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6645A -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6645A
KR20000036645A KR1020000015077A KR20000015077A KR20000036645A KR 20000036645 A KR20000036645 A KR 20000036645A KR 1020000015077 A KR1020000015077 A KR 1020000015077A KR 20000015077 A KR20000015077 A KR 20000015077A KR 20000036645 A KR20000036645 A KR 20000036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ce
product
information
buyer
sa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5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수
허봉
최인영
Original Assignee
김병수
자오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수, 자오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병수
Priority to KR1020000015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6645A/ko
Publication of KR20000036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664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06Q50/6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는 구매자의 구매 시스템에게 구매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판매되는 상품의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구매자가 구매 시스템을 통하여 하나의 상품 구매를 선택하면 선택된 상품에 대한 대금 결재를 수행한다. 또한, 일정 시간마다 각 상품별로 설정되어 있는 가격 변화 모델을 토대로 해당 상품의 가격을 재 설정하고, 재 설정된 상품의 가격 정보를 가격 통지 예약을 한 구매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 등으로 제공하여 구매자가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상품의 가격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판매자는 자신의 상품의 판매 추이를 수시로 점검하고 판매 추이에 따라 가격 변화 모델을 설정하여 탄력적이고 동적인 가격 정책을 행사하여 판매 이윤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가격 정책이 실시간으로 잠재적인 구매자에게 제공됨에 따라 보다 많은 구매자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구매자 또한 이러한 판매자의 가격 정책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ELECTRO COMMERCE SYSTEM AND METHOD THEREOF}
이 발명은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판매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탄력적이고 동적인 가격을 제시하여 구매자가 저렴한 가격으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구매자와 판매자를 연결하는 여러 형태의 상거래 방법이 네트워크, 특히 인터넷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인터넷 쇼핑몰 등에서는 일반적으로 판매자가 상품의 특징 및 가격을 표시하고 구매자가 진열되는 상품 중에서 선호하는 상품을 선택하여 구매하는 판매자 중심의 상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상거래에서는 판매자가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하여 고정된 가격을 책정하고 구매자가 그 가격에 구매를 동의하면 판매 계약이 체결되는 판매자 중심의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다른 상거래 방법으로는 경매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경매 방법은 판매자에 의하여 가격이 결정되지 않고 판매자가 다수의 구매자를 유인하여 최종 가격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매 방법에서도 가격의 유동성은 존재하지만 기본적으로는 판매자 중심으로 상거래가 이루어지게 되어, 구매자가 원하는 가격으로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최근에는 이러한 판매자 중심의 상거래와는 달리 구매자 중심의 상거래 방법으로 역경매를 통한 전자 상거래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역경매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에서는 구매자가 게시판 등을 통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 가격 및 조건을 명시하면, 관심이 있는 판매자가 구매자의 요구에 동의할 때 판매 계약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거래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방법은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에게 다음과 같은 불편함을 야기시킨다.
구매자의 입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단점들을 살펴보면, 첫째, 구매자는 자신의 요구를 정확히 기술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구매자는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조건을 제시할 때 "만약 가능하다면"이라고 하기보다는 예를 들어 "몇 월 몇 일, 제주도 2박 3일, 호텔 일급, 대한 항공" 등 고정적인 조건을 명확하게 제시하여야 한다.
둘째, 구매자는 적절한 가격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해당 상품의 가격들을 사전에 조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3박 4일의 제주도 여행을 위하여 항공권과 일급 호텔의 숙박권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구매자는 일반적인 국내 항공편 가격 및 국내 일급 호텔의 일박 숙박 경비를 먼저 조사하여야 하며, 또한 이러한 가격들은 이용하고자 하는 시기에 따라 유동적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가격 조사를 하여야 한다. 통상 가격보다 저렴하게 이용하기를 원하는 구매자는 일단 이러한 사전 조사가 이루어져야만 손해를 보지 않고 이 가격보다 저렴한 가격을 제시할 수가 있다.
셋째, 보다 확실한 구매를 위해서는 구매자는 잠재적인 판매자가 많이 방문할 가능성이 있는 싸이트들을 신중하게 선택하여야 한다.
판매자가 많이 방문하지 않는 싸이트의 게시판을 통하여 구매 조건을 제시한 경우나, 구매자가 제시한 가격에 오류가 있거나 또는 구매자가 제시한 가격이 터무니없이 낮은 가격일 경우에는 판매자를 유인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구매자가 제시한 조건 중에 동의할 수 없는 조건이 있는 경우에는 거래의 성사를 위해서는 협상이라는 단계를 거쳐야 하고, 여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판매자의 입장에서 역경매시에 발생될 수 있는 단점들을 살펴보면, 판매자로서도 적당한 구매자를 찾기 위해서 상당한 시간과 노력의 투자가 요구된다. 판매자는 우선 여러 싸이트의 게시판을 방문해야 하고, 구매자들이 제시한 조건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아야 한다. 그러나 서로간의 문화나 언어 상의 장벽이 있거나 제안 가격 등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협상이라는 단계를 거치는 것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역경매 상거래 방법은 구매자가 자신이 제시하는 가격에 구매가 가능하다는 사실이 매력적임에도 불구하고, 상기와 같은 이유로 구매자와 판매자의 참여가 저조한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구매자가 제시하는 조건의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구매자와 판매자의 시간 및 트랜잭션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컴퓨터 관련 상품과 같이 시장 조사가 비교적 용이하고 많은 판매자가 참여하는 경우에만 약간의 거래가 이루어질 뿐, 근본적으로 구매자와 판매자의 참여율 감소로 인하여 역경매 시장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역경매를 이용한 상거래 방법이외에도 판매자가 박리다매나 할인과 같은 가격 인하 정책을 사용하여 매출을 신장시키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즉, 상거래에서 판매자는 자신의 상품과 서비스를 많이 판매하고자 하고 구매자는 같은 상품이나 서비스 등을 되도록 저렴하게 구매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판매자는 가격 인하 정책을 사용하여 많은 구매자들을 유인하고자 한다. 이러한 방법은 수요와 공급의 상황, 상품의 특성, 계절적 또는 시간적 요인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상품의 가격을 잠재적인 구매자에게 홍보하여 매출을 증진시키는 방법으로 흔히 사용된다. 구매자는 평상시보다 낮은 가격으로 같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다는 이점을 이용하고, 판매자는 가격 할인을 통하여 매출을 늘리는 이점을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운용되고 있는 판매자 또는 구매자 중심의 전자 상거래 방법에서는 일반 상거래에서와 같이 판매자가 탄력적인 가격 정책을 운용하기가 어렵다. 그 이유는 판매자는 수요에 대한 예측과 재고, 시간적/계절적 요인, 과거 판매 이력, 상품에 대한 특성 등의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가격을 책정하거나 변경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요인을 정량적으로 수치화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또한, 상품의 가격을 수시로 변동하여 운용하는 판매자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 가격 정보를 실시간으로 바로 바로 구매자에게 알릴 수 있는 마땅한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다. 할인점이나 슈퍼마켓 등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폐점 한시간 전 할인 가격은 그 시점에 그 매장에 있는 구매자에게만 그 정보가 한정된다.
