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9733A - 축산물의 인터넷 거래 방법 - Google Patents

축산물의 인터넷 거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9733A
KR20010109733A KR1020000030313A KR20000030313A KR20010109733A KR 20010109733 A KR20010109733 A KR 20010109733A KR 1020000030313 A KR1020000030313 A KR 1020000030313A KR 20000030313 A KR20000030313 A KR 20000030313A KR 20010109733 A KR20010109733 A KR 20010109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buyer
internet
livestock products
trans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용
Original Assignee
조형희
주식회사 비투비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형희, 주식회사 비투비미트 filed Critical 조형희
Priority to KR1020000030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9733A/ko
Publication of KR20010109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733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판매자 또는 구매자가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축산물을 실시간으로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축산물의 인터넷 거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을 이용하여 다수의 판매자 또는 구매자간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인터넷 거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판매자로부터 판매하고자 하는 축산물에 대한 판매 조건을 상기 인터넷상의 웹사이트를 통해 등록받아 소정의 판매 DB에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상기 구매자가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상기 등록된 축산물 중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축산물을 선택하면 상기 축산물의 등록정보를 상기 구매자에게 전송하고, 상기 구매자가 구매 조건을 선택 입력하게 되면 해당 축산물에 대하여 상기 구매자 및 판매자간의 거래가 즉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판매 DB에 등록된 판매 조건은 거래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상기 판매자에 의하여 임의변경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산물의 인터넷 거래 방법{Business Method Of Stock Farm Products Using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축산물의 구매,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판매자 또는 구매자가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축산물을 실시간으로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축산물의 인터넷 거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인터넷과 무선 데이터 통신의 이용이 계속 급증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위치(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들은 관련 기술의 발달로 다량의 데이터 전송뿐만 아니라 데이터 제공의 단계를 벗어나 사용자와 정보를 주고받는 쌍방통신으로 발달되었다. 또한, 다른 이종의 통신 수단이 결합하고 무선통신이 일반화 추세이다.
나아가, 구매자가 전술한 인터넷(또는 네트워크)을 통해 원하는 상품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러한 상품정보를 가지고 자신을 만족시킬 수 있는 판매자를 보다 쉽게 찾을 수 있게 되면서 오늘날 대부분의 경제 활동은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구매자는 과거와 달리 손쉽게 판매자들과 그들의 상품에 관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서 가상의 구매집단을 형성, 공급자의 경쟁을 유발할 수 있는 구매력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구매자가 가장 경쟁력 있는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는 역시장의 시대를 맞게 됐다.
상기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상의 구매는 주로 인터넷 쇼핑몰이나 온라인 경매서비스 제공자의 홈페이지를 통해 이루어지며, 구매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상품을 쉽게 만날 수 있다는 편리함과 판매자가 제시한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는 가격경쟁력을 경쟁요소로 내세우고 있다. 또한, 소비자 중심의 거래 방식으로서, 구매 희망자가 물품 구매 등록을 하도록 하고 해당 물품을 소유한 판매자가 경쟁적으로 판매에 참여하는 방식이 소개되어 있다.
그런데, 전술한 판매 방식은 판매자 또는 구매자가 일방적으로 정한 가격으로 상대 경제주체가 끌려가도록 된 것으로서, 이러한 서비스들이 아무리 제품가격을 할인하거나 저렴한 가격을 책정해도 그것은 결국 공급자(또는 구매자)의 사정을 고려한 손해볼 수밖에 없는 가격으로 거래가 이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축산물의 경우 도축시점 또는 냉장 상태 등에 따라 유통기한이 정해지는 것으로서, 축산물을 생산하였을 때 그 축산물을 제시간에 소비자에게 판매하지 못하면 폐기 처분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축산물은 통상의 공산품과는 구별되게 관리해야 된다. 무엇보다도 축산물의 경우에는 판매자에게는 유통기한을 벗어나지 않도록 안정적인 유통망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구매자에게는 품질 좋은 축산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축산물의 경우에는 통상의 공산품과는 달리 생산(또는 공급) 물량을 임의로 조정할 수 없어서 생산량에 따라 가격변동이 심하기 때문에 축산물에 대한 거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주는 것이 매우 절실하다.
