 여름에 인기있는 품목들에 대해 판매 가격의 동향을 알려주고 있다. 각각의 품목이 가지는 가격의 차이 때문에, 배송 기간과 가격비(비율)가 보여진다. 가격비는 즉시배송되는 가격과 비교하여 실제 배송 기간이 연기되어 판매되는 가격의 비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즉시 배송시 10만원에 판매되지만, 3개월 뒤 배송시 9만원에 판매된다면, 이는 90%가 된다. 에어컨은 물류 비용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1월에 구매하여 배송을 하면 물류 비용도 저렴하므로 85%의 가격비가 된다. 그러나 3월, 5월로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가격비는 87.5%, 90%로 상승한다. 한편 7월이 되면 에어컨의 수요와 배송이 가장 많아지는 시기이므로, 이 때에는 가격비가 95%가 된다. 이후 9월은 여름이 지난 시점이며, 재고 상품의 처리가 될 수 있으므로, 80%의 가격비를 가지게 된다.
반면, 수영복은 물류 비용이 크지 않다는 특징과 여름 신상품과 비교할 때 1월에 판매되는 상품은 여름의 유행과 다소 거리가 있을 수 있으므로, 가격비는 80%가 된다. 이후, 3월, 5월이 되면 상품의 가격비가 상승하며 여름의 시기가 지난 9월에는 다수 가격비가 하락한 모습을 볼 수 있다.
510과 520을 통해 판매자는 판매하고자 하는 자신의 상품에 대한 적절한 가격선을 찾을 수 있다. 물론, 510과 520은 본 발명에 의해 예시적으로 표시한 것이 며, 특정 판매자들의 상품 판매 가격 동향뿐만 아니라 평균 가격 동향, 최고, 최저 가격 동향 역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계절 상품 이외에도 특정 이벤트, 예를 들어, 졸업 및 입학 선물, 결혼 선물 등에 대해서도 그래프의 형태로 가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래프는 510, 520의 형태 이외에도 원형 분포도, 3차원 분포도 등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기간-가격 정보를 표의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그래프의 형태가 아니라 수치의 형태로도 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상품을 1주일 배송기간으로 판매하는 경우를 판매자가 도 4와 같은 방식으로 입력할 경우 타이밍 마켓의 가격 추천 시스템은 최저 가격을 제시할 수 있다. 물론, 평균 가격 역시 제시할 수 있다.
도 5에서 미도시되었으나, 가격의 할인을 투자 환급액을 적용한 가격으로 하여 가격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결제 이후 금융 상품에 투자하여 배송 시점 이후 환급될 투자 금액을 결제된 금액에 적용하면 그만큼 가격의 하락이 발생하므로 투자 환급 방식의 타이밍 마켓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마켓 서버에서 판매자에게 특정 상품 또는 특정 이벤트에 해당하는 상품들의 가격을 추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판매 클라이언트로부터 상품 정보를 수신한다(S610). 상품 정보는 특정한 하나의 상품이 될 수 있고, 특정 상품군이 될 수 있으며, 또한 특정 이벤트에 속하는 상품들 모두가 될 수 있다. 하나의 특정된 상품은 A사의 B라는 모델의 냉장고와 같이 최종 구매의 판단이 되는 상품을 의미한다. 특정 상품군은 A사에서 판매하는 모든 냉장고 혹은 현재 타이밍 마켓에서 판매하는 모든 냉장고 등이 될 수 있다. 이벤트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졸업, 입학, 결혼 등의 특정 시점 또는 특정한 경우와 맞물려서 판매가 되는 상품들을 하나의 집합으로 한 것을 의미한다. 서버는 수신한 상품 정보를 사용하여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상품의 판매와 관련된 타임 갭 정보를 검색한다(S620). 그리고 타임 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의 가격 변화 정보를 계산한다(S630). 계산은 상품군/상품/이벤트 내 상품들에 대해 다른 판매자들이 어떤 타임 갭 정보를 설정하여 판매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계산된다. 예를 들어, 배송 기간이 1주일인 경우/2주일인 경우와 같이 일정 기간으로 나누어서 해당 기간의 판매 가격 또는 타임 갭 가격 정보가 적용된 가격을 표시하거나, 혹은 당일 배송 가격에서 할인된 비율 또는 판매되는 가격의 비율(도 5의 520)을 계산한다. 그리고 상기 계산한 정보를 토대로 상품의 가격 변화 정보를 시간 정보와 결합한다(S640). 예를 들어 도 5에서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과 같이 시각적인 정보를 줄 수 있도록 정보를 결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시간 정보를 하나의 축으로 하고, 가격의 변화 정보를 또하나의 축으로 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격의 변화를 그래프화 하여 표시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가격 정보와 배송 정보를 판매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된 가격 변화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판매 클라이언트의 출력 장치에 맞게 변환하여 상기 판매 클라이언트에 송신한다(S650). 판매 클라이언트가 컴퓨터인지, 아니면 휴대폰인지 등에 따라 그에 맞게 이미지 또 는 텍스트 정보를 변환하여 송신할 수 있다.