그러므로, 이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판매자가 수요와 공급에 따른 탄력적인 가격을 운용하도록 하고, 이러한 가격 운용 정보를 실시간으로 잠재적인 구매자에게 제공하여, 원활한 상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시스템의 판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의 각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 속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판매자 등록 및 상품 정보 등록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다수 가격 변화 모델의 가격 변화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상품 구매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상품 구매시 구매자의 메뉴 선택에 따라 구매 시스템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1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가격 설정 및 통지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전자 상거래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구매자의 구매 시스템과 판매자의 판매 시스템 사이에서 상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상품 코드별로 상품 가격 및 해당 상품의 가격을 변화시키기 위한 가격 변화 모델을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상품 데이터 베이스; 상기 상품별로 각각 설정되어 있는 가격 변화 모델을 토대로 시간 경과에 따라 해당 상품의 가격을 재 설정하고, 재 설정되는 가격 정보를 실시간으로 구매자의 구매 시스템으로 제공하여 상품 구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처리 서버를 포함한다.
이 가격 변화 모델은 1) 설정 시간 동안 수요에 따라 상품 가격을 초기가와 최저가 사이에서 변화시키는 제1 방식, 2)설정 시간 동안 수요에 따라 상품 가격을 최고가와 최저가 사이에서 변화시키는 제2 방식, 3)설정 시간 동안 수요에 따라 상품 가격을 초기가와 최고가 사이에서 변화키는 제3 방식 및 4)설정 시간 동안 제1 내지 제3 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시켜 상품 가격을 변화시키는 제4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식의 초기가는 해당 상품의 최고가이고, 상기 제3 방식의 초기가는 해당 상품의 최저가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상거래 시스템은, 상품 코드 및 이 상품에 대한 가격 통지를 예약한 구매자의 연락처를 포함하는 예약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가격 통지 예약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처리 서버는 설정 시간마다 상기 상품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상품별로 설정되어 있는 가격 변화 모델을 토대로 하여 해당 상품의 가격을 재 설정하는 가격 관리부; 상기 재 설정된 상품의 상품 코드를 토대로 상기 가격 통지 예약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상품 코드에 대응되어 있는 구매자의 연락처로 재 설정된 상품의 가격 정보를 전송하는 가격 통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구매자의 연락처는 실시간으로 구매자가 상품 가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이동 전화 번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판매된 상품의 코드 및 판매된 가격을 포함하는 판매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판매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처리 서버는 판매자의 판매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재고 갱신 메시지와 함께 판매된 상품 코드 및 가격 정보가 전송되면, 이 정보를 상기 판매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재고 갱신 처리를 수행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품 판매가 이루어진 경우 구매자가 구매한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 및 가격 정보와 함께 재고 갱신 메시지를 상기 판매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상기 판매 시스템에서 재고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판매자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전자 상거래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구매자의 구매 시스템과 판매자의 판매 시스템 사이에 상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에서, 설정 시간마다 판매되는 상품의 가격을 재 설정하는 단계; 및 재 설정되는 상품의 가격 정보를 실시간으로 구매자의 구매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상품 구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상품 가격을 재 설정하는 단계는 시간 경과 및 상품의 판매 수량에 따라 상품 가격을 가변적으로 설정하며, 특히 위에 기술된 제1 방식, 제2 방식, 제3 방식 및 제4 방식 중의 하나를 가격 변화 모델로 사용하여 해당 상품의 가격을 재 설정한다.
이외에도 전자 상거래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는 구매 시스템에게 판매되는 상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구매자가 구매 시스템을 통하여 하나의 상품 구매를 선택하면, 선택된 상품에 대한 대금 결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구매자가 구매 시스템을 통하여 하나의 상품에 대한 가격 통지 예약을 선택하면, 선택된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 및 구매자의 연락처를 포함하는 예약 정보에 따라 가격 통지 예약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가격 통지 예약이 된 상품의 가격이 재 설정되는 경우에 해당 상품의 가격 정보를 해당 구매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구매자의 위치 정보에서 설정 범위 내에 위치된 판매점에서 판매되는 상품 정보를 제공하여 구매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상품 구매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이 경우에 구매자의 위치 정보는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는 구매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발명에 따른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판매자가 취급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특징에 따라 가격 변화 모델을 적용하여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을 유동적으로 변경시킨다.
일반적으로 판매자 중심의 상거래 시스템에서는 모든 상품의 가격이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가치가 소멸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경우, 해당 가격은 만기에 가까워질수록 내려갈 가능성이 많다. 예를 들어, 호텔의 빈 객실, 연극이나 영화 같은 공연 관람권, 항공권, 고속 버스나 열차 승차권, 또는 이미 시장으로 출하되어 시간이 경과할수록 상품 가치가 떨어지게 되는 꽃과 농수산물 등의 상품이나 서비스는 만기가 경과되기 전에 낮은 가격으로라도 판매를 하는 것이 판매자의 이윤을 최대화시키게 된다.
시간이 경과될수록 같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보다 낮은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다는 사실은 구매 욕구를 증가시키며, 따라서 탄력적인 가격 형성을 통한 거래는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에게 이윤을 줄 수 있다.
그러나, 만기가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라고 하더라도 항상 일정한 비율로 가격을 인하하는 방법은 판매자의 이득을 최대화시켜 주는 방법이 되지는 못한다. 예를 들어, 영화 상영관의 경우 7시 좌석이 상영 10분전까지 판매되지 않은 표가 다수 있다고 할 경우, 인기가 있는 영화라면 판매자는 7시 이후에도 관객을 유치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실제로 상영관 밖에서 관객이 표를 구하기 위하여 줄을 서고 있는 경우에는 가격을 내릴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비인기 영화를 상영하는 경우에는 미리부터 가격을 내리는 방법을 사용하여 객석의 점유율을 높이는 방법이 더 이득이 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빈 호텔 객실의 경우, 오후 10시가 지나도 빈 객실이 많은 경우에는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객실의 가격을 인하하고 이 정보를 잠재 구매 고객에게 즉시 제공하여 객실 판매를 늘리는 것이 보다 이윤을 남길 수가 있다. 또한, 호텔과 같은 숙박 업소의 경우에는 성수기, 비성수기마다 적용되는 가격이 다르고, 주말이나 공휴일 등에 적용되는 가격이 다르고, 같은 성수기라고 하여도 예약 객실의 최소나 돌발 요인에 의하여 빈 객실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가격 체계를 변경시키는 것이 보다 큰 이윤을 올릴 수가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서는 판매자가 취급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특징에 따라 가격 변화 모델을 적용하여 판매자의 이윤이 보다 최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판매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가격 결정 요인이 반영되는 가격 변화 모델을 제공하고, 판매자가 필요시마다 이러한 가격 변화 모델을 설정하도록 하여 판매 이윤이 최대화 되도록 한다.