그리고, 전술한 인터넷 판매 방법은 현실 쇼핑의 보고 만지는 즐거움 내지는 이를 대체하는 새로운 요소가 미비한 점이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의 한계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사항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공급자 또는 수요자가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축산물을 실시간으로 거래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공급자가 물품의 정보, 수량 판매가격 등의 거래 조건을 제시한 후에도 임의로 거래조건을 확인 또는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급자에게는 실시간 가격 경쟁을 유도하며, 수요자에게는 실시간으로 물품정보와 거래 조건을 검토하여 실시간 구매를 가능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기일 이후의 해당 상품에 대한 예측가격을 다수의 구매자에게 제공하여 판매함으로써 시간적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금회전을 원활하도록 함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축산물의 인터넷 거래 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다수의 판매자 또는 구매자간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인터넷 거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판매자로부터 판매하고자 하는 축산물에 대한 판매 조건을 상기 인터넷상의 웹사이트를 통해 등록받아 소정의 판매 DB에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상기 구매자가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상기 등록된 축산물 중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축산물을 선택하면 상기 축산물의 등록정보를 상기 구매자에게 전송하고, 상기 구매자가 구매 조건을 선택 입력하게 되면 해당 축산물에 대하여 상기 구매자 및 판매자간의 거래가 즉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판매 DB에 등록된 판매 조건은 거래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상기 판매자에 의하여 임의변경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웹사이트는 상기 판매자가 상기 판매 DB에 축산물을 등록할 때 시시각각 변화하는 거래 상황 정보 중에서 알림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관심설정항목을 입력하도록 하고, 상기 웹사이트는 상기 관심설정항목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상기 판매자에게 상기 관심설정항목 정보를 정보를 즉시 통보하여 주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웹사이트는 상기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축산물이 웹사이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때 구매의사가 있는 축산물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구매의사가 있는 축산물 정보가 등록된 이후 상기 구매의사가 있는 축산물 정보에 맞는 축산물이 상기 판매자에 의하여 등록되면 즉시 상기 구매자에게 상기 등록된 축산물 등록정보를 통보하여 주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매자에 의하여 변경 가능한 판매 조건은 수량, 도소매가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축산물의 인터넷 거래 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다수의 판매자 또는 구매자간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인터넷 거래 방법에 있어서, 축산물 시장에 대한 전반적인 자료를 근거로 미래의 일정 시점에서 축산물에 대한 거래가격을 예측하여 예측 거래 가격을 웹사이트를 통해 제시하는 단계; 상기 축산물을 상기 미래의 시점에서 상기 예측 거래 가격으로 구매하기를 희망하는 다수의 구매자를 기간을 정하여 등록받는 단계; 상기 정한 기간이 완료되면 상기 축산물을 상기 예측 거래 가격으로 상기 구매자가 구매하는 것으로 거래를 성립시키고 상기 구매자에게 상기 축산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예측 공개된 가격은 상한 및 하한 가격이 정해지고, 상기 상한 및 하한 가격 사이의 임의의 가격으로 상기 축산물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매자와 거래가 성립된 이후 상기 미래의 시점이 도래하였을 때 상기축산물에 대한 현재 거래 가격이 상기 상한 및 하한 가격 사이를 벗어나더라도 상기 구매자에게 상기 예측 공개된 상한 및 하한 가격내에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축산물의 인터넷 거래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축산물의 인터넷 거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축산물의 인터넷 거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웹 서버 201∼20n: 판매자
301∼30n: 구매자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축산물의 인터넷 거래 방법의 시스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축산물의 인터넷 거래 방법은 전반적인 제어를 실행하는 웹서버(10), 웹서버(10)가 제공하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하고자 하는 축산물을 등록하기 위한 다수의 판매자(201∼20n), 상기 웹사이트를 통해 각 판매자(201∼20n)로부터 등록된 축산물을 구매하는 다수의 구매자(301∼30n)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적용된다.