타임 갭 가격 정보 외에 금융 상품에 투자하여 그 이익을 환급하도록 가격을 설정하는 타임 갭 투자 정보에도 도 6의 프로세스를 적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배송에 따른 금융 상품 투자 수익율을 검색하여 추천할 수 있다. 즉, 좋은 환급 조건의 금융 상품을 추천하여 판매자가 상품 판매 및 환급으로 인한 이익을 함께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품정보DB(710)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즉 해당 상품의 가격, 상품명과 같은 기본 정보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타임 갭 가격 정보를 제공한다. 타임 갭 가격 정보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송 기간이 늦어질 경우 가격의 할인율 또는 가격이 할인될 경우 배송 기간의 설정과 같이 가격과 배송 기간 사이의 탄력적인 변화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판매자가 명확하게 배송일과 가격의 변동 폭을 지정할 수도 있고, 판매자가 소정의 관계 방정식 만을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서의 311, 312 등과 같이 배송 기간이 드롭 박스에 표시되도록 픽스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날짜 또는 기간을 입력하면 미리 정해진 수식에 의해 변화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품정보DB(710)는 타임 갭 투자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타임 갭 투자 정보는 타이밍 마켓 전체에서 균일하게 제공될 수도 있으며, 상품 하나하나에 대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판매자 개개인이 설정한 금융 상품이 될 수 있다.
타임 갭 투자 정보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송 기간이 늦어질 경우 결제 시점과 배송 시점 사이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금융 투자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판매자가 배송일에 무관하게 특정 금융 상품을 지정할 수도 있고, 판매자가 소정의 기간-투자수익율에 대한 관계 방정식을 입력하여 소비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판매자는 단지 금융 투자 환급이 가능하도록 설정하고, 서버에서 모든 판매자에 대하여 동일한 기준 하에 금융 투자 환급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품별 타임 갭 정보 또는 타이밍 마켓 전체에 적용되는 타임 갭 정보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검색의 기준 정보가 될 수 있다.
구매자 정보DB(720)는 구매자가 상품을 구매함에 있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구매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 및 배송 주소, 결제 방식, 배송일자 등 주문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매자 정보 DB(720)에는 일반적인 사용자 관련 정보를 함께 포함한다.
판매자 정보 DB(730)는 판매자의 정보를 제공한다. 해당 상품에 대해 구매가 진행될 경우, 판매자에게 정보를 알리기 위해 필요한 통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별도의 상품 판매 정보 게시판을 제공하여, 판매자들이 해당 게시판에 업로드된 판매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판매자 정보 DB(530)에는 일반적인 사용 자 관련 정보를 함께 포함한다.
통신정보처리부(740)는 클라이언트와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 데이터는 앞서 살펴본 타임 갭 정보를 포함한 상품/상품군/이벤트별 상품들에 대한 가격-배송 정보를 요청하는 쿼리를 포함한다. 타이밍 마켓이 인터넷 상에 구현된 경우 웹 프로토콜을 제어하게 되며, 모바일 상에 구현된 경우, 폰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통신 정보 처리부(540)는 타이밍 마켓이 어떤 방식의 온라인 마켓을 제공하느냐에 따라 통신 방식을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정보 처리부(540)는 구매자 또는 판매자의 컴퓨터, 폰, PDA 등과 통신할 수 있으며, 구매자가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 금융 기관의 클라이언트와도 통신할 수 있다.
중앙 처리 장치(750)는 통신 정보 처리부(740)가 구매/판매 클라이언트 또는 금융 기관의 클라이언트와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정보가 무엇이고 처리해야 할 주문이 무엇인지 등을 파악하여 처리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앞서 살펴본 도 6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상품에 대한 타임 갭 정보에 의한 가격-배송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한다. 판매자(상품 판매)가 다수인 경우, 각각의 판매자가 제공하는 가격 정보를 계산하여 클라이언트로 송신할 수 있고, 평균 가격-배송 정보, 또는 최다 가격-배송 정보를 계산하여 클라이언트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상품정보 DB(710), 판매자 정보DB(730)를 검색하거나 정해진 타임 갭 정보를 검색 조건에 알맞게 변환하여 계산한 후 검색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결과를 통신 정보 처리부(740)를 통해 클라이언트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는 본 발명을 실제 금융 산업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판단된다.