또한, 판매자가 설정한 가격 변화 모델에 따라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가격을 재 설정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잠재적인 구매자에게 제공하여, 구매자가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는 이러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시스템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의 개념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 실질적인 전자 상거래 시스템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시스템은, 구매자가 판매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제공받고 해당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도록 하는 구매 시스템(100)과, 인터넷(200, 퓨처 네크워크 포함)을 통하여 구매자에게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판매 시스템(300) 및 인터넷(200)에 연결되어 구매 시스템(100)과 판매 시스템(300) 사이에 상거래가 이루어지도록 중개하는 중개 시스템(400)을 포함한다.
구매 시스템(100)으로는 인터넷(200)을 통하여 중개 시스템(400)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장치가 이용되며, 여기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사용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컴퓨터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TV 등의 다른 통신 장치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구매 시스템(100)은 인터넷(200)을 통하여 중개 시스템(400)에 접속할 수도 있으며, 또한 무선 통신망(500)을 통하여 중개 시스템(400)에 접속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무선 통신망(500)을 통하여 구매 시스템(100)과 중개 시스템(400) 사이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600)이 인터넷(200)을 통하여 중개 시스템(400)에 연결되어 있다.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600)은 무선 통신망(500)을 통하여 접속하는 구매 시스템(100)을 인터넷(200)으로 연결시켜 인터넷(200) 상에서의 전자 상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며,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중개 시스템(400)과 제휴하여 구매자가 구입한 물품에 대한 대금을 이동 전화료와 함께 청구하기도 한다.
판매 시스템(300)은 인터넷(200)을 통하여 다양한 상품 및 서비스를 판매하는 판매자에 의하여 운영되는 시스템으로서, 도 3에 판매 시스템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판매 시스템(300)은 판매자가 독립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운영하는 판매 및 재고 관리 시스템인 판매자 운영 시스템(700)과 연결되어 각 판매점에서 직접 판매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서 중개 시스템(400)으로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판매 시스템(300)은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모뎀 등의 통신 장치를 통하여 판매자 운영 시스템(700)과 연결되어 각 판매점의 상품 재고 현황을 감시하는 판매 현황 처리부(310) 및 중개 시스템(400)의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메일 송수신부(320)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전반적인 판매 관리를 위하여 중개 시스템(400)의 가맹점으로의 등록, 상품의 판매 방식(판매 시간, 가격 변화 모델, 가격 변화 모델 적용 시간 등)을 설정하는 판매 운영부(330)를 포함한다. 이러한 판매 시스템(300)의 각 요소(310∼330)들은 CPU 등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판매 시스템(300)에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웹 브라우저 등이 설치되어 있다.
중개 시스템(400)은 판매 시스템(300)과 구매 시스템(100) 사이의 상거래가 이루어지도록 중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데이터 저장 장치(410)와, 데이터 저장 장치(410)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정보를 토대로 판매 중개를 수행하는 처리 서버(420)를 포함한다.
데이터 저장 장치(410)는 구매자 데이터 베이스(4101), 판매자 데이터 베이스(4102), 상품 데이터 베이스(4103), 판매 데이터 베이스(4104), 판매 로그 데이터 베이스(4105), 가격 통지 예약 데이터 베이스(4106)를 포함한다.
도4 내지 도 9에 각 데이터 베이스(4101∼4106)에 저장되는 데이터 속성을 나타내는 예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구매자 데이터 베이스(4101)에는 상품 구매 및 정보 제공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는 구매자에 대한 다수 정보가 구매자별로 저장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에게 할당된 회원 분류 코드별로 해당 구매자의 성명, 로그인(login)을 위한 식별 번호(이하, ID라고 명명함) 및 패스워드, 전자 메일 주소, 구매자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위치 코드, 우편 주소, 이동 전화 번호, 유선 전화 번호, 주민 등록 번호, 우편 번호, 국가 번호, 결재를 위한 결제 코드, 신용 카드 번호 등의 신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해당 구매자가 구매한 상품에 대한 미결재 금액, 결재 금액 합계, 그리고 구매자가 구매할 수 있는 월별 한도액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위치 코드는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600)에 의하여 제공되는 구매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않는다.
판매자 데이터 베이스(4102)에는 중개 시스템(400)을 통하여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다수 판매자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첨부한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판매자에게 할당된 회사 코드별로, 회사명, 회사 ID, 패스워드, 우편 주소, 우편 주소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주소 코드, 대표자 이름, 유선 전화 번호, 팩스 번호, 업무 담당자, 우편 번호, 국가 번호, 전자 메일 주소, 계좌 번호, 거래 은행 코드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외에도 판매 시스템(300)의 인터넷 상의 위치 정보 URL(uniform resource location)이 저장될 수 있다.
상품 데이터 베이스(4103)에는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품이란 일반적인 유형의 상품과 함께 무형의 서비스도 포함하는 판매 가능한 모든 것을 나타낸다.
첨부한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해당 상품 판매를 의뢰한 판매자의 회사 코드별로 주소 코드, 국가 번호, 각 상품에게 할당된 상품 코드, 상품명이 저장되어 있으며,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 시작 시간 및 판매 종료 시간, 그리고 가격 변화 시작 시간, 가격 변화 종료 시간, 이용 시작 시간 및 이용 종료 시간 등의 판매 기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해당 상품의 현재 가격, 최저가, 최고가 등이 가격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해당 상품의 재고량, 총 재고량 등의 재고 정보 및 상품 등급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품의 특징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가격 변화 모델 코드, 그리고 설정된 가격 변화 모델 코드에 따라 가격을 변경시키는 갱신 주기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외에도 상품에 대한 부가 정보 및 해당 상품의 가격을 구매자에게 통지하는가를 나타내는 가격 통지 예약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가격 변화 시작 시간 및 가격 변화 종료 시간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가치가 변화되는 상품의 가격을 변화시키는 기간을 나타내고, 이용 시작 시간 및 이용 종료 시간은 해당 상품을 실제적으로 이용하는 기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AA0001"이라는 회사 코드를 가지는 호텔의 싱글 룸을 이용 시작 시간 "2000년 2월 25일 오후 6시"부터 이용 종료 시간 "2000년 2월 26일 오전 12시"까지 이용할 수 있는 숙박권을 판매하는 경우에, 판매 시작 시간 "2000년 2월 24일 오후 1시 20분"부터 숙박권을 판매하기 시작하고, 시간이 경과되어 가격 변화 시작 시간 "2000년 2월 25일 오후 2시 20분"부터 가격 변화 종료 시간 "2000년 2월 25일 오후 5시"까지 설정된 가격 변화 모델 "A"를 토대로 "5분"의 갱신 주기마다 해당 상품의 가격을 판매 수량에 따라 현재가에서 최고가 또는 최저가 사이의 가격으로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판매하도록 하는 다수의 정보가 상품 데이터 베이스(4103)에 저장된다.