상기 웹서버(10)는 판매자(201∼20n)로부터 판매하고자 하는 축산물에 대한 판매 조건을 등록받아 소정의 판매 DB(도시하지 않음)에 데이터베이스화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판매 조건은 해당 축산물의 축종, 대부위명, 제품명, 원산지, 브랜드, 등급, 유통기한, 판매 수량, 결제조건, 축산물 인도 방법, 도매가격, 소매가격 등이 선택적으로 포함된다. 웹서버(10)는 판매자(201∼20n)에 의해 입력되는 판매조건별로 별도의 DB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웹서버(10)는 판매자(201∼20n)가 무분별하게 판매조건을 등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각 판매자(201∼20n)로부터 회원등록을 유도하여 각 판매자(201∼20n)가 회원자격을 취득한 후에 자신들이 원하는 축산물에 대한 거래 조건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원 가입 절차는 일반적인 웹사이트의 회원 가입 절차와 대동소이하다. 즉, 판매자(201∼20n)는 고유 ID와 패스워드 및 기타 자신의 고유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회원등록을 할 수 있다. 웹서버(10)는 회원관리에 있어서 일반 소비자 그룹인 일반회원, 사업자 회원인 소매점 등의 일반 사업자 회원, 유통업체, 대형점 등의 특별 사업자 회원으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웹서버(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후 구매자(301∼30n)가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임의의 축산물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판매 DB로부터 해당 축산물 정보를 인출하여 구매자(301∼30n)에게 제공하게 되고, 구매자(301∼30n)가 구매하고자 하는 축산물을 선택함으로써 실시간으로 구매가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간 거래는 다수의 판매자(201∼20n)가 원하는 물품을 등록하고, 이를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는 등록된 물품 중에서 원하는 물품 및 수량을 선택 지정하게 되는 것이므로 상기 실시간 거래는 다수의 판매자(201∼20n)와 하나의 구매자간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다.
상기 구매자(301∼30n)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회원가입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웹서버(10)는 구매자(301∼30n)가 축산물을 구매하게 되면 상기 판매 DB의 데이터를 변경하게 되고, 이를 해당 판매자(201∼20n)에게 통보하게 되며, 판매자(201∼20n)는 거래가 이루어진 축산물을 약정된 방식에 맞게 구매자(301∼30n)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때, 판매자(201∼20n)가 등록한 물품은 구매자(301∼30n)에 의하여 부분적인 구매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판매자(201∼20n)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축산물을 등록한 후 구매자(301∼30n)에 의하여 거래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상기 웹사이트를 접속하여 자신이 등록한 축산물의 정보를 자유롭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판매자(201∼20n)에 의해 등록된 물품은 구매자(301∼30n)에 의하여 부분구매가 가능하게 되는 바, 판매자(201∼20n)는 자신이 등록한 물품의 정보를 변경할 때 구매자(301∼30n)에 의하여 거래가 이루어진 물품에 대해서는 정보 변경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웹서버(10)는 판매자(201∼20n)에 의해 등록된 물품의 거래가 발생할 때마다 그 거래 현황을 판매자(201∼20n)에게 인터넷 및 인터넷이 가능한 장치를 통해 제공하게 된다. 또한, 판매자(201∼20n)는 상기한 바와 같이 거래발생시에 통보받는 판매현황 통보와는 구별되게 자신이 등록한 물품들의 특정한 항목, 예컨대 구매자(301∼30n)에 의해 구매된 이후의 잔여수량에 대하여 변동상황을 통보받기 위한조건을 임의적으로 관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데, 웹서버(10)는 판매자(201∼20n)에 의해 설정된 상기 조건 및 현재 거래 상황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원하는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이를 즉시 해당 판매자(201∼20n)에게 통보하여 주게 된다. 따라서, 판매자(201∼20n)는 자신이 관심있게 설정한 항목에 대한 변동사항을 수시로 통보받게 되므로 자신의 고유 업무를 수행하면서 원하는 거래정보를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적절한 시기에 거래 정보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판매자(201∼20n)는 관심설정을 통해 자신의 등록 물품에 대한 관심상황 발생을 통보 받아 잔여 물량에 대해 가격을 조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적극적으로 판매를 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201∼20n) 및 구매자(301∼30n)는 관심있는 축산물의 판매가를 상한가와 하한가로 지정하는 것이 가능한 데, 이때 웹서버(10)는 유사종류 축산물에 대하여 현재 판매 평균 가격을 수시로 연산하여 상기 상한가 또는 하한가를 벗어나게 되면 해당 판매자(201∼20n)에게 이를 통보하여 주게 된다.
한편, 구매자(301∼30n)는 웹서버(10)에서 제공하는 축산물 정보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축산물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구매하고자 하는 축산물 정보를 입력 지정할 수 있고, 웹서버(10)는 상기 입력 지정된 관심 축산물에 대한 알림서비스를 적절한 시기에 적정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웹서버(10)는 구매자(301∼30n)로부터 입력된 관심축산물의 정보를 소정의 구매 DB(도시하지 않음)에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판매자(201∼20n)에 의하여 새로운 축산물 정보가 등록되어 상기 판매 DB의 등록정보가 변경되면, 이때마다 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구매자의 관심축산물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관심축산물이 등록되었는 지를 판단하게 되고, 관심축산물이 등록되게 되면 이를 구매자(301∼30n)에게 통보하게 된다.