본 발명은 종래에 결제와 배송이라는 시간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상품의 판매를 배제하고, 온라인 또는 인터넷 상에서 상품을 구매하고 판매함에 있어서 시간차이를 적용하여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판매자에게 가격-배송 정보를 추천한다.
또한 다른 판매자의 가격 정보를 통해 판매자가 보다 합리적인 가격하에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전통적인 온라인 쇼핑에서의 쇼핑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앞서 살펴본 시간 인자가 본 발명에서 가격과 결제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가 배송 시간에 따라 가격이 변동된 상품을 구매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가 상품을 구매하며 결제 시점과 배송 시간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금융 시간의 이익을 선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가 상품의 가격 정보 및 배송 정보를 기반으로 타이밍 마켓에서 상품을 검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카테고리 혹은 이벤트를 기반으로 판매 상품의 가격 또는 배송 정보를 추천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마켓 서버에서 판매자에게 특정 상품 또는 특정 이벤트에 해당하는 상품들의 가격을 추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Claims (8)

  1. 타이밍 마켓을 구현하는 서버에서 타임 갭 정보와 결합한 가격 및 배송 정보를 추천하기 위해,
    상기 타이밍 마켓을 구현하는 서버가 판매 클라이언트로부터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a) 단계;
    상기 타이밍 마켓을 구현하는 서버가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상품의 판매와 관련된 타임 갭 정보를 검색하는 (b) 단계;
    상기 타이밍 마켓을 구현하는 서버가 상기 타임 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의 결제 및 배송 시간의 간격, 또는 결제 시점과 배송 시점 사이의 시간적 차이에 따라 상기 상품의 가격 변화 정보를 계산하는 (c) 단계;
    상기 타이밍 마켓을 구현하는 서버가 상기 상품의 가격 변화 정보를 시간 정보와 결합하는 (d) 단계; 및
    상기 타이밍 마켓을 구현하는 서버가 상기 결합된 가격 변화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상기 판매 클라이언트의 출력 장치에 맞게 변환하여 상기 판매 클라이언트에 송신하는 (e)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 정보는 특정 상품에 대한 정보 또는 특정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타임 갭 정보는 상기 상품의 결제 및 배송 시간의 간격에 따라 투자 가능한 금융상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금융상품에 투자하여 그 이익을 환급하도록 가격을 설정하는 타임 갭 투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마켓에서 타임 갭 정보와 결합한 가격 및 배송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는 특정 상품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타이밍 마켓을 구현하는 서버가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다른 판매자의 타임 갭 정보를 참조하여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마켓에서 타임 갭 정보와 결합한 가격 및 배송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타이밍 마켓을 구현하는 서버가 시간 정보를 하나의 축으로 하고, 가격의 변화 정보를 또하나의 축으로 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격의 변화를 그래프화 하여 표시하도록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마켓에서 타임 갭 정보와 결합한 가격 및 배송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
  5. 판매 클라이언트로부터 검색하고자 하는 상품의 정보를 수신하며, 중앙 처리 장치가 생성한 추천 가격-배송 정보를 검색 클라이언트로 송부하는 통신 정보 처리부;
    소정 가격 정보의 범위 또는 소정 배송 정보의 범위에 따라 검색 가능하게 상품의 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정보 DB;
    구매자의 구매 현황 및 결제 정보를 저장하는 구매자 정보 DB;
    판매자의 판매 정보 및 결제 정보를 저장하는 판매자 정보 DB; 및
    통신 정보 처리부가 수신한 상품의 판매와 관련된 타임 갭 정보를 검색하여 타임 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의 결제 및 배송 시간의 간격, 또는 결제 시점과 배송 시점 사이의 시간적 차이에 따라 상기 상품의 가격 변화 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상품의 가격 변화 정보를 시간 정보와 결합하여 결합된 가격 변화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상기 판매 클라이언트의 출력 장치에 맞게 변환하는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 정보는 특정 상품에 대한 정보 또는 특정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타임 갭 정보는 상기 상품의 결제 및 배송 시간의 간격에 따라 투자 가능한 금융상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금융상품에 투자하여 그 이익을 환급하도록 가격을 설정하는 타임 갭 투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마켓에서 타임 갭 정보와 결합한 가격 및 배송 정보를 추천하는 타이밍 마켓 시스템.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는 특정 상품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다른 판매자의 타임 갭 정보를 참조하여 계산하는, 온라인 마켓에서 타임 갭 정보와 결합한 가격 및 배송 정보를 추천하는 타이밍 마켓 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시간 정보를 하나의 축으로 하고, 가격의 변화 정보를 또하나의 축으로 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격의 변화를 그래프화 하여 표시하도록 결합하는, 온라인 마켓에서 타임 갭 정보와 결합한 가격 및 배송 정보를 추천하는 타이밍 마켓 시스템.