판매 데이터 베이스(4104)에는 판매된 상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판매를 의뢰한 판매자의 회사 코드별로 판매된 상품의 상품 코드, 판매된 상품마다 부여되는 판매 코드, 판매자의 주소 코드, 국가 번호,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의 회원 분류 코드, 해당 회원 성명 및 ID, 상품이 판매된 판매 시간, 판매 수량 및 판매 가격 등의 판매 정보가 저장되고, 이외에도 판매된 상품의 정보를 해당 판매 시스템(300)으로 전송한 최종 이메일 전송 시간 및 이메일 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이 판매 데이터 베이스(4104)에 저장되어 있는 판매 정보들은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삭제되며, 이에 따라 판매된 상품별로 해당 정보가 삭제될 삭제 예정 시간이 설정되어 있다.
한편, 판매 데이터 베이스(4104)에서 삭제된 판매 정보들은 판매 로그 데이터 베이스(4105)에 저장되며,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판매 로그 데이터 베이스(4105)에는 상품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이벤트 분류 코드별로 판매된 상품이 로그 내용(판매 정보) 및 판매 로그 데이터 베이스에 입력된 시간 등이 저장된다.
가격 통지 예약 데이터 베이스(4106)에는 가격 통지를 위한 예약 정보가 저장되며,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구매자가 가격 통지를 요청한 상품 코드, 상품 가격, 가격을 통지할 구매자의 이동 전화 번호가 저장된다. 또한 상품의 가격이 변경되었을 때마다 통지하는 변경 통지 방식으로 할 것인지 아니면 지정한 가격에 도달하면 통지하는 고정 통지 방식으로 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그러나,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4101∼4106)에 저장되는 정보들은 위에 기술된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수 데이터 베이스(4101∼4106)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토대로 하여 구매 시스템(100)과 판매 시스템(300) 사이의 상거래가 이루어지도록 중개하는 처리 서버(420)는 판매 처리부(4201), 가격 관리부(4202), 가격 통지부(4203), 판매자 관리부(4204), 메일 처리부(4206) 및 판매 관리부(4205)를 포함한다.
판매 처리부(4201)는 구매 시스템(100)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며, 구매자가 구매 시스템(100)을 통하여 접속하여 자신의 정보를 등록하고, 상품 정보를 조회하고, 상품 구매 및 가격 통지 예약 등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제반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판매 처리부(4201)는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600)으로부터 구매자의 위치 정보 등을 제공받아서 상품 조회 또는 예약 또는 구매시에 이용하며, 이러한 정보를 판매 관리부(4205)로 제공한다.
가격 관리부(4202)는 설정 시간마다 상품 데이터 베이스(4103)를 검색하여 각 상품별로 설정되어 있는 갱신 주기마다 설정된 가격 변화 모델을 토대로 하여 해당 상품의 가격을 재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해당 상품에 가격 통지 예약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상품의 가격 정보를 가격 통지부(4203)에게 제공하여 구매자에게 전송되도록 한다.
가격 통지부(4203)는 가격 변동이 발생할 때마다 가격 관리부(4202)로부터 제공되는 가격 정보를 이메일이나 무선 통신망(500)을 통하여 구매자의 구매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업무를 제휴한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600)으로 구매자의 이동 전화 번호 및 상품 가격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무선 통신망(500)을 통하여 특정 상품의 가격 정보가 구매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 등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판매자 관리부(4204)는 판매 시스템(300)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며, 상품 판매 중개를 희망하는 판매자가 판매 시스템(300)을 통하여 접속하여 판매자 정보 및 상품 정보를 등록하는데 필요한 제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판매자 관리부(4204)는 판매 로그 데이터 베이스(4105)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토대로 각 상품별로 과거의 판매 이력 정보를 제공하여 판매자가 각 상품별로 적절한 가격 변화 모델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판매 관리부(4205)는 상품 데이터 베이스(4103), 판매 데이터 베이스(4104), 판매 로그 데이터 베이스(4105) 및 가격 통지 예약 데이터 베이스(4106)를 관리하며, 특히 상품 구매, 가격 통지 예약 등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 베이스의 정보를 갱신한다. 이외에도 판매 관리부(4205)는 판매 시스템(300)과의 재고 데이터 동기화를 위하여 상품 판매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재고 갱신 메시지를 판매 시스템(300)으로 제공하여 재고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판매 시스템(300)으로부터 재고 갱신 메시지가 전송되면 해당 상품 정보를 상품 데이터 베이스(4103)와 판매 데이터 베이스(4104)에 저장하여 상품의 재고 처리를 수행한다.
메일 처리부(4206)는 판매 시스템(300)과의 이메일을 통한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하며, 특히, 판매 관리부(4205)와 판매 시스템(300)간의 재고 갱신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타이머(4207)는 설정 시간마다 가격 관리부(4402)로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상품의 가격이 재 설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각 구성 요소(4201∼4204)들은 판매 관리부(4205)를 경유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 독립적으로 해당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4201∼4205)들은 별도의 서버로서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토대로 하여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중개 시스템(400)은 상품 판매 중개를 희망하는 다수의 판매자로부터 가입 신청을 받아서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판매자들을 가맹점으로 가입시킨다.
도 10에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 판매자가 상품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10에 도시되어 있듯이, 판매자가 판매 시스템(300)을 통하여 접속하여 가맹점으로의 등록을 신청하면, 중개 시스템(400)의 판매자 관리부(4204)는 판매자에 대한 신용 평가를 수행한 후에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가맹점으로 등록시킨 후에 인증 번호 즉, 회사 코드를 부여한다(S100∼S110).
그리고 판매 시스템(300)으로부터 회사명, 회사 ID, 패스워드, 판매 시스템의 인터넷 상의 위치 정보(URL(uniform resource location), 우편 주소, 대표자 이름, 유선 전화 번호, 팩스 번호, 업무 담당자, 우편 번호, 국가 번호, 전자 메일 주소, 계좌 번호, 거래 은행 코드 등의 정보를 제공받아서 판매자 데이터 베이스(4102)를 구축한다.
다음에 가맹점으로 등록된 판매 시스템으로부터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정보를 제공받아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품 데이터 베이스(4103)를 구축한다(S120∼S130). 이 때, 판매자 관리부(4102)는 상품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저장하고, 상품이 하루에 몇 회 이상으로 공연되는 상품인 경우에는 각 회를 하나의 상품으로 등록한다.