여기서, 판매자(201∼20n) 및 구매자(301∼30n)에 의하여 등록되는 상기 관심축산물 정보는 축종, 대부위명, 제품명, 원산지, 브랜드, 등급, 예상가격 등이 선택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판매자(201∼20n) 또는 구매자(301∼30n)에 대한 알림서비스는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 휴대전화, PDA, 인터넷 TV 등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축산물의 인터넷 거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웹서버(10)는 본 발명의 인터넷 거래 방법을 총괄 제어하는 것이므로 별도의 설명이 없으면 각 동작의 제어 주체는 웹서버(10)임을 밝혀둔다.
우선, 단계(S1)에서 웹서버(10)는 사용자가 접속을 하게 되면 회원인 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단계(S1)에서의 판단 결과, 접속 사용자가 회원이 아니면 단계(S2)로 이행하여 회원 가입을 유도하게 한다. 즉, 상기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을 요구하면 거래자의 웹 브라우저로 홈 페이지를 전송하고 본 발명의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우선 회원가입을 해야 된다는 정보를 공개하여 거래자가 회원가입을 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회원가입의 절차는 통상의 인터넷 서비스업체에 가입하는 것과 대동소이하다.
이어서, 회원가입 절차를 마친 회원은 단계(S3)에서 원하는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축산물 거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메뉴에는 물품등록메뉴, 관심설정메뉴, 제품구입메뉴, 거래조건수정메뉴, 취소메뉴 등이 포함된다.
우선, 단계(S4)에서 물품등록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단계(S5)에서 물품등록을 원하는 회원이 사업자 회원인 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원이 사업자 회원이 아니면 단계(S3)로 이행하여 물품등록을 할 수 없도록 하고, 사업자 회원이면 단계(S6)로 이행하여 물품등록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웹서버(10)는 물품등록 양식을 제공하고, 회원은 상기 양식대로 기재하는 것으로서 물품등록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물품등록 항목은 축종, 대부위명, 제품명, 원산지, 브랜드, 등급, 수량, 판매가격, 유통기한, 결제조건, 인도방법, 도매가격, 소매가격 등이 선택적으로 포함된다.
한편, 사업자 회원은 등록한 제품의 판매시 웹서버(10)로부터 언제, 얼마나, 누구에게 판매되었는지 등의 거래 상황을 통보받게 된다. 또한, 사업자 회원은 상기 등록한 다수의 항목 중에서 웹서버(10)로부터 거래 상황 정보를 통보받기를 원하는 항목을 지정하여 관심설정을 할 수 있다. 즉, 단계(S7)에서 사업자 회원은 자신이 등록한 물품에 대한 관심설정을 선택하지 않으면 초기의 단계(S3)로 이행하게 되지만, 관심설정을 선택하게 되면 웹서버(10)는 단계(S9)로 이행하여 관심설정 항목을 설정하도록 유도하게 되고, 사업자 회원은 웹서버(10)가 유도하는 대로 상기 물품등록 항목 중에서 원하는 항목에 대하여 관심설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어서, 단계(S10)에서 웹서버(10)는 사업자 회원에 의하여 등록된 축산물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거래 상황이 변경되었는 지를 검색하게 되는 바, 특히 상기 관심설정 항목이 변화되었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게 된다. 이어서, 단계(S10)에서의 체크 결과, 사업자 회원이 설정한 관심항목 중에서 거래 상황이 변경되었으면 해당 사업자 회원에게 관심설정 항목에 대한 변경된 정보를 통보하여 주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S10)에서의 체크 결과, 사업자 회원이 설정한 관심항목 중에서 거래 상황이 변경되지 않았으면 해당 관심설정 항목이 계속 유지되어야 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바, 관심설정 항목이 유지될 수 있는 조건이면 그대로 유지하고, 유지될 수 없는 조건이면 상기 관심설정 항목을 삭제하게 된다. 즉, 판매자(201∼20n)에 의한 등록물품에 대한 관심설정항목은 관심상황이 발생시까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판매자(201∼20n) 및 구매자(301∼30n)가 시장의 변화를 알기 위해 설정한 관심설정항목과 구매자(201∼20n)가 신규등록되는 물품의 상황을 알기 위해 설정하는 관심설정항목은 관심설정상황이 발생하거나 48시간이 경과하면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구매회원도 자신의 관심설정 항목을 등록하는 것이 가능한데, 단계(S3)에서 구매회원은 자신이 구매하기를 희망하는 물품이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 또는 사업자 회원이 자신의 관심설정 항목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다른 서비스를 선택하지 않고 바로 관심설정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회원은 이하의 단계(S9) 