KR1020090010218A 2009-02-09 2009-02-09 온라인 마켓에서 타임 갭 정보와 결합한 가격 및 배송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955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218A KR100955631B1 (ko) 2009-02-09 2009-02-09 온라인 마켓에서 타임 갭 정보와 결합한 가격 및 배송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218A KR100955631B1 (ko) 2009-02-09 2009-02-09 온라인 마켓에서 타임 갭 정보와 결합한 가격 및 배송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5631B1 true KR100955631B1 (ko) 2010-05-03

Family

ID=42281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218A KR100955631B1 (ko) 2009-02-09 2009-02-09 온라인 마켓에서 타임 갭 정보와 결합한 가격 및 배송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6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198B1 (ko) * 2014-01-27 2015-02-23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선불화폐를 위한 컨텐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비스 제공 장치
WO2015026795A1 (en) * 2013-08-20 2015-02-26 Vogel Tether, LLC Terrace-based computer system for sale and purchase of items and products
KR20190121044A (ko) * 2018-04-17 2019-10-25 (주)레몬클라우드 상품의 최저가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645A (ko) * 2000-03-24 2000-07-05 김병수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84100A (ko) * 2000-02-23 2001-09-06 오화석 포장재 물류 시스템 및 인터넷 쇼핑몰 운영방법
KR20010097358A (ko) * 2000-04-21 2001-11-08 방만성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 주주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100A (ko) * 2000-02-23 2001-09-06 오화석 포장재 물류 시스템 및 인터넷 쇼핑몰 운영방법
KR20000036645A (ko) * 2000-03-24 2000-07-05 김병수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97358A (ko) * 2000-04-21 2001-11-08 방만성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 주주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6795A1 (en) * 2013-08-20 2015-02-26 Vogel Tether, LLC Terrace-based computer system for sale and purchase of items and products
KR101494198B1 (ko) * 2014-01-27 2015-02-23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선불화폐를 위한 컨텐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비스 제공 장치
KR20190121044A (ko) * 2018-04-17 2019-10-25 (주)레몬클라우드 상품의 최저가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08459B1 (ko) * 2018-04-17 2020-05-28 (주)레몬클라우드 상품의 최저가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0101B2 (en) Merchant management system for adaptive pricing
US20010047308A1 (en) Concurrent dynamic pricing marketing and selling system
KR101807965B1 (ko) 오픈 마켓에서의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결제 후 랜덤 추가 할인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797697B1 (ko) 잭팟할인율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KR101311452B1 (ko) 인센티브 가변식 구매권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6224827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EP3282415A1 (en) System for providing changing interest rate financial product that is connected to expenditure
KR100955631B1 (ko) 온라인 마켓에서 타임 갭 정보와 결합한 가격 및 배송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17016330A (ja) 金融商品ポートフォリオ取引システム
JP6866571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202115650A (zh) 商品交易系統、商品交易方法以及商品交易程式
KR20000037444A (ko) 인터넷상에서 회원의 직접 추첨에 의해 물품대금 전액을되돌려주는 확률의 실시간 고지를 이용한 물품판매 시스템
KR101725278B1 (ko) 온라인 쇼핑몰의 다단계포인트 운영장치
KR20110024505A (ko) 실시간 변동 할인율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1189110B1 (ko) 불규칙적인 변동할인율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US20140074752A1 (en) Commerc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ccess to an Investment Signal Based on Product Information
KR101682635B1 (ko) 균일가 판매상품을 거래하기 위한 균일가상품거래시스템 및 균일가상품거래방법
KR100936045B1 (ko) 타임 갭 정보와 결합한 가격 또는 배송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을 검색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955633B1 (ko) 온라인 마켓에서 타임 갭 정보를 적용한 타이밍 마켓을 구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2183495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よる購入商品決定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60131374A (ko) 회원제 쇼핑몰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55631B1 (ko) 적립금 선결제 및 기부가 가능한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 및 그의 운영 방법
KR20140108447A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상의 상품 가격 할인 시스템
KR100955632B1 (ko) 온라인 쇼핑 결제 대금을 금융 상품에 투자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7337224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