그리고 판매자 관리부(4204)는 판매 로그 데이터 베이스(4105)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각 상품 카테고리별로 과거의 판매 이력 등을 제공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가격 변화 모델을 판매자가 선택하도록 한다(S140).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가격 변화 모델은 판매자가 설정한 옵션에 따라 설정 시간 동안 상품 가격을 가변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DSD down-stay-down) 방식, DUD(down-up-down) 방식, USU(up-down-up) 방식, 및 이 3가지 방식을 혼합한 방식이 있으며, 도 11a 내지 도 11d에 각 가격 변화 모델의 가격 형성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DSD 방식은 도 11a에 도시되어 있듯이, 판매자가 설정한 시간 동안에 수요에 따라 상품 가격이 초기가와 최저가 사이에서 변화되는 방식으로, 여기서, 초기가는 상품의 최고가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상품 가격은 최고가에서 유지되거나 수요 및 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되어 최저가까지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품의 가격 변화 형태는 직선 또는 곡선 형태를 이룰 수 있다.
DUD 방식은 도 11b에 도시되어 있듯이, 판매자가 설정한 시간 동안에 수요에 따라 상품 가격이 최고가와 최저가 사이에서 변화되는 방식으로, 여기서, 초기가는 상품의 최고가 또는 최저가 사이의 임의 값(최고가 또는 최저가 포함)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상품 가격은 수요 및 시간 경과에 따라 최고가와 최저가 사이에서 오르거나 떨어진다.
USU 방식은 도 11c에 도시되어 있듯이, 판매자가 설정한 시간 동안에 수요에 따라 상품 가격이 초기가와 최고가 사이에서 변화되는 방식으로, 여기서, 초기가는 상품의 최저가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상품 가격은 최저가에서 유지되거나 수요 및 시간 경과에 따라 증가되어 최고가까지 올라갈 수 있다. USU 방식의 가격 변화 형태 또한 DSD 방식과 같이 직선 또는 곡선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혼합 방식은 첨부한 도 11d에 도시되어 있듯이, 판매자가 설정한 시간 동안에 위에 기술된 DSD, DUD, USU 방식을 단계별로 선택적으로 적용시켜 상품의 수요에 따라 상품 가격을 초기가와 최고가 사이에서 변화시키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제1 설정 시간 동안(t1)에는 USU 방식을 적용시키고, 제2 설정 시간(t2) 동안에는 DSD 방식을 적용시키고, 제3 설정 시간(t3) 동안에는 DUD 방식을 적용시켜 상품 가격을 탄력적으로 변화시킨다.
이러한 가격 변화 모델은 상품의 수요에 따라 상품 가격을 일정액씩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며, 보다 상세하게 말하자면 기본 시간당 상품의 표준 판매량에 따라 가격을 변화시킨다.
여기서, 기본 시간은 가격의 변화를 주는 기본 단위 시간을 나타내며, 표준 판매량은 다음과 같이 산출된다.
(식 1)
위의 식1에서, 가격 변화 모델 적용 시간은 위의 각 가격 변화 방식들이 적용되는 시간을 나타내며, 판매 계수는 임의로 설정된다.
판매자는 하나의 상품마다 위에 기술된 다수의 가격 변화 모델 중에서 하나의 가격 변화 모델을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선택된 가격 변화 모델을 적용시키는 시간 즉, 가격 변화 시작 시간 및 가격 변화 종료 시간, 기본 시간을 설정한다. 또한, 해당 상품의 과거 판매 이력에 따라 상품의 초기가, 최고가, 최저가 등을 선택하고, 각 가격 변화 모델의 가격이 변화되는 형태를 직선 또는 곡선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가격 변화 모델이 적용되는 시간은 판매자의 의지에 따라 판매 시작 시간부터 판매 종료 시간이 될 수도 있으며, 또한 판매 시작 및 종료 시간과는 별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판매자 관리부(4204)는 이와 같이 각 상품별로 설정된 가격 변화 모델 및 적용 시간을 포함하는 다수의 정보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데이터 베이스(4103)에 저장한다(S150∼S160).
이와 같이 상품 판매 중개를 희망하는 다수의 판매자를 등록시킨 다음에, 중개 시스템은 또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회원으로 가입하고자 하는 구매자들로부터 가입 신청을 받고 구매 시스템(100)으로부터 구매자의 신상 정보를 제공받아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매자 데이터 베이스(4101)를 구축한다. 이러한 회원 및 가맹점 계약은 인터넷(200)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우편이나 별도의 통신망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에는 구매자에 의하여 상품 구매가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며, 도 12에 이러한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에 구매자가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에 구매 시스템(100)에 표시되는 웹 페이지의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구매자, 판매자 및 상품 데이터 베이스(4101∼4103)가 구축되어 있는 상태에서, 첨부한 도 12에 도시되어 있듯이, 구매자가 구매 시스템(100)에서 인터넷(200) 접속을 위한 웹 브라우저 등을 구동시킨 후 중개 시스템(300)의 싸이트로 접속하기 위한 URL을 입력하면, 이 URL 정보는 웹 브라우저에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에 의해 변환되고 패킷화 된 다음에 인터넷(200)을 통하여 중개 시스템(400)으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중개 시스템(400)의 판매 처리부(4201)는 URL 정보에 해당하는 홈 페이지를 구매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며, 전송된 홈 페이지는 구매 시스템(100)의 윈도우 상태로 변환되어 웹 브라우저 상에 표시된다.
한편, 구매 시스템(100)이 무선 통신망(500)을 통하여 중개 시스템(400)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중개 시스템(400)의 URL 정보가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WML(wireless markup language)로 변환된 후 무선 통신망(500)을 통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600)으로 전송되고,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600)은 이 URL 정보에 따라 구매 시스템(100)을 중개 시스템(400)으로 연결시킨다.
이와 같이 구매자는 구매 시스템(100)의 화면상에 나타난 홈 페이지를 통하여 중개 시스템(4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S200∼S210)). 예를 들어, 이 홈페이지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매되는 상품의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제공한다.
구매자가 하나의 상품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중개 시스템(400)의 판매 처리부(4201)는 상품 데이터 베이스(4103)를 검색하여 현재 시간이 판매 시작 시간 및 판매 종료 시간 내에 위치된 상품 즉, 현재 판매되고 있는 상품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품들 중에서 구매자의 위치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한 판매점에서 판매되는 상품들을 추출하여 구매자의 구매 시스템(100)으로 제공한다(S220∼S230).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가 영화 공연 예약을 선택하고 강남 지역을 선택한 경우에는, 강남 지역 내에서 구매자의 현재 위치에서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한 극장에서 상영되는 영화만을 선별하여 구매자에게 제공한다.
이 때, 중개 시스템의 판매 처리부(4201)는 구매자 데이터 베이스(4101)를 검색하여 해당 구매자의 주소 코드에 따라 구매자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또는 구매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구매 시스템(100)을 통하여 접속한 경우에는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600)으로 해당 구매자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600)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구매자의 위치를 파악한다.