내지는 단계(S12)의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다른 한편, 단계(S3)에서 구매 회원의 경우에 축산물품을 구입하기 위하여 단계(S13)에서 제품구입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단계(S14)에서 웹서버(10)는 구매회원을 위하여 판매회원에 의해 등록된 축산물품을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메뉴 선택 회원이 일반회원인지 또는 특별회원인지를 판별하여 일반회원이면 소매거래 장터의 페이지를 제공하여 소매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하고, 특별회원이게 되면 도매거래 장터의 웹페이지를 제공하여 도매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단계(S15)에서 구매회원이 구매제품을 선택하게 되면 그 구매 제품에 대한 대금을 지불할 것을 요구하고, 단계(S16)에서 적절한 대금이 입금 확인되게 되면 해당 구매회원에게 상기 구매제품을 배송 처리하게 된다.
또 다른 한편, 사업자 회원의 경우에 자신이 등록한 축산품의 거래 조건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데, 단계(S3)에서 사업자 회원이 자신이 등록한 축산품의 거래 조건, 예컨대, 수량, 도소매가격의 변경을 요구하는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단계(S18)에서 사업자 회원이 등록한 물품이 있는 지를 체크하여 등록 물품이 존재하면 단계(S19)로 이행하여 해당 물품의 거래 조건을 사업자 회원이 요구하는 대로 수정하게 된다. 이어서, 단계(S20)에서 사업자 회원은 관심설정을 할 수 있는 데, 관심설정을 선택하게 되면 단계(S10)로 이행하여 이하의 과정을 실행하게 된다.
그리고, 사업자 회원은 자신이 등록한 물품에 대하여 거래 성립 여부에 관계없이 취소 신청을 할 수 있고, 또한 구매 회원도 자신이 거래한 물품에 대하여 구매 취소 신청을 할 수 있는 데, 단계(S21)에서 구매 또는 판매 등록 취소 메뉴를선택하게 되면, 단계(S22)에서 구매 취소인 지 또는 판매 취소인 지를 판단하여 구매 취소인 경우에는 단계(S23)로 이행하여 해당 물품이 운송되었는 지를 판단한 후 운송된 이후이면 단계(S24)로 이행하여 운송비나 현재까지의 제비용을 부담하도록 하고, 운송되기 전이면 단계(S25)로 이행하여 제비용만을 부담하도록 한 후, 단계(S26)로 이행하여 구매 취소를 결정하게 된다.
한편, 단계(S22)에서의 판단 결과 판매 취소인 경우에는 단계(S27)로 이행하여 해당 물품이 판매가 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바, 판매된 이후이게 되면 단계(S28)로 이행하여 구매자에 계약에 따른 비용 등을 포함하는 제비용을 부담하도록 하고, 판매되기 전이면 단계(S29)로 이행하여 제비용만을 부담하도록 한 후, 단계(S30)로 이행하여 판매 취소를 결정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축산물의 인터넷 거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단계(S50)에서 서비스업체는 축산물 거래 시장의 정보를 수집하면서 미래의 일정 시점에서의 특정 축산물이 거래되는 가격을 예측하게 된다. 이어서, 단계(S52)에서 웹 관리자는 상기 축산물의 예측거래가격을 웹사이트를 통해 공개 제시하게 된다. 여기서, 서비스업체는 상기 예측거래가격이 산출된 자료들을 함께 공개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예측거래가격은 상기 미래의 예측된 시점에서 상기 서비스업체가 해당 축산물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급가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서비스업체에 의해 매우 공정하게 산출될 것이지만, 미래의 예측거래가격인 만큼 유동적으로 상한과 하한 가격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서비스업체는 상기 시점에 도래하였을 때 축산물의 거래 가격이 상기 상한 가격을 벗어나게 되더라도 상기 예측거래가격으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단계(S54)에서 구매자가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본 발명의 공동구매 서비스를 선택하면 상기 축산물의 예측거래 가격이 포함된 웹 페이지를 구매자의 웹브라우저로 전송하게 된다. 이어서, 단계(S56)에서 구매자가 특정 축산물의 구매를 선택하면, 단계(S58)로 이행하여 상기 구매자의 개인 정보를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
이어서, 단계(S60)에서 일정 시간을 지정하여 상기 구매자에게 축산물 구매대금 중 일정비율의 대금과 수수료 등의 선금액을 입금할 것을 요구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S56)에서 구매자가 축산물의 구매를 선택하였을 때 즉시 상기 선금액을 입급할 것을 요구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단계(S62)로 이행하여 상기 구매자가 상기 선금액을 입금하지 않으면 단계(S64)로 이행하여 상기 구매자를 구매자 목록에서 삭제하고, 상기 구매자가 상기 선금액을 입금하면 단계(S66)로 이행하여 상기 판매자로부터 상기 축산물을 확보한 후 단계(S68)로 이행하게 된다. 