판매 처리부(4201)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현재 시간 및 구매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추출된 상품들의 현재 가격, 판매자의 주소 등의 정보를 구매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며, 이 때, 구매 시스템(100)이 이동 통신 단말기인 경우에는 이러한 상품 정보가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600)을 통하여 구매 시스템(100)으로 제공된다. 여기서,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600)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은 이미 공지된 기술임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매자는 중개 시스템(400)으로부터 제공되는 상품 정보가 구매 시스템(100)의 화면상에 표시되면, 해당 상품을 구매하거나 또는 가격이 요구 조건에 만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가격 예약 통지를 선택한다.
구매자가 상품 구매를 선택한 경우(S240), 판매 처리부(4201)는 구매자와 구매 계약을 체결하고 판매된 상품의 코드, 가격, 구매한 구매자 이름 및 ID, 판매 시간 등의 판매 정보를 판매 관리부(4205)로 제공하며, 이에 따라 판매 관리부(4205)는 이러한 판매 정보를 상품 데이터 베이스(4103)와 판매 데이터 베이스(4104)에 저장한다(S250). 그리고 판매 관리부(4205)는 메일 처리부(4206)를 통하여 판매된 상품의 정보와 함께 재고 갱신 메시지를 판매 시스템(300)으로 전송하여 판매 시스템(300)의 재고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260).
한편, 중개 시스템(400)을 통하지 않고 판매점에서 직접 상품 판매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판매 시스템(300)의 판매 현황 처리부(310)가 판매자 운영 시스템(700)으로부터 판매된 상품의 정보를 제공받아서 재고 갱신 메시지와 함께 메일 송수신부(320)를 통하여 판매 관리부(4205)로 전송하며, 이에 따라 판매 관리부(4205)가 전송된 상품 정보를 상품 데이터 베이스(4103)와 판매 데이터 베이스(4102)에 저장하여 판매 시스템(300)과의 재고 상품 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중개 시스템(400)을 통하여 판매된 상품의 결재는 신용 카드 번호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또는 구매자의 선택에 따라 구매자의 이동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대금을 결재할 수도 있다. 특히, 구매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구매 시스템(100)을 통하여 접속하여 상품 구매를 한 경우에는 별도의 신용 카드 번호 등을 입력하지 않고 자신의 이동 전화 번호만을 이용하여 구매한 상품의 대금을 결재할 수 있다.
한편, 구매자가 상품의 가격이 요구 조건에 맞지 않아서 가격 예약 통지를 선택한 경우, 중개 시스템(400)의 판매 처리부(4201)는 구매자가 가격 예약 통지를 선택한 상품 코드 및 구매자의 이동 전화 번호, ID 등의 정보를 가격 통지 예약 데이터 베이스(4106)에 저장하고, 상품 데이터 베이스(4103)의 가격 예약 통지를 선택한 상품에 대한 가격 통지 필드를 "yes"로 세팅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마다 구매자가 선택한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실시간으로 구매 시스템(100)으로 전송하여 구매자가 해당 상품에 대한 가격을 알 수 있도록 한다(S270∼S280).
이러한 가격 통지는 중개 시스템(400)의 가격 관리부(4202)에서 이루어지며, 도 14에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격 통지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14에 도시되어 있듯이, 타이머(4207)의 인터럽트에 따라 가격 관리부(4202)는 현재 시스템의 시간을 토대로 상품 데이터 베이스(4103)를 검색하여, 현재 시간이 판매 시작 시간 및 판매 종료 시간에 있는 상품들 즉, 판매중인 상품들을 찾고, 판매중인 상품 중에서 현재 시간이 가격 변화 모델을 적용하는 가격 변환 시작 시간과 가격 변환 종료 시간 사이에 있는 상품들을 추출한다(S300∼S340).
이와 같이 추출된 상품들의 갱신 주기 즉, 가격 변화 모델을 적용하는 갱신 주기를 체크하여 현재 시간이 갱신 주기에 해당하는 상품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상품에 설정되어 있는 가격 변화 모델에 따라 해당 상품의 가격을 재 설정한다(S350∼S360).
예를 들어, 설정된 가격 변화 모델이 DSD 방식인 경우에는 상품의 수요량이 표준 판매량보다 작으면 상품의 가격을 일정액 내려서 설정하고, 표준 판매량보다 많으면 상품의 현재 가격을 유지한다. 또한, 설정된 가격 변화 모델이 DUD 방식인 경우에는 해당 상품의 수요량이 표준 판매량보다 작으면 상품의 가격을 일정액 내려서 설정하고, 표준 판매량보다 많으면 상품의 가격을 일정액 올려서 설정한다. 한편, 설정된 가격 변화 모델이 USU 방식인 경우에는 해당 상품의 수요량이 표준 판매량보다 작으면 상품의 현재 가격을 유지하고, 표준 판매량보다 많으면 상품의 가격을 일정액 올려서 설정한다. 그리고 설정된 가격 변화 모델이 혼합 방식인 경우에는 해당 갱신 주기에 설정된 DSD, DUD, USU 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상품의 가격을 변화시킨다 .
이와 같이 각 상품마다 설정된 가격 변화 모델에 따라 상품의 가격을 재 설정한 다음에, 가격 관리부(4202)는 해당 상품에 가격 통지 예약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S370), 가격 통지 예약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가격 통지부(4203)로 가격 통지 명령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가격 통지부(4203)는 가격 통지 예약 데이터 베이스(4106)를 검색하여 해당 상품의 가격 통지를 예약한 구매자의 이동 전화 번호를 리드한 다음에,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600)으로 구매자의 이동 전화 번호, 상품 코드 및 가격 정보를 제공하여, 해당 구매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해당 상품의 가격 정보가 제공되도록 한다(S380). 따라서 구매자는 해당 상품의 가격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가 있다. 한편,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600)을 통하지 않고 이메일을 이용하여 구매자의 구매 시스템(100)으로 해당 상품의 가격 정보를 알려줄 수도 있다.
구매자는 가격 통지를 예약한 상품의 가격 정보가 일정 시간마다 실시간으로 전송되면 자신의 조건에 맞는 가격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으며, 가격 통지시에 이루어지는 상품 구매 또한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가격 관리부(4202)는 상품 데이터 베이스(4103)를 검색하여 판매 종료 시간이 경과된 상품들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상품의 정보를 판매 로그 데이터 베이스(4105)에 저장하고(S390), 상품 데이터 베이스(4103)에서 삭제한다(S400). 이 때, 판매 종료 시간이 경과된 상품들의 현재 상태 및 입력 시간 등을 판매 로그 데이터 베이스(4105)에 함께 기록하여 추후에 판매자가 해당 상품의 판매 이력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판매자는 특정 시간대에 약간 시든 꽃다발의 배달을 정상 가격의 10%로 판매하거나, 11시가 넘으면 20만원을 호가하는 도심의 호텔 숙박권을 통상 10만원 이하로 판매하거나, 별로 인기가 없는 영화의 마지막 표를 이천원 이하로 판매하여 판매 이윤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구매자 또한 이러한 가격 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제공받아서 꽃다발 또는 호텔 숙박권 또는 영화 관람권을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가 있다.
이 발명은 다음의 기술되는 청구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실시가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매자가 상품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으며, 특히 구매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한 판매점의 상품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구매자는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원하는 상품을 신속하게 구매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가 자신의 상품의 판매 추이를 수시로 점검하고 판매 추이에 따라 가격 변화 모델을 설정하여 탄력적이고 동적인 가격 정책을 행사하여 판매 이윤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가격 정책이 실시간으로 잠재적인 구매자에게 제공됨에 따라 보다 많은 구매자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구매자 또한 이러한 판매자의 가격 정책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따라서 판매자와 구매자간에 상호 이득이 발생됨에 따라 전자 상거래를 보다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신용 카드 번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구매자의 이동 전화 번호에 따라 상품 구매 및 결재가 이루어짐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전자 상거래가 이루어지게 된다.

Claims (13)

  1. 네트워크를 통하여 구매자의 구매 시스템과 판매자의 판매 시스템 사이에서 상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상품 코드별로 상품 가격 및 해당 상품의 가격을 변화시키기 위한 가격 변화 모델을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상품 데이터 베이스;
    상기 상품별로 각각 설정되어 있는 가격 변화 모델을 토대로 시간 경과에 따라 해당 상품의 가격을 재 설정하고, 재 설정되는 가격 정보를 실시간으로 구매자의 구매 시스템으로 제공하여 상품 구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처리 서버
    를 포함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격 변화 모델은
    설정 시간 동안 수요에 따라 상품 가격을 초기가와 최저가 사이에서 변화시키는 제1 방식, 설정 시간 동안 수요에 따라 상품 가격을 최고가와 최저가 사이에서 변화시키는 제2 방식, 설정 시간 동안 수요에 따라 상품 가격을 초기가와 최고가 사이에서 변화키는 제3 방식 및 설정 시간 동안 제1 내지 제3 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시켜 상품 가격을 변화시키는 제4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식의 초기가는 해당 상품의 최고가이고, 상기 제3 방식의 초기가는 해당 상품의 최저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품 코드 및 이 상품에 대한 가격 통지를 예약한 구매자의 연락처를 포함하는 예약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가격 통지 예약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 서버는
    설정 시간마다 상기 상품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상품별로 설정되어 있는 가격 변화 모델을 토대로 하여 해당 상품의 가격을 재 설정하는 가격 관리부;
    상기 재 설정된 상품의 상품 코드를 토대로 상기 가격 통지 예약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상품 코드에 대응되어 있는 구매자의 연락처로 재 설정된 상품의 가격 정보를 전송하는 가격 통지부
    를 포함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의 연락처는 이동 전화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판매된 상품의 코드 및 판매된 가격을 포함하는 판매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판매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 서버는
    판매자의 판매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재고 갱신 메시지와 함께 판매된 상품 코드 및 가격 정보가 전송되면, 이 정보를 상기 판매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재고 갱신 처리를 수행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품 판매가 이루어진 경우 구매자가 구매한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 및 가격 정보와 함께 재고 갱신 메시지를 상기 판매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상기 판매 시스템에서 재고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판매자 관리부를 포함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7. 네트워크를 통하여 구매자의 구매 시스템과 판매자의 판매 시스템 사이에 상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에서,
    설정 시간마다 판매되는 상품의 가격을 재 설정하는 단계; 및
    재 설정되는 상품의 가격 정보를 실시간으로 구매자의 구매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상품 구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가격을 재 설정하는 단계는 시간 경과 및 상품의 판매 수량에 따라 상품 가격을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가격을 재 설정하는 단계는 설정 시간 동안 수요에 따라 상품 가격을 초기가와 최저가 사이에서 변화시키는 제1 방식, 설정 시간 동안 수요에 따라 상품 가격을 최고가와 최저가 사이에서 변화시키는 제2 방식, 설정 시간 동안 수요에 따라 상품 가격을 초기가와 최고가 사이에서 변화키는 제3 방식 및 설정 시간 동안 제1 내지 제3 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시켜 상품 가격을 변화시키는 제4 방식 중 하나의 방식을 가격 변화 모델로 사용하여 해당 상품의 가격을 재 설정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는 구매 시스템에게 판매되는 상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구매자가 구매 시스템을 통하여 하나의 상품 구매를 선택하면, 선택된 상품에 대한 대금 결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구매자가 구매 시스템을 통하여 하나의 상품에 대한 가격 통지 예약을 선택하면, 선택된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 및 구매자의 연락처를 포함하는 예약 정보에 따라 가격 통지 예약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가격 통지 예약이 된 상품의 가격이 재 설정되는 경우에 해당 상품의 가격 정보를 해당 구매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구매자의 위치 정보에서 설정 범위 내에 위치된 판매자에 의하여 판매되는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의 위치 정보는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는 구매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인 전자 상거래 방법.
  13.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품 판매 중개를 희망하는 다수의 판매자가 판매 시스템을 통하여 접속하면, 판매되는 상품의 카테고리별로 해당 상품의 판매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자가 해당 상품의 판매 이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4 방식 중 하나를 가격 변화 모델로 선택하면, 각 상품별로 선택된 가격 변화 모델을 대응시켜 상품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KR1020000015077A 2000-03-24 2000-03-24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366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077A KR20000036645A (ko) 2000-03-24 2000-03-24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077A KR20000036645A (ko) 2000-03-24 2000-03-24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6645A true KR20000036645A (ko) 2000-07-05

Family

ID=19658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5077A KR20000036645A (ko) 2000-03-24 2000-03-24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6645A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022A (ko) * 2000-07-10 2000-10-05 문병창 온라인 상품구매/경매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72424A (ko) * 2000-09-02 2000-12-05 배창기 구매물품 정보제공에 따른 컨설팅을 통한 희망지역입찰방식.