단계(S68)에서는 나머지 잔금의 입금을 요구하여 잔금이 입금되지 않으면 단계(S64)로 이행하게 되고, 잔금이 입금되면 단계(S70)로 이행하여 배송시점이 도래하였을 때 상기 구매자에게 축산물을 배송 처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공급자 또는 수요자가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다수의 공급자는 가격, 수량 등의 거래 조건으로 경쟁하여 공급하고, 수요자는 실시간 구매를 함으로서 축산물을 실시간으로 거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급자 또는 구매자는 축산물의 거래 상황을 인터넷이 가능한 장비를 이용하여 제공받음으로써 자신의 고유 업무에 지장을 받지 않고서도 자신들이 등록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상품이 판매(또는 구매)되기 전까지 자유롭게 거래 조건을 변경할 수 있게 됨으로써 축산물 시장의 현재 거래 상황에 적절하게 가격을 조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 기일 이후의 해당 상품에 대한 예측가격을 다수의 구매자에게 제공하여 판매함으로써 시간적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자금회전을 원활하게 되는 효과가 있고, 구매자의 입장에서는 미리 원하는 물량을 확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인터넷을 이용하여 다수의 판매자 또는 구매자간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인터넷 거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판매자로부터 판매하고자 하는 축산물에 대한 판매 조건을 상기 인터넷상의 웹사이트를 통해 등록받아 소정의 판매 DB에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상기 구매자가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상기 등록된 축산물 중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축산물을 선택하면 상기 축산물의 등록정보를 상기 구매자에게 전송하고, 상기 구매자가 구매 조건을 선택 입력하게 되면 해당 축산물에 대하여 상기 구매자 및 판매자간의 거래가 즉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판매 DB에 등록된 판매 조건은 거래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상기 판매자에 의하여 임의변경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물의 인터넷 거래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웹사이트는 상기 판매자가 상기 판매 DB에 축산물을 등록할 때 시시각각 변화하는 거래 상황 정보 중에서 알림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관심설정항목을 입력하도록 하고, 상기 웹사이트는 상기 관심설정항목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상기 판매자에게 상기 관심설정항목 정보를 즉시 통보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물의 인터넷 거래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웹사이트는 상기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축산물이 웹사이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때 구매의사가 있는 축산물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구매의사가 있는 축산물 정보가 등록된 이후 상기 구매의사가 있는 축산물 정보에 맞는 축산물이 상기 판매자에 의하여 등록되면 즉시 상기 구매자에게 상기 등록된 축산물 등록정보를 통보하여 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물의 인터넷 거래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에 의하여 변경 가능한 판매 조건은 수량, 도소매가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물의 인터넷 거래 방법.
  5. 인터넷을 이용하여 다수의 판매자 또는 구매자간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인터넷 거래 방법에 있어서,
    축산물 시장에 대한 전반적인 자료를 근거로 미래의 일정 시점에서 축산물에 대한 거래가격을 예측하여 예측 거래 가격을 웹사이트를 통해 제시하는 단계;
    상기 축산물을 상기 미래의 시점에서 상기 예측 거래 가격으로 구매하기를 희망하는 다수의 구매자를 기간을 정하여 등록받는 단계;
    상기 정한 기간이 완료되면 상기 축산물을 상기 예측 거래 가격으로 상기 구매자가 구매하는 것으로 거래를 성립시키고 상기 구매자에게 상기 축산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물의 인터넷 공동거래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공개된 가격은 상한 및 하한 가격이 정해지고, 상기 상한 및 하한 가격 사이의 임의의 가격으로 상기 축산물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물의 인터넷 공동거래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와 거래가 성립된 이후 상기 미래의 시점이 도래하였을 때 상기 축산물에 대한 현재 거래 가격이 상기 상한 및 하한 가격 사이를 벗어나더라도 상기 구매자에게 상기 예측 공개된 상한 및 하한 가격내에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물의 인터넷 공동거래 방법.
KR1020000030313A 2000-06-02 2000-06-02 축산물의 인터넷 거래 방법 KR200101097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313A KR20010109733A (ko) 2000-06-02 2000-06-02 축산물의 인터넷 거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313A KR20010109733A (ko) 2000-06-02 2000-06-02 축산물의 인터넷 거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733A true KR20010109733A (ko) 2001-12-12

Family

ID=45926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313A KR20010109733A (ko) 2000-06-02 2000-06-02 축산물의 인터넷 거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973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023A (ko) * 2000-07-10 2000-10-05 문병창 육류지수를 통한 온라인 경매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74032A (ko) * 2000-12-30 2001-08-04 변경대 인터넷을 이용한 낙농 정보와 물품 공급 커뮤니티 시스템
KR20030016488A (ko) * 2001-08-20 2003-03-03 (주)애니인포넷 가공업을 포함한 축산물 전자중개방법
KR101954398B1 (ko) 2017-10-30 2019-03-05 김진 축산품 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21575A (ko) 2019-04-16 2020-10-26 김진 축산물 공동구매 중개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축산물 주문방법
KR102543110B1 (ko) 2021-12-13 2023-06-14 김진 가맹점 및 지점 기반의 축산물 구매 중개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축산물 구매 중개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023A (ko) * 2000-07-10 2000-10-05 문병창 육류지수를 통한 온라인 경매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74032A (ko) * 2000-12-30 2001-08-04 변경대 인터넷을 이용한 낙농 정보와 물품 공급 커뮤니티 시스템
KR20030016488A (ko) * 2001-08-20 2003-03-03 (주)애니인포넷 가공업을 포함한 축산물 전자중개방법
KR101954398B1 (ko) 2017-10-30 2019-03-05 김진 축산품 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21575A (ko) 2019-04-16 2020-10-26 김진 축산물 공동구매 중개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축산물 주문방법
KR102543110B1 (ko) 2021-12-13 2023-06-14 김진 가맹점 및 지점 기반의 축산물 구매 중개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축산물 구매 중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2186B1 (en) A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commerce
US6430540B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modifying a consumption forecast over a computer network
US20010034663A1 (en) Electronic contract broker and contract market maker infrastructure
US2015011283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tail Networking
US20120022965A1 (en) Geolocation based bidd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20140236751A1 (en) Methods and System For Electronic Commerce Facility Client-Based Presentation Offer Management
US201300544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website synchronization
US2009032703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commerce
US20020188518A1 (en) Managing customization of projects prior to manufacture in an electronic commerce system
US201002870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Buyer Driven Transaction
US6965877B2 (en) Brokering and facilitating consumer projects in an e-commerce system
KR20010112007A (ko) 인터넷기반의 선구매 계약에 의한 상품 및 서비스 제공방법
KR100592538B1 (ko) 웹 사이트 분양을 통한 쇼핑몰 운영방법
KR100365018B1 (ko) 사용자의 상품정보 제공에 의한 전자상거래 방법과 시스템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010109733A (ko) 축산물의 인터넷 거래 방법
JP7152907B2 (ja) 顧客間レンタル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076650B1 (ko) 무형 서비스 거래 중개 시스템 및 그 거래 중개 방법
CN101268482A (zh) 用于提供和出售广告的方法和系统
KR100626301B1 (ko) 입찰 횟수에 따라 하락하는 낙찰가를 결정하는 경매 방법
KR20010099243A (ko) 메신저와 메신저 네트웍을 이용한 유/무선 전자상거래
KR20050005724A (ko) 여행패키지상품 가격 결정 및 지불방법
JP2019168982A (ja) ベストレート保証方法、コンピュータ、およびプログラム
WO2000070520A1 (en) Method for facilitating a continuous market auction system
US20230325869A1 (en) Automated Product/Service Vending System and Method
KR20000058305A (ko) 재고판매 전자상거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