KR20020030237A (ko) * 2000-10-16 2002-04-24 임신호 무선 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컴퓨터 부품의 실시간 매매를하기 위한 웹사이트의 매매 결정 운영방법
KR20020032977A (ko) * 2000-10-28 2002-05-04 한성길 위치정보를 이용한 시간소멸성 있는 재화 및 용역서비스의실시간 할인 판매방법
KR20020063347A (ko) * 2001-01-27 2002-08-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바코드 정보를 이용한 상품정보검색 및 상품구매방법
KR20030084165A (ko) * 2002-04-25 2003-11-01 김철봉 인터넷을 이용한 시간할인 구매 시스템 및 방법
WO2006123877A1 (en) * 2005-05-16 2006-11-23 Ki-Soon Ahn Service discount system connected with time and method of the same
KR100801682B1 (ko) * 2000-11-20 2008-02-12 주식회사 소프트캔 온라인상 전자상거래의 시간통제에 의한 타임샵 관리방법
WO2009154700A2 (en) * 2008-06-17 2009-12-23 Nitesh Ratnakar Method system and apparatus to identify and display products in proximity to mobile device
KR100936045B1 (ko) * 2009-02-04 2010-01-08 주식회사 아이오엠 타임 갭 정보와 결합한 가격 또는 배송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을 검색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955633B1 (ko) * 2009-02-04 2010-05-03 주식회사 아이오엠 온라인 마켓에서 타임 갭 정보를 적용한 타이밍 마켓을 구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955631B1 (ko) * 2009-02-09 2010-05-03 주식회사 아이오엠 온라인 마켓에서 타임 갭 정보와 결합한 가격 및 배송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0079877A1 (ko) * 2009-01-12 2010-07-15 주식회사 아이오엠 온라인 마켓에서 타임 갭 정보를 적용한 타이밍 마켓을 구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5026795A1 (en) * 2013-08-20 2015-02-26 Vogel Tether, LLC Terrace-based computer system for sale and purchase of items and products
WO2015093695A1 (ko) * 2013-12-20 2015-06-25 주식회사 인터파크아이엔티 다이나믹 가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온라인 쇼핑몰 서버
KR20150073249A (ko) * 2013-12-20 2015-07-01 주식회사 인터파크 다이나믹 가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온라인 쇼핑몰 서버
KR20160032073A (ko) * 2016-03-09 2016-03-23 주식회사 인터파크 다이나믹 가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온라인 쇼핑몰 서버
WO2020017897A1 (ko) * 2018-07-19 2020-01-23 ㈜올윈웨어 아이템의 동적 가격 결정 방법 및 장치
KR20220022543A (ko) * 2020-08-19 2022-02-28 이니그마(주) 상품 조건에 따른 실시간 가격 산정 시스템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022A (ko) * 2000-07-10 2000-10-05 문병창 온라인 상품구매/경매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72424A (ko) * 2000-09-02 2000-12-05 배창기 구매물품 정보제공에 따른 컨설팅을 통한 희망지역입찰방식.
KR20020030237A (ko) * 2000-10-16 2002-04-24 임신호 무선 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컴퓨터 부품의 실시간 매매를하기 위한 웹사이트의 매매 결정 운영방법
KR20020032977A (ko) * 2000-10-28 2002-05-04 한성길 위치정보를 이용한 시간소멸성 있는 재화 및 용역서비스의실시간 할인 판매방법
KR100801682B1 (ko) * 2000-11-20 2008-02-12 주식회사 소프트캔 온라인상 전자상거래의 시간통제에 의한 타임샵 관리방법
KR20020063347A (ko) * 2001-01-27 2002-08-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바코드 정보를 이용한 상품정보검색 및 상품구매방법
KR20030084165A (ko) * 2002-04-25 2003-11-01 김철봉 인터넷을 이용한 시간할인 구매 시스템 및 방법
WO2006123877A1 (en) * 2005-05-16 2006-11-23 Ki-Soon Ahn Service discount system connected with time and method of the same
KR100717148B1 (ko) * 2005-05-16 2007-05-10 안기순 시간 연동방식을 이용한 서비스 할인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9154700A2 (en) * 2008-06-17 2009-12-23 Nitesh Ratnakar Method system and apparatus to identify and display products in proximity to mobile device
WO2009154700A3 (en) * 2008-06-17 2010-03-04 Nitesh Ratnakar Method system and apparatus to identify and display products in proximity to mobile device
WO2010079877A1 (ko) * 2009-01-12 2010-07-15 주식회사 아이오엠 온라인 마켓에서 타임 갭 정보를 적용한 타이밍 마켓을 구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936045B1 (ko) * 2009-02-04 2010-01-08 주식회사 아이오엠 타임 갭 정보와 결합한 가격 또는 배송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을 검색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955633B1 (ko) * 2009-02-04 2010-05-03 주식회사 아이오엠 온라인 마켓에서 타임 갭 정보를 적용한 타이밍 마켓을 구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955631B1 (ko) * 2009-02-09 2010-05-03 주식회사 아이오엠 온라인 마켓에서 타임 갭 정보와 결합한 가격 및 배송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5026795A1 (en) * 2013-08-20 2015-02-26 Vogel Tether, LLC Terrace-based computer system for sale and purchase of items and products
WO2015093695A1 (ko) * 2013-12-20 2015-06-25 주식회사 인터파크아이엔티 다이나믹 가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온라인 쇼핑몰 서버
KR20150073249A (ko) * 2013-12-20 2015-07-01 주식회사 인터파크 다이나믹 가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온라인 쇼핑몰 서버
KR20160032073A (ko) * 2016-03-09 2016-03-23 주식회사 인터파크 다이나믹 가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온라인 쇼핑몰 서버
WO2020017897A1 (ko) * 2018-07-19 2020-01-23 ㈜올윈웨어 아이템의 동적 가격 결정 방법 및 장치
KR20220022543A (ko) * 2020-08-19 2022-02-28 이니그마(주) 상품 조건에 따른 실시간 가격 산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4916B2 (en) Retail system for selling products based on a flexible product description
Dolan et al. Pricing and market making on the internet.
US7013292B1 (en) Method and system for universal gift registry
US6754636B1 (en) Purchasing systems and methods wherein a buyer takes possession at a retailer of a product purchased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KR20000036645A (ko)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0987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dynamic purchase incentive
US20020002500A1 (en) Product sales server, product sales system, and sales method
US20080046331A1 (en) Universal virtual shopping cart
US8799100B2 (en) Retail system for selling products based on a flexible product description
US7020625B2 (en) Method of using product pickup to create direct marketing opportunities
US7376611B1 (en) Demand aggregation and distribution system
TW201301178A (zh) 具有動態定價之線上市場
KR20060064222A (ko)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변동 할인율에 따른 판매방법 및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EP1313047A1 (en) Commodity selling or buying method using network
WO2004055708A1 (en) Electronic commer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electronic approval information
TW445423B (en) Interactive marketing network and process using electronic certificates
JP2007026471A (ja)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商品販売または購入の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20110024505A (ko) 실시간 변동 할인율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1189110B1 (ko) 불규칙적인 변동할인율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1337945B1 (ko) 가상머니를 사용하여 가격할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JP2006260518A (ja) 不動産販売促進システム
JP2006260516A (ja) 不動産販売促進システム
JP3535123B2 (ja) Posシステムに連携させた個人購買情報管理システム
KR20010109733A (ko) 축산물의 인터넷 거래 방법
JP7186756B2 (ja) 提供装置、提供方法及び提供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